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159A - 제어 장치 및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및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159A
KR20080111159A KR1020087028978A KR20087028978A KR20080111159A KR 20080111159 A KR20080111159 A KR 20080111159A KR 1020087028978 A KR1020087028978 A KR 1020087028978A KR 20087028978 A KR20087028978 A KR 20087028978A KR 20080111159 A KR20080111159 A KR 20080111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ntrol rod
locking means
groove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괴라스
마그누스 하그버그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0600905A external-priority patent/SE0600905L/xx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8011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04Shift element interlock
    • Y10T74/20116Resiliently biased inter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28Resiliently biased restri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박스의 소망하는 기어들의 계합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 장치(1)는 관련 잠금 장치(20)를 구비하는 제어 로드(3a)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어 로드의 미리 결정된 설정 위치를 각각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홈 또는 요홈(22a ~ 22c)을 구비하는 잠금 요소(21)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또한 제어 로드의 홈(24) 내에 배열된 탄성 잠금 수단(23)도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 수단은 잠금 부분(23a)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분은, 이 잠금 부분이 상기 잠금 요소 내의 상기 홈/요홈들 중 어느 하나에 계합되어서 잠금 요소에 대한 제어 로드의 이동에 반작용하게 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잠금 부분이 상기 잠금 요소 내의 상기 홈/요홈들 어느 것에도 계합되지 않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잠금 수단의 스프링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제어 로드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홈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자동차, 기어박스, 제어 장치, 제어 로드, 홈, 요홈, 탄성, 잠금

Description

제어 장치 및 기어박스{CONTROL ARRANGEMENT AND GEARBOX}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승용차, 트럭, 세미트레일러(semitrailer)용 견인 차량, 또는 버스와 같은 자동차의 수동 기어박스에 있어서, 원하는 기어의 계합은 일반적으로는 기어박스의 일부를 형성하며 다수의 제어 로드들을 구비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 로드들은 차량의 기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기어박스의 여러 기어 위치들을 결정하는 미리 결정된 여러 설정 위치들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각 제어 로드는, 그 제어 로드가 기어 레버의 이동에 응하여서 미리 결정된 설정 위치들 중 어느 한 설정 위치를 취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제어 로드가 해당 설정 위치로부터 예기치 않게 이동(변속)되지 않게 하는 잠금 장치(locking arrangement)와 협동한다. 유럽 공개 특허 공보 EP 0 702 172 A1호는 기어박스의 제어 로드용 잠금 장치의 종래 방식의 것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잠금 장치는 스프링 수단의 작용에 의해서 제어 로드의 여러 요홈들 안에 계합되도록 구성된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요홈들 각각은 제어 로드의 미리 결정된 설정 위치에 대응한다. 각 요홈은 잠금 수단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안내면을 구비하는데, 상기 잠금 수단과 안내면의 협동은, 각 요홈에 잠금 수단이 계합된 상태에서 제어 로드의 설정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움직이는 제어 로드의 축선 방향 이동에 응하여서 잠금 수단이 안내면의 작용에 의해서 스프링 수단의 작용에는 대항해서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느 한 설정 위치로부터 다른 설정 위치로 변경하게 되면, 제어 로드는, 잠금 수단을 거쳐서 상기와 같은 축선 방향 이동에 대해 반작용하게 되는 스프링으로부터 발생한 스프링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지고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요홈들 중 다른 요홈이 잠금 수단의 근처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멀리 제어 로드가 이동하게 되면, 그 요홈에는 잠금 수단이 스프링 수단의 작용에 의해서 전방향으로 이동하여서 계합되고, 그에 의해 잠금 수단이 제어 로드의 추가적인 이동에 대해 반작용한다. 이러한 잠금 기능에 의해서, 기어 레버를 조작하는 사람은 각 제어 로드와 기어 레버를 거쳐서 여러 기어 위치들을 지각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일부 관점에 보더라도 종래 구성의 제어 장치에 비해서 이점을 제공하는 구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앞에서 언급한 형태의 제어 장치를 더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관련된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제어 로드가 상기 잠금 요소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배열될 수 있도록 제어 로드의 미리 결정된 설정 위치를 각각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홈(groove) 또는 요홈(recess)을 구비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또한 제어 로드의 홈 내에 배열된 탄성 잠금 수단도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 수단은 잠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분은, 이 잠금 부분이 상기 잠금 요소 내의 상기 홈/요홈들 중 어느 하나에 계합되어서 잠금 요소에 대한 제어 로드의 이동에 반작용하게 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잠금 부분이 상기 잠금 요소 내의 상기 홈/요홈들 어느 것에도 계합되지 않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잠금 수단의 스프링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제어 로드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홈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수단이 이와 같이 실제 제어 로드 내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잠금 장치가 특히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또한 제어 장치의 구성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해결책에 비해서 가능한 한 간단하게 하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잠금 수단은 그 본질이 탄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잠금 장치는 잠금 수단에 대해 작용하는 별도의 스프링 수단을 포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수단은 판 스프링의 형태를 취하는데, 이로써 잠금 수단은 낮은 제조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수단은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 내에 느슨하게 안착되는데, 그 결과 잠금 수단이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의 측면에 대해서 맞대어지게 됨으로써 제어 로드의 종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잠금 수단을 제어 로드의 홈 안에 조립시키기 위한 특수 체결 수단이 필요 없게 되어서, 잠금 장치가 소수의 단순 형상의 구성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게 하며 이와 아울러 특히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종속 청구항과 이하의 설명에서 서술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기어박스, 바람직하기로는 수동 기어박스 형태의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하에서는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기준으로 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어 로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a는 관련 잠금 장치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제어 로드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b는 관련 잠금 장치가 비잠금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제어 로드를 도 2a와 마찬가지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c는 도 2a 및 도 2b에 따른 제어 로드와 잠금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d는 도 2a 내지 도 2c에 따른 잠금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잠금 수단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제어 로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기어박스의 상부 부분의 배면으로부터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절단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1)는 기어박스의 원하는 기어들의 계합을 제어하기 위해 기어박스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잠금 장치와는 별도로, 제어 장치와 관련 기어박스는 종래의 공지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은 홀더 유닛(2) 내에서 직선 운동을 하도록 배열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1)의 일부를 형성하는 4개의 제어 로드(3a ~ 3d)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는 명료성을 위해서 홀더 유닛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로드의 개수는 여기에 도시된 것보다 많게 하거나 혹은 적게 할 수 있다. 홀더 유닛(2)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 기어박스의 하우징(5) 내에 일체가 되게 구성할 수 있다. 제어 로드(3a ~ 3d) 각각은 홀더 유닛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홀더 유닛(2)에 대한 이동을 할 수 있게 지지된다. 제어 로드(3a ~ 3d)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로드의 각 단부에서 일례로 평면 베어링(plain bearing)(6a, 6b)을 거쳐서 홀더 유닛(2)에 대해서 지지될 수 있다. 제어 로드(3a ~ 3d) 각각은 기어 레버에 공지의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어 레버에 의해서 제어 로드(3a ~ 3d)가 홀더 유닛(2)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즉 운전자는 미리 결정된 여러 위치들 사이에서 기어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제어 로드(3a ~ 3d)를 홀더 유닛(2)에 대해서 원하 는 설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어 로드(3a ~ 3d) 각각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 공지의 방식으로 셀렉터 포크(7a ~ 7d)를 거쳐서 기어박스의 미리 결정된 여러 기어들의 계합과 계합 해제를 실행한다. 셀렉터 포크(7a ~ 7d) 각각은 관련 제어 로드(3a ~ 3d)와 함께 이동하여서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공지의 기어박스 제어 기구를 거쳐서 기어박스의 기어 위치에 작용을 한다. 제어 로드 각각은 기어박스의 2개의 다른 기어들의 계합과 계합 해제를 실행한다. 제어 로드(3a ~ 3d) 각각은 중립 위치로부터 종방향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설정 위치까지 이동하여서 상기 2개의 기어들 중 제1 기어와 계합하고 또 다른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설정 위치까지 이동하여서 상기 2개의 기어들 중 제2 기어와 계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로드들 중에서 3개의 제어 로드(3a ~ 3c)가 이하에서는 작동 로드라고 칭하는 공동 제어 로드(3e)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 로드(3e)는, 홀더 유닛에 대해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홀더 유닛(2)에 대해 직선 및 회전 운동을 하게 지지된다. 작동 로드(3e)는 여기에 예시되지 않는 공지의 방식으로 기어 레버에 연결되고, 이 기어 레버에 의해 작동 로드(3e)는 홀더 유닛(2)에 대해 직선 및 회전 운동을 행한다. 사용자, 즉 자동차의 운전자는 미리 결정된 여러 위치들 사이에서 기어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작동 로드(3e)를 그 작동 로드의 종방향으로 움직여서 미리 결정된 다수의 직선 위치들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어 로드(3a ~ 3d) 각각을 위해서 작동 로드(3e)는 미리 결정된 직선 위치를 갖는다. 상기 직선 위치의 여하에 따라서, 작동 로드(3e)는 한 번에 하나의 제어 로드(3a ~ 3c)를 미리 결정 된 설정 위치들 사이에서 작동 로드의 종축을 중심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제어 로드(3a ~ 3c) 각각에는 작동 로드(3e)의 대응하는 제어 수단(9e)과 협동하는 제어 수단(9a ~ 9c)이 구비된다. 제어 수단(9a ~ 9c 및 9e) 각각은 관련 제어 로드(3a ~ 3c, 및 3e)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 수단(9e)은 작동 로드(3e)와 함께 직선 및 회전 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제어 수단(9a ~ 9c) 각각은 관련 제어 로드(3a ~ 3c)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작동 로드(3e)를 종방향으로 움직이면 그것의 제어 수단(9e)은 제어 로드(3a ~ 3c)의 제어 수단(9a ~ 9c) 중 하나와 한번에 계합될 수 있게 된다. 작동 로드(3e)가 특정의 제어 로드(3a ~ 3c)에 속한 직선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로드(3e)의 회전 운동은 작동 로드의 제어 수단(9e)과 제어 로드의 제어 수단(9a ~ 9c) 사이의 상호 계합을 거쳐서 각각의 제어 로드의 축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4 제어 로드(3d)의 설정 위치는 작동 로드(3e)에 의해서는 제어되지 않고 일례로 여기서는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종래의 공압 방식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제어 로드(3a ~ 3d)들 각각에는 이들 제어 로드(3a ~ 3d)의 홀더 유닛(2)에 대한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설정 위치들을 한정하도록 구성된 잠금 장치(20)가 배치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잠금 장치(20)가 있는 제어 로드(3a)의 부분을 도시한다. 잠금 장치(20)는, 제어 로드(3a)의 홀더 유닛(2)에 대한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설정 위치들을 각각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홈 또는 요홈(22a ~ 22c)이 구비된 잠금 요소(21)를 포함한다. 홈 또는 요홈(22a ~ 22c) 각각 은 제어 로드(3a)를 향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20)는 제어 로드(3a)의 홀더 유닛(2)에 대한 3개의 다른 설정 위치들을 한정하도록 배열되고, 이 경우에, 잠금 장치에는 제어 로드의 종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하게 정렬되어 배열된 3개의 홈 또는 요홈(22a ~ 22c)이 구비된다. 제어 로드(3a)는 잠금 요소(21)에 대하여 이동하게 배열된다. 잠금 요소(21)는 제어 로드(3a)와 홀더 유닛(2)의 체결에 개재되는 베어링들 중 하나인 베어링(6a)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는, 양 단부 중 한 단부에 상기 홈(22a ~ 22c)이 구비되며 슬리브(29) 내의 슬릿(28)에 장착되는 별도의 판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슬리브(29)는 제어 로드(3a) 부분을 활주 가능하게 안에 수용하는 내부 구멍(29a)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잠금 요소(21)는 홈 또는 요홈(22a ~ 22c) 각각이 슬리브의 구멍(29a) 안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된 형태로 슬리브(29) 안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요소의 다른 실시예도 역시 생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잠금 장치(20)는 또한 상기 제어 로드(3a) 내의 홈(24) 내에 배열된 탄성 잠금 수단(23)도 또한 포함한다. 상기 홈(24)은 제어 로드의 쉘 표면에 배열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부분(23a)을 구비하는데, 상기 잠금 부분은, 이 잠금 부분(23a)이 상기 잠금 요소 내의 상기 홈 또는 요홈(22a ~ 22c)들 중 어느 하나에 계합되어서 잠금 요소(21) 및 홀더 유닛(2)에 대한 제어 로드(3a)의 직선 이동에 반작용하게 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잠금 부분(23a)이 상기 잠금 요소 내의 상기 홈/요홈들 어느 것에도 계합되지 않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잠금 수 단(23)의 스프링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제어 로드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홈(24)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배열된다. 상기 잠금 부분(23a)은 상기 잠금 수단(23)의 스프링력의 작용을 통해서 사전에 하중을 받아서 돌출 위치를 취하게 된다. 상기 잠금 부분(23a)은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24)의 외향 구멍을 통하여 연장된다. 잠금 부분(23a)은 바람직하기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볼록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수단(23)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분(23a)이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한 때에는 탄성 변형을 겪게 된다. 그 후에 잠금 부분(23a)이 돌출 위치로 복귀하면 잠금 수단(23)은 탄성 복원되어 그의 원래 형상을 취하게 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잠금 수단(23)은 잠금 부분(23a)의 양 측면에 배열되며 잠금 부분(23a)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 부분(23b, 23c)을 구비하는데, 상기 지지 부분을 거쳐서 상기 잠금 수단(23)이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24)의 표면에 대해서 맞대어진다. 이와 같은 지지 부분(23b, 23c)은 잠금 수단(23)의 다리(limb)들을 형성하고, 상기 다리들은 이들 사이에 위치된 잠금 부분(23a)에 연결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부분(23b, 23c)은 홈(24)의 바닥면(24a)에 놓인다. 제어 로드(3e)와 잠금 수단의 지지 부분(23b, 23c) 사이의 접촉 표면들은, 잠금 부분(23a)이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어느 방향으로라도 이동할 때에 잠금 수단(23)의 형상 변경에 응하여서 지지 부분과 제어 로드 서로가 제어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게 하는 상호 활주 표면을 구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부분(23b, 23c) 각각의 잠금 부분(23a)으로부터 떨어져서 향한 단부는 잠금 부분(23a)을 향하여(도 2a에 따른 측면도에서 상향으로, 도 2d에 따른 측면도에서 하향으로) 절곡되어 후크형 단부 부분(23b', 23c')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형 단부 부분(23b', 23c')은 잠금 부분(23a)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다. 상기 후크형 단부 부분(23b', 23c')은 홈(24) 안에 완전히 수용되고, 그 단부 부분들 각각은 그들 각각의 홈(24)의 반대측 축 방향 단부에서 인접 측면(24b, 24c)에 대해 맞대어지는 외측부를 갖는다.
잠금 수단(23)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잠금 부분(23a)이 하향으로 향해 있는 갈매기 날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잠금 수단(23)은 어떤 다른 적절한 형상으로도 할 수 있다.
잠금 수단(23)은 금속, 바람직하기로는 강으로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고, 판 스프링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수단(23)은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24) 내에 느슨하게 착좌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24)의 측방 표면들에 대해 맞대어짐으로써 제어 로드의 종방향과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수단(23)과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24)은 길고,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로드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 위치를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제어 로드(3a)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잠금 수단(23)으로부터 나오는 스프링력을 극복해서 잠금 수단의 잠금 부분(23a)들이 잠금 요소의 각각의 홈 또는 요홈과의 계합에 서 풀리도록 할 수 있는 힘을 가하면서 이동시켜야 한다. 그 후에 잠금 부분(23a)이 홈 또는 요홈(22a ~ 22c)들 중 다른 홈 또는 요홈의 근처에 도달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멀리 제어 로드가 이동하게 되면, 잠금 부분(23a)은 잠금 수단(23)의 스프링력의 작용을 통해서 전방향으로 이동하여 홈 또는 요홈과 계합하고, 그에 의해 제어 로드의 추가 이동에 반작용한다.
잠금 요소 내의 홈 또는 요홈(22a 내지 22c) 각각은 잠금 수단의 잠금 부분(23a)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안내면(27)을 구비하는데, 상기 잠금 부분과 안내면의 협동은, 홈 또는 요홈(22a 내지 22c) 각각에 잠금 부분(23a)이 계합된 상태에서 제어 로드(3a)가 이 제어 로드의 설정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잠금 요소(21)에 대하여 움직이게 되는 것에 응하여서 잠금 부분이 안내면의 작용을 통해서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또는 요홈(22a ~ 22c)들은, 함께 어우러졌을 때에, 잠금 요소(21)를 관통한 종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실질적으로 정현파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 유닛(2)에 대한 작동 로드(3e)의 여러 미리 설정된 설정 위치를 한정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잠금 장치를 작동 로드(3e)에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1)는 특히 자동차용 수동 기어박스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어박스(10)를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당 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있어서는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술한 실시예들을 여러 가지로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기 때문이다.

Claims (11)

  1. 기어박스의 소망하는 기어들의 계합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홀더 유닛(2)과, 관련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로드(3a)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로드(3a)는 상기 홀더 유닛(2) 안에서 직선 운동을 하게 배열되고 상기 관련 잠금 장치(20)는 상기 제어 로드(3a)의 상기 홀더 유닛(2)에 대한 미리 결정된 설정 위치를 하나 이상 한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20)는,
    - 잠금 요소(21)로서, 상기 제어 로드(3a)가 상기 잠금 요소(21)에 대해서 직선 이동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로드(3a)의 상기 홀더 유닛(2)에 대한 미리 결정된 설정 위치를 각각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홈 또는 요홈(22a ~ 22c)을 구비하는 잠금 요소(21)와;
    - 상기 제어 로드 내의 홈(24) 내에 배열되고 잠금 부분(23a)을 구비하는 탄성 잠금 수단(23)으로서, 상기 잠금 부분은, 이 잠금 부분(23a)이 상기 잠금 요소 내의 상기 홈 또는 요홈들 중 어느 하나에 계합되어서 잠금 요소에 대한 제어 로드의 이동에 반작용하게 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잠금 부분(23a)이 상기 잠금 요소 내의 상기 홈 또는 요홈들 어느 것에도 계합되지 않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잠금 수단(23)의 스프링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제어 로드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홈(24)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배열된 구성으로 된, 탄성 잠금 수단(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23)은 판 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23)과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24)은 길고, 제어 로드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23)은, 잠금 부분(23a)의 양 측면에 배열되며 잠금 부분(23a)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 부분(23b, 23c)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분을 거쳐서 상기 잠금 수단(23)이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24)의 표면에 대해서 맞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분(23b, 23c) 각각의 잠금 부분(23a)으로부터 떨어져서 향한 단부는 절곡되어 후크형 단부 부분(23b', 23c')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23)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잠금 부분(23a)이 하향으로 향해 있는 갈매기 날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23)은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24) 내에 느슨하게 착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23)은, 제어 로드 내의 관련 홈(24)의 측방 표면들에 대해 맞대어짐으로써, 제어 로드의 종방향과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23)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로드 내의 홈 또는 요홈(22a 내지 22c) 각각은 잠금 수단의 잠금 부분(23a)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안내면(27)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 부분과 안내면의 협동은, 홈 또는 요홈(22a 내지 22c) 각각에 잠금 부분(23a)이 계합된 상태에서, 제어 로드(3a)가 이 제어 로드의 설정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잠금 요소(21)에 대하여 움직이게 되는 것에 응하여서, 잠금 부분이 안내면의 작용을 통해서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장치(1)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 기어박스인 것이 바람직한 기어박스.
KR1020087028978A 2006-04-26 2007-04-11 제어 장치 및 기어박스 KR20080111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600905-4 2006-04-26
SE0600905A SE0600905L (ko) 2006-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159A true KR20080111159A (ko) 2008-12-22

Family

ID=3862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978A KR20080111159A (ko) 2006-04-26 2007-04-11 제어 장치 및 기어박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63187B2 (ko)
EP (1) EP2013517B1 (ko)
JP (1) JP4781465B2 (ko)
KR (1) KR20080111159A (ko)
CN (1) CN101427057B (ko)
AT (1) ATE478288T1 (ko)
BR (1) BRPI0710277A2 (ko)
DE (1) DE602007008551D1 (ko)
WO (1) WO2007123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9864C2 (sv) * 2006-05-03 2007-12-18 Scania Cv Abp Regleranordning och växellåda
DE102009041929A1 (de) * 2009-09-17 2011-04-0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chalteinheit
JP2012154450A (ja) * 2011-01-27 2012-08-16 Aisin Ai Co Ltd 手動変速機の操作装置
DE102013002684A1 (de) * 2012-03-14 2013-09-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Innere Schaltbetätigung für ein Schaltgetriebe und Schalt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2021261B4 (de) * 2012-10-29 2019-02-14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Betätigungsbaugruppe für ein Bedienelement, Lenkstockhebel sowie Lenkstockhebelbaugruppe
DE102013021963A1 (de) * 2013-12-20 2015-06-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chaltgetriebe
EP3002485B1 (en) * 2014-10-03 2017-04-19 Fiat Group Automobiles S.p.A. Device for the selection and the displacement of actuation members of a gearbox for motor-vehicles
CN110145597B (zh) * 2019-06-05 2020-11-10 苏州东风精冲工程有限公司 适于拨叉空挡定位块与拨叉连接的结构及拔叉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0914A (en) * 1976-09-17 1978-01-31 Jack Reinhardt Hydraulic clutch-controlled transmission gear detent system
US4193316A (en) * 1978-01-05 1980-03-18 Borg-Warner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 control mechanism
US4543846A (en) * 1981-08-20 1985-10-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terlocking construction in transmission manipulation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US4569247A (en) * 1982-12-15 1986-02-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etent mechanism in manual transmission
JPS6228222U (ko) * 1985-08-02 1987-02-20
DE4019332C1 (ko) * 1990-06-18 1991-07-11 Ford-Werke Ag, 5000 Koeln, De
JP3209010B2 (ja) 1994-09-14 2001-09-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手動変速機の変速制御機構
DE10014880A1 (de) * 2000-03-24 2001-09-27 Volkswagen Ag Stufenwechselgetriebe
DE10064609A1 (de) * 2000-12-22 2002-06-27 Ina Schaeffler Kg Schalteinrichtung eines Schaltgetriebes zum Wählen und Schalten von Gängen
JP3715209B2 (ja) * 2001-02-13 2005-1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ション
DE10156392B4 (de) * 2001-11-16 2008-04-10 Robert Bosch Gmbh Gangschaltvorrichtung für ein mehrstufiges Getriebe eines Elektrowerk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34620A (ja) 2009-09-24
US20090095107A1 (en) 2009-04-16
WO2007123478A1 (en) 2007-11-01
DE602007008551D1 (de) 2010-09-30
CN101427057B (zh) 2012-11-14
US7963187B2 (en) 2011-06-21
EP2013517A1 (en) 2009-01-14
JP4781465B2 (ja) 2011-09-28
CN101427057A (zh) 2009-05-06
ATE478288T1 (de) 2010-09-15
BRPI0710277A2 (pt) 2011-08-09
EP2013517B1 (en)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1159A (ko) 제어 장치 및 기어박스
CN102124256B (zh) 具有位置致动变换的换挡杆
US9382999B2 (en) Shift-by-wire shifting device having mechanical parking lock actuation
JP4758505B2 (ja) 制御配置及びギアボックス
CN102180108A (zh) 座椅滑轨
JP2006266467A (ja) 手動変速機
US8127637B2 (en) Gear change arrangement and a gearbox
JP2007520669A (ja) ギアシフト装置
US20050160861A1 (en) Gear shift assembly
US20110048155A1 (en) Device for latching and locking shift rockers of a shift device of a transmission, and use of a device of said type
JP6894798B2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
KR20130074367A (ko)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어셈블리
KR100716554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JP2003148613A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WO2017159179A1 (ja) シフト装置
KR101043600B1 (ko) 변속배력 장치
CN113969977A (zh) 驻车制动系统用致动机构及车辆驻车制动系统
JP2010540876A (ja) パワーアシスト機器を備えたシフト装置
JP2019026155A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
KR19980048921U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디턴트 구조
KR960021736A (ko) 자동차용 트랜스 밋숀 콘트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