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243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243A
KR20080105243A KR1020070052550A KR20070052550A KR20080105243A KR 20080105243 A KR20080105243 A KR 20080105243A KR 1020070052550 A KR1020070052550 A KR 1020070052550A KR 20070052550 A KR20070052550 A KR 20070052550A KR 20080105243 A KR20080105243 A KR 20080105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media
charging
photosensitive
develop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072B1 (ko
Inventor
경명호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072B1/ko
Priority to US12/019,176 priority patent/US7835657B2/en
Priority to CN2008100865487A priority patent/CN101315536B/zh
Publication of KR2008010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6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distinct portions of the charge pattern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for contrast enhancement or discharging non-image are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9Transfe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 전사량에 따라 전사력을 가변시킴으로써 전사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 상에 현상된 칼라별 현상제 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받는 전사유닛; 및 상기 칼라별 현상제 화상의 전사순서에 따라 상기 정전잠상의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화상형성, 전사, 현상제, 전위, 전위차, 전압, 노광, 대전, 현상.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CONTROL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대전전위, 노광전위, 현상전위 및 전사전위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제 3 실시예에 의한 대전전위, 노광전위, 현상전위 및 전사전위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1, 112, 113, 114: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
121, 122, 123, 124: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
131, 132, 133, 134: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
150: 전사유닛
160, 360: 제어부
261, 262, 263, 264: 제 1 내지 제 4 전위조절부재
본 발명은 칼라별 현상제 화상을 전사유닛으로 중첩 전사하여 칼라 화상을 구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프린터, 복사기, 팩스밀리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구현하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입력된 화상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시키는 현상유닛, 현상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전사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지시키는 배지유닛 등을 포함한다.
한편, 칼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2)(3)(4)와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5)(6)(7)(8)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2)(3)(4)에는 칼라별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이 칼라별 정전잠상은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5)(6)(7)(8)에 의해 칼라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2)(3)(4)에 현상된 칼라별 현상제 화 상은 전사유닛(9)에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5)(6)(7)(8),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2)(3)(4) 및 전사유닛(9)으로의 현상제 이동은 전위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감광매체(1)(2)(3)(4), 현상유닛(5)(6)(7)(8) 및 전사유닛(9)에 인가되는 전압은 항시 일정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2)(3)(4)로부터 현상된 현상제 화상이 전사유닛(9)으로 중첩 전사됨에 따라 현상제 전사량이 증가되어도,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2)(3)(4)와 전사유닛(9) 사이에서는 항시 동일한 전위차로 현상제가 이동하게 된다. 이는 결국, 현상제 전사량 증가에 따른 전사력 증가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전사품질 저하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제 전사량이 증가됨에 따라 전사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사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 상에 현상된 칼라별 현상제 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받는 전사유닛; 및 상기 칼라별 현상제 화상의 전사순서에 따라 상기 정전잠상의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가 순차적으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마이너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플러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플러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각 감광매체의 접지부에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다이오드가 각각 연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마이너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플러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플러스(+) 로 대전된 경우, 상기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와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각각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와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와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의 각 접지전위 및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를 각각 대전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를 각각 노광시켜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제 1 내지 제 4 현상제로 각각 현상시키는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 상에 현상된 제 1 내지 제 4 현상제 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받는 전사유닛; 및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제 화상의 전사순서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a) 복수의 감광매체 상에 칼라별 정전잠상을 각각 형성시키는 단계; b) 칼라별 현상제로 상기 칼라별 정전잠상을 각각 현상시키는 단계; c) 상기 현상된 칼라별 화상을 전사부재에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시키는 단계; 및 d) 전사순서에 따라 상기 감광매체의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가 순차적으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복수의 대전부재가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를 대전시키는 단계; 및 복수의 노광유닛이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를 노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와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와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와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 및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 전사유닛(150) 및 제어부(16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는 칼라별 화상에 각각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드럼들이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를 소정 전위로 각각 대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의 대전전위(T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V로 상호 동일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Laser Scanning Unit, LSU)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표면을 소정 노광파워로 각각 노광시켜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에서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표면으로 소정 노광파워를 가진 빛을 주사하면,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표면에는 노광에 의해 소정 화상전위(T21)(T22)(T23)(T25)를 가지는 화상영역과 노광되지 않은 비화상영역으로 구분되는 정전잠상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에 각각 형성된 정전잠상을 복수의 칼라별 현상제로 각각 현상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은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을 현상시키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가 각각 내장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기(141a)(142a)(143a)(144a),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와 각각 마주하여 회전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롤러(141b)(142b)(143b)(144b) 및 제 1 내지 제 4 현상롤러(141b)(142b)(143b)(144b)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를 각각 공급하는 제 1 내지 제 4 공급롤러(141c)(142c)(143c)(144c)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롤러(141b)(142b)(143b)(144b)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300V의 현상전위(T3)가 동일하게 인가된다. 상기 현상전위(T3)와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각각의 화상전위(T21)(T22)(T23)(T24)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 제가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각각의 정전잠상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 및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은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각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켜 칼라별 현상제로 각각 현상시키는 화상형성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전사유닛(150)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상에 현상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받아, 칼라 화상을 구현한다. 이러한 전사유닛(150)은 칼라별 현상제 화상을 중첩 전사받는 전사부재(151)와 이 전사부재(151)에 중첩된 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는 백업롤러(152)를 포함한다.
상기 전사부재(151)는 소정 전사전위 예컨대 도 3과 같이, 대략 700V의 전사전위(T4)가 인가된다. 이로써,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각각의 화상전위(T21)(T22)(T23)(T24)와 전사전위(T4) 사이의 전위차(W1)(W2)(W3)(W4)에 의해 각 칼라별 현상제가 전사부재(151) 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P)는 급지카세트(101)로부터 급지되어 백업롤러(152)와 전사부재(151) 사이를 경유함으로써, 칼라 화상을 전사받는다. 상기 칼라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102)에 의해 칼라 화상이 정착된 후 외부로 배지된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와 이에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은 전사부재(15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감광매체(11)의 옐로우 현상제 화상, 제 2 감광매체(112)의 마젠타 현상제 화상, 제 3 감광매체(113)의 시안 현상제 화상 및 제 4 감광매체(114)의 블랙 현상제 화상이 전사부재(151)에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칼라별 현상제 화상의 전사순서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W5)(W6)(W7)(W8)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에 인가되는 노광파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의 노광파워를 제어하여,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에 형성되는 화상영역 각각의 제 1 내지 제 4 화상전위(T21)(T22)(T23)(T24)가 각각 -50V, -70V, -90V 및 -110V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전사부재(151)에 동일하게 인가되는 전사전위(T4)인 700V와 제 1 내지 제 4 화상전위(T21)(T22)(T23)(T24) 사이에 제 1 내지 제 4 전위차(W1)(W2)(W3)(W4)가 발생된다. 이때, 제 1 전위차(W1)에서 제 4 전위차(W4)로 갈수록 전위차는 커진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화상영역의 제 1 내지 제 4 화상전위(T21)(T22)(T23)(T24)와 비화상영역의 전위인 대전전위(T1) 사이에 서로 다른 제 5 내지 제 8 전위차(W5)(W6)(W7)(W8)가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제 5 전위차(W5)에서 제 8 전위차(W8)로 갈수록 그 전위차는 순차적으로 작아진다.
참고로, 도 3의 Y, M, C 및 K구간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화상 현상에 관여하는 대전전위(T1), 제 1 내지 제 4 화상전위(T21)(T22)(T23)(T24), 현상전위(T3) 및 전사전위(T4)의 관계를 각각 나타낸 구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너스(-)로 대전된 현상제를 예시함으로써 대전전위(T1), 제 1 내지 제 4 화상전위(T21)(T22)(T23)(T24), 현상전위(T3)는 마이너스(-) 전위이고 전사전위(T4)는 플러스(+) 전위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즉, 상기 칼라별 현상제 및 감광매체(111)(121)(131)(141)가 모두 마이너스(-)로 대전된 경우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플러스(+)로 대전된 현상제를 예시할 경우에는 대전전위(T1), 화상전위(T21)(T22)(T23)(T24), 현상전위(T3)는 플러스(+) 전위이고 전사전위(T4)는 마이너스(-) 전위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가 -500V의 대전전위로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를 대전시킨다. 이 후, 상기 제어부(160)는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에 -50V, -70V, -90V 및 -110V의 제 1 내지 제 4 화 상전위(T21)(T22)(T23)(T24)를 가지는 화상영역이 형성되도록,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의 노광파워를 제어한다.
이로써, 상기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은 서로 다른 전위인 제 1 내지 제 4 화상전위(T21)(T22)(T23)(T24) 각각으로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표면을 노광시킨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에는 -300V의 현상전위(T3)가 인가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기(141a)(142a)(143a)(144a)에 각각 내장된 마이너스로 대전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가 공급롤러(141c)(142c)(143c)(144c)와 현상롤러(141b)(142b)(143b)(144b)를 차례로 거쳐, 상대적으로 전위가 높은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노광영역, 즉 정전잠상의 화상영역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각각의 정전잠상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으로 각각 현상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에 현상된 각 칼라별 현상제 화상은 전사부재(151)와의 전위차에 의해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사부재(151)에는 700V의 전사전위(T4)가 인가되므로, -50V의 제 1 감광매체(111)의 화상영역의 옐로우 현상제 화상이 제 1 전위차(W1)에 의해 전사부재(151)로 전사된다. 이러한 현상제 화상 전사과정은 제 2 내지 제 4 감광매체(112)(113)(114)와 전사부재(151)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감광매체(111)에서 전사부재(151)로 전사된 옐로우 화상 에 제 2 감광매체(112)의 마젠타 화상이 중첩되고, 이 옐로우와 마젠타 중첩 화상에 제 3 감광매체(113)의 시안 화상이 또 중첩되며,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중첩 화상에 제 4 감광매체(114)의 블랙 화상이 최종 중첩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에 의한 노광파워 제어에 의한 화상전위(T21)(T22)(T23)(T24) 제어에 의해, 제 5 내지 제 8 전위차(W5)(W6)(W7)(W8)는 순차적으로 작아지고 제 1 내지 제 4 전위차(W1)(W2)(W3)(W4)는 순차적으로 증가된다.
이로 인해,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의 중첩 전사 시의 전사력이 옐로우 화상 전사시에서 블랙 현상제 화상 전사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커진다. 즉, 상기 화상전위(T21)(T22)(T23)(T24)와 전사전위(T4) 사이의 전위차(W1)(W2)(W3)(W4)가 커질수록 전사부재(151)가 현상제를 끌어당기는 힘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이 중첩 될수록 증가되는 현상제 전사량에 대응하여 전사력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사부재(151)에 전사된 칼라 화상은 백업롤러(152)와의 사이를 경유하는 인쇄매체(P)에 최종 전사되며, 칼라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102)을 거친 후 외부로 배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가 도시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 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는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 전사유닛(150), 제 1 내지 제 4 전위조절부재(261)(262)(263)(264), 급지카세트(101) 및 정착유닛(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 전사유닛(150), 급지카세트(101) 및 정착유닛(102)의 기술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와 유사한 기술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본 제 2 실시예의 특징적 기술구성인 제 1 내지 제 4 전위조절부재(261)(262)(263)(264)는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접지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각각의 접지전위를 조절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위조절부재(261)(262)(263)(264)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다이오드(Diode)로써, 일반적인 제너 다이오드인 것으로 예시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오드인 제 1 내지 제 4 전위조절부재(261)(262)(263)(264) 각각의 용량은 대략 0, -20, -40 및 -60인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와 같은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제 1 내지 제 4 전위조절부재(261)(262)(263)(264)가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에 각각 연결되면, 그 용량만큼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접지전위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로 동일한 노광전위가 인가되어 -50V의 동일한 화상전위를 가지는 화상영역이 형성되어도, 연결된 제 1 내지 제 4 전위조절부재(261)(262)(263)(264)가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전위를 0, -20, -40 및 -60만큼 조절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표면의 노광된 영역 즉, 화상영역의 전위가 도 3의 화상전위(T21)(T22)(T23)(T24)와 같이 조절된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위조절부재(261)(262)(263)(264)는 도 3과 같은 전위관계 그래프를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제 1 실시예의 제어부(160)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제 1 내지 제 4 전위차(W1)(W2)(W3)(W4)는 점차 증가되고 제 5 내지 제 8 전위차(W5)(W6)(W7)(W8)은 점차 작아짐으로써,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의 중첩 전사에 의한 전사량 증가에 따른 전사력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300)가 도시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 3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300)는,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 전사유닛(150), 제어부(360), 급지카세트(101) 및 정착유닛(1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141)(142)(143)(144), 전사유닛(150), 급지카세트(101) 및 정착유닛(102)의 기술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와 유사한 기술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본 제 3 실시예의 특징적 기술구성인 제어부(360)는 도 6과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의 대전전위(T11)(T12)(T13)(T1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60)는 노광되기 이전의 감광매체(111)(112)(113)(114) 표면의 대전전위를 조절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에 의해 노광되지 않는 비화상영역의 전위 (T12)(T13)(T14)를 예컨대, -500V, -480V, -460V 및 -440V로 각각 조절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비화상영역의 전위(T11)(T12)(T13)(T14)와 화상영역의 전위(T2) 사이의 제 5 내지 제 8 전위차(W5')(W6')(W7')(W8')가 제 1 감광매체(111)에서 제 4 감광매체(114) 측으로 갈수록 감소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현상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이 전사부재(151)로 중첩 전사될 때, 화상영역의 전위가 비화상영역으로 누설됨이 순차적으로 저감된다.
즉, 상기 비화상영역의 전위(T11)(T12)(T13)(T14)와 화상영역의 전위(T2) 사이의 전위차(W5')(W6')(W7')(W8')가 줄어들수록 비화상영역에서 화상영역의 전위를 끌어당기는 힘이 줄어듬으로써, 화상영역 전위(T2) 간섭력이 줄어드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이 중첩 될수록 증 가되는 현상제 전사량에 대응하여 전사력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상영역의 전위 또는 비화상영역의 전위 중 어느 하나의 전위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의 노광파워 제어와 함께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접지전위를 제어하거나,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의 노광파워 제어와 함께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의 대전전위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접지전위와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의 대전전위를 제어하거나,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131)(132)(133)(134)의 노광파워,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111)(112)(113)(114)의 접지전위 및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121)(122)(123)(124)의 대전전위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전사량에 대응하여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가 순차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전사순서에 따라 전사력이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칼라별 현상제 화상의 중첩 전사 시 전사부재가 현상제를 끌어당기는 힘이 점차 증가되어, 전사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 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6)

  1. 정전잠상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 상에 현상된 칼라별 현상제 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받는 전사유닛; 및
    상기 칼라별 현상제 화상의 전사순서에 따라 상기 정전잠상의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가 순차적으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를 각각 노광시켜 상기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마이너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플러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플러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를 각각 대전시키는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마이너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플러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플러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광매체의 접지부에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다이오드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를 각각 대전시키는 복수의 대전부재에 각각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광매체의 접지부에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다이오드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를 각각 대전시키는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를 각각 대전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를 각각 노광시켜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제 1 내지 제 4 현상제로 각각 현상시키는 제 1 내지 제 4 현상유닛;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 상에 현상된 제 1 내지 제 4 현상제 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받는 전사유닛; 및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제 화상의 전사순서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노광유닛의 제 1 내지 제 4 노광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가 마이너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플러스(+)로 대전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가 플러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 각각의 제 1 내지 제 4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가 마이너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플러스(+)로 대전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가 플러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의 접지부에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다이오드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 각각의 제 1 내지 제 4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광매체의 접지부에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다이오드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제 1 내지 제 4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a) 복수의 감광매체 상에 칼라별 정전잠상을 각각 형성시키는 단계;
    b) 칼라별 현상제로 상기 칼라별 정전잠상을 각각 현상시키는 단계;
    c) 상기 현상된 칼라별 화상을 전사부재에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시키는 단계; 및
    d) 전사순서에 따라 상기 감광매체의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가 순차적으로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복수의 대전부재가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를 대전시키는 단계; 및
    복수의 노광유닛이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를 노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의 각 노광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마이너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플러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플러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노광파워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29.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마이너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칼라별 현상제가 플러스(+)로 대전되고 상기 감광매체가 플러스(+)로 대전된 경우, 상기 대전전위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제어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감광매체의 접지부에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의 각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 각각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 각각의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광매체의 접지부에는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의 각 접지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대전부재에서 인가되는 각 대전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
KR1020070052550A 2007-05-30 2007-05-3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2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50A KR101424072B1 (ko) 2007-05-30 2007-05-3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019,176 US7835657B2 (en) 2007-05-30 2008-01-2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08100865487A CN101315536B (zh) 2007-05-30 2008-03-20 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50A KR101424072B1 (ko) 2007-05-30 2007-05-3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243A true KR20080105243A (ko) 2008-12-04
KR101424072B1 KR101424072B1 (ko) 2014-07-28

Family

ID=4008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550A KR101424072B1 (ko) 2007-05-30 2007-05-3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35657B2 (ko)
KR (1) KR101424072B1 (ko)
CN (1) CN1013155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180A1 (en) * 2017-10-12 2019-04-18 Hp Printing Korea Co., Ltd. TRANSFER MEMBER MOVEMENT BASED ON PRINTING INFORMA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8755B1 (en) * 2017-08-04 2022-06-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7009914B2 (ja) * 2017-10-27 2022-01-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213B1 (ko) * 2000-03-29 2003-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칼라화상 형성방법
KR100423459B1 (ko) * 2002-07-02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화상형성장치
JP2005173123A (ja) * 2003-12-10 2005-06-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371803B2 (ja) * 2003-12-24 2009-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73034B2 (ja) * 2004-10-20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54149B2 (en) * 2004-10-20 2008-11-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08156B1 (ko) * 2005-07-08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 전압 제어방법
JP4819424B2 (ja) * 2005-07-11 2011-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180A1 (en) * 2017-10-12 2019-04-18 Hp Printing Korea Co., Ltd. TRANSFER MEMBER MOVEMENT BASED ON PRINTING INFORMA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98828A1 (en) 2008-12-04
CN101315536A (zh) 2008-12-03
KR101424072B1 (ko) 2014-07-28
US7835657B2 (en) 2010-11-16
CN101315536B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780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ブリ制御方法
JP200713330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ブリ制御パラメータ値設定プログラム
US106565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charging bias and transfer bias
JP5300304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KR20080105243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133458A (ja) 現像バイアス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10222896A1 (en) Seri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707216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KR100553911B1 (ko) 화상형성장치의 고압 제어장치 및 방법
JP6604837B2 (ja) 画像形成装置
JP6887978B2 (ja) 画像形成装置
JP495697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03823A (ja) 画像形成装置
JP4011932B2 (ja) フルカラー電子写真の転写電圧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6109752A (ja) 画像形成装置
JP4192555B2 (ja) 画像形成装置
JP5337466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12814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23459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664302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60976B1 (ko) 비접촉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컬러화상 현상방법
KR101022475B1 (ko) 컬러화상형성장치의 고압전원공급장치
JP20181127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6267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制御方法
JP200027597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