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794A - 복수의 인쇄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인쇄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794A
KR20080099794A KR1020080042080A KR20080042080A KR20080099794A KR 20080099794 A KR20080099794 A KR 20080099794A KR 1020080042080 A KR1020080042080 A KR 1020080042080A KR 20080042080 A KR20080042080 A KR 20080042080A KR 20080099794 A KR20080099794 A KR 20080099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use
primary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7016B1 (ko
Inventor
후안 아이. 반조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85/0415Miniature fuses cartridge type
    • H01H85/0417Miniature fuses cartridge type with parallel sid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22Completing of printed circuits by adding non-printed jump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2Miniature fus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 H01H2085/206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being tappable, e.g. terminals on the fuse or base being arranged so as to permit an additional connector to be engag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6Magazine arrangements
    • H01H2085/266Magazine arrangements with replacement of a fuse which is part of a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54More mounting possibilities, e.g. on same place of PCB, or by using different sets of edge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1Fu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9Connections made by press-fit inser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25Correcting or repairing of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6Lead-in-hole components, e.g. affixing or retention before soldering, spacing means
    • H05K3/308Adaptations of l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us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기 퓨즈가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된다. 제1 전기 퓨즈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가용성 소자와, 대체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대체 전기 퓨즈를 수용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위치된 수용 팁 섹션을 포함한다.
전기 퓨즈, 인쇄 회로 기판, 단자, 가용성 소자, 전기 퓨즈

Description

복수의 인쇄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S}
본 발명은 복수의 인쇄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퓨즈, 또는 가용성 링크(fusible link)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전기 회로 또는 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과전류로부터 전기 회로를 보호한다. 차량은 수년 동안 전기 회로 및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퓨즈를 사용해왔다. 이러한 퓨즈는 종종 플로그인 블레이드형 퓨즈(plug-in blade type fuse)의 형태를 취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퓨즈는 퓨즈 금속의 스트립으로부터 스탬핑된 전체가 금속으로 되어 있는 퓨즈 소자를 포함한다. 그 후, 일 단부에 개방부를 구비한 단일 피스 하우징이 스탬핑된 금속 퓨즈에 부착된다. 개방부는, 두 단자 블레이드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여 인쇄 회로 기판을 수용하고 전류를 조절하는 버스형 전기 센터에 플러그 될 수 있게 한다. 퓨즈에 연결된 장치 또는 전기 회로가 원치 않은 전류의 증가를 겪으면, 플러그인 블레이드형 퓨즈는 제거되고 새로운 플러그인 블레이드형 퓨즈로 대체된다. 플러그인 블레이드형 퓨즈는 양호하게 작동하지만, 이 러한 퓨즈는 종종 다른 대체물보다 설치 비용 및 생산 비용이 고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1차 퓨즈는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1차 퓨즈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가용성 소자와, 대체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체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위치된 수용 팁 섹션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견부 섹션에 의해 형성된 장착 팁 섹션을 구비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서, 전기 퓨즈는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전기 퓨즈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가용성 소자와, 대체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체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위치된 수용 팁 섹션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인쇄 회로 기판의 개방부를 통해 연장하고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견부 섹션에 의해 형성된 장착 팁 섹션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서, 전기 퓨즈 조립체는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전기 퓨즈 조립체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구비한 1차 퓨즈와,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가용성 소자를 포 함한다. 또한 전기 퓨즈 조립체는 제3 단자 및 제4 단자를 구비한 대체 퓨즈와, 제3 단자와 제4 단자 사이에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대체 가용성 소자와, 대체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체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1차 퓨즈에 위치된 수용 팁 섹션을 포함한다.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인쇄 회로 기판의 개방부를 통해 연장하고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견부 섹션에 의해 형성된 장착 팁 섹션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서, 대체 퓨즈는 1차 퓨즈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대체 퓨즈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가용성 소자를 포함한다. 가용성 소자는 제1 전기 퓨즈의 가용성 소자로부터 오프셋되고 대체로 평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소켓은 제1 전기 퓨즈에 대체 퓨즈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인쇄 회로 기판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퓨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각각이 장착 팁 섹션을 형성하는 견부를 구비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구비한 1차 퓨즈를 제공하는 단계와, 전기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결합하는 단계와, 전기 전류가 제1 전기 퓨즈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인쇄 회로 기판에 1차 퓨즈를 영구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1은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전체적으로 도 면부호(10)로 표시된 1차 퓨즈를 도시한다. 제1 전기 퓨즈(10)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14)로 표시된 제1 단자 및 전체적으로 도면부호(16)로 표시된 제2 단자를 포함한다. 가용성 소자(18)는 제1 단자(14)와 제2 단자(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대체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14)와 제2 단자(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체 전기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20)로 표시된 수용 팁 섹션이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에 구비된다. 또한,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 중 적어도 하나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26)로 표시되고 견부(28)에 의해 한정되어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 팁 섹션을 구비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12)은 비아(vias)를 사용하여 1차 퓨즈(10)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비전도성 기판에 적층된 구리 시트로부터 에칭된 전기 전도성 통로에 1차 퓨즈(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종종, 인쇄 회로 기판(12)은 절연 재료가 개재된 복수의 전도성 층, 또는 기판을 사용하며, 열, 압력 및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된다. 인쇄 회로 기판(12)의 전도성 층은 비아로 명칭되는 개방부 또는 천공 홀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 홀은 리벳으로 충진되거나 전기 도금된다. 비아가 모든 층에 전기 연결을 형성할 수는 없어도,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12)을 통해 완전히 천공된다. 블라인드 비아(blind via)라고 불리우며, 인쇄 회로 기판(12)의 일 측면에서만 볼 수 있는 비아(via)를 필요로 하는 일부 예외가 있다. 다른 예시는 기판의 층들 사이에 완전히 개재된 비아이며, 매립식 비아(Buried Via)라고 불린다. 대부분의 경우에, 인쇄 회로 기판(12)의 전도성 층은 기판에 부착된 박막의 구리층을 사용한다. 구리 층을 부착한 후에, 통로를 형성하는 작은 트레이스만을 남겨두고 원치 않는 구리를 제거함으로 전기 전도성 통로가 형성된다. 구리를 제거하고 인쇄 회로 기판(12)의 전도성 층을 형성하는 몇몇 예시는 실크 스크린 프린팅, 사진 제판, 및 밀링을 포함한다.
또한 첨가 방법(additive method)을 사용하여 기판에 전도성 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의 일례는 박막의 구리층으로 기판의 전체 표면을 척층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 후, 제조자는 전기 전도성 통로가 부착될 영역만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를 적용시킨다. 그 후, 인쇄 회로 기판(12)은 노출된 영역에 구리를 수용한다. 그 후, 제조자는 마스크를 제거하고 전기 전도성 통로 주변의 테두리를 에칭함으로 박막의 구리층으로부터 전기 전도성 통로를 분리시킨다. 전기 전도성 통로가 구성된 후, 인쇄 회로 기판(12)에는 전기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통용되는 대부분의 부착법은 표면 장착 기술이다. 부착법은 인쇄 회로 기판(12)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작은 금속 탭이나 단자를 구비한 전기 부품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제1 전기 퓨즈(10)의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는 본체 섹션(30), 수용 팁 섹션(20), 및 장착 팁 섹션(26)과 같은 섹션들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14, 16)의 각 섹션은 단면이 대체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유지하면서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의 단면적은 각 단자(14, 16)의 길이를 따라 여러 지점에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섹션(30)은 대체로 일정한 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본체 섹션(30)의 전체 길이는 대체로 동일한 단면 적을 유지할 수 있다. 본원에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의 다른 단면 형상이 가능할 수 있다. 장착 팁 섹션(26) 및 수용 팁 섹션(20)이 본체 섹션(30)의 각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팁 섹션(26)은 수용 팁 섹션(20)에 대향하여 제1 및 제2 단자(14, 16)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가변의 단면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장착 팁 섹션(26)은 인쇄 회로 기판(12)과 1차 퓨즈(1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한편, 1차 퓨즈(10) 및 (대체 퓨즈가 추가된 경우) 대체 퓨즈에 물리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12)과의 결합에 단자(14, 16)와 일체로 형성된 견부(28)도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견부(28)는 단자(14, 16)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조립 공정 동안 단자(14, 16)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견부(28)는 단자(14, 16)로부터 외향 및 방사상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1차 퓨즈(10) 및 (대체 퓨즈가 추가된 경우) 대체 퓨즈에 대한 압축 및 측 방향 지지를 제공한다. 견부(28)는 1차 퓨즈(10)의 크기, 1차 퓨즈와 함께 사용되는 대체 퓨즈의 크기, 인쇄 회로 기판(12)의 개방부의 크기 및 형상과 같은 요인, 또는 1차 퓨즈(10)를 장착하고 지지하는데 관련된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14)의 장착 팁 섹션(26)의 길이는 제2 단자(16)의 장착 팁 섹션(26)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16)의 장착 팁 섹션(26)은 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2)는 전기 전류를 인쇄 회로 기판(12) 또는 1차 퓨즈(10)로부터 다른 위치로 운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부(32)는 전기 전류를 1차 퓨즈(10)로부터 버스형 전기 센터(도시되지 않음) 내의 위치로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32)는 버스형 전기 센터에 위치된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에 전기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와이어링 하네스는 버스형 전기 센터에 부착될 수 있는 커넥터로 모아질 수 있다. 전기 센터 또는 종종 퓨즈 박스로도 불려지는 버스형 전기 센터는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32)는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단면적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 단면적이 변화하여 테이퍼링 효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장착 팁 섹션(26)의 단면적은, 더 구체적으로 견부(28)로부터 연장된 장착 팁 섹션(26)의 부분의 단면적은 섹션(26)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견부(28)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장착 팁 섹션(26)의 단면적은 감소한다. 단면적의 이러한 감소는 인쇄 회로 기판(12)의 개방부 또는 비아로의 장착 팁 섹션(2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면적의 감소는 웨지(wedge) 형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웨지 형상부는 인쇄 회로 기판(12)의 개방부 또는 비아와 마찰 결합하여, 1차 퓨즈(10)를 인쇄 회로 기판(12)에 물리적,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착 팁 섹션(26)의 단면적은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어떤 단면 프로파일도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길이의 장착 팁 섹션(26),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하지 않은 길이의 장착 팁 섹션(26)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부호(20)로 표시되어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 상에 위 치된 수용 팁 섹션은 대체 퓨즈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 팁 섹션(20)은 대체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14)와 제2 단자(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팁 섹션(26)에 대향하는 단부의 단자(14, 16)에 위치된 수용 팁 섹션(20)은 대체 퓨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가변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체 섹션(30)과 같이, 수용 팁 섹션(20)은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다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단면적은 수용 팁 섹션(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비율로 변할 수 있거나, 또는 여러 단계로 다른 비율로 변할 수 있다. 단면적의 변화는 1차 퓨즈(10)가 파손된 경우, 1차 퓨즈(10)에 대한 대체 퓨즈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수용 팁 섹션(20)의 형상은 대체 퓨즈에 의해 사용되는 소켓의 형상에 대체로 근접하다. 예를 들어, 수용 팁 섹션(20)은 견부(28)로부터 가장 먼 단부로부터 견부(28)에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점차 증가하는 단면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수용 팁 섹션(20)과 대체 퓨즈 소켓 사이의 압력량을 증가시킨다. 대체 퓨즈 소켓이 수용 팁 섹션(20)과 결합하고 대체 퓨즈가 1차 퓨즈(10)에 가까이 이동함에 따라, 수용 팁 섹션(20)의 증가하는 단면적은 대체 퓨즈 소켓에 더 큰 힘을 가한다. 이 힘은 대체 퓨즈를 1차 퓨즈(10)에 근접하여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마찰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1차 퓨즈(10)와 대체 퓨즈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용 팁 섹션(20)은, 대체 퓨즈와 1차 퓨즈(10)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견부(28)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위치된 무딘 단부(36)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 팁 섹션(20)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라면, 직사각형 단면의 두 측면만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 또는 동시에 모든 네 측면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견부(28)에 대향하여 위치된 수용 팁 섹션(20)의 단부는 본체 섹션(30)의 단면적 이하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지만, 유사한 기능이 다른 형상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팁 섹션(20)은 원뿔형 단면 형상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원뿔형 수용 팁 섹션(20)은 유사한 형상의 대체 퓨즈 소켓과 결합할 수 있으며, 그 후 소켓은 1차 퓨즈(10)에 근접하여 대체 퓨즈를 마찰 보유할 수 있고, 대체 퓨즈를 통해 제1 및 제2 단자(14, 16)로부터 전기 전류를 운반할 수 있다. 단자(14, 16)의 본체 섹션(30) 및 수용 팁 섹션(20)은 단자(14, 16)의 장착 팁 섹션(26)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14)와 제2 단자(16) 사이에 배치된 가용성 소자(18)가 제1 단자(14)와 제2 단자(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가용성 소자(18)는 제1 단자(14)와 제2 단자(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가용성 소자(18)는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독립적으로 제조된 후에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정격 전류량(amperage rating)은 가용성 링크(18)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을 변화시킴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성 소자(18)는 대체로 편자형 또는 U자형일 수 있으며, 각 단자(14, 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가용성 소자(18)는 S자형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용성 소자(18)는 대체로 직선일 수 있다.
도4 및 도5는 1차 퓨즈(10)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22)로 도시된 대체 퓨즈를 도시한다. 대체 퓨즈(22)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38)로 표시된 제1 단자,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40)로 표시된 제2 단자, 제1 단자(38)와 제2 단자(4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용성 소자(24)를 포함한다. 대체 가용성 소자(24)로도 불릴 수 있는 가용성 소자(24)는 1차 퓨즈(10)의 가용성 소자(18)로부터 평행하게 오프셋될 수 있다. 또한, 대체 퓨즈(22)는 1차 퓨즈(10)를 수용하여 대체 퓨즈(22)를 1차 퓨즈(1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34)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소켓을 사용한다.
대체 퓨즈(22)의 제1 단자(38) 및 제2 단자(40)는 대체 퓨즈(22)와 1차 퓨즈(1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대체 퓨즈(22)를 1차 퓨즈(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 퓨즈의 제1 단자(38) 및 제2 단자(40)는 포크형 커넥터(42) 또는 1차 퓨즈(10)를 견고하게 파지하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포크형 커넥터(42)는 각 포크형 커넥터(42)의 가지가 1차 퓨즈(10)의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의 양 측면에 위치될 수 있는 위치로 1차 퓨즈(10)의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 위에서 미끄러져 1차 퓨즈(10)와 결합할 수 있어서, 1차 퓨즈(10)에 대해 대체 퓨즈(22)를 물리적으로 지지한다. 1차 퓨즈(10)의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를 수용할 수 있는 소켓(34)은 포크형 커넥터(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체 퓨즈(22)에 의해 사용되는 소켓(34)은 1차 퓨즈(10)의 수용 팁 섹 션(20)을 수용하기 위한 암형 소켓(34)일 수 있다. 소켓(34)의 크기와 형상 모두는 수용 팁 섹션(20)과 매우 부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어서, 두 소자들 사이에는 밀착 끼움(snug fit)이 제공된다. 밀착 끼움은 1차 퓨즈(10)가 대체 퓨즈(22)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제 위치에 보유하게 하며, 1차 퓨즈(10)와 대체 퓨즈(22) 사이에 전기적 연결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소켓(34)은 주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팁 섹션(20)이 소켓(34)에 삽입될 때 휘어지는 편향 금속 탱(tang)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 소켓(34)이 1차 퓨즈(10)의 제1 및 제2 단자(14, 16)를 대체 가용성 소자(24)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소켓(34)은 대체 퓨즈(22)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도록 포크형 커넥터(42)에 의존하면서 매우 적게 휘어질 수 있다.
대체 가용성 소자(24)는 단자(38, 40)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1차 퓨즈(10)를 위한 가용성 소자(18)와 매우 유사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체 가용성 소자(24)는 소켓(34) 또는 단자(38, 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독립적으로 제조된 후 소켓(34) 또는 단자(38, 40)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정격 전류량은 대체 가용성 소자(24)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을 변화시킴으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 가용성 소자(24)는 대체로 편자형 또는 U자형일 수 있으며, 각 단자(38, 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대체 가용성 소자(24)는 S자형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대체 가용성 소자(24)는 대체로 직선일 수 있다. 1차 퓨즈(10)를 위한 가용성 소자(18)와 관련하여, 대체 가용성 소자(24)는 1차 퓨즈(10)와 대체 퓨즈(22)를 함께 조화롭게 끼우기 위해, 1차 퓨즈(10)를 위한 가용성 소자(18)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이 관계는 예시화된 도5에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퓨즈(10)를 위한 가용성 소자(18)가 1차 퓨즈(10)의 일 측에 장착되면, 대체 가용성 소자(24)는 1차 퓨즈(10)를 위한 가용성 소자(18)가 장착되는 곳에 대향하는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더 조밀한 구성을 허용하며,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소켓(34)을 따르는 대체 가용성 소자(24)는 사실상 커버(4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4)는 소켓(34), 대체 퓨즈(22)의 제1 단자(38) 및 제2 단자(40), 대체 가용성 소자(24) 및 포크형 커넥터(42)를 둘러쌀 수 있다. 커버(44)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내구성 있는 경량의 저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면, 커버(44)는 대체 퓨즈(22)의 특정 전류량 또는 임의의 다른 식별 목적을 표시하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면, 커버(44)는 사용자가 대체 퓨즈(22) 내부를, 궁극적으로는 대체 가용성 소자(24)를 보고 대체 가용성 소자(24)가 기능하는지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또한, 커버(44)는 대체 가용성 소자(24)의 형상을 대체로 따를 수 있다. 이 방식에 따른 커버(44)의 형상은 대체 가용성 소자(24)를 손상으로부터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1차 퓨즈(10)는 전기 전도성 통로에의 차단 가능한 전류 유동의 제공을 위해 제1 단자(14) 및 제2 단자(16)에서 인쇄 회로 기판(12)에 부착된다. 부착부(46)는 전기 전도성일 수 있거나, 전기 전도성이면서 구조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납 땜, 가용성 금속 합금이 제1 단자(14)와 인쇄 회로 기판(12)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단자(16)와 인쇄 회로 기판(12) 사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1차 퓨즈(10)와 인쇄 회로 기판(12) 사이에 부착부(46)의 전기적, 구조적 부품을 제공하는 것은 납땜 자체로 충분할 수 있다. 다르게, 전기적, 구조적 부품을 제공하는 1차 퓨즈(10)와 인쇄 회로 기판(12) 사이의 부착부(46)는 나사 및 아이릿, 랫치 또는 임의의 다른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적합한 기계적 부착부와 같은 기계적 부착부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기계적 부착부는 구조적 지지와 전기 전도성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는 영구적이거나 일시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단자(14) 또는 제2 단자(16)는 인쇄 회로 기판(12)에 부착되기 위해 물리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 소켓 또는 다른 물리적 연결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납땜 또는 임의의 다른 전기 전도성 부착부(46)는 전기적 연결만을 제공할 수 있다. 물리적 소켓은 제1 단자(14), 제2 단자(16) 또는 두 단자 모두가 하우징을 통과하여 인쇄 회로 기판(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 복수의 개방부를 구비한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물리적 소켓은 제1 단자(14), 제2 단자(16), 또는 두 단자 모두의 형상 및 길이에 상당히 부합할 수 있다. 복수의 개방부를 사용하는 하우징은 버스형 전기 중심부, 퓨즈 박스, 또는 전술된 유사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폭넓은 사용과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전술된 것 외의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 및 개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경, 변형, 및 균등물이 본 발명의 내용과 범주 내에서 본 발명 및 전술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합리적으로 제안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원에 상세하게 개시되었지만, 이러한 개시는 단지 도시를 위한 본 발명의 예시이며 단지 본 발명의 전체적이고 합법적인 개시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전술한 개시는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다른 임의의 실시예, 개조, 변경, 변형, 및 균등물을 배제하도록 해석되거나 의도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항 및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1은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전기 퓨즈의 사시도.
도2는 인쇄 회로 기판과 함께 사용되는 전기 퓨즈의 사시도.
도3은 인쇄 회로 기판과 함께 사용되는 전기 퓨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4는 대체 퓨즈의 사시도.
도5는 전기 퓨즈 조립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차 퓨즈
12 : 인쇄 회로 기판
14 : 제1 단자
16 : 제2 단자
20 : 수용 팁 섹션
22 : 대체 전기 퓨즈
24 : 대체 가용성 소자
26 : 장착 팁 섹션
28 : 견부
30 : 본체 섹션
44 : 커버

Claims (15)

  1.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1차 퓨즈이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배치된 가용성 소자와,
    대체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체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위치된 수용 팁 섹션을 포함하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견부 섹션에 의해 형성된 장착 팁 섹션을 구비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1차 퓨즈.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 팁 섹션은 포크형 커넥터를 구비한 대체 퓨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1차 퓨즈.
  3. 제1항에 있어서, 장착 팁 섹션은 웨지형이며, 일 지점에서 인쇄 회로 기판의 개방부와 대체로 동일한 최소의 폭을 갖는 1차 퓨즈.
  4. 인쇄 회로 기판과 협력하는 1차 퓨즈이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배치된 가용성 소자와,
    대체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체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위치된 수용 팁 섹션을 포함하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인쇄 회로 기판의 개방부를 통해 연장하고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견부 섹션에 의해 형성된 장착 팁 섹션을 구비하는 1차 퓨즈.
  5. 제4항에 있어서, 장착 팁 섹션은 웨지형이며, 전기 전도성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인쇄 회로 기판의 개방부에 마찰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1차 퓨즈.
  6. 제4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의 개방부를 통해 연장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부에 바로 인접한 위치에서 1차 퓨즈에 대항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에 부착되는 1차 퓨즈.
  7.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전기 퓨즈 조립체이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구비한 1차 퓨즈와,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배치된 가용성 소자와,
    제3 단자 및 제4 단자를 구비한 대체 퓨즈와,
    제3 단자와 제4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3 단자와 제4 단자 사이에 배치된 대체 가용성 소자와,
    대체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대체 퓨즈를 수용할 수 있는 1차 퓨즈에 위치된 수용 팁 섹션을 포함하는 전기 퓨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인쇄 회로 기판의 개방부를 통해 연장하고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견부 섹션에 의해 형성된 장착 팁 섹션을 구비하며, 1차 퓨즈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크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퓨즈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대체 퓨즈는 대체 퓨즈를 수용하여 1차 퓨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소켓을 구비한 전기 퓨즈 조립체.
  10. 1차 퓨즈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대체 퓨즈이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배치되며, 1차 퓨즈의 가용성 소자로부터 대체로 평행하게 오프셋되는 가용성 소자 와,
    대체 전기 퓨즈를 수용하여 1차 퓨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소켓을 포함하는 대체 퓨즈.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단자 또는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1차 퓨즈에 물리적, 전기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금속 가지를 포함하는 대체 퓨즈.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대체 퓨즈를 수용하여 1차 퓨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대체 퓨즈.
  13. 제10항에 있어서,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배치된 가용성 소자를 사실상 덮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대체 퓨즈.
  14. 인쇄 회로 기판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퓨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방법이며,
    장착 팁 섹션을 형성하는 견부를 각각 구비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구비한 1차 퓨즈를 제공하는 단계와,
    전기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1차 가용성 소자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와,
    전기 전류가 1차 퓨즈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서 인쇄 회로 기판에 1차 퓨즈를 영구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퓨즈 조립체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3 단자 및 제4 단자를 구비한 대체 퓨즈를 공급하는 단계와,
    제3 단자와 제4 단자를 전기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대체 가용성 소자로 연결하는 단계와,
    대체 퓨즈와 1차 퓨즈를 합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1차 가용성 링크가 전기 전류를 전도할 수 없게 되면 대체 가용성 소자가 전기 전류를 전도하는 퓨즈 조립체 제공 방법.
KR1020080042080A 2007-05-10 2008-05-07 복수의 인쇄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037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01,500 2007-05-10
US11/801,500 US7701321B2 (en) 2007-05-10 2007-05-10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794A true KR20080099794A (ko) 2008-11-13
KR101037016B1 KR101037016B1 (ko) 2011-05-30

Family

ID=3968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080A KR101037016B1 (ko) 2007-05-10 2008-05-07 복수의 인쇄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01321B2 (ko)
EP (1) EP1990818A3 (ko)
KR (1) KR101037016B1 (ko)
CN (1) CN1013039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2704B2 (en) * 2009-02-27 2019-01-29 Littelfuse, Inc. Tuning fork terminal slow blow fuse
EP2648930B1 (en) 2010-12-07 2019-11-06 Allison Transmission, Inc. Energy storage system for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531315B1 (ko) * 2011-02-18 2015-06-24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퓨즈 및 퓨즈 장착 구조
CN102917552A (zh) * 2011-08-05 2013-02-06 西门子公司 一种焊接辅料涂布方法、焊盘以及印刷电路板
US8961197B2 (en) 2012-06-08 2015-02-24 Lear Corporation Fuse housing assembly
US9660244B2 (en) * 2013-09-06 2017-05-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s of a battery module
PL2982324T3 (pl) * 2014-08-06 2020-07-27 Erbe Elektromedizin Gmbh Moduł gniazda, urządzenie elektrochirurgiczne i zestaw z modułem gniazda
JP2016207468A (ja) * 2015-04-22 2016-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ターミナルユニット、及び、電気接続箱
CN108713236B (zh) 2016-02-24 2021-07-23 利萨·德雷克塞迈尔有限责任公司 电保险设备
DE102016103220A1 (de) * 2016-02-24 2017-09-07 Lisa Dräxlmaier GmbH Elektrische Sicher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Sicherungseinrichtung
DE102016109962A1 (de) * 2016-05-31 2017-11-30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icherungseinrichtung und Sicherungseinrichtung
KR20190079269A (ko) 2017-12-27 2019-07-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
JP6981953B2 (ja) * 2018-11-26 2021-12-17 太平洋精工株式会社 基板表面実装ヒューズ
US10636606B1 (en) * 2019-03-01 2020-04-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use housing assembly
CN110660629A (zh) * 2019-10-30 2020-01-07 常州格力博有限公司 保险装置
US20220185207A1 (en) * 2020-12-11 2022-06-16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8420A (en) * 1922-02-16 1924-03-25 Watts Walter Fuse plug
US1858157A (en) * 1930-12-05 1932-05-10 Lagandro John Fuse
US1926445A (en) * 1932-01-27 1933-09-12 Emmett P Klopfenstein Fuse
US3235345A (en) * 1955-07-07 1966-02-15 Amp Inc Sheet member for conforming component leads to printed circuit board holes
NL130848C (ko) * 1964-02-27
US3783433A (en) * 1971-01-18 1974-01-01 Litton Systems Inc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R2210818B1 (ko) * 1972-12-14 1976-08-27 Amp Inc
US3813626A (en) * 1972-12-15 1974-05-28 Robertshaw Controls Co Fuse retainer and extractor
US4166667A (en) * 1978-04-17 1979-09-04 Gte Sylvania, Incorpora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4376927A (en) * 1978-12-18 1983-03-15 Mcgalliard James D Printed circuit fuse assembly
US4296398A (en) 1978-12-18 1981-10-20 Mcgalliard James D Printed circuit fuse assembly
JPS6011538Y2 (ja) 1982-12-01 1985-04-17 三王株式会社 チツプ型ヒユ−ズ
US4580124A (en) 1984-08-17 1986-04-01 Littelfuse, Inc. Plug-in fuse assembly
EP0258664A3 (de) 1986-08-25 1990-03-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Baugruppe zum Sichern von elektrischen Leitungen in Telekommunikationsanlagen
US4827238A (en) * 1988-07-08 1989-05-02 Kozel Emmett L Reversible blade terminal fuses
US4884050A (en) * 1988-07-18 1989-11-28 Kozel Emmett L Blade terminal tap fuse
US4894633A (en) 1988-12-12 1990-01-16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Fuse Apparatus
US5017159A (en) * 1989-10-02 1991-05-21 Zierick Manufacturing Corporation Solid single leg terminal
US4988969A (en) 1990-04-23 1991-01-29 Cooper Industries, Inc. Higher current carrying capacity 250V subminiature fuse
US5324214A (en) * 1993-03-05 1994-06-28 No Jack Corporation Blade type fuse block terminal adapter
US5409402A (en) * 1994-05-03 1995-04-25 Ball; Roger M. Plug-in fus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fuse elements
US5581225A (en) 1995-04-20 1996-12-03 Littelfuse, Inc. One-piece female blade fuse with housing
US5628654A (en) * 1995-06-12 1997-05-13 Lineberry, Jr.; Dewey R. Vehicle accessory connector
US5874884A (en) * 1997-07-21 1999-02-23 Hull; Harold L. Blown fuse indicator circuit including a light housing containing a light source and method of use
US5923239A (en) 1997-12-02 1999-07-13 Littelfuse, Inc.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fusible link
US6456186B1 (en) 1999-10-27 2002-09-24 Motorola, Inc. Multi-terminal fuse device
US6407657B1 (en) * 2000-02-03 2002-06-18 Littelfuse, Inc. Dual use fuse
US20030048620A1 (en) 2000-03-14 2003-03-13 Kohshi Nishimura Printed-circuit board with fuse
US6878004B2 (en) * 2002-03-04 2005-04-12 Littelfuse, Inc. Multi-element fuse array
DE10223382A1 (de) 2002-05-25 2003-12-04 Conti Temic Microelectronic Einpresskontakt
JP4028298B2 (ja) * 2002-05-31 2007-1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
DE10310159B4 (de) * 2003-03-07 2006-07-27 Siemens Ag Elektrische Schu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6781503B1 (en) * 2003-04-24 2004-08-24 Yazaki Corporation Fuse assembly for differently structured fuses
JP4241729B2 (ja) * 2003-06-13 2009-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および該電気接続箱の組立方法
US7477130B2 (en) * 2005-01-28 2009-01-13 Littelfuse, Inc. Dual fuse link thin film fuse
US7355502B1 (en) * 2005-06-28 2008-04-08 Yazaki North America, Inc. Direct relay connection to a fusible l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0818A3 (en) 2009-12-09
US7701321B2 (en) 2010-04-20
CN101303947B (zh) 2012-07-18
CN101303947A (zh) 2008-11-12
US20080278276A1 (en) 2008-11-13
EP1990818A2 (en) 2008-11-12
KR101037016B1 (ko) 201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016B1 (ko) 복수의 인쇄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983024B2 (en) Fuse card system for automotive circuit protection
US6878004B2 (en) Multi-element fuse array
US10269524B2 (en) Multiple fuse device
PL182659B1 (pl) Płytka układowa dla elementów elektronicznych
CN108141014A (zh) 密封的模块式配电装置
WO2013054731A1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装置の製造方法
US6671173B2 (en) Substrate-stacking structure
US65475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surface mount components into connectors
JP2004328939A (ja) 電気接続箱
KR102106218B1 (ko) 차량 전기 센터 및 이의 제조 방법
US6643134B2 (en) Holding a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for heat generation part
US8197266B2 (en) Surge protection plug and ground bus
KR100882866B1 (ko)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 연결구조 및 그 방법
US6272000B1 (en) Circuit board blade fuse
JP2007317990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6054931A (ja) 電気接続箱
JP6570867B2 (ja) ヒューズエレメントターミナル、及び、電気接続箱
JP6981953B2 (ja) 基板表面実装ヒューズ
JP2000209744A (ja) 電気回路材および該電気回路材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2011120446A (ja) 電気接続箱
JP2016025139A (ja) 基板組立体とその製造方法
JP2013243019A (ja) ヒューズ連設体およびこれが装着されるヒューズフォルダ
JPS5841709Y2 (ja) 小型ヒユ−ズ
JPH06150805A (ja) ヒューズ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