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779A - 촬상장치, 얼굴검출방법 및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얼굴검출방법 및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779A
KR20080101779A KR1020080045596A KR20080045596A KR20080101779A KR 20080101779 A KR20080101779 A KR 20080101779A KR 1020080045596 A KR1020080045596 A KR 1020080045596A KR 20080045596 A KR20080045596 A KR 20080045596A KR 20080101779 A KR20080101779 A KR 2008010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detection
face detection
mode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515B1 (ko
Inventor
게이이치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Abstract

사용자에게 번잡한 설정을 실행시키는 일없이, 피사체에 따른 효율적인 얼굴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얼굴검출모드로서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다른 스피드우선모드와 인원수우선모드를 미리 준비한다. 사용자에게 소망으로 하는 얼굴검출모드를 선택시키고, 얼굴검출시에 검출 가능하게 하는 얼굴사이즈의 하한값과, 얼굴영역 검출수의 상한값을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얼굴검출모드에 따른 값으로 설정한다. 또, 셔터 키의 반 누름에 의한 촬영예고가 실행되었을 때, 얼굴검출모드가 스피드우선모드였던 경우에는 그것을 강제적으로 인원수우선모드로 변경한다.
촬상장치, 얼굴검출, 프레임화상, 얼굴탐색영역, 우선설정테이블, 화상정보

Description

촬상장치, 얼굴검출방법 및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IMAGE PICKUP DEVICE, FACE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FACE DETECTION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화상내에 있어서의 인물의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검출기능을 구비한 디지털카메라 등의 촬상장치, 얼굴검출방법 및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 피사체를 CCD나 MOS형의 고체촬상소자를 이용해서 촬상하는 디지털카메라나 디지털비디오카메라 등은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의 촬영시에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얼굴검출기능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얼굴검출기능을 갖는 디지털카메라 등은 일반적으로 검출한 얼굴 부분의 영역(얼굴영역)의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포커스제어나 노출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0-4818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화상을 처리대상으로 한 얼굴검출(얼굴영역의 검출)처리의 고속화나, 쓸데없는 검출처리를 없애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얼굴검출시에 있어서의 처리시간이나 검출인원수, 얼굴면적률(처리대상의 화상 면적과 검출완료 얼굴영역의 합계 면적의 비율) 의 각각의 최대값을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시키고, 어느 하나의 값이 최대값에 이른 시점에서 검출처리를 완료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디지털카메라 등에 상기한 기술을 이용하는 효율적인 얼굴검출을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자(촬영자)는 촬영시에 처리시간이나 검출인원수, 얼굴면적률이라고 하는 얼굴검출동작을 규정하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번잡한 작업을 강요당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용자에게 번잡한 설정을 실행시키는 일없이, 피사체에 따른 효율적인 얼굴검출이 가능하게 되는 촬상장치, 얼굴검출방법 및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련되는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미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얼굴검출모드의 각각에 대응하고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련되는 얼굴검출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방법에 있어서, 얼굴영역 검출시의 동작모드로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얼굴검출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텝과, 상기 선택한 어느 하나의 얼굴검출모드에 대응하고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결정하는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관련되는 얼굴검출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방법에 있어서, 피사체화상으로부터의 얼굴영역의 검출동작을 제 1 얼굴검출모드에 의해 반복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제 1 얼굴검출모드와는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다른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에 관한 소정의 검출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소정의 검출정보의 내용이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을 만족하는 내용인 경우에, 피사체화상으로부터의 얼굴영역의 검출동작모드를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로 변경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관련되는 기록매체는, 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기능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가 갖는 컴퓨터에, 얼굴영역 검출시의 동작모드로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얼굴검출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처리와, 상기 선택한 어느 하나의 얼굴검출모드에 대응하고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결정하는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관련되는 기록매체는, 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기능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가 갖는 컴퓨터에, 피사체화상으로부 터의 얼굴영역의 검출동작을 제 1 얼굴검출모드에 의해 반복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제 1 얼굴검출모드와는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다른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에 관한 소정의 검출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와, 상기 취득한 소정의 검출정보의 내용이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을 만족하는 내용인 경우에, 피사체화상으로부터의 얼굴영역의 검출동작모드를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로 변경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번잡한 설정을 실행시키는 일없이, 피사체에 따른 효율적인 얼굴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촬상장치를 디지털카메라에 의해서 구성한 경우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디지털카메라는 AE (자동노출), AF(오토포커스), 얼굴검출의 각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주로 이하의 각 부로 구성되어 있다.
즉 디지털카메라는 광학계(1)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변환하고, 촬상신호로서 출력하는 CCD(2)를 갖고 있다. CCD(2)는 타이밍생성기(TG, 3)가 생성하는 타이밍신호에 의거하여 CCD구동부(4)가 생성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CCD(2)의 출력신호는 A/D변환기(5)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 화상처리부 (6)로 보내진다.
상기 광학계(1)는 포커스렌즈 및 그것을 광축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렌즈모터를 포함하고 있다. 렌즈모터는 제어부(7)의 지령에 따라서 렌즈구동부(8)가 생성하는 구동신호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렌즈는 광축상에서의 위치가 제어된다.
상기 화상처리부(6)는 A/D변환 후의 촬상신호에 대해서 화소마다의 R, G, B의 색성분데이터(RGB데이터)를 생성하는 RGB보간처리, RGB데이터로부터 휘도신호 (Y)와 색차신호(U, V)로 이루어지는 YUV데이터를 화소마다 생성하는 YUV변환처리, 또한 오토화이트밸런스나 윤곽강조 등의 화상품질향상을 위한 디지털신호처리를 실행한다. 화상처리부(6)에서 변환된 YUV데이터는 순차 SDRAM(9)에 격납된다.
또, 디지털카메라는 액정모니터 및 그 구동회로로 구성되는 표시부(10)를 갖고 있다. 촬영용의 기록모드에서는 SDRAM(9)에 격납된 YUV데이터는 SDRAM(9)에 있어서 1프레임분이 축적될 때마다 화상처리부(6)에 있어서 비디오신호로 변환된다. 그 후, 변환된 비디오신호는 스루화상(through image)으로서 표시부(10, 액정모니터)의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촬영시에는 SDRAM(9)에 일시 기억된 화상데이터가 JPEG변환부(11)에 있어서 JPEG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후, 외부메모리I/F(12)를 통하여, 예를 들면 각종의 메모리카드에 의해 구성되는 외부메모리(13)에 정지화상파일로서 기록된다.
상기 외부메모리(13)에 기록된 정지화상파일은 재생모드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적절하게 판독된다. 또한, 판독된 정지화상파일은 JPEG변환부 (11)에 있어서 신장되고, YUV데이터로서 SDRAM(9)에 전개된다. 그 후, 표시부(10)에 있어서 정지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조작부(14)는 전원 키나, 디지털카메라의 기본 동작모드인 상기 기록모드와 재생모드의 전환을 실행하는 모드전환 키, MENU 키, 셔터 키 등의 복수 키를 포함한다. 각 키는 조작상태를 제어부(7)에 의해 수시 스캔된다. 또한, 셔터 키는 사용자가 촬영예고를 실행하기 위한 반누름위치와 실제의 촬영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전부누름위치의 2단계의 조작이 가능한 소위 하프셔터기능을 갖는 것이다.
얼굴검출처리부(15)는 화상처리부(6)에 의해서 생성된 1프레임분의 화상데이터(이하, 프레임화상이라 한다.)에 대해서, 미리 준비(기억)되어 있는 인물의 얼굴에 관한 윤곽이나 색 등의 모델패턴과 특징이 가까운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얼굴검출을 실행한다. 또한, 얼굴검출처리부(15)는 검출한 얼굴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이하, 얼굴영역이라 한다.)의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그것을 제어부(7)로 보낸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얼굴검출처리부(15)는 상기 프레임화상을 일시 기억하는 프레임메모리와 얼굴검출동작에 필요한 각종의 화상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처리회로, 얼굴검출동작할 때에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복수의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얼굴검출처리부(15)에 있어서의 얼굴영역 검출시의 동작모드(얼굴검출모드)로서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다른 스피드우선모드와 인원수우선모드가 설치되어 있다. 얼굴검출처리부(15)는 이 얼굴검출모드에 따라서 얼굴검출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얼굴검출모드의 종류는 사용자가 적절하게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7)는 CPU 및 그 주변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디지털카메라의 각 부의 제어 및 촬상신호에 포함되는 휘도정보에 의거한 AE제어나, 콘트라스트검출방식에 의한 AF제어, 얼굴검출제어 등을 실행한다. 그들 제어를 제어부(7)에 실행시키기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이나, 각각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는 기억데이터의 개서가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인 플래시메모리(16)에 기억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시메모리(16)는 제어부(7)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 외에,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한, 플래시메모리(16)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디지털카메라의 각종 기능에 관한 설정정보 등도 기억되어 있다. 도 2는 플래시메모리(16)가 기억하는 우선설정테이블(T)의 개념도이다. 우선설정테이블(T)은 상기한 얼굴검출모드(스피드우선모드와 인원수우선모드)에 대응하는 설정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설정테이블(T)에 나타내어진 설정파라미터는 얼굴검출시에 검출 가능한 가장 작은 얼굴사이즈, 즉 얼굴사이즈의 하한값이 되는 가로방향의 화소사이즈 (Xmin) 및 세로방향의 화소사이즈(Ymin)와 검출해야 할 최대의 얼굴의 수, 즉 얼굴검출수의 상한값인 얼굴(Max)이다. 제어부(7)는 우선설정테이블(T)에 나타내어진 설정파라미터를 초기값으로서 얼굴검출처리부(15)의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얼굴검출모드에 있어서, 스피드우선모드는 얼굴검출시의 처리속도를 우선(중 시)한 모드이며, 인원수우선모드는 얼굴검출수, 즉 상세한 얼굴검출을 우선(중시)한 모드이다. 쌍방의 모드에 대응하는 설정파라미터의 값은 각각 모드의 우선내용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에 따른 값으로 되어 있다. 즉, 얼굴검출수의 상한값인 얼굴(Max)은 스피드우선모드에서는 「5인」, 인원수우선모드에서는 「10인」이다. 또, 얼굴사이즈의 하한값인 얼굴사이즈(Xmin, Ymin)는 프레임화상의 세로방향의 사이즈를 100%로 했을 때의 퍼센티지(N%)로서(도 6a 참조), 스피드우선모드에서는 「16%」, 마찬가지로 인원수우선모드에서는 「10%」의 사이즈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화소사이즈(36pix, 22pix)는 후술하는 얼굴검출에 관한 구체적인 동작내용의 설명에 대응하는 편의적인 값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설정파라미터의 값은 이하의 점에 감안하여 결정된 것이다. 즉, 통상, 얼굴검출에 있어서는 검출대상이 되는 화상(이하, 프레임화상이라 한다)에 존재하는 인물의 수나, 인물의 얼굴 크기는 정해져 있지 않다. 따라서, 검출해야 할 얼굴의 사이즈를 작은 사이즈에서 큰 사이즈로 서서히 변화시키면서 프레임화상 내에 존재하는 얼굴(얼굴영역)을 검출한다. 그때 1회의 얼굴검출사이클에 요하는 처리속도는 지금부터 검출하려고 하는 얼굴의 수(얼굴검출수)와 얼굴의 크기(얼굴사이즈)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도 8a는 프레임화상에 인물이 5인 존재하고 각각의 인물의 얼굴사이즈가 같은 경우의 얼굴사이즈에 대한 처리속도(시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회의 얼굴검출사이클에 요하는 처리속도는 더욱 작은 얼굴을 검출하려고 할수록 늦어지고, 또, 어느 정도 이상의 큰 얼굴을 검출하려고 할 경우에는 얼굴 크기의 차이는 처리속도 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 도 8b는 프레임화상에 존재하는 모든 얼굴의 사이즈가 10%인 경우의 얼굴검출수에 대한 처리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회의 얼굴검출사이클에 요하는 처리속도는 검출하려고 하는 얼굴의 수가 적을수록 빨라진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처리속도는 편의적인 것이다.
1회의 얼굴검출사이클에 요하는 처리속도는 지금부터 검출하려고 하는 얼굴의 크기와 그 수, 바꾸어 말하면 패턴대조의 대상인 영역의 크기와 그 영역의 수에 관계하고 있다. 즉, 검출 가능한 얼굴의 사이즈가 클수록 패턴대조의 대상이 되는 영역은 크고, 그 영역의 수는 적다. 또, 검출 가능한 얼굴의 사이즈가 작아짐에 따라 패턴대조의 대상이 되는 영역은 작아지고, 그 영역의 수는 많아진다. 따라서, 대상영역의 화상이 얼굴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대조횟수가 증가하고, 폭발적으로 처리속도가 저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1회의 얼굴검출사이클에 요하는 처리속도는 지금부터 검출하려고 하는 얼굴의 크기(얼굴사이즈)와 얼굴의 수(얼굴검출수)에 관계하고 있다. 또, 그것과는 별도로 프레임화상 내에 존재하는 얼굴의 사이즈와 인원수도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다. 즉, 프레임화상 내에 존재하는 얼굴이 큰 경우는, 얼굴이 밀집하고 있었다고 해도 프레임화상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얼굴의 수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더욱 작은 얼굴을 검출한다면, 검출 가능하게 하는 얼굴의 수는 많지 않으면 안 되는데, 한편, 큰 얼굴만을 검출한다면, 검출 가능하게 하는 얼굴의 수는 작게 해도 좋다고 하는 것이 된다.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 어서는 스피드우선모드에 대응하는 설정파라미터의 값으로서 얼굴(Max, 얼굴검출수의 상한값)에 「5인」이, 얼굴사이즈(검출사이즈의 하한값)에 「16%」가 설정되어 있다. 또, 인원수우선모드에 대응하는 설정파라미터의 값으로서 얼굴(Max)에 「10인」이, 얼굴사이즈에 「10%」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카메라의 얼굴검출에 관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 제어부(7)는 기록모드에 있어서의 촬영대기상태에 있어서 얼굴검출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소정의 프레임속도의 촬상동작으로 취득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프레임화상)를 대상으로 하여 얼굴검출처리부(15)에 얼굴검출을 실행시킨다. 제어부(7)는 얼굴검출처리부(15)의 얼굴검출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그 직후에 취득한 새로운 프레임화상을 얼굴검출처리부(15)로 보낸다. 얼굴검출처리부 (15)는 제어부(7)로부터 새로운 프레임화상을 받아들이면, 프레임속도와는 비동기로 수시 얼굴검출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 얼굴검출처리부(15)는 상기 프레임화상의 바깥둘레부를 제외한 거의 전체영역을 얼굴탐색영역으로 하고, 이 얼굴탐색영역에 대해 얼굴검출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그 얼굴탐색영역의 사이즈가 290픽셀×220픽셀인 것으로 한다(도 5 참조).
이하, 구체적인 동작내용을 도 3 및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는 기록모드에 있어서 얼굴검출기능이 ON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얼굴검출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록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7)는 플래시메모리(16)로부터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예 를 들면 지난번의 얼굴검출기능의 사용시에 설정되어 있었던) 얼굴검출모드의 종류에 대한 설정정보를 취득한다(스텝SA1).
그리고, 제어부(7)는 얼굴검출모드로서 스피드우선모드와 인원수우선모드의 어느 것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스텝SA2). 다음으로, 제어부(7)는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른 설정파라미터를 상기 우선설정테이블(T, 도 2)로부터 판독하고, 그것을 얼굴검출동작에 사용하는 초기값으로서 얼굴검출처리부(15)에 설정한다. 즉, 「스피드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제어부(7)는 얼굴사이즈(Xmin, Ymin)로서 「36, 36」을 설정하고, 또한 얼굴검출수의 상한값(얼굴 (Max))에 「5」를 설정한다(스텝SA3). 한편, 「인원수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제어부(7)는 얼굴사이즈(Xmin, Ymin)로서 「22, 22」를 설정하고, 또한 얼굴검출수의 상한값(얼굴(Max))에 「10」을 설정한다(스텝SA4).
이후, 사용자에 의한 얼굴검출모드의 전환조작이나, 셔터 키의 반누름조작이 없으면(스텝SA5, SA7가 모두 NO), 제어부(7)에 의해서 프레임화상이 얼굴검출처리부(15)에 보내질 때마다, 도 4의 스텝SA10∼SA23의 처리에 의한 얼굴검출동작이 얼굴검출처리부(15)에 있어서 반복 실행된다. 도 5는 프레임화상(100)에 있어서의 얼굴탐색영역(101)과 얼굴검출동작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굴검출처리부(15)는 우선 패턴대조를 실행해야 할 얼굴검출영역(102)의 사이즈(Xf, Yf)를 제어부(7)에 의해서 설정된 초기값 (Xmin, Ymin)으로 한다(스텝SA10). 또, 얼굴검출처리부(15)는 검출카운터의 값을 「0」으로 한다(스텝SA11). 또한, 얼굴검출처리부(15)는 얼굴검출영역(102)의 시 점(Xs, Ys)의 값을 「0」으로 하는 동시에 얼굴검출영역(102)의 종점(Xe, Ye)을 시점(Xs, Ys) 및 사이즈(Xf, Yf)에 따른 값으로 한다(스텝SA12). 이와 같이, 얼굴검출처리부(15)는 파라미터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시점(Xs, Ys) 및 종점(Xe, Ye)은 프레임화상(100)에 있어서의 얼굴탐색영역(101) 내에서의 좌표위치이다. 그리고 나서, 얼굴검출처리부(15)는 상기 사이즈(Xf, Yf)의 얼굴검출영역 (102)을 대상으로 하여 패턴대조에 의한 얼굴검출처리를 실행한다(스텝SA13). 그리고, 얼굴검출처리부(15)는 똑같은 얼굴검출처리를 이하의 순서로 얼굴검출영역 (102)의 위치 및 크기를 갱신하면서 반복 실행한다.
우선, 얼굴검출처리부(15)는 얼굴검출영역(102)의 X방향 및 Y방향의 시프트단위(ΔX,ΔY)로서 그 시점의 얼굴검출영역사이즈(Xf, Yf)의 20%를 설정한다(스텝SA17). 그 후, 얼굴검출처리부(15)는 얼굴검출영역(102)을 X방향으로 상기 시프트단위(ΔX)분만큼 이동하기 위해 시점(Xs) 및 종점(Xe)을 갱신한다(스텝SA18). 그리고, 얼굴검출처리부(15)는 X방향의 종점(Xe)이 얼굴탐색영역(101) 우단의 좌표위치(여기에서는 290)를 넘을 때까지(스텝SA19에서 NO), 똑같은 처리에 의해서 얼굴검출영역(102)을 X방향으로 이동할 때마다 얼굴검출처리를 실행한다.
또, 얼굴검출처리부(15)는 얼굴검출영역(102)의 X방향의 종점(Xe)이 얼굴탐색영역(101) 우단의 좌표위치(290)를 넘을 때마다(스텝SA19에서 YES), 얼굴검출영역(102)을 Y방향으로 상기 시프트단위(ΔY)분만큼 이동하고, 또한 X방향의 위치를 좌단으로 이동하기 위해 시점(Xs, Ys) 및 종점(Xe, Ye)을 갱신한다(스텝SA20). 그리고, 얼굴검출처리부(15)는 Y방향의 새로운 위치에서 X방향으로의 이동을 반복하 면서, 이동할 때마다 얼굴검출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얼굴검출처리부(15)는 새로운 Y방향의 종점(Ye)이 얼굴탐색영역(101) 하단의 좌표위치(이 예에서는 220)를 넘을 때까지, 얼굴검출영역(102)의 이동을 반복 실행한다(스텝SA21에서 NO). 즉, 얼굴검출처리부(15)는 얼굴검출영역(102)을 조금씩(시프트단위(ΔX,ΔY)씩) 얼굴탐색영역(101)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한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얼굴검출처리를 반복한다.
또, 얼굴검출처리부(15)는 얼굴검출영역(102)의 Y방향의 종점(Ye)이 얼굴탐색영역(101) 하단의 좌표위치를 넘을 때마다(스텝SA21에서 YES), 그 시점의 얼굴검출영역(102)의 X방향 및 Y방향의 사이즈(Xf, Yf)를 각각 1.2배의 사이즈로 확대한다(스텝SA22). 이후, 얼굴검출처리부(15)는 새로운 사이즈(Xf, Yf)의 얼굴검출영역(102)을 상기한 바와 같이 얼굴탐색영역(101)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한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얼굴검출처리를 반복한다(스텝SA23에서 NO).
또한, 얼굴검출처리부(15)는 상기의 얼굴검출처리를 반복 실행하는 사이, 얼굴을 검출할 수 있을 때마다(스텝SA14에서 YES), 검출카운터의 값을 카운트업한다(스텝SA15). 그리고, 얼굴검출처리부(15)는 상기 검출카운터의 값, 즉 얼굴검출수가 상한값(얼굴(Max))에 이르는지(스텝SA16에서 YES), 또는, 스텝SA22에서 설정한 얼굴검출영역(102)의 사이즈(Xf, Yf)가 미리 정해져 있는 최대사이즈(Xmax, Ymax)를 넘은(스텝SA23로 YES) 경우, 프레임화상(100)에 대한 얼굴검출동작을 완료한다. 그리고 나서, 처리는 도 3의 스텝SA5로 되돌아간다.
얼굴검출모드의 전환조작이나, 셔터 키의 반누름조작이 없으면(스텝SA5, SA7 가 모두 NO), 새로운 프레임화상에 대해서 상기한 도 4의 스텝SA10∼SA23의 얼굴검출동작이 반복 실행된다.
또, 흐름도에는 나타내지 않는데, 얼굴검출처리부(15)는 상기 얼굴검출동작의 스텝SA15에서 검출카운터의 값을 카운트업할 때, 그 시점의 얼굴검출영역(102)의 좌표정보(시점(Xs, Ys) 및 종점(Xe, Ye))를 제어부(7)로 보낸다. 제어부(7)는 송신된 좌표정보에 의거하여 얼굴영역을 나타내는 얼굴검출프레임을 스루화상상에 축차(逐次) 중첩해서 표시한다. 도 6a, 도 6b는 프레임화상에 대한 얼굴검출동작, 즉 1사이클의 얼굴검출처리가 완료된 시점에 있어서의 얼굴검출프레임(A)이 표시된 상태의 스루화상(110)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상기 얼굴검출프레임(A)의 표시는 제어부(7)가 SDRAM(9)에 격납된 스루화상용의 YUV데이터에 얼굴검출프레임(A)의 OSD(On Screen Display)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실행된다. 또, 얼굴검출처리부(15)에 의해 검출된 얼굴영역은, 예를 들면 제어부(7)에 의해서 AE제어가 실행될 때의 측광영역으로서 사용되거나, AF제어가 실행될 때의 콘트라스트값의 취득영역(AF평가영역)으로서 사용되거나 한다.
또,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얼굴검출모드의 전환이 실행된 경우에는(스텝SA5에서 YES), 제어부(7)는 얼굴검출처리부(15)에 설정된 설정값, 즉 얼굴사이즈(Xmin, Ymin)와 얼굴검출수의 상한값(얼굴(Max))의 값을 새로운 모드(스피드우선모드 또는 인원수우선모드)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한다(스텝SA6). 그 후, 얼굴검출처리부(15)는 변경 후의 설정값에 의거하여 상기한 얼굴검출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서 모드설정(변경)용의 소정의 키 조작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7)는 그 조작에 응답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드선택화면(200)을 표시부(10)에 표시한다. 모드선택화면(200)에 있어서, 사용자가 커서이동의 조작 등에 의해 얼굴검출모드(스피드우선모드 또는 인원수우선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 (7)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를 새로운 얼굴검출모드로서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서 셔터 키가 반 눌러진 경우(스텝SA7에서 YES), 제어부 (7)는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얼굴검출모드가 스피드우선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8). 그리고, 스피드우선모드라고 판별된 경우(스텝SA8에서 YES), 제어부(7)는 얼굴검출처리부(15)에 그 시점에 있어서의 얼굴검출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시점에서 설정하고 있는 얼굴사이즈(Xmin, Ymin)와 얼굴검출수의 상한값(얼굴 (Max))의 값을 인원수우선모드에 대응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변경한다(스텝SA9). 그 후 셔터 키가 반 눌러져 있는 사이, 제어부(7)는 프레임화상에 대한 얼굴검출동작을 인원수우선모드에 의해서 실행시킨다. 또한, 흐름도에는 나타내지 않는데, 스텝SA9에서 상기 설정값을 인원수우선모드에 대응하는 값으로 일시적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7)는 셔터 키의 반누름상태가 해제된 시점에서 상기 설정값을 스피드우선모드의 설정값으로 되돌린다. 이후, 촬영대기상태에 있어서는 얼굴검출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이, 스텝SA5∼SA23에 의한 동작을 반복한다.
여기에서,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얼굴검출모드로서 스피드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얼굴검출수의 상한값(얼굴(Max))이 「5」, 또한 얼굴검출영역(102) 사이즈의 초기값이 「36, 36」(얼굴사이즈로 16%)로 설정된다. 또, 인원수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얼굴검출수의 상한값(얼굴(Max))이 「10」, 또한 얼굴검출영역(102) 사이즈의 초기값이 「22, 22」(얼굴사이즈로 10%)로 설정된다.
그로 인해, 스피드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인원수우선모드에 비하면 검출할 수 있는 얼굴의 수(얼굴검출수)나 얼굴사이즈라고 하는 얼굴검출성능은 뒤떨어지지만, 1회의 얼굴검출사이클에 요하는 처리속도가 고속으로 되기 때문에 얼굴검출동작에 높은 응답성이 확보된다. 즉 화각이 변화하거나, 화각 내의 인물이 움직이거나 했을 때에는 상기한 얼굴검출프레임(A, 도 6a, 도 6b)을 즉시 그것에 추종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인원수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스피드우선모드에 비하면 응답성능은 뒤떨어지지만, 먼 작은 얼굴까지도 검출할 수 있고, 또 많은 인원수의 얼굴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세한 얼굴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 사용자(촬영자)는 얼굴검출모드의 종류만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화각 내에 있어서의 인원수나, 얼굴의 크기라고 하는 피사체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얼굴검출을 디지털카메라에 실행시킬 수 있다.
또, 사용자가 검출 가능한 얼굴사이즈나, 검출 가능한 얼굴검출수라고 하는 파라미터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경우, 사용자는 그들 설정(파라미터간의 값의 조합)에 습숙(習熟)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큰 얼굴만을 신속하게 검출시키고 싶을 때에는 검출 가능하게 하는 얼굴검출수(상한인원수)는 줄이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상기 파라미터의 설정에 습숙하고 있지 않고, 상한인원수를 많이 설정하 여 버린 경우, 결과적으로 의도한 응답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그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얼굴검출모드의 종류만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누구나가 피사체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른 효율적인 얼굴검출을 디지털카메라에게 확실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셔터 키가 반 눌러지고 나서 그 상태가 해제되기까지의 사이는, 지금까지의 얼굴검출모드와는 관계없이(강제적으로), 얼굴검출모드는 인원수우선모드로 설정된다. 그로 인해, 촬영시는 항상, 상세한 얼굴검출동작에 의해서 최적인 AF제어나 AE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상기한 셔터 키의 반누름에 동반하는 인원수우선모드로의 변경은 셔터 키가 반 눌러졌을 때만, 일시적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얼굴검출모드가 얼굴검출시의 처리속도를 우선한 스피드우선모드와, 얼굴검출수(상세한 얼굴검출)를 우선한 인원수우선모드의 2종류뿐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미리 설치하여 두는 복수의 얼굴검출모드는 3종류 이상이라도 좋다. 또, 각각의 얼굴검출모드는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의 조합에 의해서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다른 것이라면 좋다. 즉 얼굴검출시의 처리속도나 검출 가능한 얼굴의 수 이외의 동작내용을 우선(중시)하는 모드라도 상관없다.
또, 얼굴검출모드로서, 예를 들면 스피드우선모드와 인원수우선모드에 덧붙여서 또 다른 모드를 설치하는 경우도, 본 실시형태와 똑같이 셔터 키가 반 눌러지 고 나서 그 상태가 해제되기까지의 사이만 복수의 얼굴검출모드 중에서 얼굴영역의 검출정밀도가 가장 높은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촬영시에 더욱 적절한 AF제어나 AE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얼굴검출모드의 설정(전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디지털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기본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데, 상기 플래시메모리(16)의 제어부(7)에 이하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이하, 제어부(7)에 있어서의 얼굴검출에 관한 처리내용을 도 9 및 도 10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는 기록모드에 있어서 얼굴검출기능이 ON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얼굴검출기능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록모드가 설정되면, 우선 인원수우선플래그를 OFF상태로 설정하는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B1). 계속해서, 제어부(7)는 얼굴검출모드로서 인원수우선모드를 설정한다. 즉, 제어부(7)는 인원수우선모드에 따른 설정파라미터를 상기 우선설정테이블(T, 도 2)로부터 판독하고, 그것을 얼굴검출동작에 사용하는 초기값으로서 얼굴검출처리부(15)에 설정한다(스텝SB2). 다음으로, 제어부(7)는 얼굴검출처리부(15)에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얼굴검출동작을 실행시킨다(스텝SB3).
그 후, 제어부(7)는 얼굴검출처리부(15)에 있어서 프레임화상에 대한 1사이클의 얼굴검출처리가 완료될 때까지의 사이는(스텝SB8에서 NO), 얼굴검출처리부 (15)에 있어서 얼굴이 검출될 때마다(스텝SB4에서 YES), 얼굴검출처리부(15)로부터 받아들이고 있는 상기 얼굴검출영역(102, 도 5 참조)의 좌표정보(시점(Xs, Ys) 및 종점(Xe, Ye))에 의거하여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가 16%미만인지 아닌지 및 얼굴검출할 수 있었던 얼굴의 수(얼굴검출수)가 상한, 즉 인원수우선모드의 상한값(얼굴 (Max))인 10인에 이르렀는지 아닌지에 대해 각각 판별한다(스텝SB5, SB7).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가 16%미만이라고 판별되고, 프레임화상 내에 비교적 작은 얼굴을 검출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스텝SB5에서 YES), 제어부(7)는 인원수우선플래그를 ON상태로 설정한다(스텝SB6).
이윽고, 얼굴검출수가 상한에 이른 시점(스텝SB7에서 YES), 또는 얼굴검출수가 상한에 이르러 있지 않아도, 1사이클의 얼굴검출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스텝SB8에서 YES), 제어부(7)는 지금까지의 사이에 얼굴검출처리부(15)로부터 보내져 온 모든 좌표정보에 의거하여 1 또는 복수의 얼굴검출프레임을 스루화상에 표시한다(스텝SB9).
계속해서, 인원수우선플래그가 ON상태이면(스텝SB10에서 YES), 제어부(7)는 그것을 일단 OFF상태로 고쳐 설정한다(스텝SB11). 그 후, 제어부(7)는 스텝SB3으로 되돌아가고, 인원수우선모드인채 다음의 프레임화상에 대한 얼굴검출처리를 얼굴검출처리부(15)에 실행시킨다(스텝SB3). 즉 직근(直近)의 프레임화상에 있어서 검출할 수 있었던 1 또는 복수의 얼굴 중에 그 사이즈가 16%미만의 얼굴이 1개라도 포함되어 있었던 경우로서, 검출할 수 있었던 얼굴의 사이즈가 스피드우선모드에 의한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내용인 경우에는, 제어부(7)는 얼굴검출처리부(15)에 인원수우선모드에 의한 얼굴검출처리를 계속시킨다. 따라서, 피 사체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른 효율적인 얼굴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인원수우선플래그가 ON상태가 아닌 경우(스텝SB10에서 NO),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는 얼굴검출모드를 인원수우선모드에서 스피드우선모드로 전환한다(스텝SB12). 즉 인원수우선모드에 있어서 바로 옆의 프레임화상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었던 얼굴의 사이즈가 모두 16%이상이었던 경우, 제어부(7)는 얼굴검출모드를 인원수우선모드에서 스피드우선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7)는 스피드우선모드에 따른 설정파라미터를 상기 우선설정테이블(T, 도 2)로부터 판독하고, 그것을 얼굴검출동작에 사용하는 초기값으로서 얼굴검출처리부(15)에 설정한다. 동시에, 제어부(7)는 그 이후에 있어서의 소정시간(3초)에 1회의 동작타이밍을 얻기 위한 타이밍 카운터 동작을 개시한다(스텝SB13). 다음으로, 제어부(7)는 얼굴검출처리부(15)에 스피드우선모드에 의한 얼굴검출동작을 실행시킨다(스텝SB14).
그 후, 제어부(7)는 얼굴검출처리부(15)에 있어서 프레임화상에 대한 1사이클의 얼굴검출처리가 완료되기까지의 사이는(스텝SB17에서 NO), 얼굴검출처리부 (15)에 있어서 얼굴이 검출될 때마다(스텝SB15에서 YES), 그 시점까지에 얼굴검출할 수 있었던 얼굴의 수(얼굴검출수)가 상한, 즉 스피드우선모드의 상한값(얼굴 (Max))인 5명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수시 판별한다(스텝SB16).
이윽고, 얼굴검출수가 상한값에 이르렀거나(스텝SB16에서 YES), 또는 얼굴검출수가 상한에 이르러 있지 않아도, 1사이클의 얼굴검출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스텝SB17에서 YES), 제어부(7)는 지금까지의 사이에 얼굴검출처리부(15)로부터 보내 져 온 모든 좌표정보에 의거하여 1 또는 복수의 얼굴검출프레임을 스루화상에 표시한다(스텝SB18).
계속해서, 상기한 3초에 1회의 동작타이밍이 아니면(스텝SB19에서 NO), 제어부(7)는 스텝SB14로 되돌아간다. 즉, 제어부(7)는 스피드우선모드인채 다음의 프레임화상에 대한 얼굴검출처리를 얼굴검출처리부(15)에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피사체에 따른 효율적인 얼굴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를 반복하는 사이에 3초에 1회의 동작타이밍이 도래되었으면(스텝SB19에서 YES), 제어부(7)는 상기한 도 9의 스텝S2로 되돌아가고, 얼굴검출모드를 스피드우선모드에서 인원수우선모드로 전환한다. 그 후, 제어부(7)는 상기한 스텝SB10까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지난번 인원수우선모드에서 얼굴검출이 실행된 후, 예를 들면 화각 내의 어느 하나의 인물이 카메라로부터 멀어지거나, 새롭게 인물이 화각 내로 들어가거나 한 것 같은 피사체의 상태변화가 있었던 것에 의해 16%미만의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얼굴이 검출된 경우(스텝SB5에서 YES), 제어부(7)는 인원수우선플래그를 ON상태로 설정한다(스텝SB6). 제어부(7)는 인원수우선플래그를 ON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인원수우선모드인채 얼굴검출처리부 (15)에 상세한 얼굴검출처리를 반복 실행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3초에 1회의 인원수우선모드에 있어서, 얼굴검출처리중에 16%미만의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얼굴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에는(스텝SB5∼SB10), 제어부(7)는 얼굴검출모드를 스피드우선모드로 되돌린다(스텝SB12). 그 후, 제어부(7)는 다시, 얼굴검출처리부(15)에 고속의 얼굴검출처리를 반복 실행시 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얼굴검출모드의 종류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촬영자)에게 전혀 부담을 주는 일없이, 화각 내에 있어서의 인원수나, 얼굴의 크기라고 하는 피사체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얼굴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얼굴검출처리가 스피드우선모드에서 일시적으로 인원수우선모드로 변경됨으로써 인원수우선모드의 얼굴검출결과로부터 인원수우선모드로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가 수시 판별된다. 그래서, 인원수우선모드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인원수우선모드로의 변경이 실행되기 때문에 임의의 시점에서 피사체의 구체적인 내용이 변화했다고 해도, 즉시 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정의 검출정보는 인원수우선모드의 얼굴검출동작에서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이다. 이 소정의 검출정보가 스피드우선모드에 있어서의 검출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얼굴검출모드를 스피드우선모드로 변경하도록 했는데,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인원수우선모드의 얼굴검출동작에서 검출된 인원수가 스피드우선모드의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얼굴검출모드를 스피드우선모드로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인원수우선모드의 얼굴검출동작에서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 또는 얼굴검출수 중의 어느 한쪽이 스피드우선모드의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만족할 경우, 혹은, 인원수우선모드의 얼굴검출동작에서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와 얼굴검출수의 쌍방이 스피드우선모드의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얼굴검출모드를 스피드우선모드로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얼굴검출모드를 더욱 한층 확실하게 피사체의 구체적인 내용에 적합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얼굴검출모드가 스피드우선모드와 인원수우선모드로서, 각 모드에 있어서의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검출 가능한 가장 작은 얼굴사이즈(얼굴사이즈의 하한값)와 검출 가능하게 하는 최대의 얼굴의 수(얼굴검출수의 상한값)라고 하는 복수의 파라미터의 값에 의거하는 것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얼굴검출모드의 각각에 있어서의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단일의 파라미터의 값에 의거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얼굴검출모드의 각각은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달리 있으면, 검출조건이 검출 가능한 가장 작은 얼굴사이즈에만 의거하는 모드나, 검출조건이 검출해야 할 최대의 얼굴의 수에만 의거하는 모드라도 상관없다.
또, 얼굴검출모드의 각각에 있어서의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은, 단일, 혹은 2개의 파라미터의 값에 의거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3종류 이상의 파라미터에 의거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단, 그 경우, 얼굴검출모드의 변경의 필요와 불필요를 자동적으로 판별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얼굴검출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은 얼굴검출모드의 종류가 많을수록 복잡하게 된다.
또, 얼굴검출모드로서 상기한 스피드우선모드 및 인원수우선모드는 다른 모드를 가질 경우, 각 모드에 있어서의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에 따라서 다르지만,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즉, 얼굴검출모드를 한쪽의 모드에서 다른 쪽의 모드로 변경한 후에는, 얼굴검출모드를 일시적으로 한쪽의 모드로 변경하는 일없이, 다른 쪽의 모드에 의한 얼굴검출을 반복하는 사이에 얼굴검출처리할 때에 취득한 소정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한쪽의 모드로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수시 판별한다. 여기에서, 모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얼굴검출모드를 다른 쪽의 모드에서 한쪽의 모드로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화상에 대해서 얼굴검출을 실행하는 얼굴영역의 좌표정보를 취득하는 얼굴검출처리부(15)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와 같은 디지털카메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얼굴검출처리부(15)를 갖는 일없이, 제어부(7)가 프레임화상에 대해서 얼굴검출을 실행하고 얼굴영역의 좌표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의 디지털카메라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을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할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은 얼굴검출기능을 갖는 것이면, 휴대전화단말 등의 다른 정보기기에 내장된 디지털카메라나, 디지털비디오카메라 등의 다른 촬상장치, 또 얼굴검출기능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등의 다른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보다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및 청구항과 동일한 의미 내에서 이뤄지는 여러 가지 변형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출원은 2007년 5월 18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133353호에 의거하며, 그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을 포함하는 모든 공개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사항으로서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디지털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우선설정테이블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얼굴검출에 관한 동작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계속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프레임화상에 있어서의 얼굴탐색영역과 얼굴검출동작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a는 얼굴검출프레임이 표시된 상태의 스루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얼굴검출프레임이 표시된 상태의 스루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모드선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1회의 얼굴검출사이클에 요하는 처리속도와 검출하는 얼굴사이즈의 관계를 나타내는 처리속도의 특성도이다.
도 8b는 1회의 얼굴검출사이클에 요하는 처리속도와 검출하려고 하는 얼굴의 수(인원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처리속도의 특성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얼굴검출에 관한 제어부의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에 계속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CCD 6: 화상처리부
7: 제어부 9: SDRAM
10: 표시부 13: 외부메모리
14: 조작부 15: 얼굴검출처리부
16: 플래시메모리 100: 프레임화상
101: 얼굴탐색영역 102: 얼굴검출영역
110: 스루화상 200: 모드선택화면
T: 우선설정테이블

Claims (16)

  1.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미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얼굴검출모드의 각각에 대응하고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얼굴영역 검출시의 동작모드로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얼굴검출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얼굴검출수단은 상기 선택제어수단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얼굴검출모드에 대응하고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결정하는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제어수단은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서 얼굴영역 검출시의 동작모드로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얼굴검출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시킨 어느 하나의 얼굴검출모드에 대응하고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결정하는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얼굴검출수단은 상기 파라미터설정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각 얼굴검출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을 기억하는 파라미터기억수단과,
    상기 선택제어수단이 사용자에게 선택시킨 어느 하나의 얼굴검출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을 상기 파라미터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파라미터판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얼굴검출수단은 상기 파라미터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라미터는 상기 피사체화상으로부터의 얼굴영역의 검출수이며,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상기 피사체화상으로부터 검출 가능하게 하는 얼굴영역의 최소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수단과,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서 상기 피사체화상의 화상기록수단으로의 기록을 지시하는 촬영지시 및 해당 촬영지시에 앞서는 촬영준비를 실행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한 촬영준비가 실행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얼굴검출수단의 얼굴검출모드를 상기 촬영준비가 실행된 시점의 얼굴검출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복수의 얼굴검출모드 중에서 얼굴영역의 검출정밀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얼굴검출모드로 제어하는 모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검출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동시에, 동작모드로서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다른 제 1 얼굴검출모드 및 제 2 얼굴검출모드를 가지며,
    상기 얼굴검출수단이 제 1 얼굴검출모드에 의해 얼굴영역의 검출동작을 반복하는 사이에,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에 관한 소정의 검출정보를 취득 하는 동시에, 취득한 소정의 검출정보의 내용이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을 만족하는 내용인 경우에, 상기 얼굴검출수단의 동작모드를 제 2 얼굴검출모드로 변경하는 모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제어수단은 상기 얼굴검출수단이 제 2 얼굴검출모드에 의해 얼굴영역의 검출동작을 반복하는 사이에, 상기 제 1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에 관한 소정의 검출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취득한 소정의 검출정보의 내용이 상기 제 1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을 만족하는 내용인 경우에, 상기 얼굴검출수단의 동작모드를 제 1 얼굴검출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제어수단은 상기 얼굴검출수단이 제 2 얼굴검출모드에서 얼굴영역의 검출동작을 반복하는 사이에, 일정기간마다 상기 얼굴검출수단에 제 1 얼굴검출모드에 의한 얼굴영역의 검출동작을 실행시키고, 제 1 얼굴검출모드에 의한 상기 얼굴검출수단의 얼굴영역의 검출동작할 때에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에 관한 소정의 검출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취득한 소정의 검출정보의 내용이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을 만족하는 내용이 아닌 경우에, 상기 얼굴검출수단의 동작모드를 제 1 얼굴검출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검출수단은 제 1 얼굴검출모드 및 제 2 얼굴검출모드에 있어서 복수 사이즈의 얼굴영역을 검출대상으로 한 검출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모드제어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에 관한 소정의 검출정보에는 상기 얼굴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얼굴영역의 사이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을 상기 얼굴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얼굴영역을 나타내는 화상과 함께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방법에 있어서,
    얼굴영역 검출시의 동작모드로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얼굴검출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텝과,
    상기 선택한 어느 하나의 얼굴검출모드에 대응하고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결정하는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검출방법.
  14.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화상으로부터의 얼굴영역의 검출동작을 제 1 얼굴검출모드에 의해 반복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상기 제 1 얼굴검출모드와는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다른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에 관한 소정의 검출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소정의 검출정보의 내용이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을 만족하는 내용인 경우에, 상기 피사체화상으로부터의 얼굴영역의 검출동작모드를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로 변경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검출방법.
  15.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기능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가 갖는 컴퓨터에,
    얼굴영역 검출시의 동작모드로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얼굴검출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처리와,
    상기 선택한 어느 하나의 얼굴검출모드에 대응하고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을 결정하는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상기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6. 피사체화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기능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가 갖는 컴퓨터에,
    상기 피사체화상으로부터의 얼굴영역의 검출동작을 제 1 얼굴검출모드에 의해 반복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상기 제 1 얼굴검출모드와는 얼굴영역의 검출조건이 다른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에 관한 소정의 검출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와,
    상기 취득한 소정의 검출정보의 내용이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의 검출조건을 만족하는 내용인 경우에, 상기 피사체화상으로부터의 얼굴영역의 검출동작모드를 상기 제 2 얼굴검출모드로 변경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80045596A 2007-05-18 2008-05-16 촬상장치, 얼굴검출방법 및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951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3353A JP4315215B2 (ja) 2007-05-18 2007-05-18 撮像装置、及び顔検出方法、顔検出制御プログラム
JPJP-P-2007-00133353 2007-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779A true KR20080101779A (ko) 2008-11-21
KR100951515B1 KR100951515B1 (ko) 2010-04-07

Family

ID=4002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596A KR100951515B1 (ko) 2007-05-18 2008-05-16 촬상장치, 얼굴검출방법 및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8019129B2 (ko)
JP (1) JP4315215B2 (ko)
KR (1) KR100951515B1 (ko)
CN (2) CN101945222B (ko)
TW (1) TWI3730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9488B2 (ja) 2007-08-31 2012-12-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顔認識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9089174A (ja) * 2007-10-01 2009-04-23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撮影方法
JP2009277027A (ja) * 2008-05-15 2009-11-26 Seiko Epson Corp 画像における顔の器官の画像に対応する器官領域の検出
JP5067884B2 (ja) * 2008-08-07 2012-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65320B1 (ko) * 2008-10-08 2010-06-22 삼성전기주식회사 연속 오토포커스 자동 제어장치 및 자동 제어방법
JP5523343B2 (ja) * 2008-12-05 2014-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顔検出装置
JP2010147808A (ja) * 2008-12-18 2010-07-01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JP4760918B2 (ja) * 2009-01-23 2011-08-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被写体追従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77283B2 (ja) * 2009-03-25 2013-04-03 富士通株式会社 再生制御プログラム、再生制御方法及び再生装置
JP2010251817A (ja) * 2009-04-10 2010-11-04 Sony Corp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022203A (ja) * 2009-07-13 2011-02-03 Fujifilm Corp Af枠自動追尾システムおよびaf枠自動追尾方法
KR20110060295A (ko) * 2009-11-30 2011-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68078A (ko) * 2010-10-26 201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연결 방법
JP5182352B2 (ja) * 2010-11-16 2013-04-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合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805311A4 (en) 2012-01-20 2015-10-07 Thomson Licensing USER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3489107B (zh) * 2013-08-16 2015-11-2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制作虚拟试衣模特图像的方法和装置
RU2613852C2 (ru) * 2014-10-03 2017-03-21 Юрий Николаевич Хомяков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личности человека по цифровому изображению лица
US9986289B2 (en) 2015-03-02 2018-05-29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count people
CN106210514B (zh) * 2016-07-04 2019-04-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对焦的方法、装置及智能设备
KR102488563B1 (ko) * 2016-07-29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등적 뷰티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019251B2 (en) 2017-01-30 2021-05-25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US10917563B2 (en) * 2018-12-07 2021-02-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7200965B2 (ja) * 2020-03-25 2023-01-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5126B2 (en) * 1992-05-05 2008-08-1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Occupant sensing system
JP2000048184A (ja) * 1998-05-29 2000-02-18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顔領域抽出方法とその装置
US6445819B1 (en) * 1998-09-10 2002-09-03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6226409B1 (en) * 1998-11-03 2001-05-0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ultiple mode probability density estimation with application to sequential markovian decision processes
US6639998B1 (en) * 1999-01-11 2003-10-2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cting a specific object in an image signal
US7092569B1 (en) * 1999-07-29 2006-08-15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specified image subjects
US6940545B1 (en) * 2000-02-28 2005-09-06 Eastman Kodak Company Face detecting camera and method
US20040051336A1 (en) * 2002-09-17 2004-03-18 Dah-Shiarn Chiao Conformal weather shield and garments
KR100474312B1 (ko) * 2002-12-1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주밍 방법
US7362919B2 (en) * 2002-12-12 2008-04-2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generating customized photo album pages and prints based on people and gender profiles
JP4461789B2 (ja) * 2003-03-20 2010-05-12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3845867B2 (ja) * 2003-03-27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338560B2 (ja) 2003-04-14 2009-10-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の特徴部分抽出方法及び特徴部分抽出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と画像処理装置
US20040207743A1 (en) * 2003-04-15 2004-10-21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system
US7440593B1 (en) * 2003-06-26 2008-10-21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of improving orientation and color balance of digital images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7920723B2 (en) * 2005-11-18 2011-04-05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Two stage detection for photographic eye artifacts
US7574016B2 (en) * 2003-06-26 2009-08-11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8948468B2 (en) * 2003-06-26 2015-02-03 Fotonation Limited Modification of viewing parameters for digital images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US7616233B2 (en) * 2003-06-26 2009-11-10 Fotonation Vision Limited Perfecting of digital image capture parameters within acquisition devices using face detection
FR2857481A1 (fr) * 2003-07-08 2005-01-14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visages dans une image couleur
JP2005117242A (ja) 2003-10-06 2005-04-2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046079B2 (ja) * 2003-12-10 2008-02-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5182196A (ja) * 2003-12-16 2005-07-07 Canon Inc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215750A (ja) * 2004-01-27 2005-08-11 Canon Inc 顔検知装置および顔検知方法
US7620242B2 (en) * 2004-04-06 2009-11-17 Fujifilm Corporation Particular-regio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JP2006018805A (ja) 2004-06-02 2006-01-19 Fuji Photo Film Co Ltd 特定領域検出方法、特定領域検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757559B2 (ja) 2004-08-11 2011-08-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被写体の構成要素を検出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060035198A (ko) * 2004-10-21 2006-04-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얼굴인식 기법을 이용한 카메라 자동 줌 시스템 및 이를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얼굴인식 기법을 이용한카메라 자동 줌 방법
US7529390B2 (en) * 2005-10-03 2009-05-05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ally cropping an image
JP2008236645A (ja) * 2007-03-23 2008-10-02 Fujifilm Corp 撮影装置
JP2008244804A (ja) * 2007-03-27 2008-10-09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US8553983B2 (en) * 2008-07-10 2013-10-08 Nec Corporation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and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JP2010171797A (ja) * 2009-01-23 2010-08-05 Nikon Corp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11881B2 (en) 2012-02-07
US8019129B2 (en) 2011-09-13
CN101945222A (zh) 2011-01-12
CN101383905B (zh) 2013-04-03
TWI373008B (en) 2012-09-21
US20110261222A1 (en) 2011-10-27
CN101945222B (zh) 2013-03-13
CN101383905A (zh) 2009-03-11
JP4315215B2 (ja) 2009-08-19
JP2008289006A (ja) 2008-11-27
TW200903384A (en) 2009-01-16
US20110279701A1 (en) 2011-11-17
US20080285817A1 (en) 2008-11-20
KR100951515B1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515B1 (ko) 촬상장치, 얼굴검출방법 및 얼굴검출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8144230B2 (en) Camera,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camera control program, and camera control method
JP4254825B2 (ja) 撮像装置、ズーム情報表示方法、およびズーム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4687451B2 (ja) 撮像装置、及びスルー画像表示方法
JP491916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899912B1 (ko) 영상 처리기, 영상처리 방법과 그에 대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JP4985251B2 (ja) 撮像装置、フォーカス制御方法、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
JP5051812B2 (ja) 撮像装置、その合焦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7019893A (ja)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生成方法
JP200719931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4983516B2 (ja) 撮像装置、合焦状態表示方法、合焦状態表示プログラム
JP2008072261A (ja) カメラ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装置
JP2004023747A (ja) 電子カメラ
JP498195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086744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
JP478554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338293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撮像制御プログラム
JP498367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116305A (ja) 撮像装置、及びズーム倍率制御方法
JP5163333B2 (ja) カメラ装置、及びその画像表示方法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5278003A (ja) 画像処理装置
JP4556968B2 (ja) 顔検出装置、及び顔検出方法、顔検出プログラム
JP201021780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166447A (ja) 撮像装置、ズーム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34993A (ja) 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