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862B1 -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62B1
KR101204862B1 KR1020120088484A KR20120088484A KR101204862B1 KR 101204862 B1 KR101204862 B1 KR 101204862B1 KR 1020120088484 A KR1020120088484 A KR 1020120088484A KR 20120088484 A KR20120088484 A KR 20120088484A KR 101204862 B1 KR101204862 B1 KR 10120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ld water
cold
hot water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연
강명훈
김은수
김항종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12008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이 가열되는 온수 탱크; 상기 온수 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냉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의 상온수 영역과 냉수 영역을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냉수 탱크를 살균할 때에 상기 분리부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을 상기 냉수 탱크로 상승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냉수 탱크를 상하로 분리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을 관통해서 상기 냉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향해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의 하면은 상면보다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온수 탱크에서 냉수 탱크로 이동되는 물이 냉수 탱크 내에서 넓게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냉수 탱크 및 냉수 탱크 내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냉온수기{Hot and Cold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수기의 냉수 탱크 및 냉수 탱크에 수용된 물을 살균할 수 있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산업 발달로 인해 환경 오염이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에서도 수질오염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여 가정에서나 관공서 등 대다수의 곳에서는 물을 정수 처리하여 식수로 음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을 정수 처리하는 장치로 정수기나 생수를 사용하는 냉온수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냉온수기는 넓은 의미로는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냉수 및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는 생수통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냉수 및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냉온수기는 냉수 및 온수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며, 냉수 탱크에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가 구비되고 온수 탱크에는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장치가 구비된다.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는 별도의 연결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냉수 탱크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물은 연결관을 통해 온수 탱크로 공급된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고번호 10-1016188로 본 출원에 관련된 냉온수기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수기에 따르면, 냉수 탱크에 저장된 물이나 냉수 탱크를 살균 또는 소독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냉수 탱크를 분해해서 살균 또는 소독하는 작업을 하는 등의 별도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살균을 수행할 수 있고, 살균 또는 소독을 짧은 시간 내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냉온수기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 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 탱크 및 냉수 탱크에 수용된 물을 저온살균해서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 탱크에서 냉수 탱크로 이동된 물이 냉수 탱크 내에서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냉수 탱크의 온도가 빠르게 상승해서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이 가열되는 온수 탱크; 상기 온수 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냉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의 상온수 영역과 냉수 영역을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냉수 탱크를 살균할 때에 상기 분리부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을 상기 냉수 탱크로 상승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냉수 탱크를 상하로 분리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을 관통해서 상기 냉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향해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의 하면은 상면보다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연결관의 상면은 밀폐되어, 상기 냉수 탱크의 물은 상기 연장관을 통해서 상기 연결관으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관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연장관은 상기 연결관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의 내측에는 이동하는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장관 내측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향해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장관의 일단에는 이동하는 물을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냉수 영역에는 상기 냉수 탱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증발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펌프는 상기 냉수 탱크를 살균할 때에 작동 또는 정지를 단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냉온수기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에 소요되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도 용이하게 살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보다 자주 살균을 수행해서 냉온수기를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 탱크에 수용된 온수를 이용해서 냉수 탱크를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단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온수 탱크에서 냉수 탱크로 이동되는 물이 냉수 탱크 내에서 넓게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냉수 탱크 및 냉수 탱크 내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도 2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냉수 탱크에서 온수 탱크로 물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온수 탱크에서 냉수 탱크로 물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는 물이 수용된 물통에서 제공되는 물이 이동되어 저장되는 탱크(90, 100)를 구비하는 케이스부(14)를 포함한다. 이때 물통은 상기 케이스부(14)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은 상기 케이스부(14)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케이스부(14)에는 물이 이동되어 냉각된 상태를 유지하는 냉수 탱크(100)와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는 온수 탱크(90)가 수용된다.
상기 케이스부(14)에는 상기 냉수 탱크(100)와 연결되어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냉수 취수 코크(92)와 상기 온수 탱크(90)와 연결되어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온수 취수 코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 취수 코크(92)는 상기 냉수 탱크(100)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 취수 코크(102)는 상기 온수 탱크(90)에 개별적인 연결관으로 연결된다. 도 1에는 상기 냉수 취수 코크(92)와 상기 온수 취수 코크(102)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4)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정도의 구조 변형은 당업자가 본 발명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자명하게 유추해석가능할 것이다.
상기 냉수 탱크(100)와 상기 온수 탱크(90)는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온수 탱크(90)는 상기 냉수 탱크(1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냉수 탱크(100)는 상기 온수 탱크(9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수 탱크(100)의 주위에는 탱크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 탱크(90)의 주위에는 탱크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가 구비되어, 탱크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각각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냉각 장치는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증발기(10), 팽창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0)는 상기 냉수 탱크(100)의 하부에 상기 냉수 탱크(10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냉수 탱크(100)의 하부에 수용된 물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장치는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 장치와 상기 히터는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냉각 장치는 구동을 중지하는 반면 상기 히터는 구동될 수 있고, 이와 반대의 상황으로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부(14)의 상단에 위치하는 탑커버부(30), 상기 탑커버부(30)의 하단에 장착되는 워터가드부(40), 상기 워터가드부(40)의 하단에 위치하는 플로팅 바디부(70), 상기 워터가드부(40)와 상기 플로팅 바디부(70)의 사이에 위치하는 패킹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탑커버부(30)는 그 상면에 물통이 안착되고, 상기 물통의 하단을 상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탑커버부(30)의 중앙으로 상기 물통(10)의 입구가 수용되어 상기 물통(10)의 입구를 통해서 물이 아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부(30)는 상기 케이스부(14)의 상면을 형성하고, 소정 깊이 만큼 상기 케이스부(14)에 수용된다.
상기 워터가드부(40)는 상기 물통(1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케이스부(14) 내부로 안내하는 통로(47)가 형성된다. 상기 워터가드부(40)의 상기 통로(47)에는 연통된 가이드 공간(54)을 구비하여, 상기 통로(47)를 통과한 물이 상기 가이드 공간(54)을 거쳐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60)는 상기 가이드 공간(54)에 수용되어 상기 통로(47)를 선택적으로 밀폐한다. 상기 패킹부(60)가 상기 가이드 공간(54) 내에서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공간(54)과 상기 통로(47)의 매개 부분이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플로팅 바디부(70)는 상기 패킹부(60)의 하단을 상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패킹부(60)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상기 플로팅 바디부(70)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챔버(78)를 구비한다. 상기 챔버(78)를 통해서 상기 플로팅 바디부(70)는 상기 냉수 탱크(100)에 담긴 물에 대해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수 탱크(100)의 상부에 상온의 물이 수용되고, 하부에 저온의 냉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분리부(80)을 구비한다. 상기 냉수 탱크(100)는 상기 분리부(80)를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상부에는 상온의 온도를 갖는 상온수 영역과 하부에는 상온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냉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냉수 영역에는 상기 증발기(10)가 상기 냉수 탱크(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인접하게 위치하는 물이 냉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증발기(10)가 설치된 상기 냉수 탱크(100)의 내면에는 얼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0)는 저온이고, 상기 증발기(10)에 인접한 물은 얼음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냉수 탱크(100)의 하부의 물이 냉각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수 탱크(100)의 상부에 수용된 물은 상기 분리부(80)에 의해서 상기 냉수 탱크(100)에서 상기 온수 탱크(9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80)는 상기 냉수 탱크(100)와 상기 온수 탱크(90)를 서로 수직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냉수 탱크(100)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서 물이 상기 온수 탱크(9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80)는 상기 냉수 탱크(100)를 상하로 분리하는 플레이트(82), 상기 플레이트(82)의 중앙을 관통해서 상기 냉수 탱크(100)와 상기 온수 탱크(90)를 연결하는 연결관(84) 및, 상기 플레이트(82)의 상면에 마련되는 연장관(86)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8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대략 원판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84)은 상기 플레이트(82)의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82)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관(84)에는 상기 냉수 탱크(100)를 살균할 때에 상기 분리부(80)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을 상기 냉수 탱크(100)로 상승시키는 펌프(120)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펌프(120)는 상기 연결관(84)에서 연장된 제1연결 호스(110)와 상기 온수 탱크에 연결된 제2연결 호스(112)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연결 호스(110)와 상기 제2연결 호스(112)는 상기 펌프(12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도록 마련된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1연결 호스(110) 및 상기 제2연결 호스(112)는 변형이 용이한 형태로 구비되어서, 상기 펌프(120)의 설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120)는 상기 냉수 탱크(100) 또는 상기 냉수 탱크(100)에 수용된 물을 살균할 때에,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을 상기 냉수 탱크(100)로 상승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이 상기 냉수 탱크(100)로 상승되면 상기 냉수 탱크(100) 내부 온도가 저온 살균이 가능한 대략 65℃까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100) 내부가 대략 65℃까지 상승되면 상기 냉수 탱크(100) 및 상기 냉수 탱크(100)에 수용된 물에 포함되는 세균을 죽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86)은 대략 상기 연결관(84)에 대해서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82)의 상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86)은 상기 연결관(84)에서 상기 플레이트(82)의 외주면을 향해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86)의 하면은 상면보다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관(86)의 상면과 하면의 차이는 대략 ℓ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을 사용하면, 상기 냉수 탱크(100)의 물이 상기 온수 탱크(9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하면이 상면 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수압은 상기 연장관(86)의 하면에 대해서 수직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수 탱크(100)의 물이 상기 온수 탱크(90)로 이동할 때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물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관(86)은 상기 냉수 탱크(100)에 대해서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연장관(86)에서 토출되는 물은 상기 냉수 탱크(100)의 상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공급되어, 상기 연장관(86)에서 토출되는 물은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기 냉수 탱크(100)의 측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은 상대적으로 저온을 이루는 곳으로 토출되어, 상기냉수 탱크(100)의 물의 온도 상승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84)의 상면은 밀폐되어, 상기 냉수 탱크(100)의 물은 상기 연장관(86)을 통해서 상기 연결관(84)으로 안내된다. 즉 상기 냉수 탱크(100)에서 상기 온수 탱크(90)로 이동되는 물은 상기 연결관(84)으로 직접 안내되지 못하고, 상기 연장관(86)으로 인입된 후에 상기 연결관(84)을 통해서 상기 온수 탱크(90)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상기 냉수 탱크(100)로 이동되는 물은 상기 연결관(84)을 통과한 후에 상기 연장관(86)을 통해서 이동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관(84)의 개구된 구멍 중 하나는 상기 냉수 탱크(100)에 연결되지 못하고, 상기 연장관(86)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이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관(86)은 복수 개가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연장관(86)은 상기 연결관(84)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다.
물론 도 3에서는 상기 연장관(86)이 두 개만 설치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연장관(86)은 세 개 이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연장관(86)은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상승된 물이 상기 냉수 탱크(100)에 넓게 퍼질 수 있도록 상기 연장관(86)들의 사이각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연장관(86)의 내측에는 이동하는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88)는 상기 연장관(86) 내측의 상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88)는 상기 플레이트(82)의 외주면을 향해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88)에 의해서 상기 연장관(86)으로부터 상기 냉수 탱크(100)로 배출되는 물은 유로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100) 또는 상기 냉수 탱크(100)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상기 펌프(120)가 구동되어,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이 상기 냉수 탱크(100)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은 상기 제2연결 호스(112), 상기 제1연결 호스(110)를 통과하고, 상기 연결관(84)을 통해서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86)의 형상을 따라 상기 연결관(84)의 수직 방향과 다르게 수평하게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100)는 상기 플레이트(82)를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82)의 상측에는 상온수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82)의 하측에는 냉수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수 탱크(100) 내부 온도를 설정된 대략 65℃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상승된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이 상기 냉수 탱크(100) 내부에 고르게 퍼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증발기(10)의 냉각 온도로 인해서, 상기 증발기(10)가 설치된 상기 냉수 탱크(100)의 부분, 즉 상기 증발기(10)가 배치된 상기 냉수 탱크(100)의 내측에는 얼음이 얼 수 있다. 이때 얼음을 녹이기 위해서 상기 증발기(10)가 설치된 상기 냉수 탱크(100)의 해당 부분으로 집중적으로 따뜻한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가이드부(88)는 상기 연장관(86)의 상측에서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상기 연장관(86)을 통해서 상기 냉수 탱크(100)로 분사되는 물은 상기 가이드부(88)의 경사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관(86)을 통해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증발기(10)에 인접한, 상기 냉수 탱크(100)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부분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냉수 탱크(100)의 온도가 상승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을 향해서 분출되는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물의 대류가 크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a)는 상기 연장관(86)이 하나만 마련된 경우이고, 도 4(b)는 상기 연장관(86)이 두 개 마련된 경우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88)는 모든 상기 연장관(86)에 설치되어서,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상승된 물이 상기 냉수 탱크(100)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부분으로 집중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a)는 도 2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연장관(86)의 일단에는 이동하는 물을 가이드하는 경사부(89)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89)는 상기 연장관(86)의 하면에서 연장되어서,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86)의 하면은 상면에 비해서 ℓ1의 길이만큼 길고, 상기 경사부(89)는 상기 연장관(86)의 하면에서 ℓ2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이때 ℓ1과 ℓ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연장관(86)을 통해서 상기 냉수 탱크(100)로 안내되는 물은 상기 경사부(89)의 형상에 의해서 소정 각도를 따라 상기 냉수 탱크(100)의 하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89)의 방향은 상기 냉수 탱크(100)의 내벽면 중, 상기 증발기(10)가 감싸진 부분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들어 냉온수기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냉온수기 내에서 사용되는 펌프(120)의 크기도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펌프(120)의 구동 용량도 실질적으로 크지 않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상승되는 물의 압력은 세지 않기 때문에,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상승된 물은 상기 연장관(86)을 통과한 후에 자중에 의해서 상기 경사부(89)의 형상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상승된 물은 상기 경사부(89)의 경사진 형상을 따라 상기 증발기(10)에 의해서 얼음이 어는 상기 냉수 탱크(100)의 내벽면을 향해서 분사될 수 있다.
도 5(a)는 상기 연장관(86)이 하나만 마련된 경우이고, 도 5(b)는 상기 연장관(86)이 두 개 마련된 경우이다. 이때 상기 경사부(89)는 상기 연장관(86)의 모두에 마련되어서,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상승된 물이 상기 냉수 탱크(100)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부분으로 집중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냉수 탱크에서 온수 탱크로 물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사용자가 냉온수기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상태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온수 취수 코크를 사용해서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수 탱크(90)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냉수 탱크(10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온수 탱크(9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분리부(80)의 상기 연장관(86)은 상면이 하면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연장관(86)의 하면은 상기 냉수 탱크(100)의 상측을 향해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80)이 상측에 배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냉수 탱크(100)의 물은 상기 연장관(86)으로 인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관(84)을 통과한 후에 상기 냉수 탱크(100)로 이동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연장관(86)의 상면과 하면이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면, 상기 냉수 탱크(100)의 상기 연장관(86)을 관통하는 방향, 즉 수평 방향에 대해서만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분리부(80)의 하면은 상기 냉수 탱크(100)의 상측을 향해서 노출되기 때문에, 수압은 상기 분리부(80)의 하면에 대해서 수직하게 작용하고 따라서 상기 연장관(86)으로 인입되는 물은 보다 큰 압력으로 상기 냉수 탱크(100)에서 상기 온수 탱크(9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온수 탱크에서 냉수 탱크로 물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해서 사용자가 상기 냉수 탱크 또는 상기 냉수 탱크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는 상태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냉수 탱크(100) 또는 상기 냉수 탱크(100)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펌프(12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프(120)는 상기 냉수 탱크(100)를 살균할 때에 작동 또는 정지를 단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수 탱크(100)와 상기 온수 탱크(90)는 상기 연결관(84)에 의해서만 연결되고, 추가적인 관을 구비한 순환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펌프(120)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이 상기 냉수 탱크(100)로 상승되어 상기 냉수 탱크(100)의 수위가 증가하는 반면에, 상기 펌프(120)의 구동이 중지되면 상기 냉수 탱크(100)의 물이 하강되어 상기 온수 탱크(90)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프(120)가 지속적으로 구동과 중지를 반복하면서 상기 냉수 탱크(100)의 온도가 적정 온도까지 상승되어 상기 냉수 탱크(100) 또는 상기 냉수 탱크(100)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상승되어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수 탱크(90)에서 상승되는 물은 상기 제2연결 호스(112)와 상기 제1연결 호스(110)를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연결관(84)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84)의 상면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물은 상기 연장관(86)의 형상을 따라 꺽여진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연장관(86)을 통해서 분사되는 물은 상측이 아니라 상기 연장관(86)의 연장된 방향, 즉 상기 냉수 탱크(100)의 수평 방향으로 분사가 된다.
상기 냉수 탱크(100)는 상부는 상온수 영역이 형성되고, 하부는 냉수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냉수 탱크(100)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온수 탱크(90)의 물은 상기 냉수 탱크(100)의 하방으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장관(86)을 통해서 안내된 물은 상기 연장관(86)에서 토출되면서 상기 연장관(86)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분사되어, 상기 냉수 탱크(100) 내에서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나아가 도 4에 설명한 가이드부(88)가 구비되면, 상기 연장관(86)을 통해서 토출되는 물은 상기 가이드부(88)의 두꺼워지는 형상에 따라 유로가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관(86)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되, 상기 가이드부(88)의 두꺼워지는 경사를 따라 하방으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9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증발기(10)가 마련된 상기 냉수 탱크(100)의 내벽면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100)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부분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냉수 탱크(100)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설명한 경사부(89)가 구비되면, 도 4에 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상기 연장관(86)을 통해서 토출되는 물은 상기 경사부(89)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물은 상기 경사부(89)의 형상에 따라 상기 냉수 탱크(100)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4: 케이스부 80: 분리부
82: 플레이트 84: 연결관
86: 연장관 88: 가이드부
89: 경사부 90: 온수 탱크
100: 냉수 탱크 120: 펌프

Claims (10)

  1. 물이 가열되는 온수 탱크;
    상기 온수 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냉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의 상온수 영역과 냉수 영역을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냉수 탱크를 살균할 때에 상기 분리부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을 상기 냉수 탱크로 상승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냉수 탱크를 상하로 분리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을 관통해서 상기 냉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향해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의 하면은 상면보다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상면은 밀폐되어, 상기 냉수 탱크의 물은 상기 연장관을 통해서 상기 연결관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복수 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연장관은 상기 연결관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의 내측에는 이동하는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장관 내측의 상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향해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의 일단에는 이동하는 물을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영역에는 상기 냉수 탱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냉수 탱크를 살균할 때에 작동 또는 정지를 단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KR1020120088484A 2012-08-13 2012-08-13 냉온수기 KR10120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84A KR101204862B1 (ko) 2012-08-13 2012-08-13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84A KR101204862B1 (ko) 2012-08-13 2012-08-13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862B1 true KR101204862B1 (ko) 2012-11-26

Family

ID=4756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484A KR101204862B1 (ko) 2012-08-13 2012-08-13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8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332A (ja) 2004-04-22 2005-11-04 Benten:Kk 冷温水機
JP2007057219A (ja) 2005-07-28 2007-03-08 Hakatako Kanri Kk 冷温水機
JP2007320586A (ja) 2006-05-30 2007-12-13 Hakatako Kanri Kk 冷温水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332A (ja) 2004-04-22 2005-11-04 Benten:Kk 冷温水機
JP2007057219A (ja) 2005-07-28 2007-03-08 Hakatako Kanri Kk 冷温水機
JP2007320586A (ja) 2006-05-30 2007-12-13 Hakatako Kanri Kk 冷温水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920B1 (ko) 워터 서버
KR101065816B1 (ko) 음료 디스펜서
JP6249271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JP6055788B2 (ja) 個別に動作可能な2系統の熱殺菌経路を備えた給水機
KR20150127159A (ko) 워터 서버
KR20100114151A (ko) 이동식 라디에이터
KR101750947B1 (ko) 벼 종자 온탕 소독장치
TW201420977A (zh) 開飲機
KR101358073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101204862B1 (ko) 냉온수기
CN102342819A (zh) 带水运行的家用器具,特别是洗碗机
JP2017141060A (ja) 冷温水器及び冷温水器の殺菌方法
KR20190106198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196335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방법
JP3153851U (ja) 飲料水供給装置
JP2009063232A (ja) 飽和蒸気加熱機
TW201441141A (zh) 開飲機
KR10160016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102141999B1 (ko) 아이스 테이블
JP6096107B2 (ja) 気泡消滅機
KR101405522B1 (ko) 냉온수기용 살균 및 물 넘침 방지장치
KR101598924B1 (ko) 냉온수기
KR101598922B1 (ko) 냉온수기
KR100843748B1 (ko) 살균 냉온수기
KR200231608Y1 (ko) 가정용 다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