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991A -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991A
KR20080102991A KR1020080046702A KR20080046702A KR20080102991A KR 20080102991 A KR20080102991 A KR 20080102991A KR 1020080046702 A KR1020080046702 A KR 1020080046702A KR 20080046702 A KR20080046702 A KR 20080046702A KR 20080102991 A KR20080102991 A KR 2008010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pair
socket
plu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167B1 (ko
Inventor
츠요시 오사다
다카마사 야기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커넥터(8)는 플러그요소(3)와, 단락요소(4)와, 제1 래칭위치 및 제2 래칭위치에서 래칭되는 래칭요소(50)를 가진다.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단락편(4m)이 비단락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래칭요소(50)는 돌출 형성된 래칭부(52)를 가지고, 단락요소(4)는 래칭용 받이부(41a)를 가진다.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래칭부(52)와 래칭용 받이부(41a)가 맞물리는 것으로 소켓요소(2i)와 플러그요소(3)와의 분리가 저지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기적 접속장치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소켓(socket)요소와 플러그(plug)요소가 적정하게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소켓요소의 전기접점이 서로 단락(短絡)되고, 이러한 요소가 적정하게 접속되면 해당 전기접점의 단락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래칭(latching)요소가 플러그요소에 구비된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특히, 에어백 시스템에 적용하는데 적합하다. 이하, 주로 에어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보다 광범위한 용도 및 환경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실 내의 외부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구획부분에 장착된 에어백 조립체와, 전기식 또는 전자식의 제어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이 제어시스템 및 에어백 조립체는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케이블을 가공한 제품을 총칭한 것)에 의해서 접속된다. 여기서, 에어백 조립체에는 에어백을 착화(着火)시키기 위한 스큅(squib)(에어백 착화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각각의 소정 위치에 별개로 장착된 제어시스템과 에어백 조립체와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하 기 위해서 상기한 와이어 하네스에는 접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속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324638호 공보(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650034호 공보(문헌 2) 및 미국 특허 제5275575호 공보(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접속장치에는 소켓요소(제1 구성요소)에 끼워 넣어지는 플러그요소(제2 구성요소)가 포함된다. 소켓요소는 인플레이터(inflator)의 하우징 등이고, 플러그요소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소켓)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접속장치에는 단락요소가 포함되어 있고, 이 단락요소에는 단락편이 설치되어 있다. 이 단락편은 플러그요소 및 소켓요소가 맞물리기 전 상태에 있어서, 2개의 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금속부재이다. 이와 같은 단락편은 에어백 조립체의 제조중에 누설(漏洩)하는 전하 및 오접속에 의한 에어백 조립체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접속장치의 접속이 적정하게 완료했을 때에는 안전수단인 단락편은 비단락 위치까지 이동된다. 문헌 1 및 문헌 2에는 이와 같은 안전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기구로서 제1 래칭위치와 제2 래칭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래칭요소를 가지는 접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속장치에서는 쌍방의 구성요소(플러그요소 및 소켓요소)가 완전하게 맞물리고, 또한, 래칭요소가 그 최종적인 래칭위치(제2 래칭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될 때까지 전기적인 접속이 완료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래칭요소는 접속장치에 있어서의 쌍방의 구성요소가 일체가 된 후에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이 잘못해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래칭요소에는 가압되는 부분이 되는 가압부(천장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요소 본체에 대한 가압부의 떠오르는 높이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접속장치의 접속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문헌 3에 기재된 접속장치에서는 래칭요소의 밀어넣음 동작에 2단계의 동작이 필요하지만, 문헌 1 및 문헌 2의 접속장치에서는 래칭요소의 밀어넣음 동작이 1단계의 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문헌 1 및 문헌 2의 기술에 있어서는 래칭요소와 소켓요소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플러그요소 및 소켓요소의 분리가 방지되고 있다(예를 들면, 문헌 1의 도 10, 문헌 2의 도 13 등 참조). 구체적으로는, 래칭요소에는 래칭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소켓요소의 소켓의 안쪽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래칭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칭 오목부에 래칭부가 비집고 들어가는 것에 의해, 플러그요소 및 소켓요소의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고, 플러그요소 및 소켓요소의 전기적 및 기계적인 접속이 완료한다. 즉, 접속완료 상태에 있어서는 래칭요소와 소켓요소가 직접 맞물린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i) 제1 래칭위치(임시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플러그요소 본체에 대한 래칭요소의 떠오르는 높이, (ii) 접속장치의 접속완료시에 있어서의 래칭요소의 맞물림 상태, (iii) 일련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단락해제 및 접속완료의 타이밍 등이 소켓의 개구(開口)의 크기 및 래칭 오목부의 형상에 의존하는 것이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래칭요소를 소켓요소의 형상에 맞추어 설계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소켓요소의 형상은 종류에 따라서 다른 것이기 때문에 접속장치의 확실한 접속을 위해서는 래칭요소를 소켓요소의 종류마다 설계 및 제조할 필요가 있어 번잡하다. 한편, 소켓요소의 종류마다 래칭요소의 설계를 행하지 않고, 소켓요소의 평균적 형상을 상정하여 래칭요소를 설계한 경우에는 소켓요소의 종류에 따라서는 확실한 접속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한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는 소켓요소에 대해서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피(被)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고,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는 한편 상기 소켓요소에 맞물리는 플러그요소와,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편(片)을 가지며, 상기 소켓요소에 장착되는 단락요소와, 상기 플러그요소에 대해서 제1 래칭위치 및 제2 래칭위치에서 래칭되는 래칭요소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래칭요소는 상기 제1 래칭위치 및 상기 제2 래칭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의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단락편이 비단락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되고, 상기 래칭요소 및 상기 단락요소의 한쪽은 돌출 형성된 래칭부를 가지며, 다른 쪽은 해당 래칭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래칭용 받이부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래칭부와 상기 래칭용 받이부가 맞물린다.
이 구성에 의하면, 래칭요소가 제2 래칭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끼워맞춤 요소의 단락이 해제되고, 또한, 래칭요소가 단락요소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플러그요소와 소켓요소가 직접 맞물린다. 그 때문에, 래칭요소를 가지는 커넥터에 있어 서, 래칭요소의 형상이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플러그요소 및 단락요소의 형상에만 의존하여 결정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i) 제1 래칭위치(임시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플러그요소 본체에 대한 래칭요소의 떠오르는 높이, (ii)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완료시에 있어서의 래칭요소의 맞물림 상태, (iii) 일련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단락해제 및 접속완료의 타이밍 등이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설계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소켓요소의 종류마다 래칭요소의 설계 및 제조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래칭요소의 설계 및 제조가 용이하게 되며, 또, 소켓요소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고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는 소켓요소에 대해서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고,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지는 한편 상기 소켓요소에 맞물리는 플러그요소와,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편을 가지고 상기 소켓요소에 장착되는 단락요소와, 상기 플러그요소에 대해서 제1 래칭위치 및 제2 래칭위치에서 래칭되는 래칭요소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래칭요소는 상기 제1 래칭위치 및 상기 제2 래칭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단락편이 비단락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되며, 상기 래칭요소는 돌출 형성된 2개의 래칭부를 가지고, 상기 단 락요소는 이 2개의 래칭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2개의 래칭용 받이부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2개의 래칭부와 상기 2개의 래칭용 받이부가 맞물리고, 상기 래칭요소는 가압되는 부분인 판 모양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다리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은 상기 래칭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다리부는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단락편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단락편을 비단락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로 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는 상기 2개의 래칭부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i) 쌍방의 구성요소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ii) 단락요소의 단락상태를 해제하도록 작용하는 래칭요소를 간이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래칭부는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요소는 상기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락요소는 상기 한 쌍의 단자 보호부가 끼워 넣어지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외주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2개의 래칭용 받이부는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i) 쌍방의 구성요소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ii) 단락요소의 단락상태를 해제하도록 작용하는 래칭요소를 간이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끼워맞춤 요소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끼워맞춤 요소의 변형 방지를 위한 단자 보호부 및 외주벽부와 래칭용 받이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별개의 부재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기적 접속장치의 구성을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동작과 단락해제를 위한 래칭요소의 밀어넣음 동작이 일련의 동작이고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락요소는 플러그요소의 상기 소켓요소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한 쌍의 벽부를 가지고, 이 한 쌍의 벽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이 벽부의 단부 및 상기 래칭용 받이부가 상기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는 상기 래칭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과 상기 단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고,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간이한 장치 구성에 의해, 래칭의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동작과 단락해제를 위한 래칭요소의 밀어넣음 동작이, 일련의 동작으로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는 상기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를 가지 고, 상기 단락요소는 상기 한 쌍의 단자 보호부가 끼워 넣어지는 한편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외주벽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해당 외주벽부의 단부 및 상기 래칭용 받이부가 상기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는 상기 래칭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선단부의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의 단부의 각각과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가 상기 외주벽부의 지름 방향 외측에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고,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끼워맞춤 요소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간이한 장치 구성에 의해서 래칭의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는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플러그요소의 상기 소켓요소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장치 구성을 보다 간이하고 또한 확실히 실현될 수 있다. 또,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동작과, 단락편의 단락해제를 위한 래칭요소의 밀어넣음 동작이 일련의 동작으로,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은 돌출 형성된 래칭용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요소는, 돌출 형성된 래칭 받이용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래칭용 볼록부 및 상기 래칭 받이용 볼록부에는 접촉면 및 접촉 받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접촉 받이면이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플러그요소에 대해서 래칭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래칭요소가 플러그요소에 대해서 래칭되는 장치 구성을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접촉 받이면은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러그요소의 상기 소켓요소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관해서 서로 접촉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래칭요소를 누르는 것에 수반하여, 플러그요소가 확실히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는 상기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를 가지고, 상기 단락요소는 상기 한 쌍의 단자 보호부가 끼워 넣어지며, 또한,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외주벽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해당 외주벽부의 단부 및 상기 래칭용 받이부가 상기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는 상기 래칭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선단부의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의 단부의 각각과의 접촉에 의해 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가 상기 외주벽부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상기 래칭용 볼록부가 상기 래칭 받이용 볼록부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접촉 받이면이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고, 그 결과,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맞물림요소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간이한 장치 구성에 의해서 래칭의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 래칭요소가 플러그요소에 대해서 래칭되는 장치 구성을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래칭요소를 누르는 것에 따라, 플러그요소가 확실히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동작과 단락편의 단락해제를 위한 래칭요소의 밀어넣음 동작이 일련의 동작으로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에 의해, 더욱 확실히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규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소켓요소로부터 상기 플러그요소가 어긋나지 않도록 플러그요소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플러그요소가 소켓요소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래칭요소에 의해서, 플러그요소 및 소켓요소의 분리가 보다 확실히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요소에는 함몰 형성된 맞물림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요소는 상기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플러그요소의 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가지고, 해당 지지부에는 상기 맞물림용 오목부에 맞물리는 맞물림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단자 보호부와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맞물림용 볼록부가 상기 맞물림용 오목부로부터 어긋나려고 하는 움직임을 안쪽으로부터 규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요소 및 소켓요소의 분리가 방지된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적 접속장치는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는 소켓요소와, 상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소켓요소에 대해서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칭요소가 제2 래칭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끼워맞춤 요소의 단락이 해제되고, 또한, 래칭요소가 단락요소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플러그요소와 소켓요소가 직접 맞물린다. 그 때문에, 래칭요소를 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래칭요소의 형상이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플러그요소 및 단락요소의 형상에만 의존하여 결정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i) 제1 래칭위치(임시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플러그요소 본체에 대한 래칭요소의 떠오르는 높이, (ii)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완료시에 있어서의 래칭요소의 맞물림 상태, (iii) 일련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단락해제 및 접속완료의 타이밍 등이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설계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소켓요소의 종류마다 래칭요소의 설계 및 제조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래칭요소의 설계 및 제조가 용이하게 되며, 또, 소켓요소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고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에 대해)
우선,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적 접속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적 접속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적 접속장치(1)는 소켓요소(2i) 및 커넥터(8)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켓요소(2i)는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으로, 한 쌍의 핀(끼워맞춤 요소)(13)을 지지한다. 또, 커넥터(8)는 플러그요소(3), 단락요소(4) 및 래칭요소(50)를 가지고 구성되며, 한 쌍의 핀(13)을 지지하는 소켓요소(2i)에 대해서 접속된다. 그리고, 플러그요소(3)는 한 쌍의 핀(13)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암컷 단자(피끼워맞춤 요소)(30)를 지지하고 있고,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지는 한편 소켓요소(2i)에 맞물린다. 단락요소(4)는 한 쌍의 핀(13)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편(4m)을 가지고, 소켓요소(2i)에 장착되어 있다. 또, 래칭요소(50)는 플러그요소(3)에 대해 서, 제1 및 제2의 2개의 래칭위치에서 래칭된다.
전기적 접속장치(1)의 커넥터(8)에 설치된 한 쌍의 암컷 단자(30)는 2개의 전선(3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소켓요소(2i)에 설치된 한 쌍의 핀(13)은 2개의 전선(17)에 접속되어 있다. 또, 2개의 전선(17)은, 스큅(에어백 착화장치)(4s)에 접속되어 있다. 스퀴브(4s)는 충분한 전기 에너지가 부여되었을 때에 착화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요소(3)가 단락요소(4)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즉, 한 쌍의 암컷 단자(30) 및 한 쌍의 핀(1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에어백 제어시스템으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스퀴브(4s)의 발열을 가능하게 하는 직류 회로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 발열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가스 발생 재료가 착화되어 가스가 발생하고, 도시하지 않은 에어백이 전개(展開)하게 된다.
도 2는 전기적 접속장치(1)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A-A'화살표에서 본 도면)에 상당하는 것이고, 도 1에서는 한 쌍의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는 핀(13) 및 암컷 단자(30)는 각각 한쪽만 나타나고 있다. 또, 도 2는 래칭요소(50)가 제1 래칭위치에 래칭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외부 표면에 나타나지 않는 내부 구조는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또, 2개의 전선(17) 및 스퀴브(4s)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 각부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끼워넣는 방향」이란,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대해서 끼워 넣어지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각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 참조).
(소켓요소)
우선, 소켓요소(인플레이터의 하우징)(2i) 및 한 쌍의 핀(13)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도 2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소켓요소(2i)는 상면부에 있어서 모퉁이가 모따기 된 원주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고, 그 외면(도 2에 있어서의 상부)에 소켓(오목부)(2h)을 가지고 있다. 소켓(2h)은 오목부로서 소켓요소(2i)에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있어서의 위쪽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 소켓(2h)에는 소켓요소(2i)의 상면부에 있어서, 후술하는 단락요소(4)의 위치 결정에 이용되는 2개소의 오목부(2t)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2의 단면도를 이용하여, 소켓(2h)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소켓(2h)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에 따라서 연속하는 경사면(14)이 형성되고, 또한, 경사면(14)보다 끼워넣는 방향 안쪽의 소켓(2h)의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에 따라서 연속하는 맞물림용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용 오목부(15)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경사면(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요소(3)에 형성된 지지부(31a)(보다 구체적으로는 맞물림용 볼록부(31b))를 받아들이고, 플러그요소(3)의 끼워넣는 동작에 따라, 지지부(31a)에 대해, 지름 방향 안쪽으로 향하게 하도록 기능한다. 또, 맞물림용 오목부(15)는 플러그요소(3)의 맞물림용 볼록부(31b)(후술한다)를 받아들이는 것에 의해, 커넥터(8)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핀)
한 쌍의 핀(13)은 에어백을 착화시키기 위한 스퀴브(4s)에 대해서, 2개의 전 선(17)(도 2에서는 생략)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와 같이, 소켓(2h)의 지름 방향에 관한 중앙 부분에 있어서, 각각, 소켓(2h)의 바닥면(2b)으로부터 소켓요소(2i)의 개구 가장자리 부근까지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핀(13)은 이와 같이 하여 소켓요소(2i)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커넥터)
다음에, 커넥터(8)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8)는 플러그요소(3), 단락요소(4) 및 래칭요소(5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하, 플러그요소(3), 단락요소(4) 및 래칭요소(5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플러그요소)
플러그요소(3)는 암컷 단자(30) 및 플러그 하우징(3h)를 가진다. 이하, 암컷 단자(30) 및 플러그 하우징(3h)의 각각에 대해서 설명한다.
(암컷 단자)
도 2를 참조하면서, 암컷 단자(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에 한 쌍의 전선(33)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플러그요소(3)에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가 장착되어 있고, 각각의 암컷 단자(30)는 같은 형상을 가진다.
이하, 한쪽의 암컷 단자(30)에 대해 설명한다. 암컷 단자(30)는 상기와 같이 핀(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로, 통 모양으로 형성된 외주벽부(30w)와, 외주벽부(30w) 중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부를 가진다. 그리고, 암컷 단자(30)는 한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각종 가공을 거쳐 형성되어 있고, 핀(13)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컷 단자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암컷 단자(30)는 통 모양의 외주벽부(30w)로부터 거의 L자 모양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형성되고, 전선(33)에 접속된다(도 2 참조). 전선(33)은 절연 외장되어 있고, 이 외장부의 단부에 있어서는 암컷 단자(30)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서 내부의 도체가 노출하고 있다. 그리고, 전선(33)은 임의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암컷 단자(30)의 일부를 전선(33)의 도체 단부의 주위에 압착하는 것 등에 의해, 암컷 단자(30)에 대해서 장착된다.
스프링부는 외주벽부(30w)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핀(13)으로의 접속시에 핀(13)에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스프링부는 외주벽부(30w)의 축 방향에 따라서 긴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다음에, 도 3, 4를 참조하면서, 플러그 하우징(3h)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플러그 하우징(3h)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G화살표에서 본 도(바닥면도)에 상당하는 하부 하우징(3d)의 사시도이다. 플러그 하우징(3h)은 플러그요소(3)의 기계적 강도 및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체이며, 플러그 하우징(3h) 내부에 상기의 한 쌍의 암컷 단자(30)가 장착된다.
플러그 하우징(3h)은 삽입부(3i)와, 상자 모양의 상자부(3b)를 가지고 있고, 대략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플러그요소(3)의 본체부」란 플러그 하우징(3h)의 삽입부(3i) 및 상자부(3b)를 나타내 는 것으로 한다. 또, 플러그 하우징(3h)은 상부 하우징(3u) 및 하부 하우징(3d)의 2부품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하우징(3d)은 삽입부(3i) 및 상자부(3b)(하부)를 구성하고, 상부 하우징(3u)은 상자부(3b)(상부)를 구성한다(도 3 참조).
또, 상자부(3b)의 내부로서 상부 하우징(3u)과 하부 하우징(3d)에 끼워지는 부분에는 상자 모양 공간(3f)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페라이트(35)가 배치된다.페라이트(35)는 노이즈 제거를 위해서 설치되는 것으로, 도 5에 나타내는 형상을 가지는 대략 상자 모양의 균질체이며, 내부에는 서로 평행한 2개의 관통 구멍(35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전선(33)은 이 2개의 관통 구멍(35h)의 내부를 통과하여 플러그 하우징(3h)의 외부로 통하도록 배선된다.
또, 플러그 하우징(3h)은 한 쌍의 암컷 단자(30)끼리를 절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하우징(3h)에는 각각의 암컷 단자(30)의 외주벽부(30w)의 지름 방향에 관해서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3g)가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한 쌍의 단자 보호부(3g)는 각각, 지름 방향 단면에 있어서 외주벽부(30w)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플러그요소(3)의 상자부(3b)의 상면 위치에는 오목부(3k)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상부 하우징(3u)에는 오목부(3k)로부터 2개의 관통 구멍(32b) 및 관통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하우징(3d)에는 상부 하우징(3u)과 조합되었을 때에 2개의 관통 구멍(32b) 및 관통 구멍(32a)에 대응하도록 동일하게 2개의 관통 구멍(30b) 및 관통 구멍(3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 그 하우징(3h)에 형성된 이러한 관통 구멍에 대해서, 래칭요소(50)의 각 돌출부(후술)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3, 4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요소(3)는 플러그요소(3)의 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2개의 지지부(31a)를 가지고, 각각의 지지부(31a)의 선단부에는 맞물림용 오목부(15)에 맞물리는 맞물림용 볼록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맞물림용 볼록부(31b)가 맞물림용 오목부(15)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대해서 맞물린다.
또, 플러그요소(3)는 하부 하우징(3d)의 2개의 관통 구멍(30b)의 각각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2개의 래칭 받이용 볼록부(36)를 가지고, 각각의 래칭 받이용 볼록부(36)의 끼워넣는 방향 앞쪽에는 접촉 받이면(36s)이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8 내지 10, 도 17 참조).
(단락요소)
다음에 단락요소(4)에 대해서, 도 2,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락요소(4)는 한 쌍의 핀(13)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것으로, 소켓요소(2i)에 설치된 원주상 공간인 소켓(2h)에 맞물린다. 또한, 상기의 「끼워넣는 방향」은 소켓(2h)의 축 방향에 상당하는 것이고, 끼워넣는 방향 및 소켓(2h)의 축 방향과, 소켓(2h)의 지름 방향과는 직교한다.
단락요소(4)에는 한 쌍의 삽입 구멍(4h)이 형성되어 있고(도 6 참조), 각각의 삽입 구멍(4h)에는 단자 보호부(3g)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각의 삽입 구멍(4h)은 지름 방향 단면에 있어서, 단자 보호부(3g)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 다.
도 2,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요소(4)는 소켓(2h)에 대해서, 꽉 끼워 넣도록 성형된 원주 모양의 플라스틱제의 본체부(4b)를 가진다. 또, 본체부(4b)의 상면 측부에는 소켓(2h)의 2개의 오목부(2t)에 대해서 받아들여지도록 배치된 2개의 돌출부(4t)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4t)는 상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반원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오목부(2t)에 대해서 2개의 돌출부(4t)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해, 단락요소(4)가 소켓(2h)에 대해서, 적정한 둘레 방향 위치(회전 방향 위치)에 배치된다. 또, 본체부(4b)의 2개의 삽입 구멍(4h)은 단락요소(4)에 있어서,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삽입 구멍(4h)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단락요소(4)를 소켓(2h)에 대해서 삽입할 때에 단락요소(4)의 삽입이 한 쌍의 핀(13)과의 접촉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또, 2개의 삽입 구멍(4h)이 삽입시의 가이드가 되므로, 플러그요소(3)를 단락요소(4)에 대해 삽입할 때에 플러그요소(3)의 삽입이 한 쌍의 핀(13)과의 접촉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또, 상기의 단락은, 구체적으로는 단락요소(4) 내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는 단락편(4m)에 의해 실현된다(도 2, 도 6 참조). 단락편(4m)은 스프링강(鋼)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단락편(4m)은 에어백 조립체의 제조중에 누설하는 전하 및 오접속에 의한 에어백 조립체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단락편(4m)의 일부는 한 쌍의 핀(13)에 대해서 접촉하는 방향을 향해서 경사져 있고, 한 쌍의 핀(13)과의 사이에 전기적인 단 락 회로를 형성한다. 단락편(4m)은 (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성장하는 판 모양의 기부(基部)(4y)와, 기부(4y)의 상부에서 절곡되어 기울기 아래쪽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다리부(4k)와, 한 쌍의 다리부(4k)의 아래쪽에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성장하는 한 쌍의 접촉부(4z)를 구비하고 있다(도 2, 6 참조). 각각의 다리부(4k)는 기부(4y)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스텝 모양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핀(13)의 방향으로 편향하고 있다. 또, 한 쌍의 핀(13)에 한 쌍의 접촉부(4z)가 닿는 것에 의해, 한 쌍의 핀(13)과 단락편(4m)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또, 단락요소(4)에는 끼워넣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4j)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의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래칭요소(50)가 삽입되면, 후술하는 래칭요소(50)의 제2 다리부(53)가 이 관통 구멍(4j)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까지 완전하게 삽입되면, 제2 다리부(53)의 선단부에 눌러져, 단락편(4m)이 핀(13)으로부터 멀어지고(도 2의 화살표 F방향 참조), 이것에 의해서 단락이 해제되므로, 스퀴브(4s)에 의한 착화 동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회로가 형성된다. 도 2에는 단락편(4m)과 한 쌍의 핀(13)이 접촉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 단락요소(4)는 2개의 래칭용 받이부(41a)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래칭용 받이부(41a)는 래칭요소(50)의 래칭부(52)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단락요소(4)는 2개의 외주벽부(벽부)(4g)를 가지고 있다. 이하, 하나의 외주벽부(4g)에 대해 설명한다. 외주벽부(4g)는 단자 보호부(3g)가 끼워 넣어지고 또한, 핀(13)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외주벽부(4g)의 안쪽에 삽입 구멍(4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칭용 받이부(41a)는 이 외주벽부(4g)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벽부(4g)에 있어서, 플러그요소(3)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외주벽부(4g)의 단부(43) 및 래칭용 받이부(41a)가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주벽부(4g)에는 관통 홈부(42)가 외주벽부(4g)를 관통하고, 또한,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벽부(4g)에는 관통 홈부(42)를 사이에 둔 양측의 벽요소끼리를 관통 홈부(42)의 위쪽에 있어서 접속하도록 형성된 브릿지부(41)가 설치되어 있다(도 6, 도 8 참조). 그리고, 브릿지부(41)에 있어서, 가장 끼워넣는 방향 안쪽의 단부(관통 홈부(42)에 접한 단부)가 래칭용 받이부(41a)로 되어 있다. 또, 단부(43)는 외주벽부(4g)의 단부이고, 브릿지부(41)의 단부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래칭용 받이부(41a), 관통 홈부(42) 및 브릿지부(41)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지만, 래칭용 받이부는 래칭부(52)가 걸리도록 하는 구성이면 좋고, 이와 같은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래칭용 받이부(41a)는 외주벽부(4g)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형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락요소에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벽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벽부에 있어서, 플러그요소(3)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벽부의 단부 및 래칭용 받이부가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외주벽부(4g)가 이 벽부에 상당한 다. 그러나, 단자 보호부가 끼워 넣어지는 외주벽부와는 다른 부재로서 벽부가 설치되고, 그 벽부에 래칭용 받이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래칭요소)
다음에 래칭요소(50)에 대해서, 도 7, 11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의 (a)는 래칭요소(50)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정면도이다. 또, 도 11은 측면도인(정면 및 측면의 방향에 대해서는 도 7의 (a)의 화살표 방향 참조). 래칭요소(50)는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제1 래칭위치 및 제2 래칭위치에서 래칭되는 것이다. 또, 래칭요소(50)는 제1 래칭위치 및 제2 래칭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장착한다. 그리고,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단락편(4m)이 비단락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래칭요소(50)는 가압되는 부분인 가압부(5)를 가지고, 가압부(5)에서는 한 쌍의 제1 다리부(51)와, 4개의 규제부(54)와, 제2 다리부(53)가 각각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제1 다리부(51), 4개의 규제부(54) 및 제2 다리부(53)는 끼워넣는 방향(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1 래칭위치에 있을 때의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5)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장방형(長方形) 형상을 가지는(길이가 짧은 방향과 길이가 긴 방향을 가진다) 판 모양 부재이다. 또, 가압부(5)에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의 도통(導通) 체크시에 사용되는 2개의 도통용 구멍(5c)이 관 통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다리부(5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5)의 길이가 긴 방향에 대한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제1 다리부(51)는 그 선단부에 있어서, 돌출 형성된 래칭부(52)를 가진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다리부(51)의 각각은 한 쌍의 래칭부(52)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7의 (b), 도 12 내지 16 참조). 그리고, 한 쌍의 제1 다리부(51)에 있어서, 한 쌍의 래칭부(52)는 서로의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래칭요소(50)가 플러그요소(3)에 래칭되어 있고, 또한,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래칭부(52)는 소켓(2h)의 지름 방향 안쪽(중심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게 된다. 래칭부는 이와 같이, 끼워넣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개의 래칭부(52)는 2개의 래칭용 받이부(41a)에 대해서 맞물린다. 그 때문에, 래칭요소(50)가 끼워넣는 방향으로 밀어 넣어졌을 때에 이 래칭요소(50)에 의해서, 플러그요소(3)와 소켓요소(2i)와의 분리가 저지된다. 또한, 래칭부는 단락요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그 경우에는 그것에 대응하여 래칭용 받이부가 래칭요소에 설치되고 있어도 좋다.
또, 각각의 제1 다리부(51)의 양측(가압부(5)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 관해서 양측)에는 한 쌍의 래칭용 볼록부(5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래칭용 볼록부(55)의 끼워넣는 방향(래칭요소(50)가 플러그요소(3)에 래칭되고 또한,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끼워넣는 방향) 안 쪽 측에는 접촉면(55s)이 형성되어 있다(도 7의 (b), 도 8 내지 10, 도 17 참조).
제2 다리부(53)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제2 다리부(53)는 상기의 관통 구멍(4j)에 삽입되고, 단락편(4m)과의 접촉에 의해, 단락편(4m)을 비단락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또, 제2 다리부(53)에는 돌출부(53t)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3t)는 플러그요소(3)에 형성된 오목부에 걸리는 것에 의해, 래칭요소(50)의 스톱퍼로서 기능한다. 제2 다리부(53)는 가압부(5)의 길이가 긴 변 측에 배치되고, 그 법선 방향은 가압부(5)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 따라 있다.
4개의 규제부(54)는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소켓요소(2i)로부터 플러그요소(3)가 어긋나지 않도록 플러그요소(3)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이다(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1 다리부(51)의 양측(가압부(5)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 관해서 양측)에 규제부(54)가 2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 이러한 돌출부는 플러그요소(3)의 상부 하우징(3u)에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32b) 및 관통 구멍(32a) 및 하부 하우징(3d)에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30b) 및 관통 구멍(30a)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관통 구멍(32b) 및 2개의 관통 구멍(30b)에는 한 쌍의 제1 다리부(51) 및 4개의 규제부(54)가 삽입되고, 관통 구멍(32a) 및 관통 구멍(30a)에는 제2 다리부(53)가 삽입된다.
본 실시 형태예에 관한 커넥터(8) 및 전기적 접속장치(1)는 이상과 같이 구 성된다. 또한, 플러그요소(3), 단락요소(4) 및 래칭요소(50)는 각종의 도선 및 단자를 제외하여 저도전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동작)
다음에 커넥터(8) 및 전기적 접속장치(1)의 접속동작에 대해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 내지 10은 접속동작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16은 접속동작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또, 도 17은 도 15의 A로 나타낸 부분 부근에 대해서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18은 끼워 넣음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 12 내지 16의 단면은 도 11의 B-B'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하고, 도 17의 단면은 도 11의 C-C'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하며, 도 18의 단면은 도 11의 D-D'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한다.
처음 상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요소(4)가 소켓요소(2i)의 소켓(2h) 내에 미리 끼워 넣어지고, 한 쌍의 핀(13)은 단락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래칭요소(50)가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제1 래칭위치에서 래칭되어 있다. 도 17(a)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플러그요소(3)의 상자부(3b)의 측면을 손으로 잡고, 그 후, 삽입부(3i)의 하단을 소켓요소(2i)의 소켓(2h) 내에 삽입한 상태가 도 8, 12에 나타나고 있다. 도 8, 12는 소켓요소(2i)에 대한 플러그요소(3)의 초기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지지부(31a)의 맞물림용 볼록 부(31b)가 소켓(2h)의 입구의 경사면(14)에 닿아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와 한 쌍의 핀(13)이 접촉을 개시하고 있지만, 래칭요소(50)는 제1 래칭위치에 래칭되어 있고, 단락상태는 해제되어 있지 않으므로, 한 쌍의 암컷 단자(30)와 한 쌍의 핀(13)과의 전기적 접속은 아직 완료하고 있지 않다. 도 17(b) 상태는 이 상태에 상당한다.
이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래칭요소(50)의 가압부(5)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각각의 지지부(31a)의 근원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부(31a)의 선단부가 지름 방향 안쪽으로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 도 13은 이 접속 도중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지지부(31a) 선단부의 맞물림용 볼록부(31b)가 소켓(2h)의 입구의 경사면(14)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지지부(31a)가 소켓(2h)의 지름 방향 안쪽으로 휜다(도 13 참조). 그리고, 지지부(31a)가 이와 같이 휘는 것에 의해 플러그요소(3)가 소켓(2h) 내부에 진입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3은 이 상태(제1 락(lock) 동작 개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까지의 동작에서는, 래칭요소(50)는 제1 래칭위치에 있다.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는 각각의 접촉면(55s)과 각각의 접촉 받이면(36s)이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래칭요소(50)가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래칭되어 있다(도 17(a), (b)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면(55s) 및 접촉 받이면(36s)은 래칭요소(50)가 제1 래칭위치에 있을 때, 플러그요소(3)의 소켓요소(2i)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관해서, 서로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요소(3)와 래칭요소(50)가 일체로 되어, 래칭요소(50)가 플러그요소(3)를 누르는 것에 의해, 소켓(2h)에 대해서 플러그요소(3)가 끼워넣는 방향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플러그요소(3)가 밀어 넣어지고, 도 9,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휘어진 각각의 지지부(31a)가 탄성 회복하여, 각각의 맞물림용 볼록부(31b)가 맞물림용 오목부(15) 내에 끼워 넣어지도록 수용되고, 그 결과,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대해서 맞물린다(도 9, 도 14 상태를 제1 락의 가(假)완료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아직도 단락상태는 해제되어 있지 않으므로 한 쌍의 암컷 단자(30)와 한 쌍의 핀(13)과의 전기적 접속은 완료하고 있지 않다. 또, 제1 락 가완료에 의해,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대해서 용이하게 빠지지 않는 정도로 삽입되고는 있지만, 아직 접속상태로서는 완전하지 않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칭요소(50)가 제1 래칭위치로부터 더욱 안쪽으로 밀어 넣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는 각각의 접촉면(55s)과 각각의 접촉 받이면(36s)이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래칭요소(50)가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래칭되어 있다(도 17(b) 참조). 그리고,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래칭위치에 있는 래칭요소(50)가 가압되면, 각각의 제1 다리부(51)의 선단부(래칭부(52))와, 외주벽부(4g)의 단부(43)와의 접촉에 의해, 제1 다리부(51)가 외주벽부(4g)의 지름 방향 외측(도 17(c)의 H방향 참조)으로 탄성적으로 휜다(도 15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의 제1 다리부(51)가 외측으로 휘는(각각의 래칭부(52)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휨) 것에 의해, 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칭용 볼록부(55)가 래칭 받이용 볼록부(36)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접촉면(55s)과 접촉 받이면(36s)이 접촉 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고,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외주벽부(4g)의 지름 방향 외측」이란, 「소켓(2h)의 지름 방향 외측」과 일치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각의 제1 다리부(51)에 있어서, 선단부의 래칭부(52)는 소켓(2h)의 지름 방향 안쪽의 면이 끼워넣는 방향에 대해서 거의 45도 경사져 있다. 그리고, 래칭부(52)는 지름 방향 안쪽의 부분이 보다 끼워넣는 방향 앞쪽이 되도록(지름 방향 외측의 부분이 보다 끼워넣는 방향 안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래칭부(52)가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래칭부(52)의 이 경사면과 단부(43)가 접촉했을 때에 제1 다리부(51)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휘어지기 쉬워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단락요소(4)의 설명 중에서 외주벽부(4g)가 아니고, 별도 벽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고 기재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벽부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즉, 상기 벽부는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래칭위치에 있는 래칭요소(50)가 가압되면, 각각의 제1 다리부(51)와 벽부의 단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각각의 제1 다리부(51)가 탄성적으로 휘어짐에 따라,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고,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더욱 래칭요소(50)가 밀어 넣어지면, 도 10, 16, 1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로 이동하고, 소켓요소(2i)와 플러그요소(3)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가 된다(끼워 넣음 완료 상태).
구체적으로는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고, 2개의 래칭부(52)와 2개의 래칭용 받이부(41a)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래칭요소(50)가 단락요소(4)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제2 락 완료 상태로 한다. 도 16, 도 17(d) 참조).
그리고, 예를 들면, 래칭요소(50)의 가압부(5)와 플러그요소(3)의 오목부(3k)와의 사이에 선단이 날카로운 것을 삽입하여, 래칭요소(50)만을 일으키는 등 하지 않는 한, 래칭요소(50)를 플러그요소(3) 및 소켓요소(2i)로부터 떼어내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또,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4개의 규제부(54)는 소켓요소(2i)로부터 플러그요소(3)가 어긋나지 않도록 플러그요소(3)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규제부(54)의 각각은 단자 보호부(3g)와 지지부(31a)와의 사이에 삽입되고, 각각의 맞물림용 볼록부(31b)가 맞물림용 오목부(15)로부터 어긋나려고 하는 움직임(소켓(2h)의 지름 방향 안쪽으로 각각의 지지부(31a)가 휘는 움직임)을 안쪽으로부터 규제한다(도 18 참조). 그 때문에, 각각의 규제부(54)는 플러그요소(3)의 스톱퍼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가완료 상태인 제1 락이 완료한다. 규제부는 이와 같은 것 이외에, 예를 들면, (지지부(31a) 전체가 아니고) 지지부(31a)의 선단부만을 안쪽으로부터 누르도록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이 상태에서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 내에 한 쌍의 핀(13)이 완전하게 삽입된다. 또한, 소켓요소(2i)와 플러그요소(3)와의 접속동작에 수반하여 래칭요 소(50)의 제2 다리부(53)의 삽입에 의해, 한 쌍의 핀(13)으로부터 접촉부(4z)가 물러나고, 단락편(4m)에 의한 한 쌍의 핀(13)의 사이의 단락상태도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암컷 단자(30)와 한 쌍의 핀(13)과의 전기적 접속이 완료한다. 즉, 단자간의 전기적 접속이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래칭요소(50)를 누른다고 하는 1회의 동작에 의해서, 래칭요소(50)를 통하여 소켓요소(2i)와 플러그요소(3)와의 기계적 맞물림과 전기적 접속이 완료한다(끼워넣음 완료 상태). 또, 래칭요소(50)에 의해서, 단락상태의 해제, 접속상태의 확인 및 플러그요소(3)와 소켓요소(2i)와의 분리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 도 17의 하부에 단자간 접속, 제1 락, 제2 락 및 단락해제의 각 동작의 개시부터 완료까지의 타이밍을, (a) 내지 (d)의 도의 위치에 맞추어 나타냈다. 각각의 동작은 이와 같은 타이밍에 개시하여 완료한다.
(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8) 및 전기적 접속장치(1)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8)는 한 쌍의 핀(13)을 지지하는 소켓요소(2i)에 대해서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서, 한 쌍의 핀(13)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을 지지하고,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지는 한편 소켓요소(2i)에 맞물리는 플러그요소(3)와 한 쌍의 핀(13)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편(4m)을 가지며, 소켓요소(2i)에 장착되는 단락요소(4)와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제1 래칭위치 및 제2 래칭위치에서 래칭되는 래칭요소(50)를 가진다. 그리고, 래칭요 소(50)는 제1 래칭위치 및 제2 래칭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단락편(4m)이 비단락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되며, 래칭요소(50)는 돌출 형성된 2개의 래칭부(52)를 가지고, 단락요소(4)는 이 2개의 래칭부(52)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2개의 래칭용 받이부(41a)를 가지며,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2개의 래칭부(52)와 2개의 래칭용 받이부(41a)가 맞물린다.
이 구성에서는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핀(13)의 단락이 해제되고, 또한, 래칭요소(50)가 단락요소(4)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플러그요소(3)와 소켓요소(2i)가 직접 맞물린다. 그 때문에, 래칭요소(50)를 가지는 커넥터(8)에 있어서, 래칭요소(50)의 형상이 소켓요소(2i)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플러그요소(3) 및 단락요소(4)의 형상에만 의존하여 결정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i) 제1 래칭위치(임시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플러그요소(3) 본체에 대한 래칭요소(50)의 떠오르는 높이, (ii) 전기적 접속장치(1)의 접속완료시에 있어서의 래칭요소(50)의 맞물림 상태, (iii) 일련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단락해제 및 접속완료의 타이밍 등이 소켓요소(2i)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설계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소켓요소의 종류마다 래칭요소의 설계 및 제조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래칭요소의 설계 및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또, 소켓요소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고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소켓요소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 커넥터(8)에 있어서, 래칭요소(50)는 가압되는 부분인 판 모양의 가압부(5)와, 가압부(5)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다리부(51)와, 가압부(5)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 다리부(53)를 구비하고 있고, 한 쌍의 제1 다리부(51)의 각각은 래칭부(52)를 가지며, 제2 다리부(53)는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단락편(4m)과의 접촉에 의해 단락편(4m)을 비단락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로 하고, 한 쌍의 제1 다리부(51)는 2개의 래칭부(52)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i) 쌍방의 구성요소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ii) 단락요소의 단락상태를 해제하도록 작용하는 래칭요소를 간이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래칭요소의 형상은 이와 같은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커넥터(8)에서는 한 쌍의 제1 다리부(51)에 있어서, 2개의 래칭부(52)는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요소(3)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3g)를 가지고 있으며, 단락요소(4)는 한 쌍의 단자 보호부(3g)가 끼워 넣어지는 한편, 한 쌍의 핀(13)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외주벽부(4g)를 가지고 있고, 2개의 래칭용 받이부(41a)는 한 쌍의 외주벽부(4g)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i) 쌍방의 구성요소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ii) 단락요소의 단락상태를 해제하도록 작용하는 래칭요소를 간이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핀(1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핀의 변형 방지를 위한 단자 보호부 및 외주벽부와 래칭용 받이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다른 부재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지므로, 전기적 접속장치의 구성을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동작과 단락해제를 위한 래칭요소(50)의 밀어넣음 동작이 일련의 동작으로,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 커넥터(8)에 있어서, 단락요소(4)는 플러그요소(3)의 소켓요소(2i)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한 쌍의 벽부로서의 한 쌍의 외주벽부(4g)를 가지고, 이 한 쌍의 외주벽부(4g)의 각각에 있어서, 플러그요소(3)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외주벽부(4g)의 단부(43) 및 래칭용 받이부(41a)가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래칭위치에 있는 래칭요소(50)가 가압되면, 한 쌍의 제1 다리부(51)의 각각과 단부(43)와의 접촉에 의해서, 한 쌍의 제1 다리부(51)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것에 의해,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어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간이한 장치 구성에 의해, 래칭의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동작과 단락해제를 위한 래칭요소(50)의 밀어넣음 동작이 일련의 동작으로,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벽부는 외주벽부(4g)으로 하여도 좋고, 외주벽부 이외의 요소에 별도 형성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커넥터(8)에 있어서, 플러그요소(3)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3g)를 가지고, 단락요소(4)는 한 쌍의 단자 보호부(3g)가 끼워 넣어지는 한편, 한 쌍의 핀(13)의 주위를 포위하 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외주벽부(4g)를 가지며, 한 쌍의 외주벽부(4g)의 각각에 있어서, 플러그요소(3)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해당 외주벽부(4g)의 단부(43) 및 래칭용 받이부(41a)가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래칭위치에 있는 래칭요소(50)가 가압되면, 한 쌍의 제1 다리부(51)의 선단부의 각각과 한 쌍의 외주벽부(4g)의 단부(43)의 각각과의 접촉에 의해서, 한 쌍의 제1 다리부(51)가 외주벽부(4g)의 지름 방향 외측에 탄성적으로 휘는 것에 의해,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어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핀(1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간이한 장치 구성에 의해서 래칭의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동작과 단락해제를 위한 래칭요소(50)의 밀어넣음 동작이 일련의 동작으로,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커넥터(8)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다리부(51)는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1 래칭위치에 있을 때, 플러그요소(3)의 소켓요소(2i)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켓요소(2i)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장치 구성을 보다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동작과 단락편의 단락해제를 위한 래칭요소(50)의 밀어넣음 동작이 일련의 동작으로,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커넥터(8)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다리부(51)의 각각은 돌출 형성된 2개의 래칭용 볼록부(55)를 가지고, 플러그요소(3)는 돌출 형성된 4개의 래칭 받이용 볼록부(36)를 가지며, 각각의 래칭용 볼록부(55) 및 각각의 래칭 받이용 볼록부(36)에는 접촉면(55s) 및 접촉 받이면(36s)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는 접촉면(55s)과 접촉 받이면(36s)이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래칭요소(50)가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래칭된다. 이것에 의해, 래칭요소(50)가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래칭되는 장치 구성을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커넥터(8)에 있어서, 접촉면(55s) 및 접촉 받이면(36s)은 래칭요소(50)가 제1 래칭위치에 있을 때, 플러그요소(3)의 소켓요소(2i)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관해서 서로 접촉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래칭요소(50)를 누르는 것에 수반하여, 플러그요소(3)가 확실히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커넥터(8)에 있어서, 플러그요소(3)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3g)를 가지고, 단락요소(4)는 한 쌍의 단자 보호부(3g)가 끼워 넣어지는 한편, 한 쌍의 핀(13)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외주벽부(4g)를 가지며, 한 쌍의 외주벽부(4g)의 각각에 있어서, 플러그요소(3)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외주벽부(4g)의 단부(43) 및 래칭용 받이부(41a)가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래칭위치에 있는 래칭요소(50)가 가압되면, 한 쌍의 제1 다리부(51)의 선단부의 각각과 한 쌍의 외주벽부(4g)의 단부(43)의 각각과의 접촉에 의해, 한 쌍의 제1 다리부(51)가 외주벽부(4g)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져, 래칭용 볼록부(55)가 래칭 받이용 볼록부(36)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접촉면(55s)과 접촉 받이면(36s)이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고, 그 결과,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핀(1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간이한 장치 구성에 의해서 래칭의 해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 래칭요소(50)가 플러그요소(3)에 대해서 래칭되는 장치 구성을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다. 더욱, 래칭요소(50)를 누르는 것에 수반하여, 플러그요소(3)가 확실히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쌍방의 구성요소의 접속동작과 단락편(4m)의 단락해제를 위한 래칭요소(50)의 밀어넣음 동작이 일련의 동작으로, 또한, 전체적으로 1회의 동작에 의해, 더욱 확실히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커넥터(8)에 있어서, 래칭요소(50)는 가압부(5)로부터 돌출 형성된 4개의 규제부(54)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규제부(54)는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래칭요소(50)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소켓요소(2i)로부터 플러그요소(3)가 어긋나지 않도록 플러그요소(3)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그 때문에, 플러그요소(3)가 소켓요소(2i)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래칭요소(50)에 의해서, 쌍방의 구성요소의 분리가 보다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커넥터(8)에 있어서, 소켓요소(2i)에는 함몰 형성된 맞물림용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요소(3)는 한 쌍의 암컷 단자(30)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3g)를 가지고 있는 한편, 플러그요소(3)의 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2개의 지지부(31a)를 가지며, 각각의 지지부(31a)에는 맞물림용 오목부(15)에 맞물리는 맞물림용 볼록부(31b)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규제부(54)는 단자 보호부(3g)와 지지부(31a)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맞물림용 볼록부(31b)가 맞물림용 오목부(15)로부터 어긋나려고 하는 움직임을 안쪽으로부터 규제한다. 그 때문에, 간이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요소(3) 및 소켓요소(2i)의 분리가 방지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전기적 접속장치(1)는 한 쌍의 핀(13)을 지지하는 소켓요소(2i)와, 커넥터(8)를 가지고, 커넥터(8)는 소켓요소(2i)에 대해서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켓요소(2i)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기술에 의하면, 예를 들면, 래칭요소에 대해서, 플러그요소로부터 떼어내진 상태와, 플러그요소가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래칭요소가 제2 래칭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2개의 제1 다리부의 가압부로부터의 돌출 각도가 동일하게 되도록(제2 래칭위치에서 휘어진 상태가 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에 의해, 제1 다리부에 부하를 걸지 않고 끼워 넣음을 완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래칭요소의 사용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의 형 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래칭요소에는 한 쌍의 래칭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하나만으로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다리부에 있어서, 2개의 래칭부가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지만, 2개의 래칭부의 각각이 소켓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1 다리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 외측에 래칭용 받이부를 가지는 벽부 등이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다리부에 의해서 단락이 해제되지만, 래칭요소가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단락편이 비단락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되면 좋고, 예를 들면 제1 다리부에 의해서 단락편이 비단락 위치로 이동하는 장치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제1 다리부는 래칭요소가 제1 래칭위치에 있을 때, 끼워넣는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끼워넣는 방향에 대해서 기울기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요소가 소켓요소의 안쪽에 끼워 넣어져 있다. 그 외, 플러그요소가 소켓요소를 감싸도록 하여, 플러그요소 및 소켓요소가 서로 끼워 맞추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서술하고 있지만, 당 기술 분 야의 숙련된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대안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술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형태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플러그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하부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페라이트(ferrite)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단락요소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래칭요소의 개략도. (a)(은)는 사시도. (b)는 정면도.
도 8은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초기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제1 락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제2 락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1은 도 2의 래칭요소의 측면도.
도 12는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초기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
도 13은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제1 락 동작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
도 14는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제1 락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
도 15는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제1 래칭위치로부터 제2 래칭위치로의 이행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
도 16은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끼워넣음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
도 17은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a)는 끼워넣기 전 상태. (b)는 초기 삽입 상태. (c)는 제1 래칭위치로부터 제2 래칭위치로의 이행 도중 상태. (d)는 끼워넣음 완료 상태.
도 18은 도 1의 전기적 접속장치의 접속동작에 있어서의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

Claims (12)

  1.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는 소켓(socket)요소에 대해서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피(被)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고,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지는 한편 상기 소켓요소에 맞물리는 플러그(plug)요소와,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편을 가지고, 상기 소켓요소에 장착되는 단락요소와,
    상기 플러그요소에 대해서 제1 래칭(latching)위치 및 제2 래칭위치에서 래칭되는 래칭요소를 가지며,
    상기 래칭요소는 상기 제1 래칭위치 및 상기 제2 래칭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단락편이 비단락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되며,
    상기 래칭요소 및 상기 단락요소의 한쪽은 돌출 형성된 래칭부를 가지고, 다른 쪽은 이 래칭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래칭용 받이부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칭부와 상기 래칭용 받이부가 맞물리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는 소켓요소에 대해서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고,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지는 한편 상기 소켓요소에 맞물리는 플러그요소와,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편을 가지고, 상기 소켓요소에 장착되는 단락요소와,
    상기 플러그요소에 대해서 제1 래칭위치 및 제2 래칭위치에서 래칭되는 래칭요소를 가지고,
    상기 래칭요소는 상기 제1 래칭위치 및 상기 제2 래칭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단락편이 비단락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되고,
    상기 래칭요소는 돌출 형성된 2개의 래칭부를 가지고, 상기 단락요소는 이 2개의 래칭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2개의 래칭용 받이부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상기 2개의 래칭부와 상기 2개의 래칭용 받 이부가 맞물리고,
    상기 래칭요소는 가압되는 부분인 판 모양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다리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은 상기 래칭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다리부는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단락편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단락편을 비단락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로 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는 상기 2개의 래칭부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래칭부는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요소는 상기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락요소는 상기 한 쌍의 단자 보호부가 끼워 넣어지는 한편,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외주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2개의 래칭용 받이부는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락요소는 플러그요소의 상기 소켓요소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한 쌍의 벽부를 가지고,
    이 한 쌍의 벽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이 벽부의 단부 및 상기 래칭용 받이부가 상기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는 상기 래칭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과 상기 단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가 탄성적으로 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고,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는 상기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를 가지고,
    상기 단락요소는 상기 한 쌍의 단자 보호부가 끼워 넣어지는 한편,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외주벽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이 외주벽부의 단부 및 상기 래칭용 받이부가 상기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는 상기 래칭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선단부의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의 단부의 각각과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가 상기 외주벽부의 지름 방향 외측에 탄성적으로 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고,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는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러그요소의 상기 소켓요소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각각은 돌출 형성된 래칭용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요소는 돌출 형성된 래칭 받이용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래칭용 볼록부 및 상기 래칭 받이용 볼록부에는 접촉면 및 접촉 받이면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접촉 받이면이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플러그요소에 대해서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접촉 받이면은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플러그요소의 상기 소켓요소에 대한 끼워넣는 방향에 관해서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는 상기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를 가지고,
    상기 단락요소는 상기 한 쌍의 단자 보호부가 끼워 넣어지는 한편, 상기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외주벽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요소의 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이 외주벽부의 단부 및 상기 래칭용 받이부가 상기 끼워넣는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는 상기 래칭요소가 가압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의 선단부의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외주벽부의 단부의 각각과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제1 다리부가 상기 외주벽부의 지름 방향 외측에 탄성적으로 휘고, 상기 래칭용 볼록부가 상기 래칭 받이용 볼록부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접촉 받이면이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래칭위치에 있어서의 래칭이 해제되고, 그 결과,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규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플러그요소가 상기 소켓요소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칭요소가 상기 제2 래칭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소켓요소로부터 상기 플러그요소가 어긋나지 않도록 플러그요소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켓요소에는 함몰 형성된 맞물림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요소는 상기 한 쌍의 피끼워맞춤 요소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자 보호부를 가지고 있는 한편, 상기 플러그요소의 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가지며,
    이 지지부에는 상기 맞물림용 오목부에 맞물리는 맞물림용 볼록부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단자 보호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맞물림용 볼록부가 상기 맞물림용 오목부로부터 어긋나려고 하는 움직임을 안쪽으로부터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한 쌍의 끼워맞춤 요소를 지지하는 소켓요소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커넥터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소켓요소에 대해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
KR1020080046702A 2007-05-21 2008-05-20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 KR101407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33784 2007-05-21
JP2007133784A JP4903630B2 (ja) 2007-05-21 2007-05-21 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991A true KR20080102991A (ko) 2008-11-26
KR101407167B1 KR101407167B1 (ko) 2014-06-13

Family

ID=3971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02A KR101407167B1 (ko) 2007-05-21 2008-05-20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56516B2 (ko)
EP (1) EP1995827B1 (ko)
JP (1) JP4903630B2 (ko)
KR (1) KR101407167B1 (ko)
CN (1) CN1013122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4726A1 (en) * 2009-04-20 2010-10-21 Tzvika Hershko Fuell consumption reduction device
JP2010277726A (ja) * 2009-05-26 2010-12-09 Jst Mfg Co Ltd バッテリ用コネクタ
EP2288056A3 (en) * 2009-07-22 2012-07-11 Yamaha Corporatio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evices connected by an audio network
US20120171891A1 (en) * 2009-08-07 2012-07-05 Panasonic Corporation Plug
JP2011185327A (ja) * 2010-03-05 2011-09-22 Kitagawa Ind Co Ltd 固定具
US9325114B2 (en) * 2010-09-01 2016-04-26 Molex, Llc Plug connector
DE102011016481B4 (de) * 2011-04-08 2015-05-13 Temtec Fahrzeugtechnik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Verriegelungssystem für eine an einem Kraftfahrzeug, einer Ladestation oder einer Wand angeordnete Steckkuppeleinrichtung und Steckkuppeleinrichtung
US9039438B2 (en) * 2011-04-22 2015-05-26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Airbag connector system
CN103165995B (zh) * 2011-12-13 2015-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同轴连接器组合
DE102012100103A1 (de) 2012-01-08 2013-07-11 De-Sta-Co Europe Gmbh Trägervorrichtung
JP6156904B2 (ja) * 2012-09-14 2017-07-0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JP2014110182A (ja) * 2012-12-03 2014-06-12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6749232B2 (ja) * 2016-12-27 2020-09-02 ホシデン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US10153579B2 (en) * 2017-03-27 2018-12-11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mponent
EP3382255B1 (de) * 2017-03-29 2019-07-03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Rohrleitung umfassend einen verbind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ieser rohrleitung
EP3396789B1 (en) * 2017-04-27 2021-03-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airbag restraint systems
US10374338B2 (en) * 2017-12-22 2019-08-0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Connector bridge
JPWO2022070861A1 (ko) 2020-09-29 2022-04-07
EP4300756A1 (en) * 2022-06-29 2024-01-03 Braun GmbH Personal care appliance, power plug, and ki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575A (en) * 1992-10-09 1994-01-04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safety interlock
US5944545A (en) * 1997-08-29 1999-08-31 Talley Defense Systems, Inc. Single pin coaxial initiator, retainer and connector and method of operation
JP3650034B2 (ja) * 2000-03-01 2005-05-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2002319459A (ja) * 2001-04-20 2002-10-31 Jst Mfg Co Ltd スクイブ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部品
JP2002324638A (ja) * 2001-04-26 2002-11-08 Jst Mfg Co Ltd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DE10227016B4 (de) * 2002-06-17 2004-06-0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6893277B2 (en) * 2003-02-26 2005-05-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quib connector assembly with CPA
US6837725B1 (en) * 2004-01-16 2005-01-04 Deere & Company Connector assembly
DE102004017372B4 (de) * 2004-04-08 2006-01-12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zwei Steckelementen
US6939152B1 (en) * 2004-07-20 2005-09-06 Su-Lien Chen Microswitch connector
FR2877504A1 (fr) * 2004-11-04 2006-05-05 Tyco Electronics France Sas So Connecteur electrique a interference de formes.
CN2770151Y (zh) * 2004-12-14 2006-04-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开关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5827A2 (en) 2008-11-26
KR101407167B1 (ko) 2014-06-13
EP1995827A3 (en) 2011-10-19
US7556516B2 (en) 2009-07-07
CN101312279A (zh) 2008-11-26
US20080293275A1 (en) 2008-11-27
EP1995827B1 (en) 2013-01-09
CN101312279B (zh) 2013-11-13
JP4903630B2 (ja) 2012-03-28
JP2008288122A (ja)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2991A (ko) 커넥터 및 전기적 접속장치
KR100564091B1 (ko) 전기 접속 시스템
JP2647336B2 (ja) 電気接続装置
JP2002324638A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5148894B2 (ja) コネクタ用雌端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6279846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CN102106045B (zh) 可检查的插入连接器和用于检查插入连接器的连接状态的方法
US20020137397A1 (en) Clamshell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CN108432053A (zh) 高速板连接器
JP2003203722A5 (ko)
JP3607883B2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6477660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2226671B1 (ko) 전기 커넥터, 하네스,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JP2001319747A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6626347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6282524B2 (ja) 電気コネクタ
CN103367948A (zh) 用于在壳体的壳体开口中装配的插塞连接器
JP2007280889A (ja) コネクタ
JP5821818B2 (ja) 基板を備える電気機器および端子付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