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861B1 -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 Google Patents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861B1
KR101697861B1 KR1020150058939A KR20150058939A KR101697861B1 KR 101697861 B1 KR101697861 B1 KR 101697861B1 KR 1020150058939 A KR1020150058939 A KR 1020150058939A KR 20150058939 A KR20150058939 A KR 20150058939A KR 101697861 B1 KR101697861 B1 KR 10169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lock
sterilization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483A (ko
Inventor
이완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리서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리서치
Priority to KR102015005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86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3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고압 멸균기가 개시된다. 이는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멸균통이 설치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개폐를 위해 회동가능하고 폐쇄위치에서 멸균통과 함께 멸균을 위한 챔버를 이루는 도어부와, 폐쇄위치에서 도어부를 잠금 및 해제하도록 동작하는 도어락부와, 챔버 내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압 멸균기는 2중 잠금 방식과 적합한 패킹부재를 채용함으로써 고도의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AUTOCLAVE WITH DOUBL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멸균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멸균기는 의료 시설 및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도구나 자재에 대한 소독 또는 멸균 처리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소독과 멸균을 위해 약품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용되는 약품 자체가 추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통상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는 멸균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멸균기는 내부에 멸균실을 제공하는 멸균통 본체와 멸균통 본체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한다. 멸균실은 고온의 증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높은 압력 상태가 유지되며, 그에 따라 도어부는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멸균실을 철저하게 밀폐(airtight)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멸균기는 멸균통 본체와 별개로 이루어진 도어부를 멸균통 본체에 결합하는 복잡한 구성을 가진다. 이를테면, 도어부의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나사결합식 결합구를 이용하여 도어부를 본체에 결합한다.
이러한 기존의 멸균기에 채용된 나사결합식 결합구는 개폐 동작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복수개의 결합구를 일일이 풀고 조여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반복적인 결합과 해제에 의해 결합구의 나사들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나사결합식 결합구를 사용하는 기존 멸균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힌지를 사용한 여닫이 방식의 도어부를 채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닫이 방식의 도어부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온 고압의 증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여닫이 방식의 도어는 가능하기 때문에, 챔버 내부가 고압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도어부를 개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여닫이 방식의 고압 멸균기에서는 안전한 잠금 구성이 요구된다.
한국특허등록 10-084029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를 제공하며, 이는: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멸균통이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멸균통의 개폐를 위해 회동이 가능하고, 닫힌위치에서 상기 멸균통과 함께 멸균을 위한 챔버를 이루는 도어부; 및 상기 닫힌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도록 동작하는 도어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부는 제1도어락과 제2도어락을 포함하여 2중의 잠금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도어락은 상기 도어부가 닫힌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부의 개방을 위한 회동을 방지하는 잠금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도어락은 잠금상태에 있는 제1도어락의 잠금해제를 방지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제1도어락은: 상기 도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와 함께 회동동작을 수행하고, 잠금홀을 가지는 후크; 상기 멸균통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가 닫힌상태에서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홀을 제공하는 고정커버; 상기 고정커버에 설치되는 락케이스; 상기 락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락커축; 상가 락커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후크의 잠금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설치되는 락봉; 및 상기 락커축에 결합된 락커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락커축의 외면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요소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락은, 유닛몸체와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된 잠금핀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유닛이며, 상기 제1도어락이 잠금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잠금핀이 전진하여 상기 제1도어락 락커축의 걸림요소의 회전경로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락커축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제1도어락을 잠근다.
상기 챔버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의 상면에 설치된 제어패널에 포함되어, 멸균 동작의 수행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압력 또는 온도에 대한 기준값에 따라 상기 제2도어락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1도어락의 상기 락봉이 잠금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제1리미티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리미티드 스위치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도어락이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될 때 멸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도어락의 상기 잠금핀이 잠금위치에 있는지 감지하는 제2리미티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리미티드 스위치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도어락이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될 때 멸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미티드 스위치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락이 모두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될 때 멸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닫이 방식의 도어부를 구비한 고압 멸균기에서 안전성이 높은 2중 잠금 구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2중 잠금 구성은 챔버 내부가 고온 또는 고압인 상태일 때 도어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어부가 잠금상태에 있을 때에만 멸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안전한 상태에서만 도어부를 개방 가능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여닫이 방식을 채택하여 개폐가 편리하면서도 안전성이 매우 높은 고압 멸균기가 구현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 멸균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고압 멸균기의 하우징 및 도어케이스를 제외하고 내부의 주요 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고압 멸균기에 채용된 제1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의 제1도어락의 주요 요소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b는 제1도어락(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은 도 1의 고압 멸균기에 채용된 제2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제2도어락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고압 멸균기에 채용된 패킹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고압 멸균기에서 멸균통의 상단부위를 절개하여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고압 멸균기의 하우징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하우징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오픈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 멸균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고압 멸균기의 하우징 및 도어케이스를 제외하고 내부의 주요 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고적으로, 도 1과 도 3은 도어부가 닫힌상태를 나타내고, 도 2와 도 4는 도어부가 열린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는 본체부(1), 도어부(3), 및 도어락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도어락부는 제1도어락(5)과 제2도어락(53)을 포함하는 2중 잠금 구성을 가진다.
본체부(1)는 내부에 배치되는 멸균통(11)과 외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3)을 포함한다. 도시한 예에서 멸균통(1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그 부위를 개폐하도록 도어부(3)가 배치된다. 멸균통(11)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내부식성을 가지는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3)은 본체부(1), 즉 하부 구조의 외관을 이루며, 멸균통(11)을 포함하는 다른 요소들을 지지하고 그들을 위한 배치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테면,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3)은 제1도어락(5)의 일부요소 및 스팀 포집통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하우징(13)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장착되는 플라스틱 또는 철재 패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3)은 로울러(41)가 구비된 베이스판(42)과 멸균통(11)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받침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3)는 본체부(1)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멸균통(11)의 개폐를 위한 회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부(3), 구체적으로 도어부(3)의 뚜껑(33)은 폐쇄위치 또는 닫힌위치에서 멸균통(11)과 함께 멸균을 위한 챔버를 구성하게 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어부(3)가 힌지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여닫는 방식으로서, 기존의 스크류 결합 방식의 멸균기에 비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고압 멸균기의 경우 개폐의 편리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고압 상태의 챔버를 철저하게 밀폐시키면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새로운 2중 잠금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에 채용되는 여닫이 방식의 도어부(3)는 뚜껑(33), 힌지부(32), 및 도어케이스(31)를 포함한다.
뚜껑(33)은 닫힌위치 또는 폐쇄위치에서 멸균통(11)의 개방된 상부 또는 입구에 결합되면서 멸균통(11)을 밀폐시킨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멸균통(11)이 원통형이고 뚜껑(33)도 그에 대응하여 원형이지만, 멸균통(11)과 뚜껑(33)의 형상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부(32)는 뚜껑(33)을 멸균통(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힌지부(32)는 멸균통(1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21, 323)와 고정부재(321, 323)에 힌지축(325)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부재(324, 326)를 포함한다. 가동부재(324, 326)에는 뚜껑(33)이 결합되어 도어부(3)를 회동시키게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고정부재(321, 323)는 적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멸균통(11)의 외면에 고정되는 한 쌍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321, 323)의 고정은 용접과 같은 접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고정부재(321, 323)에는 힌지축(325)이 삽입되는 축공이 구비된다.
가동부재(324, 326) 또는 힌지암은 상술한 고정부재(321, 323)와 대응하는 수가 구비될 수 있다. 가동부재(324, 326)에도 각각 축공이 구비되고, 힌지축(325)을 통해 고정부재(321, 3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324, 326)는 도어부(3)와 결합되어 멸균통(11)의 개폐를 위한 도어부(3)의 회동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동부재(324, 326)가 도어부(3)의 뚜껑(33)과 결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동부재(324, 326)는 힌지부(32)를 기점으로 원단부측에 제1도어락(5)의 후크(5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뚜껑(33)의 원단부를 초과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어부(3)가 닫힌위치 또는 폐쇄위치에서 견고한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락부 후크(52)의 설치 위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37은 도어부(3)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쇼바요소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에 채용된 제1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도어락의 주요요소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고압 멸균기에서 멸균통의 상단부위를 절개하여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도 5, 도 6, 및 도 10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는 제1도어락(5)과 제2도어락(53)을 포함하는 도어락부를 구비한다.
제1도어락(5)은 닫힌상태에 있는 도어부(3)를 잠그는 장치로서, 고압 멸균기가 작동 중일 때 도어부(3), 구체적으로 뚜껑(33)을 닫힌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챔버의 밀폐(airtight)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1도어락(5)은, 도 3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락커본체(51)와 후크(5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부(32)의 가동부재(324, 326)의 원단부위에 설치된다. 도 4에서 확대하여 보여준 바와 같이, 각각의 후크(52)에는 잠금홀(521)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홀(521)에는 도어부(3)가 닫힌상태에서 이 잠금홀(521)에 락봉(514)이 삽입된다.
도시한 예에서, 제1도어락(5)의 락커본체(51)가 멸균통(11)에 고정된다. 락커본체(51)는 멸균통(11)에 결합되기 위해 고정커버(511)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커버(511)는 락커본체(51)의 요소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도 5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도어부(3)가 닫힌상태에서 각 후크(52)가 삽입되는 후크홀(5111)을 제공한다. 이러한 고정커버(511)에는 제1도어락(5)의 요소들이 설치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의 제1도어락(5)의 주요 요소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b는 제1도어락(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커버(511)에 설치되는 요소들은, 락케이스(516), 락케이스(5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락커축(512), 락커축(512)과 같이 회전하도록 결합나사(5192)에 의해 락커축(512)에 결합되고 2개 이상의 삽입홈을 가지는 회전판(520), 돌출일단과 돌출타단을 가지며, 회전판(520)의 각 삽입홈에 돌출일단이 삽입되는 크랭크요소(513)들, 크랭크요소(513) 각각의 돌출타단이 삽입되어 직선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을 가지는 제1가이드(517), 크랭크요소(513) 각각의 돌출타단에 연결되는 락봉(514)들, 락봉(514)들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요소(518), 및 락커축(512)에 결합된 락커핸들(515)을 포함한다. 도면부호 5191은 요소들을 락케이스(516)에 결합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와 같은 제1도어락(5)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커축(5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520)이 회전하면서 락커축(512)의 회전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락봉(514)들을 전후진시키게 되고, 락봉(514)들은 전후진하면서 후크(52)의 잠금홀(521)에 삽입(잠금)되거나 이탈(잠금해제)된다. 참고적으로, 락커축(512)에는 걸림요소(5121)가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2도어락(53)의 잠금동작 시에 락커축(512)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락커축(512) 및 그에 연결된 락커핸들(515)은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간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우측의 도면과 같이, 락커핸들(515)을 잠금위치로 돌리게 되면, 락봉(514)들이 대응하는 후크(52)의 잠금홀(521)에 삽입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또한 좌측의 도면과 같이, 락커핸들(515)을 해제위치로 돌리게 되면, 락봉(514)들이 잠금홀(521)로부터 이탈되어 도어부(3)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도어락(5)의 락봉(514)이 잠금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제1리미티드 스위치(55)를 더 포함한다. 락봉(514)이 잠금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1리미티드 스위치(55)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후술되는 제어부(8) 신호에 근거하여 제1도어락이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멸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될 때 제어부(8)는, 예를 들어 후술되는 가열부(72)에 전원을 인가하여 물을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반대로 전원을 차단하여 가열부(72)가 물을 가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는 또한 2중 잠금 구성을 위한 제2도어락(53)을 포함한다. 이를테면, 락커핸들(515)이 잠금위치에 있을 때, 락커핸들(515) 또는 락커축(512)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는 안전 도어락으로서 제2도어락(53)을 포함한다.
도 7a은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에 채용된 제2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제2도어락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는 제2도어락(53)을 안전 도어락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도어락 또는 안전 도어락(53)은 유닛몸체(531)와 유닛몸체(531)로부터 전진 및 후진가능하게 설치된 잠금핀(533)과 잠금핀(533)을 복귀시키는 스프링(535)과 제1지지구(536)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유닛은 전기의 인가 또는 스프링에 의해 잠금핀(533)이 유닛몸체(531)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락커핸들(515) 또는 락커축(512)에 걸림턱과 같은 걸림요소(5121)가 구비될 수 있고, 잠금상태에서 안전 도어락(53)의 잠금핀(533)이 전진하여 락커핸들(515)의 걸림요소(5121)의 회전 경로에 위치하여 제1도어락의 락커축(512)의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도어락(5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유닛일 수 있고, 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8)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를테면, 압력감지부(91)나 온도감지부(95)와 같은 센서 또는 게이지들의 감지 값에 따라서 소정 기준 값 이상일 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통(11)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소정값 이상이면 안전 도어락(53)이 작동하여 락커축(512)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멸균통(11) 내부가 고온 고압 상태일 때 사용자에 의해 멸균통(11)이 개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안전 도어락(53)은 제어부(8)가 포함되는 제어패널(80)을 통해 사용자가 매뉴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리미티드 스위치(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미티드 스위치(57)의 설치를 위해 제2지지구(537)과 결합요소(538)가 포함될 수 있다. 제2리미티드 스위치(57)는 제2도어락(53)의 잠금핀(533)이 잠금위치에 있는지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제어부(8)는 제2리미티드 스위치(57)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2도어락(53)이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될 때 멸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제1리미티드 스위치(55)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열부(72)에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어부(8)는 제1리미티드 스위치(55)와 제2리미티드 스위치(57)가 모두 잠금상태에 있다는 신호를 발생시킬 경우에만 멸균동작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는 제1리미티드 스위치(55)와 제2리미티드 스위치(57)가 모두 잠금상태에 있다는 신호가 있을 경우에 후술되는 가열부(7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는 멸균통(11)과 뚜껑(33)에 의해 제공된 챔버 내에 증기를 발생시키는 구성 및 챔버 내의 안전관리 구성을 포함한다.
증기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전원부(미도시)와 가열부(72)를 포함한다.
멸균통(11)의 바닥부위에는 드레인홀(731)이 형성되고 그 부위를 통해 드레인부(73)가 연결되어 멸균 동작 후 사용된 액체를 배출한다.
챔버의 안전관리를 위해, 멸균통(11)에는 압력감지부(91), 안전변(92), 온도감지부(95), 과열방지부(93) 및 배기부(94)가 채용된다. 압력감지부(91)는 챔버 내부의 압력을 감지 또는 측정하는 압력센서 또는 압력게이지가 적용될 수 있다. 안전변(92)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3)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변(92)을 하우징(13)의 외면에 배치하는 경우 스팀의 배출을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증기로 인한 전기적인 합선이나 누전 등과 같은 장치의 고장에 대한 방지와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온도감지부(95)는 챔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과열방지부(93)는 전열코일과 같은 가열부(72)의 온도를 감지하여 기준값 이상의 온도(과열)일 때 가열부의 전원을 차단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고압 멸균기의 하우징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하우징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오픈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채용되는 배기부(94)는 멸균통(11)에 연결되는 배기라인(941)과, 배기라인(941)에 배치되는 배기밸브(942)와, 제1 및 제2포집통(943, 944)을 포함한다. 챔버 내부의 온도가 소정값 이상이 될 경우에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배기밸브(942)가 제어부(8)의 제어 하에 동작을 하여 스팀을 배기하여 제1 및 제2포집통(943, 944)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포집통(943, 944)을 구비하여 제1포집통(943)에서 1차 포집을 하고, 제1포집통(943)에서 응축되지 않은 증기를 제2포집통(944)에서 재차 포집함으로써 고온의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1 및 제2포집통(943, 944)들은 하우징(13)에서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테면, 하우징(13)의 전면부 패널 안쪽과 측면 패널 바깥쪽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의 배기부(94)에는 수동배기유닛이 더 연결되어, 사용자가 매뉴얼로 배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라인(941)과는 별개의 라인을 멸균통(11)에 연결하고, 수동레버(945)를 설치하여 그럼으로써 장치에서 고장이나 장애가 발생한 비상 상황에서 매뉴얼 배기를 시킬 수 있다. 이들 배기라인(941)과 수동배기유닛은,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멸균통(11)의 하나의 배기구에 분기유닛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배기부(94) 또는 수동배기유닛들은 제1 포집통으로 증기를 배출시키도록 연결된다.
멸균통(11)에는 또한 체크밸브(71)가 연결될 수 있다. 체크밸브(71)는 멸균 동작이 끝나서 챔버 내부 온도가 낮아졌을 때 내부에 음압이 걸려 뚜껑(33)이 열리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상의 구성요소들은 제어부(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8)는 회로기판에 마운팅된 칩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에서 도어부(3)의 도어케이스(31) 상에 제어패널(80)로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부(3)가 여닫이 방식이기 때문에, 도어부(3)의 상면을 활용하여 그 곳에 제어패널(80)을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9는 도 1의 고압 멸균기에 채용된 패킹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부(3)의 폐쇄위치 또는 닫힌위치에서 뚜껑(33)이 멸균통을 철저하게 밀폐시키기 위해, 뚜껑(33)과 멸균통(11)의 테두리 사이에는 패킹부재(34)가 배치된다.
패킹부재(34)는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뚜껑(33)의 테두리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폐쇄위치 또는 닫힌위치일 때, 패킹부재(34)는 눕혀진 "T"자형을 가짐으로써 일단부위(341)가 뚜껑(33)의 테두리 내부에 밀착되고, 타단부위(342)는 멸균통(11)의 테두리 내부로 삽입되어 밀착되며, 중간부위(343)는 뚜껑(33)의 테두리와 멸균통(11)의 테두리 사이에 놓여짐으로써 밀폐를 구현하게 된다. 중간부위(3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33)의 테두리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수많은 개폐동작을 해야 하는 도어부(3)의 특성상 부드러운 개폐가 이루어 저야 하며, 그와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은 밀폐 구성을 구현하여야 한다. 이는 일반적인 구조로는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도어부의 개폐가 용이하고 자연스러움과 동시에 패킹부재(34)가 멸균통(11) 테두리 안쪽의 정해진 위치까지 밀착되면서 완전히 삽입되어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는 멸균통(11)의 테두리 부위 또는 상단부위는 외측으로 적정한 경사를 가지면서 벌어진 형태를 가지며, 그에 대응하는 패킹부재(34)의 타단부위(342)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듬과 동시에 중간이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은 패킹부재(34)가 자연스럽게 삽탈될 수 있도록 하고, 정해진 위치까지 삽입되어 멸균통(11) 내면과 잘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고압 멸균기는 패킹부재(34)가 뚜껑(33)의 내면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링커버(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패킹부재(34)의 일단부위(341)을 뚜껑(33)측으로 압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본체부 3: 도어부 5: 제1도어락
8: 제어부 11: 멸균통 13: 하우징
31: 도어케이스 32: 힌지부 33: 뚜껑
34: 패킹부재 35: 링커버 41: 로울러
42: 베이스판 43: 받침부 51: 락커본체
52: 후크 53: 제2도어락 55: 제1리미티드 스위치
57: 제2리미티드 스위치 71: 체크밸브 72: 가열부
73: 드레인부 80: 제어패널 91: 압력감지부
92: 안전변 93: 과열방지부 94: 배기부
95: 온도감지부 321, 323: 고정부재
324, 326: 가동부재 325: 힌지축 511: 고정커버
512: 락커축 513: 크랭크요소 514: 락봉
515: 락커핸들 516: 락케이스 517: 제1가이드
518: 제2가이드 520: 회전판 521: 잠금홀
531: 유닛몸체 533: 잠금핀 535: 스프링
536: 제1지지구 537: 제2지지구 538: 결합요소
731: 드레인홀 941: 배기라인 942: 배기밸브
943, 944: 제1 및 제2 포집통 945: 수동레버
5111: 후크홀 5121: 걸림요소

Claims (10)

  1. 고압 멸균기로서: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멸균통이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멸균통의 개폐를 위해 회동이 가능하고, 닫힌위치에서 상기 멸균통과 함께 멸균을 위한 챔버를 이루는 도어부; 및 상기 닫힌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도록 동작하는 도어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부는 상기 도어부가 닫힌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부의 개방을 위한 회동을 방지하는 잠금동작을 수행하는 제1도어락과, 잠금상태에 있는 상기 제1도어락의 잠금해제를 방지하도록 동작하는 제2도어락을 포함하여 2중의 잠금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도어락은: 상기 도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와 함께 회동동작을 수행하고, 잠금홀을 가지는 후크; 상기 멸균통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가 닫힌상태에서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홀을 제공하는 고정커버; 상기 고정커버에 설치되는 락케이스; 상기 락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락커축; 상가 락커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후크의 잠금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설치되는 락봉; 및 상기 락커축에 결합된 락커핸들;을 포함하는 것인, 고압 멸균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커축의 외면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요소가 구비된 것인, 고압 멸균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락은, 유닛몸체와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된 잠금핀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유닛이며,
    상기 제1도어락이 잠금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잠금핀이 전진하여 상기 제1도어락 락커축의 걸림요소의 회전경로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락커축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제1도어락을 잠그는 것인, 고압 멸균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압 멸균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상면에 설치된 제어패널에 포함되어, 멸균 동작의 수행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압력 또는 온도에 대한 기준값에 따라 상기 제2도어락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고압 멸균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락의 상기 락봉이 잠금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제1리미티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리미티드 스위치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도어락이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될 때 멸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고압 멸균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락의 상기 잠금핀이 잠금위치에 있는지 감지하는 제2리미티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리미티드 스위치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도어락이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될 때 멸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고압 멸균기.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미티드 스위치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락이 모두 잠금상태에 있다고 판단될 때 멸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고압 멸균기.
KR1020150058939A 2015-04-27 2015-04-27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KR101697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939A KR101697861B1 (ko) 2015-04-27 2015-04-27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939A KR101697861B1 (ko) 2015-04-27 2015-04-27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483A KR20160127483A (ko) 2016-11-04
KR101697861B1 true KR101697861B1 (ko) 2017-01-18

Family

ID=5753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939A KR101697861B1 (ko) 2015-04-27 2015-04-27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08B1 (ko) * 2018-05-09 2018-07-09 김영관 멸균기용 뚜껑 개폐장치
CN110124077A (zh) * 2019-05-29 2019-08-16 朱宏泽 一种温湿恒定的医用臭氧消毒箱
KR102447019B1 (ko) 2022-01-14 2022-09-26 김대현 도어용 패킹재를 이용한 도어 밀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9789A (ja) 2004-11-30 2006-06-15 Hiruson Dekku Kk 高圧蒸気滅菌器
JP2008077537A (ja) 2006-09-25 2008-04-03 Sanyo Electric Co Ltd 高圧蒸気滅菌器
KR101130797B1 (ko) 2011-10-04 2012-03-28 (주)대한과학 고압증기멸균기용 도어장치
JP2013102814A (ja) * 2011-11-10 2013-05-30 Sanyo Electric Co Ltd 高圧蒸気滅菌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94B1 (ko) 2007-04-06 2008-06-23 주식회사 대한랩테크 고압증기 멸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9789A (ja) 2004-11-30 2006-06-15 Hiruson Dekku Kk 高圧蒸気滅菌器
JP2008077537A (ja) 2006-09-25 2008-04-03 Sanyo Electric Co Ltd 高圧蒸気滅菌器
KR101130797B1 (ko) 2011-10-04 2012-03-28 (주)대한과학 고압증기멸균기용 도어장치
JP2013102814A (ja) * 2011-11-10 2013-05-30 Sanyo Electric Co Ltd 高圧蒸気滅菌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483A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861B1 (ko)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JP5025608B2 (ja) 高圧蒸気滅菌器
CA2532500C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KR101423021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자동 도어록 장치
CN101927010B (zh) 蒸汽灭菌器
KR101697862B1 (ko) 여닫이 도어에 적합한 패킹구조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US6391258B1 (en) Pressure vessel having electromechanical latching mechanism
KR101420997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컨트롤 패널
KR20160127476A (ko) 고압 멸균기
KR102231311B1 (ko) 고압 멸균기용 록킹 장치
KR101420996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물 공급 및 배수 장치
JP4974600B2 (ja) 蒸気滅菌器
CA2532512C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KR101423020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
KR101690980B1 (ko)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CN211410248U (zh) 一种手提式压力蒸汽灭菌锅
KR101917575B1 (ko) 고효율 핸드피스 멸균기
CN107486452A (zh) 一种器皿清洗消毒机
CN207413961U (zh) 一种器皿清洗消毒机
JP2010042054A (ja) 炊飯器
JPH08500038A (ja) 滅菌装置
CN212994209U (zh) 一种水气共浴杀菌锅
CN215607827U (zh) 一种安全的立式蒸汽灭菌器
CN212994210U (zh) 一种双联锁杀菌锅
CN219595353U (zh) 一种智能刀具消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