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658A -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658A
KR20080105658A KR1020070053506A KR20070053506A KR20080105658A KR 20080105658 A KR20080105658 A KR 20080105658A KR 1020070053506 A KR1020070053506 A KR 1020070053506A KR 20070053506 A KR20070053506 A KR 20070053506A KR 20080105658 A KR20080105658 A KR 20080105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wer plates
laser beam
laser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우
이헌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5658A/ko
Publication of KR20080105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3415Drop filling pro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을 이용하여 상판 및 하판을 정렬하고 상판 및 하판 사이의 실링재를 소성하여 합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판 및 하판을 합착함으로써 공정수를 줄이고, 합착장치를 단순화하며, 불량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기 전 반조립되어 이송된 상판 및 하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정렬단계와,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미리 형성된 실링재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실링재를 용융시키는 레이저조사단계와, 정렬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을 가압하여 합착시키는 합착단계와,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시키는 진공배기단계와, 진공배기된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가스 또는 액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주입하는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흡착플레이트, 레이저, 주입관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FLAT DISPLAY PAN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레이저유니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레이저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20 : 하판
30 : 실링재
100 : 흡착플레이트 200 : 정렬유니트
220 : 카메라 260 : 플레이트구동부
300 : 레이저유니트 320 : 레이저조사부
340 : 가이드수단 345 : 거울
360 : 가이드브라켓 380 : 가이드레일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을 이용하여 상판 및 하판을 정렬하고 상판 및 하판 사이의 실링재를 소성하여 합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판 및 하판을 합착함으로써 공정수를 줄이고, 합착장치를 단순화하며, 불량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되는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무기물을 사용하는 소자와 유기물을 사용하는 소자로 구분된다. 무기물을 사용하는 소자에는 형광체로 PL(Photo Luminescence)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과 CE(Cathode Luminescence)를 이용한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있고, 유기물을 사용하는 소자에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부분이 전극, 유전체, 형광체 및 실링재 등이 형성된 상판과 하판을 합착장치로 합착함으로써 내부의 소자들을 보호하게 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가스 또는 액정을 주입한다. 일반적인 기판 합착장치는 하부 플레이트에 하판을 로딩하고, 상부 플레이트에 상판을 흡착시켜 상기 상판과 하판을 정렬한 후 합착한다.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원하는 화면크기로 가공된 한 쌍의 상판과 하판에 전극 및 형광체 등을 형성하는 전공정과, 상기 전공정에 의해 제조된 상판과 하판을 합착하고 진공화된 상태에서 가스를 주입하는 후공정과, 그 합판형태의 패널에 형성된 전극에 회로를 연결하는 모듈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공정은 전공정을 거쳐 반조립된 상판 및 하판 간에 얼라인키를 중첩시켜 정렬하는 정렬단계와, 정렬된 상판 및 하판의 가장자리를 클리핑 처리하는 클리핑단계와, 상판 및 하판 사이에 진공배기 및 가스주입을 위한 주입관을 형성하는 주입관형성단계와, 상기 상판 및 하판 둘레의 실링재를 약 450℃ 정도로 소성하여 상판 및 하판을 합착하는 합착단계와,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공간부 내에 가스방전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고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내부공기의 배기단계와, 고진공상태의 상판 및 하판 사이의 공간부에 방전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단계와, 상기 주입관을 소성하여 봉입처리하는 주입관봉입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는 상판 및 하판의 합착시 클리핑 처리함으로써 클립이 필요하고, 클립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 스템 및 클립제거장치 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합착장치가 복잡해지며 합착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공정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판 및 하판 사이에 형성된 실링재를 소성하여 상판 및 하판을 합착할 경우, 약 2.5시간동안 45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합착해야 하므로 공정시간이 지연되고, 장시간 고온상태에서 상판 및 하판에 열변형이 발생하거나 상판 및 하판 사이에 형성된 전극, 유전체 및 형광체 등에 변형이 생겨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립을 이용하여 상판 및 하판을 정렬하고 상판 및 하판 사이의 실링재를 소성하여 합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판 및 하판을 합착함으로써 공정수를 줄이고, 합착장치를 단순화하며, 불량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기 전 반조립되어 이송된 상판 및 하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정렬단계와,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미리 형성된 실링재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실링재를 용융시키는 레이저조사단계와, 정렬된 상기 상 판 및 하판을 가압하여 합착시키는 합착단계와,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시키는 진공배기단계와, 진공배기된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가스 또는 액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주입하는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공배기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주입관을 형성하는 주입관형성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상기 주입관을 봉입하는 주입관봉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배기단계는,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시키고, 상기 주입단계는,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가스 또는 액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단계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촬영하는 촬영단계와, 촬영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내로 상기 상판 및 하판이 정렬되도록 보정하는 보정단계와, 보정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착단계 및 상기 진공배기단계 사이에 수행되고,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내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그 양부를 판단하는 검사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배기단계는,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값이 양호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사판단단계 및 진공배기단계 사이에 수행되고,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값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을 폐기처분하 는 폐기처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조사단계는, 레이저가 발생 및 증폭되어 레이저조사부로부터 레이저빔이 방출되는 레이저빔방출단계와, 방출된 상기 레이저빔을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형성된 상기 실링재에 조사되도록 안내하는 레이저빔안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빔방출단계는, 복수의 레이저조사부로부터 각각 레이저빔이 방출되고, 상기 레이저빔안내단계는, 방출된 상기 복수의 레이저빔을 상기 실링재에 각각이 등분배되어 조사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기 전 반조립되어 이송된 상판 및 하판을 각각 흡착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와,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시키는 정렬유니트와, 정렬된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미리 형성된 실링재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실링재를 용융시키는 레이져유니트와,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상기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에 이송하거나 상기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상판 및 하판을 회수하는 이송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렬유니트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을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 내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플레이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유니트는, 레이저를 발생 및 증폭시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와, 조사된 상기 레이저빔을 상기 실링재에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레이저조사부와 결합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레이저조사부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조사된 상기 레이저빔을 반사하여 상기 실링재에 안내하는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레이저유니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레이 저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은 정렬단계(S101), 레이저조사단계(S201), 합착단계(S301), 진공배기단계(S401) 및 주입단계(S5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은 검사판단단계(S321), 폐기처분단계(S801), 주입관형성단계(S601) 및 주입관봉입단계(S7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단계(S101)는 촬영단계(S111), 보정단계(S121) 및 고정단계(S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조사단계(S210)는 레이저빔방출단계(S211) 및 레이저빔안내단계(S2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장치는 상판(10) 및 하판(20)을 흡착할 수 있는 한쌍의 흡착플레이트(100), 정렬유니트(200), 레이저유니트(300) 및 이송유니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렬유니트(200)는 카메라(220), 제어부(미도시) 및 플레이트구동부(26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레이저유니트(300)는 레이저조사부(320) 및 가이드수단(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렬단계(S101)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기 전 반조립되어 이송된 상판(10) 및 하판(20)을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한다. 반조립된 상판(10) 및 하판(20)은 전극, 형광체, 유전체 및 실링재(30) 등이 미리 형성되어 합착하기 이전의 상태를 말한다. 상판(10) 및 하판(20)은 이송유니트에 의하여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100)로 이송된다. 흡착플레이트(10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을 각각 흡착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흡착플레이트(100)에는 상판(10) 및 하판(20)을 진공으로 흡착할 수 있는 흡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유니트는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을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100)에 이송하거나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100)로부터 상판(10) 및 하판(20)을 회수한다.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을 이송하는 방법은 그립퍼 등을 구비한 이송카트 등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방법은 정렬유니트(200)에 의해 수행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렬단계(S101)는 상판(10) 및 하판(20)을 촬영하는 촬영단계(S111)와, 촬영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내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이 정렬되도록 보정하는 보정단계(S121)와, 보정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계(S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유니트(200)는 상기 촬영단계(S111)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을 촬영하는 카메라(220)와, 상기 카메라(220)로부터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판(10) 및 하판(20)을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 내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100)를 구동시키는 플레이트구동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20)에 의해 촬영되는 상판(10) 및 하판(20)에는 얼라인키가 표시되어 있으며, 얼라인키를 중첩시켜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측정된 상판(10) 및 하 판(20)의 정렬값을 제어부에서 판단하여 플레이트구동부(260)를 구동시켜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 내, 즉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이 정렬되도록 보정한 후 고정한다. 이로써, 상기 보정단계(S121) 및 고정단계(S131)가 수행되는 것이다.
레이저조사단계(S201)는 상기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에 미리 형성된 실링재(30)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실링재(30)를 용융시킨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조사단계(S201)는 레이저가 발생 및 증폭되어 레이저조사부로 레이저빔이 방출되는 레이저빔방출단계(S211)와, 방출된 상기 레이저빔을 상기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에 형성된 실링재(30)에 조사되도록 안내하는 레이저빔안내단계(S2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빔방출단계(S211)는 복수의 레이저조사부로부터 각각 레이저빔이 방출되고, 상기 레이저안내단계(S221)는 방출된 상기 복수의 레이저빔을 실링재(30)에 각각이 등분배되어 조사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조사단계(S201)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유니트(300)는 정렬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에 미리 형성된 실링재(30)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실링재(30)를 용융시킨다. 레이저유니트(300)는 레이저를 발생 및 증폭시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320)와, 조사된 상기 레이저빔을 상기 실링재(30)에 안내하는 가이드수단(34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320)는 실링재(30)에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어떠한 위치라도 무방하다. 다만,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조사부(320)가 상판(10) 위에 설치되어 있는데 상판(10)은 광투과성 재질로서 레이저빔이 투과될 수 있으며, 실링재(30)는 레이저빔이 흡수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실링재(30)만을 용융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340)은 상기 레이저조사부(320)와 결합된 가이드브라켓(360)과, 상기 가이드브라켓(360)과 결합되어 레이저조사부(320)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레일(380)일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이저조사부(320)를 두어 실링재(30)에 레이저빔 각각이 등분배되도록 조사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조사부(320)가 실링재(30)를 따라 직선이동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수단(340)은 조사된 상기 레이저빔을 반사하여 실링재(30)에 안내하는 거울(345)일 수 있다. 즉, 레이저조사부(320)를 고정시키되 방출된 레이저빔을 반사하여 실링재(30)에 안내하는 거울(345)을 둠으로써, 거울(345)의 회전을 이용하여 레이저빔이 실링재(30)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합착단계(S301)는 정렬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을 가압하여 합착시킨다. 상판(10) 및 하판(20)은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100)에 정렬 및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에 형성된 실링재(30)가 레이저빔에 의해 용융되면, 흡착플레이트(100)가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을 가압하여 합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판(10) 및 하판(20)에 형성된 전극, 형광체 및 유전체 등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가압해야 하며, 상판(10) 및 하판(20)이 구부러지지 않고 평행이 되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착단계(S301) 이후에 진행되고, 후술할 진공배기단계(S401) 이전에 수행되는 검사판단단계(S321)는 합착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내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그 양부를 판단한다.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에 형성된 실링재(30)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용융시킨 후, 상판(10) 및 하판(20)을 합착할 경우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값이 틀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합착단계(S301) 이후에 다음 단계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합착된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 정도를 다시 측정하여 불량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즉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내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그 양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폐기처분단계(S801)는 상기 검사판단단계(S321) 및 후술할 진공배기단계(S401) 사이에 수행되고, 합착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값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을 폐기처분한다. 검사판단단계(S321)에서 합착된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값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더 이상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기처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검사판단단계(S321)는 제어부에서 수행하며, 폐기처분시에는 이송유니트를 이용하여 상판(10) 및 하판(20)을 흡착플레이트(100)로부터 회수하여 폐기처분하게 된다.
진공배기단계(S401)는 합착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시킨다. 또한, 진공배기단계(S401)는 상기 검사판단단계(S321)를 수행할 경우, 합착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의 정렬값이 양호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한다.
주입단계(S501)는 진공배기된 상기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에 가스 또는 액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주입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은 방전가스로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등을 주입하고, 액정 표시장치(LCD)는 소정의 액정을 주입하게 된다.
주입관형성단계(S601)은 상기 진공배기단계(S401) 이전에 수행되고, 상기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에 주입관을 형성한다. 주입관은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에 불순기체를 진공배기하고, 가스 또는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서는 주입관형성단계(S601)가 검사판단단계(S321) 및 진공배기단계(S401) 사이에 진행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주입관형성단계(S601)는 진공배기단계(S401) 이전에 수행되면 족하며, 검사판단단계(S321) 이전이라도 무방하다.
주입관봉입단계(S701)는 상기 주입단계(S501) 이후에 수행되고, 상기 주입관을 봉입한다.
한편, 주입관형성단계(S601)가 수행될 경우 상기 진공배기단계(S401)는 주입관을 통하여 상판(10) 및 하판(20)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시키고, 주입단계(S501)는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상판(10) 및 하판 사이에 가스 또는 액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주입한다.
상기 진공배기단계(S401), 주입단계(S501), 주입관형성단계(S601) 및 주입관봉입단계(S701)은 종래의 기술로 구현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는, 레이저유니트에 의해 상판 및 하판을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합착함으로써 종래의 클립을 이용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공정수를 줄이고, 합착장치를 단순화하며, 불량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합착된 상판 및 하판의 정렬 정도를 합착단계 이후 바로 검사하고, 그 양부를 판단하여 양호로 판단된 경우에만 다음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2)

  1.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기 전 반조립되어 이송된 상판 및 하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정렬단계와,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미리 형성된 실링재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실링재를 용융시키는 레이저조사단계와,
    정렬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을 가압하여 합착시키는 합착단계와,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시키는 진공배기단계와,
    진공배기된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가스 또는 액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주입하는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배기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주입관을 형성하는 주입관형성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상기 주입관을 봉입하는 주입관봉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배기단계는,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시키고,
    상기 주입단계는,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가스 또 는 액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단계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촬영하는 촬영단계와,
    촬영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내로 상기 상판 및 하판이 정렬되도록 보정하는 보정단계와,
    보정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단계 및 상기 진공배기단계 사이에 수행되고,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내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그 양부를 판단하는 검사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배기단계는,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값이 양호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불순기체를 진공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판단단계 및 진공배기단계 사이에 수행되고, 합착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값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을 폐기처분하는 폐기처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조사단계는,
    레이저가 발생 및 증폭되어 레이저조사부로부터 레이저빔이 방출되는 레이저빔방출단계와,
    방출된 상기 레이저빔을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형성된 상기 실링재에 조사되도록 안내하는 레이저빔안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방출단계는, 복수의 레이저조사부로부터 각각 레이저빔이 방출되고,
    상기 레이저빔안내단계는, 방출된 상기 복수의 레이저빔을 상기 실링재에 각각이 등분배되어 조사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8.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기 전 반조립되어 이송된 상판 및 하판을 각 각 흡착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와,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시키는 정렬유니트와,
    정렬된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미리 형성된 실링재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실링재를 용융시키는 레이져유니트와,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상기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에 이송하거나 상기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상판 및 하판을 회수하는 이송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니트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정렬 정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을 미리 설정된 정렬값의 범위 내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흡착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플레이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유니트는,
    레이저를 발생 및 증폭시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와,
    조사된 상기 레이저빔을 상기 실링재에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레이저조사부와 결합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레이저조사부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조사된 상기 레이저빔을 반사하여 상기 실링재에 안내하는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장치.
KR1020070053506A 2007-05-31 2007-05-31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 KR20080105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506A KR20080105658A (ko) 2007-05-31 2007-05-31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506A KR20080105658A (ko) 2007-05-31 2007-05-31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658A true KR20080105658A (ko) 2008-12-04

Family

ID=4036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506A KR20080105658A (ko) 2007-05-31 2007-05-31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56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209A1 (ko) * 2011-08-05 2013-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착 장치
KR101278043B1 (ko) * 2012-01-20 2013-06-24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실링장치
KR101278042B1 (ko) * 2012-01-13 2013-06-24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실링방법
TWI490594B (zh) * 2011-08-05 2015-07-01 Lg Chemical Ltd 連接裝置
KR20190009024A (ko) * 2017-07-17 2019-01-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용 인덱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합착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209A1 (ko) * 2011-08-05 2013-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착 장치
TWI490594B (zh) * 2011-08-05 2015-07-01 Lg Chemical Ltd 連接裝置
KR101278042B1 (ko) * 2012-01-13 2013-06-24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실링방법
KR101278043B1 (ko) * 2012-01-20 2013-06-24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실링장치
KR20190009024A (ko) * 2017-07-17 2019-01-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용 인덱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합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762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s
KR20080105658A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방법 및 그 장치
KR1004041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설비 및 제조공정
KR20020020188A (ko) 밀봉용기, 그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밀봉용기를 이용하는표시장치
KR2001007041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2012069474A (ja) 減圧気密容器の製造方法
JP384117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458752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JP462980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装置
KR1004517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설비 및 제조공정
JP2001015026A (ja) ガス放電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ガス放電パネル用封着装置
JP2008204854A (ja) 平面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893147B1 (ko) 패널 합착 구조 및 그 장치와 방법
KR10060327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플라즈마 방전가스 주입방법
KR1003794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공정
JP2008103184A (ja) Pdpパネルの封着方法
JP200202544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と装置
JP3730566B2 (ja) 平面表示装置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02002052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JP525230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封止方法、封止機構、封止装置
JP2007149351A (ja) 平面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3684868B2 (ja) 平面型表示装置の組立方法
JP2002056777A (ja) 電子部品内部の真空気密処理方法
JP492908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03132823A (ja) 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