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852A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852A
KR20080107852A KR1020070056164A KR20070056164A KR20080107852A KR 20080107852 A KR20080107852 A KR 20080107852A KR 1020070056164 A KR1020070056164 A KR 1020070056164A KR 20070056164 A KR20070056164 A KR 20070056164A KR 20080107852 A KR20080107852 A KR 2008010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se
water
steam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7852A/ko
Publication of KR2008010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케이스; 열원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로 스팀을 생성시키는 히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을 갖는 수위센서; 그리고 상기 전극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소정 크기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극 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팀발생장치가 제공된다.
수위센서, 스팀발생장치, 의류처리장치, 스케일

Description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Steam generator and laund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종래 드럼세탁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드럼세탁기의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수위센서가 스팀발생장치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가 스팀발생장치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와 전극 보호망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스팀발생장치 71: 공통전극
72, 고수위감지전극 73: 저수위감지전극
100: 수위센서 130: 상부 케이스
131: 리셉터클 케이스 132: 플러그 케이스
150: 전극부 케이스 200: 전극 보호망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판형의 펄세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세탁하는 방식의 펄세이터형 세탁기와, 눕혀진 통을 회전시킴에 따라 통 내부에서 발생하는 세탁수와 세탁물의 낙차와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방식의 드럼세탁기로 대별된다.
이 중 드럼세탁기는 펄세이터형 세탁기에 비해 세탁 시 물과 세제의 사용량이 적고, 옷감의 손상이 적으며, 빨래의 엉킴이 거의 없다는 등의 장점으로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팀을 적용한 드럼세탁기(이하 "스팀 드럼세탁기"라 한다)의 시장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여기서, 상기 스팀은 드럼 내부로 공급되어 드럼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높여 세제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세탁력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아울러 많은 양의 세탁수가 불필요하므로 세탁수의 절약에도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터브 내의 물을 끓이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도 많은 기여를 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은 비단 세탁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서 세탁물의 주름을 완화 또는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정전기 제거 또는 냄새 제거를 위하여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은 세탁기나 건조기 등과 같이 의류의 처리를 위한 세탁 장치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팀을 적용한 의류처리장치 중 특히 드럼세탁기와 스팀발생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 내에 수평 또는 예각을 갖도록 지지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20)와, 세탁수 및 스팀이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30)과, 상기 드럼(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드럼(3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팀발생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드럼(30) 내부와 연통되는 투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3)를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11)가 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투입구(13)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상기 도어(11)와 상기 터브(20) 사이의 연결부를 통해 세탁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미도시)이 설치된다.
한편, 드럼세탁기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관(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20)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밸브 어셈블리(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50)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5)와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30)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50)의 일측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5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드럼(30) 내부로 안내하여 분사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스팀공급관(53)이 설치된다.
상기 스팀공급관(53)은, 상기 드럼(30)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원활하게 분사 가능하도록 그 끝 부분이 노즐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스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끝단이 상기 드럼(3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팀공급관의 말단에 별도의 노즐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관(53)은, 상기 드럼(30)과 연결되는 끝단이 상기 드럼(30)의 상부 일측에서 연통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가스켓(미도시)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장치(50)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5)와 상기 스팀공급관(53)에서 연결되는 유로를 비교적 짧게 구성하고, 수리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상기 터브(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5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발생장치(50)는, 외관을 이루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케이스(51)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51)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52)와,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 하기 위한 히터(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열원을 제공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물로 스팀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커버 케이스(52)는, 일측에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5)와 연결되어 물이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로 유입되는 급수구(52a)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생성된 스팀를 상기 드럼(20)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관(53)과 연결되는 토출구(52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히터(54)는 상기 스팀발생장치(50)의 외측에서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코일 히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저장된 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직접 가열하는 시스 히터(sheath heater)가 열효율이 높고 단시간에 물을 끓이는 데 적합하다.
상기 커버 케이스(52)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60)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물과 스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5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57)는 상기 스팀발생장치(50)에서 생성된 스팀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 값 이상의 온도가 되면 상기 히터(54)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히터(55)의 과열을 방지한다.
상기 수위센서(60)는,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저장되는 물의 양이 항상 적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즉,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기준 값보다 낮으면 급수밸브(15, 도1참조)를 개방하여 물을 보충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급수밸브 어셈블리(15)를 차단하여 급수를 중단하고 상기 히터(54)를 가동시켜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작동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수위센서(6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수위센서(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61)와, 상기 상부 케이스(61)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저장된 수위를 감지하는 각 전극(71,72,73)이 구비된 전극부 케이스(62)로 나누어진다.
이 때, 상기 상부 케이스(61)와 전극부 케이스(62)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수위센서의 외관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61)는 상기 스팀발생장치(50)에 고정하기 위한 리셉터클 케이스(receptacle housing: 61a)과, 그 상측으로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러그 케이스(plug housing: 61b)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상부 케이스(61)의 리셉터클 케이스(61a)는 상기 전극부 케이스(62)의 상부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리셉터클 케이스(61a)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커버 케이스(51)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전극부 케이스(62)의 하부는 스팀발생장치(50)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전극(71,72,73)이 설치된 전극부 케이스(62) 내부는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압력으로 인해 각 전극(71,72,73)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진재(80)가 충진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석회질 등이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누적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수돗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경우에 많이 일어난다. 특히 특정 지역이나 특정 국가에서의 수돗물인 경우에는 이러한 스케일이 더욱 많이 발생된다.
한편, 이러한 스케일 문제는 비단 스팀발생장치의 히터의 효율성을 저하시킬뿐 아니라 상기 수위센서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즉, 상기 수위센서는 각 전극 간에 내부의 물을 통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수위를 감지하는데, 상기 전극에 스케일이 누적되는 경우 전기적 연결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수위센서의 불량은 비단 수위센서만의 문제가 아니다. 즉, 상기 정확한 수위를 측정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히터의 과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적절한 양의 스팀이 발생되어 드럼으로 공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에는 이러한 스케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많은 경우 수돗물에서는 이물질이 미리 걸러지겠지만, 그 개연성은 충분하다. 따라서, 스케일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로 인해 수위센서의 불량이 발생될 개연성은 충분하다.
따라서, 이러한 수위센서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를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결합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먼 저 전극부 케이스(62) 내에 각 전극(71,72,73)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충진재를 도포하여 전극부 케이스(62) 내부를 충진재(80)로 채운 다음, 전극부 케이스(62)와 상부 케이스(61)를 별도에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호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수위센서의 외관을 이루는 상부 케이스(61)와 전극부 케이스(62)가 각각 제작되어 상호 간을 조립시키기 때문에 다수의 조립공정이 필요로 하고, 각 전극(71,72,73)이 설치된 내부에는 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충진재(80)가 필요로 하여 제작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마찬가지로 수위센서가 문제되었을 때 문제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아울러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수위센서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혹 수위센서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를 수리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위센서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데 있으며, 특히 스케일로 인한 수위센서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수위센서의 케이스 구조를 개선하여, 수위센서의 결합과정을 단순화시킴과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위센서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용이하게 이를 수리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케이스; 열원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로 스팀을 생성시키는 히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을 갖는 수위센서; 그리고 상기 전극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소정 크기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극 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 상기 캐비닛과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그리고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는 히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을 갖는 수위센서; 그리고 상기 전극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소정 크기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극 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위센서의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제조 및 서비스가 매우 용이한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드럼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가 스팀발생장치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때,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위 중 상부는 수위센서의 상부 케이스 나타낸 것이고, 그 하부는 전극부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100)는 크게 상부 케이스(130)와, 상기 상부 케이스(130) 하단에 설치되는 전극부 케이스(150)와, 복수개의 전극(71,72,73)으로 이루어진 전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130)는 상기 스팀발생장치(50)에 고정하기 위한 리셉터클 케이스(receptacle housing: 131)와, 그 상측으로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러그 케이스(plug housing: 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 케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스팀발생장치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플러그가 삽입됨으로 전체적인 스팀발생장치의 구성이 이루는 높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극부 케이스(150)는 상기 전극부의 각 전극(71,72,73)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상기 전극부 케이스(150)는 상기 상부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센서(1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30)와 전극부 케이스(150)가 단일체로 형성된 것이 제공된 다.
한편, 상기 전극부의 각 전극(71, 72, 73)은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의 봉이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들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전극부 케이스가 사출되어 형성될 때 인서트 되어 상기 케이스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상기 상부 케이스, 전극부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전극들은 단일체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전극은 상기 전극부 케이스(150)에 의해 감싸지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극부 케이스(150)에 의해 각 전극(71,72,73)이 감싸지도록 형성함에 따라 각 전극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종래에 전극부 케이스(150) 내로 침투되는 물을 방지하기 위해 충진되었던 충진재(80)가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전극(71,72,73)의 끝단은 상기 전극부 케이스(150)에 의해 감싸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수위센서(100)가 스팀발생장치(50)에 설치되었을 때, 그 끝단이 스팀발생장치(50) 내부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각 전극(71,72,73)의 끝단이 해당 수위에서 물에 잠기게 되면, 물을 통해서 전기가 흐르게 되어 수위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전극부는, 기준이 되는 공통전극(71)과, 고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고수위감지전극(72)과, 저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저수위감지전극(73)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공통전극(71)는 상기 저수위감지전극(73)의 길이보다 적어도 같거나 길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참고적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드럼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의 수위센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세탁기의 세탁 행정이 시작되면, 급수구(52a)를 통하여 스팀발생장치의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부로 유입된 물은 히터(54)로 가열되어 스팀로 변환되며, 상기 스팀는 토출구(52b)를 통해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30, 도 1참조)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의 포적심 및 불림 작용을 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장치(50)의 내부에 물이 가득차 고수위가 되면 상기 공통전극(71)과 저수위감지전극(73) 및 고수위감지전극(72)이 모두 물에 잠겨 통전되므로,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이 상태를 만수위라 판단하여 급수를 중단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의 물이 소진되어 수위가 중간 정도가 되면 상기 고수위감지전극(72)은 수면위로 노출되므로 상기 공통전극(71)과 통전되지 않고, 상기 저수위감지전극(73)과 공통전극(71)이 물에 잠겨 서로 통전되므로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이 상태를 중간 수위라고 판단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50) 내부의 물이 거의 소진되어 저수위의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상기 공통전극(71)과 저수위감지전극(73)이 공기중으로 노출되어 전기가 통전하지 않게 되므로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이 상태를 저수위라 판단 급수를 공급한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수위센서(100)를 상기 커버 케이스(51)에 조립할 때, 상기 수위센서(100)는 인서트 사출로서 단일한 부품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위센서를 커버 케이스의 상측에 설치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이 간단하여 공정이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부 케이스(62)가 각 전극(71,72,73)을 감싼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전극부 케이스(62) 내에 충진재(80)를 충진할 필요가 없어 재료비가 절감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전극 보호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극 보호망은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증기발생장치 내부에서 상기 전극 부분을 다른 부분과 공간적으로 격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극 보호망(20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극 보호망은 전극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데, 상기 수위센서(1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커버 케이스와 결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커버 케이스의 내면에서 수위센서가 삽입되는 삽입구(58)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전극 보호망(200)은 다양한 형태의 메쉬(mesh)망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메쉬수(1 평방인치 당 그물코의 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메쉬수가 크다면 매우 촘촘한 형태의 망일 것이며, 그 반대인 경 우에는 매우 성긴 형태의 망일 것이다. 이러한 매쉬수의 크고 작음은 서로 일장일단이 있을 것이다.
메쉬수가 크다면 부유하는 매우 작은 스케일이라 하더라도 상기 전극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메쉬망이 막힐 우려는 더욱 커진다. 따라서 물은 유입 유출이 가능하되 스케일 유입만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물의 유입 유출마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대로, 메쉬수가 작다면 부유하는 큰 스케일이 상기 전극과 접촉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작은 스케일은 상기 전극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는 어렵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극 보호망(200)의 메쉬수는 부유하는 스케일의 크기와 망이 막힐 때까지의 수명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전극 보호망(200)의 재질은 내열성과 내부식성을 고려하여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일정한 강성 이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부에서의 물이나 증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전극 보호망이 상기 전극과 접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전극 보호망이 절연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는 미연에 방지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극 보호망(200)은 상측에 형성된 림부(20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림부는 상기 전극 보호망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프레임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림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상기 수위센서 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커버 케이스와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극 보호망(200)은 상기 수위센서(100)의 상부 케이스(130) 또는 전극부 케이스(150)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림부(201)이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전극부 케이스와 결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전극 보호망(200)의 결합 순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커버 케이스(52)와 수위센서(100)을 결합한 후 상기 전극 보호망(200)이 상기 커버 케이스(52) 또는 수위센서(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커버 케이스(51)와 베이스 케이스(51) 결합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먼저 수위센서(100)과 상기 전극 보호망(200)이 결합된 후 상기 커버 케이스(52)에 상기 수위센서(100)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극 보호망을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를 제조할 때 상기 수위센서와 단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이러한 수위센서 단일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장치 내에서 부유하는 스케일이 상기 전극 보호망에 부착되어 상기 전극 보호망이 막힐 우려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 보호망은 표면 마찰력을 매우 줄이기 위하여 표면에 테프론 등을 통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극 보호망의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표면 처리 이외에도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내부의 물 유동을 적절히 일으킴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스팀발생장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52a)의 위치를 적절히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급수되는 물이 상기 전극 보호망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전극 보호망에 급수되는 물이 부딪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전극 보호망에 부딪힌 물은 산란되어 대부분 전극 보호망 내부로 유입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물이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서 전극 보호망이 붙어있는 스케일이 고착되기 전에 제거될 것이다.
물론, 급수되는 물이 상기 전극 보호망을 향하되, 직접 상기 전극 보호망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전극 보호망 주위를 따라 물의 유동이 발생되어 내부에 부유하는 스케일이 전극 보호망에 부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급수구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스팀발생장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위센서의 장착 위치에 대응되어 스팀발생장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스팀발생장치는 의류처리장치뿐만 아니라,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식기에 세척력 향상이나 살균력 향상을 위하여 세척수뿐만 아니라 스팀을 공급하는 식기세척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특히, 스팀이 토출되는 부분을 통하여 음식물 찌꺼기 등이 유입될 개연성이 있다. 따라서, 스케일뿐만 아니라 이러한 음식물 찌거기가 수위센서의 전극부에 고착되어 발생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의 수위센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위센서가 인서트 사출로서 단일한 부품으로 형성되므로, 조립시 공정이 간략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부 케이스가 각 전극을 감싼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전극부 케이스 내에 충진재를 충진할 필요가 없어 재료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수위센서의 전극부에 스케일 등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위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 및 내구성이 증진된 스팀발생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또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케이스;
    열원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로 스팀을 생성시키는 히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을 갖는 수위센서; 그리고
    상기 전극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소정 크기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극 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팀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적어도 두 개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공통전극, 저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저수위감지전극, 그리고 고수위를 감지하기 고수위감지전극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케 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전극을 수용하는 전극부 케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5. 제 4 항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플러그가 결합되는 플러그 케이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말단 부분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과 접촉되기 위하여 노출됨을 특징으로 스팀발생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보호망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보호망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 또는 상기 전극 케이스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극 보호망을 향하도록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2.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 상기 캐비닛과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그리고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는 히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을 갖는 수위센서; 그리고
    상기 전극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소정 크기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극 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70056164A 2007-06-08 2007-06-08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080107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164A KR20080107852A (ko) 2007-06-08 2007-06-08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164A KR20080107852A (ko) 2007-06-08 2007-06-08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852A true KR20080107852A (ko) 2008-12-11

Family

ID=4036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164A KR20080107852A (ko) 2007-06-08 2007-06-08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78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193A (ko) * 2012-03-19 2013-09-27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193A (ko) * 2012-03-19 2013-09-27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126B1 (ko) 드럼세탁기 스팀발생기의 수위센서
EP1826310B1 (en) Steam generator and drum-type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KR101328917B1 (ko) 스팀발생장치
KR100781274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EP1883727A1 (en) A structure of water level sensor for steam generator in drum washing machine
KR20070078327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EP1790269B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of dishwasher
KR20070088212A (ko) 세탁기 및 세제공급기구의 세척방법
KR101208506B1 (ko) 세탁장치의 역수압방지 구조
KR20090024003A (ko)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N101184884B (zh) 洗衣机的操作方法
KR20080107852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1036477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20070075491A (ko) 세탁기용 스팀 발생기의 잔수배수구조
KR100747534B1 (ko) 증기발생장치
KR10126559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1203064B1 (ko)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KR20060106029A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배수구조
KR20060101941A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수위센서
KR101033595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20090052985A (ko) 스팀발생장치
KR101191175B1 (ko) 드럼 세탁기
KR10126560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20080000335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1154950B1 (ko) 드럼세탁기의 스팀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