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925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925A
KR20080103925A KR1020080048094A KR20080048094A KR20080103925A KR 20080103925 A KR20080103925 A KR 20080103925A KR 1020080048094 A KR1020080048094 A KR 1020080048094A KR 20080048094 A KR20080048094 A KR 20080048094A KR 20080103925 A KR20080103925 A KR 2008010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result
sensor
detected
light
optic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4751B1 (ko
Inventor
료이찌 노자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97167A external-priority patent/JP5181792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Abstract

표시 패널(100)에의 터치 조작을 판별한다. 화소(110)에서의 광 센서(130R)는 운전석측으로부터의 광을 입사하고, 광 센서(130L)는 조수석측으로부터의 광을 입사한다. 손가락과 같은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접촉하였을 때, 광 센서(130R)에 의해 검출되는 R상과, 광 센서(130L)에 의해 검출되는 L상은, 시차의 분만큼 시프트하지만, 거의 겹치게 된다. R상과 L상이 시차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도 작으면 터치 조작이라고 판별한다.
Figure P1020080048094
R상, L상, 표시 패널, 광 센서, 피검출물, 차광 부재, 이동 속도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DISPLAY DEVICE AND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광량 검출에 의해 피검출물이 표시 화면에 터치하였는지의 여부 등을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년, 액정 패널과 같은 표시 장치의 화소 내에 광 센서를 배치시켜, 광에 의해 표시 화면으로부터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의 화소 내에서의 광 센서는, 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와 캐패시터를 갖고, 포토다이오드에서의 수광량에 따라서 캐패시터의 전하량을 변화시켜, 캐패시터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그 광 센서의 수광량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손가락이 표시 화면에 터치하였는지의 여부의 판별 정밀도나, 좌표 위치의 산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촬영된 화상의 엣지를 검출함과 함께, 그 엣지 화상을 이용하여 물체가 표시 화면에 터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6-244446호 공보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패널면에 터치하였을 때에 손가락이 불룩해진 상태를 검출하여,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라고 판별하므로, 손가락 이외의 탄력성이 없는 피검출물의 터치를 판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탄력성이 없은 피검출물이 표시 화면에 터치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화소와, 상기 표시 화소에 따라서 설치되며, 각각이 입사광량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 광 센서와, 상기 제1 광 센서에, 제1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고, 상기 제2 광 센서에,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는 광학 부재와,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제1 기간에 각각 검출한 제1 검출 결과 및 제2 검출 결과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와, 상기 제1 기간 후의 제2 기간에,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제3 검출 결과 및 제4 검출 결과를 검출한 후, 상기 제3 검출 결과를 상기 제1 검출 결과와 비교하고, 상기 제4 검출 결과를 제2 검출 결과와 비교하는 비교 회로와,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피검출물이 표시 화면에 터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검출물이 표시 화면에 터치한 것을 제1 및 제2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판별한다.
본 발명에서, 광학 부재로서 차광 부재나 렌즈층 등이 적용 가능하다. 여기 서, 광학 부재로서 차광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그 광학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광 센서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광 센서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광 센서의 인접 경계에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특히, 상기 표시 화소의 시인 또는 배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 광 센서에 대한 상기 차광 부재의 개구부의 중심선은, 상기 제1 및 제2 광 센서의 인접 경계선에 일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 사이를 차광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갖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가 상기 차광 부재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편, 광학 부재로서 렌즈층을 이용하는 경우, 그 렌즈층은, 상기 제1 및 제2 광 센서의 입사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사측에 볼록한 렌즈층인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광 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으로서도 개념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출 방법으로서 개념하는 경우, 상기 제1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과 상기 제2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이 접근하는 경우로서 상의 이동 속도가 상이할 때, 이동 속도가 작은 쪽의 상을 검출한 광 센서의 입사 방향으로부터 피검출물이 접근하고 있다고 판별하여도 되고, 상기 제1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과 상기 제2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도 작게 되었을 때에, 피검출물이 표시 화면에 터치하였다고 판별하여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표시 부분으로서, 차량의 데쉬보드 중앙에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이 설명에서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우측을 운전석측(좌측을 조수석측)으로 한 우핸들 차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대로 표시 장치로부터 보면, 좌측이 운전석측(우측이 조수석측)으로 된다.
도 1은 이 표시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중, 표시 및 입력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생략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제어 회로(10), Y드라이버(12), X드라이버(14), Y드라이버(16), 판독 회로(18), 판별 회로(20) 및 표시 패널(100)을 갖는다.
이 중, 표시 패널(100)에서는, 화소(110)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화소(110)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소(110)는, 실제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지만, 도 2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화소 중, 임의의 1개의 화소를 뽑아내어 도시한 것이다.
또한, 매트릭스 형상의 배열에서, 주사선(112)이 X방향으로 연장되어 1행분의 화소(110)에서 공용되고, 데이터선(114)이 Y방향으로 연장되어 1열분에서 공용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선(142, 143)이 X방향으로 연장되어 1행분에서 공용되고, 판독선(144R, 144L)의 쌍이 Y방향으로 연장되어 1열분에서 공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110)는, 표시계(120)와, 광 센서(130R, 130L)로 나누어져 있다.
이 중, 표시계(표시 화소)(120)는, n채널형의 트랜지스터(122)와 액정 소자(124)와 축적 용량(126)을 갖는다. 트랜지스터(122)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112)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이 데이터선(114)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액정 소자(124)의 일단인 화소 전극과 축적 용량(126)의 일단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 액정 소자(124)의 타단은, 전압 Vcom으로 유지됨과 함께, 각 화소(110)에 걸쳐 공통 접속된 커먼 전극(128)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적 용량(126)의 타단에 대해서도, 각 화소(110)에 대해서 전압 Vcom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전기적으로 보아 커먼 전극(128)에 공통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취급하고 있다.
액정 소자(124)는, 투과형이며, 주지와 같이, 트랜지스터(122)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된 화소 전극과 각 화소(110)에 걸쳐 공통된 커먼 전극 사이에 액정을 협지하여, 화소 전극과 커먼 전극에서 유지된 전압의 실효값에 따른 투과율로 된다.
이와 같은 액정 소자(124)에서, 주사선(112)이 임계값 이상의 전압에 상당하는 H레벨로 되면, 트랜지스터(122)가 온 상태로 되어, 데이터선(114)에 공급된 전압이 화소 전극에 인가된다. 이 때문에, 주사선(112)이 H레벨로 되었을 때에, 데이터선(114)을 계조에 따른 전압으로 하면, 액정 소자(124)에는, 그 계조에 따른 전압과 전압 Vcom의 차전압이 기입된다. 또한, 주사선(112)이 L레벨로 되면, 트랜지스터(122)가 오프하지만, 액정 소자(124)에 기입된 차전압은, 액정 소자(124) 자체의 전압 유지성 및 병렬 접속된 축적 용량(126)에 의해 유지되므로, 액정 소자(124)는, 유지된 차전압에 따른 투과율로 된다.
광 센서(130R, 130L)의 전기적인 구성은 서로 공통이다. 이 때문에, 광 센서(130R)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그 광 센서(130R)는, 트랜지스터(131, 132, 133)와, pin형의 광 다이오드(134)와, 센서 용량(135)을 갖는다. 트랜지스터(131)는, 센서 용량(135)에 전압을 프리차지시키는 것이며, 그 게이트 전극은 제어선(142)에 접속되고, 그 소스 전극은 전압 Pre를 급전하는 급전선에 접속되며, 그 드레인 전극은 광 다이오드(134)의 캐소드, 센서 용량(135)의 일단 및 트랜지스터(132)의 게이트 전극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광 다이오드(134)와 센서 용량(135)은, 트랜지스터(131)의 드레인 전극(트랜지스터(132)의 게이트 전극)과, 전압 기준의 접지 전위 Gnd 사이에서 병렬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32)의 소스 전극은 전위 Gnd에 접지되고, 그 드레인 전극은, 판독용의 트랜지스터(133)의 소스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33)의 게이트 전극은 제어선(143)에 접속되고, 그 드레인 전극은 판독선(144R)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광 다이오드(134)의 수광층은, 트랜지스터(122, 131, 132, 133)의 능동층과 동층에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광 다이오드(134)는, p층, i층, n층으로 이루어지는 pin 구조를 갖지만, 이들 층은, 트랜지스터(122, 131, 132, 133)의 능동층과 동층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122)의 형성 공 정에 의해, 트랜지스터(131, 132, 133) 및 광 다이오드(134)도 아울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 센서(130R)에서, 우선, 제어선(142)이 H레벨로 되면, 트랜지스터(131)가 온하므로, 센서 용량(135)에 전압 Pre가 프리차지된다. 제어선(142)이 L레벨로 되어 트랜지스터(131)가 오프하면, 광 다이오드(134)에는, 입사광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역바이어스 방향으로 리크 전류가 많이 흐르므로, 센서 용량(135)의 유지 전압이 프리차지 전압 Pre로부터 감소한다. 상세하게는, 센서 용량(135)의 일단은, 광 다이오드(134)의 리크 전류가 적으면 거의 프리차지 전압 Pre를 유지하고, 리크 전류가 많아짐에 따라서 전압 제로에 근접한다.
이 때, 판독선(144R)을 소정 전압으로 프리차지한 후, 제어선(143)을 H레벨로 하면, 트랜지스터(133)가 온하므로, 트랜지스터(132)의 드레인 전극이 판독선(144R)에 접속된다. 광 다이오드(134)에의 입사광량이 적어, 센서 용량(135)의 일단이 거의 프리차지 전압 Pre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면, 트랜지스터(132)가 거의 온 상태로 되므로, 판독선(144R)은 프리차지 전압으로부터 전압 제로를 향하여 급격하게 변화된다. 한편, 광 다이오드(134)에의 입사광량이 많아, 센서 용량(135)의 일단이 리크 전류에 의해 거의 전압 제로이면, 트랜지스터(132)가 거의 오프 상태로 되므로, 판독선(144R)은 프리차지 전압으로부터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선(142)을 H레벨로부터 L레벨로 하고, 그 후, 제어선(143)을 H레벨로 하였을 때에, 판독선(144R)이 프리차지 전압으로부터 변화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어선(142)(143)과 판독선(144R)의 교차에 대응하는 광 센서(130R)에 대하 여 입사광량이 많은지, 적은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광 센서(130R)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광 센서(130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어선(142)을 H레벨로부터 L레벨로 하고, 그 후, 제어선(143)을 H레벨로 하였을 때에, 판독선(144L)이 프리차지 전압으로부터 변화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어선(142)(143)과 판독선(144L)의 교차에 대응하는 광 센서(130L)에 대하여 입사광량이 많은지, 적은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2에서, 주사선(112), 제어선(142, 143)은, 모두 상이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일부를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데이터선(114), 전압Pre의 급전선은, 모두 상이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일부를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1개의 표시계(120)에 대하여 1조의 광 센서(130R, 130L)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4개의 표시계(120)에 대하여 1조의 광 센서(130R, 130L)라고 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복수개의 표시계에 대하여 1조로 해도 되고, 또한,2개의 표시계(120)에 대하여 1조의 광 센서(130R, 130L)를 설치해도 된다.
설명을 도 1로 되돌리면, 제어 회로(10)는, Y드라이버(12), X드라이버(14), Y드라이버(16) 및 판독 회로(18)를 제어하는 것이다.
Y드라이버(12)는, 제어 회로(10)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표시 패널(100)에서의 주사선(112)을 순서대로 선택하고, 선택한 주사선을 H레벨로 하고, 그 이외의 주사선을 L레벨로 하는 것이다. X드라이버(14)는, 선택된 주사선에 위치하는 화 소(110)의 계조에 따른 전압을, 데이터선(114)에 인가하는 것이다.
또한,X드라이버(14)는, 도시 생략한 상위 제어 회로로부터 표시할 화상 신호의 공급을 받고, 이것을 표시에 적합시킨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선에 공급한다.
Y드라이버(16)는, 제어 회로(10)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표시 패널(100)에서의 제어선(142)을 H레벨로부터 L레벨로 한 후, 쌍을 이루는 제어선(143)을 H레벨로 하는 동작을, 화소(110)의 1행씩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이다.
검출 회로를 겸용하는 판독 회로(18)는, 각 열의 판독선(144R, 144L)을 프리차지한 후에 전압을 판독하고, 판독한 전압이 프리차지 전압으로부터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판독 회로(18)는, 판독선의 전압이 프리차지 전압으로부터 전압 제로로 변화되면, 그 판독선의 열과, Y드라이버(16)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행으로 규정되는 화소의 광 센서에의 입사광량이 많다고 검출하고, 판독선의 전압이 프리차지 전압으로부터 변화되지 않으면, 그 판독선의 열과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행으로 규정되는 화소의 광 센서에의 입사광량이 적다고 검출한다.
따라서, 주사선(112)을 순서대로 선택함과 함께, 선택된 주사선에 위치하는 화소의 계조에 따른 전압을 데이터선(114)에 인가함으로써, 표시계(120)의 액정 소자(124)에 그 계조에 따른 전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선(142, 143)을 순서대로 한 쌍(행)씩 제어함과 함께, 각 행의 제어 시마다, 각 열의 판독선(144R, 144L)의 전압 변화를 판별함으로써, 광 센서에의 입사광량의 대소를, 전체 화소분에 대해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선(142, 143)을 1행째부터 최종행째까지 제어하는 데에 요하는 기간을 센서 프레임 기간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선(112)과, 제어선(142·143)은, 별개로 독립시키고 있으므로, 센서 프레임의 기간은, 화상의 표시에 요하는 수직 주사 기간과는 무관계하다.
판별 회로(20)는, 광 센서(130R, 130L)의 검출 결과의 전체 화소분에 대해서 수프레임의 기간분 기억함과 함께, 그 기억 내용으로부터 후술하는 수순에 따라서 표시 패널(100)에의 조작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다. 따라서, 판별 회로(20)는, 기억 회로, 비교 회로의 기능도 겸용하게 된다.
도 3은, 표시 패널(100)의 윗방향을 지면 윗방향으로 하여 배면 방향(관찰 방향의 반대측)로부터 보았을 때에, 화소(110)의 매트릭스 배열에 대한 차광 부재(블랙 매트릭스)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 방향(즉, 후술하는 도 6의 하측)으로부터 보고 있으므로, 좌측이 운전석측으로 되고, 우측이 조수석측으로 된다. 또한, 관찰측으로부터 보았을 때는, 도 3에서 좌우 반전으로 된다.
도 1이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110)는,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된 매트릭스 배열로 되어 있다.
여기서, 1개의 화소(110)에 대한 표시계(120)는 사각 형상이며, 또한, 광 센서(130R, 130L)의 1조는, 표시계(120)의 하방에서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차광 부재(150)는, 도 3에서 해칭이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차광 부재(150)는, 표시계(120)의 형상에 맞춘 개구부(152)와, 광 센서(130R, 130L)에 맞춘 사각 형상의 개구부(154)를 갖고 있다. 도 3에서, 광 센서(130R, 130L)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좌측으로부터 광 센서(130R, 130L)의 순으로 나열되는 개소에서는, 광 센서(130R)와 광 센서(130L)에 걸치도록 차광 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의 좌측으로부터 광 센서(130L, 130R)의 순으로 나열되는 개소에서는, 광 센서(130L)와 광 센서(130R)에 걸치도록 개구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동일한 화소(110)에서의 광 센서(130R, 130L)의 경계와, 차광 부재(150)에서의 사각 형상의 중심선(138)이 일치하도록, 차광 부재(150)가 설치된다. 또한, 차광 부재(150)는, 동일한 화소(110)에 포함되는 광 센서(130R, 130L)의 경계선을 포함하도록 개구하는 개구부(154)를 갖고, 인접하는 화소(110)에서의 광 센서(130L, 130R)의 경계를 차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4는, 표시 패널(100)의 윗방향을 지면 앞 방향으로 하여 표시 패널(100)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광 부재(150)는,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센서(130R, 130L)보다도 관찰측에 설치되므로, 광 센서(130R)는, 운전석측을 향하여 개구하고, 조수석측을 향하는 방향이 차광되고, 반대로, 광 센서(130L)는, 조수석측을 향하여 개구하고, 운전석측을 향하는 방향이 차광된다. 이 때문에, 광 센서(130R)는, 조수석측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하지 않고, 운전석측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하고, 광 센서(130L)는, 운전석측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 사하지 않고, 조수석측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한다.
또한, 광 센서(130R)에의 입사 광선의 연장선은 운전석에 집약되고, 광 센서(130L)에의 입사 광선의 연장선은 조수석에 집약되도록 하기 위해서, 광 센서(130R, 130L)의 피치 p나, 광 센서에 대한 차광 부재(150)의 개구부의 폭 W를, 표시 패널(100)의 중앙으로부터 양단을 향함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액정 소자(124)를 투과형으로 하는 경우나, 후술하는 반투과 반반사형으로 하는 경우, 백라이트에 의해 조사된 광이 액정 소자(124)를 투과한다. 이 때에, 백라이트에 의한 조사광이 트랜지스터(124)의 능동층 및 광 다이오드(134)의 수광층에 입사하지 않도록, 상기 차광 부재(150)와는 상이한 층에 의한 차광막이, 능동층(수광층)과 백라이트 사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광 센서(130R, 130L)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에의 조작을 검출하는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표시 패널(100)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손가락과 같은 피검출물을 구체로 하여, 그 접근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그 접근에서의 광량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비교적 외부가 밝은 상태에서, 표시 패널(100)로부터 운전석측·조수석측에 걸쳐 손가락과 같은 피검출물이 존재할 때, 그 피검출물의 그림자가 생기고, 즉 배경에 대하여 어두워지는 부분이 생겨, 광 센서(130R, 130L)에 의해 검출된다. 한편, 야간이나 터널 주행 등과 같이 비교적 외부가 어두운 경우, 백라이트(도시 생략)에 의한 조사광이 피검출물에 의해 반사되어, 광 센서(130R, 130L)에 입사하므로, 피검출물에 의한 상은, 배경에 대하여 반대로 밝아진다.
이 때문에, 외부가 밝은 경우에도 어두운 경우에도, 광량이 배경 부분과 비교하여 감소·증가한 부분 중, 광 센서(130R)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R상, 광 센서(130L)에 의해 특정되는 것을 L상으로서 취급하면 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출물이 조수석측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에 접근하는 경우에, 그 손가락이 (a), (b), (c)의 지점을 거친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광 센서(130R)에 의해 특정되는 R상, 및, 광 센서(130L)에 의해 특정되는 L상은, 도 7의 (a), (b), (c)로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 되는 것이 생각된다.
즉,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접근함에 따라서, R상과 L상은 서로 근접하고,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닿은 상태에 이르면, R상과 L상은 거의 겹친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조수석측으로부터 접근하는 경우이면, R상과 L상의 이동 속도를 비교하였을 때, R상의 이동 속도쪽이 L상의 이동 속도보다도 커진다고 생각된다. 반대로, 도시는 하지 않지만,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운전석측으로부터 접근할 때에 R상과 L상의 이동 속도를 비교하였을 때, L상의 이동 속도쪽이 R상의 이동 속도보다도 커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 6의 (b)부터 (d)까지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대하여 등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평행 이동하였을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상, L상도 이동하지만, R상과 L상의 거리는 일정값을 유지하여 변화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또한, 광 센서(130R, 130L)가 검출하는 광의 입사 방향은 서로 다르고, 또한, 차광 부재(150)와 광 센서(130R, 130L)의 거리는, 차광 부재(150)와 표시 패널(100)의 표면(터치면)과의 거리와 비교하여 매우 작다. 이 때문에, 광 센서(130R, 130L)에서는 일종의 시차가 생겨,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닿은 상태에 있더라도, R상과 L상이 완전하게 겹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실제의 표시 패널(100)에서, 화소(110)의 배열 피치를 40㎛로 하였을 때, 광 센서(130R, 130L)의 피치 p는 20㎛로 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층의 두께(광 센서와 차광 부재의 거리) d를 5㎛, 관찰측 기판의 두께 D를 그 100배인 500㎛로 하였을 때, 패널 표면에 피검출물이 위치하고 있을 때의 R상과 L상의 시차 q는 센서 피치 p의 100배인 2000㎛로 된다.
이 때문에, R상과 L상이 어긋나 있어도, 그 차가 2000㎛ 정도 이내이면,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닿은 상태에 있다고 판별하여도 되게 된다.
도 5는, 이 검출 수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판별 회로(20)는, 우선, 광 센서(130R, 130L)의 검출 결과를 전체 화소분에 대해서 취득하였을 때, 스텝 Sa1에서, 그 검출 결과를, 차회의 스텝 Sa1을 실행할 때의 비교를 위해서 기억함과 함께,1센서 프레임 기간 전에 취득한 검출 결과를 판독하고, 금회와 전회를 비교하여,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광 센서(130R, 130L)의 검출 결과를 전체 화소분에 대해서 취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모든 화소가 아니어도 된다.
스텝 Sa1이 처음으로 실행되는 경우에는, 1센서 프레임 기간 전에 취득한 결 과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므로, 1센서 프레임분 기억하고 나서 상기 판별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변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면, 「아니로」로 되어, 1센서 프레임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차회에 대비한다. 한편, 변화되어 있다고 판별하면 「예」로 되고, 처리 수순은, 스텝 Sa2로 이행한다.
또한,이 스텝 Sa1의 실행 타이밍은, 광 센서(130R, 130L)의 검출 결과를 전체 화소분에 대해서 취득하였을 때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a1은, 센서 프레임의 기간 주기로 실행된다.
판별 회로(20)는, 스텝 Sa1에서 판별한 상태 변화가 R상 또는 L상의 이동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2).
여기서, 상태 변화가 R상 또는 L상의 이동이 아니면, 그것은 손가락 등의 피검출물의 움직임 이외에 의한 상태 변화이다. 이 때문에, 판별 회로(20)는, 판별 결과를 「아니오」로 하여, 1센서 프레임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차회에 대비한다.
한편, 스텝 Sa2에서 상태 변화가 R상 또는 L상의 이동일 때, 판별 회로(20)는, 판별 결과를 「예」로 하여, R상 및 L상끼리의 거리가, 전회와 비교하여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3).
R상 및 L상끼리의 거리가 변화되어 있지 않으면, 즉 일정하면, 도 8의 (b)부터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은, 손가락이 표시 패널(100)에 대하여 등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평행 이동하였을 때의 동작이기 때문에, 판별 회로(20)는, 판별 결과를 「아니오」인 것으로 하여, 1센서 프레임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차회에 대비한다.
한편, 스텝 Sa3에서 R상 및 L상끼리의 거리가 변화되어 있다고 판별하면, 판별 회로(20)는, 또한, 그 거리의 변화가 축소 방향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4).
그 거리의 변화가 축소 방향에 없으면, 즉 확대이면, 그것은, 손가락(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로부터 떨어지는 동작이다. 이 때문에, 판별 회로(20)는, 스텝 Sa4에서의 판별 결과가 「아니오」로 되어, 스텝 Sa6에서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로부터 이격하는 동작이라고 판별하고, 이 후, 1센서 프레임 기간이 경과 하였을 때의 차회에 대비한다.
한편, 그 거리의 변화가 축소 방향에 있으면, 그것은, 손가락이 표시 패널(100)에 접근하는 동작이다. 이 때문에, 판별 회로(20)는, 스텝 Sa4에서의 판별 결과가 「예」로 되어, 스텝 Sa5에서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접근하는 동작이라고 판별하고, 또한, 스텝 Sa7에서,L상의 이동 거리가 R상의 이동 거리와 비교하여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손가락이 표시 패널(100)로부터 이격하는 동작이라고 판별하였을 때(스텝 Sa6) 또는 손가락이 표시 패널(100)에 접근하는 동작이라고 판별하였을 때에, 그 판별만으로는, 어떠한 제어도 실행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표시 화면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를 실행시켜도 된다.
L상의 이동 거리가 R상의 이동 거리보다도 작으면, 그것은, 피검출물이 조수 석측에서 접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판별 회로(20)는, 판별 결과를 「예」로 하여, 스텝 Sa8에서 피검출물이 조수석측으로부터 접근하고 있다는 취지를 판별한다.
한편,L상의 이동 거리가 R상의 이동 거리보다도 작지 않으면, 그것은, 피검출물이 운전석측으로부터 접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판별 회로(20)는, 판별 결과를 「아니오」로 하여, 스텝 Sa9에서 피검출물이 운전석측으로부터 접근하고 있다는 취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스텝 Sa8 또는 Sa9 후, 판별 회로(2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R상과 L상의 거리 n이 시차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값보다도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10). R상 및 L상의 거리가 임계값보다도 작으면, 판별 회로(20)는, 스텝 Sa11에서,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터치한 것으로 판별하고, 소정의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판별 회로(20)는, 예를 들면 터치되었다고 판별하면,R상의 무게 중심과 L상의 무게 중심의 중간 좌표를, 터치 중심 좌표로서 산출하고, 그 좌표와, 터치 조작되었다는 취지를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상위 제어 회로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그 터치 조작에 맞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이 터치 조작에 맞춘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표시 화면을 절환하고, 영상·라디오등을 제어하고, 터치 조작이 이루어진 좌표가 아이콘 표시 위치에 일치하고 있으면, 그 아이콘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 등이 생각된다. 스텝 Sa11 후, 처리 수순이 스텝 Sa1로 되돌아가서, 센서 프레임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차회의 판별에 대비한다.
한편,R상과 L상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피검출물이 표시 패널(100)에 접근하지만, 표시 패널에 아직 터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판별 회로(20)는, 1센서 프레임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차회에 대비한다.
이와 같이, 판별 회로(20)는, 광 센서(130R, 130L)의 검출 결과가 전체 화소분에 대해서 취득될 때마다, 스텝 Sa1∼Sa11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은 스텝 Sa1∼Sa11의 처리에서,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에 착석하고 있는 사람이 표시 패널(100)에 대하여 손가락 등을 접근시키면, 스텝 Sa1∼Sa4의 판별 결과가 모두 「예」로 된다. 또한, 조수석측으로부터의 접근이면, 스텝 Sa7의 판별 결과가 「예」로 되고, 운전석측으로부터의 접근이면, 스텝 Sa7의 판별 결과가 「아니오」로 된다. 그리고, 손가락 등이 표시 패널(100)에 닿을 정도로까지 근접하면, 스텝 Sa10의 판별 결과가 「예」로 되고, 근접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a10의 판별 결과가 「아니오」로 된다.
또한,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않으면, 혹은, 접근 또는 이격 동작을 정지하거나 하여, 1센서 프레임 전과 상태 변화가 없으면, 스텝 Sa1의 판별 결과가 「아니오」로 된다. 또한, 어떠한 동작을 해도, 표시 패널(100)에 대하여 등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 등을 패널면에 대하여 평행 이동하였을 때, 스텝 Sa3의 판별 결과가 「아니오」로 된다.
또한, 상태 변화가 있어도, R상 및 L상의 거리가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있으면, 손가락 등이 표시 패널(100)로부터 떨어지는 동작인 것으로서 판별된다(스텝 Sa5).
또한, 여기서는,R상, L상의 거리 변화를 판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 거리 변화는, 1센서 프레임 전과의 비교에서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R상, L상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고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따라서, R상, L상의 이동 속도를 직접 구하여, 비교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센서(130R)에 의한 R상 및 광 센서(130L)에 의한 L상의 시간적인 변화에 의해, 어느 쪽의 방향으로부터 손가락 등이 접근·이격하고 있는 것인지를 검출하고 있다. 또한,R상과 L상의 거리가 임계값보다도 작아졌을 때에,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별하고 있으므로, 피검출물의 탄력성은 필요하지 않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질의 터치 펜 등에 의한 터치 조작에 대해서도 판별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1화소에서 광 센서(130R, 130L)의 1조를 설치하고 있지만, 터치 시에서의 화상의 엣지의 넓어짐은 무관계하므로, 광 센서의 배열 밀도는, 그다지 요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화소에 대하여 1조의 비율로 광 센서(130R, 130L)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1센서 프레임에서, 일부의 화소에 대해서만, 광 센서(130R, 130L)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손가락 등의 접근·이격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00)에 대하여 등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의 평행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텝 Sa3에서의 판별 결과가 「아니오」로 되어, 그 상태가 소정의 센서 프레임수만큼 연속되었을 때에, 손가락 등이 표시 패널(100)에 대하여 등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평행 이동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그 L상, R상에서의 이동 방향, 이동량을 구하여, 손가락 등의 평행 이동 방향, 이동량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하는 화상을, 검출한 평행 이동의 조작, 및, 평행 이동량에 따라서 변경 제어, 예를 들면 지도 화상이나 메뉴 화면의 스크롤 방향, 스크롤량을 제어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광 센서(130R)에 대하여, 조수석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고, 운전석측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고, 광 센서(130L)에 대하여, 운전석측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고, 조수석측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는 기능을 실현하는 광학 부재의 일례로서, 차광 부재(150)를 예시하였지만, 마찬가지의 기능은, 차광 부재(150) 이외이어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 부재(150) 대신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층(160)을 이용하여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층(160)은, 도면에서 위로 볼록하여 지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반원통 형상의 렌즈를, 광 센서(130R, 130L)의 1열마다 배치한 렌티큘러 렌즈(160a)와, 층 부분(160b)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렌즈에서 가장 돌출될 부분이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평면 부분이 표시 패널(100)을 구성하는 관찰측의 투명 기판(102)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투명 기판(102)에서의 접촉면 중,렌티큘러 렌즈(160a)와의 간극이 층 부분(160b)이며, 그 굴절률은, 렌티큘러 렌즈(160a)를 구성하는 재질의 굴절률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렌즈층(160)에 의하면, 렌티큘러 렌즈(160a)에서 돌출될 부분이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층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광 센서(130R)에 대하여 운전석측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보다 많이 광 센서(130)에 입사시키고, 광 센서(130L)에 대하여 조수석측의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보다 많이 입사시킬 수 있으므로,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서 개구부(154)에 대응하는 부분은, 렌즈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고, 평탄부로 하여도 된다. 즉, 도 9에서, 광 센서(130R, 130L)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의 좌측으로부터 광 센서(130R, 130L)의 순으로 나열되는 개소에서는, 렌즈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9의 좌측으로부터 광 센서(130L, 130R)의 순으로 나열되는 개소에서는, 광 센서(130L)와 광 센서(130R)에 걸치도록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다. 광 센서(130L) 혹은 광 센서(130R)와의 위치 관계에 의해, 이 평탄부에 대응하는 개소에 입사하는 광은, 그 광의 방향이 제한된다. 또한, 도 9의 좌측으로부터 광 센서(130R, 130L)의 순으로 나열되는 개소에서는, 렌즈에 의해 광의 방향이 제한된다.
실시 형태에서의 광 다이오드(134)의 수광층에 대해서는, 아몰퍼스 실리콘층에서 형성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을, 트랜지스터(131) 등의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층에서 형성하고, 광 다이오드의 수광층을 제1 전극 상에 형성한 아몰퍼스 실리콘층에서 형성하고, 광 다이오드의 제2 전극을, 화소 전극과 동층에서 형성하여, 제1 전극, 수광층, 제2 전극을 세로 방향(기판 수직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광 다이오드는, 수광층으로 되는 아몰퍼스 실리콘층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에서, 차광 부재(150)에 대해서는, 블랙 매트릭스에서 겸용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액정 소자(124)를 반사형 또는 반투과 반반사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반사층을 패터닝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표시계(120)를 1종류만으로 하였지만, 운전석측 방향으로만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과, 조수석측 방향으로만 다른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의 2종류 준비하고, 각각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시켜도 된다.
여기서, 운전석측 방향과 조수석측 방향에서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에, 조수석측으로부터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별하였을 때, 운전석측 방향의 화상의 변경을 금지하고, 조수석측 방향의 화상만을 변경하고, 반대로, 운전석측으로부터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별하였을 때, 조수석측 방향의 화상의 변경을 금지하고, 운전석측 방향의 화상만을 변경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터치 조작을 한 사람에의 화상만이 변경 제어되므로, 터치 조작이 이루어진 방향과 변경 제어되는 화상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화소의 배열은 소위 1행에서 반화소분 시프트시킨 모자이크 배열로 하여, 표시 해상도를 개선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손가락 등이 표시 패널(100)에 닿은 상태와 동시할 수 있는 경우에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였지만, 임계값을 약간 크게 하여, 어느 정도까지 지근 거리에 도달한 단계에서, 즉,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부터의 손가락 등이 접근한 것을 검출한 단계에서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 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패널(100)을 액정 표시 장치로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유기 EL 장치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각 화소에 마찬가지의 광 센서(130R, 130L)를 내장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접근 방향 및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로서는, 전술한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외에도, 휴대 전화기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영상 전화, POS 단말기 등과 같이, 터치 조작을 검출할 필요가 있는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동일 표시 장치의 화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동일 표시 장치에서의 화소와 차광 부재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동일 표시 장치에서의 광학적인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일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검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동일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검출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동일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검출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동일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검출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동일 표시 장치에서의 광 센서와 렌즈층과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 회로
12, 16 : Y드라이버
14 : X드라이버
18 : 판독 회로
20 : 판별 회로
110 : 화소
112 : 주사선
114 : 데이터선
120 : 표시계
124 : 액정 소자
130R, 130L : 광 센서
134 : 광 다이오드
142, 143 : 제어선
144R, 144L : 판독선
150 : 차광 부재

Claims (10)

  1.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화소와,
    상기 표시 화소에 따라서 설치되며, 각각이 입사광량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 광 센서와,
    상기 제1 광 센서에, 제1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고, 상기 제2 광 센서에,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는 광학 부재와,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제1 기간에 각각 검출한 제1 검출 결과 및 제2 검출 결과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와,
    상기 제1 기간 후의 제2 기간에,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제3 검출 결과 및 제4 검출 결과를 검출한 후, 상기 제3 검출 결과를 상기 제1 검출 결과와 비교하고, 상기 제4 검출 결과를 제2 검출 결과와 비교하는 비교 회로와,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피검출물이 표시 화면에 터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광 센서에 입사하는 광 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광 센서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광 센서의 인접 경계에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의 시인 또는 배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 광 센서에 대한 상기 차광 부재의 개구부의 중심선은, 상기 제1 및 제2 광 센서의 인접 경계선에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 사이를 차광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갖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가 상기 차광 부재를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광 센서의 입사측에 설치되며, 상기 입사측에 볼록한 렌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화소와,
    상기 표시 화소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각각이 입사광량을 각각 검출하는 제1 및 제2 광 센서와,
    상기 제1 광 센서에, 제1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고, 상기 제2 광 센서에,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는 광학 부재
    를 갖고,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검출한 제1 검출 결과 및 제2 검출 결과를 기억하고,
    상기 제1 기간 후의 제2 기간에,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제3 검출 결과 및 제4 검출 결과를 검출한 후, 상기 제3 검출 결과를 상기 제1 검출 결과와 비교하고, 상기 제4 검출 결과를 제2 검출 결과와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피검출물이 표시 화면에 터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과 상기 제2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이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3 검출 결과를 제1 검출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에, 상기 제1 광 센서 에 의해 검출되는 상의 이동 속도를 구하고,
    상기 제4 검출 결과를 제2 검출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에, 상기 제2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의 이동 속도를 구하고,
    상기 제1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2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의 이동 속도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제1 방향으로부터 피검출물이 접근하고 있다고 판별하고,
    상기 제2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1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의 이동 속도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제2 방향으로부터 피검출물이 접근하고 있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과 상기 제2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도 작게 되었을 때에, 피검출물이 표시 화면에 터치하였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10.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화소와,
    상기 표시 화소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각각이 입사광량을 각각 검출하는 제1 및 제2 광 센서와,
    상기 제1 광 센서에, 제1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고, 상기 제2 광 센서에,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키는 광학 부재
    를 갖고,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검출한 제1 검출 결과 및 제2 검출 결과를 기억하고,
    상기 제1 기간 후의 제2 기간에,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제3 검출 결과 및 제4 검출 결과를 검출한 후, 상기 제3 검출 결과를 상기 제1 검출 결과와 비교하고, 상기 제4 검출 결과를 제2 검출 결과와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피검출물의 접근, 이격, 혹은 평행 이동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KR1020080048094A 2007-05-25 2008-05-2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KR101464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8886 2007-05-25
JPJP-P-2007-00138886 2007-05-25
JPJP-P-2008-00097167 2008-04-03
JP2008097167A JP5181792B2 (ja) 2007-05-25 2008-04-03 表示装置および検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925A true KR20080103925A (ko) 2008-11-28
KR101464751B1 KR101464751B1 (ko) 2014-11-24

Family

ID=4007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094A KR101464751B1 (ko) 2007-05-25 2008-05-23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55779B2 (ko)
KR (1) KR101464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8288B2 (en) * 2008-03-21 2013-01-22 Sharp Kabushiki Kaisha Touch-sensor-provid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52356B1 (ko) * 2008-07-17 2014-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4650549B2 (ja) * 2008-10-06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21096B1 (ko) * 2008-12-19 2015-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5158014B2 (ja) * 2009-05-21 2013-03-0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GB2470737A (en) * 2009-06-02 2010-12-08 Sharp Kk A display panel for 3D position sensing of a light reflecting/emitting object
KR101192583B1 (ko) * 2010-10-28 201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6004563B2 (ja) 2012-04-19 2016-10-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916793B2 (en) * 2012-06-01 2018-03-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3001288B1 (en) * 2014-09-24 2018-10-31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318043B2 (en) 2016-03-24 2019-06-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ynamic adjustment of touch sensitive area in a displa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677B2 (ja) * 1993-02-03 2001-08-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角度依存多重化入出力方法
KR100722570B1 (ko) * 2004-03-26 2007-05-28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화상판독장치, 화상판독장치를 구비한 화상판독시스템
WO2006046750A1 (ja) * 2004-10-27 2006-05-04 Fujitsu Ten Limited 表示装置
JP4630744B2 (ja) 2005-02-03 2011-02-09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JP4957177B2 (ja) * 2006-01-20 2012-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5106784B2 (ja) * 2006-03-16 2012-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5779B2 (en) 2010-12-21
US20080291430A1 (en) 2008-11-27
KR101464751B1 (ko)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751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JP5181792B2 (ja) 表示装置および検出方法
US7755711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934457B2 (ja) 画面入力機能付き画像表示装置
KR101281830B1 (ko) 멀티 터치 감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5710932B2 (ja) 表示装置
KR101770550B1 (ko)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5947363B2 (ja) フォトセンサ
Kanda et al. 55.2: Integrated Active Matrix Capacitive Sensors for Touch Panel LTPS‐TFT LCDs
TWI470509B (zh) 光學觸控顯示面板及其觸控感測方法
KR101427196B1 (ko) 검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679530B2 (ja) 電子機器
CN102081248B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JP2008027292A (ja) 表示装置
JP2007506178A (ja) 光導性タッチスクリーン
KR20080091022A (ko) 표시 장치
US8115204B2 (en) Photo elements and image displays
Lee et al. 58.2: In‐Cell Type Adaptive Touch for Electrophoretic Display
JP2009129363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