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030B1 -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8030B1 KR100928030B1 KR1020090041727A KR20090041727A KR100928030B1 KR 100928030 B1 KR100928030 B1 KR 100928030B1 KR 1020090041727 A KR1020090041727 A KR 1020090041727A KR 20090041727 A KR20090041727 A KR 20090041727A KR 100928030 B1 KR100928030 B1 KR 1009280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door
- cam
- bracket
- lock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되는 걸림홈과,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상기 잠금쇠의 하방에 위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캠; 및 상기 캠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는 잠금바를 포함하고, 상기 캠의 연동 작동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바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상기 잠금쇠에 형성되는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는 캠의 연동작용에 의하여 잠금바를 잠금쇠의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잠금쇠가 걸림홈에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록킹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이 유지되고 있는 밀폐장치의 도어를 인위적 또는 외력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록킹하는 안전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고압 및/또는 고온을 요하는 밀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병원 및 의원 등에서 행해지는 수술이나 환자의 치료를 위한 도구, 즉 가위나 메스 등의 수술도구나 치료도구 등의 의료용 기기, 수술복이나 환자복과 같은 의류제품 등은 일반 알콜로는 완전한 소독 및 멸균을 기대할 수 없게 되어, 멸균기를 사용하여 고온, 고압으로 완전히 멸균시킨다.
이처럼 멸균기는 병원 등이나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기기, 실험 도구 등을 고온, 고압의 증기를 사용하여 멸균 소독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멸균기는 고압 증기실에 고압의 증기가 공급되는바, 밀봉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어야 하고 견고한 잠금상태가 유지되어야만 확실한 멸균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멸균기의 일측에는 도어가 힌지 등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멸균기의 타측에는 도어의 밀폐력을 높혀 멸균시 내부를 완전히 진공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잠금장치는 견고하지 못하여, 고압이 유지되고 있는 멸균기간에 인위적 또는, 외압에 의하여 도어가 열릴 수 있어, 심각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을 고안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멸균진행 준 고압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의 도어가 인력이나 외력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되는 걸림홈과,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상기 잠금쇠의 하방에 위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캠; 및 상기 캠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는 잠금바를 포함하고, 상기 캠의 연동 작동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바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상기 잠금쇠에 형성되는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잠금쇠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가이딩 하도록 상기 도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 및 상기 잠금바가 삽입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잠금바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에 걸림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 드부의 하면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잠금바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내주연은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의 내주연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은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에서 회전될 때, 상기 걸림부의 위치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에는 상기 캠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캠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제 1, 2 버튼부를 구비하는 제 1, 2 센서부; 및 상기 캠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버튼부 또는 상기 제 2 버튼부를 가압하는 공전궤도를 갖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상기 잠금쇠의 하방에 고정되되, 중앙에 상기 구동모터가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하 슬라이딩 되도록 모터 가이딩홀이 구비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브라켓과 상기 캠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제 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모터 가이딩홀을 통하여 상기 제 2 브라켓에 고정 위치되며, 상기 제 2 브라켓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바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 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는 도어의 하측에서 외부로 이격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브라켓에 대응 위치되는 핸들과, 상기 제 1 브라켓에서 상기 모터 가이딩홀의 일측에 천공되는 제 1 걸림홀과, 상기 제 2 브라켓에서 상기 제 1 걸림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되는 제 2 걸림홀에 일체로 삽입되도록 상기 핸들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걸림홀과 상기 제 2 걸림홀에 일체로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핸들이 삽입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 1 브라켓의 하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브라켓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브라켓이 상방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제 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는 캠의 연동작용에 의하여 잠금바를 잠금쇠의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잠금쇠가 걸림홈에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는 캠의 상부와 하부에 제 1, 2 센서부를 구비하고, 캠의 위치를 제 1 센서부와 제 2 센서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잠금부가 록킹홈에 삽입된 상태인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지 알 수 있게 되 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에 의하여 도어가 하우징에 긴밀하게 밀착 위치되므로, 사용중 고압에 의하여 도어와 하우징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는 핸들의 위치에 따라 제 2 브라켓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모터가 작동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수동으로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가 설치된 멸균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멸균기(2)는 내부가 빈 하우징(4)과, 하우징(4)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하우징(4)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8: 도 2 도시)를 포함하며, 하우징(4) 전면에는 가열온도, 구동모터(40: 도 2 도시)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5)와, 하우징(4)의 내부 온도, 압력, 록킹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어(8)의 외면에는 도어 록킹장치(10: 도 2 도시)가 설치되며, 커버 부(9)가 도어(8)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하기 도면에서부터는 도어 록킹장치(10)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커버부(9)가 제거 또는 무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가 설치된 멸균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10)는 도어(8) 외면 중앙에 슬라이딩 가이드부(12)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2)는 후술하는 잠금쇠(15)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딩 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잠금쇠(15)가 이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간이 형성된다.
잠금쇠(15)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2)에 가이딩되면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잠금쇠(15)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잠금쇠(15)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부(16)가 슬라이딩 가이드부(12)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4)의 타측에서 상기 걸림부(16)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홈(19)이 형성되고, 잠금쇠(15)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잠금쇠(15)의 걸림부(16)가 걸림홈(19)에 삽입되어, 도어(8)가 하우징(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잠금쇠(15)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잠금쇠(15)에는 외측방향으로 레버부(18)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18)가 슬라이딩 가이드부(12)를 관통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외경에는 레버 안내부(14)가 천공된다. 레버 안내부(14)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천공되는 수직안내부(14a)와, 상기 수직안내부(14a)의 하단에서 상기 하우징(4) 일측 방향, 상세하게 는 상기 잠금쇠(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천공되는 수평안내부(1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레버부(18)를 잡고 잠금쇠(15)를 이동시킬 때, 레버부(18)는 수평안내부(14b)에 가이딩되면서 잠금쇠(15)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수직안내부(14a)에 가이딩되면서 잠금쇠(15)를 90°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잠금쇠가 걸림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잠금쇠(15)의 걸림부(16)는 수직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홈(19)은 상기 걸림부(16)에 대응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8)를 록킹시키기 위하여 잠금쇠(15)를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잠금쇠(15)의 걸림부(16)가 걸림홈(19)에 삽입된다. 이때, 걸림홈(19)의 수직 길이(d2)는 걸림부(16)의 수직길이(d1)에 대응되므로, 걸림부(16)가 걸림홈(19)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어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도어(8)의 내면을 하우징(4)에 긴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걸림홈(19)에 걸림부(16)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안내부(14a)를 따라 레버부(18)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잠금쇠(15)는 그 길이방향을 축으로 90°회전된다. 이때, 걸림부(16) 또한, 회전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위치된다.
그런데 걸림홈(19)은 여전히 수직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걸림홈(19)의 수평길이(d3)가 걸림부(16)의 수평길이(d1')에 대응되도록 늘어나야 한다. 이를 위하여 걸림홈(19)의 내주연에서 하우징(4) 내측방향은 압력에 의하여 압축이 가능한 탄성재질의 탄성부(19a)가 구비된다. 그리고 걸림부(16)가 회전되면서 걸림홈(19)의 탄성부(19a)를 가압시키면, 걸림홈(19)은 탄성부(19a)의 압축에 따라, 걸림홈(19) 내주연의 수평길이(d3)가 길어지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19a)는 걸림홈(19)의 내주연에서 하우징(4)의 내측 방향에 구비되는바, 길어진 걸림홈(19)의 수평길이(d3) 또한, 하우징(4) 내측방향으로만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걸림홈(19)의 수평길이(d3)가 하우징(4) 내측방향으로 길어지게 되면, 걸림부(16)와 일체로 구성되는 잠금쇠(15)가 하우징(4)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힌지 결합된 도어(8) 또한, 하우징(4)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8)의 내면이 하우징(4)에 긴밀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6)에 의하여 도어(8)가 하우징(4)에 긴밀하게 밀착 위치되므로, 사용중 고압에 의하여 도어(8)와 하우징(4)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록킹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록킹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록킹수단(20)은 제 1 브라켓(22), 제 2 브라켓(30), 구동모터(40), 캠(42), 잠금바(46), 제 1 탄성부재(48), 제 1, 2 센서부(50, 52), 핸 들(55) 및 제 2 탄성부재(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브라켓(22)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제 1 고정부(23)가 일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형성된다. 제 1 고정부(23)는 제 1 브라켓(22)이 도어(8)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하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1 브라켓(22)의 타측에는 제 2 고정부(29)가 타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형성되며, 제 2 고정부(29)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핸들(55)이 삽입되도록 삽입공(29a)이 천공된다.
그리고 제 1 브라켓(22)의 일면에는 모터 가이딩홀(24), 레일홀(26) 및 제 1 걸림홀(28)이 천공된다. 모터 가이딩홀(24)은 제 1 브라켓(22)의 일면 중앙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구동모터(40)가 삽입 및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레일홀(26)은 후술하는 제 2 브라켓(30)이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브라켓(22)의 일면 양측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천공된다. 제 1 걸림홀(28)은 후술하는 스토퍼(56)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 1 브라켓(22)의 일면에서 모터 가이딩홀(24)의 하측에 천공된다.
제 2 브라켓(30)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에서 양 단부에는 상부 절곡부(31)와 하부 절곡부(32)가 일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된다. 그리고 상부 절곡부(31)와 하부 절곡부(32)의 단부에는 각각 그 일면이 제 2 브라켓(30)의 일면과 마주보는 센서안내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안내부(34)의 외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 1, 2 센서부(50, 52)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 2 브라켓(30)의 일면에는 삽입홀(35), 고정홀(33), 통공(37) 및 제 2 걸림홀(38)이 천공된다. 삽입홀(35)은 구동모터(40)의 모터회전축(40a)이 삽입되도록 제 2 브라켓(30)의 일면 중앙에 천공된다. 고정홀(33)은 구동모터(40)가 제 2 브라켓(30)의 타면에 고정될 때, 볼트 등이 삽입되도록 삽입홀(35)의 주변에 다수 개 천공된다. 통공(37)은 제 2 브라켓(30)이 제 1 브라켓(22) 일면에 위치될 때, 제 1 브라켓(22)의 레일홀(26)에 관통된 안내돌기(36)의 선단부가 관통되도록 천공되는 것으로서, 제 2 브라켓(30)에서 상기 안내돌기(36)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다. 제 2 걸림홀(38)은 후술하는 스토퍼(56)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 2 브라켓(30)에서 상기 제 1 걸림홀(28)과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제 2 브라켓(30)은 제 1 브라켓(22)의 일면에 위치되되, 하부 절곡부(32)가 제 1 브라켓(22)의 제 2 고정부(29)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안내돌기(36)가 레일홀(26) 및 통공(37)에 삽입되어, 제 2 브라켓(30)은 레일홀(26)에 가이딩 되면서 상하 이동된다.
그리고 구동모터(40)의 모터회전축(40a)이 모터 가이딩홀(24)과 삽입홀(35)에 차례로 삽입되며, 이때, 볼트가 고정홀(33)을 통하여 구동모터(4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40)가 제 2 브라켓(30)에 고정된다.
캠(42)은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바꿔주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구동모터(40)의 모터회전축(40a)이 삽입되는 통공(37)과,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돌출부(43: 도 6 도시)를 포함한다. 가압돌기(44)는 상기 돌출부(43)의 외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캠(42)의 회전에 따라 후술하는 제 1 센서부(50)의 제 1 버튼부(51) 또는 제 2 센서부(52)의 제 2 버튼부(53)를 가압한다.
잠금바(46)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잠금쇠(15)의 하부에 위치되고, 하단부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2)와 상부 절곡부(31)를 관통하여 캠(42)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회전되는 캠(42)의 돌출부(43)가 잠금바(46)를 상하 이동시켜서 잠금바(46)의 상단부가 상기 잠금쇠(15)에 형성되는 록킹홈(17)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하기 도 6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잠금바(46)의 하단부에는 제 1 탄성부재(48)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편(47)이 돌출 형성된다.
제 1 탄성부재(48)는 잠금바(46)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며, 그 일측은 잠금바(46)의 걸림편(47)에 걸림 위치되고, 그 타측은 슬라이딩 가이드부(12)의 하면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잠금바(46)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는, 캠(42)을 회전시켜서 상방으로 이동된 잠금바(46)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 잠금바(46)가 제 1 탄성부재(48)의 탄성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센서부(50)와 제 2 센서부(52)는 캠(42)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수단의 일종으로써, 캠(42)의 위치를 파악하여, 잠금바(46)가 록킹홈(17)에 삽입된 상태인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지 감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 1 센서부(50)는 상부 절곡부(31)에 장착되고, 제 2 센서부(52)는 하부 절곡부(32)에 장착되어, 제 1 센서부(50)와 제 2 센서부(52)는 캠(4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센서부(50)와 제 2 센서부(52)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2 버튼부(51, 53)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2 버튼부(51, 53)는 가압돌기(44)의 공 전궤도 내에 위치되어, 캠(42)이 회전될 때, 가압돌기(44)가 제 1 버튼부(51) 또는 제 2 버튼부(53)를 누르게 된다. 이처럼 가압돌기(44)가 캠(42)의 상부에 위치된 제 1 버튼부(51) 또는 캠(42)의 하부에 위치된 제 2 버튼부(53)를 누르게 되면, 현재 캠(42)의 돌출부(43)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잠금바(46)가 록킹홈(17)에 삽입된 상태인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지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수단을 제 1 센서부(50)와 제 2 센서부(52)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이 외에도, 일반적으로 위치 변경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포토커플러 등을 사용하여, 캠(42)의 위치 또는, 잠금바(46)의 위치를 파악하여, 잠금바(46)가 록킹홈(17)에 삽입된 상태인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지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핸들(55)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하단부는 도어(8)의 하측에서 외부로 이격 위치되고, 그 상단부는 제 2 고정부(29)의 삽입공(29a)과 하부 절곡부(32)의 삽입공(32a)에 일체로 삽입되어 제 2 브라켓(30)의 제 2 걸림홀(38)에 대응 위치된다. 그리고 핸들(55)의 상단부에는 제 2 걸림홀(38)과 제 1 걸림홀(28)에 삽입되는 스토퍼(56)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6)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 2 브라켓(30)이 제 1 브라켓(2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55)의 회전에 따라 제 1 걸림홀(28) 및 제 2 걸림홀(38)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 2 탄성부재(58)는 핸들(55)에 삽입되되, 제 1 브라켓(22)의 제 2 고정부(29)와 제 2 브라켓(30)의 하부 절곡부(3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브라 켓(30)이 상방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핸들(55)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탄성부재(58)의 상단부는 핸들(55)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제 2 탄성부재(58)의 하단부는 제 2 고정부(29)에 고정된다.
이처럼 핸들(55)은 상기 제 2 탄성부재(58)에 의하여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간혹, 핸들(55)이 회전되어 스토퍼(56)가 제 1, 2 걸림홀(28, 38)에서 빠진다 하더라도, 제 2 브라켓(30)은 제 2 탄성부재(58)의 탄성에 의하여 제 1 브라켓(22)에서 그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잠금바(46)가 록킹홈(17)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캠이 잠금바를 왕복운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도 6의 (a)는 캠(42)이 회전되면서 캠(42)의 돌출부(43)가 잠금바(46)의 하단부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돌출부(43)는 잠금바(46)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잠금바(46)의 상단부가 잠금쇠(15)의 록킹홈(17)에 삽입 위치시킨다.
이어서 도 6의 (b)는 캠(42)이 회전되면서 캠(42)의 돌출부(43)가 잠금바(46)의 하단부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그러면 돌출부(43)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되었던 잠금바(46)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잠금바(46)의 상단부가 잠금쇠(15)의 록킹홈(17)에서 빠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록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레버부(18)를 잡은 후, 수평안내부(14b)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잠금쇠(15)의 걸림부(16)가 걸림홈(19)에 삽입되도록 위치시킨다. 이어서 수직안내부(14a)를 따라 레버부(18)를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도어(8)가 하우징(4)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그 후, 조작부(5)를 통하여 구동모터(40)의 모터회전축(40a)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모터회전축(40a)에 삽입된 캠(42)이 회전되면서 캠(42)의 돌출부(43)가 잠금바(46)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잠금바(46)의 상단부가 잠금쇠(15)의 록킹홈(17)에 삽입되어, 잠금쇠(15)가 상하 좌우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록킹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록킹 해제된 일반적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의 상태에서 조작부(5)를 통하여 구동모터(40)의 모터회전축(40a)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모터회전축(40a)에 삽입된 캠(42)이 회전되면서 캠(42)의 돌출부(43)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잠금바(46)가 캠(42)의 돌출부(43)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잠금바(46)의 상단부가 잠금쇠(15)의 록킹홈(17)에서 빠지게 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그 후, 사용자는 수직안내부(14a)를 따라 레버부(18)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수평안내부(14b)를 따라 레버부(18)를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잠금쇠(15)가 걸림홈(19)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록킹 해제된 특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 9는 정전이나 회로이상 등에 의하여 구동모터(40)가 작동되지 않는 특수한 상황에서 도어(8)를 오픈시키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어(8)가 록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8) 하측에 위치된 핸들(55)을 잡은 후, 90°회전시킨다. 그러면, 핸들(55)에 위치된 스토퍼(56)가 회전되면서 제 1 브라켓(22)의 제 1 걸림홀(28) 및 제 2 브라켓(30)의 제 2 걸림홀(38)에서 빠지게 된다. 그 후, 핸들(55)을 하방으로 하강시키면 제 2 브라켓(30)이 하방으로 이동되며, 이때, 제 2 브라켓(30)에 고정된 구동모터(40)가 제 2 브라켓(3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구동모터(40)의 모터회전축(40a)에 삽입된 캠(42)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캠(42)의 위치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잠금바(46)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잠금바(46)의 상단부가 잠금쇠(15)의 록킹홈(17)에서 빠지게 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핸들(55)의 위치에 따라 제 2 브라켓(3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모터(40)가 작동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수동으로 록킹을 해 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어록킹장치가 멸균기에 설치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록킹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장치에 용이하게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가 설치된 멸균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가 설치된 멸균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잠금쇠가 걸림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록킹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록킹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의 캠이 잠금바를 왕복운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록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록킹 해제된 일반적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록킹 해제된 특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멸균기 4: 하우징
5: 조작부 6: 표시부
8: 도어 9: 커버부
10: 도어 록킹장치 12: 슬라이딩 가이드부
14: 레버 안내부 14a: 수직안내부
14b: 수평안내부 15: 잠금쇠
16: 걸림부 17: 록킹홈
18: 레버부 19: 걸림홈
19a: 탄성부 20: 록킹수단
22: 제 1 브라켓 23: 제 1 고정부
24: 모터 가이딩홀 26: 레일홀
28: 제 1 걸림홀 29: 제 2 고정부
29a: 삽입공 30: 제 2 브라켓
31: 상부 절곡부 32: 하부 절곡부
32a: 삽입공 33: 고정홀
34: 센서안내부 35: 삽입홀
36: 안내돌기 37: 통공
38: 제 2 걸림홀 40: 구동모터
40a: 모터회전축 42: 캠
43: 돌출부 44: 가압돌기
46: 잠금바 47: 걸림편
48: 제 1 탄성부재 50, 52: 제 1, 2 센서부
51, 53: 제 1, 2 버튼부 55: 핸들
56: 스토퍼 58: 제 2 탄성부재
Claims (8)
- 삭제
-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되는 걸림홈과,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며,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상기 잠금쇠의 하방에 위치되는 구동모터;상기 구동모터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캠; 및상기 캠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는 잠금바를 포함하고,상기 캠의 연동 작동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바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상기 잠금쇠에 형성되는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고,상기 잠금쇠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가이딩 하도록 상기 도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 및상기 잠금바가 삽입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잠금바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에 걸림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하면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잠금바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
-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되는 걸림홈과,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며,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상기 잠금쇠의 하방에 위치되는 구동모터;상기 구동모터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캠; 및상기 캠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는 잠금바를 포함하고,상기 캠의 연동 작동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바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상기 잠금쇠에 형성되는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고,상기 걸림부는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내주연은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되,상기 걸림홈의 내주연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은 탄성재질로 구성되어,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에서 회전될 때, 상기 걸림부의 위치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캠에는 상기 캠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캠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제 1, 2 버튼부를 구비하는 제 1, 2 센서부; 및상기 캠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버튼부 또는 상기 제 2 버튼부를 가압하는 공전궤도를 갖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
-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위치되는 걸림홈과,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며,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상기 잠금쇠의 하방에 위치되는 구동모터;상기 구동모터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캠; 및상기 캠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잠금쇠의 하부에 위치되는 잠금바를 포함하고,상기 캠의 연동 작동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잠금바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상기 잠금쇠에 형성되는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고,상기 도어의 외면에서 상기 잠금쇠의 하방에 고정되되, 중앙에 상기 구동모터가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하 슬라이딩 되도록 모터 가이딩홀이 구비되는 제 1 브라켓; 및상기 제 1 브라켓과 상기 캠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제 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모터 가이딩홀을 통하여 상기 제 2 브라켓에 고정 위치되며,상기 제 2 브라켓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바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는 도어의 하측에서 외부로 이격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브라켓에 대응 위치되는 핸들과,상기 제 1 브라켓에서 상기 모터 가이딩홀의 일측에 천공되는 제 1 걸림홀과, 상기 제 2 브라켓에서 상기 제 1 걸림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되는 제 2 걸림홀에 일체로 삽입되도록 상기 핸들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걸림홀과 상기 제 2 걸림홀에 일체로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핸들이 삽입 위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 1 브라켓의 하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브라켓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브라켓이 상방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제 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727A KR100928030B1 (ko) | 2009-05-13 | 2009-05-13 | 도어 록킹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1727A KR100928030B1 (ko) | 2009-05-13 | 2009-05-13 | 도어 록킹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28030B1 true KR100928030B1 (ko) | 2009-11-24 |
Family
ID=4160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1727A KR100928030B1 (ko) | 2009-05-13 | 2009-05-13 | 도어 록킹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803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27225A2 (en) * | 2010-08-27 | 2012-03-01 |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 Fiber optic enclosure having tamper-resistant lock |
KR20150136862A (ko) * | 2014-05-28 | 2015-12-08 | 한성의료산업(주) | 고압증기 멸균기 |
CN107684632A (zh) * | 2016-08-04 | 2018-02-13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消毒柜 |
KR20180065500A (ko) * | 2016-12-08 | 2018-06-18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침수시 자동 가스주입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2836Y1 (ko) * | 1995-06-29 | 1998-04-18 | 배순훈 | 캔자판기의 도어 록킹 장치 |
KR0174650B1 (ko) * | 1996-03-30 | 1999-04-01 | 김정열 | 도어의 잠금 및 개폐장치 |
KR200352042Y1 (ko) * | 2004-03-11 | 2004-06-04 | 최영락 | 고압 멸균기의 도어 록킹장치 |
-
2009
- 2009-05-13 KR KR1020090041727A patent/KR1009280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2836Y1 (ko) * | 1995-06-29 | 1998-04-18 | 배순훈 | 캔자판기의 도어 록킹 장치 |
KR0174650B1 (ko) * | 1996-03-30 | 1999-04-01 | 김정열 | 도어의 잠금 및 개폐장치 |
KR200352042Y1 (ko) * | 2004-03-11 | 2004-06-04 | 최영락 | 고압 멸균기의 도어 록킹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27225A2 (en) * | 2010-08-27 | 2012-03-01 |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 Fiber optic enclosure having tamper-resistant lock |
WO2012027225A3 (en) * | 2010-08-27 | 2012-04-19 |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 Fiber optic enclosure having tamper-resistant lock |
US8820860B2 (en) | 2010-08-27 | 2014-09-02 |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 Fiber optic enclosure having tamper resistant lock |
KR20150136862A (ko) * | 2014-05-28 | 2015-12-08 | 한성의료산업(주) | 고압증기 멸균기 |
KR101632044B1 (ko) * | 2014-05-28 | 2016-06-20 | 한성의료산업(주) | 고압증기 멸균기 |
CN107684632A (zh) * | 2016-08-04 | 2018-02-13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消毒柜 |
KR20180065500A (ko) * | 2016-12-08 | 2018-06-18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침수시 자동 가스주입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8030B1 (ko) | 도어 록킹장치 | |
JP2007185504A (ja) | 再利用防止機能付き穿刺器具 | |
JP5952411B2 (ja) | センサ挿入装置 | |
JP2007185504A5 (ko) | ||
CN101518460A (zh) | 用于外科设备的反馈和闭锁机构 | |
JP2000237308A (ja) | 輸液ポンプ | |
KR101634331B1 (ko) | 의료용 흡인기 | |
KR101223379B1 (ko) | 챔버의 도어 밀폐구조 | |
CN109330706B (zh) | 便携式糖尿病护理用护理装置 | |
CN210932921U (zh) | 一种推杆机构及家用电器 | |
JP7005307B2 (ja) | 滅菌システムの取り外し可能な構成要素の不適切な位置付け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KR101019964B1 (ko) |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 |
US11617629B2 (en) | Apparatus for putting a glove on a palm hand | |
CN102551738A (zh) | 具有可选择地重复使用的被存储的刺血针的刺血针装置 | |
KR20160127483A (ko) | 2중 잠금 장치를 가지는 고압 멸균기 | |
JP2012130567A (ja) | 生体センサ埋め込み装置 | |
KR200352042Y1 (ko) | 고압 멸균기의 도어 록킹장치 | |
CN118340489B (zh) | 一种吸引阀、内窥镜手柄和内窥镜 | |
CN105769113B (zh) | 器械锁定开关及穿刺器 | |
JP6774741B2 (ja) | 高圧蒸気滅菌器 | |
CN109223141A (zh) | 一种骨髓输液枪 | |
CN211214566U (zh) | 一种设有纳米银除菌消毒剂的消毒柜 | |
CN215308722U (zh) | 一种双向锁扣口腔器械灭菌盒 | |
CN108938020A (zh) | 组合式腔镜戳孔缝合用引线装置 | |
KR101800194B1 (ko) | 트로카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