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356B1 -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356B1
KR101452356B1 KR1020080069527A KR20080069527A KR101452356B1 KR 101452356 B1 KR101452356 B1 KR 101452356B1 KR 1020080069527 A KR1020080069527 A KR 1020080069527A KR 20080069527 A KR20080069527 A KR 20080069527A KR 101452356 B1 KR101452356 B1 KR 101452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signal
photodiode
switch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907A (ko
Inventor
안순성
김도엽
양선아
최동욱
정주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356B1/ko
Priority to US12/504,004 priority patent/US8681135B2/en
Publication of KR2010000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 G09G3/3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the dat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transistor during a setting phase, e.g. by using a switch for connecting the driving transistor to the data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8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18Masterslice integrated circuits
    • H01L27/11803Masterslice integrated circuits using field effect technology
    • H01L27/11807CMOS gate arrays
    • H01L2027/11868Macro-architecture
    • H01L2027/11874Layout specification, i.e. inner core region
    • H01L2027/11879Data lines (b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적은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왜곡을 줄여 정확한 측정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기판 상에 형성되며, 주사신호,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부;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주변광의 휘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상의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투명기판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며, 제 1 구동전원을 전달받아 광전류를 생성하되, 주변광의 휘도에 대응하여 상기 광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 1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광전류를 충전하는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구동전원과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PHOTO SENSOR AND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간섭을 줄여 정확하게 측정값을 출력하는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평판표시장치 중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전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색 재현성의 뛰어남과 얇은 두께 등 의 여러 가지 이점으로 인해 응용분야에서 휴대폰용 이외에도 PDA, MP3 플레이어 등으로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광센서를 사용하여 주변광의 휘도가 높으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휘도를 높이고 주변광의 휘도가 낮으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휘도를 낮춰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저감한다.
주변광의 휘도를 측정하는 광센서는 출력되는 신호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전달하는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외곽에는 여러 신호선들이 형성되어있어,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이 다른 신호들에 의해 간섭을 받아 왜곡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왜곡에 의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들 간의 측정값 편차와 측정 휘도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수율 저하와 품질 저하를 유발한다.
본 발명은 목적은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왜곡을 줄여 정확한 측정값을 출력하는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투명기판 상에 형성되며, 주사신호,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부;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주변광의 휘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상의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투명기판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며, 제 1 구동전원을 전달받아 광전류를 생성하되, 주변광의 휘도에 대응하여 상기 광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 1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광전류를 충전하는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구동전원과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주변광의 휘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휘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센서에 있어서, 제 1 구동전원을 전달받아 광전류를 생성하되, 주변광의 휘도에 대응하여 상기 광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 1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광전류를 충전하는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구동전원과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는 광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의하면, 포토다이오드의 구동을 결정하는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스위칭 에러를 줄일 수 있으며,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되는 광전류가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휘도 측정값 편차가 줄어들게 되어 수율 저하와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투명기판(1000) 상에 화소부(100), 광센서(200), 데이터구동부(300) 및 주사구동부(400)가 형성된다.
화소부(100)에는 복수의 화소(101)가 배열되고 각 화소(101)는 전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화소부(100)는 행방향으로 형성되며 주사신호를 전달하는 n 개의 주사선(S1,S2,...Sn- 1,Sn)과 열방향으로 형성되며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m 개의 데이터선(D1, D2,....Dm-1, Dm)이 배열된다.
또한, 화소부(100)는 제 1 전원(미도시)과 제 2 전원(미도시)을 전달받아 구동한다. 따라서, 화소부(100)는 주사신호, 데이터신호, 발광제어신호,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에 의해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발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광센서(200)는 광을 감지하는 감지부(210)과 감지부(210)를 제어하는 제어부(220)로 구성된다. 감지부(210)는 주변광의 휘도를 측정하여 주변광에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220)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휘도 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주변광의 휘도에 대응한 감지신호에 의해 휘도 조절신호가 발생되며 발생된 휘도제어신호에 의해 화소(101)들의 휘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감지부(210)는 투명기판(1000) 상에 형성되고 제어부(220)는 투명기판(1000)의 외부에 형성된다.
데이터구동부(300)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적색, 청색, 녹색의 성분을 갖는 영상신호(R,G,B data)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구동부(300)는 화소부(100)의 데이터선(D1, D2,....Dm-1, Dm)과 연결되어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화소부(100)에 인가한다. 또한, 데이터구동부(300)는 감지신호(또는 휘도 조절신호)를 전달받아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신호(R,G,B data)를 보정한다. 따라서, 데이터구동부(300)에서 생성된 데이터신호는 감지신호(또는 휘도 조절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명기판(1000) 상에 데이터 구동부(300)가 결합 될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고, 화소부(100), 감지부(210) 및 주사구동부(400)가 투명기판(1000)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그 후에 데이터구동부(300)가 정해진 위치에 결합된다.
주사구동부(400)는 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주사선(S1,S2,...Sn-1,Sn)에 연결되어 주사신호를 화소부(100)의 특정한 행에 전달한다. 주사신호가 전달된 화소(101)에는 데이터구동부(300)에서 출력된 데이터신호가 전달되어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이 화소에 전달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광센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광센서(200)는 포토다이오드(PD), 제 1 스위치(T1), 캐패시터(C)를 포함하는 감지부(210)와 제 2 스위치(SW1), A/D 컨버터(221) 및 컨트롤러(222)를 포함하는 제어부(220)를 구비한다.
감지부(210)의 제 1 스위치(T1)는 P 모스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제 1 전극은 제 1 구동전원(VDD)과 연결되고 제 2 전극은 포토다이오드(PD)의 캐소드 전극과 연결된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을 통해 컨트롤러(222)로부터 제 1 스위치(T1)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제어신호를 전달받는다. 캐패시터(C)의 제 1 전극은 포토다이오드(PD)의 애노드 전극 및 A/D 컨버터(221)에 연결된다. 그리고, 캐패시터(C)의 제 2 전극은 기저전원에 연결된다. 포토다이오드(PD)에 빛이 입사되면 포토다이오드(PD)는 빛의 세기에 대응하여 광전류를 발생한다. 발생된 광전류는 캐패시터(C)에 충전되고 캐패시터(C)에 과전류의 충전에 의해 형성된 전압이 제어부(220)에 전달된다. 이때, 제어부(220)에 전달되는 전압이 감지신호가 된다.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신호로 출력하는 A/D 컨버터(221)와 A/D 컨버터(221)로부터 디지털신호를 전달받아 휘도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222)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22)는 제 1 스위치(T1)의 온 오프를 조절하여 포토다이오드(PD)의 집광시간을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캐패시터(C)를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 신호(Precharge)의 전달을 결정하는 제 2 스위치(SW1)를 포함한다. 캐패시터(C)의 프리차지는 제 1 구동전원(VDD)보다 낮은 전압을 갖는 제 2 구동전원(VSS)를 사용한다. 프리차지신호(Precharge)는 컨트롤러(222)에서 제 2 스위치(SW1)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감지부(210)는 투명기판(1000) 상의 화소부(100)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고 제어부(220)는 투명기판(1000) 외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감지부(210)에 형성되어 있는 캐패시터(C)는 투명기판(1000) 상의 빈 공간을 사용할 수 있어 캐패시터(C)의 크기를 크게 구현할 수 있다.
광센서(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프리차지신호에 의해 제 2 스위치(SW1)가 온 상태가 되면 캐패시터(C)는 제 1 구동전원(VDD) 보다 낮은 제 2 구동전원(VSS)의 전압에 의해 초기화가 된다. 그리고, 제 2 스위치(SW1)가 오프 상태가 된 후 제 1 스위치(T1)가 온상태가 되면, 포토다이오드(PD)는 입사되는 빛에 의해 광전류를 생성한다. 입사되는 빛의 휘도가 강하면 생성되는 광전류의 양이 커지고 입사되는 빛의 휘도가 낮으면 생성되는 광전류의 양이 작아진다. 즉, 광전류의 양은 주변광의 휘도에 따라 조절된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제 1 스위치(T1)를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하여 집광을 중지한다. 제 1 스위치(T1)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제 1 구동전원(VDD)과 포토다이오드(PD)의 연결이 끊어져 포토다이오드(PD)는 더이상 광전류를 생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캐패시터(C)에는 더 이상 광전류가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제 1 스위치(T1)가 온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은 일정하게 유지가 되므로 주변광의 휘도에 따라 발생되는 광전류의 양이 틀려져 캐패시터(C)에 충전되는 광전류의 양은 주변광의 휘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때, 제 1 스위치(T1)는 제 1 구동전원(VDD)과 포토다이오드(PD)가 연결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제 1 스위치(T1)가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면 제 1 스위치(T1)의 채널 영역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들에 의해 포토다이오드(PD)의 캐소드 전극의 전압이 상승되게 된다. 이때, 포토다이오드(PD)는 역바이어스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캐소드 전극의 전압이 제어부(220)에 전달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제 1 스위치(T1)에 의한 스위칭 에러가 감소하게 된다.
만약, 광센서(200)가 칩형태로 형성되어 포토다이오드(PD)가 투명기판(100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경우 제 1 스위치(T1)는 제 1 구동전원(VDD) 사이에 위치하지 못하게 되어 제 1 스위치(T1)의 스위칭에러를 줄일 수 없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감지부(210)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는 제 1 스위치(T1)가 N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되고 구동전원을 (-) 전원을 갖는 제 2 구동전원(VSS)을 사용하는 경우이고, 도 3b는 제 1 스위치(T1)가 N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되고 구동전원을 (+)전원을 갖는 제 1 구동전원(VDD)을 사용하는 경 우이고, 도 3c는 구동전원을 (-) 전원을 갖는 제 2 구동전원(VSS)를 사용하고 제 1 스위치(T1)가 P 모스 트랜지스터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광센서(200)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감지부(210)는 포토다이오드(PD), 포토다이오드(PD)와 제 1 구동전원(VDD)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스위치(T1), 포토다이오드(PD)에서 발생된 광전류를 충전하는 제 1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감지회로(211)과, 제 1 캐패시터(C1)와 동일한 정전용량을 갖는 제 2 캐패시터(C2)를 포함하는 보상부(2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차동증폭기로 구성된 증폭부(223),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A/D 컨버터(221) 및 A/D 컨버터(22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의해 휘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2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증폭부(223)의 제 1 입력단에는 제 1 캐패시터(C1)가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에는 제 2 캐패시터(C2)가 연결된다. 그리고, 프리차지신호(Precharge)에 의해 제 1 캐패시터(C1)와 제 2 캐패시터(C1)를 프리차지시키는 제 2 구동전원(VSS)을 스위칭하는 제 2 및 제 3 스위치(SW1,SW2)가 연결된다.
포토다이오드(PD)에 의해 생성된 광전류에 의해 제 1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은 주위의 신호 배선의 영향으로 변동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 1 캐패시터(C1)와 동일한 정전용량을 갖는 제 2 캐패시터(C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을 증폭부(223)의 제 1 입력단에서 입력받고 제 2 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을 증폭부(223)의 제 2 입력단에서 입력받게 되면 증폭부(223)는 제 1 입력단을 통해 전달되는 전압과 제 2 입력단을 통해 전달되는 전압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A/D 컨버터(221)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 2캐패시터(C2)는 증폭부(223)의 제 2입력단과 접지전원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캐패시터(C2)는 제 1 캐패시터(C1)와 동일한 정전용량을 갖고 있어 외부 신호 배선에 의해 제 2 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에 변동이 발생되는 양은 제 1 캐패시터(C1)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 외부신호 배선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변동량과 동일한 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제 1 입력단을 통해 전달되는 전압에서 제 2 입력단을 통해 전달되는 전압의 차이를 구하게 되면 포토다이오드(PD)에서 발생된 광전류에 의해 생성된 전압의 크기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상부(212)에 의해 보다 정확한 휘도조절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된 광센서(200)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감지부(210)는 제 1 포토다이오드(PD1), 제 1 포토다이오드(PD1)와 제 1 구동전원(VDD1)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스위치(T1), 제 1 포토다이오드(PD1)에서 발생된 광전류를 충전하는 제 1 캐패시터(C1)를 포함하는 감지회로(211)와 제 2 포토다이오드(PD2), 제 2 포토다이오드(PD2)와 제 2 구동전원(VSS1)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스위치(T2), 제 2 포토다이오드(PD2)에서 발생된 광전류를 충전하는 제 2 캐패시터(C2)를 포함하는 보상부(2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차동증폭기로 구성된 증폭부(223),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A/D 컨버터(221) 및 A/D 컨버터(22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의해 휘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2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증폭부(223)의 제 1 입력단에는 감지회로(211)가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에는 보상부(212)가 연결된다. 그리고, 감지회로(211)의 제 1 캐패시터(C1)와 보상부(212)의 제 2 캐패시터(C2)를 초기화시키는 접지전원(GND)을 스위칭하는 제 3 및 제 4 스위치(SW1,SW2)가 연결된다.
포토다이오드(PD)에 의해 생성된 광전류에 의해 제 1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은 주위의 신호 배선의 영향으로 변동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상부(212)를 형성한다. 보상부(212)는 감지회로(211)와 달리 제 1 구동전원(VDD1)보다 낮은 상태의 전압을 갖는 제 2 구동전원(VSS1)이 제 2 포토다이오드(PD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포토다이오드(PD2)의 애노드 전극이 제 2 스위치(T2)와 연결되고 캐소드 전극이 제어부(220)와 연결된다.
제 1 스위치(T1)와 제 2 스위치(T2)는 P 모스트랜지스터로 구현되고 동일한 제어신호를 전달받기 때문에 제 1 스위치(T1)가 온상태이면 제 2 스위치(T2)도 온상태가 되고 제 1 스위치(T1)가 오프 상태이면 제 2 스위치(T2)도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 1 포토다이오드(PD1)에 의해 제 1 캐패시터(C1)에 소정의 전압이 충전된 경우 제 2 포토다이오드(PD2)에 의해 제 2 캐패시터(C2)에도 소정의 전압이 충전되게 된다. 이때, 제 1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은 증폭부(223)의 제 1 입력단에 전달되고 제 2 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은 증폭부(223)의 제 2 입력단에 전달된다.
보상부(212)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감지회로(211)와 보상부(212)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극성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어 주변광에 의해 제 1 포토다이오드(PD1)에 의해 생성된 광전압이 1V라고 가정하면, 제 2 포토다이오드(PD2)에 의해 생성된 광전압은 -1V가 된다. 이때, 기생캐패시터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O.5V의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면, 제 1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은 1.5V 가 되고 제 2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은 0.5V가 된다. 그리고, 제 1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이 증폭부(223)의 제 1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 2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증폭부(223)의 제 2 입력단에 연결되면 두 전압의 차이에 의한 증폭을 수행한다.
따라서, 광센서(200)는 제 1 및 제 2 포토다이오드(PD1, PD2)를 사용하게 되어 포토다이오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감지회로(211)와 보상부(212)는 노이즈에 의해 전압이 상승되어 노이즈에 의한 전압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보다 정확한 휘도조절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단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광센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광센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된 광센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Claims (20)

  1. 투명기판 상에 형성되며, 주사신호,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부;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소부에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주변광의 휘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상의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투명기판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며,
    제 1 구동전원을 전달받아 광전류를 생성하되, 주변광의 휘도에 대응하여 상기 광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 1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광전류를 충전하는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구동전원과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휘도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에서 제어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신호에 의한 상기 제 1캐패시터의 전압 변동량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 1캐패시터와 동일한 용량을 가지는 제 2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보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와 상기 보상부의 출력신호의 차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A/D 컨버터에 전달하는 증폭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증폭부의 제 1입력단에는 상기 제 1캐패시터가 연결되고, 제 2입력단에는 상기 제 2캐패시터가 연결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제 1구동전원보다 낮은 제 2 구동전원의 전압을 전달받는 제 2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 2구동전원과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의 연결을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광전류를 충전하는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캐패시터와 접지전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캐패시터가 초기화될 때 턴-온되는 제 2스위치와,
    상기 제 2캐패시터와 상기 접지전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캐패시터가 초기화될 때 턴-온되는 제 3스위치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는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 1 스위치와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는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 2 캐패시터와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 2 스위치와 연결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1. 주변광의 휘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휘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센서에 있어서,
    제 1 구동전원을 전달받아 광전류를 생성하되, 주변광의 휘도에 대응하여 상기 광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 1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광전류를 충전하는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구동전원과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는 광센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휘도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광센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은 상기 컨트롤러에서 제어하는 광센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외부 신호에 의한 상기 제 1캐패시터의 전압 변동량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 1캐패시터와 동일한 용량을 가지는 제 2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보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와 상기 보상부의 출력신호의 차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A/D 컨버터에 전달하는 증폭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증폭부의 제 1입력단에는 상기 제 1캐패시터가 연결되고, 제 2입력단에는 상기 제 2캐패시터가 연결되는 광센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제 1구동전원보다 낮은 제 2 구동전원의 전압을 전달받는 제 2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 2구동전원과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의 연결을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광전류를 충전하는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광센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캐패시터와 접지전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캐패시터가 초기화될 때 턴-온되는 제 2스위치와,
    상기 제 2캐패시터와 상기 접지전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캐패시터가 초기화될 때 턴-온되는 제 3스위치를 포함하는 광센서.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는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 1 스위치와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는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 2 캐패시터와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 2 스위치와 연결되는 광센서.
KR1020080069527A 2008-07-17 2008-07-17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452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527A KR101452356B1 (ko) 2008-07-17 2008-07-17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12/504,004 US8681135B2 (en) 2008-07-17 2009-07-16 Photo sens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527A KR101452356B1 (ko) 2008-07-17 2008-07-17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907A KR20100008907A (ko) 2010-01-27
KR101452356B1 true KR101452356B1 (ko) 2014-10-21

Family

ID=4152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527A KR101452356B1 (ko) 2008-07-17 2008-07-17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81135B2 (ko)
KR (1) KR101452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948B1 (ko) * 2008-02-19 2010-05-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광센서 및 그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DE102010026012A1 (de) * 2010-06-29 2011-12-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D-Lichtsignal
KR102369835B1 (ko) * 2014-12-08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
KR102380922B1 (ko) * 2015-09-11 2022-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0145734B2 (en) * 2016-08-22 2018-12-0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light sensor
KR102645205B1 (ko) * 2016-12-13 2024-03-07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CN107204172B (zh) * 2017-06-02 2019-05-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KR102523383B1 (ko) * 2018-11-16 2023-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 센서가 내장된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210009894A (ko) * 2019-07-18 2021-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회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0799A1 (en) 1997-10-30 2002-09-19 David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low dynamic range analog signal to a large dynamic range floating-point digital representation
KR20040093909A (ko) * 2003-04-30 2004-11-0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단위화소
KR20050097289A (ko) * 2004-04-01 200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080158211A1 (en) 2006-12-27 2008-07-03 Samsung Sdi Co., Ltd. Ambient light sensing circuit and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ambient light sensing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3455B1 (en) * 1999-08-16 2001-11-06 Intel Corporation CMOS pixel cell for image display systems
US6384394B1 (en) * 1999-08-16 2002-05-07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set reduction in the image sensors
WO2003073159A1 (en) * 2002-02-20 2003-09-04 Planar Systems, Inc. Light sensitive display
US7187373B2 (en) * 2002-10-11 2007-03-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US7230594B2 (en) * 2002-12-16 2007-06-12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US7295186B2 (en) * 2003-01-14 2007-11-13 Avago Technologies Ecbuip (Singapore) Pte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creen pointer that distinguishes between ambient light and light from its light source
US20080084374A1 (en) * 2003-02-20 2008-04-10 Planar Systems, Inc. Light sensitive display
DE50310881D1 (de) * 2003-03-25 2009-01-15 Thomson Licensing Erfassung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KR100537902B1 (ko) 2003-03-29 2005-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스트 모드 광 수신 장치
JP4113824B2 (ja) 2003-09-24 2008-07-09 シリンクス株式会社 光空間通信用受信回路
KR100997977B1 (ko) * 2004-01-12 201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20060007249A1 (en) * 2004-06-29 2006-01-12 Damoder Reddy Method for operating and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luminance of each pixel in an emissive active-matrix display device
WO2006049196A1 (ja) * 2004-11-05 2006-05-11 Sony Corporation 光センサーおよび光センサーの画素選択方法
JP2007279093A (ja) * 2006-04-03 2007-10-25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878379B1 (ko) * 2006-07-12 2009-01-13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5259132B2 (ja) * 2006-12-27 2013-08-07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周辺光感知回路及びこれを有する平板表示装置
US7855779B2 (en) * 2007-05-25 2010-12-21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det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0799A1 (en) 1997-10-30 2002-09-19 David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low dynamic range analog signal to a large dynamic range floating-point digital representation
KR20040093909A (ko) * 2003-04-30 2004-11-0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단위화소
KR20050097289A (ko) * 2004-04-01 200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080158211A1 (en) 2006-12-27 2008-07-03 Samsung Sdi Co., Ltd. Ambient light sensing circuit and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ambient light sens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13811A1 (en) 2010-01-21
KR20100008907A (ko) 2010-01-27
US8681135B2 (en)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356B1 (ko)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4055722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有機el表示装置
KR102619313B1 (ko)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08806599B (zh) 用于补偿oled像素电路的方法
US11588993B2 (en) Current sens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847935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product having light sensors in plural pixel regions
JP5009225B2 (ja) 光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平板表示装置
KR20150120001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7633815B (zh) 驱动电路的补偿结构、驱动电路模块和显示面板
JP2006030317A (ja) 有機el表示装置
TWI408658B (zh) 畫素電路、具有畫素電路的顯示裝置以及操作畫素電路的方法
KR20090076582A (ko) 광센서 및 그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TWI816198B (zh) 電致發光顯示裝置
JP2008191611A (ja) 有機el表示装置、有機el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CN113096597A (zh) 用于感测像素的特性的像素感测装置和面板驱动装置
US6999015B2 (en) Electronic device, a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a method of using the electronic device
CN101751857A (zh) 显示器
US20220036825A1 (en) Pixel circuit and pixel control method
KR20070035530A (ko) 개별 픽셀의 휘도를 감지 및 제어할 수 있는 고성능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40135B1 (ko) 센서 겸용 유기방괄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WO2020237649A1 (en) Pixel circuit and pixel control method
KR100816226B1 (ko) 주변광 감지 회로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US20120223925A1 (en) Photodetection circuit, photodetection method, display panel, and display
WO2011145682A1 (ja) 表示装置
JP2005292503A (ja) 有機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