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964B1 -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 Google Patents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964B1
KR101019964B1 KR1020080039478A KR20080039478A KR101019964B1 KR 101019964 B1 KR101019964 B1 KR 101019964B1 KR 1020080039478 A KR1020080039478 A KR 1020080039478A KR 20080039478 A KR20080039478 A KR 20080039478A KR 101019964 B1 KR101019964 B1 KR 10101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ushing
penetration control
outer circumferentia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648A (ko
Inventor
김재일
박효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Priority to KR102008003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96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19Sealing means between cannula an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with means acting on inner surface of valve or seal for expanding or protecting, e.g. inner pivoting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는, 하부에는 가이드브라켓(110)이 연장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110)과 연통되는 가스유출입통공(120)이 가스유출입밸브(130)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개구(201, 20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판스프링(210)이 설치되는 투침삽입관(200);과,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상단 개구(201)에 설치되며, 중앙에 밀착공(310)이 형성된 실링판(300);과,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외주면에 제1힌지(10)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하단 개구(202)를 개폐하는 개폐막(400);과, 일측은 상기 판스프링(2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막(400)의 하면에 연결되는 와이어(W); 및 상기 상단 개구(201)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의 하측의 외부까지 연장형성되는 투침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투침부(600)는, 투관(610);과, 상기 투관(610)의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투관(610)과 연통되는 손잡이(620);와, 상기 투관(6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왕복동되며, 상단 외주면과 하단 외주면에 각각 걸림돌기(631, 63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투침(640)이 결합되는 작동봉(630);과, 내측에 상기 투침(640)이 위치되도록 상기 투관(610)의 하측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투침가이드부(650);와, 상기 작동봉(630)의 외주면에 끼워지되,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631, 632) 사이에 끼워지는 제1스프링부재(66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620)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투관(610)과 연통되는 제1투침제어브라켓(621);과,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의 일측에 형성된 제2투침제어브라켓(622);과,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에 제2힌지(20)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봉(630)의 상하방향으로 왕복동 됨에 따라 회전되는 결속구(623);와, 상기 제2힌지(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2코일스프링(629);과,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의 상측에 끼워진 채로 상기 결속구(623)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가이드홈(624)이 형성되되, 상기 결속구(623)의 일측이 직사각형의 괘적으로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돌기(625)가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2투침제어브라켓(622) 방향으로 탄발돌기(626)가 돌출형성되고, 정면은 상기 손잡이(620)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작동스위치(627);와, 상기 탄발돌기(626)와 제2투침제어브라켓(62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부재(6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에 의하면, 수술시에 환자의 복부로부터 가스 등의 역류를 방지되도록 투침삽입관의 하단 개구에 설치되는 개폐막이 스프링부재에 의해 1차 단속되고, 판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하여 2차 단속되므로, 개폐막으로 투침삽입관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개복수술, 내시경 수술, 수술의

Description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Troca}
본 발명은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술시에 환자의 복부로부터 가스 등의 역류를 방지되도록 투침삽입관의 하단 개구에 설치되는 개폐막이 스프링부재에 의해 1차 단속되고, 판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하여 2차 단속되므로, 개폐막으로 투침삽입관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효율이 우수한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수술(복강경 수술)은 복부를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낸 뒤, 특수 카메라가 부착된 내시경을 환자의 복부로 집어넣어 레이저나 특수외과 전기술 등 특수기구를 이용해 하는 수술을 말한다. 칼로 복부 부위를 절개하던 기존의 개복수술이 절개 부위가 크고, 흉터와 출혈이 많으며, 회복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보완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내시경수술은 절개 부위가 작고, 흉터와 출혈이 적으며, 회복 시간도 개복수술보다 훨씬 짧을 뿐 아니라, 수술 후 통증도 훨씬 덜한 것이 복강경수술의 장점이며, 이에 대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84349호 "복강경용 투관침"의 공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에는 슬리브관(2)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관(2)에는 환자의 복부를 천공하는 투침(3)이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관(2)의 하단에는 개폐부재(4)가 힌지를 매개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개폐부재(4)는 상기 투침(3)의 제거시 환자의 복부로부터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과 환자의 복부와 공기의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폐부재(4)는 상기 슬리브관(2)과 개폐부재(4)에 각각 설치된 자석(5)의 자력에 의해 개폐되는 바, 이러한 자석(5)들 사이에는 자기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투침(3)을 이용하여 환자의 복부를 천공한 후, 수술의에게 복부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삽입시, 상기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연결된 케이블은 자기장에 노출되어 노이즈가 발생 된다. 즉, 내시경 수술을 집도하는 수술의에게 정확한 영상정보의 수집을 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시에 환자의 복부로부터 가스 등의 역류를 방지되도록 투침삽입관의 하단 개구에 설치되는 개폐막이 스프링부재에 의해 1차 단속되고, 판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하여 2차 단속되므로, 개폐막으로 투침삽입관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효율이 우수한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투침삽입관의 하단이 스프링부재, 판스프링 및 와이어를 매개로 개폐되므로, 종래의 자력을 이용하여 개폐될 때 발생되는 자기장이 발생될 염려가 없게되어 내시경 수술을 집도하는 수술의에게 정확한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는, 하부에는 가이드브라켓(110)이 연장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110)과 연통되는 가스유출입통공(120)이 가스유출입밸브(130)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개구(201, 20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판스프링(210)이 설치되는 투침삽입관(200);과,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상단 개구(201)에 설치되며, 중앙에 밀착공(310)이 형성된 실링판(300);과,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외주면에 제1힌지(10)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하단 개구(202)를 개폐하는 개폐막(400);과, 일측은 상기 판스프링(2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막(400)의 하면에 연결되는 와이어(W); 및 상기 상단 개구(201)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의 하측의 외부까지 연장형성되는 투침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투침부(600)는, 투관(610);과, 상기 투관(610)의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투관(610)과 연통되는 손잡이(620);와, 상기 투관(6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왕복동되며, 상단 외주면과 하단 외주면에 각각 걸림돌기(631, 63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투침(640)이 결합되는 작동봉(630);과, 내측에 상기 투침(640)이 위치되도록 상기 투관(610)의 하측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투침가이드부(650);와, 상기 작동봉(630)의 외주면에 끼워지되,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631, 632) 사이에 끼워지는 제1스프링부재(66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620)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투관(610)과 연통되는 제1투침제어브라켓(621);과,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의 일측에 형성된 제2투침제어브라켓(622);과,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에 제2힌지(20)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봉(630)의 상하방향으로 왕복동 됨에 따라 회전되는 결속구(623);와, 상기 제2힌지(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2코일스프링(629);과,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의 상측에 끼워진 채로 상기 결속구(623)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가이드홈(624)이 형성되되, 상기 결속구(623)의 일측이 직사각형의 괘적으로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돌기(625)가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2투침제어브라켓(622) 방향으로 탄발돌기(626)가 돌출형성되고, 정면은 상기 손잡이(620)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작동스위치(627);와, 상기 탄발돌기(626)와 제2투침제어브라켓(62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부재(6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10)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막(400)이 상기 하단 개구(202)가 닫힌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제1코일스프링(5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하단 개구(202)가 상기 개폐막(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스위치(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시에 환자의 복부로부터 가스 등의 역류를 방지되도록 투침삽입관의 하단 개구에 설치되는 개폐막이 스프링부재에 의해 1차 단속되고, 판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하여 2차 단속되므로, 개폐막으로 투침삽입관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투침삽입관의 하단이 스프링부재, 판스프링 및 와이어를 매개로 개폐되므로, 종래의 자력을 이용하여 개폐시 발생되는 자기장이 발생될 염려가 없게되 어 내시경 수술을 집도하는 수술의에게 정확한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는 하우징(100), 투침삽입관(200), 실링판(300), 개폐막(400), 와이어(W), 투침부(600)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후술할 투침삽입관(200)이 상측에서부터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가이드브라켓(110)이 연장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은 투침부(60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은 상기 투침부(600)에 의하여 천공된 환자의 복부에 일부분 삽입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은 무독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에는 가스유출입통공(120)과 이러한 가스유출입통공(120)을 개폐하는 가스유출입밸브(1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스유출입통공(120)은 천공된 환자의 복부에 수술도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질소가스 등을 유입시키는 통공이다. 또한, 상기 가스유출입밸브(130)는 상기 가스유출입통공(1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복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침삽입관(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개구(201, 20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각각의 개구(201, 202)에는 후술할 실링판(300)과 개폐막(4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외주면에는 판스프링(21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판스프링(210)에는 와이어(W)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210)의 작동원리는 태엽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실링판(300)은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상단 개구(201)에 설치되는데, 중앙에는 밀착공(3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밀착공(310)은 외부의 공기가 복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복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판(300)은 투침부(600)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신축성의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막(400)은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외주면에 제1힌지(10)를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1힌지(1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스프링(5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코일스프링(500)은 개폐막(400)이 상기 하단 개구(202)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개폐막(400)은 투침삽입관(200)의 상측으로 삽입된 투침부(600)의 제거시 상기와 같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단 개구(202)를 닫는다.
한편, 상기 개폐막(400)의 개폐작업을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폐스위치(42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개폐스위치(4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개폐스위치(420)의 작동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폐막(400)은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측으로 돌출부재(4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부재(410)는 개폐스위치(420)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재(410)와 개폐스위치(4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스위치(42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제1힌지(10)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개폐막(400)은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단 개구(202)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단 개구(202)가 개방되면, 상기 제1힌지(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코일스프링(500)에는 탄성복원력이 저장되며, 이러한 탄성복원력은 상기 외력의 소멸시 상기 하단 개구(202)측으로 상기 개폐막(400)을 회전시킨다.
상기 와이어(W)는 일측이 상기 판스프링(2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막(400)의 하면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와이어(W)는 개폐막(400)으로 하단 개구(202)를 개폐하는 개폐작업시 상기 제1코일스프링(500)을 보조하는 2차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판스프링(210)의 작동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스위치(42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개폐막(400)은 상기 제1힌지(10)를 매개로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단 개구(202)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210)과 개폐막(400)의 하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W)에는 개폐막(400)이 회전되는 거리에 비례한 만큼의 인장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인장력은 상기 판스프링(210)에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210)은 상기 인장력과 비례한 만큼 늘어나게 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210)에는 인장력에 비례한 만큼의 탄성복원력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210)에 탄성복원력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스위치(420)를 가압하는 외력이 소멸되면, 상기 제1코일스프링(500)과 판스프링(210)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탄성복원력이 동시에 작용되어 상기 개폐막(400)은 하단 개구(202)를 닫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각각의 탄성복원력은 상기 제1힌지(10)를 회전축으로 하여 작용된다.
상기 투침부(600)는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상측, 즉, 상단 개구(201)로부 터 삽입되는데, 환자의 복부를 천공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의 하측 외부까지 연장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투침부(600)는 상단에 손잡이(6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620)에는 제1투침제어브라켓(621), 제2투침제어브라켓(622), 결속구(623), 작동스위치(627), 제2코일스프링(629), 제2스프링부재(62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620) 내측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투관(610)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투관(610)과 연통되는 연통공의 상측에는 결속구(623)가 위치하는데, 상기 결속구(623)는 제2힌지(20)를 매개로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에 설치된다.
상기 제2투침제어브라켓(622)은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의 일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투침제어브라켓(622)은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과 마찬가지로 손잡이(620) 내측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상기 작동스위치(627)는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의 상측에 끼워지며, 정면의 일부가 손잡이(620)의 외부로 돌출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정면의 일부가 손잡이(620)의 외부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즉, 수술의에게 작동의 편의성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작동스위치(627)의 배면에는 가이드홈(6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홈(624)에는 상기 결속구(623)의 일측이 끼워지며, 상기 결속구(623)가 가이드홈(624)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직사각형의 괘적으로 가이드되도록 가이 드돌기(625)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작동스위치(627)의 일측면에는 탄발돌기(626)가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탄발돌기(626)는 상기 제2투침제어브라켓(622) 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탄발돌기(626)와 제2투침제어브라켓(622) 사이에는 제2스프링부재(628)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스프링부재(628)는 상기 작동스위치(627)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탄발돌기(626)와 제2투침제어브라켓(622)의 이격거리에 반비례하는 탄성복원력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620)의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620)와 연통되는 투관(610)이 형성되며, 상기 투관(610)의 내측에는 작동봉(630)이 구비되고, 상기 투관(610)의 하측에는 투침가이드부(650)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봉(630)은 상기 투관(6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왕복동되는데, 이러한 상하방향의 왕복동시 상단의 일부가 손잡이(62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작동봉(630)의 하단에는 환자 복부의 천공시에만 돌출되는 투침(64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투침(640)은 상기 손잡이(620)의 내측에 구비된 락킹구조에 의해 출입되며, 상기 투침(640)은 투침가이드부(650)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단으로 출입된다.
한편, 상기 작동봉(630)의 상단외주면과 하단외주면에는 각각 걸림턱(631, 63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걸림턱(631, 632)의 사이에는 제1스프링부재(66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2개의 걸림턱(631, 632) 중 상측의 걸림턱(632)은 제1스프링부재(660)의 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작동봉(630)의 상하방향으로의 왕복동시 탄성복원력이 증감되도록 하며, 하측의 걸림턱(631)은 제1스프링부재(660)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스프링부재(660)는 상기 작동봉(630)의 외주면과 투관(61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봉(63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증감된다.
상기 투침가이드부(650)는 상기 투관(610)의 하측에 결합되는데, 내측에는 상기 작동봉(630)의 하단에 형성된 투침(640)이 위치되며, 이러한 투침(640)은 환자 복부의 천공시에만 상기 투침가이드부(65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투침가이드부(65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침가이드부(650)는 상기 투관(610)의 하측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측의 직경이 투관의 하측의 직경보다 작게 제작되며, 이에 따라, 상기 투침(640)은 상기 투침가이드부(650)의 상승시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의 투침을 락킹하는 락킹구조의 작동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의 투침 락킹구조는 다음과 같다. 또한, 투침부(6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의 투침 락킹구조는, 손잡이(620)의 외부로 정면이 돌출형성된 작동스위치(627)를 좌측으로 조작하면 초기상태인 도 5a의 상태에서 도 5b의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도 5a의 상태에서 도 5b의 상태로 전환되면, 가이드홈(624)에 일측이 끼워져 있는 결속구(623)은 상대적으로 우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결속구(623)는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만 좌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스위치(627)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홈(624)의 좌측에 끼워져 있던 결속구(623)는 우측으로 이동되며, 락킹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락킹이 해제된 상태는 상기 가이드홈(624)에 형성된 가이드돌기(625)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락킹이 해제된 도 5b의 상태에서 수술의가 손잡이를 잡고 환자의 복부로 본 발명을 가압하게 되면, 투침가이드부(650)가 상승되면서 투침(640)이 환자의 복부를 천공하게 되며, 이때, 상기 작동봉(630)은 투관(610)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봉(630)이 상승하게되면, 작동봉(630)의 상단은 손잡이(620)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결속구(623)를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결속구(623)의 타측은 제2힌지(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결속구(623)의 일측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힌지(20)를 회전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힌지(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2코일스프링(629)에는 탄성복원력이 저장되면서 도 5c의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은 도 5c의 상태에서 가이드브라켓(110)이 환자의 복부에 고정되는 깊이까지 삽입되면, 수술의로부터 전달되는 하방향의 외력이 소멸된다.
상기와 같이 하방향의 외력이 소멸되면, 각 스프링(660, 628, 629)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이 동시에 작용을 시작하게 되는데, 상기 제2코일스프링(629)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은 결속구(623)를 매개로 상기 작동봉(63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2스프링부재(628)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은 작동스위치(627)를 우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스프링부재(660)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은 상기 제2코일스프링(629)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과 동일방향으로 작용되어 상기 작동봉(630)을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제2스프링부재(628)로부터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은 작동스위치(627)를 우측으로 가압하게 되면서 도 5c의 상태에서 도 5d의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부를 천공한 투침(640)은 위생상 1회 사용후 폐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예컨대 수술의의 실수로 인한 락킹해제시 폐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도 6d의 상태에서 도 6a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구(623)의 일측은 도 5a에서 다시 도 5a의 상태로 되돌아 오면 서, 상기 가이드홈(624)의 내부에서 직사각형 괘적으로 작동된다.
한편, 도 6에는 도 2의 B-B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a는 도 5a와 동일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는 도 5b,c와 동일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c에는 도 5d와 동일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복강경 투관침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의 단면도,
도 5은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제1힌지 20-제2힌지
100-하우징 110-가이드브라켓
120-가스유출입통공 130-가스유출입밸브
200-투침삽입관 201-상단 개구
202-하단 개구 210-판스프링
300-실링판 310-밀착공
400-개폐막 410-돌출부재
500-제1코일스프링
600-투침부 610-투관
611-걸림턱 620-손잡이
621-제1투침제어브라켓 622-제2투침제어브라켓
623-결속구 624-가이드홈
625-가이드돌기 626-탄발돌기
627-작동스위치 628-제2스프링부재
629-제2코일스프링 630-작동봉
631, 632-걸림돌기 640-투침
650-투침가이드부 660-제1스프링부재
W-와이어

Claims (4)

  1. 하부에는 가이드브라켓(110)이 연장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110)과 연통되는 가스유출입통공(120)이 가스유출입밸브(130)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개구(201, 20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판스프링(210)이 설치되는 투침삽입관(200);과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상단 개구(201)에 설치되며, 중앙에 밀착공(310)이 형성된 실링판(300);과
    상기 투침삽입관(200)의 외주면에 제1힌지(10)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하단 개구(202)를 개폐하는 개폐막(400);과
    일측은 상기 판스프링(2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막(400)의 하면에 연결되는 와이어(W); 및
    상기 상단 개구(201)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의 하측의 외부까지 연장형성되는 투침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투침부(600)는,
    투관(610);과, 상기 투관(610)의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투관(610)과 연통되는 손잡이(620);와, 상기 투관(6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왕복동되며, 상단 외주면과 하단 외주면에 각각 걸림돌기(631, 63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투침(640)이 결합되는 작동봉(630);과, 내측에 상기 투침(640)이 위치되도록 상기 투관(610)의 하측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투침가이드부(650);와, 상기 작동봉(630)의 외주면에 끼워지되, 상기 각각의 걸림돌기(631, 632) 사이에 끼워지는 제1스프링부재(66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620)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투관(610)과 연통되는 제1투침제어브라켓(621);과,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의 일측에 형성된 제2투침제어브라켓(622);과,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에 제2힌지(20)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봉(630)의 상하방향으로 왕복동 됨에 따라 회전되는 결속구(623);와, 상기 제2힌지(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2코일스프링(629);과, 상기 제1투침제어브라켓(621)의 상측에 끼워진 채로 상기 결속구(623)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가이드홈(624)이 형성되되, 상기 결속구(623)의 일측이 직사각형의 괘적으로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돌기(625)가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2투침제어브라켓(622) 방향으로 탄발돌기(626)가 돌출형성되고, 정면은 상기 손잡이(620)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작동스위치(627);와, 상기 탄발돌기(626)와 제2투침제어브라켓(62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부재(6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10)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막(400)이 상기 하단 개구(202)가 닫힌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제1코일스프링(5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하단 개구(202)가 상기 개폐막(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스위치(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3. 삭제
  4. 삭제
KR1020080039478A 2008-04-28 2008-04-28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KR10101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478A KR101019964B1 (ko) 2008-04-28 2008-04-28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478A KR101019964B1 (ko) 2008-04-28 2008-04-28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648A KR20090113648A (ko) 2009-11-02
KR101019964B1 true KR101019964B1 (ko) 2011-03-09

Family

ID=4155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478A KR101019964B1 (ko) 2008-04-28 2008-04-28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381B1 (ko) 2011-09-30 2013-03-13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어셈블리
KR101322923B1 (ko) * 2012-02-06 2013-10-29 (주)메다스 스프링 구조를 갖는 복막 천공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리스 타입의 트로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10B1 (ko) * 2011-09-30 2012-06-14 이레에스아이(주) 복강경 투관침
KR101236416B1 (ko) * 2012-06-05 2013-02-22 (주)메덴 스프링 구조를 갖는 트로카용 복부 천공 장치
KR102502904B1 (ko) * 2020-05-25 2023-02-23 박진서 기체 유입 조절 안정성이 향상된 트로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985A (ja) * 1999-11-04 2001-05-15 Olympus Optical Co Ltd トロッカー外套管
US6371967B1 (en) 1997-06-30 2002-04-16 Ethicon Endo-Surgery, Inc. Inductively coupled electrosurgical instrument
JP2003047618A (ja) * 2001-06-28 2003-02-18 Ethicon Endo Surgery Inc トロカール
KR100786728B1 (ko) * 2006-09-01 2007-12-17 정현국 복강경용 투관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1967B1 (en) 1997-06-30 2002-04-16 Ethicon Endo-Surgery, Inc. Inductively coupled electrosurgical instrument
JP2001128985A (ja) * 1999-11-04 2001-05-15 Olympus Optical Co Ltd トロッカー外套管
JP2003047618A (ja) * 2001-06-28 2003-02-18 Ethicon Endo Surgery Inc トロカール
KR100786728B1 (ko) * 2006-09-01 2007-12-17 정현국 복강경용 투관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381B1 (ko) 2011-09-30 2013-03-13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어셈블리
KR101322923B1 (ko) * 2012-02-06 2013-10-29 (주)메다스 스프링 구조를 갖는 복막 천공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리스 타입의 트로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648A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9180B2 (en) Endoscopic hood
KR101019964B1 (ko) 내시경 수술용 트로카
JP4841811B2 (ja) 別々の閉止システム及び発射システムを有する外科用ステープラ
AU648662B2 (en) Verress needle with enhanced acoustical means
ES2588653T3 (es) Puntas intercambiables para dispositivo quirúrgico
JP4704028B2 (ja) 体の組織に複数の手術用締結具を適用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手術用器具
WO2015146548A1 (ja) 手術用器具
JP4896398B2 (ja) 体の組織に複数の手術用締結具を適用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手術用器具
WO2016107586A1 (zh) 一种钉头组件以及腔镜外科手术缝切装置
US20100133320A1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JP2004344661A (ja) 閉じていないアンビルに対する発射ロックアウトを備えた外科用ステープラ
EP2090233A3 (en) Closure systems for a surgical cutting and stapling instrument
JPH08289895A (ja) 縫合器
WO2009068661A1 (en) Device for thoracostomy
KR101956592B1 (ko) 트로카용 실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트로카
CA3084199C (en) Staple cartridge assembly and medical stapler using the staple cartridge assembly
US20060259046A1 (en) Body tissue incision closing instrument
KR101703453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N107320161B (zh) 自回缩穿刺芯
CN214907505U (zh) 外科缝切装置
KR102274131B1 (ko)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US10881400B2 (en) Medical stapler system
KR101800194B1 (ko) 트로카조립체
CN211300226U (zh) 一种穿刺套管组件
CN214907504U (zh) 外科缝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