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44B1 - 고압증기 멸균기 - Google Patents

고압증기 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44B1
KR101632044B1 KR1020140064483A KR20140064483A KR101632044B1 KR 101632044 B1 KR101632044 B1 KR 101632044B1 KR 1020140064483 A KR1020140064483 A KR 1020140064483A KR 20140064483 A KR20140064483 A KR 20140064483A KR 101632044 B1 KR101632044 B1 KR 10163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locking
loc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862A (ko
Inventor
유동수
Original Assignee
한성의료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의료산업(주) filed Critical 한성의료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06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압력이 작용하는 멸균챔버를 가지는 멸균기 본체, 멸균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도어가 멸균챔버를 닫은 상태에서 수동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도어 및 멸균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잠금유닛, 제1잠금유닛의 잠금해제동작의 가능여부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도어에 설치되는 제2잠금유닛 및 멸균기 본체의 동작신호에 따라서 제2잠금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증기 멸균기가 게시된다.

Description

고압증기 멸균기{A high pressure steam sterilizer}
본 발명은 고압증기멸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도구를 고압의 챔버 내에서 고압증기로 멸균처리하기 위한 고압증기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의료용 기구는 멸균처리를 한 후 보관 사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약품을 사용하거나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멸균시키는 방법 등이 제시되어 있다. 인체에 직접 사용되지 않는 의료기구의 경우는 약품을 사용하여 멸균을 할 수 있지만, 인체에 직접 사용되는 의료기구의 경우는 대부분이 고온의 증기를 이용해서 멸균처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온 증기를 이용한 종래 의료용 증기멸균기는 내부에 멸균 대상물인 의료기구를 넣을 수 있도록 멸균실이 형성된 챔버와, 이 챔버 내측 저부에 배치되는 히터와, 각종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챔버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챔버의 멸균실에 상온의 물과 멸균 대상물을 직접 넣고 히터를 구동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면, 멸균 대상물은 고온 증기에 의해 멸균된다.
상기 챔버 내부는 고온 및 고압의 환경상태이므로, 도어가 고온 및 고압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압력에 견디면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어록이 설치되며, 도어록은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로킹 및 해제레버의 조작(90도 각도 회전시켜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동작)에 의해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로킹 및 해제레버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폐시키는 구성이므로, 고압증기멸균기의 멸균동작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레버를 수동으로 회전시켜서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멸균기 내부에서 도어에 대해 균일하게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도어에 편중된 압력부하가 발생되어 도어가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386호(의료용 증기멸균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3807호(의료용 소형 증기멸균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어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멸균기의 동작시에는 수동레버의 해제동작이 불가하도록 이중 락구조를 구성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압증기멸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압증기멸균기는, 압력이 작용하는 멸균챔버를 가지는 멸균기 본체; 상기 멸균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멸균챔버를 닫은 상태에서 수동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멸균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잠금유닛;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잠금해제동작의 가능여부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2잠금유닛; 및 상기 멸균기 본체의 동작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잠금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상기 멸균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멸균기 본체의 멸균챔버의 입구를 밀착하여 개폐하는 도어 몸체;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몸체의 외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잠금유닛은, 상기 도어에 인접하여 상기 멸균기 본체에 설치되며, 걸림홀을 가지는 걸림부재;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홀로 삽입되는 잠금위치 및 상기 걸림홀에서 빠져나오는 잠금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1잠금부재; 및 상기 제1잠금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잠금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잠금부재를 상기 잠금위치 및 잠금 해제위치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와, 상기 이동가이드부와 교차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잠금부재가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를 회동시 수용하여 상기 잠금 해제위치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레버 잠금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잠금유닛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 잠금부에 위치한 조작레버가 상기 레버 잠금부에서 벗어나서 상기 제1잠금부재를 상기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해제 가능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레버 차단위치와, 상기 레버 잠금부에서 벗어나서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해제 가능위치로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레버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잠금부재; 상기 제1잠금부재를 자동으로 상기 레버 차단위치와 상기 레버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구동하는 왕복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왕복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도어 몸체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틸팅축에 연결지지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해 틸팅 움직임 가능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고압증기멸균기에 따르면, 고압증기 멸균기의 도어를 제1잠금유닛으로 수동 자금하고, 제2잠금유닛으로 자동으로 잠금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멸균기를 동작하는 동안에는 제2잠금유닛의 해제동작이 제한되므로, 결국, 사용자가 부주의로 제1잠금유닛을 수동으로 해제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멸균기의 사용시 도어를 오픈하여 발생하는 일련의 안전사고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 몸체를 도어 프레임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동작시 도어에 작용하는 압력이 불균일하지 않고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도어를 닫을 상태에서 멸균챔버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증기 멸균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잠금해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제1잠금부재를 잠금위치로 이동시켜 잠금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잠금위치에 위치하고, 제2잠금부재를 레버 차단위치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상태에서의 도어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평면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증기 멸균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증기멸균기(100)는 멸균기 본체(10)와, 멸균기 본체(10)의 멸균챔버(1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0)와, 도어(20)를 멸균기 본체(10)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및 해제하기 위한 제1잠금유닛(40)과, 제1잠금유닛(40)의 잠금해제 동작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거나 허용하는 제2잠금유닛(50)을 구비한다.
상기 멸균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의료기구 등을 고온고압의 증기로 멸균하기 위한 멸균실 즉, 멸균챔버(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멸균챔버(11)는 도어(2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멸균기 본체(10)의 전방에 도어(20)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20)에 인접하여 조작패널부(13)가 설치된다. 조작패널부(13)에는 멸균기(10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과, LCD 패널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버튼을 통한 입력신호에 따라 멸균기(1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는 멸균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조작패널부(13)에 대응되는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도어(20)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에 결합되는 도어 몸체(23)와, 도어 프레임(21)이 내장되는 전면 패널(25)을 구비한다.
도어 프레임(2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멸균기 본체(10)의 전면에 일단부가 회동축(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도어 프레임(21)의 배면측에 도어 몸체(23)가 결합되고, 전면측에 전면패널(25)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도어 몸체(23)는 멸균챔버(11)의 입구를 밀폐되도록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멸균챔버(11)의 입구에 대응되는 원형구조를 가지며, 테두리에는 멸균챔버(11)의 입구 테두리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부재(23a)가 결합된다. 상기 도어 몸체(23)의 중심결합부(23b)는 도어 프레임(21)에 설치되는 틸팅축(30)에 연결되어 도어 프레임(21)에 대해 틸팅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즉, 도어 몸체(23)는 원형의 판 구조를 가지며, 그 중심이 상기 도어 프레임(21)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되어, 멸균챔버(11)의 입구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20)를 여닫을 때 멸균챔버(11)의 입구 테두리에 접촉 및 분리되는 동작에서 도어 몸체(23)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결합압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도어 몸체(23)에 변형이 가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몸체(23) 전체에 걸쳐서 압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여 도어 몸체(23)에 의한 밀폐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닫은 상태에서도, 멸균챔버(11)의 압력이 도어 몸체(23)의 특정부분으로 압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도어(20)에 편중되게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20)가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개폐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프레임(2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이 회동축(22)에 의해 멸균기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21)에 상기 제1 및 제2잠금유닛(40,50)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25)은 멸균기(100)의 전면 케이스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패널(25)에 의해 상기 도어 프레임(2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되며, 전면패널(25)의 전방으로는 후술할 조작레버(43)가 노출되다.
상기 제1잠금유닛(40)은 도어 프레임(2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잠금부재(41)와, 상기 제1잠금부재(41)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잠금부재(41)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43) 및 제1잠금부재(4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멸균기 본체(10)에 설치되는 걸림부재(45)를 구비한다.
상기 제1잠금부재(41)는 도어 프레임(21)의 타단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도어 프레임(21)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잠금부재(41)가 도 5와 같이 도어 프레임(21)의 타단으로 돌출되면 걸림부재(45)의 걸림홀(45a)에 끼워져 잠금상태가 되고, 도어 프레임(21)의 타단으로부터 도어 프레임(21) 내부로 진입되면 걸림부재(45)에서 벗어나서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즉, 제1잠금부재(41)는 도 4와 같은 잠금위치(A1)와, 도 3과 같은 잠금해제위치(A2)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며, 제1잠금부재(41)는 조작레버(43)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위치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프레임(21)에는 상기 조작레버(43)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동 가이드부(21a)와, 이동 가이드부(21a)와 교차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조작레버(43)에 의한 제1잠금부재(41)의 잠금해제동작을 차단하도록 하는 레버 잠금부(21b)가 형성된다. 이동 가이드부(21a)와 레버 잠금부(21b)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며, 도어 프레임(21)에 슬릿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제1잠금부재(41)에 연결된 조작레버(43)는 90도 각도 회동 가능하며, 회동위치에 따라서 제1잠금부재(41)의 조작이 가능한 해제 가능위치(B1; 도 4 참조)와, 제1잠금부재(41)의 해제동작이 불가능한 잠금위치(B2; 도 5 참조)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레버(43)를 잡고 제1잠금부재(41)를 자금위치(A1)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해제 가능위치(B1)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90도 각도 회동시키면 레버 잠금부(21b)로 진입되어 제1잠금부재(41)를 해제위치(A2)로 이동시킬 수 없는 잠금위치(B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잠금부재(41)를 이용한 도어(20)의 잠금 및 해제동작은 조작레버(43)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조작레버(43)를 레버 잠금부(21b)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잠금부재(41)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유닛(50)은 상기 조작레버(43)가 잠금위치(B2)에서 해제 가능위치(B1)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잠금유닛(50)은 제2잠금부재(51)와, 제2잠금부재(51)를 자동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53)를 구비한다. 제2잠금부재(51)는 도어 프레임(21)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제2잠금부재(51)는 레버 잠금부(21b)로 돌출되어 조작레버(43)가 해제 가능위치(B1)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레버 차단위치(C1; 도 5 참조)와, 레버 잠금부(21b)에서 벗어나서 조작레버(43)의 해제 가능위치(B1)로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레버 해제위치(C2; 도 4 참조)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제2잠금부재(51)는 왕복구동부(53)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며, 상기 왕복 구동부(53)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솔레노이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레노이드부 즉 왕복구동부(53)는 제어부(60)에 의해 그 구동동작이 제어되며, 제어부(60)는 상기 조작패널부(13)의 버튼을 통한 조작신호를 근거로 하여 멸균챔버(11) 내부를 고온 및 고압상태로 유지하여 멸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멸균기의 동작이 종료되기 전에는 상기 왕복구동부(53)의 동작을 제한하여 제2잠금부재(51)가 레버 차단위치(C1)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잠금유닛(40)을 이용하여 도어(20)를 1차적으로 수동잠금상태로 전환하고, 다음으로 조작레버(43)를 레버 잠금부(21b)에 위치하도록 레버 차단위치(C1)로 수동 조작하여 제1잠금부재(41)가 자금해제위치(A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멸균기(100)의 멸균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60)는 왕복구동부(53)를 구동시켜서 제2잠금부재(51)를 레버 차단위치(C1)로 이동시켜서 조작레버(43)의 수동조작이 불가하도록 원천 차단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멸균동작이 완료되고 도어(20)를 오픈해도 안전한 상태가 되기 전까지는 제2잠금부재(51)를 레버 차단위치(C1)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함으로써, 멸균동작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멸균기 본체 20..도어
21..도어 프레임 23..도어 몸체
25..전면 패널 30..틸팅축
40..제1잠금유닛 50..제2잠금유닛
60..제어부

Claims (6)

  1. 압력이 작용하는 멸균챔버를 가지며, 조작패널부가 설치되는 멸균기 본체;
    상기 멸균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멸균챔버를 닫은 상태에서 수동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멸균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잠금유닛;
    상기 제1잠금유닛의 잠금해제동작의 가능여부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2잠금유닛; 및
    상기 멸균기 본체의 동작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잠금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도어는,
    상기 멸균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멸균기 본체의 멸균챔버의 입구를 밀착하여 개폐하는 도어 몸체;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몸체의 외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유닛은,
    상기 도어에 인접하여 상기 멸균기 본체에 설치되며, 걸림홀을 가지는 걸림부재;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홀로 삽입되는 잠금위치 및 상기 걸림홀에서 빠져나오는 잠금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1잠금부재; 및 상기 제1잠금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잠금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잠금부재를 상기 잠금위치 및 잠금 해제위치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와, 상기 이동가이드부와 교차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잠금부재가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를 회동시 수용하여 상기 잠금 해제위치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레버 잠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유닛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 잠금부에 위치한 조작레버가 상기 레버 잠금부에서 벗어나서 상기 제1잠금부재를 상기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해제 가능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레버 차단위치와, 상기 레버 잠금부에서 벗어나서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해제 가능위치로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레버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잠금부재;
    상기 제1잠금부재를 자동으로 상기 레버 차단위치와 상기 레버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구동하는 왕복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왕복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패널부의 버튼을 통한 조작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멸균챔버 내부를 고온 및고압상태로 유지하여 멸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멸균동작이 종료되기 전에는 상기 왕복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레버 차단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왕복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증기 멸균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몸체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틸팅축에 연결지지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해 틸팅 움직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증기 멸균기.
KR1020140064483A 2014-05-28 2014-05-28 고압증기 멸균기 KR10163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483A KR101632044B1 (ko) 2014-05-28 2014-05-28 고압증기 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483A KR101632044B1 (ko) 2014-05-28 2014-05-28 고압증기 멸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862A KR20150136862A (ko) 2015-12-08
KR101632044B1 true KR101632044B1 (ko) 2016-06-20

Family

ID=5487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483A KR101632044B1 (ko) 2014-05-28 2014-05-28 고압증기 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60A (ko) 2019-12-26 2021-07-06 배준형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효율 플라즈마 멸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6819A (ja) * 2019-03-27 2020-10-01 サクラ精機株式会社 滅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42Y1 (ko) 2004-03-11 2004-06-04 최영락 고압 멸균기의 도어 록킹장치
KR100928030B1 (ko) * 2009-05-13 2009-11-24 주식회사트리넥스메디텍 도어 록킹장치
JP2011156224A (ja) * 2010-02-02 2011-08-18 Hiruson Dekku Kk 高圧蒸気滅菌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281A (ko) * 2003-10-18 2005-04-21 안석순 의료용 멸균기의 잠금장치
KR101033807B1 (ko) 2009-06-16 2011-05-13 주식회사 엠케이티 의료용 소형 증기멸균기
KR101317386B1 (ko) 2012-04-02 2013-10-11 주식회사 엠케이티 의료용 증기멸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42Y1 (ko) 2004-03-11 2004-06-04 최영락 고압 멸균기의 도어 록킹장치
KR100928030B1 (ko) * 2009-05-13 2009-11-24 주식회사트리넥스메디텍 도어 록킹장치
JP2011156224A (ja) * 2010-02-02 2011-08-18 Hiruson Dekku Kk 高圧蒸気滅菌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60A (ko) 2019-12-26 2021-07-06 배준형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효율 플라즈마 멸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862A (ko)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888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1632044B1 (ko) 고압증기 멸균기
EP311993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03172B1 (ko) 밸브
CN103228856B (zh) 用于开门的系统,特别是用于家用器具门的系统
JP2007146645A (ja) 錠止可能な回転式操作ハンドル
KR20100038042A (ko) 전기 밥솥
KR20120028101A (ko) 전기 밥솥
KR101596587B1 (ko)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
KR101713965B1 (ko) 뚜껑 개폐 상태에 기초하여 압력 잠금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밥솥 및 전기밥솥의 뚜껑 개폐 상태에 기초한 압력 잠금 동작 제어 방법
KR20140075371A (ko)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EP2840208A1 (en) A locking device and a domestic appliance
US20220250050A1 (en) Apparatus for sterile transfer of material between a container and an isolator
JP6772596B2 (ja) アイソレータ
EP3538729B1 (en) Closing group for a machine for treating objects, food or suchlike, and machine for treating objects, food or suchlike comprising said closing group
US7176416B2 (en)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an industrial cooking apparatus
JP4854763B2 (ja) 高圧蒸気滅菌器
ES2781298T3 (es) Aparato de cocción con cerradura de puerta
KR101690980B1 (ko) 도어 개폐가 용이한 멸균기
CN108756512A (zh) 插锁用插销
CN110189935A (zh) 锁定机构及食物料理机
KR101372590B1 (ko)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US9637958B2 (en) Device for unlocking a door
JP2012085777A (ja) 洗濯機
JP2018145635A (ja) 車両バックド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