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193A -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193A
KR20130106193A KR1020120027898A KR20120027898A KR20130106193A KR 20130106193 A KR20130106193 A KR 20130106193A KR 1020120027898 A KR1020120027898 A KR 1020120027898A KR 20120027898 A KR20120027898 A KR 20120027898A KR 20130106193 A KR20130106193 A KR 20130106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module
water
condensat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011B1 (ko
Inventor
주원일
김정연
정대중
성연수
정의성
최영광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1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3Use of electrochemically treated water, e.g. electrolysed water or water treated by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귤모듈과 접지모듈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와 응축수탱크의 측면에 배치되는 스팀흡입관의 구조를 통하여 살균효율을 극대화하고 소음을 최소화하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모듈과 접지모듈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유로를 항시 살균함에 따라 세균증식 및 물때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lundry treating apparatus by sterilizing water steam}
본 발명은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귤모듈과 접지모듈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와 응축수탱크의 측면에 배치되는 스팀흡입관의 구조를 통하여 살균효율을 극대화하고 소음을 최소화하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세탁물 등을 세탁, 건조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건조기능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제거,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 캐비닛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선, 캐비닛 내의 상부에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다. 또한,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전장실은 그 하부에 위치하며, 수납실과 전장실은 각각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의하여 분리된다.
이러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전장실에 구비된 열풍공급장치에 의하여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를 건조시킨 후 습해진 공기는 열풍공급장치에 의하여 습공기가 제습되어 다시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되는 방식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운전과정 중 응축수가 발생하여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장기간 방치되는 경우, 급수탱크에서 배수탱크까지의 모든 유로와 하우징 내부 전체에 수분이 잔존하는 세균, 물때 등이 발생하여 심한 악취를 발생하기도 하고 나아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구성요소를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거치된 의류에도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더라도, 발생되는 응축수가 소량이어서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고 응축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여전히 심한 악취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이 분사되는 입구의 온도는 비교적 높으나, 상부로 올라갈수록 스팀의 온도가 낮아져서 제품의 상부 온도 측정 시 40 ~ 50℃ 정도로, 살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이 유로를 빠져나오는 순간 스팀의 일부가 물로 변하여 다시 해당 유로를 통하여 들어가면서 스팀 발생효율이 떨어지고, 물이 끓는 듯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수를 스팀화하는 스팀배출모듈을 통하여 70℃ 이상에서 하우징 내의 의류를 살균하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모듈과 접지모듈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유로를 항시 살균함에 따라 세균증식 및 물때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수탱크의 측면에 스팀흡입관을 배치하고, 응축수탱크의 하부에 배수관을 배치함에 따라 원수와 스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하고 스팀량을 극대화하는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하우징; 양극과 음극이 고정되는 급수탱크를 구비한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이 탈착 가능한 접지모듈; 상기 살균모듈과 연통하는 스팀발생모듈; 및 상기 스팀발생모듈과 연통하는 스팀배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모듈은, 상기 살균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살균모듈 장착시 상기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접촉하는 양단자와 음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발생모듈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이 각각 상기 양단자와 상기 음단자와 접촉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스팀으로 전환하고, 상기 스팀배출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배출모듈은, 상기 스팀과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탱크; 상기 응축수탱크의 일측에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스팀흡입관; 상기 응축수탱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관; 및 상기 응축수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수는 상기 스팀흡입관을 통해 상기 응축수탱크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배출모듈은, 상기 급수탱크 내부의 원수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급수탱크의 하면에 배치되는 메쉬망; 및 상기 메쉬망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망 및 상기 커버부재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살균수를 스팀화하는 스팀배출모듈을 통하여 70℃ 이상에서 하우징 내의 의류를 살균함에 따라 살균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모듈과 접지모듈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유로를 항시 살균함에 따라 세균증식 및 물때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청결을 유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응축수탱크의 측면에 스팀흡입관을 배치하고, 응축수탱크의 하부에 배수관을 배치함에 따라 원수와 스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하고 스팀량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살균모듈, 접지모듈 및 밸브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살균모듈, 접지모듈 및 밸브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3a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배출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배출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배출모듈에서 스팀배출관의 다양한 각도에서의 배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이 생성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온도에 따른 살균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스팀배출관(173)과 연통하는 스팀홀(111)이 형성된 하우징(110), 양극(123)과 음극(124)이 고정되는 급수탱크(121)를 구비한 살균모듈(120), 살균모듈(120)을 수용하는 케이스(131), 및 케이스(131)의 내부에 배치되는 양단자(132)와 음단자(133)를 포함하는 접지모듈(130), 살균모듈(120)과 연통하는 펌프(140), 펌프(140)과 연통하는 밸브(150), 살균모듈(120)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스팀으로 전환하는 스팀발생모듈(160) 및 스팀발생모듈(160)과 연통하여 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배출모듈(17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이나, 의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든 무방하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내부 하면에 위치하는 스팀홀(111) 및 스팀홀(111)과 인접한 급수홀(112)을 포함한다.
스팀홀(111)은 후술되는 스팀배출모듈(170)의 스팀배출관(173)과 연통하고, 이러한 스팀홀(111)을 통하여 살균수 스팀이 분사되어 의류를 살균한다.
급수홀(112)은 후술되는 급수탱크(121)와 연통한다. 이러한 급수홀(112)은 원수가 급수탱크(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살균모듈(120)은 중공의 급수탱크(121), 개방된 급수탱크(121)의 상부를 밀폐하는 캡(122), 급수탱크(121)의 하부에 배치되는 양극(123), 양극(123)과 인접한 음극(124), 메쉬망(125) 및 커버부재(126)를 포함한다.
급수탱크(121)는 내부가 비어 있고, 그 상부는 개방된 형상이다.
한편, 급수탱크(121)는 원수를 담을 수 있는 부재라면 형상적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급수탱크(121)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122)을 통하여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다.
또한, 급수탱크(121)의 하면에는 양극(123)과 음극(124)이 배치될 수 있다.
캡(122)은 상부가 개방된 급수탱크(121)를 개방시키거나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캡(122)은 급수탱크(121)의 상부 지름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회전방식을 통해 급수탱크(121)의 상부를 개방 또는 밀폐한다.
양극(123)은 급수탱크(121)의 하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23)의 일측은 급수탱크(121)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극(123)의 타측은 급수탱크(121)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양극(123)은 후술되는 양단자(132)와 접지된다.
음극(124)은 양극(123)과 인접하여 급수탱크(121)의 하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극(124)의 일측은 급수탱크(121)의 내부에 위치하고, 음극(124)의 타측은 급수탱크(121)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후술되는 음단자(133)와 접지된다.
메쉬망(125)은 양극(123)과 음극(124)에 삽입되도록 급수탱크(121)의 하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메쉬망(125)를 통하여 급수탱크(121) 내의 물때 등을 걸러준다.
커버부재(126)는 메쉬망(125)의 상부에 배치되고 급수탱크(121)의 하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커버부재(126)는 사용자가 관리를 위하여 급수탱크(121) 내에 손을 넣었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감전을 사전에 예방한다.
전술한 메쉬망(125) 및 커버부재(126)는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다.
정리하면, 살균모듈(120)은 급수탱크(121) 내부의 하면에 양극(123)과 음극(124)를 삽입하고, 양단자(132)와 음단자(133)를 외부로 노출하여 급수탱크(121)가 해당위치에 안착되면 전류가 인가되어 급수탱크(121) 내의 원수를 모두 살균수로 만들게 된다.
급수탱크(121) 내의 살균수가 스팀모듈(120), 스팀발생모듈(160) 및 스팀배출모듈(170)을 거쳐 하우징(110) 내부로 분사되는 과정에 있어, 유로(101)를 포함한 모든 유로를 항시 살균할 수 있다.
특히, 급수탱크(121)에 원수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되더라도 세균증식, 물 때 생성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접지모듈(130)은 살균모듈(120)과 탈착 가능하며, 이러한 접지모듈(130)은 살균모듈(120)을 수용하는 중공의 케이스(131), 케이스(131)의 하면에 배치되는 양단자(132) 및 양단자(132)와 인접한 음단자(133)를 포함한다.
케이스(131)는 급수탱크(121)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형상이다. 다만, 케이스(131)는 그 내부로 급수탱크(1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급수탱크(121)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단자(132)는 케이스(131)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며, 살균모듈(120) 장착시 양극(123)과 접촉한다. 이러한 양단자(132)는 양극(123)과 접지되어 전기분해가 가능해진다.
음단자(133)는 양단자(132)와 인접하여 케이스(131)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음단자(133)는 음극(124)와 접지되어 전기분해가 가능해진다.
즉, 전술한 살균모듈(120) 및 접지모듈(130)은 양극(123) 및 음극(124)이 각각 양단자(132) 및 음단자(133)에 접지되도록 탈부착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유지보수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펌프(140)는 살균모듈(120)과 연통하여 살균모듈(12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밸브(15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펌프(140)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밸브(150)는 펌프(140)과 연통하고, 스팀발생모듈(160)에 배출되는 살균수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의 밸브(150)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스팀발생모듈(160)은 살균모듈(160)과 연통하며, 이러한 스팀발생모듈(160)은 양극(123)과 음극(124)이 각각 양단자(132)와 음단자(133)와 접촉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스팀으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살균수를 스팀화하는 방식은 살균수 내의 차아염소산 성분은 물보다 비등점이 낮아 온도가 올라가면 증발되어 물속에서 빨리 사라지고,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가 밀폐구조이기 때문에 살균효과는 단순 원수를 이용한 스팀살균보다 매우 효과적이다.
스팀배출모듈(170)은 스팀발생모듈(160)과 연통하며, 하우징(110)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에 존재하던 세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팀배출모듈(170)은 스팀과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탱크(171), 응축수탱크(171)의 상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배출관(172), 응축수탱크(171)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팀흡입관(173), 응축수탱크(171)의 하측에 배치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관(174), 스팀배출관(173)과 연통하는 스팀호스(175) 및 배수관(174)과 연통하는 배수호스(176)를 포함한다.
응축수탱크(171)는 스팀과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상이며, 이러한 응축수탱크(171)는 스팀발생모듈(160)에서 생성된 스팀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응축수탱크(17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발생모듈(160)에서 생성된 살균수 스팀과 함께 생성된 응축수도 수용될 수 있다.
스팀배출관(172)은 응축수탱크(171)의 상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스팀홀(111)로 분사함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의 의류를 살균하게 된다.
즉, 스팀은 스팀배출관(173)을 통과하여 스팀홀(111)로 분사된다.
또한, 살균수 스팀이 분사되는 입구 온도는 비교적 높으나, 하우징(110)의 상부로 올라갈수록 살균수 스팀의 온도가 낮아져 살균효과가 떨어지는 종래의 기술보다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스팀흡입관(173)은 응축수탱크(171)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도 3a는 종래의 스팀흡입관(173')의 배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팀흡입관(173')은 배수관(174)과 인접하여 응축수탱크(171)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종래의 스팀흡입관(173')의 배치 구조는 응축수탱크(171) 내부의 원수와 스팀이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스팀흡입관(173')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경우도 생김에 따라 효율도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팀흡입관(173)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α만큼의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스팀흡입관(173')에서 발생하던 소음을 최소화하고, 효율과 스팀량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배수관(174)은 응축수탱크(171)의 하측에 배치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스팀호스(175)는 스팀배출관(173)과 연통하여 스팀발생모듈(160)과 스팀배출모듈(170)을 연결한다. 이러한 스팀호스(175)는 스팀발생모듈(16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스팀배출모듈(170)로 이송시키는 통로가 된다.
배수호스(176)는 배수관(174)과 연통하여 응축수탱크(171) 내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된다.
즉, 전술한 응축수는 스팀흡입관(173)을 통해 응축수탱크(171) 내부로 유입되어 배수관(174)으로 배출된다.
전술한 스팀배출모듈(170)을 통하여 살균수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관(173)의 구조적 특징을 통하여 원수와 스팀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살균수 스팀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표 1,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100)를 통한 살균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수의 살균수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로서, 온도에 따른 살균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이용한 차아염소산 살균수는 저온(25℃)에서 살균효과가 급속도로 저하되는 반면, 고온(90℃)의 살균수에서는 높은 살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분) MO농도
0 0.42
2 0.32
4 0.28
6 0.25
8 0.23
10 0.18
12 0.16
14 0.14
16 0.11
18 0.09
20 0.07
22 0.06
시간(분) MO농도
0 0.48
5 0.45
15 0.4
30 0.38
45 0.45
60 0.34
위 실험의 이론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우선, 차아염소산수를 서서히 가열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차아염소산이 휘발하여 수중 차아염소산 농도는 낮아진다[1ppm(20℃) -> 0.6ppm(80℃) -> 0.2 ppm(100℃)].
다음, 온도상승에 따라 증발되는 초기 수증기를 포집하여 DPD 시약과 반응시킨 결과 1ppm보다 높은 농도를 검출한다. 이는 차아염소산수의 차아염소산이 증기로 배출되어 적은 부피의 물에 용존되어 농축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상온(20℃)의 살균수를 순간 가열에 의해 스팀으로 분무시 차아염소산 성분이 수증기와 함께 증발되어 효과적으로 분무될 것으로 해석되며, 일반수 스팀보다 높은 살균력을 보인다.
이를 통하여 차아염소산 스팀은 일반수 스팀보다 탈취 및 얼룩제거 기능이 높을 것으로 예측해볼 수도 있다.
한편, 전기분해로 생성된 약 1ppm의 살균수를 판부재로 가열하고, 차아염소산 유무를 확인하는 DPD시약이 첨가된 시험관으로 스팀(수증기)를 포집하고, 발색하는 것을 통하여 살균수(차아염소산)을 이용하여 살균수 스팀 분사시 수증기와 함께 차아염소산 증기가 함께 분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의류처리장치
101 : 유로
110 : 하우징
111 : 스팀홀
112 : 급수홀
120 : 살균모듈
121 : 급수탱크
122 : 캡
123 : 양극
124 : 음극
125 : 메쉬망
126 : 커버부재
130 : 접지모듈
131 : 케이스
132 : 양단자
133 : 음단자
140 : 펌프
150 : 밸브
160 : 스팀발생모듈
170 : 스팀배출모듈
171 : 응축수탱크
172 : 스팀배출관
173 : 스팀흡입관
174 : 배수관
175 : 스팀호스
176 : 배수호스

Claims (6)

  1. 하우징;
    양극과 음극이 고정되는 급수탱크를 구비한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이 탈착 가능한 접지모듈;
    상기 살균모듈과 연통하는 스팀발생모듈; 및
    상기 스팀발생모듈과 연통하는 스팀배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모듈은,
    상기 살균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살균모듈 장착시 상기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접촉하는 양단자와 음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발생모듈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이 각각 상기 양단자와 상기 음단자와 접촉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스팀으로 전환하고,
    상기 스팀배출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모듈은,
    상기 스팀과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탱크;
    상기 응축수탱크의 일측에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스팀흡입관;
    상기 응축수탱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관; 및
    상기 응축수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는 상기 스팀흡입관을 통해 상기 응축수탱크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모듈은, 상기 급수탱크 내부의 원수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급수탱크의 하면에 배치되는 메쉬망; 및
    상기 메쉬망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 및 상기 커버부재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20027898A 2012-03-19 2012-03-19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KR10187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98A KR101874011B1 (ko) 2012-03-19 2012-03-19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98A KR101874011B1 (ko) 2012-03-19 2012-03-19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93A true KR20130106193A (ko) 2013-09-27
KR101874011B1 KR101874011B1 (ko) 2018-07-04

Family

ID=4945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898A KR101874011B1 (ko) 2012-03-19 2012-03-19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5578A (zh) * 2015-12-04 2016-04-06 黄观铭 一种衣服保养设备
CN110616555A (zh) * 2019-10-19 2019-12-27 广东因诺极客科技有限公司 一种带灭菌消毒的挂烫机
WO2020055024A1 (en) * 2018-09-12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40031762A (ko) * 2022-09-01 2024-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413A (ja) * 1996-09-26 1998-04-21 Tomy Medeiko:Kk 殺菌・消毒方法及び殺菌・消毒装置
KR20080090942A (ko) * 2007-04-06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80107852A (ko) * 2007-06-08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EP2213781A1 (en) * 2009-02-02 2010-08-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10067836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10125984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파세코 의류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493A (ja) * 2001-11-26 2003-06-03 Hiromitsu Moriyama 電解水使用の水蒸気洗濯方法及び洗濯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413A (ja) * 1996-09-26 1998-04-21 Tomy Medeiko:Kk 殺菌・消毒方法及び殺菌・消毒装置
KR20080090942A (ko) * 2007-04-06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80107852A (ko) * 2007-06-08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EP2213781A1 (en) * 2009-02-02 2010-08-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10067836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10125984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파세코 의류 건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5578A (zh) * 2015-12-04 2016-04-06 黄观铭 一种衣服保养设备
WO2020055024A1 (en) * 2018-09-12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441258B2 (en) 2018-09-12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0616555A (zh) * 2019-10-19 2019-12-27 广东因诺极客科技有限公司 一种带灭菌消毒的挂烫机
KR20240031762A (ko) * 2022-09-01 2024-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11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0913B (zh) 具有等离子体发生器的家用器具及其运行方法
CN101280508B (zh) 用于机器洗涤的装置和方法
KR101315155B1 (ko) 세탁기 및 오존 발생 장치
CN106319826B (zh) 一种具有蒸汽洗涤功能的洗衣机及控制方法
KR20130106193A (ko)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KR2009010512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EP3618679B1 (en) Home appliance comprising a plasma generator and process of operating the same
WO2008062674A1 (fr) Générateur de brouillard électrolytique et machine à laver l'utilisant
KR20120015174A (ko) 소독장치
KR10146777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5306148B2 (ja) 洗濯乾燥機
CN211272524U (zh) 一种织物消毒装置
CN101721724A (zh) 过氧化氢等离子体增强灭菌器
KR101366267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3159493A (ja) 電解水使用の水蒸気洗濯方法及び洗濯装置
CN101979099B (zh) 过氧化氢低温等离子体灭菌机
CN111743491A (zh) 烘干设备用的单风机循环风干燥消毒装置及洗碗机
CN216474060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115491870A (zh) 一种洗涤剂盒组件及洗衣机
CN112875808A (zh) 电解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217459939U (zh) 具有光等离子新风装置的衣物处理设备
CN219847505U (zh) 一种消毒柜
CN210698308U (zh) 一种消毒柜
KR200436170Y1 (ko) 은나노 스팀 다리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