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935A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935A
KR20080102935A KR1020070104955A KR20070104955A KR20080102935A KR 20080102935 A KR20080102935 A KR 20080102935A KR 1020070104955 A KR1020070104955 A KR 1020070104955A KR 20070104955 A KR20070104955 A KR 20070104955A KR 20080102935 A KR20080102935 A KR 20080102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opening
breaker
shutt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2103B1 (ko
Inventor
케이지 고토
요시히로 오오카와
히로시 도토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과제> 절연 셔터에 의한 절연 배리어 효과를 높이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배전반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차단기의 각각의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한 셔터를 가지고, 이 셔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각각의 관통 구멍이 부싱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 그 개구부를 개방하고, 셔터가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각각의 부싱의 개구부에 대향하여 그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전반{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된 부싱(bushing)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shutter)를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배전반은 차단기를 수납하는 차단기실과, 전원의 상(相)에 대응한 복수의 모선(母線)(이하, 간단히 모선이라고 칭한다)이 배치된 모선실을 구비하고, 모선실과 차단기실을 나누는 격벽(隔璧)에 복수의 부싱을 고정하고 있다. 각각의 부싱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대응하는 모선에 접속된 도체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내부 공간 내에 모선에 접속된 도체를 노출시키고 있다. 차단기실에 수납되는 차단기는 차단기실 내에서 부싱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부싱의 내부 공간 내에서 그 노출한 도체에 단자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 차단기실 내에서 부싱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에 의해 각각의 단자가 대응하는 도체와의 결합이 해방되어 모선에 접속된 도체로부터 떼어 내진다.
또, 배전반에는, 통상, 부싱의 내부 공간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는 절연 셔터가 설치되어 있고, 차단기가 인출되어 그 단자가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 출되고 있을 때는 그 절연 셔터에 의해 부싱의 개구부를 차폐하여, 내부 공간 내에 노출되어 있는 도체와 부싱을 고정하고 있는 격벽 등과의 사이를 절연하여, 감전 등의 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연 셔터는 부싱의 내부 공간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위치와 그 차폐를 해제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지만, 절연 셔터를 로드(rod)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로드의 둘레에 회동시키는 것으로, 절연 셔터의 이동을 행하도록 한 구성(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등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2000-26191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나타난 종래의 셔터 구조를 구비한 배전반의 경우, 차단기의 접속시에 차단기의 충전부와 부싱을 유지하는 격벽 등의 접지부 사이에 일정한 절연 거리가 필요하게 되어, 차단기의 단자를 길게 하는 것이 필요하고, 차단기 및 배전반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배전반에 있어서 전술(前述)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절연 셔터에 의한 절연 배리어(barrier) 효과를 높이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은 모선을 설치한 모선실과, 차단기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차단기실과, 상기 모선실과 상기 차단기실을 나누는 격벽에 고정되고 개구부를 가지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부싱과, 상기 모선에 접속되어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 내에 노출된 접속 도체와, 상기 부싱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연 물성의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는 상기 부싱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 단자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 도체에 접속되며, 반부싱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접속 도체와의 접속이 해방되고, 상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및 삽입되고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차단기의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고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를 차 폐하도록 구성된 배전반으로서, 상기 부싱은 간격을 통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차단기의 단자는 상기 각각의 부싱에 설치된 상기 접속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각각의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각각의 관통 구멍이 상기 각각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각각의 부싱의 개구부에 대향하여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상기 부위는 상기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이 배열된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에 있는 부위로 구성된다. 또, 상기 소정의 방향은 설치된 상기 배전반에 있어서 수평 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은 모선을 설치한 모선실과, 차단기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차단기실과, 상기 모선실과 상기 차단기실을 나누는 격벽에 고정되고 개구부를 가지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부싱과, 상기 모선에 접속되어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 내에 노출된 접속 도체와, 상기 부싱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연 물성의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는 상기 부싱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 단자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 도체에 접속되며, 반부 싱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접속 도체와의 접속이 해방되고, 상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및 삽입되고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차단기의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고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배전반으로서, 상기 부싱은 간격을 통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차단기의 단자는 상기 각각의 부싱에 설치된 상기 접속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각각의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각각의 관통 구멍이 상기 각각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각각의 부싱의 개구부에 대향하여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상기 부위는 적어도 상기 배열된 복수 개의 관통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로 구성된다. 또, 상기 소정의 방향은 설치된 상기 배전반에 있어서 수평 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에 의하면, 부싱은 간격을 통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고, 차단기의 단자는 상기 각각의 부싱에 설치된 접속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 배치되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각각의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각각의 관통 구멍이 상기 각각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각각의 부싱의 개구부에 대향하여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싱의 개구부의 개방은 셔터의 관통 구멍에 의해 행해지고, 차단기의 단자가 접속 도체에 접속되어 있을 때도 개구부는 차단기의 단자를 관통시키는 필요 최소한의 관통 구멍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셔터에 의한 절연 배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차단기의 충전부와 부싱을 유지하는 격벽 등의 접지부 사이에 거리를 축소할 수 있어, 배전반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에 의하면, 부싱은 간격을 통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고, 차단기의 단자는 상기 각각의 부싱에 설치된 접속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 배치되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각각의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각각의 관통 구멍이 상기 각각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각각의 부싱의 개구부에 대향하여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싱의 개구부의 개방은 셔터의 관통 구멍에 의해 행해져, 차단기의 단자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있을 때도 개구부는 차단기의 단자를 관통시키는 필요 최소한의 관통 구멍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셔터에 의한 절연 배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차단기의 충전부와 부싱을 유지하는 격벽 등의 접지부 사이에 거리를 축소할 수 있어, 배전반을 소형화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은 절연물로 구성된 셔터(이하, 절연 셔터라고 칭한다)에 차단기의 주회로 단자를 관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절연 셔터를 배전반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부싱의 개구부를 차폐 또는 개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의 주요부의 단면도로서, 차단기의 주(主)회로 단자가 부싱의 내부 공간 내에서 접속 단자에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의 주요부의 단면도로서, 차단기의 주회로 단자가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여 접속 단자와의 결합이 해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절연 셔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절연 셔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차단기(1)는 인출형 차단기로 구성되고, 배전반(100)의 차단기실(2) 내에서 배전반(100)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차단기(1)는 전원 측의 주회로 단자(11)와 부하 측의 주회로 단자(12)를 구비 하고 있다.
전원 측의 주회로 단자(11) 및 부하 측의 주회로 단자(12)는 각각 삼상(三相)의 각상에 대응하여 3개씩 설치되고, 각각, 도 1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차단기(1)의 전원 측의 주회로 단자(11) 및 부하 측의 주회로 단자(12)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전원 측의 접속 도체(3)의 노출 단부(31) 및 부하 측의 접속 단자(4)의 노출 단부(41)에 각각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결합부(111 및 121)를 구비하고 있다.
배전반(100)의 측면판(5)은 배전반(100)의 틀(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격벽(6)은 단부가 측면판(5)에 고정되고, 차단기실(2)과 삼상의 전원 모선(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한 모선실(7)을 나누고 있다. 전원 측의 부싱(8)은 삼상의 각 상에 대응하여 3개 설치되고, 격벽(6)의 개구부(61)에 기부(基部)(81)가 복수 개의 볼트(8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3개의 전원 측의 부싱(8)은 배전반(100)의 소정의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직선 상태로 배열되어 있지만, 도 1, 도 2에는 1상분(分)의 전원 측의 부싱(8)만 표시되고 있다.
전원 측의 부싱(8)은 내부 공간(83)을 구비하고, 그 내부 공간(83) 내에 꼭대기부(84)의 안쪽에 고정된 전원 측의 접속 도체(3) 및 그 노출 단부(31)가 배치 되어 있다. 전원 측의 접속 도체(3)는 모선실(7)에 수용되어 있는 전원 모선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측의 부싱(8)은 배전반(100)의 모선실(7) 내에 배치되고, 내부 공간(83)의 개구부(831)가 차단기(1)의 전원 측의 단자(1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부하 측의 부싱(9)은 삼상의 각 상에 대응하여 3개 설치되고, 격벽(6)의 개구부(62)에 기부(91)가 복수 개의 볼트(9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부하 측의 부싱(9)은 내부 공간(93)을 구비하고, 그 내부 공간(93) 내에 꼭대기부(94)의 안쪽에 고정된 부하 측의 접속 도체(4) 및 그 노출 단부(41)가 배치되어 있다.
부하 측의 접속 단자(4)는 부하에 접속되는 부하 측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 측의 부싱(9)은 배전반(100)의 모선실(7) 내에 배치되고, 내부 공간(93)의 개구부(931)가 차단기(1)의 부하 측의 단자(1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3개의 부하 측의 부싱(9)은 배전반(100)의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직선 상태로 배열되고 있지만, 도 1, 도 2에는 1상분의 부하 측의 부싱(9)만 표시되고 있다.
절연물로 구성된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는 전원 측의 3개의 부싱(8)의 개구부(831)에 대향한 위치에서 차단기실(2) 내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셔터(2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긴 변에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관통 구멍(20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관통 구멍(201)은 거의 원형을 이루고, 절연 셔터(20)의 짧은 변 방향의 중심 위치 X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러한 관통 구멍(201)의 각각의 중심 위치의 간격은 전술의 각각의 전원 측의 부싱(8)의 각각의 개구부(831)의 중심 위치의 간격에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절연 셔터(20)의 짧은 변 방향의 중심 위치 X보다 수직 방향 상부에 위치하는 부위(2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 측의 부싱(8)의 각각의 개구부(831)를 차 폐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절연물로 구성된 부하 측의 절연 셔터(30)는 부하 측의 3개의 부싱(9)의 개구부(931)에 대향한 위치에서 차단기실(2) 내에 설치되어 있다. 부하 측의 절연 셔터(3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긴 변에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관통 구멍(301)을 구비하고 있다. 또, 부하 측의 절연 셔터(30)는 도 3에 나타내는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의 구성과 동일하다.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 및 부하 측의 절연 셔터(30)는 각각 격벽(6)에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배전반(100)의 소정의 방향인 수평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의 그 외의 구성은 주지의 배전반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100)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기(1)가 접속 도체(3, 4)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위치에 있을 때는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 및 부하 측의 절연 셔터(30)는 각각의 관통 구멍(201, 301)이 전원 측 및 부하 측의 부싱(8, 9)의 개구부(831, 931)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이러한 개구부(831, 931)를 개방하고 있다. 이때의 각각의 절연 셔터(20, 30)의 위치를 제1 위치라 칭한다.
차단기(1)의 전원 측 및 부하 측의 주회로 단자(11, 12)는 제1 위치에 있는 각각의 절연, 셔터(20, 30)의 관통 구멍(201, 301)을 관통하여 각각의 부싱(8, 9) 의 내부 공간(83, 93) 내에 삽입되고, 그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111, 121)가 전원 측 및 부하 측의 접속 도체(3, 4)의 노출 단부(31, 41)에 각각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4의 (a)는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3개의 관통 구멍(201)의 중심을 이은 직선 A는 전원 측의 3개의 부싱(8)의 개구부(831)의 중심을 이은 직선 B와 일치하고 있고, 전원 측의 부싱(8)의 각각의 개구부(831)는 절연 셔터(20)의 각각의 관통 구멍(201)에 의해 개방되어 있다.
제1 위치에 있는 부하 측의 절연 셔터(30)도, 도 4의 (a)에 나타내는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와 동일한 상태에 있다. 각각의 절연 셔터(20, 3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차단기(1)의 주회로 단자(11, 12)의 주연부의 근방 이외는 절연 셔터(20, 30)에 의해 차폐되고 있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내는 접속 위치로부터 차단기(1)가 인출되고, 차단기(1)의 각각의 주회로 단자(11, 12)가 접속 도체(3, 4)와의 접속이 해방되어 각각의 부싱(8, 9)의 내부 공간(83, 93)으로부터 인출된 위치, 즉 도 2에 나타내는 단로(斷路) 위치로 이동하면, 각각의 절연 셔터(20, 30)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위치로부터 배전반(100)의 수직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각각의 부싱(8, 9)의 개구부(831, 931)를 차폐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의 각각의 절연 셔터(20, 30)의 위치를 제2 위치라 칭한다.
도 4의 (b)는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a)에 나타내는 제1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거리 L1만큼 이 동하여 3개의 관통 구멍(201)의 중심을 이은 직선 A는 전원 측의 3개의 부싱(8)의 개구부(831)의 중심을 이은 직선 B로부터 거리 L1만큼 떨어진 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원 측의 부싱(8)의 각각의 개구부(831)는 절연 셔터(20)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202)에 의해 차폐되게 된다. 제2 위치에 있는 부하 측의 절연 셔터(30)도 도 4의 (b)에 나타내는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또, 각각의 절연 셔터(20, 30)는 예를 들면 차단기(1)의 위치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이동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용이하다. 즉, 차단기(1)가 제1 도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인출되어 제2 도의 위치 혹은 그 근방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절연 셔터(20, 30)를 도 1에 나타내는 제1 위치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제2 위치에 이동시켜 부싱(8, 9)의 개구부(831, 931)를 차폐시키고, 또, 차단기(1)를 도 2의 위치로부터 부싱(8, 9) 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의 개시시점 혹은 그 이동의 도중의 소정 위치를 검출하여, 절연 셔터(20, 30)를 도 2에 나타내는 제2 위치로부터 도 1에 나타내는 제1 위치로 이동시켜, 관통 구멍(201, 301)에 의해 부싱(8, 9)의 개구부(831, 9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배전반에 의하면, 차단기(1)가 접속 위치에 있을 때에도 주회로 단자(11, 12)를 통과할 수 있는 범위만이 절연 셔터(20, 30)의 관통 구멍(201, 301)에 의해 개구하고 있으므로, 절연 셔터(20, 30)에 의해 부싱(8, 9)을 유지하고 있는 격벽(6) 등의 접지부를 가려, 차단기(1)의 충전부와 접지부간 절연 셔터(20, 30)가 절연 배리어로서 존재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절연 거리를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차단기(1)의 주회로 단자(11, 1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차단기(1)의 본체를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차단기(1)의 접속 위치와 단로 위치까지의 거리도 단축할 수 있어, 배전반(100)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절연 셔터(20, 30)를 배전반의 수직 방향으로 약간의 거리만 이동시키면 좋기 때문에, 절연 셔터(20, 30)의 설치 스페이스 등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관한 배전반은 절연물로 구성된 셔터(이하, 절연 셔터라고 칭한다)에 차단기의 주회로 단자를 관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절연 셔터를 배전반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부싱의 개구부를 차폐 또는 개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배전반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절연 셔터의 구성 및 그 구동 기구의 구성 이외는, 실시 형태 1의 구성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배전반의 절연 셔터의 평면도, 도 6은 절연 셔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절연물로 구성된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00)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짧은 변의 거의 중앙부에 중심을 가지는 3개의 관통 구멍(2001)이 간격을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 구멍(2001)은 전원 측의 3개의 부싱의 개구부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 이러한 관통 구멍(2001) 상호의 간격은 부싱의 개구부의 직경에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의 최좌단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2001)의 최좌단과 절연 셔터(2000)의 최좌단 사이의 간격은 부싱의 개구부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절연 셔터(2000)의 관통 구멍(2001) 상호의 사이 및 최좌단의 관통 구멍(2001)과 절연 셔터(2000)의 최좌단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20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싱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은 부하 측의 절연 셔터는 전원 측의 절연 셔터(2000)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기(1)가 접속 위치에 있을 때, 절연 셔터(2000)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고, 이때의 절연 셔터(2000)의 위치를 제1 위치라 칭한다. 절연 셔터(20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그 각각의 관통 구멍(2001)은 부싱(8 및 9)의 개구부(831, 931)에 대향하여, 이러한 개구부(831, 931)를 개방하고 있다.
이때, 차단기(1)의 각각의 주회로 단자(11, 12)는 절연 셔터(2000)의 관통 구멍(2001)을 관통하여 부싱(8, 9)의 내부 공간(83, 93) 내에 삽입되고, 그 결합부(111, 121)가 각각의 접속 도체(3, 4)의 노출 단부(31, 41)에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기(1)가 접속 위치로부터 단로 위치로 이동하면, 절연 셔터(2000)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제1 위치로부터 배전반의 소정의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거리 L2만큼 이동하여, 도 6의 (b)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의 절연 셔터(2000)의 위치를 제2 위치라 칭한다. 절연 셔터(20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관통 구멍(2001)은 부싱(8 및 9)의 개구부(831, 931)로부터 벗어나, 관통 구멍(2001) 상호의 사이 및 최좌단의 관통 구 멍(2001)과 절연 셔터(2000)의 최좌단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2002)에 의해, 부싱(8, 9)의 개구부(831, 931)를 차폐하고 있다.
또, 절연 셔터(2000)는 예를 들면 차단기(1)의 위치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이동을 실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용이하다. 즉, 차단기(1)가 제1 도에 나타내는 접속 위치로부터 인출되어 제2 도의 단로 위치 혹은 그 근방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절연 셔터(2000)를 도 6의 (a)에 나타내는 제1 위치로부터 도 6의 (b)에 나타내는 제2 위치로 이동시켜 부싱(8, 9)의 개구부(831, 931)를 차폐시키고, 또, 차단기(1)를 도 2에 나타내는 단로 위치로부터 부싱(8, 9) 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의 개시 시점 혹은 그 이동의 도중의 소정 위치를 검출하여, 절연 셔터(2000)를 도 6의 (b)에 나타내는 제2 위치로부터 도 6의 (a)에 나타내는 제1 위치로 이동시켜, 관통 구멍(2001)에 의해 부싱(8, 9)의 개구부(831, 9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배전반에 의하면, 차단기(1)가 접속 위치에 있을 때에도, 주회로 단자(11, 12)를 통과할 수 있는 범위만이 절연 셔터(2000)의 관통 구멍(2001)에 의해 개구하고 있으므로, 절연 셔터(2000)에 의해 부싱(8, 9)을 유지하고 있는 격벽(6) 등의 접지부를 가리고, 차단기(1)의 충전부와 접지부간 절연 셔터(2000)가 절연 배리어로서 존재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절연 거리를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차단기(1)의 주회로 단자(11, 1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차단기(1)의 본체를 소형화가 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1)의 접속 위치와 단로 위치까지의 거리도 단축할 수 있어, 배전 반(100)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절연 셔터(2000)를 배전반(100)의 수평 방향으로 약간의 거리만 이동시키면 좋기 때문에, 절연 셔터(2000)의 설치 스베이스 등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의 주요부의 단면도로서, 차단기가 접속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의 주요부의 단면도로서, 차단기가 단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의 절연 셔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배전반의 절연 셔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배전반의 절연 셔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배전반의 절연 셔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배전반
1 차단기
11, 12 주회로 단자
111, 121 결합부
2 차단기실
3, 4 접속 도체
31, 41 노출 단부
5 측면판
6 격벽
61 격벽의 개구부
7 모선실
8, 9 부싱
81, 91 부싱의 기부
83, 93 부싱의 내부 공간
831, 931 부싱의 개구부
84, 94 부싱의 꼭대기부
82, 92 볼트
20, 30, 2000 절연 셔터
201, 2001 절연 셔터의 관통 구멍
202, 2002 절연 셔터의 부위

Claims (6)

  1. 모선(母線)을 설치한 모선실과, 차단기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차단기실과, 상기 모선실과 상기 차단기실을 나누는 격벽에 고정되고 개구부를 가지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부싱(bushing)과, 상기 모선에 접속되어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 내에 노출된 접속 도체와, 상기 부싱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연 물성의 셔터(shutter)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는 상기 부싱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 단자(端子)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 도체에 접속되며, 반(反)부싱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접속 도체와의 접속이 해방되고, 상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및 삽입되어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차단기의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고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배전반(配電盤)으로서, 상기 부싱은 간격을 통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차단기의 단자는 상기 각각의 부싱에 설치된 상기 접속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각각의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각각의 관통 구멍이 상기 각각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각각의 부싱의 개구부에 대향하여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상기 부위는 상기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이 배열된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에 있는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기 배전반의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4. 모선을 설치한 모선실과, 차단기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차단기실과, 상기 모선실과 상기 차단기실을 나누는 격벽에 고정되고 개구부를 가지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부싱과, 상기 모선에 접속되어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 내에 노출된 접속 도체와, 상기 부싱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연 물성의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는 상기 부싱 측에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 단자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 도체에 접속되며, 반부싱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접속 도체와의 접속이 해방되고, 상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및 삽입되고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차단기의 단자가 상기 부싱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고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배전반으 로서, 상기 부싱은 간격을 통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고, 상기 차단기의 단자는 상기 각각의 부싱에 형성된 상기 접속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차단기의 각각의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함과 동시에,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각각의 관통 구멍이 상기 각각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각각의 부싱의 개구부에 대향하여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상기 부위는 적어도 상기 배열된 복수 개의 관통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기 배전반의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1020070104955A 2007-05-22 2007-10-18 배전반 KR100942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5373A JP2008295124A (ja) 2007-05-22 2007-05-22 配電盤
JPJP-P-2007-00135373 2007-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935A true KR20080102935A (ko) 2008-11-26
KR100942103B1 KR100942103B1 (ko) 2010-02-12

Family

ID=4016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955A KR100942103B1 (ko) 2007-05-22 2007-10-18 배전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295124A (ko)
KR (1) KR100942103B1 (ko)
TW (1) TW200847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822A (ko) 2019-12-04 2021-06-14 엘에스일렉트릭(주) 회전형 셔터 구조를 갖는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0363A (zh) * 2012-08-10 2012-11-21 广东北江开关厂有限公司 一种高压计量手车柜用触头盒
KR102435410B1 (ko) * 2020-07-31 2022-08-24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421A (ja) * 1994-05-27 1995-12-08 Toshiba Corp 配電盤断路部遮蔽装置
KR100417773B1 (ko) * 2001-04-11 2004-02-05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회로차단기용 크레이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822A (ko) 2019-12-04 2021-06-14 엘에스일렉트릭(주) 회전형 셔터 구조를 갖는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95124A (ja) 2008-12-04
TW200847567A (en) 2008-12-01
KR100942103B1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3120B1 (en) A terminal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WO2015064118A1 (ja) 変流器支持装置及びその変流器支持装置を用いたスイッチギヤ
JP5484638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PL194508B1 (pl) Wyłącznik wielobiegunowy
JP3820809B2 (ja) スイッチギヤの断路装置
KR100961777B1 (ko)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942103B1 (ko) 배전반
JPH0724173B2 (ja) 開閉器用補助導線連結装置
US4774628A (en) Metalclad substation subdivided into tight compartments
JP2008283734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およびその組立方法
RU2225667C2 (ru) Силов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частности силов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оздушной изоляцией и выдвижными блоками, для сетей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US3818281A (en) Bus bar and stationary disconnect contact assembly for draw-out switchgear
CN111480272B (zh) 气体绝缘开关装置
EP0196240B1 (en) Metal-clad gas-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KR101070575B1 (ko) 스위치 기어
JP2867743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KR102432165B1 (ko) 스위치기어 조립체를 고전압 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종단부
EP2020669B1 (en) Electrical connection auxiliary module for circuit breakers.
US3229058A (en) Cubicle unitary molding for upper and lower terminal assembly and current transformers
US11804686B2 (en) Compact auxiliary connector
KR20090080961A (ko) 전기 고전압 스위칭 스테이션
FI71045B (fi) Foerdelningsstation
KR20020080100A (ko) 배전반의 회로차단기용 크레이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