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140Y1 -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140Y1
KR200428140Y1 KR2020060018661U KR20060018661U KR200428140Y1 KR 200428140 Y1 KR200428140 Y1 KR 200428140Y1 KR 2020060018661 U KR2020060018661 U KR 2020060018661U KR 20060018661 U KR20060018661 U KR 20060018661U KR 200428140 Y1 KR200428140 Y1 KR 200428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ner cylinder
cold
hot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선
Original Assignee
김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선 filed Critical 김덕선
Priority to KR2020060018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1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1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탱크와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되는 물을 100℃까지 끓인 상태에서 자연냉각된 온수와 냉각시스템에 의하여 급속 냉각처리된 냉수가 각각 급수되는 냉,온수기를 고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안된 온수탱크는 내부에 전열기가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어 상기 전열기에 의해 물을 끓여주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내통의 물이 가열되면 물이 공급되어 상기 내통의 가열된 물을 30℃이하로 냉각시키는 외통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내통의 외부 양측으로 전압봉이 결합형성되어 상기 전압봉으로부터 500V의 전압이 분출되어 상기 내통에 위치한 물을 멸균처리하여 소독처리하는 것이며, 상기 냉수탱크는 상기 온수탱크의 내통으로부터 30℃이하의 물을 공급받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측에 위치되고 그 외부에 냉각시스템의 증발관이 설치되며 물이 공급되면 상기 증발관으로부터 제공된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내통의 물을 4~5℃이하로 냉각시키는 외통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통을 통하여 냉,온수가 급수되는 것이며 급수되는 양만큼의 물은 상기 공급방식을 통하여 자동으로 공급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냉,온수기, 온수탱크, 냉수탱크, 외통, 내통, 전압봉, 전열기, 증발관

Description

냉,온수기{A WATER COOLING AND HEATING UNIT}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냉,온수기 B-온수탱크
C-냉수탱크 20,30-외통
21,31-내통 22,32-수위센서
23,33-온도센서 24-전열기
25,26,35-급수벨브 34-증발관
36-냉각시스템 200-전압봉
본 고안은 온수탱크와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되는 물을 100℃까지 끓인 상태에서 자연냉각된 온수와 냉각시스템에 의하여 급속 냉각처리된 냉수가 각각 급수되는 냉,온수기를 고안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고안되어지는 냉,온수기의 균을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온수기의 양측에는 전압봉을 형성하여 상기 전압봉으로부터 500V의 전압이 분출되어 상기 균을 고압멸균처리하는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대부분의 냉,온수기는 일측으로 온수탱크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냉수탱크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온수를 공급하는 경우 급수벨브를 통하여 급수되는 물이 온수탱크의 내측에서 일정온도까지 끓여서 살균처리가 되는 것이며 냉수를 공급시는 역시 급수벨브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냉수탱크의 내측에서 냉각처리되어 급수되는 바 상기와 같이 외부에서 찬물이 저수조로 바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공급된 냉수를 바로 음용시 식중독 발생의 위험이 높고 각종 세균이 멸균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제기된 것이다.
또한 냉,온수기에서 공급되는 물을 받기 위하여 별도로 컵보관대를 설치하여 컵을 상기 컵보관대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고 마신 컵은 다시 별도의 컵수거통에 넣게 됨으로서 상기 컵보관대 내지 컵수커통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의 비효율성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수로 급수되는 물을 100℃까지 끓인 상태에서 자연냉각과 급속냉각을 통하여 4~5℃까지 냉각시켜 급수함으로서 완벽한 살균효과가 제공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온수탱크에 고압의 전압이 분출되어지는 전압봉을 형성하여 상기 전압봉으로부터 분출되어지는 전압에 의하여 상기 온수탱크의 내통에 위치한 물에 번식가능한 세균을 멸균처리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냉,온수기의 상측으로 컵보관대를 설치하고 하측으로 컵수거통을 형성하여 마신컵을 바로 수거가능하며 상기 컵에 남은 물이 바닥에 낙수되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컵수거통의 하부에는 퇴수통이 마련되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수탱크(B)와 냉수탱크(C)를 갖는 냉,온수기(A)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B)는 내부에 전열기(24)가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어 상기 전열기(24)에 의해 물을 끓여주는 내통(21)과 상기 내통(21)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내통(21)의 물이 가열되면 물이 공급되어 상기 내통(21)의 가열된 물을 30℃이하로 냉각시키는 외통(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수탱크(C)는 상기 온수탱크(B)의 내통(21)으로부터 30℃이하의 물을 공급받는 내통(31)과 상기 내통(31)의 외측에 위치되고 그 외부에 냉각시스템(36)의 증발관(34)이 설치되며 물이 공급되면 상기 증발관(34)으로부터 제공된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내통(31)의 물을 4~5℃이하로 냉각시키는 외통(3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온수기(A)의 온수탱크(B)의 내통(21)과 냉수탱크(C) 의 내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여 각각의 급수벨브(25),(35)를 자동 단속하는 수위센서(22),(32)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온수탱크(B)의 내통(21)에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온수탱크(B)의 외통(20)과 연결된 급수벨브(26)를 자동 단속하는 온도센서(23)가 설치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측에는 컵을 보관하는 컵보관대(4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냉수와 온수가 각각 급수되는 정수꼭지(40)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사용한 컵을 다시 수거가능하도록 컵수거통(42)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정수꼭지(40)의 하부에는 물이 배수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배수공(43)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로서 좌측에는 온수탱크(B)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냉수탱크(C)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온수탱크(B)는 내통(21)과 외통(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통(21)의 내부 일측에는 수위센서(22)와 온도센서(23)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상기 내통(21)의 하부에는 전열기(24)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내통(21)의 외측방향에는 물을 공급받는 급수벨브(25)가 설치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내통(21)의 외측으로 상기 내통(21)을 포함하는 부피를 갖는 외통(20)은 일측으로 급수벨브(26)가 형성되어 물을 공급받는 것이며 하측에는 배수관(27)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된 물이 배수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우측에 형성된 냉수탱크(C)는 역시 내통(31)가 외통(30)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내통(31)의 내부 일측으로 수위센서(32)와 온도센서(33)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상기 내통(31)과 온수탱크(B)의 내통(21)사이이에는 상기 내통(21)과 내통(31)간의 물이 공급가능하도록 급수벨브(35)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내통(31)의 외측에 형성된 외통(30)의 하부 일측에는 증발관(34)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증발관(34)은 냉,온수기(A)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시스템(36)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시스템(36)으로부터 증발관(34)을 통하여 제공된 냉기에 의하여 외통(30)이 냉각되어 상기 외통(30)의 내부에 위치한 내통(31)의 물이 냉각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통(21)의 양측으로 전압봉(200)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전압봉(200)에 전류를 전달시 약 500V에 달하는 전압이 분출되어 상기 내통(21)에 위치한 물에 번식하는 세균을 간단하게 멸균처리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냉,온수기(A)의 냉수탱크(C)와 온수탱크(B)로부터 정수꼭지(40)가 연결되고 상기 컵수거통(42)의 하부에는 퇴수통(44)이 형성되어진 것이며 일측에는 냉각시스템(36)에 의하여 냉수탱크(C)가 냉각되어지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하부에는 이동상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의 바퀴(45)가 설치되어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전선에 의하여 내통(21)의 양측에 전압봉(200)이 연결되고 상기 전압봉(200)을 이용하여 500V의 전압이 분출됨으로서 상기 내통(21)에 들어있는 물의 세균이 보다 완벽하게 멸균처리되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벨브(25)로부터 온수탱크(B)의 내통(21)으로 물이 급수되며 상기 내통(21)으로 급수되는 물이 일정량 급수되면 상기 수위센서(22)가 급수량을 감지하여 급수벨브(25)를 차단함으로서 물의 수위가 조절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내통(21)에 공급된 물은 전열기(24)에 의하여 물이 끓어짐과 동시에 온도센서(23)에 의하여 전열기(24)의 전열작업이 차단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전열작업이 마무리 된 상태에서 외통(20)과 연결된 급수벨브(26)를 통하여 외통(20)의 내측으로 냉수가 공급되어 상기 내통(21)의 외주연에 냉기가 공급되어 자연냉각되는 것이고 보다 냉각속도를 고속화하기 위하여 외통(20)의 일측에 배수관(27)이 형성되어 내통(21)을 냉각시킴에 따라 미지근하게 온도가 상승된 물을 배수관(27)을 통하여 배수하고 재차 급수벨브(26)에 냉수가 공급되어 내통(21)의 온도가 30℃가 되는 시점까지 지속적인 자연냉각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진행된 온수탱크(B)의 내통(21)에 보관된 물은 양측에 위치한 전압봉(200)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전압을 분출함으로서 상기 전압에 의하여 물에 번식하는 세균을 멸균처리 가능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멸균처리되어진 상태에서 물이 30℃이하에 도달시 온도센서(23)가 감지하여 상기 온수탱크(B)의 내통(21)에 있는 물을 냉수탱크(C)의 내통(31)으로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냉수탱크(C)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물이 일정량 공급하게 되면 내통(31)의 일측에 설치된 수위센서(32)의 감지에 의하여 물공급이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적정량의 물이 공급된 내통(31)을 감싸고 있는 외통(30)으로 냉 각시스템(36)이 작동하게 되어 상기 냉각시스템(36)으로부터 외통(30) 일측에 연결된 증발관(34)을 통하여 냉기가 외통(30)의 내측에 발생하게 되며 상기 냉기에 의하여 내통(31)의 물이 급속냉각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통(31)에 위치한 물의 온도가 4~5℃가 되는 시점까지 냉기가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물의 온도가 4~5℃에 도달시 상기 냉각시스템(36)이 정지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급수된 온수탱크(B)와 냉수탱크(C)의 내통(21),(31)은 각각 정수꼭지(40)와 연결되어져 사용자가 급수를 필요로 할 시 자연스럽게 냉,온수가 배수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온수가 정수꼭지(40)를 통하여 내통(21),(31)으로부터 급수되는 만큼 줄어든 양을 상기 급수방식과 히팅작업 및 냉각작업이 동일하게 반복되어 짐으로서 재충전되어 적정량의 물이 항시 내통(21),(31)에 저장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온수기를 통하여 급수되어지는 냉수와 온수를 완전히 끓인 상태에서 자연냉각과 급속냉각을 통하여 급수되어짐으로서 1차적으로 멸균처리되어지고 전압봉을 이용하여 500V의 전압을 분출함으로서 상기 전압에 의하여 2차적으로 물에 번식하는 세균을 멸균처리하는 것으로서 어른은 물론 아이들이 직접 음용시에도 세균위험이나 식중독과 같은 불안요소를 배제하여 위생적으로 마실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냉,온수기의 상측에는 컵보관대를 설치하고 하측에는 컵수커통을 설치하여 컵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며 바닥면에 물이 낙수되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가 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로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온수탱크(B)와 냉수탱크(C)를 갖는 냉,온수기(A)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B)는 내부에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전열기(24)가 결합형성된 내통(21)과 상기 내통(21)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내통(21)의 물이 가열되면 물이 공급되어 상기 내통(21)의 가열된 물을 30℃이하로 냉각시키는 외통(20)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내통(21)의 외부 양측으로 전압봉(200)이 결합형성되어 상기 전압봉(200)으로부터 500볼트의 전압이 분출되어 내통(21)의 물이 멸균되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냉수탱크(C)는 상기 온수탱크(B)의 내통(21)으로부터 30℃이하의 물을 공급받는 내통(31)과 상기 내통(31)의 외측에 위치되고 그 외부에 냉각시스템(36)의 증발관(34)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물이 상기 증발관(34)으로부터 제공된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내통(31)의 물을 4~5℃이하로 냉각시키는 외통(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B)의 내통(21)과 냉수탱크(C)의 내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여 각각의 급수벨브(25),(35)를 자동 단속하는 수위센서(22),(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B)의 내통(21)에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온수탱크(B)의 외통(20)과 연결된 급수벨브(26)를 자동 단속하는 온도센서(2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KR2020060018661U 2006-07-10 2006-07-10 냉,온수기 KR200428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61U KR200428140Y1 (ko) 2006-07-10 2006-07-10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61U KR200428140Y1 (ko) 2006-07-10 2006-07-10 냉,온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785A Division KR100743141B1 (ko) 2006-07-18 2006-07-18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140Y1 true KR200428140Y1 (ko) 2006-10-09

Family

ID=4929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661U KR200428140Y1 (ko) 2006-07-10 2006-07-10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1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141B1 (ko) 냉,온수기
RU2006126050A (ru) Разливной автомат для напитка
KR10162932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60009537A1 (en) Water dispenser
WO2005038363A1 (ja) 飲料水供給装置
KR100993891B1 (ko) 정수기
ES2400850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 agua de auto-desinfección con un depósito para agua tratada que incluye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KR200428140Y1 (ko) 냉,온수기
KR101143791B1 (ko)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KR100622574B1 (ko) 가열냉각식 음수대 및 그 사용방법
KR200386682Y1 (ko) 냉,온수기
JP2006347557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046185B1 (ko) 냉장고용 살균 정수장치
KR101617922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KR10155617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64517B1 (ko) 축열식 물끓임기의 순간냉각방식을 이용한 순환살균 냉각시스템
KR101056854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JP3153851U (ja) 飲料水供給装置
KR10160016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US20080149035A1 (en) Teat cup cleaning devi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101872653B1 (ko) 고온공기 및 수분의 동시공급 기능을 갖는 가스 멸균장치
KR101642837B1 (ko) 냉온음료 공급기
CN109757989B (zh) 饮水机
KR200409982Y1 (ko) 은나노 필터가 설치된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