KR20080029900A - 뚜껑을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뚜껑을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900A
KR20080029900A KR1020070098065A KR20070098065A KR20080029900A KR 20080029900 A KR20080029900 A KR 20080029900A KR 1020070098065 A KR1020070098065 A KR 1020070098065A KR 20070098065 A KR20070098065 A KR 20070098065A KR 20080029900 A KR20080029900 A KR 2008002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door
container
clos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와카사
마사토시 미우라
고지 마쓰바야시
다이조 마쓰카와
히로노리 마쓰모토
쥰이치 무타
Original Assignee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08Protective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11Closur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수직면에 개구부(5)를 형성한 용기 본체(7)와, 상기 개구부(5)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이 폐쇄위치의 좌우방향에 설치된 상기 개구부(5)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전동(轉動)하는 뚜껑(8)과, 이 뚜껑(8)의 상기 전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9,9')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뚜껑을 갖는 용기{CONTAINER WITH LID}
이 발명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의 멸균 장치나 식품 기계는, 압력 용기로 구성되는 것이다. 압력 용기로 하는 경우, 뚜껑('문'이라고도 한다.)은, 압력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중량물이 된다. 그 때문에, 산업용의 멸균 장치나 식품 기계의 취급자에게서는, 피처리물의 반입 반출시에는 뚜껑의 개폐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무거운 뚜껑을 개폐시키는 기구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대해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롤러나 뚜껑과의 균형 추 등을 설치하여 뚜껑의 슬라이드 개폐를 실시하고 있지만, 균형 추의 밸런스가 어렵고, 또한 복잡한 슬라이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뚜껑의 개폐를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도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식의 뚜껑을 갖는 용기는, 좌우방향으로 뚜껑을 슬라이드 시킬 때에, 뚜껑의 자중을 아래쪽의 안내레일('가이드 레일'이라고도 한다.)에서 받아, 뚜껑의 바닥면과 아래쪽의 안내 레일의 상면을 접촉시키면 마찰 저항이 크게 된다. 이 마찰 저항을 회피하기 위해, 뚜껑의 상단에서 매다는 기구의 것도 있지만, 안내기구가 복잡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262925호
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은, 수직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이 폐쇄위치의 좌우방향에 설치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전동(轉動)하는 뚜껑과 이 뚜껑의 상기 전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좌우방향으로 뚜껑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와의 사이를 안내수단의 안내에 의해서 전동하는 구성이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뚜껑에 의한 용기의 개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 1 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제 1 제한수단에 의해, 뚜껑이 개구부의 개구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므로, 뚜껑이 수직 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제 1 제한수단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효과에 더하여, 안내수단과 제 1 제한수단을 겸용함으로써, 별도 제 1 제한수단을 설치하는 일 없이, 용기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뚜껑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수단과, 상기 용기 본체내를 정압(正壓))으로 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한수단에 의해, 가압시의 상기 뚜껑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폐쇄위치에서 밀폐수단에 의해서 뚜껑을 밀폐 가능하게 하여, 정압(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고, 가압시에 제 1 제한수단에 의해서 뚜껑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정압에 견딜 수 있는 압력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전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 2 제한수단을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의 효과에 더하여, 제 2 제한수단에 의해서 정압시에 있어서의 뚜껑의 개방위치 방향으로의 전동을 제한함으로써, 무리하게 뚜껑을 개방위치 방향으로 전동시키려고 해도, 뚜껑은 전동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취급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뚜껑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수단과, 상기 용기 본체내를 부압으로 하는 감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의 효과에 더하여, 폐쇄위치에서 밀폐수단에 의해서 뚜껑을 밀폐 가능하게 하고, 부압(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하는 감압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부압에 견딜 수 있는 압력 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항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폐쇄위치를 상기 뚜껑의 좌우방향에 대해서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의 효과에 더하여, 폐쇄위치에 있어서 뚜껑이 좌우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폐쇄위치를 검출하는 뚜껑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7 중의 어느 한 항의 효과에 더하여, 뚜껑검출수단에 의해, 뚜껑이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 용기 본체가 폐쇄 상태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므로, 뚜껑의 폐쇄위치결정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용기의 뚜껑의 개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발명에 관한 뚜껑을 갖는 용기는, 소용량 수용 가능한 소형 용기로부터 대용량 수용 가능한 대형 용기까지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수직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이 폐쇄위치의 좌우방향에 설치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전동하는 뚜껑과, 이 뚜껑의 상기 전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뚜껑이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 1 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용기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 본체의 수직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제한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면서, 상기 안내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의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수직면 및 그 연장면을 따라서 뚜껑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뚜껑과 상기 안내수단과의 마찰 저항이 작은 것이 되어, 중량이 있는 뚜껑의 개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용기 본체는, 수직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물건을 수용하여 출입 가능한 구역('영역' 또는 '공간'이라고도 한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실(室), 방, 조(槽)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수직면'이란,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인 면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정면, 배면 및 좌우 양측면을 포함한 개념이다. 즉,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은, 상기 수직면과 겹친다. 그리고, 수직면에 형성한 개구부는, 한 면만이라도 좋지만 복수의 면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재질은, 용도에 따라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용기 본체의 형상으로서는, 다각형, 둥근형 등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완전하게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전동하는 것으로, 문, 도어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전동'이란, '회전함으로써 좌우로 이동하는 것' 또는 '구름으로써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상기 폐쇄위치란, 상기 뚜껑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전면적으로 폐쇄하는 위치이다. 또한, 상기 개방위치란, 상기 뚜껑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전면적으로 개방하는 위치이다. 이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위치 관계는, 수평 방향, 즉 좌우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상기 안내수단에 의해서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전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뚜껑의 형상으로서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원판형상이란, 전체둘레 원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 를 전동 가능한 원호형상을 포함한 개념이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뚜껑을 좌우방향으로 전동시키고, 이 뚜껑에 의한 상기 개구부의 상기 폐쇄위치 또는 상기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안내(가이드)하는 것이다. 이 안내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이 전동 가능한 안내홈을 형성하여, 상하에 한 쌍으로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 제한수단은, 개구면에 대해서 수직, 즉 개구면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뚜껑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뚜껑이 개구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멀어지는, 즉 상기 뚜껑이 열리거나 또는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이 제 1 제한수단을 겸용, 즉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제 1 제한수단으로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뚜껑이 개구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의 안내부재에 의해 이동의 규제를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별도 상기 제 1 제한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제한수단은, 상기 안내수단과 겸용하여 설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뚜껑이의 전동 가능하도록, 즉 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설치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제한수단은, 상기 뚜껑에 설치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면과 상기 뚜껑과의 사이의 이동을 규제해도 좋고,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하여 개구면과 상기 뚜껑과의 이동을 규제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을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로 전동시킬 때,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폐쇄위치에서 정확하게 폐쇄할 수 있다. 이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뚜껑이 전동하여 상기 폐쇄위치에서 멈추는 수단으로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멈추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뚜껑을 개폐함으로써, 한층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상기 뚜껑의 개폐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이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로 전동되고, 상기 뚜껑이 상기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뚜껑검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뚜껑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확실히 폐쇄시킬 수 있다. 이 뚜껑검출수단은, 근접 센서(근접 스위치)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뚜껑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뚜껑검출수단의 설치 개소는, 상기 뚜껑이 상기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뚜껑의 좌우 상하방향 중의 어느 1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서 검출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용기 본체내를 정압으로 하는 압력 용기와, 부압으로 하는 압력용기에 적용된다.
(정압 압력용기)
정압 압력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뚜껑과, 상기 안내수단과, 상기 제 1 제한수단과,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뚜껑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수단과, 상기 용기 본체내를 정압으로 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한수단에 의해, 가압시의 상기 뚜껑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게 된다.
이 정압 압력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밀폐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과 상기 개구 부와의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고,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내의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내를 정압으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정압'이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말한다. 상기 뚜껑은, 가압시에 있어서, 상기 개구면에 수직방향, 특히 개구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제한수단에 의해 이동을 규제시킨다. 이 제 1 제한수단은, 상기 가압에 의한 상기 뚜껑의 이동을 받아 멈추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제 1 제한수단과 겸용하는 경우, 이 안내수단의 일부를 살두께로 하여 상기 가압시에 견딜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정압 압력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뚜껑은, 정압의 압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금속제(스테인리스 등)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용기 본체내에 피처리물을 수용하여 밀폐('밀봉'이라고 칭할 수 있다.)상태로 가압매체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피처리물의 조리기능을 갖는 식품기계나 살균 또는 멸균하는 기능을 갖는 멸균 또는 살균장치에 적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를 막아, 상기 용기 본체내를 밀폐상태로 하는 수단이다. 이 밀폐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한 패킹홈과, 이 패킹홈에 장착한 패킹부재와 이 패킹부재를 상기 뚜껑을 향하여 누르는 누름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내를 정압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가압매체로서는 증기 등이 있다. 상기 정압 압력용기는, 가압매체로서 증기를 이용하는 경우, 피처리물을 증기로 찌거나 삶거나 하는 증자기(蒸煮機), 찜통 등의 증기조리장 치나, 피처리물을 고압증기로 가열멸균을 실시하는 멸균장치 등의 증기가열처리장치에 적용된다.
이 정압 압력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내의 가압시에 상기 뚜껑이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전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 2 제한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제 2 제한수단은, 상기 안내수단(상기 안내수단과 상기 제 1 제한수단이 겸용하는 경우는, 제 1 제한수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제한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내의 가압시에 있어서, 상기 뚜껑을 무리하게 상기 개방위치로 전동시키려고 한 경우에 상기 뚜껑의 전동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이 정압 압력용기의 취급자가 가압매체의 분출에 의해 다치는 일 없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부압 압력용기)
부압 압력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뚜껑과, 상기 안내수단과, 상기 제 1 제한수단과,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뚜껑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수단과, 상기 용기 본체내를 부압으로 하는 감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게 된다.
이 부압 압력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밀폐수단에 의해 상기 뚜껑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고, 상기 감압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내의 영역을 감압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내를 부압으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부압'이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한수단은, 정압시와 같이 상기 뚜껑을 받아 멈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압 압력용기와 같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 는다.
이 부압 압력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뚜껑은, 부압의 압력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정압 압력용기와 같이, 금속제(스테인리스 등)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내에 피처리물을 수용하여 밀폐 상태로 감압하는 것에 의해 피처리물을 감압 기화시켜 냉각하는 진공 냉각 기능을 갖는 식품 기계에 적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정압 압력용기의 밀폐수단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감압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내의 공기를 외부로 흡인 배출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내를 감압하는 수단이다. 이 감압수단은, 진공펌프, 또는 거기에 대신하여 또는 거기에 더하여, 증기이젝터 또는 물이젝터를 구비한다. 상기 감압수단은, 배기관로를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에 접속되고, 이 배기관로의 도중에, 상기 용기 본체내에서 나온 증기와 공기의 혼합 유체를 응축시키는 열교환기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 본체내를 부압으로부터 정압까지 견딜 수 있는 것이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한층 다양한 용도로 적용 가능하게 되어, 예를 들어 증기에 의해 정압으로 피처리물을 가열한 후, 감압하여 부압으로 함으로써 냉각하는 증자(蒸煮)냉각기와 같은 식품 기계에도 적용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뚜껑을 갖는 용기에 의하면, 상기 안내수단의 안내 에 의해 상기 뚜껑이 전동하여 상기 개구부의 개방 또는 폐쇄를 실시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개폐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뚜껑을 개폐하는 취급자측에 상기 뚜껑이 넘어지는 일이 없어, 안전하게 상기 뚜껑의 개폐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이하, 이 발명을 조리 장치에 적용한 구체적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 및 도 2 는 실시예 1의 개략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실시예 1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실시예 1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 1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실시예 1의 주요부 단면의 우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실시예 1의 주요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 1의 조리장치는, 포화증기(이하, 단지 '증기'라 한다)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이하, '식재(食材)'라 한다)을 가열 조리하는 증기조리장치, 즉 증자(蒸煮)장치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자장치(1)의 본체는, 주위면이 패널(2,2,…)로 덮여 구성된다. 또한, 그 정면 우측 상부에는, 터치패널(부호생략)이나 각종 조작버튼(부호생략) 등을 구비하는 조작부(3)가 구비된다. 또한, 우측면의 상기 패널(2)에는, 이 패널(2)내의 각 구성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때에 열리는 도어(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증자장치(1)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면인 전면(정면)에 개구부(5)를 갖고 처리대상의 식재(6)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로서의 조리조 (7)와, 이 조리조(7)의 좌우방향으로 전동하여 개폐하는 뚜껑으로서의 문(8)과, 이 문(8)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9,9')과, 상기 조리조(7)내에 저장되는 물(10)을 가열하고 증기화하여 식재(6)를 가열하는 가열(가압)수단으로서의 증기발생수단 (11)과, 상기 조리조(7)내의 공기를 흡인 배기하는 감압수단(12)과, 감압된 상기 조리조(7)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수단(13)과, 상기 조리조(7)내의 물, 증기 또는 드레인을 배출하는 배출수단(14)을 주요부로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리조(7)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증자장치(1)내의 좌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람의 가슴의 높이와 같은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리조(7)는, 원통형의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케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조리조(7)는, 내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하, '부압'이라 한다.)으로부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이하, '정압'이라 한다.)의 증기로 가열하기 위해서, 내압성의 압력 용기로서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리조(7)에는, 식재(6)가 출입하는 정면에 원형상의 상기 개구부(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5)의 주위는, 상기 문(8)이 닫혀질 때의 이 문(8)의 문접촉면(15)이 된다.
상기 문(8)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판이다. 이 문(8)은, 상기 조리조(7)내의 압력 변화에 견딜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문(8)은, 원판형상으로서 이 문(8) 자체가 전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5)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문 (8)은, 상기 안내수단(9,9')에 의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전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문접촉면(15)과 접촉하도록 부착된다. 게다가, 상기 문(8)에는, 전동 보조수단으로서의 둥근 형의 핸들(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증자장치(1)의 취급자는, 이 핸들(16) 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문(8) 자체를 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수단(9,9')은,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문(8)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5)의 개폐를 안내하는 것으로, 안내홈(17,17')을 갖는 종단면 형상이 거의 요(凹)자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다. 이 안내수단(9,9')은, 상기 조리조(7)의 상하로 대칭이 되도록, 그 안내홈(17,17')을 대면시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문(8)은, 이 안내홈(17,17')에서 전동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문(8)은, 상기 안내수단(9,9')의 전방측부(18,18')와 상기 조리조(7)의 상기 개구부(5)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전방측부(18,18')는, 상기 문(8)이 상기 개구부(5)의 개구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규제라고도 한다)하는 제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특히 상기 문(8)이 전방방향(정면방향)으로 열리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17,17')에는,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5)를 완전 폐쇄하는 위치로 위치결정하는 폐쇄위치결정부재(19,19')와, 이 폐쇄위치의 우측방향에 상기 개구부(5)를 완전 개방하는 위치로 위치결정하는 개방위치결정부재(20,20')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있다. 상기 문(8)은, 이 폐쇄위치결정부재(19,19')와 개방위치결정부재(20,20')와의 사이를 좌우방향으로 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리조(7)내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 중심부 보다 약간 하부에 대략 직사각형의 격벽(21)이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상하로 칸막이되어 있다. 이 격벽(21)은, 금속제의 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리조(7)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조리조(7)내에는, 상기 격벽(21)보다 상부에 제 1 영역(22)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1)보다 하부에 제 2 영역(23)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21)에는,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에 각각 전후로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형상의 연통구멍(24,24,…)을 형성하고 있다. 이 좌우의 연통구멍(24,24,…)을 통하여, 상기 제 1 영역(22)과 상기 제 2 영역(23)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 1 영역(22)에는,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재(6)를 수용하기 위한 선반(실시예 1에서는 2단)(2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선반 (25)에 식재(6)를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 영역(23)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증기발생수단(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증기발생수단(11)은, 상기 제 2 영역(23)내에 물(10)을 공급하는 가열용 물공급수단(26)과, 물(10)을 가열하는 히터(27,27,…)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가열용 물공급수단(26)은, 급수배관(28)의 일단을 상기 조리 조(7)에 접속하고, 타단을 급수탱크(도시생략)에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배관(28)의 중도에 급수밸브(29)와 급수펌프(도시생략)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히터(27,27,…)는, 상기 가열용 물공급수단(26)으로부터의 물(예를 들어 수도물이나 순수(純水) 등)(10)을 가열하는 것으로, 세로로 긴 형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조(7)의 안길이방향으로 수평으로 물(10)에 침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영역(23)의 입구측{식재(6)가 출입되는 측}에는, 상기 문(8)을 열었을 때에 상기 입구측으로부터 저장한 물(10)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문(8)의 폐쇄위치에서 상기 조리조(7)와 상기 문(8)과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해서, 밀폐수단(31)을 설치하고 있다. 이 밀폐수단(31)은, 도 9 내지 도 11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문접촉면(15)에 형성한 고리형상의 패킹홈(32)과, 이 패킹홈(32)내에 출몰 자유롭게(진퇴 자유롭게)에 수용된 오목형이고 고리형상의 패킹부재(33)와, 상기 패킹 홈(32)에 접속한 누름수단(34)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패킹부재(33)는, 상기 누름수단(34)의 작동에 의해, 상기 패킹홈(32)내가 가압되어, 상기 문(8)을 향해서 힘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조리조(7)와 상기 문(8)과의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여, 상기 조리조(7)내를 기밀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감압수단(12)은, 부압으로 상기 조리조(7)내를 감압하는 것으로,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흡인용의 감압배관(35)과, 감압도(減壓度)를 제어하는 감압 제어밸브(36), 상기 감압배관(35)에 설치된 이젝터, 열교환기, 진공펌프(모두 도시생략)의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감압기(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젝터(도시생략)는, 증기이젝터 또는 물이젝터로 할 수 있다.
상기 외기 도입수단(13)은, 부압으로 감압된 상기 조리조(7)내를 대기압으로 복압(復壓)하는 것으로,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을 상기 조리조(7)와 접속한 외기 도입배관(38), 이 배관(38)중에 설치하는 외기 도입제어밸브 (39), 공기 청정용 필터(40) 및 역지밸브(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수단(14)은,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영역(23)의 물(10), 증기 또는 드레인을 상기 조리조(7) 밖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정압의 상기 조리조(7)내를 복압하는 것으로, 일단을 상기 조리조(7)의 하부와 접속하고, 상기 제 2 영역(23)으로부터의 물(10), 증기 또는 드레인을 조 외로 배출하는 배출배관(42),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증기 제어밸브(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배출수단(14)은, 물(10), 증기 또는 드레인을 배출하는 배관을 겸용하고 있지만, 각각 별개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조리조(7)에는, 그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도시생략)를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서 식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자장치(1)는, 상기 조리조(7)내의 식재(6)의 조리를 제어하는 제어기 (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이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압력센서(도시생략)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처리순서(조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급수 펌프(도시생략), 상기 히터(27), 상기 각 밸브(29,36,39,43), 상기 누름수단(34) 및 상기 감압기(37)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밸브(29,36,39,43)는, 개도(開度) 조정 가능한 전자밸브, 모터밸브 또는 비례제어밸브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영역(23)내에 물(10)을 공급하는 급수공정과, 상기 조리조(7)내의 공기를 배제하는 공기배제공정, 공기배제공정 후에 상기 제 1 영역(22)으로 증기를 공급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제어하면서 가열 조리하는 가열조리공정, 가열조리공정 후에 상기 조리조(7)내의 주로 증기를 배출하여, 대기압으로 복압하는 복압공정 등을 포함한다. 이하, 이 증자장치(1)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리전 식재의 반입]
조리전 식재의 반입전에 있어서는, 상기 문(8)이 폐쇄위치{도 1,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에 있고, 상기 누름수단(34)은 작동되고 있지 않다. 이 때, 상기 전방측부(18,18')에 의해서 상기 문(8)의 수직방향의 이동이 제한되고 있다(도 9의 상태). 우선, 상기 증자장치(1)의 취급자는, 상기 문(8)의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핸들(16)을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문(8)이 전동한다. 그리고, 상기 문(8)은, 상기 전동을 계속하면, 상기 개방위치결정부재 (20,20')의 부분에서 멈추어, 상기 개방위치에 정지한다{도 2,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 이 때, 상기 개구부(5)는, 상기 핸들(16) 자체를 120deg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완전하게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취급자는, 상기 조리조(7)내에 식재(6)를 수용하고, 상기 문(8)의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다시 상기 핸들(16)을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120deg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문(8)은, 상기 폐쇄위치결정부재(19,19')의 부분에서 멈추어, 상기 개구부(5)가 완전하게 폐쇄된 상태의 상기 폐쇄위치에 정지한다{도 1,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
[급수공정]
다음에, 상기 조작부(3)에서 원하는 운전조건을 입력한 후, 운전 스위치(부호생략)를 온으로 하여, 상기 급수공정을 개시한다. 상기 급수공정에 있어서, 우선,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급수펌프(도시생략)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수밸브(29)를 연다. 이것에 의해, 물(10)은, 상기 급수탱크(도시생략)로부터 상기 급수배관(28)을 통하여 상기 제 2 영역(23)으로 흘러 들어간다.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검지 수단(도시생략)으로 일정 수량 저장 또는 일정시간 경과한 것을 검지하고, 상기 급수펌프(도시생략)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수밸브(29)를 닫는다.
[공기배제공정]
다음에, 상기 공기배제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누름수단(34)을 작동시켜, 상기 패킹부재(33)를 패킹홈(32)으로부터 밀어내어 상기 문 (8)의 이면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조리조(7)내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감압기(37)를 작동시켜, 상기 감압제어밸브(36)를 열고, 상기 조리조(7)내의 공기를 외부로 흡인 배출하여, 상기 조리조(7)내를 감압한다(도 10의 상태). 이 때,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급수밸브(29), 상기 외기 도입제어밸브(39), 상기 배출제어밸브(43)를 닫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조리조 (7)내의 공기가 상기 감압배관(35)을 통과하여 조 외로 배출된다. 또한, 이 공기배제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히터(27)를 작동시켜 상기 조리조(7)내의 물(10)을 증기로 함으로써, 상기 조리조(7)내를 공기의 배제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조리조(7)내의 상기 압력센서(도시생략)에 의한 검출압력이, 설정치에 이르면, 상기 히터(27)또는/및 상기 감압기(37)를 정지시킴과 함께, 상기 감압제어밸브(36)를 닫고, 이 공기배제공정을 종료하여, 상기 가열조리공정으로 이행한다.
[가열조리공정]
다음에, 이 가열조리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공기배제공정으로부터 계속하여 상기 누름수단(34)을 작동시키고, 상기 패킹부재(33)가 상기 문(8)의 이면에 접촉시켜 밀폐상태로 하고 있다. 이 가열조리공정에 있어서, 상기 조리조(7)내를 정압으로 하여 실시하는 정압 가열조리를 실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각 밸브(29,36,39,43)는 닫은 상태로, 상기 히터(27)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영역(23)으로부터 연통구멍(24,24,…)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영역(22)으로 연속적으로 증기 공급하여, 설정치(예를 들어 2000hPa)까지 가압하여 상기 조리조(7)내를 정압상태로 한다. 이 때, 상기 문(8)은, 상기 전방측부(18,18')에 의해서, 전방 방향으로 열리거나 또는 넘어지는 것이 규제된다(도 11의 상태). 그리고,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설정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 후, 계속하여 상기 히터(27)를 조정하여, 설정압력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영역(22)내에 증기를 공급하여, 식재(6)의 증자(찌고 삶음)를 실시한다. 설정한 가열조리 운전시간을 경과한 후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히터(27)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가열조리공정을 종료하여, 상기 복압공정으로 이행한다.
[복압공정]
이 복압공정에서는, 상기 가열조리공정 종료시의 압력으로부터 대기압까지 상기 조리조(7)내를 복압한다. 상기 복압공정 개시시, 상기 조리조(7)내가 정압상태이면,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배출제어밸브(43)의 개도를 조정하면서, 상기 조리조(7)내의 드레인을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조리조(7)내를 복압(감압) 한다. 또한, 상기 조리조(7)내가 부압상태이면,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외기 도입제어밸브(39)의 개도를 조정하면서 열어 외기 도입함으로써 복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조리조(7)내가 대기압까지 복압된 후, 상기 외기 도입제어밸브(39)를 닫고, 상기 복압공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조리조(7)내가 대기압까지 복압된 후, 상기 배출제어밸브(43)를 닫는다. 상기 복압공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도시생략)는, 상기 누름수단(34)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패킹부재(33)가 패킹홈(32)내로 끌여들어진 상태가 되어, 상기 조리조(7)내의 밀폐를 해제한다(도 9의 상태).
[조리 후 식재의 반출]
조리 후 식재의 반출에 있어서는, 상기 조리조(7)로의 식재(6)의 반입시와 같이, 상기 취급자는, 상기 문(8)의 폐쇄위치{도 1,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16)을 잡고 시계방향으로 120deg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문(8)은, 상기 전동을 계속하면, 상기 개방위치결정부재(20,20')의 부 분에서 멈춘다. 그리고, 상기 취급자는, 상기 조리조(7)내의 식재(6)을 꺼낸다. 그 후, 상기 취급자는, 상기 문(8)의 개방위치(도 2,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로부터, 다시 상기 핸들(16)을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120deg 회전시켜 상기 문(8)을 닫아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 1의 동작에 있어서, 식재(6)의 반입 반출시, 상기 문(8)을 전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5)의 개폐를 실시하기 때문에, 상기 문(8)과 상기 안내홈(17,17')와의 사이의 마찰 저항이 극히 작다. 이 때문에, 상기 취급자는,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상기 문(8)을 개폐할 수 있다.
이 실시예 1에서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보조수단을 둥근 형의 핸들(16)로 했지만, 적당한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막대형상의 핸들(44)이라고 해도 좋고, 도 13에 나타내는 손잡이(예를 들어 3개소)의 핸들(45)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 1의 상기 증자장치(1)는, 도 2와 같이 상기 문(8)의 상기 개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4)와 상기 문(8)과의 사이, 즉 상기 문(8)의 후방에 공간 S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문(8)의 개방위치에서 상기 문(8) 이면의 세정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조리조(7) 내를 항상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실시예 2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또한, 이하에 실시예 2 내지 5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13과 동일 구성요소 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에서는,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문(8)의 폐쇄위치에 있어서, 상기 문(8)이 좌우방향으로 어긋나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폐쇄위치결정 보조부재(46)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 폐쇄위치결정 보조부재 (46)는, 아래쪽의 상기 안내홈(17)상에 설치되는 상기 폐쇄위치결정부재(19)와 일정간격을 둔 상기 안내홈(17)상에 용접되어 배치된다. 이 폐쇄위치결정 보조부재(46)를 설치하는 경우는, 상기 문(8)의 상단과 위쪽의 상기 안내홈(17')과의 사이에 상기 문(8)의 전동시에 상기 폐쇄위치결정 보조부재(46)를 타고 오르기 위한 틈새를 형성해 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취급자는, 상기 문(8)의 개방위치{도 14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16)을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문(8)이 전동하여 상기 폐쇄위치결정 보조부재(46)에 올라탄 후{도 15의 것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 상기 문(8)을 상기 폐쇄위치결정부재(19,19')의 부분, 즉 상기 폐쇄위치에서 멈출 수 있다{도 16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 이것에 의해, 상기 문(8)의 폐쇄위치에 있어서, 좌우방향, 특히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위치결정하여 상기 개구부(5)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3]
다음에, 실시예 3에 대해 도 17 및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실시예 3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폐쇄 위치결정부재(19,19') 및 상기 개방위치결정부재(20,20')를 설치하는 대신에,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의 상기 안내홈(17)에 있어서의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가 되는 부분에, 상기 문(8)이 끼워지는 개방위치 원호홈 (47), 폐쇄위치 원호홈(48)을 형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상기 취급자는, 상기 문(8)의 일부가 상기 개방위치 원호홈(47)에 끼워진 상기 개방위치{도 17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16)을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문(8)이 상기 개방위치 원호홈(47)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안내수단(9,9')에 안내되어 전동한다. 그리고, 상기 문(8)은, 상기 전동을 계속하면 상기 폐쇄위치 원호홈(48)에 끼워지고, 즉 상기 폐쇄위치에서 멈춘다{도 18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 이것에 의해, 상기 폐쇄위치결정부재(19,19') 및 상기 개방위치결정부재(20,20')를 설치하는 일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문(8)이 상기 폐쇄위치 또는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상기 개구부(5)를 개폐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실시예 4에 대해 도 19 내지 도 2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은 실시예 4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 도 21은 실시예 4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 4의 상기 문(8)의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문(8)이 상기 개구부(5)의 개구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기 안내수단(9,9'){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방측부(18,18')}에 의한 상하 2개소에서 제한하고 있지만,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문(8)의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문(8)의 좌우방향의 1개소 또는 2개소, 즉 합계 3개소 또는 4개소로 제한해도 좋다. 상기 문(8)의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의 좌측은,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수단(9,9'){구체적으로는 전기 전방측부(18,18')}의 상하간에 좌방측 제한부재(49)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문(8)의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의 좌단에서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문(8)의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의 우측은,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문(8)에 요(凹)자 형상의 우방측 제한부재(50)를 일부 용접 또는 나사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문(8)의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우방측 제한부재(50)에 의해 상기 조리조(7)의 일부를 끼워 넣도록 하여, 상기 문(8)의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의 우단에서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아래쪽의 상기 안내수단(9)에는, 상기 문(8)을 전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우방측 제한부재(50)를 수납하는 수납홈(51)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좌방측 제한부재(49) 또는/및 상기 우방측 제한부재(5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열조리공정에 있어서의 높은 압력(정압) 조리가 대응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5]
다음에, 실시예 5에 대해 도 22 내지 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예 5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 도 23은 실시예 5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 도 24는 실시예 5의 주요부 단면의 좌측면도이다.
이 실시예 5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좌 방측 제한부재(49)가 아니라, 도 22와 도 23에 나타내는 상기 문접촉면(15)의 좌방측에 요(凹)자 형상의 좌방측 제한부재(52)를 일부 용접 또는 나사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좌방측 제한부재(52)는, 상기 문(8)이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문(8)의 좌방부를 요(凹)자 형상의 움푹 패인 부분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상기 문(8)의 좌방부는, 상기 안내수단(9,9')의 상하간에 있어서 수직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좌방측 제한부재(52)는, 상기 문(8)의 좌단이 요(凹)자 형상의 움푹 패인 부분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문(8)의 폐쇄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좌방측 제한부재(52)가 상기 문(8)의 폐쇄위치결정을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내는 상기 폐쇄위치결정부재(19,19')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이 좌방측 제한부재(52)는, 좌측면에 나사구멍이 개구되어, 거기에 문검출수단으로서의 근접센서(53)가 비틀어 넣어져 있다. 이 근접센서(53)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문(8)의 옆둘레면(54)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문(8)의 개폐를 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문(8)의 옆둘레면(54)이 근접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는, 상기 문(8)이 상기 폐쇄위치에 있는 것으로 하고, 상기 개구부(5)가 폐쇄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8)의 옆둘레면(54)이 근접하지 않는 것을 검출한 경우는, 상기 문(8)이 상기 개방위치로 전동중 또는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것으로 하고, 상기 개구부(5)가 폐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문(8)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상기 문(8)은, 상기 조리조(7)내를 정압으로 하여 실시하는 정압 가열조리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나 상기 조리조(7)내에 미량의 증기가 있는 경우, 상기 전방측부(18,18')에 의해서, 전방 방향으로 열리거나 또는 넘어지는 것이 규제된 상태에 있다(도 24의 상태). 그리고, 상기 취급자는, 이 정압상태일 때 상기 문(8)의 상기 폐쇄위치{도 23에 나타내는 상기 문(8)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16)을 잡고 시계방향으로 무리하게 회전시키면, 상기 조리조(7)가 개방됨으로써 증기의 분출에 의해 다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안내홈(17,17')에는, 전동제한부재(55,55')가 설치된다. 이 전동제한부재(55, 55')는,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문(8)의 전동을 제한 가능한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를 향해서 상기 전방측부(18,18')에 따라서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문(8)은, 상기 조리조(7)내가 정압상태일 때에 상기 문(8)을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해도, 상기 전동제한부재(55,55')의 좌단부(56,56')에 닿아 멈추어,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취급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동제한부재(55,55')는, 상기 문(8)을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문(8)과 상기 전방측부(18,18')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완충재와 겸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부재(55,55')는, 도 22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17,17')의 좌우방향으로 긴 형상으로서 설치되었지만, 상기 폐쇄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문(8)의 전동을 제한 가능한 것이면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짧은 형상 혹은 핀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게다가, 이 실시예 5에 있어서의 개방위치결정부재(20,20')는, 예를 들어 실시예 1의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22 내지 도 24와 같이 원기둥형상이 것이라도 좋다.
도 1은 실시예 1의 조리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조리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조리장치의 정면방향에서 본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조리장치의 우측면방향에서 본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주요부 단면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주요부 단면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주요부 단면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주요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주요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3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3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4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4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4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5의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5의 주요부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5의 주요부 단면의 좌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5 : 개구부
7 : 조리조(용기 본체)
8 : 문(뚜껑)
9 : 안내수단
9' : 안내수단
11 : 증기발생수단(가압수단)
12 : 감압수단
18 : 전방측부(제 1 제한수단)
18' : 전방측부(제 1 제한수단)
19 : 폐쇄위치결정부재(위치결정수단)
19' : 폐쇄위치결정부재(위치결정수단)
31 : 밀폐수단
46 : 폐쇄위치결정 보조부재(위치결정수단)
48 : 폐쇄위치 원호홈(위치결정수단)
49 : 좌방측 제한부재(제 1 제한수단)
50 : 우방측 제한부재(제 1 제한수단)
52 : 좌방측 제한부재(제 1 제한수단, 위치결정수단)
53 : 근접 센서(뚜껑검출수단)
55 : 전동제한부재(제 2 제한수단)
55' : 전동제한부재(제 2 제한수단)

Claims (8)

  1. 수직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이 폐쇄위치의 좌우방향에 설치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전동(轉動)하는 뚜껑과,
    이 뚜껑의 상기 전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 1 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제 1 제한수단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뚜껑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수단과, 상기 용기 본체내를 정압(正壓)으로 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한수단에 의해, 가압시의 상기 뚜껑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전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 2 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뚜껑과 상기 개구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수단과, 상기 용기 본체내를 부압으로 하는 감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폐쇄위치를 상기 뚜껑의 좌우방향에 대해서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폐쇄위치를 검출하는 뚜껑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갖는 용기.
KR1020070098065A 2006-09-29 2007-09-28 뚜껑을 갖는 용기 KR20080029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69289 2006-09-29
JPJP-P-2006-00269289 2006-09-29
JP2007207401A JP2008106934A (ja) 2006-09-29 2007-08-09 蓋を有する容器
JPJP-P-2007-00207401 2007-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900A true KR20080029900A (ko) 2008-04-03

Family

ID=3944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065A KR20080029900A (ko) 2006-09-29 2007-09-28 뚜껑을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106934A (ko)
KR (1) KR20080029900A (ko)
TW (1) TW2008292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9186B2 (ja) * 2010-03-31 2014-04-23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吸引装置および吸引回収装置
JP2013150639A (ja) * 2012-01-24 2013-08-08 Toho Giken:Kk 高圧蒸気滅菌器
WO2019220691A1 (ja) * 2018-05-16 2019-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210111122A (ko) * 2020-03-02 2021-09-10 씨제이제일제당 (주) 살균 모듈 및 개폐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2805Y1 (ko) * 1970-03-25 1975-09-25
JPS6053300A (ja) * 1983-09-02 1985-03-26 Niigata Shiken:Kk 圧力容器
JPH0343170A (ja) * 1989-07-06 1991-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ロボット
JPH0450652A (ja) * 1990-06-13 1992-02-19 Sumitomo Metal Ind Ltd 炉外精練における溶鋼サンプルの採取方法
JPH07217323A (ja) * 1994-02-07 1995-08-15 Minoru Yoshimura 円形窓装置に用いる回転可動機構及びその窓装置
JPH08256410A (ja) * 1995-03-17 1996-10-01 Nissin Electric Co Ltd 電気機器容器
JP4649891B2 (ja) * 2004-06-30 2011-03-16 マックス株式会社 生ゴミ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29289A (en) 2008-07-16
JP2008106934A (ja)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9900A (ko) 뚜껑을 갖는 용기
JP4867647B2 (ja) 飽和蒸気加熱機
JP4055684B2 (ja) 真空蒸気調理機
JP4581846B2 (ja) 蒸煮装置
KR101358073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CA28933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team and gaseous hydrogen peroxide
KR101879932B1 (ko) 고온 고압 멸균기
JP5907424B2 (ja) 殺菌装置
KR101697861B1 (ko)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KR101982581B1 (ko)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JP2009063232A (ja) 飽和蒸気加熱機
WO2020262090A1 (ja) 等方圧加圧装置、等方圧加圧装置用収容容器、等方圧加圧処理方法
JP2007143962A (ja) 蒸気調理器用ワゴンおよび蒸気調理器
JP4055677B2 (ja) 食品機械
JP2009052631A (ja) 装置またはその架台の下部構造
JP4055676B2 (ja) 蒸煮冷却機
JP2015130824A (ja) 殺菌装置
KR200484507Y1 (ko) 고온 고압 멸균기
JP2004194912A (ja) 高圧高温蒸気滅菌装置
KR20130053959A (ko) 수동 식품 액화 처리 장치
JP5999318B2 (ja) 殺菌装置
KR102255631B1 (ko) 조리용기 인식형 스팀 가열 즉석식품 조리장치
JP6555477B2 (ja) エアリーク検知装置とこれを備えた蒸気滅菌装置
JP2017197348A (ja) ワゴンロック機構
KR101204862B1 (ko)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