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748B1 - 살균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살균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748B1
KR100843748B1 KR1020070016840A KR20070016840A KR100843748B1 KR 100843748 B1 KR100843748 B1 KR 100843748B1 KR 1020070016840 A KR1020070016840 A KR 1020070016840A KR 20070016840 A KR20070016840 A KR 20070016840A KR 100843748 B1 KR100843748 B1 KR 10084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hot water
water tank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무
박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버
Priority to KR102007001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18Heating and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물통 또는 정수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수부와 이 저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저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수통과 이 냉수통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와 하부쪽으로 급수로가 형성된 원반의 형상이고, 저수부와 냉수통 사이에 위치하여, 저수부에 저장된 물과 냉수통에 저장된 물을 격리하는 분리판과 냉수통의 하부에 위치한 온수통과 분리판의 급수로와 관통연결되고 냉수통의 하단 중앙부를 관통하여 온수통과 관통연결된 온수통급수관과 온수통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일단부가 냉수통의 하부와 관통연결되고, 타단부는 온수통의 상부와 관통연결된 순환관 및 이 순환관에 위치하고, 순환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냉온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살균 냉온수기는 온수와 냉수를 순환시켜 온수와 수증기로 살균 냉온수기 내부를 살균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별도의 동력 순환장치가 설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수배관을 단순화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경제적이다.
아울러, 살균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일반적인 사용시에는 온수통 급수관의 중간에 위치한 수평연장부의 기능으로 온수와 냉수의 상호 간섭으로 발생하는 열손실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 냉온수기{Dispensor for sterilization}
도 1은 종래의 물통용 냉온수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물통용 냉온수기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정수기용 냉온수기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정수기용 냉온수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냉온수기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온수통급수관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온수통급수관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물통용 냉온수기 20...정수기용 냉온수기
21...수위 조절장치 30...살균냉온수기
31...물통지지분배장치 32...물통
33...저수부 34...냉수통
35...분리판 36...수평연장부
37...급수로 38...온수통급수관
39...온수통 40...냉각장치
41...가열장치 42...물배출꼭지
43...순환관 44...밸브
45...제어부 46...온도감지기
47...기포 배출구
본 발명은 냉온수기에 있어서 물이 저장되어있는 내부를 온수로 살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사용시에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살균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물통용 냉온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물통용 냉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물통용 냉온수기(10)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33)와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통(34)과 냉각장치(40)를 가지고 있으며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통(39)과 가열장치(41)를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 외측으로는 물배출꼭지(42)를 갖추고 있다.
물통(32)을 냉온수기(10) 상측에 거꾸로 올려놓으면 대기압에 의해 물이 저수부(33)와 냉수통(34)과 온수통(39)에 공급되며 온수와 냉수는 물배출꼭지(42)에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3은 종래의 정수기용 냉온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정수기용 냉온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정수기용 냉온수기(20)의 구조는 물병용 냉온수기(1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정수기를 거친 물이 공급된다는 점과 저수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장치(21)가 부가되어 있는 차이점이 있다.
위와 같은 기존 냉온수기의 냉수통에 저장된 온수는 고온을 유지하므로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없으나, 저수부(33)와 냉수통(34)에 저장된 물은 상온수 또는 냉수이므로 장기간 사용 시 세균번식의 우려 때문에 자주 청소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될 때 온수통급수관(38)에서 온수와 냉수의 상호간섭으로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별도의 동력순환장치를 추가하지 않고 대류현상으로 온수와 냉수를 순환 시켜 살균기능을 갖추며, 통상 사용 중에는 온수통 급수관에서 온수와 냉수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손실을 줄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킨 살균 냉온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균 냉온수기는 물통 또는 정수장 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수통; 상기 냉수통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 하부쪽으로 급수로가 형성된 원반의 형상이고, 상기 저수부와 상기 냉수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과 냉수통에 저장된 물을 격리하는 분리판; 상기 냉수통의 하부에 위치한 온수통; 상기 분리판의 급수로와 관통연결되고 상기 냉수통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온수통과 관통연결된 온수통급수관; 상기 온수통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 일단부가 상기 냉수통의 하부와 관통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온수통의 상부와 관통연결된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의 개방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개방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밸브가 개방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는 밸브개방시각 또는 밸브개방주기를 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개방시각 또는 밸브개방주기마다 상기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냉수통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가 개방된 후 상기 온도감지기에서 설정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밸브가 개방되었을 경우 또는 상기 밸브가 개방된 후 설정시간 동안 작동을 멈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온수통급수관은 상기 냉수통과 상기 온수통의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휘어져 연장된 부분인 수평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통의 상부에 위치한 부분에 기포가 배출되는 기포배출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 냉온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 냉온수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물통이 장착되는 냉온수기의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정수기용 냉온수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 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살균 냉온수기(30)의 최상부에 위치한 물통지지분배장치(31)에 물통(32)을 거꾸로 올려놓으면 대기압에 의해 물이 저수부(33)에 공급된다.
공급된 물은 냉수통(34)과 분리판(35)사이의 틈을 통해 냉수통(34)을 채우고, 분리판(35)의 급수로(37)와 온수통급수관(38)을 통해 온수통(39)을 채우며, 물통지지분배장치(31)의 하단부까지 저수부(33)에 물이 채워진다.
냉수통(34)속의 물은 냉각장치(40)에 의해 냉각되며 온수통(39)속의 물은 가열장치(41)에 의해 가열되며 온수와 냉수는 물배출꼭지(4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분리판(35)의 역할은 새로운 물이 저수부(33)에 공급될 때 냉수통(34)에 저장된 냉수와 급격히 석이는 것을 방지하여 냉수를 잘 보관하며 분리판(35) 위의 상온수를 급수로(37)를 통하여 온수통(39)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순환관(43)은 일단부가 상기 냉수통(34)의 하부와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온수통(39)의 상부와 관통 연결된다.
상기 순환관(43)은 기존의 온수통급수관(38)과 한 쌍을 이루어 비로소 물이 대류 순환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순환관(43)의 중간에는 물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는 밸브(44)를 장착한다. 상기 밸브(44)는 살균할 때만 개방한다.
살균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냉각장치(40)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밸 브(44)를 개방하면, 온수통(39)에 저장된 온수는 밀도가 낮으므로 상기 순환관(44)을 통하여 상부에 위치한 냉수통(34)으로 이동하며, 저수부(33)에 저장된 상온수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아 급수로(37)와 온수통 급수관(38)을 통하여 온수통(39)의 하부로 내려가며, 온수통(39)에 내려온 물은 가열장치(41)에 의해 가열되어 순환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장치(40)는 상기 밸브(44)가 개방되었을 경우 또는 상기 밸브(44)가 개방된 후 설정시간 동안 작동을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대류 순환을 통하여 냉수통(34)과 저수부(33) 및 저장된 물을 고온 살균 할 수 있으며, 고온의 물이 닿지 못하는 부분도 고온의 수증기로 인하여 살균이 가능하므로 매우 효과적인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살균장치 제어부(45)는 살균기능을 지시 즉시 수행되거나, 정해진 주기마다 정해진 시각에 정해진 시간 동안 작동하게 한다.
즉, 상기 제어부(45)는 입력부(미도시)로부터 밸브(44)를 개방하는 시각인 밸브개방시각 또는 밸브(44)를 개방하는 주기인 밸브개방주기를 입력받아 상기 밸브(44)를 개방함으로써, 살균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1시 45분이라는 밸브개방시각이 입력되면 1시 45분에 밸브(44)를 개방하는 것이고, 18시간이라는 밸브개방주기가 입력되면 18시간 간격으로 밸브(44)를 개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수통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46)를 더 포함하여, 살균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온수와 냉수의 대류 순환의 속도와 방향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수통(39)과 저수부(33) 및 냉수통(34)의 저수용량의 비례, 가열장치(41)의 발열용량과 발열표면적 및 기포 발생량, 순환관(44)과 온수통급수관(38)의 구경과 길이, 온수통(39)과 냉수통(34)의 온도차이 등의 요인이 있다.
위에서 대류 순환의 방향이 바뀐다는 것은 온수가 순환관(43)으로 올라가기도 하고 냉수가 순환관(43)으로 내려오기도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살균기능을 작동시키고 45분이 경과한 후 냉수통(34)의 온도는 섭씨70도가 되고 물이 닿지 않는 저수부(33)의 상부는 섭씨 65도에 도달한다.
또한, 냉수통의 온도가 섭씨 70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15분 뒤에 냉각장치를 가동시키고, 100분 후에 냉수통(34)의 냉수는 통상적인 사용시의 온도인 섭씨 10도에 도달한다.
전체적으로 살균시간이 160분 소요되며 심야 시간대에 자동으로 가동시킨다고 가정할 경우 바람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온도를 섭씨 70도로 설정하고 상기 온도감지기(46)에서 설정온도가 감지되면 밸브(44)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밸브개방시간을 45분으로 설정하고 상기 밸브가 개방된 후 밸브개방시간이 지난 뒤에 상기 밸브(44)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냉각장치(40)의 가동이 중단되는 시간인 설정시간은 1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살균에 바람직한 조건인 살균온도와 살균시간은 여러 가지 기준과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온수통급수관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온수통급수관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온수통급수관(38)은 냉수통(34)과 온수통(39)사이에서 완만한 상향 각도를 유지하는 수평연장부(36)를 갖도록 하여 온수와 냉수의 간섭으로 발생하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가열장치(41)가 작동할 때 발생한 기포가 기포배출구(47)를 통하여 유입될 경우에도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 냉온수기는 온수와 냉수를 순환시켜 온수와 수증기로 살균 냉온수기 내부를 살균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별도의 동력 순환장치가 설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수배관을 단순화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경제적이다.
아울러, 살균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일반적인 사용 기간에는 온수통 급수관의 중간에 위치한 수평연장부의 기능으로 온수와 냉수의 상호 간섭으로 발생하는 열손실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물통 또는 정수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수통;
    상기 냉수통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
    하부쪽으로 급수로가 형성된 원반의 형상이고, 상기 저수부와 상기 냉수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과 냉수통에 저장된 물을 격리하는 분리판;
    상기 냉수통의 하부에 위치한 온수통;
    상기 분리판의 급수로와 관통연결되고 상기 냉수통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온수통과 관통연결된 온수통급수관;
    상기 온수통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
    일단부가 상기 냉수통의 하부와 관통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온수통의 상부와 관통연결된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에 위치하고, 상기 순환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의 개방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개방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밸브가 개방된 후 밸브개방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입력부는 밸브개방시각 또는 밸브개방주기를 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밸브개방시각 또는 밸브개방주기마다 상기 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냉수통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가 개방된 후 상기 온도감지기에서 설정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냉온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밸브가 개방되었을 경우 또는 상기 밸브가 개방된 후 설정시간 동안 작동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냉온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통급수관은,
    상기 냉수통과 상기 온수통의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휘어져 연장된 부분인 수평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통의 상부에 위치한 부분에 기포가 배출되는 기포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냉온수기.
KR1020070016840A 2007-02-16 2007-02-16 살균 냉온수기 KR10084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840A KR100843748B1 (ko) 2007-02-16 2007-02-16 살균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840A KR100843748B1 (ko) 2007-02-16 2007-02-16 살균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748B1 true KR100843748B1 (ko) 2008-07-04

Family

ID=3982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840A KR100843748B1 (ko) 2007-02-16 2007-02-16 살균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7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488A (ja) * 1992-07-24 1994-02-22 Suntory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KR20000075682A (ko) * 1997-12-26 2000-12-26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살균 수단을 구비한 식수 디스펜서
KR20040057887A (ko) * 2002-12-24 2004-07-02 가부시키가이샤 벤텐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KR20050074668A (ko) * 2004-01-14 2005-07-19 주식회사 크로버 온수 역류방지장치를 갖는 냉온수기
KR20060064712A (ko) *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크로버 살균기능을 갖는 간접냉각방식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488A (ja) * 1992-07-24 1994-02-22 Suntory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KR20000075682A (ko) * 1997-12-26 2000-12-26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살균 수단을 구비한 식수 디스펜서
KR20040057887A (ko) * 2002-12-24 2004-07-02 가부시키가이샤 벤텐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KR20050074668A (ko) * 2004-01-14 2005-07-19 주식회사 크로버 온수 역류방지장치를 갖는 냉온수기
KR20060064712A (ko) *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크로버 살균기능을 갖는 간접냉각방식 냉온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9317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2086881B1 (ko) 워터 서버
JP2005121272A (ja) 飲料水供給装置
KR20150058142A (ko) 워터 서버
KR20150127159A (ko) 워터 서버
CN204072830U (zh) 医疗器械消毒器
TW201420977A (zh) 開飲機
KR100743141B1 (ko) 냉,온수기
CN201029781Y (zh) 高温水消毒饮水机
JP2005249266A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KR100843748B1 (ko) 살균 냉온수기
JP2014189281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3153851U (ja) 飲料水供給装置
KR10160016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102234941B1 (ko) 가축용 급수장치
CN209347675U (zh) 蒸汽灭菌装置
KR101056854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KR101196335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방법
KR101098191B1 (ko) 냉수통에 체결되는 저장조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200386682Y1 (ko) 냉,온수기
JP2005145511A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
KR101032200B1 (ko)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KR20120132272A (ko) 살균시스템을 구비한 냉온수기
KR100313366B1 (ko) 본체와 취수대 분리형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