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762A - 신발 관리기 - Google Patents

신발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762A
KR20240031762A KR1020220110953A KR20220110953A KR20240031762A KR 20240031762 A KR20240031762 A KR 20240031762A KR 1020220110953 A KR1020220110953 A KR 1020220110953A KR 20220110953 A KR20220110953 A KR 20220110953A KR 20240031762 A KR20240031762 A KR 20240031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eparating
tube
management devic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599B1 (ko
Inventor
김소라
전찬호
김창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599B1/ko
Publication of KR2024003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3Humidity by using sorbent or hygroscopic materials, e.g. chemical substances, molecular si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이너캐비닛, 연결유로, 송풍부, 제습부, 스팀제너레이터, 스팀세퍼레이터 및 스팀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팀튜브의 단부는 스팀세퍼레이터의 세퍼레이팅유입구를 통하여 스팀공간으로 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에 의한 신발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스팀의 공급이 스팀세퍼레이터를 거쳐 이너캐비닛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고, 스팀세퍼레이터의 내부로 스팀튜브를 통하여 스팀이 유입될 때, 스팀세퍼레이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관리기{SHOES CARE DEVICE}
본 발명은 신발 관리기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 기류(air circulation)에 의하여 신발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신발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자의 땀이 차거나, 외부의 오염물질이 묻거나,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젖을 수 있다. 이러한 신발의 착용은 착용자를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태에서는 신발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악취를 풍길 수 있다.
따라서, 신발에 소정의 처리를 하여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상태의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관리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신발관리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37245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는 "신발 살균 처리 장치(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 살균 처리 장치는 본체, 자외선 방출 모듈, 탈취 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09653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함)는 "위생처리용 신발장(The shoes cabinet for the sanitization)"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장은 본체, 원적외선 방사부, 순환팬, 공기순환통로, 위생필터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발에 소정의 처리를 하여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하는 신발 관리기의 경우, 신발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는 제습 및 탈취에 사용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신발 처리에 대한 성능이 항상 적절하게 유지되기 위하여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에 따른 장치에 의할 경우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그리고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이루어진 각 신발의 특성에 맞는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신발관리기의 개발이 필요하고, 이때, 장치의 원활한 작동과 높은 완성도는 개발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될 요소이다.
또한, 신발의 관리를 위하여 제올라이트와 같은 제습제를 포함하는 장치를 설계 및 제조할 때, 제습제의 제습 효율을 어떻게 더욱 높일 수 있을지, 제습제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신발 관리기의 사용 및 제습재의 재생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제거 내지는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신발관리기의 사용 및 제습제의 재생시 의도하지 않은 곳에 물기가 남게되지 않는지, 한정된 공간에서 구성의 배치가 적합하게 이루어졌는지, 사용편의성이 우수한지 등도 고려하여야 하며, 이러한 점들을 두루 고려한 신발 관리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이 배치되는 이너캐비닛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스팀에 의한 신발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가 다시 이너캐비닛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순환 기류 구조를 가지는 신발 관리기로서, 스팀의 공급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이너캐비닛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팀세퍼레이터의 내부로 스팀튜브를 통하여 스팀이 유입될 때, 스팀세퍼레이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스팀튜브의 내부에 응축수가 발생될 때, 이에 따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신발 관리기는 이너캐비닛, 연결유로, 송풍부, 제습부, 스팀제너레이터, 스팀세퍼레이터 및 스팀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캐비닛은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수용공간으로 다시 배출되도록,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연결유로의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습부는 상기 연결유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를 제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스팀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세퍼레이터는 세퍼레이팅베이스, 세퍼레이팅유입구, 세퍼레이팅연결구 및 세퍼레이팅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퍼레이팅베이스는 내부공간인 스팀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는 상기 스팀세퍼레이터의 입구를 이루고, 스팀이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스팀세퍼레이터로 유입된다.
상기 세퍼레이팅연결구는 상기 스팀세퍼레이터의 출구를 이루고, 스팀이 상기 세퍼레이팅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이너캐비닛 쪽으로 유입된다.
상기 세퍼레이팅배출구는 상기 스팀세퍼레이터의 출구를 이루고, 상기 세퍼레이팅베이스 내부의 응축수가 상기 세퍼레이팅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팀튜브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스팀이 상기 스팀세퍼레이터로 이동하도록,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에 연결된다.
상기 스팀튜브의 단부는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스팀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튜브의 단부는 상기 스팀세퍼레이터의 내부에서 상기 세퍼레이팅연결구 쪽을 향하도록 곡선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스팀튜브의 단부는 상기 세퍼레이팅베이스의 내측면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도록 상기 스팀공간에서 어느 일측으로 휘어져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스팀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밸브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스팀의 공급이 제어되도록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연결된다.
상기 스팀튜브는 상기 스팀밸브와 상기 스팀세퍼레이터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스팀공간은 수직방향의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길이가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와 상기 세퍼레이팅연결구는 수평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는 상기 세퍼레이팅베이스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팅연결구는 상기 세퍼레이팅베이스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상기 이너캐비닛 및 상기 스팀세퍼레이터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보조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튜브는 상기 스팀튜브로부터 분기된다. 상기 보조튜브는 상기 스팀튜브와 분기된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섬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섬프는 응축수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튜브는 상기 섬프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튜브의 분기된 지점은, 상기 스팀튜브의 상하높이에서 중간지점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제1 관리장치 및 제2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관리장치는 상기 제1 관리장치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리장치 및 상기 제2 관리장치 각각은, 상기 이너캐비닛, 상기 연결유로, 상기 송풍부, 상기 제습부, 상기 스팀튜브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관리장치의 상기 스팀튜브의 직경은, 상기 제2 관리장치의 상기 스팀튜브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이너캐비닛, 연결유로, 송풍부, 제습부, 스팀제너레이터, 스팀세퍼레이터 및 스팀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발 관리기에서, 이너캐비닛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스팀에 의한 신발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제습된 후 다시 이너캐비닛 내부로 공급되는 순환 기류 구조를 가진다. 스팀튜브의 단부는 스팀세퍼레이터의 세퍼레이팅유입구를 통하여 스팀공간으로 진입하며, 스팀의 공급이 스팀세퍼레이터를 거쳐 이너캐비닛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고, 이때 발생되는 응축수가 스팀과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스팀세퍼레이터 내부로 진입한 스팀튜브의 단부는 세퍼레이팅베이스의 내측면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도록 스팀공간에서 어느 일측으로 휘어져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스팀의 공급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고, 특히, 스팀세퍼레이터의 내부로 스팀튜브를 통하여 스팀이 유입될 때, 스팀세퍼레이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보조튜브를 포함한다. 스팀뷰브의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보조튜브 쪽으로 흘러 이동할 수 있다. 보조튜브는 스팀튜브로부터 분기된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보조튜브 내부에 응축수가 유입되면 그 응축수는 보조튜브의 가장 아래쪽에 저장될 수 있고 보조튜브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스팀이 스팀밸브를 거쳐 스팀세퍼레이터 쪽으로 공급될 때 스팀튜브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에 따른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팀이 보조튜브가 아닌 스팀튜브 쪽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제1 관리장치 및 제2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제1 관리장치는 제2 관리장치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의 스팀튜브의 직경은, 제2 관리장치의 스팀튜브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관리장치 및 제2 관리장치의 높이차이를 고려하여 제1 관리장치 및 제2 관리장치 각각에 공급되는 스팀의 공급정도 및 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원활한 스팀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 따른 추가적인 효과 및 상세한 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 및 외부캐비닛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계실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일부 구성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일부 구성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밸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팀의 이동을 고려한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스팀밸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스팀세퍼레이터 내부에 스팀튜브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스팀세퍼레이터의 세퍼레이팅유입구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스팀세퍼레이터의 세퍼레이팅연결구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스팀밸브, 스팀튜브 및 보조튜브가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관리기(1)를 개시한다. 관리기(1)는 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해당 물품이 청결해지거나 해당 물품의 물리/화학적인 상태가 개선되도록 해당 물품을 관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과 제2 방향(Y) 각각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제3 방향(Z)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발 관리기(1)는 신발로부터 냄새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신발의 물리/화학적인 상태가 개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스팀이 신발에 스며들거나 통과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은 관리 이전의 상태보다, 청결해질 수 있고, 및/또는 신발을 이루는 소재가 부드러워질 수 있고, 및/또는 신발에 형성된 주름 등이 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수용공간(101) 및 외부캐비닛(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송풍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캐비닛(20)은 신발 관리기(1)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외부캐비닛(20)은 외부뒷판(21) 및 외부측판(22, 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측판(22, 23)은 외부뒷판(21)의 양쪽에 구비된다.
수용공간(101)은 신발 관리기(1)의 내부 공간으로서 신발이 수용되는 공간을 이룬다.
송풍부(310)는 수용공간(101)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의 구동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 및 외부캐비닛(20)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에는 이너캐비닛(100)에 수용된 신발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에서, 신발 관리기(1)에 도어(30)가 포함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신발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신발 관리기(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계실(50)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도어(30),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프레임(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의 외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가 서로 결합되고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신발 관리기(1)의 외형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5)은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룰 수 있다. 프레임(5)은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캐비닛(20)은 프레임(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내부(고내)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어느 한 쪽 면을 이룰 수 있다. 도어(30)는 신발 관리기(1)의 왼쪽면 또는 오른쪽면을 이룰 수 있고, 또는 신발 관리기(1)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
도어(30)의 외측에는 신발 관리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33)이 마련된다. 컨트롤 패널(33)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의 내측 공간부에는 컨트롤 패널(33)과 연계되어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제어부(10))이 구비된다. 제어부(10)는 기계실(5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3)에는 유아이(UI, user interface)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33)에 배치된 유아이를 조작하여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에 대한 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30)는 프레임(5)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외부캐비닛(20)에 힌지결합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 및/또는 기계실(5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어(30)의 힌지회전축(31)은 연직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는 연직방향의 회전축(31)(rotation axis)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어(30)가 신발 관리기(1)의 앞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즉,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형성되는 면을 신발 관리기(1)의 앞면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방향(X)은 전후방향과 평행하고,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하고, 제3 방향(Z)은 상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정하여 설명한다.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은 외부캐비닛(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의 공간은 수용공간(101)을 이루고, 이러한 수용공간(101)에 신발(S)이 수용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내부뒷판(110) 및 내부측판(120, 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측판(120, 130)은 내부뒷판(110)의 양쪽에 구비된다.
복수 개의 신발(S)이 하나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에서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프레임(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어느 한쪽으로 개구된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너캐비닛(100)은 신발 관리기(1)의 앞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개구인 메인개구(140)는 도어(30)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계실(5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50)에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일부의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고, 이때 기계실(50)에 수용되는 구성들은 프레임(5)에 고정되거나 이너캐비닛(100) 또는 외부캐비닛(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관리장치(2a,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발 관리기(1)에서 관리장치(2a, 2b)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 관리기(1)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신발 관리기(1)는, 2개로 구분된 관리장치(2a,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관리장치'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상술한 이너캐비닛(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서로 구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은 제1 이너캐비닛(100a)으로 칭하여 질 수 있고,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제2 이너캐비닛(100b)로 칭하여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이너캐비닛(100)'은,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이너캐비닛(100a)' 및 '제2 이너캐비닛(100b)' 각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닫히면, 도어(30)는 제1 관리장치(2a)의 메인개구(140)를 닫고, 또한 제2 관리장치(2b)의 메인개구(140)를 닫는다. 즉, 도어(30)는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을 동시에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은 서로 독립된 공간을 이룰 수 있고, 또한 서로 차단된(서로 연통되지 않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의 온도 및 습도와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의 온도 및 습도는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고,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에서 서로 개별적인 신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관리장치(2a, 2b)는 연결유로(F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송풍부(310) 및 제습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흡입구(203) 및 노즐(82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203)는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를 이룰 수 있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가열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변환유로(F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댐퍼(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스팀제너레이터(700), 스팀밸브(710) 및 스팀세퍼레이터(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섬프(60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유체(流體)의 이동통로를 이룬다.
연결유로(F10)는, 신발 관리기(1) 내부의 공기 및/또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습부(330)는 연결유로(F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습제(3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습부(330)는 그 전부가 제습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그 일부가 제습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이 배치되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의 공기를 연결유로(F10) 내부로 흡입하여 제습제(331)를 이용하여 제습하도록 이루어지고, 제습된 공기가 다시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순환 기류(air circulation) 구조를 갖는다.
연결유로(F10)는, 신발 관리기(1)에서 이러한 순환 기류 구조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호스, 튜브, 덕트, 하우징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200)은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
모듈하우징(200)에는 흡입구(203)가 형성된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모듈하우징(200)의 입구를 이룬다.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이너캐비닛(100)과 기계실(50)은 서로 분리된 공간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이너캐비닛(100)과 기계실(50)의 사이에 관리장치(2a, 2b)의 일부인 모듈하우징(2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송풍부(310), 제습부(330) 및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50)에는, 제어부(10), 섬프(600),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계실(50)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를 이루는 구성들 중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되지 않는 구성들은,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의 외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고, 또는 프레임(5)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기계실(50)에 결합되거나 수용되는 구성들은 각각, 기계실(5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각각 물을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은, 스팀제너레이터(700)로 공급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의 물을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통(60)에는 워터펌프(제1 워터펌프(61))가 연결될 수 있다.
배수통(70)은 그 내부에, 신발 관리기(1)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은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배수통(70)은 섬프(600)에서 배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통(70)에는 워터펌프(제2 워터펌프(71))가 연결될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어느 한쪽 벽면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기계실(50)에서 착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의 착탈의 용이를 위하여, 급수통(60)의 외측면에 급수통(60)의 손잡이(60a)가 형성될 수 있고, 배수통(70)의 외측면에 배수통(70)의 손잡이(7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각 구성들과 연계되어 각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의 제어를 위하여 신발 관리기(1)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로 입력되는 정보, 신발 관리기(1)에서 출력되는 정보 등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신발 관리기(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는,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각각 서로 다른 상태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관리장치(2a)에서의 신발(예컨대, 운동화)과 제2 관리장치(2b)에서의 신발(예컨대, 구두)이 서로 다른 조건에서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스팀을 생성하고,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수분 및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스팀제너레이터(700)에 의해 형성된 습한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 쪽으로 공급되고, 습기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을 순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발(S)에 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그 내부공간의 물을 가열하는 별도의 히터(700a)를 구비하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5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급수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급수통(6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물의 이동을 위한 급수통(60)과 스팀제너레이터(70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refresher)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신발을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신발의 오물제거,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신발(S)이 수용되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신발에 대한 스팀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신발 재질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급수통(6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연결되고,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및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 각각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의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및/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됨에 있어서, 스팀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도록 작동하며, 스팀밸브(710)의 작동은 제어부(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팀밸브(710)는 스팀세퍼레이터(720)와 연결된다. 스팀세퍼레이터(720)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밸브(710) 및 스팀세퍼레이터(720)를 거친 후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스팀의 이동을 위한,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스팀밸브(71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스팀밸브(710)와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밸브(710)로부터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공급된 스팀은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세퍼레이팅연결구(722)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 스팀은 스팀유입구(204)를 거쳐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부(330)는 공기를 제습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습부(330)는 그 자체로 다공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에는 그 부피 전체에 걸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가 이러한 공극을 통하여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습부(330)는 제습제(dehumidifying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331)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도를 낮출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습제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흡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데시컨트(desiccant), 흡습제(absorbent) 또는 흡착제(adsorbent)로 칭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미세 다공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실리카겔,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AL2O3), 규조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제올라이트(zeolite)로 이루어지거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송풍부(310) 내부에 송풍팬이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310)가 연결유로(F10)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송풍부(310)의 작동시 연결유로(F1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고, 또한 연결유로(F10)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수용공간(101)에서도 공기의 흐름 및 이동이 발생된다.
이처럼, 송풍부(310)의 작동(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공기를 연결유로(F10)로 흡입할 수 있고,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고, 송풍부(310)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203)로 흡입되도록 작동한다.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건조공기덕트(370) 및 노즐덕트(810)를 거친 후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다시 토출된다.
이처럼,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신발 관리기(1)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 내부에서 제습부(330) 및 송풍부(310)의 일측에는 가열부(320)가 구비된다.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모듈하우징(200)의 흡입구(203)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 순으로 거치면서 연결유로(F10)를 이동하게 된다.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듈챔버(210)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가열부(320)는 제습부(330)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가열부(3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습부(330)로 바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제습부(330)가 가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열부(320)는 제습부(330)와 인접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가열부(320)는 제습부(330)와 인접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서, 가열부(320)가 선택적으로 가열됨으로써, 제습제에 의한 제습 또는 제습제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제습부(33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장치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부(320)는 전기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부(310), 가열부(320), 제습부(330) 및 모듈하우징(200)은 하나의 셋트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셋트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상기 셋트는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트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셋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을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조모듈(DM)은, 모듈하우징(200),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듈(DM)은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이 한 쌍으로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건조모듈(DM)은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로서 '건조모듈 A(DM1)'를 이루고, 다른 하나의 건조모듈(DM)은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로서 '건조모듈 B(DM2)'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건조모듈'은,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 A(DM1)와 건조모듈 B(DM2)는 서로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모듈 A(DM1)가 흡습모드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DM2)는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반대로, 건조모듈 A(DM1)가 재생모드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DM2)는 흡습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흡습모드'는 제습부(330)가 공기 중의 습기를 흡착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재생모드'는 제습부(330)를 가열하여 제습부(330)에 흡착된 습기가 분리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가 모두 흡습모드로 작동되거나, 또는 모두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재생유로(F20)를 이루는 컨덴서(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되며, 이를 위하여 신발 관리기(1)는 스팀유입구(204)를 포함한다.
스팀유입구(204)는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스팀이 공급되는 입구를 이룬다.
연결유로(F10)는 흡입구(203)로부터 노즐(820)까지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즉, 흡입구(203)는 연결유로(F10)의 입구를 이루고, 노즐(820)은 연결유로(F1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로 구분될 수 있다.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는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는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동할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흡입구(203)와 연결되는, 연결유로(F10)의 상류 구간을 이룬다. 변환유로(F10a)는 송풍부(310),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모듈하우징(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듈챔버(210)가 변환유로(F10a)를 이룰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다습한 공기가 이동하면서 건조되는 구간일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제습부(330)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한편, 변환유로(F10a)는 제습부(330)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노즐(820)을 연결하는, 연결유로(F10)의 하류 구간을 이룬다. 건조공기덕트(370), 노즐덕트(810) 및 노즐(820)이 형성하는 유로가 건조유로(F10b)를 이룰 수 있다.
건조유로(F10b)는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
건조모듈(DM)이 흡습모드로 작동할 때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고, 건조모듈(DM)이 재생모드로 작동할 때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지 않고 건조유로(F10b)와 변환유로(F10a)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환유로(F10a)에서 제습부(330)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면, 건조된 공기가 건조유로(F10b)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의 습한 공기는 변환유로(F10a)로 유입된 후 제습부(330)에 의해 제습되어 건조한 공기로 전환되며 건조한 공기가 건조유로(F10b)를 통하여 다시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재공급될 수 있으며,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과 연결유로(F10)를 순환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진다.
재생유로(F20)는 유체(流體)의 이동통로를 이룬다.
재생유로(F20)는, 신발 관리기(1) 내부의 공기 및/또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재생유로(F20)는, 제습부(330)의 제습제의 재생시, 제습부(330)를 거친 공기 및/또는 응축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재생유로(F2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호스, 튜브, 덕트, 하우징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331)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은, 건조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인 건조유로(F10b)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통해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습제의 재생 시에는 제습부(330)를 통과한 공기가 노즐(820)로 송풍되지 않고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되는 유로이다.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의 건조유로(F10b)와 다른 경로를 이루도록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될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섬프(600)로 이어진다.
섬프(600)는 그 내부에 물이 저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섬프(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섬프(600)를 연결하는 구간일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제습부(330)에서 분리된 습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400)는 재생유로(F20)를 이룬다. 제습제(331)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재생유로(F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컨덴서(400)로 이동한 후 응축될 수 있다. 그리고, 컨덴서(4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재생유로(F20)를 통해 섬프(600)로 이동하여 섬프(600)의 하부에서 집수된 후, 배수통(70)으로 배출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거나 스팀제너레이터(700) 등으로 압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이 재생모드로 작동할 때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고, 건조모듈(DM)이 흡습모드로 작동할 때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지 않고 재생유로(F20)와 변환유로(F10a)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환유로(F10a)에서 제습부(330)의 재생이 이루어지면, 제습부(330)에서 분리된 습기를 포함하는 습한 공기가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댐퍼(350)는 댐퍼 밸브(damper valv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35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제습제를 거친 공기의 이동경로를 제어한다. 댐퍼(350)의 작동에 따라 제습제를 거친 공기는,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재생유로(F20)로 이동할 수 있다.
댐퍼(350)는, 건조유로(F10b)를 차단하면서 재생유로(F20)를 개방하거나, 또는 재생유로(F20)를 차단하면서 건조유로(F10b)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에서는 변환유로(F10a)가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되 재생유로(F20)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에서는 변환유로(F10a)가 재생유로(F20)와 연통되되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건조유로(F10b)를 따라 흐르고, 제2 관리장치(2b)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는 흡습모드로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는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에서 변환유로(F10a)가 재생유로(F20)와 연통되되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에서 변환유로(F10a)가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되 재생유로(F20)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따라 흐르고, 제2 관리장치(2b)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건조유로(F10b)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는 재생모드로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는 흡습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 및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 모두에서, 변환유로(F10a)가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되 재생유로(F20)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하는 경우,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는 모두 흡습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 및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 모두에서, 변환유로(F10a)가 재생유로(F20)와 연통되되 건조유로(F10b)와 연통되지 않도록 댐퍼(350)가 작동하는 경우,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는 모두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일부 구성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일부 구성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밸브(71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팀의 이동을 고려한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스팀밸브(71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하나의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1개의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될 때,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내부 및/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에서 2개 이상의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의 이동을 위한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이너캐비닛(10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밸브(710) 및 스팀세퍼레이터(720)를 거친 후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스팀의 이동을 위한,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스팀밸브(71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스팀밸브(710)와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연결은 파이프, 호스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스팀튜브(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팀튜브(730)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튜브(730)는 고무,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튜브(73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의 스팀의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이너캐비닛(100)를 연통되게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팀튜브(730)는 스팀밸브(710)와 스팀세퍼레이터(720)를 연결한다. 스팀튜브(730)의 일측 단부(731)가 스팀밸브(710)에 결합되고 스팀튜브(730)의 타측 단부(732)가 스팀세퍼레이터(720)에 결합된다.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스팀밸브(710)는 기계실(50)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는 제2 관리장치(2b)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팀밸브(710)는,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및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 각각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의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및/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됨에 있어서, 스팀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도록 작동하며, 스팀밸브(710)의 작동은 제어부(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팀밸브(710)는 밸브하우징(711), 밸브입구(712), 제1 밸브출구(713), 제2 밸브출구(714), 밸브디스크(715) 및 밸브모터(7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스팀밸브(710)에서, 밸브입구(712), 제1 밸브출구(713), 제2 밸브출구(714)를 제외한 다른 출입구는 마개에 의하여 막힐 수 있고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스팀밸브(710)에서, 밸브입구(712), 제1 밸브출구(713), 제2 밸브출구(714) 각각의 형성방향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하우징(711)은 스팀밸브(710)의 몸체를 이루고, 그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밸브입구(712)는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밸브하우징(71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밸브하우징(711)에 결합된다. 밸브입구(712)는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연결되는 부분이며, 밸브입구(712)를 통하여 스팀밸브(710) 내부(밸브하우징(711)의 내부)로 스팀이 유입될 수 있다.
제1 밸브출구(713) 및 제2 밸브출구(714)는 각각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밸브하우징(71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밸브하우징(711)에 결합된다.
제1 밸브출구(713) 및 제2 밸브출구(714)는 스팀밸브(710)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출구이다. 제1 밸브출구(713)는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과 연결되고, 제2 밸브출구(714)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팀튜브(730)는 제1 스팀튜브(730a)와 제2 스팀튜브(73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스팀튜브(730a)와 제2 스팀튜브(730b)는 각각 개별적인 튜브를 이룬다.
제1 스팀튜브(730a)의 일측 단부는 제1 밸브출구(713)에 결합되고, 제2 스팀튜브(730b)의 일측 단부는 제2 밸브출구(714)에 결합된다. 제1 스팀튜브(730a)는 제1 밸브출구(713)와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를 연통되게 연결하고, 제2 스팀튜브(730b)는 제2 밸브출구(714)와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을 연통되게 연결한다.
밸브디스크(715)는 스팀밸브(710) 내부(밸브하우징(711)의 내부)에 구비되고 스팀밸브(710) 내부에서 유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밸브디스크(715)는 제1 밸브출구(713)의 유로와 제2 밸브출구(714)의 유로를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디스크(715)는, 밸브하우징(711)의 내부에서,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 사이에 위치한다. 밸브디스크(715)는,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가 서로 연통되거나 연통이 차단되도록 하고, 또한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가 서로 연통되거나 연통이 차단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밸브디스크(715)는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밸브홀(715a)을 구비할 수 있다. 밸브홀(715a)은 밸브디스크(715)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밸브디스크(715)는 밸브회전축(715b)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밸브하우징(711)에 결합될 수 있고, 밸브홀(715a)은 밸브회전축(715b)에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밸브모터(716)는 밸브하우징(711)에 결합되고 또한 밸브모터(716)는 밸브디스크(715)의 회전축(715b)에 결합되어 밸브디스크(715)를 회전시킨다.
제어부(10)는 밸브모터(716)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스팀밸브(710)를 제어할 수 있다.
밸브모터(716)의 작동에 의하여 밸브디스크(715)가 회전하고, 밸브디스크(715)의 회전 정도에 따라 밸브디스크(715)는 스팀밸브(710) 내부(밸브하우징(711) 내부)의 유로를 열거나 닫는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디스크(715)의 회전정도에 따라,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가 밸브홀(715a)을 통하여 서로 연통될 때 밸브디스크(715)에 의해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가 서로 연통이 차단될 수 있고, 또는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가 밸브홀(715a)을 통하여 서로 연통될 때 밸브디스크(715)에 의해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가 서로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디스크(715)의 회전정도에 따라, 밸브입구(712)가 제1 밸브출구(713) 및 제2 밸브출구(714) 모두와 연통될 수 있고, 또는 밸브입구(712)가 제1 밸브출구(713) 및 제2 밸브출구(714) 모두와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밸브디스크(715)는 제1 밸브출구(713)의 유로를 개방하면서 제2 밸브출구(714)의 유로를 닫을 수 있고, 또한, 제1 밸브출구(713)의 유로를 닫고 제2 밸브출구(714)의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스팀밸브(710)는, 밸브입구(712)와 제1 밸브출구(713)만이 서로 연통되거나, 밸브입구(712)와 제2 밸브출구(714)만이 서로 연통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으로 모두 공급될 수 있고, 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압력강하 없이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 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에 하나의 스팀제너레이터(700)만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2개의 이너캐비닛(100) 각각의 수용공간(101)으로 충분하고 안정적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의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가 꺼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1 밸브출구(713)를 닫거나 열고, 제1 관리장치(2a)의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가 켜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1 밸브출구(713)를 닫도록 스팀밸브(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제2 관리장치(2b)의 가열부(320)가 꺼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가 꺼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2 밸브출구(714)를 닫거나 열고, 제2 관리장치(2b)의 가열부(320)가 켜졌을 때(가열부(320)의 히터가 켜졌을 때) 밸브디스크(715)가 제2 밸브출구(714)를 닫도록, 스팀밸브(7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제어부(10)에 의해 스팀밸브(710)가 제어됨으로써,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제1 관리장치(2a)의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수용공간(101)으로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급될 수 있고, 신발 관리기(1)의 사용상태에 따라 스팀의 공급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세퍼레이터(7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에 스팀튜브(730)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세퍼레이팅유입구(723)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세퍼레이팅연결구(722)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튜브(730)가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집입하지 않은 경우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튜브(730)가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집입한 경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스팀유입구(204)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스팀세퍼레이터(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세퍼레이터(720)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로부터 이너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되는 스팀은 대부분 기체 상태이나, 이동 과정에서 응축되어 액체 상태인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지점에 습기가 남지 않도록 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은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스팀 중의 응축수가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의 내측면에 흡착되어 잔류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스팀 중의 응축수가 그대로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급되더라도, 스팀 형태로 신발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므로 신발의 관리(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 처리, 신발 재질의 부풀림 등)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스팀 중의 응축수가 스팀유입구(204)로 유입되기 이전에 스팀유입구(204)에 설치된 스팀세퍼레이터(720)를 통해 스팀 중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세퍼레이터(720)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 세퍼레이팅연결구(722), 세퍼레이팅유입구(723) 및 세퍼레이팅배출구(724)를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베이스(721)는 소정의 내부 공간인 스팀공간(721a)을 형성하는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진다. 세퍼레이팅베이스(721)는 평면도상 스팀유입구(204)가 이루는 구멍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부 면적을 이루고, 세퍼레이팅베이스(721)는 스팀유입구(204)의 하측에서 스팀유입구(204)를 커버하면서 모듈하우징(200)에 고정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스팀이 유입되는 입구를 이룬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스팀튜브(730)를 통하여 스팀밸브(710)와 연결되고,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스팀밸브(710)를 거친 후 스팀튜브(730) 및 세퍼레이팅유입구(723)를 통하여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세퍼레이팅연결구(722)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하측에서 연직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상하방향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상단이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721b)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721b)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부에서 응축수가 발생되어 응축수가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721b)으로 흐르더라도 응축수가 세퍼레이팅유입구(72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팅배출구(724)로 모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연결구(722)는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의 스팀이 배출되는 출구를 이룬다. 세퍼레이팅연결구(722)를 통하여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의 스팀은 스팀유입구(204)로 이동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연결구(722)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연결구(722)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상측에서 연직방향 상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스팀유입구(204)와 바로 연결 및 연통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의 응축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이룬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섬프(600)와 연결되고, 세퍼레이팅배출구(724)를 통하여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의 응축수는 섬프(600)로 이동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세퍼레이팅연결구(722)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하측에서 연직방향 하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 중 가장 낮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은 세퍼레이팅배출구(724)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은 제2 방향(Y) 또는 제2 방향(Y)의 반대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제2 방향(Y)의 앞쪽 끝 또는 뒤쪽 끝에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유입된 스팀은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일 수 있고, 상온(ordinary temperature, 예컨대, 20±5℃) 이상의 온도일 수 있다. 이러한 스팀은 상승하려는 성질이 강하므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상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된 세퍼레이팅연결구(722)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유입된 스팀 중 일부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 내부에서 냉각되어 응축되고, 응축수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을 따라 흐를 수 있으며, 세퍼레이팅배출구(724)를 통하여 스팀세퍼레이터(720) 외부로 배출되고 섬프(6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세퍼레이터(720)에 세퍼레이팅연결구(722)와 세퍼레이팅배출구(724)가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스팀과 응축수가 함께 존재할 경우 각각 개별적은 경로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팅연결구(722)는 스팀세퍼레이터(720)의 상측에 형성되면서 세퍼레이팅배출구(724)는 스팀세퍼레이터(720)의 하측에 형성됨으로써, 스팀과 응축수의 각각의 성질에 맞게 수증기와 응축수가 서로 반대쪽 방향으로 배출되게 되며,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에 잔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튜브(730)가 스팀세퍼레이터(720)와 결합됨에 있어서, 스팀튜브(730)의 단부(732)는 세퍼레이팅유입구(723)를 통하여 스팀공간(721a)으로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스팀튜브(730)의 단부(732)가 스팀공간(721a)으로 진입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스팀튜브(730)의 적어도 일부는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721b)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스팀튜브(730)의 단부가 세퍼레이팅유입구(723)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부에서 응축수가 발생되어 응축수가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721b)으로 흐르더라도 응축수가 스팀튜브(730)에 의해 막혀 세퍼레이팅유입구(723)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튜브(730)의 단부(732)는 스팀세퍼레이터(720)의 내부에서 세퍼레이팅연결구(722) 쪽을 향하도록 곡선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튜브(730)의 단부(732)는 스팀세퍼레이터(720)의 내부에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도록 스팀공간(721a)의 어느 일측으로 휘어져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팀공간(721a)은 수직방향의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길이가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세퍼레이팅유입구(723)와 세퍼레이팅연결구(722)는 수평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세퍼레이팅유입구(723)가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에 형성될 때, 스팀튜브(730)는 세퍼레이팅유입구(723)를 통하여 스팀공간(721a)으로 진입 후 곡선형태를 이루며 수평방향을 향하여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팀공간(721a)에서 스팀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스팀튜브(730)에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까지의 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튜브(730)가 구비되지 않을 때, 스팀공간(721a)에서 스팀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세퍼레이팅유입구(723)와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과의 거리(SD1, 도 13a 참조)는 비교적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팅유입구(723)가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바닥면(721b)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질 때, 스팀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세퍼레이팅유입구(723)와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과의 거리는 더욱 짧게 된다.
이 경우, 세퍼레이팅유입구(723)에서 토출되는 스팀은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에 쉽게 부딪히게 되는데, 세퍼레이팅유입구(723)에서 토출되는 스팀의 속도에 따라, 스팀이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이너캐비닛(100)의 내부까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스팀은 스팀튜브(730)에서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여야 하며, 이때, 스팀의 토출방향에서 세퍼레이팅유입구(723)와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과 거리(SD1)가 비교적 가까운 경우, 스팀이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는, 스팀튜브(730)가 스팀공간(721a)에서 곡선형태로 휘어져 구비되며, 이에 따라 스팀의 토출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한 스팀튜브(730)의 단부에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까지의 거리(SD2, 도 12b 참조)가 세퍼레이팅유입구(723)에서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까지의 거리(SD1)보다 길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공간(721a)에서 스팀의 속도가 저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팀이 세퍼레이팅베이스(721)의 내측면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스팀튜브(730)가 스팀공간(721a)에서 세퍼레이팅연결구(722) 쪽을 향하여 휘어져 구비됨으로써 세퍼레이팅연결구(722)를 향하여 스팀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으며,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스팀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튜브(730)가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집입하지 않고 스팀튜브(730)가 세퍼레이팅유입구(723)의 외측에 단순 연결된 경우에, 신발 관리기(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a에서 D 구간은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및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진입하기 전의 구간이고, 도 14a에서 B 구간은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분사될 때의 구간이고, 도 14a에서 C 구간은 스팀이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분사될 때의 구간이다.
도 14a에서 B구간의 평균 소음(dB)의 크기는 39.05dB이고, 도 14a에서 C구간의 평균 소음(dB)의 크기는 36.56dB이었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튜브(730)가 스팀세퍼레이터(720) 내부로 집입하여 휘어져 구비되는 경우(도 13a 참조)에, 신발 관리기(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b에서 D' 구간은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및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진입하기 전의 구간이고, 도 14b에서 B' 구간은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분사될 때의 구간이고, 도 14b에서 C' 구간은 스팀이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 분사될 때의 구간이다.
도 14b에서 B'구간의 평균 소음(dB)의 크기는 36.46dB이고, 도 14b에서 C'구간의 평균 소음(dB)의 크기는 36.83dB이었다.
이처럼 C구간의 소음과 C'구간의 소음은 그 차이가 작으나, B'구간의 소음의 크기는 B구간의 소음의 크기와 비교하여 꽤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밸브(710), 스팀튜브(730) 및 보조튜브(750)가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보조튜브(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튜브(750)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튜브(75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튜브(750)는 스팀튜브(730)로부터 분기된다. 보조튜브(750)는 스팀튜브(730)와 분기된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튜브(750)는 스팀튜브(73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튜브(750)는 튜브연결구(740)를 통하여 스팀튜브(730)와 연결될 수 있다.
튜브연결구(740)는 분기관(branch pip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연결구(740)는 Y형의 분기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이 스팀튜브(730)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스팀이 응축되어 액체 상태인 응축수가 스팀튜브(730)의 내부에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가 스팀튜브(730) 내부에 잔류하는 경우 스팀밸브(710)를 통하여 스팀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팀과 스팀튜브(730) 내의 응축수가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스팀튜브(730)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스팀밸브(710)쪽으로 흘러 이동할 수 있는데, 스팀밸브(710)의 출구(713, 714)의 근처에서 응축수가 응집되어 더 커지는 경우, 스팀밸브(710)에서 분사되는 스팀과 스팀튜브(730) 내의 응축수가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보조튜브(7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술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스팀튜브(730) 내에서 발생된 응측수는 하측으로 흘러 보조튜브(75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튜브(730)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 정도를 현저히 완화할 수 있고, 스팀튜브(730) 내부에서 응축수의 존재에 따른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보조튜브(750)는 스팀튜브(730)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측으로 휘어지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보조튜브(750)는 그 일부가 유튜랩(U트랩) 또는 에스트랩(S트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측으로 볼록한 트랩부(7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팀밸브(710)의 작동시 보조튜브(750)를 통하여 스팀이 빠져 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응축수가 보조튜브(750)로 유입되는 경우 보조튜브(750)의 하측으로 볼록한 트랩부(751)에 응축수가 저장되어 스팀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스팀밸브(710)에서의 스팀이 스팀튜브(730)를 통하여 이동하고 보조튜브(750)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에서, 보조튜브(750)의 분기된 지점은, 상기 스팀튜브(730)의 상하높이에서 중간지점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팀튜브(730)의 전체 상하높이에서 중간 이하의 지점에서 보조튜브(75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튜브(750)는 섬프(600)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조튜브(750)의 일측 단부는 스팀튜브(730)(튜브연결구(740))와 연결되고 보조튜브(750)의 타측 단부는 섬프와 연결되며, 보조튜브(750) 내부의 응축수는 섬프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관리장치(2b)는 제1 관리장치(2a)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팀튜브(730)는 제1 스팀튜브(730a)와 제2 스팀튜브(730b)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스팀튜브(730a)의 직경과, 제2 스팀튜브(730b)의 직경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스팀튜브(730a)의 직경은, 제2 스팀튜브(730b)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의 높이차이를 고려하여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공급되는 스팀의 공급정도 및 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원활한 스팀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스팀튜브(730a)의 직경이 제2 스팀튜브(730b)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스팀튜브(730a)를 이동하는 스팀의 속도는 제2 스팀튜브(730b)의 스팀의 속도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가 제2 관리장치(2b)보다 더 높게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으로 스팀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신발 관리기 2a : 제1 관리장치
2b : 제2 관리장치
10 : 제어부 20 : 외부캐비닛
21 : 외부뒷판 22 : 제1 외부측판
23 : 제2 외부측판
30 : 도어 33 : 컨트롤패널
50 : 기계실
60 : 급수통 61 : 제1 워터펌프
70 : 배수통 71 : 제2 워터펌프
100 : 이너캐비닛
101 : 수용공간 110 : 내부뒷판
120 : 제1 내부측판
130 : 제2 내부측판 140 : 메인개구
200 : 모듈하우징
203 : 흡입구 204 : 스팀유입구
210 : 모듈챔버
310 : 송풍부 320 : 가열부
330 : 제습부 331 : 제습제
350 : 댐퍼
370 : 건조공기덕트 400 : 컨덴서
600 : 섬프
700 : 스팀제너레이터 710 : 스팀밸브
711 : 밸브하우징 712 : 밸브입구
713 : 제1 밸브출구 714 : 제2 밸브출구
715 : 밸브디스크 715 : 밸브모터
720 : 스팀세퍼레이터 721 : 세퍼레이팅베이스
722 : 세퍼레이팅연결구 723 : 세퍼레이팅유입구
724 : 세퍼레이팅배출구
730 : 스팀튜브 740 : 튜브연결구
750 : 보조튜브
810 : 노즐덕트 820 : 노즐
DM, DM1, DM2 : 건조모듈 F10 : 연결유로
F10a : 변환유로 F10b : 건조유로
F20 : 재생유로 RP : 기준면
X : 제1 방향
Y : 제2 방향 Z : 제3 방향

Claims (12)

  1.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이너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수용공간으로 다시 배출되도록,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는 연결유로;
    상기 연결유로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
    상기 연결유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를 제습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습부;
    스팀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팀제너레이터;
    내부공간인 스팀공간을 형성하는 세퍼레이팅베이스, 스팀이 유입되는 세퍼레이팅유입구,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세퍼레이팅연결구 및 응축수가 배출되는 세퍼레이팅배출구를 포함하는, 스팀세퍼레이터;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스팀이 상기 스팀세퍼레이터로 이동하도록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에 연결되는 스팀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튜브의 단부는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스팀공간으로 진입하는,
    신발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튜브의 단부는 상기 세퍼레이팅연결구 쪽을 향하도록 곡선형태로 휘어진,
    신발 관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튜브의 단부는 상기 세퍼레이팅베이스의 내측면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도록 상시 스팀공간의 어느 일측으로 휘어져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스팀의 공급이 제어되도록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연결되는 스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튜브는 상기 스팀밸브와 상기 스팀세퍼레이터를 서로 연결하는,
    신발 관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간은 수직방향의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길이가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와 상기 세퍼레이팅연결구는 수평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신발 관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팅유입구는 상기 세퍼레이팅베이스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세퍼레이팅연결구는 상기 세퍼레이팅베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신발 관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상기 이너캐비닛 및 상기 스팀세퍼레이터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신발 관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스팀튜브로부터 분기되되, 분기된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휘어진 보조튜브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응축수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섬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튜브는 상기 섬프로 연결되는,
    신발 관리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튜브의 분기된 지점은, 상기 스팀튜브의 상하높이에서 중간지점보다 낮은,
    신발 관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제1 관리장치;
    상기 제1 관리장치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리장치 및 상기 제2 관리장치 각각은, 상기 이너캐비닛, 상기 연결유로, 상기 송풍부, 상기 제습부, 상기 스팀튜브를 각각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장치의 상기 스팀튜브의 직경은, 상기 제2 관리장치의 상기 스팀튜브의 직경보다 작은,
    신발 관리기.
KR1020220110953A 2022-09-01 2022-09-01 신발 관리기 KR10266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53A KR102662599B1 (ko) 2022-09-01 2022-09-01 신발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53A KR102662599B1 (ko) 2022-09-01 2022-09-01 신발 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762A true KR20240031762A (ko) 2024-03-08
KR102662599B1 KR102662599B1 (ko) 2024-04-30

Family

ID=9023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953A KR102662599B1 (ko) 2022-09-01 2022-09-01 신발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5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364U (ko) * 1994-06-07 1996-01-19 증기관용 소음 방지장치
KR20130106193A (ko) * 2012-03-19 2013-09-27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KR20220043099A (ko) * 2019-12-30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364U (ko) * 1994-06-07 1996-01-19 증기관용 소음 방지장치
KR20130106193A (ko) * 2012-03-19 2013-09-27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KR101874011B1 (ko) * 2012-03-19 2018-07-04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스팀에 의한 의류처리장치
KR20220043099A (ko) * 2019-12-30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599B1 (ko) 202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09619B (zh) 乾燥裝置
TWI809618B (zh) 乾燥裝置
KR102662599B1 (ko) 신발 관리기
KR20220136866A (ko) 신발 관리기
KR102601790B1 (ko) 신발 관리기
KR102662601B1 (ko) 신발 관리기
KR102603566B1 (ko) 신발 관리기
KR102664497B1 (ko) 신발 관리기
KR102609894B1 (ko) 신발 관리기
TWI809791B (zh) 鞋子護理裝置
KR20240003632A (ko)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3634A (ko)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31760A (ko) 신발 관리기
TW202327505A (zh) 鞋子護理裝置
KR20220136867A (ko) 신발 관리기
KR20220136865A (ko) 신발 관리기
KR20220136863A (ko) 신발 관리기
KR20220136864A (ko) 신발 관리기
CN118234420A (zh) 鞋护理装置
KR20230026192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26176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26190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26193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26186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26125A (ko) 신발 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