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488A -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488A
KR20080106488A KR1020070048678A KR20070048678A KR20080106488A KR 20080106488 A KR20080106488 A KR 20080106488A KR 1020070048678 A KR1020070048678 A KR 1020070048678A KR 20070048678 A KR20070048678 A KR 20070048678A KR 20080106488 A KR20080106488 A KR 20080106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digit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3740B1 (ko
Inventor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와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와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와이즈
Priority to KR102007004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740B1/ko
Publication of KR2008010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7Processing or 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04N21/811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comprising music, e.g. song in MP3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을 통해 각종 악기음의 세분화된 음원을 지원받아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측에서 누구나 손쉽게 디지털음악의 작곡 및 편곡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여기에 음성을 삽입하여 디지털 음반을 취입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은 웹서버로부터 디지털 작곡엔진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 웹서버와의 온라인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작곡엔진을 실행하여 악기파일DB에 수록된 악기메뉴를 호출하는 단계; 선택한 악기별로 연주속도, 연주장르, 키 및 연주형식을 지정 및 수정하여 복합 연주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미디파일 작곡을 완성하는 단계; 작곡이 완성된 미디파일을 MP3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MP3 작곡파일을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라인 디지털 작곡, 작곡엔진, 사용자PC, 미디파일, MP3파일

Description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Method of on-line digital musical composition and digital song recording}
도 1은 본 발명 디지털 작곡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디지털 작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디지털 음반취입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작곡 실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PC 메뉴화면의 캡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작곡 실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PC의 단계별 화면 캡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디지털 작곡 실행 실시예화면의 캡처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디지털 음반취입 실행 실시예화면의 캡처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웹서버 11 : 관리자PC
12 : 과금시스템 13 : 회원DB
14 : 작곡엔진프로그램DB 15 : 악기파일DB
16 : 작곡파일DB 17 : 음악파일DB
18 : 사용자PC 19 : 휴대폰
20 : PDA 21 : PMP
22 : 무선통신모듈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각종 악기음의 세분화된 음원을 지원받아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측에서 누구나 손쉽게 디지털음악을 작곡하거나 편곡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렇게 생성한 디지털 작곡파일에 음성을 삽입하여 디지털 음반을 취입할 수 있는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창작활동 중의 하나인 작곡 및 편곡을 위해서는 그 작곡에 사용된 악기를 다룰 수 있어야 하므로 다양한 악기를 다루지 못하는 일반인들은 현실적으로 작곡활동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작곡 및 편곡활동은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없는 소수의 전문가들만이 향유할 수 있는 고유영역으로 분류되고 있었 다.
그러나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음원 처리기술과 전송기술이 일반화되고 또한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나 휴대형 디지털기기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음악을 즐기거나 사용하게 되면서 누구나 쉽게 각종 악기 음을 포함한 디지털 음을 생성하고 조작하여 다양한 형태의 음악이나 곡을 재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작곡이나 편곡 작업은 음악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청음감 등을 기초로 하여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패턴의 곡을 여러 악기를 동원하여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단순한 악기음을 선택하여 일정한 형식을 갖춘 곡을 만든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을 통해 각종 악기음의 세분화된 음원을 지원받아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측에서 손쉽게 디지털음악을 작곡하거나 편곡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앞서 생성한 디지털 작곡파일에 음성을 삽입하여 디지털 음반을 취입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디지털 작곡방법은 웹서버로부터 디지털 작곡엔진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와, 서버와의 온라인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작곡엔진을 실행하여 악기파일DB에 수록된 악기메뉴를 호출하는 단계와, 선택한 악기별로 연주속도, 연주장르, 키 및 연주형식을 지정 및 수정하여 복합 연주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미디파일 작곡을 완성하는 단계와, 작곡이 완성된 미디파일을 MP3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MP3 작곡파일을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은 웹서버로부터 디지털 작곡엔진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와, 서버와의 온라인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작곡엔진을 실행하여 악기파일DB에 수록된 악기메뉴를 호출하는 단계와, 선택한 악기별로 연주속도, 연주장르, 키 및 연주형식을 지정 및 수정하여 복합 연주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미디파일 작곡을 완성하는 단계와, 작곡이 완성된 미디파일을 재생하면서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장착된 마이크를 통하여 싱어의 가사 음성을 더빙하여 온라인 디지털 미디음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미디음반 파일을 MP3파일로 변환하여 단계와, 변환된 MP3 음악파일을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웹서버(10)는 관리자PC(11), 과금시스템(12) 및 회원DB(13)와 함께 작곡엔진프로그램DB(14)와 악기파일DB(15)와 작곡파일DB(16)를 가진다.
상기 과금시스템(12)은 사용자가 웹서버와 온라인 접속상태에서 일련의 작곡 또는 편곡작업을 완료한 다음 해당 작곡파일 또는 편곡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나 다운로드하는 단계 등에서 사용료를 징수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 작곡엔진프로그램DB(14)는 사용자PC 등의 휴대통신단말기에서 온라인 작곡 및 편곡 등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으로서 세션 유지상태에서 해당 휴대통신단말기와 웹서버(10)간의 악기메뉴 호출 및 악기메뉴 선택 등에 관련된 인터랙티브와 이러한 과정실행중 악기파일 등을 구동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이다.
상기 악기파일DB(15)는 각종 악기음을 다양한 연주데이터를 조건별로 테이블화하여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일예로 DRUM(드럼), BASS(베이스), KEYS(건반), STR&PAD(스트링), SOLO(솔로), GTR(기타), ARP(아르페지에이터), PERC(퍼커션), FILLIN(필인)등의 악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DRUM은 리듬을 연주하는 타악기로서 곡의 성격을 정해주는 악기이며, 같은 템포라 하여도 어떻게 연주하느냐에 따라 많은 느낌의 차이를 제공한다. 그 구성은 베이스 드럼, 스네어 드럼, 하이햇, 탐, 라이드 심벌, 크래쉬 심벌 등을 기본적인 세팅값을 가진다.
BASS는 전체적인 하모니의 저음역대를 연주하는 악기로서 베이스 연주가 빠진다면 안정된 느낌을 줄 수가 없으며, 베이스 드럼과 같이 맞물려 연주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KEYS는 건반 악기들의 총칭으로서 피아노와 일렉 피아노를 포함하며 곡의 반주를 도맡는 악기이다. 이것은 작곡자 생각하는 곡의 느낌에 어울리는 음색을 찾아서 사용하게 된다.
STR(string)은 현악기로써 곡의 색깔을 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선율의 큰 변화없이 깔리는 느낌의 패딩기법과 멜로디컬한 선율이 들어가는 라인기법 등으로 분류되며 작곡자가 의도하는 곡의 느낌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PAD는 스트링의 소리를 풍부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곡에 따라서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SOLO는 곡의 테마를 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솔로에 따라 곡의 느낌이 많이 달라지는 중요한 요소로서, 전체적인 분위기가 일렉톤인지 어쿠스틱톤인지를 설정하고 그에 어울릴만한 솔로악기를 선택하게 된다.
GTR(guitar)은 아주 효과적이고 감각적인 곡을 만들 수 있는 악기 메뉴로서 다른 악기들이 갖고 있지 않은 느낌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악기도 솔로와 마찬가지로 어쿠스틱톤과 일렉톤을 의도한 대로 적절히 운용하게 된다.
ARP(arpeggiator)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구성음들을 연속적으로 연주해주는 악기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곡 전체에 어지러운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히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PERC(percussion)는 드럼셋과 같은 모든 타악기와 리듬악기 그리고 각종 FX 효과음들과 어울려 사용된다.
FILLIN은 곡의 중간중간에 멜로디가 비거나 또는 섹션이 바뀌는 부분에서 감각적으로 채워 넣는 모든 악기들의 총칭으로서 감각적인 편곡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작곡파일DB(16)는 사용자 등이 온라인 상에서 수행한 작곡내용을 파일로서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회원DB(13)와 연동하여 운용된다.
관리자PC(11)는 본 발명 서비스제공자에 의한 웹서버의 통제, 악기파일DB 등의 업데이트, 회원관리, 과금시스템의 제어 등에 관련된 일련의 온라인 디지털 작곡 시스템 전체를 관리한다.
한편 상기 웹서버(10)에는 인터넷 또는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pc(18), 휴대폰(19), PDA(20), 무선통신모듈(22)을 가지는 PMP(21)등의 휴대통신단말기가 접속되며, 이들 휴대통신단말기측에 작곡엔진프로그램DB에 수록된 작곡엔진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휴대통신단말기의 온라인 작곡모드 실행에 따른 세션 유지상태에서 휴대통신단말기측과의 악기메뉴호출 및 악기메뉴선택, 그리고 그들의 조합에 관련된 일련의 인터랙티브 동작에 따라 자작 미디파일을 생성하고 또한 생성된 자작 미디파일을 MP3파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의 흐름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라인 디지털 작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PC(18)에 작곡엔진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 작곡엔진프로그램은 작곡엔진프로그램DB(14)에 저장 되어 있으며 웹서버(10)를 통하여 사용자PC(18)로 다운로드하게 된다.
또한 휴대폰(19), PDA(20), 무선통신모듈(22)을 가지는 PMP(21)와 같은 휴대통신단말기에도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웹서버(10)측으로부터 상기 작곡엔진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면 이들 휴대통신단말기를 통해서도 온라인 디지털 작곡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작곡엔진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휴대폰(19), PDA(20),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PMP(21)등)는 상기 웹서버(10)에 접속하여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악기메뉴를 호출한다. 여기서 악기메뉴는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메뉴바 형태 또는 그래픽 형태로 DRUM(드럼), BASS(베이스), KEYS(건반), STR&PAD(스트링), SOLO(솔로), GTR(기타), ARP(아르페지에이터), PERC(퍼커션), FILLIN(필인)등의 악기들이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된 다수의 악기 메뉴 또는 악기 그래픽 중에서 특정의 악기를 선택하면 해당 선택된 악기의 스타일 선택을 위한 세부메뉴로 이동한다. 세부메뉴는 연주속도, 연주장르, 키 및 연주형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세부메뉴(연주속도, 연주장르, 키 및 연주형식 등)별로 테이블화된 조건 값 중에서 각각 해당 세부메뉴의 원하는 조건 값을 선택하고 다음 악기의 선택메뉴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원하는 수의 악기의 템포나 장르 등에 따른 연주조건을 선택하면 도 6과 같은 마이 스타일리스트 화면이 생성된다. 여기서는 드럼 01번과 키 01번을 선택한 경우의 스크린 캡처화면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원하는 악기들의 선택과 원하는 연주조건을 설정하면 악기파일DB(15) 상의 선택한 악기별 및 연주 조건별 데이터 값이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작곡엔진 상에서 미디음 재생이 실행된다. 도 7은 앞서 예로든 드럼 01번과 키 01번으로 구성된 창작곡 미디파일이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의 작곡엔진에서 재생될 때,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그래픽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웹서버(10)에 온라인 접속된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 상에서 새로운 악기를 추가하거나 이미 선택한 악기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선택한 악기의 여러 연주조건을 수정하여 작곡엔진에서 실행시키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이미 창작 작곡한 내용을 수정하거나 편곡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특히 각종 선택악기의 동작상태나 패턴 등의 정보를 그래픽을 통하여 사용자 PC 등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창작곡의 수정이나 편곡이 편리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서 작곡 및 편곡한 내용의 저장을 선택하면 해당 미디파일 데이터가 웹서버로 업로드되어 MP3파일로 컨버전 된 후 작곡파일DB(16)에 저장된다.
이러한 작곡파일DB(16)에 저장된 자작 MP3파일 창작곡은 해당 회원의 회원DB(13)와 연동되어 회원단위로 저장 관리되며, 자신의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나 타인의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다양한 형태(예를 들면 자작 휴대폰 벨소리에의 응용)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라인 디지털 작곡기술을 기초로 한 온라인 디지털 음반 취입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이 온라인 디지털 음반 취입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도 1의 온라인 디지털 작곡시스템에 오직 음악파일DB(17) 구성요소를 추가하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서 미디파일 창작곡을 실행시켜 음악반주를 진행하면서 사용자PC나 휴대통신단말기를 통한 싱어의 음성신호를 더빙하는 것으로 미디음악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MP3로 변환하여 상기 음악파일DB(17)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PC(18)나 휴대통신단말기에서 필요시마다 해당하는 음악 MP3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위의 온라인 디지털 음반 취입시스템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은 앞서 설명한 온라인 디지털 작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PC(18)에 작곡엔진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 작곡엔진프로그램은 작곡엔진프로그램DB(14)에 저장되어 있으며 웹서버(10)를 통하여 사용자PC(18)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19), PDA(20), 무선통신모듈(22)을 가지는 PMP(21)와 같은 휴대통신단말기에도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웹서버(10)측으로부터 상기 작곡엔진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면 이들 휴대통신단말기를 통해서도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작곡엔진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휴대폰(19), PDA(20),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PMP(21)등)는 상기 웹서버(10)에 접속하여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악기메뉴를 호출한다. 여기서 악기메뉴는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메뉴바 형태 또는 그래픽 형태로 DRUM(드럼), BASS(베이스), KEYS(건반), STR&PAD(스트링), SOLO(솔로), GTR(기타), ARP(아르페지에이터), PERC(퍼커션), FILLIN(필인)등의 악기들이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된다.
다음,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된 다수의 악기 메뉴 또는 악기 그래픽 중에서 특정의 악기를 선택하면 해당 선택된 악기의 스타일 선택을 위한 세부메뉴로 이동한다. 세부메뉴는 연주속도, 연주장르, 키 및 연주형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세부메뉴(연주속도, 연주장르, 키 및 연주형식 등)별로 테이블화된 조건 값 중에서 각각 해당 세부메뉴의 원하는 조건 값을 선택하고 다음 악기의 선택메뉴로 이동한다.
이렇게 원하는 악기들의 선택과 원하는 연주조건을 설정하면 악기파일DB(15) 상의 선택한 악기별 및 연주 조건별 데이터 값이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작곡엔진에서 재생된다. 즉, 미디파일이 생성되며, 이러한 미디파일이 작곡엔진에 의해 재생될 때 디스플레이에는 그래픽 상태가 추가적으로 표출된다.
웹서버(10)에 온라인 접속된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는 온라인 디지털 작곡중 새로운 악기를 추가하거나 이미 선택한 악기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선택한 악기의 여러 연주조건을 수정하여 작곡엔진에서 실행시키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이미 창작 작곡한 내용을 수정하거나 편곡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각종 선택악기의 동작상태나 패턴 등의 정보를 그래픽을 통하여 사용자 PC 등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창작곡의 수정이나 편곡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의 작곡엔진을 이용한 창작 미디파일을 완성한 다음, 이 창작 미디파일을 을 재생시키면서 그 재생 반주를 따라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하여 싱어의 음성을 더빙하게 되면 하나의 완전한 온라인 디지털 미디음반 파일이 생성된다. 이 미디 음반파일은 웹서버에서의 자동변환 프로그램에 의해 MP3파일로 변환되어 음악파일DB(17)에 수록 저장되게 된다.
도 8은 선택한 악기중 드럼 01번과 키 01번, 그리고 음성이 삽입된 미디 음반파일 실행시,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그래픽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음악파일DB(17)에 저장된 디지털 MP3 음반파일 창작곡은 해당 회원의 회원DB(13)와 연동되어 회원단위로 저장 관리되며, 자신의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나 타인의 사용자PC(18) 또는 휴대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휴대폰 벨소리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각종 악기음의 세분화된 음원을 지원받아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측에서 누구나 손쉽게 디지털음악을 작곡하거나 편곡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앞서 생성한 디지털 작곡파일에 음성을 삽입하여 디지털 음반을 취입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4)

  1. 웹서버로부터 디지털 작곡엔진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 웹서버와의 온라인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작곡엔진을 실행하여 악기파일DB에 수록된 악기메뉴를 호출하는 단계; 선택한 악기별로 연주속도, 연주장르, 키 및 연주형식을 지정 및 수정하여 복합 연주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미디파일 창작곡을 완성하는 단계; 작곡이 완성된 미디파일을 MP3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MP3 작곡파일을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는 휴대폰, PDA, 및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PM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 상에 표출되는 악기메뉴는 DRUM(드럼), BASS(베이스), KEYS(건반), STR&PAD(스트링), SOLO(솔로), GTR(기타), ARP(아르페지에이터), PERC(퍼커션), FILLIN(필인)등을 포함하며 이들 악기메뉴는 메뉴바 형태 또는 그래픽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4. 웹서버로부터 디지털 작곡엔진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 웹서버와의 온라인 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작곡엔진을 실행하여 악기파일DB에 수록된 악기메뉴를 호출하는 단계; 선택한 악기별로 연주속도, 연주장르, 키 및 연주형식을 지정 및 수정하여 복합 연주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미디파일 창작곡을 완성하는 단계; 작곡이 완성된 미디파일을 재생하면서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싱어의 음성을 더빙하는 것으로 온라인 디지털 미디음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디지털 미디음반을 웹서버에서 MP3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MP3 작곡파일을 사용자PC 또는 휴대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디지털 음반 취입 방법.
KR1020070048678A 2007-05-18 2007-05-18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 KR100873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678A KR100873740B1 (ko) 2007-05-18 2007-05-18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678A KR100873740B1 (ko) 2007-05-18 2007-05-18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488A true KR20080106488A (ko) 2008-12-08
KR100873740B1 KR100873740B1 (ko) 2008-12-12

Family

ID=4036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678A KR100873740B1 (ko) 2007-05-18 2007-05-18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820A (ko) * 2015-01-20 2016-07-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 제작 공유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333B1 (ko) 2018-05-30 2018-08-09 문찬규 패턴을 이용한 작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417B1 (ko) * 1999-12-14 2006-12-05 아이디어플라자(주) 웹페이지상에서의 작곡서비스 제공방법
KR100343787B1 (ko) * 2000-07-08 2002-07-20 강승일 웹을 이용한 자동 편곡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11110A (ko) * 2004-05-21 2005-11-24 홍성민 웹상에서의 음악편집장치와 방법
KR100731761B1 (ko) * 2005-05-02 2007-06-22 주식회사 싸일런트뮤직밴드 인터넷을 통한 음악제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820A (ko) * 2015-01-20 2016-07-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 제작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740B1 (ko) 200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9149B2 (ja) 演奏情報変換方法、演奏情報変換装置、記録媒体および音源装置
KR20060114760A (ko) 인터넷을 통한 음악제작 시스템 및 방법
CN1722226B (zh) 电子键盘乐器及其控制方法
WO2006112584A1 (en) Music composing device
CN108140402B (zh) 动态修改音频内容主题的方法
US64038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melody incorporating plural motifs
JP3838353B2 (ja) 楽音生成装置および楽音生成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24231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73740B1 (ko) 온라인 디지털 작곡 방법 및 온라인 디지털 음반취입 방법
US20060123980A1 (en) Music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6852918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apparatus and a storage device storing a program for operating the same
Brett Prince’s rhythm programming: 1980s music production and the esthetics of the LM-1 drum machine
JP2001318677A (ja) 携帯電話機
JP7419830B2 (ja) 伴奏音生成装置、電子楽器、伴奏音生成方法および伴奏音生成プログラム
KR100731232B1 (ko)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기
JP4737403B2 (ja) 電子音楽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両装置にそれぞれ適用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60079094A (ko) 휴대용 음악 편집기를 갖는 음악 작곡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온-라인 노래방 시스템의 운영 방법
JP2005099330A (ja) 演奏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189878A (ja) 音楽演奏装置と音楽演奏方法とプログラム
KR20050111701A (ko) 컴퓨터를 이용한 편곡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실행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4240052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KR10066601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편곡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87031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Guide Version 2020 for Mac®
Osorio Noted: Musical affordances for collective exploratory music-m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