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166A -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166A
KR20080105166A KR1020087025234A KR20087025234A KR20080105166A KR 20080105166 A KR20080105166 A KR 20080105166A KR 1020087025234 A KR1020087025234 A KR 1020087025234A KR 20087025234 A KR20087025234 A KR 20087025234A KR 20080105166 A KR20080105166 A KR 20080105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mposition
poly
aryl ether
ether ketone
polyphenylsulf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828B1 (ko
Inventor
샤리 웨인버그
숀 셔록
모하매드 자말 엘-히브리
Original Assignee
솔베이 어드밴스트 폴리머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6118409A external-priority patent/EP1884538A1/en
Application filed by 솔베이 어드밴스트 폴리머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솔베이 어드밴스트 폴리머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10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 폴리에테르케톤케톤류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폴리에테르케톤케톤 공중합체류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폴리페닐술폰 (P2), 및 강화 섬유 (F)를 포함하며, 중량으로 85부의 폴리페닐술폰 및 중량으로 15부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혼합물이 중합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90중량%, 및 유리섬유가 중합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중량%로 이루어진 중합체 조성물의 예외를 가지는 중합체 조성물 (C)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폴리페닐술폰, 중합체, 강화 섬유

Description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 {NEW POLYM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신규한 강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페닐 에테르 술폰)류, 특히 폴리페닐술폰류(PPSU)는 대부분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투명한 수지보다 우수하지만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와 같은 초성능(ultra-performance) 중합체의 것보다 낮은, 다소 양호한 강성도(stiffness), 다소 양호한 화학 저항과 함께 특히 궁극적으로 인성(toughness)에 있어서 선택성을 갖는 물질인 비결정질의 테크노중합체(technopolymer)이다.
정확하게,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 특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PEEK) 및 폴리에테르케톤케톤류(PEKK)는 기술적인 특성의 뛰어난 균형, 즉 높은 녹는점, 우수한 열 안정성, 높은 강성도 및 강도(strength), 양호한 인성, 및 응력 ("환경적 응력 파단 저항(environmental stress rupture resistance)") 하에서 상기 화학 물질에 노출된 후에 화학 물질에 대한 우수한 저항을 포함하는 매우 우수한 화학 저항을 제공한다.
그러나, 어떤 용도에 대하여, 강성도의 더 높은 수준이 요구되지만, 이것은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을 단독으로 취하여서는 얻을 수 없고, 폴리(비페닐 에테르 술폰)을 단독으로 취하여서는 더욱더 얻을 수 없다. 여럿 가운데서, 공지된 해 결책은 순수한 중합체에 강화 충전제(reinforcing filler)를 혼합하는 것에 있다. 강화 충전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나노클레이(nanoclay)와 같은 미립자 충전제, 및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와 같은 섬유 충전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정 유리-충전 PEEK류가 개발되어 어느 정도의 상업적 성공을 얻었다.
그러나, 상기 유리-충전 PEEK류 및 보다 일반적인 강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에 관하여, 그것들의 높은 비용(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 자체의 높은 비용 때문임)은, 특히 높은 초기 강성도가 필수적이고 성형품 또는 적어도 그것의 일부 부품(들)이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응력(stress) 하에서 공격적인 화학적 환경과 접촉된 후에 가능한 유지되어야만 할 때, 당업자가 포함되는 용도(성형품)에 대하여 기술적으로 바람직할 정도로 광범위하게 그것들을 사용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종종 만류한다.
따라서 강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보다 더 낮은 비용에서, 강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로 얻은 것과 같이 높은 또는 얻은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특성(특히 화학 저항, 및 보다 특히 환경 응력 파단 저항)을 나타내는 물질의 조성물에 대한 강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특히 하기 기재된 미국특허 제4,804,724호의 교시의 관점에서 상기 과제는 본 출원인에게 까다로운 것으로 보여졌다.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미국특허 제4,804,724호에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및 폴리(비페닐 에테르 술폰)을 포함하는 비강화 혼합물(blend)이 기재되어 있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혼합물은 중간 조성물(intermediate compositions)(이를 테면 PPSU 50부 및 PEEK 50부)에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의 (높은) 화학 저항 및 폴리(비페닐 에테르 술폰)의 (실질적으로 더 낮은) 화학 저항 사이 범위의 특정 화학적 환경(에틸 아세테이트, 1,1,1-트리클로로에탄, 톨루엔 및 아세톤)에서 중간의 특성, 특히 중간의 강성도(모듈러스(modulus)) 및 중간의 화학 저항(중간의 환경 응력 파단 저항 포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요점은, 미국특허 제4,804,724호의 교시의 관점에서, 당업자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조성물에 함유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의 일부분을, 강화가 된 것이든 그렇지 않은 것이든 무엇이든지, 일반적으로 보다 비용-매력적인 중합체, 특히 폴리(비페닐 에테르 술폰)으로 대체하는 것이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에 의해 제공되는 화학 저항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지시키면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조성물의 비용 감소의 복잡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이 아니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미국특허 제5,916,958호는 PPSU 조성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폴리(비페닐 에테르 술폰) 조성물의 난연성(flame retardancy)을 개선시키는 문제를 검토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플루오르화탄소 중합체 및 이산화티타늄이 폴리(비페닐 에테르 술폰) 조성물에 첨가되어야만 한다. 임의로, 미국특허 제5,916,958호의 폴리(비페닐 에테르 술폰)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PEEK 및 PEKK를 포함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임의의 성분은 규회석(wollastonite), 탈크(talc), 실리카(silica) 등과 같은 미립자 충전제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와 같은 섬유 충전제를 포함한다. 미국특허 제5,916,958호는 비교예 N을 제외하고는, 폴리(비페닐 에테르 술폰), 폴리(아릴 에테 르 케톤) 및 섬유 충전제를 명확하게 포함하는 어떤 조성물도 개시하지 않으며, 비교예 N은 (i) 중량으로 85부의 폴리페닐술폰(RADEL(r)R 5000 grade) 및 중량으로 15부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VICTREX® PEEK grade 150 P)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혼합물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90중량%, 및 (ii) 유리섬유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예는 플루오르화탄소 중합체 및 TiO2가 없을 때조차도 유리섬유가 양호한 열방출(heat release) 특성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지만, 허용될 수 없는 스크래치 되지 않는 충격값(unscratched impact value)의 원인이 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독 목적으로 비교예로서 제공된다. 이 공개는 전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검토되는 복잡한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발명
출원인은 강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보다 더 낮은 비용에서 강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로 얻어진 것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같은 수준의 특성 (특히 화학 저항, 및 매우 특히 환경 응력 파단 저항)을 나타내는 물질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복잡한 문제점은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 폴리에테르케톤케톤류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폴리에테르케톤케톤 공중합체류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 폴리페닐술폰류로부터 선택된 희석제(diluent),
- 강화 섬유로부터 선택된 강화 충전제
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C)에 의해 매우 뜻밖에 해결됨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측면은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 폴리에테르케톤케톤류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폴리에테르케톤케톤 공중합체류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 폴리페닐술폰 (P2), 및
- 강화 섬유 (F)
를 포함하며,
- 중량으로 85부의 폴리페닐술폰 및 중량으로 15부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혼합물이 중합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90중량%, 및
- 유리섬유가 중합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로 이루어진 중합체 조성물의 예외를 가지는, 중합체 조성물 (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에서 기재된 중합체 조성물 (C)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에 대한 것보다 폴리페닐술폰 (P2)에 대하여 더 공격적인 화학적 환경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중합체 조성물 (C)의 화학 저항, 특히 환경 응력 파단 저항을 유지하는 동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 폴리에테르케톤케톤류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폴리에테르케톤케톤 공중합체류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을 희석시키기 위한 폴리페닐술폰 (P2)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은 폴리페닐술폰 (P2)로 희석되기 전에,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강화 섬유 (F), 및 임의로 또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폴리페닐술폰 (P2) 및 강화 섬유 (F) 이외의 1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조성물 (C)에 함유되어 있다.
상기 측면에 따르면, 중합체 조성물 (C)는 특히 성형품 또는 성형품의 부품의 형태일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다. 한편,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며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5% 이하이다.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은 유리하게는 35%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다. 한편,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은 유리하게는 85%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5% 이하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다.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한편,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페닐술폰 (P2)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한편,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한 폴리페닐술폰 (P2)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한 강화 섬유 (F)의 양은 유리하게는 12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8중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4중량% 이상이다. 한편,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한 강화 섬유 (F)의 양은 유리하게는 6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48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6중량% 이하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합체 조성물 (C)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 폴리에테르케톤케톤류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폴리에테르케톤케톤 공중합체류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반복 단위(recurring unit)의 50중량% 이상이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인 임의의 중합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1922126-PCT00001
본 발명의 목적 상, 용어 "폴리에테르케톤케톤"은 반복 단위의 50중량% 이상이 하기 화학식 2의 반복 단위인 임의의 중합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71922126-PCT00002
본 발명의 목적 상, 용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폴리에테르케톤케톤 공중합체"는 반복 단위의 50중량% 이하이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이고
[화학식 1]
Figure 112008071922126-PCT00003
반복 단위의 50중량% 이하이 하기 화학식 2의 반복 단위이지만,
[화학식 2]
Figure 112008071922126-PCT00004
그러나 반복 단위의 50중량% 이상은 화학식 1 및 2의 반복 단위 (I) 및 (II)로부터 선택된 반복 단위인 임의의 중합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화학식 1 및 2의 반복 단위 (I) 및 (II)는 전체적으로 반복 단위 (Rl)으로 일컬어진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이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은 특히 단일중합체, 랜덤, 교대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이 공중합체일 때, 그것의 반복 단위는 특히 (i) 화학식 1 및 2의 반복 단위 (Rl), 또는 (ii) 하나 이상의 화학식 1 및 2의 반복 단위 (Rl) 및 반복 단위 (Rl)과는 상이한 하기 반복 단위 (R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8071922126-PCT00005
[화학식 4]
Figure 112008071922126-PCT00006
[화학식 5]
Figure 112008071922126-PCT00007
[화학식 6]
Figure 112008071922126-PCT00008
[화학식 7]
Figure 112008071922126-PCT00009
[화학식 8]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0
[화학식 9]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1
[화학식 10]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2
[화학식 11]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3
[화학식 12]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4
[화학식 13]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5
[화학식 14]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6
[화학식 15]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7
[화학식 16]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8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반복 단위의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이 반복 단위 (Rl)이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본질적으로 모든 반복 단위가 반복 단위 (Rl)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모든 반복 단위가 반복 단위 (Rl)이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단일중합체, 즉 모든 반복 단위가 반복 단위 (I)인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일 때,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의 농도가 1 g/100 ml일 때 95-98 % 황산(d= 1.84 g/ml)에서 측정될 때,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은 유리하게는 0.60 dl/g 이상의 환산점성도(reduced viscosity, RV)를 가진다. 측정은 No 50 캐논-플레스케 점도계(Cannon-Fleske viscometer)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RV는 용해 후 4 시간 이하의 시간 후에 25℃에서 측정된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RV는 바람직하게는 0.65 dl/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70 dl/g 이상이다. 또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RV는 유리하게는 1.20 dl/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 1.10 dl/g 이하이다. 특정한 경우에,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이 0.70 내지 0.90 dl/g의 RV를 가질 때 가장 좋은 결과가 얻어지고; 다른 특정한 경우에,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이 0.90 내지 1.10 dl/g의 RV를 가질 때 가장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은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 특히 PEEK 단일중합체류를 제조하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한 방법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캐나다특허 제847,963호 및 미국특허 제4,176,22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1종 이상 디할로벤조이드(dihalobenzoid) 화합물, 및/또는 1종 이상의 할로페놀(halophenol) 화합물(친핵성 축중합 반응(nucleophilic polycondensation reaction))과 1종 이상의 비스페놀(bisphenol)의 일반적으로 실질적인 등몰량의(equimolar)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서 바람직한 비스페놀은 히드로퀴논(hydroquinone)이고; 상기 방법에서 바람직한 디할로벤조이드 화합물은 4,4'-디플루오로벤조페논(4,4'-difluorobenzophenone), 4,4'-디클로로벤조페논(4,4'-dichlorobenzophenone) 및 4-클로로-4'-플루오로벤조페논(4-chloro-4'-fluorobenzophenone)이며; 상기 방법에서 바람직한 할로페놀 화합물은 4-(4-클로로벤조일)페놀(4-(4-chlorobenzoyl)phenol) 및 4-(4-플루오로벤조일)페놀(4-(4-fluorobenzoyl)phenol)이다.
PEEK 단일중합체류를 제조하기 위한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또 다른 방법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미국특허 제6,566,484호에 기재된 방법과 같이, 축합제(condensing agent)의 존재 하에 용매로서 알칸 술폰산(alkane sulfonic acid)을 사용하여 페녹시페녹시벤조산 등을 친전자적으로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문이 또한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미국특허출원 제2003/0130476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페녹시페녹시벤조산 이외의 다른 단량체로부터 출발하여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다른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단일중합체류는 특히 KETASPIRE™ 및 GATONE®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로서 솔베이 어드밴스드 폴리머즈 엘.엘.씨. (Solvay Advanced Polymers, L.L.C.)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또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단일중합체류는 빅트렉스 매뉴팩쳐링 리미티드 (VICTREX Manuftacturing Limited)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폴리페닐술폰 (P2)
본 발명의 목적 상, 폴리페닐술폰은 반복 단위의 50중량% 이상이 하기 화학식 17의 반복 단위 (R2)인 축중합 중합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화학식 17]
Figure 112008071922126-PCT00019
폴리페닐술폰 (P2)은 특히 단일중합체, 랜덤, 교대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페닐술폰 (P2)가 공중합체일 때, 그것의 반복 단위는 특히 화학식 17의 반복 단위 (R2) 및 반복 단위 (R2)와는 다른 하기와 같은 반복 단위 (R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학식 18]
Figure 112008071922126-PCT00020
[화학식 19]
Figure 112008071922126-PCT00021
[화학식 20]
Figure 112008071922126-PCT00022
폴리페닐술폰 (P2)의 반복 단위의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이 반복 단위 (R2)이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닐술폰 (P2)의 본질적으로 모든 반복 단위가 반복 단위 (R2)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닐술폰 (P2)의 모든 반복 단위가 반복 단위 (R2)이며, 즉 폴리페닐술폰 (P2)는 단일중합체다. 솔베이 어드밴스드 폴리머즈 엘.엘.씨.(Solvay Advanced Polymers, L.L.C.)의 라델 R(RADEL® R) 폴리페닐술폰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폴리페닐술폰 단일중합체류의 예이다.
폴리페닐술폰 (P2)는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들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서 전체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3,634,355호; 제4,008,203호; 제4,108,837호 및 재4,175,175호에 기재되어 있다.
강화 섬유 (F)
임의의 강화 섬유는 강화 섬유 (F)로서 바람직하다. 당업자는 그것의 조성물에 가장 잘 맞고 최종 용도를 포함하는 강화 섬유를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 섬유 (F)는 그것의 화학 성질, 그것의 길이, 직경, (특히 강화 섬유 (F)와 중합체 사이의 양호한 계면 접착(interfacial adhesion)은 혼합물의 강성도 및 인성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가교 및 표면 처리 없이 합성 장치(compounding equipment)에서 잘 공급하는 능력에 따라서 선택된다.
적절한 강화 섬유의 비제한적인 예는 유리섬유, 아스베스토스(asbestos), 흑연 탄소섬유(가능한 한 흑연 함량이 99% 이상인 것 중 일부), 비결정질의 탄소섬유, 피치계(pitch-based) 탄소섬유(가능한 한 흑연 함량이 99% 이상인 것 중 일부), PAN계(PAN-based) 탄소섬유, 합성 중합 섬유, 알루미늄 섬유,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섬유, 상기 알루미늄 섬유, 티타늄 섬유, 마그네슘 섬유, 암면 섬유(rock wool fiber), 강섬유(steel fiber), 탄화규소 섬유(silicon carbide fiber), 붕소 섬유(boron fiber)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강화 섬유 (F)는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 강화 섬유 (F)는 유리섬유다.
강화 섬유 (F), 특히 유리섬유는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의 직경을 가지며, 출원인은 이것이 강화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아내었다. 더 바람직하게, 그것의 직경은 20 ㎛ 이하이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한편, 강화 섬유 (F), 특히 유리섬유의 직경은 바람직하게 5 ㎛ 이상이다.
강화 섬유 (F), 특히 유리섬유는 바람직하게 20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의 길이를 가진다. 또한, 그것은 바람직하게 1 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의 길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강화 섬유 (F), 특히 유리섬유는 고온 정립(high temperature sizing)으로 제형화된다. 출원인은 상기 고온 정립이 PEEK, PEKK 및 PPSU와 같은,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처리되는데 필요한 중합체와의 보다 우수한 계면 접착을 제공함을 알아내었다.
특히 적절한 강화 섬유는 베트로텍스 생고뱅(VETROTEX SAINT-GOBAIN)의 VETROTEX® grade SGVA 910 절단된 유리섬유(chopped fiberglass) 및 그것의 동등물이다.
중합체 조성물 (C)의 임의의 성분
중합체 조성물 (C)는 또한 윤활제(lubricating agent), 열안정제(heat stabilizer), 대전 방지제(anti-static agent), 증량제(extender), TiO2, 카본블랙과 같은 유기 및/또는 무기 색소, MgO와 같은 산 스캐빈저(acid scavenger), 안정제, 즉 산화아연 및 황화아연과 같은 금속 산화물 및 황화물, 항산화제, 내연제(flame retardant), 연기 억제제(smoke-suppressing agent), 및 탈크, 운모(mica), 이산화티타늄, 고령토(kaolin) 등과 같은 미립자 충전제 및 조핵제(nucleating agents)를 포함하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및 폴리(아릴 에테르 술폰) 조성물의 통상적인 성분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임의의 성분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0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및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의 범위이다.
구현예 (Emb-1)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착색된 중합체 조성물 (C)가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 색소는 황화아연이 바람직하다. 출원인은 본 발명 조성물에서,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널리 사용되는 다른 색소에 반하여, 황화아연이 강화 섬유 (F), 특히 유리섬유와 결합하여 특히 잘 작용한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이산화티타늄에 반하여, 황화아연은 "스크라이빙 효과(scribing effect)"가 없고 강화 섬유 (F)가 찢어지게 하지 않으며, 그렇지 않으면 강도의 바람직하지 않은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이 구현예에 따라서 황화아연은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제 중량에 대하여 중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고; 한편, 황화아연은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제 중량에 대하여 중량이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더 바람직하게 2%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구현예 (Emb-2)
본 발명의 특정 다른 구현예에서, 값의 바람직한 범위에서 중합체 조성물 (C)의 성분의 양은 가장 일반적인 최종 용도를 위한 특성의 가장 좋은 균형을 얻기 위하여 최적화된, 상기 상세하게 기재된 것과 다를 수 있다.
구현예 (Emb-2)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 (C)이 여러 가지의 용도에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을 때, 압축기 플레이트(compressor P1ate)와 같은 어떤 특정 적용에 특히 매우 적합하다.
특히 구현예 (Emb-2)에 따라서, 우리는 하기의 것을 가진다:
-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한편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8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며;
-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은 유리하게는 35%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며; 한편,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은 유리하게는 85%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75% 이하이며;
-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며; 한편,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5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며;
-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페닐술폰 (P2)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며; 한편,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페닐술폰 (P2)의 중량은 유리하게는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며;
-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강화 섬유 (F)의 양은 유리하게는 12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8중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4중량% 이상이며; 한편,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강화 섬유 (F)의 양은 유리하게는 6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48중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6중량% 이하이며,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중합체 조성물 (C)는 유리하게는 임의의 통상적인 혼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바람직한 방법은 분말 또는 과립 형태에서 관심의 발명된 중합체 조성물의 성분을, 예를 들어 기계적 블렌더(mechanical blender)를 사용하여 건식 혼합(dry mixing)한 후, 혼합물을 스트랜드(strand)로 압출하고, 상기 스트랜드를 펠렛(pellet)으로 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것일 수 있는 성형품 또는 성형품의 부품의 비제한적인 예는 항공기 승객 서비스 장치(aircraft passenger service unit)의 부품, 항공기의 에어 리턴 그릴(air return grill), 항공기 가열 시스템(aircraft heating system)의 부품, 항공기 환기 시스템(aircraft ventilation system)의 부품, 건식변압기(dry transformer) 또는 모터 코일(motor coil)을 캡슐화하는 부품, 식품 서비스 장치, 치아 케이스(dental case), 의료기기, 배관 피팅(P1umbing fitting), 고정물(fixture) 및 압축기 플레이트(compressor P1ate)를 포함한다.
화학적 환경
중합체 조성물 (C)는 화학적 환경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접하기 쉬우며; 종종 이러한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화학적 환경을 구성하거나 화학적 환경의 일부인 것이 가능한 화학적 매개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carboxylic acid esters), 카르복실산류(carboxylic acids), 글리콜 에테르류(glycol ethers), 지방족 탄화수소류(aliphatic hydrocarbons), 벤젠 및 톨루엔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aromatic hydrocarbons), 모노스티렌(monostyrene), 페놀류(phenols), 에폭시류(epoxies),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ether) 및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와 같은 에폭시 전구체류(epoxy precursors),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및 아세톤(acetone)과 같은 케톤류(ketones),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chloroform) 및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와 같은 염소화 탄화수소류(chlorinated hydrocarbons), 및 질산 및 황산과 같은 무기산류의 수용액을 포함한다.
중합체 조성물 (C)는 또한 응력(stress)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종속하기 쉽고, 종종 중합체 조성물은 효과적으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응력에 종속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중합체 조성물 (C)는 화학적 환경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접하고, 같은 시간 및/또는 다른 시간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응력에 종속된다.
앞에서 사용된, 표현 "중합체 조성물 (C)에 함유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P1)(...)을 희석하기 위한"은 본원에서 넓은 의미, 즉 "중합체 조성물 (C)에 함유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희석은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일부를 폴리페닐술폰 (P2)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농축된" 중합체 조성물[즉,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강화 섬유 (F) 및, 임의로 또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폴리페닐술폰 (P2) 및 강화 섬유 (F) 이외의 1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의 희석으로 인한 이익은 폴리페닐술폰류가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만큼 비싸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얻어지는 "희석된" 중합체 조성물 (C)가 더 가격 매력적이라는 것이다.
특정 당업자가 본 발명의 용도에 따라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을 희석하기 위하여 폴리페닐술폰 (P2)를 사용하기 전에, 중합체 조성물 (C)는 상기 당업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그의 화학 저항이 평가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당업자가 효과적으로 측정되거나 합리적으로 평가된 이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함유 폴리페닐술폰-무함유 중합체 조성물(poly(aryl ether ketone)-containing polyphenylsulfone-free polymer composition)의 화학 저항을 알아낸 방법이 무엇이든지 간에, 효과적으로 측정되거나 합리적으로 평가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함유 폴리페닐술폰-무함유 중합체 조성물(poly(aryl ether ketone)-containing polyphenylsulfone-free polymer composition)의 화학 저항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등한 특정 환경에서 화학 저항을 나타내는 목적으로 중합체 농축물 (C)가 당업자에 의해 인지되자마자 본 발명의 용도로 이행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 후 이렇게 인지된 중합체 조성물 (C)는 이것을 기초로 하여 제조된다는 이러한 시나리오는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중합체 조성물 (C)의 화학 저항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지된다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중합체 조성물 (C) ("희석된" 중합체 조성물)가 화학적 환경에서, "농축된" 중합체 조성물의 것보다 낮지만 이에 근접하거나, 또는 중합체 농축물 (C)의 것과 동등하거나, 또는 중합체 농축물 (C)의 것보다 높은 화학 저항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해서, 이 화학적 환경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 (C)는 "농축된" 중합체 농축물의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은 화학 저항을 갖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농축된" 중합체 조성물의 화학 저항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유지되며, 즉 중합체 조성물 (C)는 일반적으로 화학적 환경에서 "농축된" 중합체 농축물의 것과 동일하거나 본질적으로 동일한, 또는 "농축된" 중합체 농축물의 것보다 훨씬 더 큰 화학 저항을 갖는다.
중합체 조성물 (C)는 매우 높은 강성도 및 매우 높은 화학 저항을 포함하는, 특성들의 현저한 균형을 나타낸다. 매우 놀랍게도, 그것의 환경 응력 파단 저항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의 것만큼 높고, 강화 폴리페닐술폰류의 것보다 훨씬 높다. 게다가, 중합체 조성물 (C)는 강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류보다 덜 비싸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언급함으로써 하기에서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1 중합체 조성물 (El)을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RADEL® R-5100 NT 폴리페닐술폰 34.0 %
VICTREX® 150 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34.0 %
CERTAINTEED® 910 P 유리섬유 29.0 %
황화아연 3.0 %
L/D 비율이 33/1인 25 mm 직경 이축 스크류식 이중 벤트의(twin screw double vented) Berstorff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페닐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유리섬유 및 황화아연을 혼합하고 혼합된 것을 녹였다.
예시된 조성물은 명세서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현저한 특성들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제2 중합체 조성물 (E2)를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RADEL® R-5000 NT 폴리페닐술폰 34.0 %
VICTREX® 450 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34.0 %
CERTAINTEED® 910 P 유리섬유 29.0 %
황화아연 3.0 %
L/D 비율이 33/1인 25 mm 직경 이축 스크류식 이중 벤트의(twin screw double vented) Berstorff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페닐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유리섬유 및 황화아연을 혼합하고 혼합된 것을 녹였다.
예시된 조성물은 또한 명세서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현저한 특성들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제3 중합체 조성물 (E3)을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RADEL® R-5100 NT 폴리페닐술폰 25.9 %
VICTREX® 150 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44.0 %
CERTAINTEED® 910 P 유리섬유 30.0 %
산화아연 0.1 %
이와 같이, L/D 비율이 33/1인 25 mm 직경 이축 스크류식 이중 벤트의(twin screw double vented) Berstorff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페닐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유리섬유 및 산화아연을 혼합하고 혼합된 것을 녹였다.
압축기 플레이트를 상기 중합체 조성물로 만들었다. 그것은 현저한 특성들을 나타냈다.
실시예 4
제4 중합체 조성물 (E4)를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RADEL® R-5000 NT 폴리페닐술폰 25.9 %
VICTREX® 450 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44.0 %
CERTAINTEED® 910 P 유리섬유 30.0 %
산화아연 0.1 %
이와 같이, L/D 비율이 33/1인 25 mm 직경 이축 스크류식 이중 벤트의(twin screw double vented) Berstorff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페닐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유리섬유 및 산화아연을 혼합하고 혼합된 것을 녹였다.
압축기 플레이트를 상기 중합체 조성물로 만들었다. 그것은 또한 현저한 특성들을 나타냈다.
실시예 5
제5 중합체 조성물 (E5)를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5개의 비교 중합체 조성물 (CEl) 내지 (CE5)도 또한 제조하였다. 그것들의 성분의 성질 및 중량은 표 1에 나타내어져 있다. 중량은 관심의 중합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한 것이다.
[표 1]
(E5) 및 (CEl) 내지 (CE5)의 성분의 성질 및 중량
(CE1) (CE2) (CE3) (CE4) (E5) (CE5)
RADEL® R-5000 NT 폴리페닐술폰 (중량%) 100 50 0 67 34 0
VICTREX® 150 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량%) 0 50 100 0 34 70
VETROTEX® grade SGVA 910 절단된 유리섬유 (중량%) 0 0 0 29 29 30
황화아연 (중량%) 0 0 0 3 3 0
산화아연 (중량%) 0 0 0 1 0 0
전체 (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Victrex® 150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굵은 분말(coarse powder) 형태로 입수하였다. VETROTEX® grade SGVA 910 유리섬유는 생고뱅 베트로텍스(Saint Gobain VETROTEX)로부터 입수가능한 10 마이크론의 아주 작은 직경의 유리섬유이다.
펠렛(pellet) 형태로 입수하고 굴곡 테스트(flexural test) 시편으로 직접 사출 성형되는 (CEl)을 제외하고, 중합체 조성물은 8개의 배럴 부분(barrel section)과 40: 1의 전반적인 L/D 비율을 가지는 치합형 동방향회전 이축 스크류식 압출기(co-rotating intermeshing twin-screw extruder)인 Berstorff ZE 25 mm에서 혼합하였다. 사용된 혼합 조건은 표 2에 나타내어져 있다.
[표 2]
중합체 조성물 (E5) 및 (CE2) 내지 (CE5)에 대한 혼합 조건
(CE2) 및 (CE3) (CE4), (E5) 및 (CE5)
배럴 1 세트포인트 (℃) 열 없음 열 없음
배럴 2 세트포인트 (℃) 330 330
배럴 3 세트포인트 (℃) 330 330
배럴 4 세트포인트 (℃) 330 330
배럴 5 세트포인트 (℃) 340 340
배럴 6 세트포인트 (℃) 340 340
배럴 7 세트포인트 (℃) 340 340
배럴 8 세트포인트 (℃) 340 340
다이 어댑터(die adapter) 세트포인트 (℃) 340 340
다이 세트포인드 (℃) 340 340
실제 녹는점 (℃) 380-385 390-405
스크류 속도 (rpm) 240 240
배럴 7에서 진공 (Hg) > 27 > 27
수지 공급 속도 (feed rate) (lb/h) 20 18.9
유리섬유 공급 속도 (lb/h) --- 8.1
중합체 조성물 (E5) 및 (CEl) 내지 (CE5)의 화학 저항능(chemical resistance capabilities)을 평가하기 위하여, 380-395℃ 범위에서 녹는점이 이루 어지도록 350-375℃ 범위에서 배럴 온도 세팅을 이용하여 150톤 도시바 사출성형기(Toshiba injection molding machine)을 사용함으로써 이들 각각을 먼저 세로 5인치 x 가로 0.5인치 x 두께 0.125인치 ASTM 굴곡 바(flexural bar)로 만들었다. 성형 온도를 170-190℃에서 유지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응력(stress)에서 낮은 성형품을 얻었고, 또한, (반결정성인(semi-crystallin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높은 결정도(crystallinity level)를 얻었다. 화학 저항 시험에 대하여 임의의 시편을 대상으로 하기 전에, 모든 굴곡바를 공기 순환 열풍건조기(air convection oven) 내 200℃에서 2시간 동안 어닐링하였다. 이것은 성형된 일부로부터 잔류 응력에서 임의의 남아있는 성형된 것을 제거하고 중합체 조성물이 존재할 때 결정성 구성요소 PEEK의 완전한 결정도를 얻는 이중 목적을 위해 행하였다. 이것은 방법 관련 변화성(process-related variabilities)을 다양한 제형의 샘플의 비교로부터 얻는 것을 확실하게 해준다.
화학 저항 평가의 준비에서, 어닐링된 플렉스 바(flex bar)를 2.0%의 변형(strain)을 만든 스테인레스 파라볼릭 굴곡 지그(stainless parabolic flexural jig)에 설치하였다. 4개의 동등하게 간격을 둔 호스클램프(evenly spaced hose clamp)로 각각의 바를 파라볼릭 지그에 고정시켰다.
가속화된 방식으로 거친 화학적 환경에서 화학 저항 실행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치된 샘플을 가진 지그를 실온(23℃)에서 3개의 용매, 즉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클로로벤젠에 함침시켰다. 많은 산업에서 널리 이용되는 대표적인 산 업 용매로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클로로벤젠을 본 평가를 위해 선택하였다. 그것은 또한 비결정질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1astics), 및 방향성 술폰 중합체류, 특히 폴리페닐술폰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매우 거친 2 분류의 화학물질(케톤류 및 염소화 탄화수소류)을 나타낸다. 이들 용매의 선택은 단지 본 발명의 특성 및 이익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변형된 시편을 총 96시간(4일) 동안 화학 물질에 담그었다.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화학 물질의 노출 하에서 변형은 테스트 파라볼릭 지그에서 깨짐(crazing) 또는 크래킹(cracking)을 유도할 수 있다.
4일의 끝에서 가능한 기계의 고장 또는 물리적 손상의 징후(sign)에 대하여 샘플을 조사하였고, 또한 고려된 각 용매에 담그었을 때 용해, 연화(softening) 또는 팽창(swelling)의 징후에 대해서도 샘플을 시험하였다. 어떠한 기계의 고장, 물리적 손상, 용해의 징후, 연화의 징후 및 팽창의 징후도 관찰되지 않을 때 중합체 조성물이 주어진 용매에서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한편, 임의의 이러한 현상의 관찰은 시험에서 중합체 물질의 실패가 되었다.
가장 엄격한 적용에 의해 필요한 필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정도로 당업자가 이 시험을 통과하는 물질을 일반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2.0%와 같이 높고 4일 기간 동안의 변형을 가진 상기 상세한 조건은 극도로 거칠다는 것이 강조되어야만 한다.
용매 저항 평가의 결과는 표 3에서 제공된다. "V" 표는 심의 용매에서, 관심의 중합체 조성물이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하였음을 의미하고; 한편, "O" 표는 관심의 용매에서, 관심의 중합체 조성물이 시험을 통과하는데 실패하였음을 의미한다.
[표 3]
다양한 화학적으로 공격적인 용매에서 함침 후의 시험 결과
(CE1) (CE2) (CE3) (CE4) (E5) (CE5)
용매의 성질
아세톤 O O O O V V
메틸에틸케톤 O O O O V V
클로로벤젠 O O O O V V
강화 폴리페닐술폰 조성물 (CE4)는 고려된 임의의 용매에서 시험을 통과하는데 유감스럽게도 실패하였다.
뜻밖의 방법에서, 본 발명의 강화 중합체 조성물 (E5)은, 강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CE5)이 한 것만큼 훌륭하게, 세 가지 모든 용매를 성공적으로 통과하였다.
본 발명의 강화 중합체 조성물 (E5)은 강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CE5)보다 덜 비싸다.
비강화 물질 (CEl), (CE2) 및 (CE3) 중 어느 것도 어떤 시험도 성공적으로 통과하지 못하였다.

Claims (15)

  1.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 폴리에테르케톤케톤류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폴리에테르케톤케톤 공중합체류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 폴리페닐술폰 (P2), 및
    - 강화 섬유 (F)
    를 포함하며,
    - 중량으로 85부의 폴리페닐술폰 및 중량으로 15부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혼합물이 중합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90중량%, 및
    - 유리섬유가 중합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로 이루어진 중합체 조성물의 예외를 가지는, 중합체 조성물 (C).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이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70%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이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이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의 중량이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및 폴리페닐술폰 (P2)의 전체 중량이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 (F)의 양이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2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 (F)의 양이 중합체 조성물 (C)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4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단일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술폰 (P2)이 폴리페닐술폰 단일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섬유 (F)가 유리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황화 아연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15.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에 대한 것보다 폴리페닐술폰 (P2)에 대하여 더 공격적인 화학적 환경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중합체 조성물 (C)의 화학 저항을 유 지하는 동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 폴리에테르케톤케톤류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폴리에테르케톤케톤 공중합체류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을 희석시키기 위한 폴리페닐술폰 (P2)의 용도로서,
    상기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이, 폴리페닐술폰 (P2)로 희석되기 전에,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강화 섬유 (F) 및 임의로 또한,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 폴리페닐술폰 (P2) 및 강화 섬유 (F) 이외의 1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조성물 (C)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 (P1)을 희석하기 위한 폴리페닐술폰 (P2)의 용도.
KR1020087025234A 2006-03-17 2007-03-16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 KR101424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306206P 2006-03-17 2006-03-17
US60/783,062 2006-03-17
EP06115871.3 2006-06-22
EP06115871 2006-06-22
EP06118409.9 2006-08-03
EP06118409A EP1884538A1 (en) 2006-08-03 2006-08-03 New polymer composition
PCT/EP2007/052522 WO2007107519A1 (en) 2006-03-17 2007-03-16 New polymer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166A true KR20080105166A (ko) 2008-12-03
KR101424828B1 KR101424828B1 (ko) 2014-08-06

Family

ID=3800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234A KR101424828B1 (ko) 2006-03-17 2007-03-16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119023B2 (ko)
EP (1) EP1999212B1 (ko)
JP (1) JP2009530461A (ko)
KR (1) KR101424828B1 (ko)
AT (1) ATE484549T1 (ko)
DE (1) DE602007009809D1 (ko)
EA (1) EA016024B1 (ko)
HK (1) HK1123060A1 (ko)
TW (1) TWI405816B (ko)
WO (1) WO20071075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466A (ko) * 2011-12-21 2014-09-04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이동식 전자 장치용 고성능 중합체 조성물
KR20140107465A (ko) * 2011-12-21 2014-09-04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고성능 설폰 중합체 조성물
KR20150082498A (ko) * 2012-11-09 2015-07-15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Paek/paes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66313B1 (en) * 2005-12-23 2014-09-10 Solvay Sa New use of poly(biphenyl ether sulfone)s
KR101424828B1 (ko) * 2006-03-17 2014-08-06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
KR100918050B1 (ko) * 2007-10-02 2009-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DE102008001873A1 (de) 2008-05-20 2009-11-26 Evonik Degussa Gmbh Kerbschlagzähe Polyarylenetherketon-Formmasse
US9448511B2 (en) * 2010-10-15 2016-09-20 Xerox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US8703292B2 (en) * 2011-07-07 2014-04-22 Xerox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containing thermoplastic mixtures
US9399707B2 (en) * 2012-07-25 2016-07-26 J.M. Huber Corporation Use of alumina trihydrate in composites
WO2014130275A2 (en) 2013-02-22 2014-08-28 Ticona Llc High performance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flow properties
CN106574185A (zh) 2014-08-21 2017-04-19 提克纳有限责任公司 聚芳基醚酮组合物
US10774215B2 (en) 2014-08-21 2020-09-15 Ticona Llc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aryletherketone and low naphthen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US10526468B2 (en) 2015-05-21 2020-01-07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Poly(aryletherketone) compositions
WO2016198372A1 (en) 2015-06-10 2016-12-15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Polymer composition and sterilizable articles obtainable therefrom
GB201513135D0 (en) * 2015-07-24 2015-09-09 Victrex Mfg Ltd Polymeric materials
BR112018017349A2 (pt) * 2016-02-25 2018-12-26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estrutura de dentadura, dentadura, e, método para formar uma estrutura de dentadura
US20190127581A1 (en) * 2016-04-29 2019-05-02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High-flow polyphenylsulfone compositions
WO2018077967A1 (en) * 2016-10-26 2018-05-03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Fluoropolymer laminate for thermoforming into vehicles body panels
KR102117742B1 (ko) * 2017-12-31 2020-06-0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RU2699609C1 (ru) * 2018-02-21 2019-09-06 Николай Иванович Покотило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антифрик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основе полиэфирэфиркетона на стальную подложку
RU2709448C1 (ru) * 2019-06-21 2019-12-1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ститут пластмасс имени Г.С. Петрова"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ар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лиэфирэфиркетона
JP2023501975A (ja) 2019-11-08 2023-01-20 ソルベイ スペシャルティ ポリマーズ ユーエスエー, エルエルシー ポリアリールエーテルケトンコポリマーのブレンド
RU2752627C1 (ru) * 2020-03-16 2021-07-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Х.М. Бербекова» (КБГУ) Полимерный композит на основе полиэфирэфиркетона и углеволокн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RU2744894C1 (ru) * 2020-03-18 2021-03-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Х.М. Бербекова» (КБГУ)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ошкообразных ароматических полиэфирэфиркетонов и сополиэфирэфиркетонов
RU2752625C1 (ru) * 2020-03-18 2021-07-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Х.М. Бербекова» (КБГУ) Полимер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основе полиэфирэфиркетона и углеволокн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WO2023152236A1 (en) 2022-02-10 2023-08-17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Component used as an electrical insulation barrier based on a polyaryletherketone (paek) and a polyphenylsulfone (ppsu)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47963A (en) 1970-07-28 Zutty Nathan Process for preparing polyarylene polyethers
CA1017097A (en) 1962-11-06 1977-09-06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Manufacture of polysulphones
US4175175A (en) 1963-07-16 1979-11-20 Union Carbide Corporation Polyarylene polyethers
DE1545106C3 (de) 1963-07-16 1979-05-31 Union Carbide Corp., New York, N.Y. (V.St.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nearen Polyarylenpolyäthern
US3634355A (en) 1968-03-21 1972-01-11 Ici Ltd Aromatic polymers from dihalogenoben-zenoid compounds and alkali metal hydroxide
GB1586972A (en) 1977-02-01 1981-03-25 Ici Ltd Production of aromatic polyethers
US4713426A (en) * 1984-09-28 1987-12-15 Amoco Corporation Blends of a biphenyl containing poly(aryl ether sulfone) and a poly(aryl ether ketone)
US4624997A (en) 1984-09-28 1986-11-25 Union Carbide Corporation Article molded from a blend of a poly(aryl ether ketone) and a poly(aryl ether sulfone)
US4804724A (en) 1984-09-28 1989-02-14 Amoco Corporation Blends of a biphenyl containing poly (aryl ether sulfone) and a poly (aryl ether ketone)
CA1276740C (en) * 1984-09-28 1990-11-20 Lloyd Mahlon Robeson Blends of a biphenyl containing poly(aryl ether sulfone) and a poly(aryl ether ketone)
JPS6210161A (ja) 1985-07-05 1987-01-19 Sumitomo Chem Co Ltd 樹脂組成物
JPS62129347A (ja) * 1985-11-29 1987-06-11 Sumitomo Chem Co Ltd 耐薬品性の改良さ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4703081A (en) * 1986-04-08 1987-10-27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arylene sulfide) resin ternary blends
GB8617989D0 (en) * 1986-07-23 1986-10-01 Ici Plc Polymer composition
EP0297363A3 (de) * 1987-06-27 1989-09-13 BASF Aktiengesellschaft Hochtemperaturbeständig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verbesserter Schmelzestabilität
DE3738749A1 (de) 1987-11-14 1989-05-24 Basf Ag Faserverbundwerkstoffe
DE3804159A1 (de) * 1988-02-11 1989-08-24 Basf Ag Polyaryletherketone mit verbesserter verarbeitbarkeit
DE3807296A1 (de) * 1988-03-05 1989-09-14 Basf Ag Hochtemperaturbestaendige polyarylethersulfon-/polyaryletherketon- formmassen mit verbesserter phasenanbindung
DE3829695A1 (de) * 1988-09-01 1990-03-08 Basf Ag Schlagzaehmodifizier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verbesserter kerb- und lochschlagzaehigkeit und deren verwendung
US5916958A (en) 1990-04-04 1999-06-29 Amoco Corporatio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DE19513403A1 (de) 1995-04-08 1996-10-10 Basf Ag Formmassen aus Polyarylenetherketonen, Polyarylenethersulfonen und flüssig-kristallinen Polymeren
US6228932B1 (en) 1997-12-22 2001-05-08 Dupont Mitsui Fluorochemicals Fluororesin powder liquid dispersion capable of forming thick coatings
GB2355464B (en) 2000-02-11 2004-08-11 Victrex Mfg Ltd Aromatic polyetherketones
GB2364319B (en) 2000-07-06 2003-01-15 Gharda Chemicals Ltd Melt processible polyether ether ketone polymer
JP4864323B2 (ja) * 2002-10-15 2012-02-01 ソルヴェイ アドバンスド ポリマー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抗黄変性重縮合ポリマー組成物及び製品
EP1966313B1 (en) 2005-12-23 2014-09-10 Solvay Sa New use of poly(biphenyl ether sulfone)s
KR101424828B1 (ko) * 2006-03-17 2014-08-06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
US20090281227A1 (en) 2006-07-07 2009-11-12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Polymer Composition Suitabl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Applica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466A (ko) * 2011-12-21 2014-09-04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이동식 전자 장치용 고성능 중합체 조성물
KR20140107465A (ko) * 2011-12-21 2014-09-04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고성능 설폰 중합체 조성물
KR20190002720A (ko) * 2011-12-21 2019-01-08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이동식 전자 장치용 고성능 중합체 조성물
KR20150082498A (ko) * 2012-11-09 2015-07-15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Paek/paes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828B1 (ko) 2014-08-06
WO2007107519A1 (en) 2007-09-27
US20190169430A1 (en) 2019-06-06
EP1999212B1 (en) 2010-10-13
HK1123060A1 (en) 2009-06-05
US20090048379A1 (en) 2009-02-19
EP1999212A1 (en) 2008-12-10
EA200801999A1 (ru) 2009-02-27
JP2009530461A (ja) 2009-08-27
TW200801116A (en) 2008-01-01
TWI405816B (zh) 2013-08-21
DE602007009809D1 (de) 2010-11-25
EA016024B1 (ru) 2012-01-30
US10119023B2 (en) 2018-11-06
ATE484549T1 (de)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828B1 (ko)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
EP3237493B1 (en) Paek/ppsu/pes compositions
EP2943535B1 (en) Paek / paes compositions
US10808143B2 (en) Polyarylether ketone compositions and method of coating a metal surface
EP1884538A1 (en) New polymer composition
US8802772B2 (en) Use of poly(biphenyl ether sulfone)s
EP2067823A1 (en) High-performance polymer blends, compositions and shaped articles made therefrom
EP3676331B1 (en) Glass-filed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aryl ether sulfone), a poly(aryl ether ketone), at least one polyphenylene sulfide and glass fibers
WO2019042948A1 (en) GLASS-CHARGED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 (ARYL ETHER SULFONE), A POLY (ARYL ETHER KETONE), AT LEAST ONE POLY (PHENYLENE SULFIDE) AND GLASS FIBERS
US4853443A (en) Polycyanoaryl ether with thermoplastic resin
US20160075876A1 (en) Polyarylene ether sulfone (PAES) compositions
EP0243000B1 (en) Polycyanoaryl eth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US20180134865A1 (en) Poly(aryletherketone) compositions
US4977234A (en) Polycyanoaryl ether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WO2022019204A1 (ja) ハロゲン化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樹脂組成物、成形品、及び樹脂用制振化剤
WO2023139133A1 (en) Shaped article comprising a poly(aryl ether sulfone) (paes) polymer and method of making using melt processing
WO2024082077A1 (en) Polymer composition suitabl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applications
JPH0619010B2 (ja) ポリシアノアリールエー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