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003A -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003A
KR20090024003A KR1020070089175A KR20070089175A KR20090024003A KR 20090024003 A KR20090024003 A KR 20090024003A KR 1020070089175 A KR1020070089175 A KR 1020070089175A KR 20070089175 A KR20070089175 A KR 20070089175A KR 20090024003 A KR20090024003 A KR 20090024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aling member
steam generator
cas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969B1 (ko
Inventor
이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69B1/ko
Priority to CNA2007103001504A priority patent/CN101187138A/zh
Priority to DE102008045077A priority patent/DE102008045077A1/de
Priority to US12/230,630 priority patent/US7930909B2/en
Priority to FR0855867A priority patent/FR2920446A1/fr
Publication of KR2009002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발열부; 및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며, 상기 발열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어셈블리;를 구비한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어셈블리에는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실링부재가 포함되며,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 차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또는 실링부재가 열변형되더라도 케이스의 개구부와 실링부재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누설 차단부

Description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STEAM GENERATOR AND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와 증기발생장치의 케이스 사이에서 누설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히터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개구부에 누설차단부를 형성한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판형의 펄세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세탁하는 방식의 펄세이터형 세탁기와, 눕혀진 통을 회전시킴에 따라 통 내부에서 발생하는 세탁수와 세탁물의 낙차와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방식의 드럼세탁기로 대별된다.
이 중 드럼세탁기는 펄세이터형 세탁기에 비해 세탁 시 물과 세제의 사용량이 적고, 옷감의 손상이 적으며, 빨래의 엉킴이 거의 없다는 등의 장점으로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종래의 드럼세탁기에 관한 기술 내용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41222" 등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와, 세탁수 및 증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제공되어 급수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급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그리고,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증기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증기를 상기 드럼 내부로 안내하여 분사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증기공급관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드럼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증기발생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에 급수된 물의 수온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케이스의 히터장착부위에 열변형이 생겨 상기 케이스 내부의 물이 새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히터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의 가운데 부분이 많이 열변형되거나,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케이스와 상기 히터 접촉부의 밀봉을 위해 상기 히터에 장착된 실링부재의 중간 부위가 함몰되어 생기는 물의 누설이 심각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히터가 장착되는 증기발생장치 케이스의 개구부를 히터의 실링부재 보다 작게 하여 케이스 또는 실링부재가 열변형되더라도 케이스와 실링부재 사이에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와 증기발생장치 케이스 간에 누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개구부에 누설 차단부를 형성한 증기발생장치 및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발열부; 및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며, 상기 발열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어셈블리;를 구비한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고정부 어셈블리를 구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실링부재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발열부; 및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며, 상기 발열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어셈블리;를 구비한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어셈블리에는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실링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실 링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차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발열부 또는 히터와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케이스가 열변형되더라도 상기 발열부의 실링부재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서 물이 누설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발열부 또는 상기 히터와 상기 케이스의 열변형 정도를 미리 예상하여, 열변형량 만큼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작게 하던가 상기 발열부의 실링부재를 크게 함으로써 누설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설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길이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열변형이 가장 많이 되는 상기 실링부재의 가운데 부분에서의 누설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누설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누설차단부의 돌출된 정도는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가장 작고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 큰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열변형으로 인해 상기 실링부재의 함몰량이 상기 실링부재의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 크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개구부의 전체 크기를 상기 실링부재의 전체 크기 보다 작게 하여 상기 누설차단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개구부의 가운데 부분만 작게 하거나 돌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부의 전체가 상기 실링부재의 전체 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실링부재의 가운데 부분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에서의 누설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핀바스켓;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상기의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세탁기 또는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드럼;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건조드럼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상기에서 설명한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건조기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증기발생장치 케이스의 개구부를 히터의 실링부재 보다 작게 형성하거나 실링부재를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하여, 케이스 또는 실링부재가 열변형되더라도 케이스의 개구부와 실링부재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와 증기발생장치 케이스 간에 누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개구부에 누설 차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아지며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증기발생장치의 케이스에서 누설된 물이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내부에 고이거나 이로 인해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내부에 곰팡이 등의 위생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증기발생장치 및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 (aspects)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이하에서는 의류처리장치의 한 예로써 드럼 세탁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100)는 드럼 타입 세탁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01)과, 캐비닛(101) 내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102)와, 터브(10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03)과, 드럼(103)을 구동 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와, 드럼(103)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해 캐비닛(101)과 터브(102) 사이의 공간에 설 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발생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장탈착 또는 유지관리의 편의를 위해 증기발생장치(200)는 캐비닛 (101)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드럼세탁기(100)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관 등에 연결되어 터브(102) 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 밸브(10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증기발생장치(200)의 일측에는 급수관(105)을 통해 드럼세탁기 (100)의 급수밸브(104)와 연결되는 급수구(201)가 형성되고, 증기발생장치(200)의 타측에는 내부에서 생성된 증기를 드럼(103) 내부로 공급되도록 증기공급관(106)이 연결되는 증기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증기공급관(106)은 드럼(103)의 내부 공간으로 증기를 원활하게 분사 가능하도록 그 끝부분이 노즐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증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끝단이 드럼(103)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증기발생장치(200)는 급수 밸브(104)와 증기 공급관(106)에서 연결되는 유로를 비교적 짧게 구성하고 수리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터브(102)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발생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히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증기발생장치(2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10,220)와, 케이스(210,220) 내부에 제공되어 급수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11) 와, 급수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부(231), 그리고,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증기발생장치(200)는 일측에 개구부(221)가 형성된 케이스(210, 220)와, 개구부(22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히터(230) 내지 발열부(231)와, 개구부 (221)에 발열부(231)가 장착되도록 개구부(221)를 밀봉함과 동시에 발열부(231)를 지지하는 고정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개구부(221)의 크기는 상기 고정부 어셈블리를 구성하며 개구부(221)를 밀봉하는 실링부재(233)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의 내부에 발열부(231) 등을 장착하기 위해서 상부 케이스(210) 및 상부 케이스 (210)와 형합되는 하부 케이스(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구부(221)는 케이스(210,220) 중에서 하부 케이스(2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열부(231)를 상부 케이스(210)에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210)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231) 등을 포함한 히터(2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히터(230)는 히터온도퓨즈(미도시)가 내장된 발열부 (231)와, 발열부(231)를 케이스(210,220)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아우터브라켓 (234)과, 아우터브라켓(234)의 일측에 밀착 설치된 실링부재(233) 그리고, 실링부 재(233)를 기준으로 아우터브라켓(234)과 마주 보도록 실링부재(233)에 밀착되며 아우터브라켓(234)과 체결되는 이너브라켓(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 어셈블리는 이너브라켓(232), 실링부재(233) 및 아우터브라켓(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211)와 이너브라켓(213)의 체결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열부 고정수단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너브라켓(232)에는 길게 연장된 체결로드(232a)가 부착되어 있으며, 체결로드(232a)의 끝단에는 나사산(23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체결로드 (232a)가 실링부재(233)와 아우터브라켓(234)을 관통하도록 한 후에 체결로드(232a)의 나사산(232b)에 너트(236)를 체결함으로써 발열부(231), 이너브라켓 (232), 실링부재(233) 및 아우터브라켓(234)이 결합되어 히터(230)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231)는 대략 중공의 파이프 형상이며, 그 일단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235)가 부착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 히터(230)가 증기발생장치(200)의 케이스(210,220) 내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231) 등을 포함한 히터(230)는 케이스(210,220) 내로 급수된 물을 직접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물 속에 잠겨있어야 하며, 케이스(210,220)에 저장된 물이 증기로 변하여 물의 양이 줄어들더라도 여전히 물 속에 잠겨있기 위해서는 케이스(210,220) 중에서 하부 케이스(220)의 아래 부분 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아래 부분에는 히터(230) 또는 발열부(231)의 고정부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개구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221)의 형상은 히터(230)의 고정부 어셈블리, 보다 정확하게는 실링부재(233)의 형상과 동일 내지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스 (220)의 개구부(221)와 히터(230)의 고정부 어셈블리 간의 체결관계를 살펴 보면, 우선 개구부(221)에는 실링부재(233)가 형합되고, 실링부재(233)를 기준으로 하부케이스(220)의 내측 쪽에는 이너브라켓(232)이 위치하고 하우 케이스(220)의 외측 쪽에는 아우터브라켓(234)이 위치한다.
즉, 상기 개구부(221)에 실링부재(233)가 직접적으로 끼워지고, 개구부(221)의 내외측면에 이너브라켓(232)과 아우터브라켓(234)이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케이스(210,220) 내부에는 대부분 고온의 물 또는 증기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고온의 물 또는 증기는 케이스(210,220) 내지 실링부재(233)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케이스(210,220) 또는 히터(230)의 실링부재(233)가 열변형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상기 개구부(221)를 실링부재(233)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실링부재 (233) 또는 하부 케이스(220)가 열변형되더라도 실링부재(233)와 하부 케이스(220)의 개구부(221) 사이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험 등을 통해 실링부재(233)와 하부 케이스(220)의 열변형 정도를 미리 예상하여, 열변형량 만큼 개구부(221)를 작게 하던가 실링부재(233)를 크게 함 으로써 개구부(221)와 실링부재(233)의 결합부위 사이에서 물이나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증기발생장치에 비하여, 개구부(221)의 전체 크기를 실링부재(233)의 전체 크기 보다 작게 하거나 실링부재(233)의 전체 크기를 개구부 (221)의 전체 크기 보다 크게 함으로써, 개구부(221) 또는 실링부재(233)의 가운데 부분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에서의 누설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221)의 폭(즉, 짧은 내경)을 18mm로 한 경우라면, 실링부재(233)의 폭을 19mm 정도로 형성하면, 실링부재(233)가 개구부(221)에 끼워질 때 1mm 만큼 억지 끼움이 되면서 실링부재(233)가 함몰되는 등 변형되더라도 개구부 (221)와 실링부재(233) 사이에 최소한 1mm 보다 작은 틈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열변형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221) 또는 실링부재 (233)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 외에, 개구부(221)에 누설 차단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개구부(221)의 길이방향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이 누설 차단부(222)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상기 누설 차단부(222)는, 대략 개구부(221)의 길이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열변형으로 인해 실링부재(233)의 길이방향의 가운데 부분이 가장 많이 함몰되기 때문이다. 즉, 개구부(221)의 가운데 부분에서의 폭을 다른 부분의 폭 보다 작게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21) 또는 실링부재(233)는 대략 육상 경기장의 트랙(track)과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긴 지름의 길이방향과 짧은 지름의 폭방향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개구부(221) 또는 실링부재(233)의 형상이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열변형으로 인해 실링부재(233)의 가운데 부분이 함몰되더라도, 개구부(221)의 누설 차단부(222)에 의해 실링부재(233)와 개구부 (221)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실링부재(233)와 하부 케이스(220) 사이에서 물이 누설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233)의 가운데 부분의 함몰 정도를 미리 예상하여, 함몰되는 만큼 개구부(221)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누설 차단부(222)를 형성해 둠으로 써 누설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설 차단부(222)의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개구부(221)의 가장자리에서부터 개구부(221)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누설 차단부(2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누설 차단부(222)의 돌출된 정도는 개구부(221)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가장 작고, 개구부(221)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 크다. 이는, 열변형으로 인한 실링부재(233)의 함몰량이 실링부재(233)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부(2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가까운 부분의 폭을 18mm로 하고 가운데 부분에 있는 누설 차단부(222)의 폭을 17.8mm로 하면, 누설 차단부 (222)가 0.2mm 만큼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실링부재(233)의 가운데 부분이 0.2mm 정도 함몰되더라도 개구부(221)와 실링부재(233) 사이에 0.2mm 보다 작은 틈새가 생기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증기발생장치(200)의 케이스(210,220)는 대략 직육면체의 통형이고, 히터(230)가 눕혀진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개구부(221) 역시 눕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눕혀진 형태의 개구부(221)는 거의 대부분의 시간동안 물 속에 잠겨 있게 되므로, 개구부(221)의 전체에 걸쳐서 누수 관리가 중요하다.
그러나, 도 4에서와 달리, 히터 또는 개구부가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다면 누수 관리를 집중적으로 해야 할 부분이 달라질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케이스의 개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증기발생장치(300)의 케이스(310,320)는 증기발생장치 (300)가 설치되는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개구부(321)가 세워진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개구부(321)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는 누설 차단부(3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케이스(310,320) 또는 개구부(321)의 형상을 고려할 때, 개구부(321)의 전체가 거의 대부분 물 속에 잠겨 있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321)의 아래 부분이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물 속에 잠겨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세워진 형태인 개구부(321)의 누설 관리는 개구부(321)의 하부에 집 중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개구부(321)의 하부까지 누설 차단부(322)를 연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개구부(321)의 길이는 기존의 형상을 유지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한 증기발생장치(200,300)는 드럼 세탁기(100) 뿐만 아니라,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건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한 드럼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1')과, 캐비닛(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드럼(102')과, 캐비닛(101')과 건조드럼(102')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기발생장치(400)는 이미 설명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증기발생장치(200,3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증기발생장치 케이스의 개구부의 형상을 개선하거나 누설 차단부를 형성함으로써, 히터의 실링부재가 열변형되어 그 가운데 부분이 크게 함몰되더라도, 케이스와 실링부재 사이에서 누수현상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누설 차단부를 둠으로써 물이 새어나가는 것 뿐만 아니라, 증기가 새어 나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드럼 세탁기,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그리고 건조기 뿐만 아니라, 복합세탁시스템, 리프레셔 또는 식기세척기 등 다양한 형태의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설명한 증기발생장치는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히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케이스의 개구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한 드럼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10: 의류처리장치 101,101': 캐비닛
102: 터브 103: 드럼
200,300,400: 증기발생장치 210,310: 상부케이스
220,320: 하부케이스 221,321: 개구부
222,322: 누설 차단부 230: 히터
231: 발열부 232: 이너브라켓
233: 실링부재 234: 아우터브라켓

Claims (6)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발열부; 및
    상기 개구부에 상기 발열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며, 상기 발열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어셈블리;를 구비한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고정부 어셈블리를 구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실링부재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
  2.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발열부; 및
    상기 개구부에 상기 발열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며, 상기 발열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어셈블리;를 구비한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어셈블리에는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실링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 차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길이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그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전체 크기를 상기 실링부재의 전체 크기 보다 작게 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장치.
  6.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드럼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70089175A 2007-09-03 2007-09-03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143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75A KR101437969B1 (ko) 2007-09-03 2007-09-03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NA2007103001504A CN101187138A (zh) 2007-09-03 2007-12-16 蒸汽发生器及配备该蒸汽发生器的衣物处理装置
DE102008045077A DE102008045077A1 (de) 2007-09-03 2008-08-29 Dampferzeuger und Wasch-/Trockenmaschine mit diesem
US12/230,630 US7930909B2 (en) 2007-09-03 2008-09-02 Steam generator and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FR0855867A FR2920446A1 (fr) 2007-09-03 2008-09-02 Generateur de vapeur et machine a laver/secher comprenant celui-c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75A KR101437969B1 (ko) 2007-09-03 2007-09-03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003A true KR20090024003A (ko) 2009-03-06
KR101437969B1 KR101437969B1 (ko) 2014-09-05

Family

ID=3947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175A KR101437969B1 (ko) 2007-09-03 2007-09-03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30909B2 (ko)
KR (1) KR101437969B1 (ko)
CN (1) CN101187138A (ko)
DE (1) DE102008045077A1 (ko)
FR (1) FR2920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24948B2 (en) 2010-03-12 2014-04-24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5220403B (zh) * 2012-11-06 2017-06-06 永春豪田工艺品有限公司 一种防泄漏蒸汽洗衣机
CN110438775A (zh) * 2018-05-04 2019-11-1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加热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10485112A (zh) * 2018-05-15 2019-11-2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外筒及洗衣机
CN110200481A (zh) * 2018-06-22 2019-09-06 华帝股份有限公司 用于蒸汽烹饪设备的蒸汽发生器、电蒸箱及其清洗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1246A (en) * 1946-01-25 1947-11-18 Edwin R Hallanan Domestic washing machine for clothes, dishes, and the like
US2664094A (en) * 1947-08-01 1953-12-29 Spragins John Harris Dishwasher
US3402576A (en) * 1966-02-28 1968-09-24 Michael R. Krupsky Combination clothes washer, dryer, dishwasher, drycleaner, and garment appearance-finishing machine
DE2927097C2 (de) * 1978-07-05 1983-02-24 Sharp K.K., Osaka Geschirrspülmaschine
FR2524596B1 (fr) * 1982-04-06 1985-12-13 Ego France Dispositif de montage de tubes plongeurs a travers une paroi d'une enceinte contenant un fluide
JPS61128995A (ja) * 1984-11-26 1986-06-17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ES293100Y (es) 1986-03-20 1987-03-16 Mayc, S.A. Dispositivo de fijacion de la resistencia calefactora a la cuba de una lavadora de ropa o lavavajillas
US4948947A (en) * 1988-07-26 1990-08-14 Pacific Steam Equipment, Inc. Steam boiler
JP2961488B2 (ja) * 1994-02-24 1999-10-12 坂口電熱株式会社 シーズヒーター取付装置
FR2750709B1 (fr) * 1996-07-05 1998-10-30 Esswein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hauffage pour machine a laver sechante
JP2003311084A (ja) * 2002-04-18 2003-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US7398114B2 (en) 2004-11-19 2008-07-08 Nokia Corporation Mobile station body comprised of stacked elements
KR101235193B1 (ko) * 2005-06-13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15351B1 (ko) 2005-10-14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스팀발생장치
KR101033595B1 (ko) * 2007-08-13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20446A1 (fr) 2009-03-06
US20090064731A1 (en) 2009-03-12
CN101187138A (zh) 2008-05-28
US7930909B2 (en) 2011-04-26
DE102008045077A1 (de) 2009-05-14
KR101437969B1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6310B1 (en) Steam generator and drum-type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EP1892467B1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JP5695103B2 (ja) 洗濯装置の制御方法
KR101154962B1 (ko) 압력센서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78327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US20090211314A1 (en) Steam generator of drum washing machine
RU2524481C2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меющая такой парогенератор
KR20070078328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20080000336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1829833B1 (ko) 세탁기
KR20090024003A (ko)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15370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774169B1 (ko) 가열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증기 발생 장치 및 가전제품
KR20070075491A (ko) 세탁기용 스팀 발생기의 잔수배수구조
KR200392582Y1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동파 방지 구조
KR101191175B1 (ko) 드럼 세탁기
KR200397087Y1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온도센서 장착구조
KR200401357Y1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온도센서 장착구조
KR101033595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KR101486370B1 (ko) 스팀발생장치
KR101684966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KR20060101941A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수위센서
KR200397083Y1 (ko)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KR200397088Y1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온도센서 장착구조
KR20060103977A (ko) 드럼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