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980B1 -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980B1
KR101690980B1 KR1020150147278A KR20150147278A KR101690980B1 KR 101690980 B1 KR101690980 B1 KR 101690980B1 KR 1020150147278 A KR1020150147278 A KR 1020150147278A KR 20150147278 A KR20150147278 A KR 20150147278A KR 101690980 B1 KR101690980 B1 KR 101690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ver member
frame
steriliz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랩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랩테크
Priority to KR102015014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도어의 잠금장치가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단순하고, 작은 힘으로 도어의 밀폐 고정이 용이하여 힘이 약한 사용자가 쉽게 멸균기의 도어를 밀폐 고정할 수 있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A Sterilizer with Easy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발명은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개폐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쉽게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팀 또는 고온의 멸균기는 약품 및 병원에서 환자복 등의 멸균에 주로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멸균기는 대개 원통형이나 사각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멸균기에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여닫을 수 있게 구성된 여닫이식의 개폐문이 주종을 이룬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의 멸균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멸균기(1)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1) 내주연에는 내,외측면(2),(3)이 일정 간극을 갖고 멸균기(1)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것에 의해 수용환홈(4)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환홈(4)을 이루는 외측면(3)에는 요부(31)와 철부(32)가 상호 교호를 이루어 연속 형성된다. 상기 수용환홈(4)을 이루는 내측면(2)에는 실링 작동홈(21)이 형성되어 타측에 결합되는 공압 호스(22)와 연통된다. 상기 실링 작동홈(21)에는 브이형환홈(51)이 형성된 실링(5)이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멸균기(1)의 개구부(11) 일측에는 작동판(6)이 힌지(61)에 결합되어 그 일측 중간부가 멸균기(1)몸체에 설치된 실린더(7)의 로드(71)와 핀(72) 결합되고, 상기 작동판(6)의 타측 끝단에는 외주에 요부(81)와 철부(82)가 교호로 연속 형성된 커버부재(8)의 중앙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판(6)의 중간부에는 로드(91)가 커버부재(8)의 일측에 핀(92)이 결합된 실린더(9)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멸균기의 도어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작동판(6)에 결합된 실린더(9)를 작동 시키면 상기 작동판(6)의 일측 끝단에 커버부재(8)의 중앙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실린더(9)의 작동로드(91)가 신장되면서 그 로드(91)끝단에 핀(92)결합되어 있는 커버부재(8)이 밀려 회전 된다.
상기 커버부재(8)의 회전은 개구부(11)의 수용환홈(4) 외측면(3)에 형성된 요철부(31),(32)로부터 커버부재(8)의 외주에 형성된 요철부(81),(82)가 상호 이탈되어 커버부재(8)의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멸균기(1)의 내부에 피 멸균기재가 투입 완료되면 커버부재(8)을 개방할 때의 역순으로 닫아 소정의 멸균 시스템을 가동시킨다.
상기 멸균기(1)몸체에 설치된 실린더(7)와 작동판(6)에 설치된 실린더(9)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주면 작동판(6)의 작동과 동시에 커버부재(8)이 닫히면서 멸균기(1)몸체의 수용환홈(4) 외측면(3)에 형성된 요철부(31),(32)와 커버부재(8)의 외주에 형성된 요철부(81),(82)가 상호 결합되는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수용환홈(4)의 내측면에 상기 커버부재(8)의 내면이 접촉된다.
상기에서 작동판(6)에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9)의 로드(91)가 수축 작동하여 상기 커버부재(8)이 개방될 때의 역방향으로 구간 회전되면 멸균기(1)몸체와 커버부재(8)에 형성된 요부(31),(81)와 철부(32),(82)가 상호 일치되어 이탈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커버부재(8)이 멸균기(1)몸체의 수용환홈(4)에 결합완료 되면 내측면(2)에 형성된 실링 작동홈(21)과 그 작동홈(21)에 전,후진 가능하게 끼워진 실링(5)의 브이형 환홈(51)사이에 압축 공기가 공압호스(22)를 통해 압송되고, 이를 일정 시간동안 계속하여 주면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실링(5)이 전진하는 형태로 밀려나가 접촉되어 있는 커버부재(8)의 내면과 수용환홈(4)의 내측면(2) 사이가 밀폐된다.
하지만 종래 멸균기의 개폐 도어는 손으로 여닫아 수동으로 로크핸들을 회전하여 밀폐 고정하는 방식으로써 병원에서 멸균기를 주로 가동하게 되는 힘이 약한 여성이나 간호사들이 멸균기의 도어를 밀폐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동화된 멸균기의 도어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방법이 복잡하고, 고장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180948호(2000.02.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여 작동방법이 쉬울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 레버를 조작하여 멸균기의 도어를 밀폐할 수 있으므로 힘이 약한 사용자가 멸균기 도어를 밀폐 고정할 수 있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구된 멸균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멸균실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커버부재와, 상기 본체에 커버부재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수단은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가 걸리어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걸림축과, 상기 작동부의 측방으로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의 운동을 차단하는 잠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는 체결부의 연결축에 연결 구비되고, 전 후진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가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연결축과, 회전축과,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축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며, 양단부 사이에서 상기 랙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걸림축에 걸리도록 후크부가 구비되며, 상부가 상기 연결축에 결합 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하부로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축에 걸리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작동부는 레버와, 제1 피니언 기어와, 랙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는 프레임에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니언 기어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랙 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고, 타측이 상기 체결부와 연결 구비되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전 후진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작동부에는 상기 랙 부재의 전, 후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측방 일측에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랙 부재에는 측방으로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잠금부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기구와, 잠금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솔레노이드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측방으로 구비되며; 상기 잠금핀은 상기 솔레노이드기구에 구비되어 상기 랙 부재의 측방에서 전, 후진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잠금핀은 전진 되었을시 상기 가이드홀과 핀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잠금부는 제어부에 연결된 센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솔레노이드기구와 연결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후크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의 단부가 상기 센서에 근접될시 센싱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가 솔레노이드기구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걸림축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베어링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커버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걸림부재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홀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걸림축은 상기 회전축의 하부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와 걸림축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는 개폐도어의 잠금장치가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단순하고, 작은 힘으로 도어의 밀폐 고정이 용이하여 힘이 약한 사용자가 쉽게 멸균기의 도어를 밀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멸균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멸균기에 구비된 커버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멸균기의 수용환홈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커버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커버부재에 구비된 스프링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작동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작동부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커버부재 및 잠금수단의 정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체결부를 이루는 걸림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걸림부재가 걸림축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커버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커버부재에 구비된 스프링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작동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작동부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커버부재 및 잠금수단의 정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체결부를 이루는 걸림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의 걸림부재가 걸림축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9의“가로”를“길이 방향”으로 하고,“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며 “힌지(115)”로부터 삽입홀(111a)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후방”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100)는 본체(110)와, 커버부재(120)와, 잠금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판상의 상판(111)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향 개구된 멸균실(110a)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111)에는 상기 멸균실(110a) 개구부의 테두리 주위를 따라 밀폐돌기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밀폐돌기부(112)는 상판(111)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볼록하게 구비된다. 상기 밀폐돌기부(112)는 원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판(111)의 폭 방향 전방에는 삽입홀(111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11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1)의 삽입홀(111a) 하부에는 축지지부(118)가 구비된다. 상기 축지지부(118)는 상부가 상기 상판(111)의 하면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축지지부(118)는 상기 삽입홀(111a)을 사이에 두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축지지부(118)에는 베어링홈(118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홈(118a)에는 베어링(B)이 삽입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B)에는 걸림축(137)이 삽입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축(137)은 베어링(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1)의 폭 방향 후방 일측에는 가스스프링(116)이 삽입되도록 가스스프링홀(111b)이 형성된다.
상기 가스스프링(116)의 일단은 상기 가스스프링홀(111b)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10) 일측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가스스프링(116)의 타단은 커버부재(120)의 일측에 연결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120)가 본체(110) 측으로 폐쇄될 시 상기 가스스프링(116)에 의하여 커버부재(120)의 닫힘 속도가 감소되므로 상기 커버부재(120)가 본체(110) 측으로 안정되게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본체(110) 및 커버부재(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1)의 폭 방향 후방에는 커버부재(120)가 설치되도록 힌지(115)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115)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면에는 씰홈(121a)이 형성된다. 상기 씰홈(121a)은 원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씰홈(121a)에는 씰(121)이 삽입 구비된다.
상기 씰(121)은 상기 커버부재(120)가 상기 멸균실(110a)을 밀폐하도록 닫혔을 시 상기 밀폐돌기부(112)와 접촉되고 상향 가압되어 상기 멸균실(110a)이 밀폐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판(111)에 구비된 상기 힌지(115)에 의하여 본체(11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힌지(115)와 상기 커버부재(120)의 상면에 구비된 제1 프레임(1311)이 힌지핀(115b)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본체(110)에 설치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311)은 상기 커버부재(12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311)은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311)의 후방에는 프레임 힌지핀홀(1311b)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핀(115b)은 상기 프레임 힌지핀홀(1131b)과 힌지핀홀(115a)에 관통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힌지(115)에는 스프링(114)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14)은 상기 힌지핀(115b)이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14)의 일단은 힌지(115)에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14)의 타단은 상기 힌지(115)로부터 폭 방향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1311)의 길이 방향 사이에 연장 구비되는 제2 프레임(1313)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프링홀더(1317)의 사이에 지지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홀더(1317)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홀더(1317)는 너트와 볼트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131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120)가 본체(110)로부터 밀폐고정이 해제되었을 시 상기 스프링(114)에 의하여 상부로 리프트 되면서 사용자가 커버부재(120)를 쉽게 들어 개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130)은 커버부재(120)의 외측에 구비되는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에 구비되는 작동부(133)와, 상기 작동부(133)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135)와,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135)가 걸리어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걸림축(137)과, 상기 작동부(133)의 측방으로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133)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잠금부(139)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31)은 상기 커버부재(120)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31)은 제1 프레임(1311)과 제2 프레임(1313)으로 이루어져 격자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31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311)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311)의 전방에는 프레임 회전축홀(1311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 프레임(131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313)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프레임(1313)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313)의 길이 방향 양단은 상기 제1 프레임(1311)의 길이 방향 내측면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에서 폭 방향 최전방의 제2 프레임(1313)과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구비된 제2 프레임(1313)의 폭 방향 사이에는 기어플레이트(13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플레이트(1315)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과(131)과 기어플레이트(1315)에는 상기 작동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133)는 레버(1331)와, 제1 피니언 기어(1333)와, 랙 부재(13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1331)는 일단부에 하향 연장된 레버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회전축은 상기 기어플레이트(1315)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레버회전축의 하단부에는 제1 피니언 기어(133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331)와 제1 피니언 기어(1333)는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133)에는 제2 피니언 기어(133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피니언 기어(1334)는 상기 기어플레이트(1315)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피니언 기어(1334)의 일측은 상기 제1 피니언기어(1333)와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피니언 기어(1334)는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333)와 치합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될 시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2 피니언 기어(1334)의 또 다른 일측은 랙 부재(1335)의 기어부와 치합되어 상기 랙 부재(1335)를 폭 방향으로 전후진 시킨다.
상기와 같이, 2개 이상의 피니언 기어를 설치함으로써 작은 회전 각도의 레버(1331) 조작으로도 피니언 기어에 치합된 랙(1335)의 폭 방향 이동범위를 늘릴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상기 커버부재(120)의 밀폐고정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기어플레이트(1315)에는 사용자의 안전 및 제1 피니언기어(1333)와 제2 피니언기어(1334)를 이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기어하우징(131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1319)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319)은 가로 방향 양단이 하향 절곡되어 하우징 절곡부(도시되징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319)은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333) 및 제2 피니언 기어(1334)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제1 기어축 홈(1319a) 및 제2 기어축 홈(1319b)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319)은 상면이 상기 기어플레이트(1315)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랙 부재(1335)는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랙 부재(1335)는 일측이 상기 제2 피니언 기어(1334)에 치합되고, 타측이 상기 체결부(135)와 연결 구비된다. 상기 랙 부재(1335)의 전방 단부에는 체결부(135)를 이루는 연결축(1351)이 삽입 되도록 연결홀(1335-3)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랙 부재(1335)는 톱니가 형성된 기어부와 상기 연결홀(1335-3)의 폭 방향 사이에 핀홀(1335-1)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랙 부재(1335)는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333) 및 제2 피니언 기어(1334)의 회전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전 후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1331)가 폭 방향 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랙 부재(1335)는 전진하고, 상기 레버(1331)가 폭 방향 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랙 부재(1335)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133)에는 가이드부재(13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337)는 상기 랙 부재(1335)의 전, 후진을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337)는 상기 기어플레이트(1315)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337)는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337)는 길이 방향 양단부에 하향 절곡된 절곡부(1337-1)가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1337-1)에는 가이드 홀(1337-3)이 측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1337-3)에는 후술할 잠금부(139)의 잠금핀(1392)이 삽입된다.
상기 체결부(135)는 연결축(1351)과, 회전축(1353)과, 걸림부재(13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축(135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축(1351)은 상기 랙 부재(1335)의 연결홀(1335-3)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135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폭 방향 일측으로 절곡된 후크부(1355-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355)는 상기 후크부(1355-1)의 축 방향 내측 단부에 상기 걸림축(137) 외경의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걸림홈부(1355-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355)는 상부에 연결축(135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연결축홀(1355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355)는 연결축홀(1355a)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회전축홀(1355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355)는 상기 회전축홀(1355b)에 삽입 지지되는 회전축(135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후크부(1355-1)는 상기 걸림축(137)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축홀(1355a)에는 상기 연결축(1351)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353)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353)은 연결축(1351)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353)은 상기 회전축홀(1355b)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353)의 길이 방향 양 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1311)의 프레임 회전축홀(1311a)에 삽입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걸림축(137)은 상기 베어링(B)에 삽입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1355)가 걸림축(137)에 억지끼움으로 체결될 시 상기 베어링(B)에 의하여 걸림축(137)이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부재(1355)가 걸림축(1376)에 용이하게 체결된다.
상기 잠금부(139)는 제어부와 연결된 솔레노이드기구(1391)와, 잠금핀(139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솔레노이드기구(1391)는 상기 가이드부재(1337)의 측방으로 구비된다.
상기 잠금핀(1392)은 상기 솔레노이드기구(1391)에 구비되어 상기 랙 부재(1335)의 측방으로 전, 후진 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잠금핀(1392)은 전진 되었을시 상기 가이드 홀(1337-3)과 핀홀(1335-1)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잠금부(139)는 제어부와 연결된 센서(139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1393)는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센서(1393)는 상기 솔레노이드기구(1391)와 연결 구비된다. 상기 센서(1393)는 상기 걸림부재(1355)의 후크부(1355-1) 단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1331)를 조작하여 회전 운동된 걸림부재(1355)의 후크부(1355-1)가 걸림축(137)에 체결되어 센서(1393)에 근접될 시 상기 센서(1393)의 센싱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는 상기 잠금핀(1392)이 전진 하도록 솔레노이드기구(1391)를 작동시킨다.
상기 솔레노이드기구(1391)에 의하여 상기 랙 부재(1335)의 길이 방향으로 전진된 잠금핀(1392)은 상기 가이드 홀(1337-3)과 핀홀(1335-1)에 차례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랙 부재(1335)의 전 후진 움직임을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1337-3)과 핀홀(1335-1)에 삽입된 잠금핀(1392)에 의하여 사용자의 레버(1331) 조작이 없이 커버부재(12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는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법이 쉬우며, 힘이 약한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레버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멸균기의 도어를 쉽게 밀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잠금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도어의 밀폐고정 해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110: 본체 120: 커버부재
130: 잠금수단 131: 프레임
133: 작동부 135: 체결부
137: 걸림축 139: 잠금부

Claims (7)

  1. 일측으로 개구된 멸균실(110a)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멸균실(110a)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커버부재(120)와, 상기 본체(110)에 커버부재(120)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잠금수단(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수단(130)은 커버부재(120)에 구비되는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에 구비되는 작동부(133)와, 상기 작동부(133)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135)와, 상기 본체(11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135)가 걸리어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걸림축(137)과, 상기 작동부(133)의 측방으로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133)의 운동을 차단하는 잠금부(139)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133)는 체결부(135)의 연결축(1351)에 연결 구비되고, 전 후진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135)가 프레임(131)으로부터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135)는 연결축(1351)과, 회전축(1353)과, 걸림부재(1355)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축(1351)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며, 양단부 사이에서 랙 부재(133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1355)는 걸림축(137)에 걸리도록 후크부(1355-1)가 구비되며, 상부가 상기 연결축(1351)에 결합 되고, 상기 회전축(135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353)의 하부로 상기 후크부(1355-1)가 상기 걸림축(137)에 걸리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353)은 상기 연결축(1351)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33)는 레버(1331)와, 제1 피니언 기어(1333)와, 랙 부재(1335)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1331)는 프레임(130)에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333)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333)는 상기 프레임(131)에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랙 부재(1335)는 일측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333)에 치합되고, 타측이 상기 체결부(135)와 연결 구비되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333)의 회전에 의하여 전 후진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33)에는 상기 랙 부재(1335)의 전, 후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337)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37)에는 측방 일측에 가이드홀(1337-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랙 부재(1335)에는 측방으로 핀홀(133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39)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기구(1391)와, 잠금핀(139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솔레노이드기구(1391)는 상기 가이드부재(1337)의 측방으로 구비되며; 상기 잠금핀(1392)은 상기 솔레노이드기구(1391)에 구비되어 상기 랙 부재의 측방에서 전, 후진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잠금핀(1392)은 전진 되었을시 상기 가이드홀(1337-3)과 핀홀(1335-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39)는 제어부에 연결된 센서(1393)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센서(1393)는 상기 솔레노이드기구(1391)와 연결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1355)의 후크부(1355-1)와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후크부(1355-1)의 단부가 상기 센서(1393)에 근접될시 센싱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가 솔레노이드기구(1391)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축(137)은 상기 본체(110)에 구비된 베어링(B)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20)에는 상기 걸림부재(1355)가 회전 가능하도록 걸림부재홀(120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홀(120b)에는 상기 걸림부재(1355)가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걸림축(137)은 상기 회전축(1353)의 하부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1355)와 걸림축(137)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KR1020150147278A 2015-10-22 2015-10-22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KR101690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278A KR101690980B1 (ko) 2015-10-22 2015-10-22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278A KR101690980B1 (ko) 2015-10-22 2015-10-22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980B1 true KR101690980B1 (ko) 2017-01-10

Family

ID=5781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278A KR101690980B1 (ko) 2015-10-22 2015-10-22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08B1 (ko) * 2018-05-09 2018-07-09 김영관 멸균기용 뚜껑 개폐장치
CN110960707A (zh) * 2018-09-30 2020-04-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自动开门消毒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948Y1 (ko) 1998-01-16 2000-06-01 박종현 도어개폐장치
KR200338570Y1 (ko) * 2003-10-18 2004-01-16 안석순 의료용 멸균기의 잠금장치
KR200352042Y1 (ko) * 2004-03-11 2004-06-04 최영락 고압 멸균기의 도어 록킹장치
JP2009039380A (ja) * 2007-08-10 2009-02-26 Sanyo Electric Co Ltd 高圧蒸気滅菌器
KR20090008104U (ko) * 2008-02-05 2009-08-10 노한래 추출기의 뚜껑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948Y1 (ko) 1998-01-16 2000-06-01 박종현 도어개폐장치
KR200338570Y1 (ko) * 2003-10-18 2004-01-16 안석순 의료용 멸균기의 잠금장치
KR200352042Y1 (ko) * 2004-03-11 2004-06-04 최영락 고압 멸균기의 도어 록킹장치
JP2009039380A (ja) * 2007-08-10 2009-02-26 Sanyo Electric Co Ltd 高圧蒸気滅菌器
KR20090008104U (ko) * 2008-02-05 2009-08-10 노한래 추출기의 뚜껑 개폐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08B1 (ko) * 2018-05-09 2018-07-09 김영관 멸균기용 뚜껑 개폐장치
CN110960707A (zh) * 2018-09-30 2020-04-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自动开门消毒柜
CN110960707B (zh) * 2018-09-30 2021-01-1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自动开门消毒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2486B2 (ja) 薬剤注入装置
KR101690980B1 (ko)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TWI635510B (zh) 密封連接總成及使二個封閉空間密封連接或密封分離之方法
AU2014317254B2 (en) Fluidtight chamber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chanism for a device providing fluidtight connection between two enclosed volumes
ES2621383T3 (es) Desinfectador/esterilizador para endoscopios
WO2018133405A1 (zh) 一种内窥镜头座与内窥镜
FR2998328A1 (fr) Enceinte etanche comportant un mecanisme de commande d'ouverture et de fermeture pour un dispositif de transfert etanche entre deux volumes clos
JP2010068911A (ja) 高圧蒸気滅菌器
CN213852159U (zh) 一种用于储物柜消杀的深紫外led光源机构
KR101697861B1 (ko)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ES2368644T3 (es) Bañera con puerta de acceso.
CN101927010A (zh) 蒸汽灭菌器
CN213330406U (zh) 一种门把手消毒设备
CN114075892B (zh) 一种自消毒门把手
ES2831260T3 (es) Máquina de tratamiento de objetos, en particular para lavado, desinfección térmica y/o esterilización de objetos
KR200352042Y1 (ko) 고압 멸균기의 도어 록킹장치
ES2964111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estanca entre dos volúmenes cerrados con seguridad mejorada
JP2810406B2 (ja) 圧力容器の扉装置
JP2810407B2 (ja) 圧力容器の扉装置
CN110459339B (zh) 一种采用钴60伽马射线辐照的辐照设备
ES2612235T3 (es) Dispositivo de cierre para cerrar una puerta, en particular una puerta de aparato
JPH0135974Y2 (ko)
ES2398903T3 (es) Armario con estantería extraíble con brazo articulado y medios de guía
EP1669530B1 (en) Locking device for doors of industrial machines
KR20240001346A (ko) 가스멸균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