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123A -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측위 방법, 기억 매체, 코히런트적산 증진 회로, 측위 회로,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측위 방법, 기억 매체, 코히런트적산 증진 회로, 측위 회로,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123A
KR20080112123A KR20080057334A KR20080057334A KR20080112123A KR 20080112123 A KR20080112123 A KR 20080112123A KR 20080057334 A KR20080057334 A KR 20080057334A KR 20080057334 A KR20080057334 A KR 20080057334A KR 20080112123 A KR20080112123 A KR 2008011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ion
correlation value
positioning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5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5Constructional details or hardware or software details of the signal processing chain
    • G01S19/37Hardware or software details of the signal processing cha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30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code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12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with demodulation by means of convolvers, e.g. of the SAW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15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with application-specif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상관 처리 회로부(3)에 의한 코히런트 적산에 의해, 수신 신호를 직교 분리한 I, Q 신호 각각과 레플리카 코드와의 적산 상관값(I, Q 적산 상관값)이 산출된다. 그 다음에,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에 의해, 이 I, Q 적산 상관값 각각을 IQ 좌표값으로 하는 적산 상관값의 위상각θ가 2배각으로 변환된 후, 변환 후의 적산 상관값의 IQ 좌표값인 IQ 적산 상관값이 더 적산되고 I, Q 증진 적산 상관값이 산출된다. 그리고,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에 의해, 이 I, Q 증진 적산 상관값에 대한 인코히런트 적산이 행해진다. 또, 상관 처리 회로부에 의한 코히런트 적산 시간 T1은 20㎳ 이하로 설정되고,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에 의한 적산 시간 T2는 20㎳ 보다 크게 설정된다.

Description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측위 방법, 기억 매체,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 측위 회로, 및 전자기기{COHERENT INTEGRATION ENHANCEMENT METHOD, POSITIONING METHOD, STORAGE MEDIUM, COHERENT INTEGRATION ENHANCEMENT CIRCUIT, POSITIONING CIRCUIT, AND ELECTRONIC INSTRUMENT}
본 발명은,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측위 방법, 기억 매체,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 측위 회로,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인공 위성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널리 알려져 있고, 내비게이션 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GPS에서는 지구 주위 궤도를 주회하는 복수의 각각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성 신호가 송출되고, GPS 수신기에서는 수신한 GPS 위성 신호를 의거해 현재 위치를 산출(측위)한다.
GPS 수신기에서는, 수신한 GPS 위성 신호를 포착·추미하고, 이 GPS 위성 신호에 포함되는 항법 메시지를 복호하고, 복호한 항법 메시지에 포함되는 GPS 위성의 궤도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의거해, 의사(擬似) 거리를 산출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GPS 위성 신호의 포착(때로는 GPS 위성의 포착이라고도 한다)은, 수신 신호와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 연산을 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레플리카 코드는, GPS 수 신기 내부에서 의사적으로 발생시킨, 포착하려고 하는 GPS 위성 신호에 포함되는 PRN(Pseudo Random Noise) 코드의 일종인 C/A(Coarse/Acquisition) 코드를 모의한 신호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C/A코드와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을, 예를 들면 FFT 연산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코히런트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히런트 처리의 결과인 상관값을 적산하여 적산 상관값을 산출하는 인코히런트 처리를 행한다. 포착하려고 하는 GPS 위성 신호가 틀림없으면, 그 GPS 위성 신호에 포함되는 C/A코드와 레플리카 코드는 일치하고(포착 성공), 틀리면 일치하지 않는다(포착 실패). 그 때문에, 산출된 적산 상관값의 값에 따라 GPS 위성 신호의 포착이 성공한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고, 레플리카 코드로 하는 C/A코드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같은 수신 신호와의 상관 연산을 행함으로써, 언젠가 GPS 위성 신호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상관 연산을 행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제어를 실행한다. 즉, 상술한 코히런트 처리 및 인코히런트 처리를, 레플리카 코드의 발생 신호의 주파수와, C/A코드와 레플리카 코드를 상관 연산할 때의 위상을 변경하면서 행한다. 레플리카 코드의 발생 신호의 주파수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일치하고(더 정확히는 중간 주파수에서의 일치), 또한 C/A코드와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 연산시의 위상이 일치(이 일치한 위상을 「코드 페이즈」라고 한다)했을 경우에, 적산 상관값이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또, GPS에서는, 코히런트 처리의 적산 시간은 20㎳로 제한된다. 이는, GPS 위성 신호가, C/A코드를 항법 메시지로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한 신호이고, 이 항법 메시지의 전송 속도가 50bps(bit per sec)이기 때문이다. 즉, 20㎳ 이상의 데이터에는 항법 메시지에 의한 위상 반전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고, 위상 반전을 거친 코히런트 적산을 행하면 이 위상 반전의 전후에서 상관값의 진폭이 반전하여, 서로 상쇄(캔슬)되어 적산값이 작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GPS 위성 신호의 포착에서는, 20㎳ 이하의 적산 시간에서 코히런트 적산을 실시한 후, 이 상관값에 대한 인코히런트 적산 (크기만의 적산)을 실시한다.
그래서, 항법 메시지의 위상 반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20㎳ 이상의 적산 시간에서의 코히런트 적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항법 메시지의 반전 패턴과 타이밍을 외부 서버인 기지국으로부터 취득하여, 수신 신호의 항법 메시지의 극성을 동일화시켜 상관 연산을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제 378759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방법에서는, 먼저, 항법 메시지의 반전 패턴 및 타이밍을 검출하는 외부 서버가 필요하다. 그리고, GPS 수신기는, 외부 서버와 리얼타임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GPS 수신기는, 외부 서버와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정확한 시각 정보를 계시 또는 취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형태는,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Pseudo Random Noise)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하는 상관 처리 회로에 의해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상기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에 의해 위상각이 2배각으로 된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GPS 등의 측위 시스템에 있어서, 위성 신호에 포함되는 항법 메시지의 위상 반전에 의한 적산값의 상쇄(캔슬)를 방지하여 위상 변조 주기(GPS에서는 20㎳) 이상의 적산 시간에서의 코히런트 적산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Pseudo Random Noise)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하는 상관 처리 회로에 의해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상기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는 위상각 변환부와, 상기 위상각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적산부를 구비한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Pseudo Random Noise)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하는 상관 처리 회로에 의해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상기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에 의해 위상각이 2배각으로 된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을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이 2배각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적산 상관값이 적산된다. 예를 들면, 측위용 위성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의 하나인 GPS에서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측위용 위성 신호인 GPS 위성 신호는, 반송파를 항법 메시지로 BPSK 변조한 신호이고, 항법 메시지의 전송 속도가 50bps인 것으로, 종래에서는, 코히런트 적산의 적산 시간은 20㎳ 이하로 제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코히런트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여, 또한 적산함으로써, 항법 메시지의 위상 반전에 의한 상관값의 상쇄(캔슬)를 방지하여, 그 결과, 코히런트 적산의 적산 시간을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는 BPSK 변조된 신호로서, 상기 상관 처리 회로는 상기 위상 변조 주기보다 짧은 소정의 단위 시간으로 상기 코히런트 적산을 행하고, 상기 적산부는 상기 이상 변조 주기보다 긴 시간에 상기 적산 상관값의 적산을 행하는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를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BPSK 변조된 신호인 측위용 위성 신호의 위상 변조 주기보다 짧은 소정의 단위 시간으로 코히런트 적산이 행해짐과 더불어, 이 위상 변조 주기 보다 긴 시간으로 적산 상관값의 적산이 행해진다. 수신된 측위 위성용 신호가 BPSK 변조된 신호일 경우, 이 위상 변조 주기로 상관값의 진폭이 반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위상 변조 주기보다 짧은 단위 시간으로 코히런트 적산을 실행하고, 또한,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함으로써, 적산 상관값의 적산을 위상 변조 주기보다 긴 시간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위상 반전에 의한 상관값의 상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이 적산 상관값의 적산 시간 분의 코히런트 적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하는 상관 처리부와, 상기 상관 처리부에 의해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상기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는 위상각 변환부와, 상기 위상각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적산부와, 상기 적산부에 의한 적산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를 송출한 측위용 위성과 수신 위치 사이의 의사 거리를 산출하는 의사 거리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의사 거리에 의거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 연산하는 측위 연산부를 구비한 측위 회로를 구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하여, 상기 코히런트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상기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에 의해 위상각이 2배각으로 된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된 적산 상관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를 송출한 측위용 위성과 수 신 위치 사이의 의사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의사 거리에 의거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 연산하는 측위 방법을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이 2배각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적산 상관값이 적산된다. 그리고, 이 적산 결과에 의거하여 의사 거리가 산출되고 현재 위치가 측위 연산된다. 예를 들면, 측위용 위성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의 하나인 GPS에서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측위용 위성 신호인 GPS 위성 신호는, 반송파를 항법 메시지로 BPSK 변조한 신호이고, 항법 메시지의 전송 속도가 50bps인 것으로, 종래에서는, 코히런트 적산의 적산 시간은 20㎳ 이하로 제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코히런트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여, 또한 적산함으로써, 항법 메시지의 위상 반전에 의한 상관값의 상쇄를 방지하고, 그 결과, 코히런트 적산의 적산 시간을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보다 좋은 정밀도로 현재 위치의 측위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는 BPSK 변조된 신호이고, 상기 상관 처리부는 상기 위상 변조 주기보다 짧은 소정의 단위 시간으로 상기 코히런트 적산을 행하고, 상기 적산부는 상기 이상 변조 주기보다 긴 시간에서 상기 적산 상관값의 적산을 행하는 측위 회로이다.
이에 의하면, BPSK 변조된 신호인 측위용 위성 신호의 위상 변조 주기보다 짧은 소정의 단위 시간에서 코히런트 적산을 행함과 더불어, 이 위상변조 주기보다 긴 시간에 적산 상관값의 적산이 행해진다.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BPSK 변조된 신호일 경우, 이 의상 변조 주기에 상관값의 진폭이 반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위상 변조 주기보다 짧은 단위 시간으로 코히런트 적산을 행하고, 또한,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함으로써, 적산 상관값의 적산을 위상 변조 주기보다 긴 시간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위상 반전에 의한 상관값의 상쇄 영향을 받지 않고, 이 적산 상관값의 적산 시간 분의 코히런트 적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적산부에 의한 상기 적산 상관값의 적산 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는 적산 시간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산부는, 상기 적산 시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적산 시간에 상기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측위 회로를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위상각이 2배각으로 변환된 적산 상관값의 적산 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측위 회로의 기동을 검출하는 기동 검출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적산 시간 설정부는, 상기 기동 검출부에 의한 기동 검출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적산 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는 측위 회로를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자측위 회로의 기동 검출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위상각이 2배각으로 변환된 적산 상관값의 적산 시간이 가변으로 설정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레플리 카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적산 시간 설정부는, 수신된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에 의한 발진 신호의 변동 상황이, 상기 적산부에 의한 적산 결과를 이용하여 적절한 측위가 가능한 상황에 있는 것을 판정하기 위한 변동 상황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적산 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는 측위 회로를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에 의거하여, 레플리카 코드의 생성에 이용되는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의 변동 상황이, 적산 결과를 이용하여 적절한 측위가 가능한 상황에 있는 것을 판정하기 위한 변동 상황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가 판정되고,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적산 시간이 가변으로 설정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발진 신호의 변동 상황이 변동 상황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산 시간을 짧게 하는 것처럼,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의 변동 상황에 따른 적절한 적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레플리카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와, 상기 코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레플리카 코드의 주파수 및 위상을 수신된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에 맞추도록 상기 코드 생성부를 제어하는 코드 생성 제어부를 구비한 측위 회로를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레플리카 코드는, 주파수 및 위상을 측위용 위성 신호에 맞추어 생성하도록 제어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측위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구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위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에 상술한 측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를 구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기억 매체란,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나 MO, CD-ROM, DVD, 메모리 카드, IC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GPS 측위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 가능한 실시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1)는, GPS 안테나(10)와 측위 회로인 GPS 수신부(20)와 호스트 CPU(Central Processing Unit)(51)와 조작부(52)와 표시부(53)와 ROM(Read Only Memory)(54)과 RAM(Random Access Memory)(55)과 휴대 전화용 무선 통신 회로부(60)와 휴대 전화용 안테나(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GPS 안테나(10)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GPS 위성 신호를 포함한 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이며, 수신된 RF 신호를 출력한다.
GPS 수신부(20)는, GPS 안테나(10)로 수신된 RF 신호로부터 GPS 위성 신호를 포착·추출하여, GPS 위성 신호로부터 추출한 항법 메시지 등에 의거하는 측위 연 산을 행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이 GPS 수신부(20)는, SAW(Surface Acoustic Wave)필터(21)와, LNA(Low Noise Amplifier)(22)와 발진 회로(23)와 RF(Radio Frequency) 수신 회로부(24)와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를 가진다. 또한, 이 GPS 수신부(20) 중, RF 수신 회로부(24)와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는, 각각 다른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제조하는 것도, 1칩으로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SAW 필터(21), LNA(22) 및 발진 회로(23)를 포함한 GPS 수신부(20) 전체를 1칩으로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SAW 필터(21)는, 밴드 패스 필터로서, GPS 안테나(10)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에 대해 소정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켜, 대역외의 주파수 성분을 차단하여 출력한다. LNA(22)는, 저잡음(低雜音) 앰프이고, SAW 필터(2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발진 회로(23)는, 예를 들면 수정 발진기이고,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가지는 발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RF 수신 회로부(24)는, LNA(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발진 회로(23)로부터 입력되는 발진 신호를 분주 혹은 체배된 신호와 승산(합성)하여 중간 주파수의 신호(IF(lntermediate Frequency) 신호)에 다운 콘버트하고, 직교 복조함으로써 I, Q가 직교한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는, RF 수신 회로부(24)로부터 입력되는 IF 신호(직교 분리 신호) 중에서 GPS 위성 신호를 포착·추미하고, 데이터를 복호해 추출 항법 메시지나 시각 정보 등에 의거하여, 의사 거리의 산출 연산이나 측위 연산 등을 행하는 회로부이다.
도 2는,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는 코드 생성 회로(31)와, 상관 처리 회로부(32)와,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와,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와, CPU(41)와, ROM(42)과, RAM(43)을 가지고 구성된다.
코드 생성 회로(31)는, CPU(4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진 회로(23)에 의한 발진 신호를 이용하고, 소정의 주파수 및 위상의 레플리카 코드(레플리카 C/A코드)를 생성한다.
상관 처리 회로부(32)는, 믹서(33a, 33b)와 코히런트 적산부(34a, 34b)를 가지고, RF 수신 회로부(24)로부터 입력되는 직교 분리 신호(I, Q 신호)와, 코드 생성 회로(31)로부터 입력되는 레플리카 코드에 대해, 예를 들면 FFT 연산에 의해 소정의 적산 시간 T1의 코히런트 적산 처리를 행한다.
믹서(33a, 33b)는, 각각,RF 수신 회로부(24)로부터 입력되는 I, Q 신호와, 코드 생성 회로(31)로부터 입력되는 레플리카 코드를 곱셈(합성)하여 상관값을 산출한다. 코히런트 적산부(34a, 34b)는, 각각, 믹서(33a, 33b)에 의해 곱셈된 상관값을 적산한다. 또, 이 코히런트 적산부(34a, 34b)는, 소정의 적산 시간 T1 마다, 적산한 값(적산 상관값)을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에 출력해, 그 후 적산값을 클리어한다. 적산 시간 T1은, CPU(41)에 의해 20㎳ 미만(상세히는 10~20㎳ 정도)으로 설정된다.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는, 위상각 변환 회로(36)와, 증진 적산부(37a, 37b)를 가지고, 코히런트 적산부(34a, 34b)로부터 입력되는 I, Q 신호 각 각의 적산 상관값(I, Q 적산 상관값)으로 이루어지는 적산 상관값의 위상각θ를 2배각으로 변환하여 적산한다.
위상각 변환 회로(36)는, 상관 처리 회로부(32)로부터 입력되는 I, Q 적산 상관값 각각을 좌표값으로 한 IQ 좌표계에서의 벡터(적산 상관값)를 계산하여, 그 벡터(적산 상관값)의 IQ 좌표계에서의 위상각θ를 2배각으로 변환한다. 위상각θ를 2배각으로 변환하는 위상각 변환 회로(36)의 회로 구성은, 수학식2의 좌변의 연산을 행하는 회로로 이루어진다. 즉, IQ 좌표계에서의 적산 상관값을 수학식1에 나타내는 벡터 v로 하면, 벡터 v의 자승을 산출하여, 그 벡터 v의 크기로 나눗셈하는 회로가 된다. 수학식2의 우변에 나타나는 대로, 수학식1의 벡터 v를 2배각으로 한 벡터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학식1]
Figure 112008043579910-PAT00001
[수학식2]
Figure 112008043579910-PAT00002
증진 적산부(37a, 37b)는, 위상각 변환 회로(36)에 의해 위상각θ가 변환된 적산 상관값의 IQ좌표값인 I, Q 적산 상관값 각각을 적산한다. 또, 이 증진 적산 부(37a, 37b)는, 소정의 적산 시간 T2 마다, 적산한 값(증진 적산 상관값)을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에 출력하여, 그 후 적산값을 클리어한다. 적산 시간 T2는, CPU(41)에 의해 적산 시간 T1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는,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로부터 입력되는 적산 상관값에 대한 인코히런트 적산 처리를 행한다. 즉,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로부터 입력되는 I, Q 신호 각각의 증진 적산 상관값(I, Q 증진 적산 상관값)을 합성하고, 상관값의 크기(절대값)를 적산한다. 그리고, 소정의 측위 간격(예를 들면, 1초)마다, 적산값을 CPU(41)에 출력한다. 또한, 이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의 적산 시간은 CPU(41)에 의해 가변으로 설정된다.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에 의한 적산으로 충분한 상관값을 얻을 수 있을 경우에는, 인코히런트 적산의 적산 시간을 제로 또는 최소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로부터 입력되는 증진 적산 상관값을 인코히런트 적산하지 않고 CPU(41)에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CPU(41)는,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의 각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베이스 밴드 처리를 포함한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밴드 처리에서는,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에 의한 인코히런트 적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적산값을 의거해, GPS 위성 신호를 특정하여 GPS 위성 신호를 포착한다. 이어서, 포착한 GPS 위성 신호를 추미한다. GPS 위성 신호의 추미는, 포착한 복수의 GPS 위성 신호의 동기 유지를 병렬적으로 행하는 처리로서, 예를 들면 지연 고정 루프(DLL)로 실현되어 C/A코드의 위상을 추미하는 콜드 루프와, 예를 들면 위상 고 정 루프(PLL)로 실현되어 반송파 주파수의 위상을 추미하는 캐리어 루프와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추미한 각 GPS 위성 신호의 데이터를 복호하여 항법 메시지를 추출하고, 의사 거리의 연산이나 측위 연산 등을 실시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CPU(41)는, 포착 대상의 GPS 위성 신호에 따른 레플리카 코드를 생성시키도록 코드 생성 회로(31)를 제어함과 더불어, 생성되는 신호의 주파수나 레플리카 코드의 위상을 가변하여 생성시키도록 코드 생성 회로(31)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로부터 출력되는 적산값을 의거해, GPS 위성 신호의 포착·추미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로부터 출력되는 적산값 등을 의거해, GPS 위성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레플리카 코드의 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킴과 더불어, 수신된 GPS 위성 신호의 C/A코드의 위상과 레플리카 코드의 위상을 일치시킨다.
ROM(42)은, CPU(41)가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 및 RF 수신 회로부(24)의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베이스 밴드 처리를 포함한 각종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CPU(41)가 베이스 밴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처리 프로그램(42a)을 기억한다.
RAM(43)은, CPU(41)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고, ROM(42)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CPU(41)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한 연산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도 1에 되돌아가서, 호스트 CPU(51)는, ROM(54)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 프 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휴대 전화기(1)의 각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주로, 전화기로서의 통화 기능을 실현함과 더불어,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로부터 입력된 휴대 전화기(1)의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플롯한 내비게이션 화면을 표시부(53)에 표시시키는 등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한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조작부(52)는, 조작 키나 버튼 스위치 등에 의해 구성되는 입력 장치로서,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호스트 CPU(51)에 출력한다. 이 조작부(52)의 조작에 의해, 측위의 개시/종료 지시 등의 각종 지시가 입력된다. 표시부(5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장치로서, 호스트 CPU(51)로부터 입력되는 표시 신호에 의거하는 표시 화면(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화면이나 시각 정보 등)을 표시한다.
ROM(54)은, 호스트 CPU(51)가 휴대 전화기(1)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55)은, 호스트 CPU(51)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고, ROM(54)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조작부(5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호스트 CPU(51)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한 연산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휴대 전화용 안테나(70)는, 휴대 전화기(1)의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설치한 무선 기지국 사이에 휴대 전화용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이다. 휴대 전화용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회로부(60)는, RF 변환 회로나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는 휴대 전화용의 통신 회로부이고, 호스트 CPU(51)의 제어에 따 라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실험 결과]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관 처리 회로부(32)에 의한 코히런트 적산에 의해 산출된 I, Q 신호 각각과 레플리카 코드와의 적산 상관값(I, Q 적산 상관값)이,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에 의해 위상각θ가 2배각으로 변환된 후, 또한 적산된다. 그리고, 이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에 의해 산출된 I, Q 증진 적산 상관값의 인코히런트 적산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항법 메시지의 위상 반전(BBT)에 의한 상관값의 상쇄(캔슬)를 방지하여, 코히런트 적산을 20㎳ 보다 긴 적분 시간에서 행할 수 있다. 이 이유를, 수신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결과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도 11은, GPS 위성 신호를 포함한 수신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결과이고, 이 수신 신호와 레플리카 코드와의 코히런트 적산을, 20㎳ 이하의 소정의 적산 단위 시간(PDI)에서 반복하여 얻어진 적산 단위 시간마다의 상관 피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도 5는, 레플리카 코드의 주파수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GPS 위성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와는 거의 동기하지만, 위상은 동기하지 않는 경우(비동기 상태)의 상관 피크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관 피크의 시계열 변화를 삼차원 표시한 도이고, 가로축을 시간 t, 세로축을 상관값의 실수부(I 성분), 깊이를 허수부(Q 성분)로서 각 상관 피크를 플롯한다. 도 4는, 상관 피크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가로축을 시간 t, 세로축을 크기로서 각 상관 피크를 플롯한다. 도 5 는, 상관 피크의 IQ 플롯을 나타낸 도이고, 가로축을 상관값의 실수부 Re(I 성분), 세로축을 허수부 Im(Q 성분)으로서 각 상관 피크를 플롯한다.
도 4에 의하면, 상관 피크의 크기는, 0.1 전후의 것과 0.0에 가까운 것으로 나눌 수 있다. 0.0에 가까운 상관 피크는, 항법 메시지의 위상 반전(BBT)의 타이밍을 거쳐 적산했기 때문에, 상관값의 극성이 반전하고, 상쇄하여 저하한 것이다. 이를 IQ 좌표계로 본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관 피크의 값이 흩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IQ 좌표값 각각이, 양의 값이 될 때도 있고 음의 값이 될 때도 있는 상태이며, 좌표값에 규칙성이 없는 상태이다. 만일 이 상태로 코히런트 적산의 적산 시간을 길게 하면, 도 4 중의 0.1 전후의 상관 피크가 감소하여, 0.0에 가까운 상관 피크가 증가해가면서, 최종적으로는 대부분의 상관 피크가 0.0에 가까운 것이 된다.
도 6~도 9는, 레플리카 코드의 주파수 및 위상이,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GPS 위성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및 위상과 거의 동기할 경우(동기 상태)의 상관 피크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은, 상관 피크의 시계열 변화를 삼차원 표시한 도이고, 가로축을 시각 t, 세로축을 상관값의 허수부 Im(Q 성분), 깊이를 실수부 Re(I 성분)로서 각 상관 피크를 플롯한다. 도 7은, 상관 피크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가로축을 시각 t, 세로축을 크기로서 각 상관 피크를 플롯한다. 도 8은, 상관 피크의 IQ 플롯을 나타낸 도이고, 가로축을 상관값의 실수부 Re(I 성분), 세로축을 허수부 Im(Q 성분)으로서 각 상관 피크를 플롯한다. 도 9는, 상관 피크의 실수부를 나타낸 도이고, 가로축을 시각 t, 세로축을 상관값의 실수부 Re(I 성분)로서 각 상 관 피크를 플롯한다.
도 7에 의하면, 상관 피크의 크기는, 도 4에 나타낸 비동기 상태와 같고, 0.1 전후의 것과 0.0에 가까운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IQ 좌표계로 본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관 피크의 값이 원점을 사이에 두고 대칭 위치로 모이고, 그 대칭 위치를 왕래한다는, 비동기 상태에서는 볼 수 없었던 규칙성이 보인다. 즉, 상관 피크의 위상이 서로 180도 벗어난 위치에 모인다. 여기에서, 상관 피크의 I 좌표값의 시간 변화에 대해 주목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법 메시지의 위상 반전(BBT)의 주기에서 규칙적으로 양음이 반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Q좌표값에 대해서도 동일한 규칙성을 볼 수 있다. 즉, 상관 피크의 값이 IQ 좌표계의 원점을 사이에 두고 대칭 위치로 모이고, 그 대칭 위치를 왕래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만일 이 상태로 코히런트 적산의 적산 시간을 길게 하면, 비동기 상태의 경우와 같이, 0.0에 가까운 상관 피크가 증가해가고, 최종적으로는 대부분의 상관 피크가 0.0에 가까운 것이 된다.
도 10, 도 11은, 동기 상태에서의 신호 처리 결과이고, 도 6에 나타낸 각 상관 피크의 위상각θ를 2배각으로 변환한 결과이다. 도 10은, 각 상관 피크에 대해, 위상각θ를 2배각으로 변환한 상관 피크(변환 후 상관 피크)의 IQ 플롯을 나타낸 도이고, 가로축을 상관값의 실수부 Re(I 성분), 세로축을 허수부 Im(Q 성분)으로서 각 변환 후 상관 피크를 플롯한다. 도 11은, 변환 후 상관 피크의 적산값을 나타내는 도이고, 가로축을 시각, 세로축을 적산값(누적값)으로서, 변환 후 상관 피크를 복소수 대로 적산(코히런트 적산)한 적산값(코히런트 적산값)을 플롯한다.
도 10에 의하면, IQ 좌표계에서 본 경우, 위상각θ를 2배각으로 변환한 상관 피크 (변환 후 상관 피크)는, 거의 같은 위상각이 되고, 그 값도 어떤 값으로 모이는 규칙성이 보인다. 즉, 도 10의 예에서는, 변환 후 상관 피크의 Q 좌표값은 대략 음 값("-0.8”전후)이 중심이고, I 좌표값은 양 값이 될 수도 있고, 음 값이 될 수도 있는 "0”전후 값이 중심이다. 값이 거의 같기 때문에, 위상각도 거의 같은 각도이다. 이 때문에, 변환 후 상관 피크의 값을 적산(누적)해가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산 시간에 비례하여 적산 상관값이 증가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코히런트 적산으로 산출된 상관 피크의 위상각θ를 2배각으로 변환한 후, 또한 적산함으로써, 항법 메시지의 위상 반전(BBT)에 의한 상관값의 상쇄(캔슬)를 방지하여, 20㎳ 이상의 적분 시간으로의 코히런트 적산이 가능하게 된다.
[동작]
도 12는,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의 베이스 밴드 처리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에 의하면,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에서는, 먼저, CPU(41)가, 포착 대상의 GPS 위성 신호에 따라 레플리카 코드의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을 결정하여, 코드 생성 회로(31)에 설정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A1). 이어서, 믹서(33a, 33b) 각각이, RF 수신 회로부(24)로부터 입력된 I, Q 신호 각각과, 코드 생성 회로(31)로부터 입력된 레플리카 코드를 합성하여 상관값을 산출한다(스텝 A3). 그러면, 코히런트 적산부(34a, 34b) 각각이, 믹서(33a, 33b)에 의해 산출된 상관값을 적산한다(스텝 A5). 그리고, 적산 시간 T1분의 적산이 종료하지 않았 다면(스텝 A7: NO), 스텝 A3으로 돌아온다.
적산 시간 T1분의 적산이 종료했다면(스텝 A7: YES), 코히런트 적산부(34a, 34b) 각각이 적산값(적산 상관값)을 위상각 변환 회로(36)에 출력하여, 이 적산값을 삭제한다. 그 다음에, 위상각 변환 회로(36)가, 코히런트 적산부(34a, 34b)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I, Q 적산 상관값 각각을 IQ 좌표값으로 한 적산 상관값의 위상각θ를 2배각으로 변환한다(스텝 A9). 그러면, 증진 적산부(37a, 37b) 각각이, 위상각 변환 회로(36)에 의해 각변환된 적산 상관값의 IQ 좌표값 각각인 I, Q 적산 상관값을 적산한다(스텝 A11). 그리고, 적산 시간 T2분의 적산이 종료하지 않았다면(스텝 A13: NO), 스텝 A3으로 돌아온다.
적산 시간 T2분의 적산이 종료했다면(스텝 A13: YES), CPU(41)가 인코히런트 적산을 행할지 아닐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의거해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를 제어한다. 인코히런트 적산을 행한다고 판단했으면(스텝 A15: YES),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가, 인코히런트 적산 동작을 행한다(스텝 A17). 즉, 증진 적산부(37a, 37b)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I, Q 적산 상관값을 합성하여 그 크기(절대값)를 적산하는 처리를, 소정의 적산 시간 T3 동안, 반복하여 행한다. 한편, 인코히런트 적산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스텝 A15: NO),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는,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로부터 입력된 I, Q 적산 상관값을, 그대로, 혹은, 그 크기(절대값)를 CPU(41)에 출력한다(스텝 A19).
이어서, CPU(41)가, 인코히런트 적산 회로(38)로부터 입력된 적산값을 의거해 의사 거리를 산출하여(스텝 A21), 산출한 의사 거리에 의거하는 측위 연산을 실 행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 후, 산출한 현재 위치를 호스트 CPU(51)에 출력한다(스텝 A23). 그 후, 측위를 종료하지 않는다면(스텝 A25: NO), 스텝 A1로 돌아와, 측위를 종료한다면(스텝 A25: YES), 상기 동작을 종료한다. 측위의 종료는,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기능을 「OFF」로 하는 지시 조작이 된다, 혹은 전원을 「OFF」로 하는 지시 조작이 됨으로써, 호스트 CPU(51)로부터 측위의 종료가 지시된 경우라고 판단된다.
[작용·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관 처리 회로부(32)에 의한 코히런트 적산에 의해 산출된, 수신 신호를 직교 분리한 I, Q 신호 각각과 레플리카 코드와의 적산 상관값(I, Q 적산 상관값)을 IQ 좌표값으로 하는 적산 상관값의 위상각θ가, 위상각 변환 회로(36)에 의해 2배각으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이 변환 후의 적산 상관값의 IQ 좌표값 각각인 I, Q 적산 상관값이 또한 적산되고, I, Q 증진 적산 상관값이 산출된다. 그리고, 이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에 의해 산출된 I, Q 증진 적산 상관값에 대해,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에 의해 인코히런트 적산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항법 메시지의 위상 반전(BBT)에 의한 상관값의 상쇄(캔슬)를 방지하여, 코히런트 적산을 20㎳ 보다 긴 적분 시간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코히런트 적산 시간이 20㎳ 이하에 제한되어 있던 종래와 비교하여, 신호 포착에 요한 시간을 단축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례]
또한, 본 발명의 적용 가능한 실시 형태는 상술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 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 코히런트 적산 시간 T2를 가변
예를 들면,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부(35)에서의 적산 시간 T2를 가변한다. 또한, 이 적산 시간 T2의 가변은, CPU(41)가 행한다.
(A-1) 측위 회로의 기동 시간
측위 회로로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의 기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t를 계측하여, 이 경과시간 t에 따라 적산 시간 T2를 변경한다. 도 13에, 기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t와 적산 시간 T2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에서는, 가로축을 경과 시간 t, 세로축을 적산 시간 T2로 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3에 의하면, 경과 시간 t가 길수록, 적산 시간 T2가 길어지도록 정해져 있다. 이는,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30)의 기동 직후는, 회로 동작에 수반하는 발열 등에 의해 온도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발진 회로(23)의 발진 상황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A-2) 발진 회로의 발진 상황
또, 발진 회로(23)의 발진 상황에 따라 적산 시간 T2를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발진 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발진 신호 주파수를 수신 신호의 주파수와 비교하여 발진 신호의 변동 상황을 판정해, 판정된 변동 상황에 따라 적산 시간 T2를 변경한다.
도 14에, 이 경우의 적산 시간 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에 의하면, CPU(41)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GPS 위성 신호 중에서, 강도가 가장 큰 GPS 위성 신호를 선택한다(스텝 B1). 이어서, 선택한 GPS 위성 신호의 주파수와, 발진 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발진 신호의 주파수 차이(차주파수)의, 현재부터 과거 소정 시간 사이의 시간 경과에 대한 변화(경시적 변화)를 측정한다(스텝 B3). 그리고, 측정한 차주파수의 경시적 변화가, 변화가 적은 것을 판정하기 위한 소정의 저변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저변동 조건을 만족할 경우, 즉 발진 신호의 변동이 작을 경우에는(스텝 B5: YES), 적산 시간 T2를 소정의 시간 T2a로 설정하고(스텝 B7), 저변동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즉 발진 신호의 변동이 큰 경우에는(스텝 B5: NO), 적산 시간 T2를 소정의 시간 T2b로 설정한다(스텝 B9). 단, T2a>T2b이다.
(B) 측위 회로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측위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일종인 휴대 전화기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휴대형의 내비게이션 장치나 차재용의 내비게이션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손목시계와 같은 다른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 위성 측위 시스템
또,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GPS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와 같은 다른 위성 측위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D) 기억 매체
또, 베이스 밴드 처리 프로그램(42a)을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에 인스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신규 사항 및 효과로부터 실체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예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 것이다.
도 1은,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부의 회로 구성부이다.
도 3은, 비동기 상태에서의 상관 피크의 삼차원 표시도이다.
도 4는, 비동기 상태에서의 상관 피크의 크기의 시계열 변화도이다.
도 5는, 비동기 상태에서의 상관 피크의 IQ 블록도이다.
도 6은, 동기 상태에서의 상관 피크의 삼차원 표시도이다.
도 7은, 동기 상태에서의 상관 피크의 크기의 시계열 변화도이다.
도 8은, 동기 상태에서의 상관 피크의 IQ 블록도이다.
도 9는, 동기 상태에서의 상관 피크의 실수부의 시계열 변화도이다.
도 10은, 동기 상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한 상관 피크의 IQ 블록이다.
도 11은, 동기 상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한 상관 피크의 적산값이다.
도 12는, 베이스 밴드 처리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변형예에서의 측위 회로의 기동 시간과 적산 시간 T2의 관계의 일례이다.
도 14는, 변형예에서의 적산 시간 결정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11)

  1.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Pseudo Random Noise)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하는 상관 처리 회로에 의해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상기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에 의해 위상각이 2배각으로 된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된 신호이고,
    상기 상관 처리 회로는 상기 BPSK 변조의 위상 변조 주기보다 짧은 소정의 단위 시간으로 상기 코히런트 적산을 행하는 회로이며,
    상기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것은, 상기 위상 변조 주기보다 긴 시간으로 상기 적산 상관값의 적산을 행하는 것인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적산 상관값의 적산 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것은, 상기 설정된 적산 시간으로 상기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것인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산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을 실행 개시한 후의 경과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적산 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는 것인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레플리카 코드를 생성하는 것과,
    수신된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에 의한 발진 신호의 변동 상황이, 상기 적산 상관값의 적산의 결과를 이용하여 적절한 측위가 가능한 상황에 있는 것을 판정하기 위한 변동 상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산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적산 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는 것인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카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생성된 상기 레플리카 코드의 주파수 및 위상을, 수신된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에 맞추도록 상기 레플리카 코드를 생성하는 것인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에 의한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를 송출한 측위용 위성과 수신 위치간의 의사(擬似)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의사 거리에 의거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 연산하는, 측위 방법.
  8. 측위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에,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Pseudo Random Noise)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하는 상관 처리 회로에 의해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상기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는 것과,
    상기 변환에 의해 위상각이 2배각으로 된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것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9. 수신된 측위용 위성 신호가 직교 분리된 직교 분리 신호와, PRN(Pseudo R andom Noise) 코드의 레플리카 코드의 상관값을 연산하여 코히런트 적산하는 상관 처리 회로에 의해 적산된 적산 상관값의 상기 직교 분리 좌표에서의 위상각을 2배각으로 변환하는 위상각 변환부와,
    상기 위상각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적산 상관값을 적산하는 적산부를 구비한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
  10. 청구항 9에 기재된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와,
    상기 코히런트 적산 증진 회로에 의한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측위용 위성 신호를 송출한 측위용 위성과 수신 위치간의 의사 거리를 산출하는 의사 거리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의사 거리에 의거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 연산하는 측위 연산부를 구비한 측위 회로.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측위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080057334A 2007-06-19 2008-06-18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측위 방법, 기억 매체, 코히런트적산 증진 회로, 측위 회로, 및 전자기기 KR200801121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0914A JP2009002659A (ja) 2007-06-19 2007-06-19 コヒーレント積算増進回路、測位回路、電子機器、コヒーレント積算増進方法、測位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JP-P-2007-00160914 2007-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123A true KR20080112123A (ko) 2008-12-24

Family

ID=3979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7334A KR20080112123A (ko) 2007-06-19 2008-06-18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측위 방법, 기억 매체, 코히런트적산 증진 회로, 측위 회로,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30303B2 (ko)
EP (1) EP2006706B1 (ko)
JP (1) JP2009002659A (ko)
KR (1) KR20080112123A (ko)
CN (1) CN1013293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024780A (en) * 2008-12-26 2010-07-01 Altek Corp Electronic device for decoding navigation data by using phase angle variation and method thereof
CN101770015B (zh) * 2008-12-30 2012-06-27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得到全球定位系统信号的正确相位反转点的方法
US8339313B2 (en) * 2009-01-13 2012-12-25 Mediatek Inc. Positioning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JP2011202958A (ja) * 2010-03-24 2011-10-13 Seiko Epson Corp 信号捕捉方法、信号捕捉装置及び電子機器
US8259012B2 (en) 2010-04-14 2012-09-04 The Boeing Company Software GNSS receiver for high-altitude spacecraft applications
US10802158B2 (en) * 2015-09-30 2020-10-13 Apple Inc. Dynamic coherent integration
CN109462433B (zh) * 2018-11-07 2019-11-26 北京天海达科技有限公司 一种北斗短报文发送设备及方法
CN111708058B (zh) * 2020-06-30 2023-08-29 湖南国科微电子股份有限公司 信号捕获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3255B2 (en) * 1995-10-09 2003-10-14 Qualcomm Inc. Method for open loop tracking GPS signals
DE69838759T2 (de) * 1997-12-29 2008-10-30 Kabushiki Kaisha Kenwood Schaltung zum fangen eines rahmensynchronisiersignals in einem empfänger
US6181911B1 (en) 1998-09-09 2001-01-30 Qualcomm Incorporated Simplified receiver with rotator for performing position location
US7929928B2 (en) * 2000-05-18 2011-04-19 Sirf Technology Inc. Frequency phase correction system
JP4617618B2 (ja) * 2001-07-26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信号の拡散符号同期検出方法および装置
US7002514B2 (en) * 2003-01-17 2006-02-21 Sirf Technology, Inc. Using multiple detection algorithms in positioning signal processing
US7317752B2 (en) * 2003-07-11 2008-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GPS correlated peak signal
JP3787592B2 (ja) 2003-11-19 2006-06-21 マゼランシステムズジャパン株式会社 衛星測位方法及び衛星測位システム
US7619559B2 (en) * 2006-03-15 2009-11-17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ll-in-view coherent GPS signal PRN codes acquisition and navigation solution de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9396B (zh) 2011-08-24
EP2006706B1 (en) 2012-06-27
CN101329396A (zh) 2008-12-24
EP2006706A2 (en) 2008-12-24
JP2009002659A (ja) 2009-01-08
US20080316095A1 (en) 2008-12-25
EP2006706A3 (en) 2010-05-26
US7830303B2 (en)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2123A (ko) 코히런트 적산 증진 방법, 측위 방법, 기억 매체, 코히런트적산 증진 회로, 측위 회로, 및 전자기기
US9065549B2 (en) Correlation calculating method, satellite signal capturing method, and correlation calculating circuit
US8362952B2 (en) Memory reduction in GNSS receiver
JP4229169B2 (ja) 測位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4888110B2 (ja) 相関演算制御回路及び相関演算制御方法
JP2013142606A (ja) 衛星信号捕捉方法及び衛星信号捕捉装置
JP5321500B2 (ja) 信号捕捉方法
JP5321499B2 (ja) 信号捕捉方法
CN102478656A (zh) 误相关判断方法以及误相关判断装置
JP2011202958A (ja) 信号捕捉方法、信号捕捉装置及び電子機器
JP4911220B2 (ja) 衛星信号捕捉方法及び衛星信号受信装置
JP2011203234A (ja) 信号捕捉方法、信号捕捉装置及び電子機器
JP5968053B2 (ja) 衛星信号受信機
JP2011112363A (ja) 捕捉周波数決定方法及び受信装置
JP5051011B2 (ja) サーチ周波数補正方法、測位方法、プログラム及び受信装置
JP2011137802A (ja) 受信信号積算方法及び受信装置
JP2011133424A (ja) 受信信号積算方法及び受信装置
JP5488380B2 (ja) 衛星信号捕捉方法及び衛星信号受信装置
JP6011042B2 (ja) 受信部駆動制御方法及び受信装置
JP2013246017A (ja) 受信装置及び相関積算処理方法
JP2011174912A (ja) 信号捕捉方法及び信号捕捉装置
JP2011174913A (ja) 信号捕捉方法及び信号捕捉装置
JP2012078348A (ja) ビット変化判定方法及びビット変化判定装置
JP2011114862A (ja) 捕捉周波数決定方法及び受信装置
JP2008051574A (ja) プログラム、測位回路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