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242A - 단면이 테이퍼진 단부 부위들을 가지는 긴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단면이 테이퍼진 단부 부위들을 가지는 긴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242A
KR20080099242A KR1020087017303A KR20087017303A KR20080099242A KR 20080099242 A KR20080099242 A KR 20080099242A KR 1020087017303 A KR1020087017303 A KR 1020087017303A KR 20087017303 A KR20087017303 A KR 20087017303A KR 20080099242 A KR20080099242 A KR 20080099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uminaire
end portions
hous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803B1 (ko
Inventor
볼프강 가드너
번드 왈셔
패트릭 가스너
Original Assignee
춤토벨 라이팅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춤토벨 라이팅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춤토벨 라이팅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99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prismatic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기구(1)로서, 특히 방습 조명기구가 개시된다. 이 조명기구는 긴 구유통형(trough-shaped) 하우징(2)과, 적어도 하나의 램프(6)를 위하여 그 내에 배치된 연결부와, 하우징(2)의 개구부를 덮는 투명한 커버(4)와, 바람직하게는 커버(4) 내에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광 안내 리브(23)들을 포함한다. 조명기구에 대한 디자인의 기술적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커버(4)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 치수(B, T)가, 그의 길이방향의 중앙 또는 길이방향 중앙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커버(4)의 근접하게 놓인 단부 영역 쪽의 양단부 부위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방습 조명기구, 광 안내 리브, 광 전도 요소

Description

단면이 테이퍼진 단부 부위들을 가지는 긴 조명기구{Elongate luminaire with end regions which are tapered in cross-sec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조명기구는 2 부분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 한 부분이 구유통형 하우징으로서, 캐리어(carrier)에 예를 들어 벽 또는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들을 구비한다. 다른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커버로 형성되며, 잠금 요소들에 의해 구유통형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유통형 하우징과 커버로 형성된 조명기구에서는, 램프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동작 중에 램프에 의해 방사되는 빛이 실내조명을 위해 투명한 커버를 통해 방사된다. 이러한 기지의 조명기구의 경우에, 하우징 및/또는 커버의 측벽들 또는 커버의 벽이, 조명장치 길이방향과 평행한 그들의 지붕마루 부위가 연장된다.
이러한 종류의 조명기구가 예를 들어 EP 0 785 391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지의 조명기구에서는, 대략 C-형의 잠금 요소들이 커버를 구유통형 하우징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들은 개별 구성요소로서 구성된다. 상기 C-형 잠금 요소는 일 단부 부위가 구속 지(肢)부를 통해 구유통형 하우징에 있는 포켓형 언더컷(undercut) 부위 내로 맞물리고, 구유통형 하우징과 커버 사이의 분리 이음매를 지나도록 연장된다. 다른 단부 부위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구유통형 하우징의 엣지부 후방에 맞물린다. 이를 통해 일정한 탄성 클램핑 힘으로 구유통형 하우징과 커버를 함께 압박한다.
이와 관련된 종류의 조명기구는 전형적으로 대량 판매 제품이며, 이 경우에는, 한편으로 재료를, 다른 한편으로 무게를 줄이기 위해, 벽 두께들을 필요한 최소 두께 까지 줄이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특히 연장된 조명기구의 경우에, 특히 커버에서 뿐만 아니라 통형(tub-shaped) 하우징의 적합한 안정성을 갖도록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다른 한편, 미적, 안정적, 기능적으로 바람직한 형태의 조명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입부에 나타낸 종류의 조명기구에 있어서, 조명기구의 형상에 대한 디자인 기술적 가능성을 확대하려는 목적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적어도 커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을 안정시키고자 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개는 종속 청구항들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경우에, 커버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하우징은 그들의 중앙 부위가 단부 부위들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갖도록 접시형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커버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하우징은 각각 그의 길이의 큰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 단면 사이즈가 주어지며, 이는 프로파일(profile) 형상과는 다르고 중앙 길이방향 부위로부터 연결된 단부 부위들로 테이퍼진다. 이를 통해, 커버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하우징이, 요구 공간과 또한 기능적인 것과 관련하여, 특히 한편으로는 조명기구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열을 고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명기구의 외피에 관하여, 바람직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커버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안정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조명기구 또는 커버가 적합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안정적이게 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 및/또는 커버의 벽을 줄일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재료 및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우징 및/또는 커버에 대한 심플하고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한 형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형상을 개발은, 프로파일 형상과는 달리, 분리 또는 개구부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하우징 및/또는 커버의 치수 또는 폭이 중앙 부위로부터 단부들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할 때, 및/또는 분리 또는 개구부 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치수 또는 폭이 중앙 부위로부터 단부들까지 감소할 때 얻어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상은, 분리 또는 개구부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치수가 분리 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치수 보다 더 크게 감소할 때 얻어진다.
여기에 개시된 종류의 조명기구의 경우, 커버의 안쪽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광 전도 리브들을 배치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이 자체의 기지의 구성은 특히 본 발명의 구성과의 조합에 적합한데, 그것이 조명기구 또는 하우징과 커버의 보다 높은 안전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조명기구 또는 커버의 길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광의 기술적 효과가 얻어지도록 리브들을 구성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광 전도 리브들이 예를 들어 조명기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면들에 형성되고 각도적으로 오프셋되도록 형성되며, 이들 전부가 직선이며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통 교차 라인에 놓여질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광 전도 리브들은, 예를 들어 측면 및 하부측의 주변 영역에 다른 광 방사를 행하기 위해, 다른 단면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진전된 특징들은 하우징 상에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잠금 장치들을 제공하고, 또한 도입부에 나타낸 종류의 조명기구에 상당히 적합한 심플한 구성을 제공하며, 그 외, 하우징 및 커버에 대한 심플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형상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그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이점들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조명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조명기구의 커버에 대한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조명기구의 좌측 절반을 나타내는 확대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버의 중앙부분의 V-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커버의 VI-V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커버에 대한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로 나타낸 조명기구의 주요 부분은 구유통형 하우징(2)과, 둘레에 분산 배치된 다수개의 잠금 장치(3)에 의해 하우징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커버(4)와, 구유통형 하우징(2)과 커버(4) 사이의 중공부(5)에 배치된 램프(6)이며, 여기서 램프(6)는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 요소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되어 있다.
커버(4)는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그의 벽(4a)은 단면이 호(arc)형 또는 U-형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예를 들어, 분무 수(水) 침투, 그 중에서도 구유통형 하우징(2)과 커버(4) 사이의 분리 이음매(7: dividing joint) 부위에서의 분무 수(spray water)침투의 방지에 대한 특별한 보호 요건을 충족하는 방습(moisture-proof) 조명기구가 포함된다. 이러한 보호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예를 들어 빗 형태와 같이 서로 맞물린 웹(8a, 8b, 8c)을 이용하여, 분리 이음매(7) 부위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미로를 형성하여 분무 수 침투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게 된다(도 4).
본 실시예의 경우에, 구유통형 하우징의 벽(2a)은 그의 자유 엣지 부위에서 측방향 간격을 가지는 2개의 웹 벽(8a, 8b)들로 분기될 것이며, 이 웹 벽(8a, 8b)들 사이의 측방향 간격은 그와 맞물리는 웹 벽(8c) 보다 크고, 웹 벽(8c)은, 예를 들어 마주보는 구유통형 또는 돔형으로 형성된 커버의 벽(4a)으로부터, 분리 이음 매(7)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미로에 더해, 분리 이음매(7)가 바람직하게는 링 실(ring seal)에 의해 실링되며, 이 링 실은, 예를 들어 웹 벽(8a, 8b)들 사이에 있는 둘레방향의 그루브(2b)의 기저부에 배치되어 웹 벽(8c)을 압박하는, 실링 D를 구비한다. 이 실링 D는 연성 재질, 예를 들어 폼 리본(foam ribbon)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벽(2a)의 외측 웹 벽(8b)은 하우징 벽(2a)의 자유 엣지 부위에 있는 확대 단차부(9) 부분이다.
하우징 벽(2a)은, 캐리어(carrier)에, 예를 들어 방의 천정이나 벽을 향하여 형성되는 그 지지 측(11)에, 상기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12)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기구(1)는 길이가 곧게 연장 및 확대된 형태를 가지며, 길이 L1 이 폭(B)의 배수이다. 구유통형 하우징(2) 및 커버(4)는 또한 대응적으로 형성된다. 커버는 적어도 하우징(2)으로부터 멀리 있는 쪽의 그의 돔형 부위가 투명 재질,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그를 통해 램프(6)의 빛이 주요 방사 방향(S) 및 측방향들로 방사된다. 하우징(2)은 플라스틱, 특히 듀로플라스트(duroplast)로 이루어진다.
다수개의 잠금 장치(3)는 서로 유사하거나, 양 쪽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따라서 하기에서 오로지 하나의 잠금 장치(3)가 각각의 경우에 해당되면 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3)는 대략 C-형의 길이방향 단면 형상을 가지는 잠금 요소(3a)를 구비한다. 이 잠금 요소(3a)는 도면 부호 (3b)와 (3c)로 나타낸 단부 부위들을 가지며, 구유통형 하우징(2)의 후방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부 단부 부위(3b)로 하우징(2)의 홈, 특히 포켓(13) 내에 맞물리며, 이 포켓은 분리 이음매(7)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개구된 것이다. 포켓(13)은 길이방향의 중간 평면(15)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포켓 벽(13a, 13b)을 가지며, 유격을 제공하기 위하여 또는 클램핑 효과를 고려하여, 단부 부위(3b)의 단면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홈 또는 포켓(13)은 단편적으로 만, 또는 조명기구(1)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잠금 요소(3a)는, 실질적으로 하우징(2)의 해당 외부 형태에 적합한 형태로, 조명기구 하우징의 외측 상에서, 단부 부위(3b)로부터 커버(4)를 향해 연장되며, 여기서 잠금 요소(3a)는 분리 이음매(7)를 넘어서도록 연장되어 해당 다른 단부 부위(3c)를 통해 커버(4)의 확대 단차부(10)의 후방에 맞물리거나, 적용할 수 있다면, 거기에 형성된 홈(10a)에 걸림 결합된다. 후자는 각이지거나 만곡되도록 내측으로 연장되어, 단부 부위(3c)를 형성하는 후방 맞물림 지부(3d)를 통해 구현되며, 단부 부위(3c)는 고정 장치(14)에 의해 후방 맞물림 위치에 고정된다.
고정 장치(14)는, 후방 맞물림 지부(3d)가, 분리 이음매(7)의 횡단방향 또는 직각으로 연장되어, 확대 어깨부(10)에 대해, 조명기구(1)의 길이 방향의 중간 평면(15)에 대하여 안쪽으로 비스듬하게 탄성 바이어스됨으로써, 그것을 바깥쪽이 아닌 안쪽으로 당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단부 부위(3b)의 후방 맞물림이, 상기 후방 맞물림의 길이방향 중간 평면(15)로부터의 간격 b 보다 큰, 길이방향 중간 평면(15)으로부터의 간격 a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를 통해, 탄성적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의 탄성력으로 확대 단차부(10)를 지압하는 후방 맞물림 지부(3d)에 기인하는, 바이어스 힘(16)이 제공되며, 이 바이어스 힘(16)의 작용 방향은 길이방향 중간 평면(15)에 대하여 예각 W1을 이루게 된다. 이 바이어스 힘은, 상기 외측으로 구부러진 단차부 성형 이후에 이루어지는 잠금 요소(3a)의 형성과 관련하여, 단부 부위(3b) 및/또는 단부 부위(3c) 및/또는 확대 단차부(9)의 탄성적 절곡에 근거할 수 있다.
잠금 요소(3a)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평평하게 연장된 웹(3e)에 의해 형성되며, 그 두께는 d로 표시된다.
자유단 부위(3c)를 향해 돌출된, 잠금 요소(3a)의 후크형 단부 부위(3b)는, 의도하지 않은 당김 및 그로 인한 분리에 대항하여, 구속 장치(17)에 의해 포켓(13) 내에 구속된다. 그러한 구속은 다른 방식의 효과, 예를 들어 클램핑 효과에 기반을 둔 것일 수 있다.
커버(4)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하우징(2)은 각각, 길이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직선(line of sight)과 더불어, 시각적으로 접시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그것은 시거(cigar)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경우에, 조명기구(1)의 단면 사이즈 또는 하우징(2) 및/또는 커버(4)의 단면 사이즈가, 각각 길이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길이방향 부위 내의 위치로부터 각각의 연결된 자유단 부위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그에 따라, 하우징(2) 및/또는 커버(4)의 개구부(4b)의 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폭(B)은, 특히 도 2, 3, 6, 및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부위로부터 자유단 부위들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하우징(2) 및/또는 커버(4)의 개구부(4b)의 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된 깊이(T)는, 중앙 부위로부터 각각의 연결된 커버(4)의 자유단 영역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 깊이(T)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 또는 하우징(2)의 적어도 중간 길이방향 부위가 균일하게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진행되는 커버(4)의 정점 라인(4c)은 적어도 길이??향 부위(L2)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그러나, 정점 라인(4c)의 부위에서 또한, 하우징 및/또는 커버의 단면 사이즈 또는 깊이가, 길이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단부 부위에서의 위치로부터 각각 연결된 단부 부위까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 및/또는 커버(4)의 측벽(2a, 4a)들은, 실질적으로 조명기구(1)의 전체 길이(L1) 또는 중앙 길이방향 부위의 외측에 걸쳐서, 측부가 볼록하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또는 중앙 길이방향 부위(L2)의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폭(B)이 각각 연결된 하우징(2) 및/또는 커버(4)의 단부 부위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벽(4a)은, 정점 라인(4c) 부위 또한 전체 또는 적어도 길이방향 부위(L2)가, 직선 및 지지 측(1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함으로써, 적어도 중앙 길이방향 부위(L2)에서의 조명기구(1) 또는 커버(4)의 깊이(T)는, 조명기구(1) 또는 커버(4)의 단부 부위들에 있는 라운딩 부위를 제외한, 전체 길이(L1)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의 경우에, 지지 측(11)은 전체적으로 평탄 하거나 적어도 다수개의 지지 위치들이 면 상에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하우징(2) 및/또는 커버(4)의 폭(B)의 수렴(convergence) 및 커버(4)의 깊이(T)의 수렴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폭(B)의 수렴은 깊이(T)의 수렴 보다 크다. 즉, 폭(B)은, 자유 단 쪽을 향하여, 깊이(T) 보다 더 감소한다. 이는 특히 도 1 및 6에서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후자는 도 2의 VI-VI의 단면을 보여주게 된다. 특히, 길이방향 부위 L2와 L3 사이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 6에서, 중앙 폭(B)과 단면이 감소된 폭(B1)의 차이에 기인하는 폭 수렴이 보여진다.
도 1 및 도 6으로부터, 이미 언급한 폭 B 또는 B1의 수렴이 깊이(T)의 수렴 보다 크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이는 VI-VI에 따른 단면 및 길이방향 중앙(V-V에 따른 단면)에서의 정점 길이방향 라인(4c)이 곧게 연장되거나(도 1), 도 6에 따르면, 어느 지점의 앞 뒤에 놓여진다.
커버(4)는, 램프(6) 및 그 위에 위치하고 하우징(2)의해 고정된 반사기 R로부터 방사 및 반사된 광을, 커버(4)의 주변, 즉 조사될 룸(room)으로 안내하는, 광 전도 요소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구성의 경우에, 측면 벌지(21; bulge)들 및 정점 라인(4c)에서의 벌지(22)의 존재와 더불어,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 L1 또는 L3 걸쳐서, 광의 기술적 효과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커버(4)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벌지(21, 22)들의 길이에 걸친 각 지점에서, 동일한 광의 기술적 효과가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단 방향에서 다른 배광(light distribution)을 획득하기 위해 또는 커버(4)의 측면 및 하부측을 다르게 조사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광 전도 리브들 또는 광 안내 리브(23)들을 가지는 커버(4)의 벽(4a)을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광을 조사될 적어도 하나의 영역(zone)으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커버(4)의 지붕마루 부위에 배치된 중앙 조명 영역(W1) 및 양측면에 그와 인접하는 2개의 조명 영역이 있으며, 이들 2개의 조명 영역(W2)은 대략 커버(4)의 벽(4a)까지 연장되고, 각각 각이진 부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추가적으로 서로 직접적으로 접하게 배치되고 삼각 단면을 가지는 리브(23)들이 제공되며, 그의 광 커플링인(coupling-in) 표면(23a, 23b)들은, 램프(6) 또는 개구부(4b)의 면을 향하는 평탄면들이다. 커플링인 표면(23a, 23b)들의 각도들은 조명기구(1) 또는 커버(4)의 세로 길이방향 중간 면의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조명 영역(W1, W2)에서 조사될 룸으로의 원하는 광 안내 및 광 방사가 얻어지도록 배치된다. 광 안내 리브(23)의 행(row)은 대략 벽(4a)의 자유 에지까지 연장되며, 이 자유 에지는 설치된 상태에서 대략 하우징(2)의 개구부(4b)의 면에 배치되는 면(E)에 놓여지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리브(23)들은, 조명기구(1) 또는 커버(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벽(4a)의 길이에 결쳐서, 또는 단부 벽(4d)의 부위에서도, 유사한 광의 기술적 효과가 달성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하게 배치된 리브(23)들의 폭(e)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높이(h)도, 커버(4)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돔형 커버(4)의 각 단면 치수의 각기 존재하는 수렴에 비례하도록, 테이퍼진다. 그에 의해, 리브(23)들은 서로 각도적으로 오프셋(angularly offset)된 면(E1)들에 위치 되며, 이들은 모두가 램프(6) 또는 연결된 전기적 기계적 연결 수단의 중앙 축과 엣지 면(E) 사이의 부위에 놓여진, 바람직하게는 엣지 면(E)에 배치된 길이방향 라인(24)을 교차한다.
리브(23)들은, 도 3 및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버(4)의 단부 벽(4d)들에서 끝날 수 있거나, 도 6의 단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 단부 벽(4b)들에 대한 과도 부위(transition region)에서 끝날 수 있다. 도 7에서, 리브(23)들의 길이방향 엣지부들은 단순화를 위해 도면의 좌측에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잠금 장치(3)의 위치 또는 잠금 요소(3a)들의 웹(3e)들의 위치는, 벌지(21) 또는 볼록한 외측에 적합하도록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그들의 중앙 축들 사이에 예각(W3)을 포함한다.

Claims (11)

  1. 조명기구로서, 특히 방습 조명기구인 조명기구(1)에 있어서:
    - 긴 구유통형(trough-shaped) 하우징(2)과,
    - 적어도 하나의 램프(6)를 위하여 그 내에 배치된 연결부와,
    - 상기 하우징(2)의 개구부를 덮는 투명한 커버(4)와,
    -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4) 내에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광 안내 리브(23)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4)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 치수는,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의 중앙 또는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의 다음에 위치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커버(4)의 양단부 부위 또는 단부 부위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폭(B)은,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의 중앙 또는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의 다음에 위치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커버(4)의 양단부 부위 또는 단부 부위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깊이(T)는,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의 중앙 또는 상기 길이방 향의 중앙의 다음에 위치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커버(4)의 양단부 부위 또는 단부 부위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개구부 면(E)에 평행하게 형성된 단면 치수(B)는, 상기 개구부 면(E)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단면 치수(T) 보다 더 많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돔형 벽(4a)은 단부 부위들이 라운딩 변형되어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 벽(4d)들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적어도 그의 개구부(4b)의 부위에,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 또는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에 인접하게 놓여진 지점으로부터 상기 커버(4)의 양단부 부위 또는 단부 부위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4)의 폭(B)에 대응하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안내 리브(23)들이 상기 커버(4) 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 고,
    상기 광 안내 리브(23)들은 상기 커버(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면(E1)들에 배치되고, 각도적으로 오프셋되며, 공통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길이방향 라인(24)에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라인(24)은 대략적으로 상기 하우징(2)과 상기 커버(4) 사이의 분리 면(E)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광 안내 리브(23)들의 폭(e) 또는 또한 높이(h)도, 상기 관련 면(E1)에서의 상기 커버(4)의 단면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4)의 단부들 쪽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10. 청구항 5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리브(23)들은, 상기 커버(4)의 돔형 벽(4a)의 상기 단부 부위들에서 끝나거나, 상기 단부 벽(4d)들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11.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리브(23)들은 각각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조명기구.
KR1020087017303A 2006-02-01 2007-01-04 단면이 테이퍼진 단부 부위들을 가지는 긴 조명기구 KR101398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4580A DE102006004580A1 (de) 2006-02-01 2006-02-01 Längliche Leuchte mit im Querschnitt verjüngten Endbereichen
DE102006004580.7 2006-02-01
PCT/EP2007/000041 WO2007087947A1 (de) 2006-02-01 2007-01-04 Längliche leuchte mit im querschnitt verjüngten endberei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242A true KR20080099242A (ko) 2008-11-12
KR101398803B1 KR101398803B1 (ko) 2014-07-03

Family

ID=3777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303A KR101398803B1 (ko) 2006-02-01 2007-01-04 단면이 테이퍼진 단부 부위들을 가지는 긴 조명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79670B1 (ko)
KR (1) KR101398803B1 (ko)
CN (1) CN101371072B (ko)
DE (1) DE102006004580A1 (ko)
WO (1) WO2007087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2925A1 (en) * 2013-08-27 2015-03-05 GE Lighting Solutions, LLC Multi-part reflector for outdoor light desig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72705A (en) * 1949-05-20 1952-05-28 Holophane Ltd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of bowl-type refractors
WO1980002735A1 (en) * 1979-06-08 1980-12-11 P Ngai Luminaire for indirect lighting
CH664817A5 (de) * 1984-10-17 1988-03-31 Peter A Balla Beleuchtung fuer geschlossene laengliche raeume.
ES293638Y (es) * 1986-04-16 1987-04-16 Scad.Espanola Contucciones Electricas, S.A. Disposicion para la limpieza automatica de pantallas de alumbrado.
CN2081933U (zh) * 1991-01-29 1991-07-31 李东群 带节能罩灯
IT242325Y1 (it) * 1996-01-22 2001-06-14 3F Filippi Srl Plafoniera con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il fissaggio dello schermo alla base.
CN2515524Y (zh) * 2001-05-22 2002-10-09 株式会社严氏贸易 中央光洁的封闭式照明灯
CN2583501Y (zh) * 2002-10-15 2003-10-29 陈武德 灯罩的改良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9670B1 (de) 2012-06-27
EP1979670A1 (de) 2008-10-15
DE102006004580A1 (de) 2007-08-02
CN101371072A (zh) 2009-02-18
WO2007087947A1 (de) 2007-08-09
CN101371072B (zh) 2010-11-03
KR101398803B1 (ko)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6372B1 (en) Ceiling light fitting having light source and reflector arranged on narrow side of plate-shaped light guide
US10683623B2 (en) Elongate tensioning unit
KR200448343Y1 (ko)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US4137424A (en) Rail for supporting electrical fixtures
ATE187800T1 (de) Gestufte lamelle für gerichtete lichtstrahlung
WO2000011399A8 (de) Leuchte mit lichtleitelement
KR101263055B1 (ko) 구유통형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차단 웹을 가지는 방습 조명기구
IT202000010951A1 (it) Apparato di illuminazione e relativo metodo di montaggio
ES2610379T3 (es) Carcasa empotrada para lámparas eléctricas
KR20080099242A (ko) 단면이 테이퍼진 단부 부위들을 가지는 긴 조명기구
JP4034514B2 (ja) 照明器具
ITTO20010460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a luminanza controllata.
US20190128509A1 (en) Led-light
IT202100023348A1 (it) Sistema di illuminazione
KR200404598Y1 (ko) 전등용 덕트의 디퓨저 결합 구조
KR100989173B1 (ko) 고조도 조명기구용 반사판구조 및 그를 가지는 고조도조명기구
JP4129782B2 (ja) 車両用灯具
IT202100004706A1 (it) Sistema di illuminazione
KR100653331B1 (ko)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CN220152613U (zh) 灯带组件和包括其的人员输送装置
CN220186648U (zh) 一种线型防眩晕灯组
CN216079733U (zh) 一种百叶单元及建筑
CN210319513U (zh) Led线形灯的型材外壳及led线形灯
JP2013178992A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CN219775644U (zh) 一种易于安装的展柜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