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331B1 -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331B1
KR100653331B1 KR1020040058430A KR20040058430A KR100653331B1 KR 100653331 B1 KR100653331 B1 KR 100653331B1 KR 1020040058430 A KR1020040058430 A KR 1020040058430A KR 20040058430 A KR20040058430 A KR 20040058430A KR 100653331 B1 KR100653331 B1 KR 10065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uct
main body
wiring
lighting
fluor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748A (ko
Inventor
김경미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4005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3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덕트 내부 공간부에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시켜 배선덕트와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일체화 시킴으로써, 배선덕트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설치현장에서는 천장에 행거로드 작업만 완료하면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명용 등기구장치,전기배선등의 설비를 배선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공정이 공장에서 모두 제작 조립함으로써, 고소작업시에 발생되는 인력, 비용,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선덕트와 배선덕트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는 덮개수단과의 쉽고 편리한 탈착구조를 제공하며, 배선덕트 내부의 매입형 형광램프를 구성하고, 여기에 루버와 반사갓을 설치하여 광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조명용등기구가 배선덕트 내부에 삽입되므로 외관디자인을 고려한 인테리어 효과도 낼 수있다.
배선덕트, 루버, 반사갓, 조명등기구, 디퓨저

Description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A Wiring Duct with Lighting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형광등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1실시예 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1실시예 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4는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1실시예 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선덕트에 내장된 조명용등기구 부분의 확대사시도를 나 타낸도면.
도 6는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1실시예 의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2실시예 의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3실시예 의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4실시예 의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5실시예 로 지지결합보조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5실시예 로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6실시예 에서 지지결합보조판을 볼트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6실시예 의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너트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16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너트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선덕트본체 110 : 램프홀더 120 : 형광램프 130 : 안정기
140 : 전기배선 150 : 고정판 160 : 커넥터고정판 160a : 전선커넥터 170 : 외측돌기 180 : 내측돌기 190 : 볼트 200 : 광분산수단 210 : 루 버 220 : 반사갓 230 : 반사갓돌기 300 : 배선덕트본체하측판
310 : 걸림돌기 400 : 배선덕트 500 : 지지결합보조판 510 : 돌출부 520 : 슬라이딩홈 530 : 걸림턱 540 : 너트 550 : 천정구조물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의 조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한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배선덕트에 내장시키는 공정을 공장에서 제작, 조립하여 설치현장에서는 천정의 행거로드의 고정 작업만 완료되면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명등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매장과 같이 실내의 조도를 높게 유지해야 하는 곳에서는 천정에 형광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레이스웨이 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레이스웨이 프레임을 이용하여 형광등을 설치 고정하고 있다.
종래의 형광등 고정장치는 천정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소정 폭의 네변을 갖는 사각행거가 고정되고, 상기 사각행거에 레이스웨이 프레임을 지지시키며, 상기 레이스웨이 프레임에 형광등의 등갓을 고정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립작업은 고소에 위치한 형광등 등갓의 상부부재를 레이스웨이 프레임에 피스로 체결한 상태에서 다시 무겁고 크기가 큰 하부부재를 상기 고소에 위치된 상부부재에 조립하여 형광등 각각을 설치 고정해야 한다.
따라서, 고소작업시 불안정한 자세로 설치,고정 작업을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고 추락사고의 위험이 뒤따르며,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종래 기술로 도 1에 도시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23258호가 있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안정기(130) 및 전기배선(14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단 외측면에 행거용 금구(10)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고정용 홈(20)을 구비한 일측면 개방형 배선관체(30)와, 상기 일측면 개방형 배선관체(30)의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하기 위한 배선관체 뚜껑(40) 또는 배선관체 하측판(50)과, 배선관체(30) 내부의 수용부에 안정기(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전기배선(140)을 정렬하기 위한 격벽이 설치될 수 있도록 배선관체(30)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는 보조판(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면 개방형 배선관체(30)의 아래쪽에는 실내의 조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한 형광램프(120)와, 상기 배선관체(30)의 저면부 또는 배선관체 하측판(50)에 형성된 통공부를 통해 상기 배선관체(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형광램프(1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램프홀더(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상기 일측면 개방형 배선관체(30)의 내부의 보조판(60)을 삽입하여 결합하고, 배선관체(30)와 결합된 보조판(60)의 상단부에 안정기(130)를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결합 고정하고, 배선관체(30) 내부 수용부에 양끝에 커넥터를 결합한 전기배선(140)을 삽입한다.
상기 배선관체(30)의 저면부에 형성된 통공부를 관통하여 램프홀더(110)를 설치하며, 고정된 램프홀더(110)에 형광램프(120)를 설치하고, 상기 배선관체(30)의 상단에 배선관체 뚜껑(40)을 덮어 공간이 폐쇄되도록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배선관체(30) 내부에는 안정기(130) 및 전기배선(14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배선관체(30) 하부 외부면에 배선관체(30)와 일체형으로 형광램프(120)가 구비되도록 해서 설치현장에서 천정에 행거로드 작업만 완료되면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배선관체(30) 내부의 전기배선(140)과 안정기(130)등을 설치하고도 불필요한 공간이 많이 발생하여 배선관체(30) 내부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고, 조명용 등기구 장치의 제작공정에서 배선관체(30)의 저면부에 통공을 형성해서 램프홀더(110)와 형광램프(120)등의 여러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여전히 뒤따른다.
그리고, 최근에는 조명기구의 소비자 계층이 다양해짐에 따라 빛의 질적인 이용과 외관디자인에도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제품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조명용 등기구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도, 눈부심 현상, 조도하락, 시력보호, 밝기의 효율등을 고려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조명 등기구에 루버나, 루버 사이에 고조도 반사갓을 끼운 보조장치가 설치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배선관체 외부로 형광램프가 노출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와 같은 보조장치를 구비 할 수 없어 고급화된 조명 등기구 장치를 만들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선덕트 내부 공간에 조명용 등기구와 전기배선등의 장비를 배선덕트 내부 공간을 구획, 분할하여 설치함으로써, 배선덕트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동시에 조명용등기구장치의 현장에 설치하는 작업시간도 줄일 수 있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배선덕트 내부에 형광램프와 반사갓, 루버를 설치하여 광원의 효율을 뛰어난 고급화된 조명용등기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선, 컴퓨터의 케이블, 전화선등의 배선과 배선기구를 취부 고정,증설시에 사용되는 배선덕트에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하여 천정과 같은 고소작업시에도 행거로드의 고정 작업만 완료되면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제1실시예의 절개사시도이고, 도4는 제1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5는 제1실시예의 배선덕트의 내장된 조명용 등기구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이고, 도6은 제1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배선덕트(400)는 하부와 양단부가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배선덕트 본체(100)와, 배선덕트 본체(100)의 개방된 하부를 덮을 수 있는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과,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상측에 형성된 램프홀더(110)와, 고정된 램프홀더(110)에 결합되는 형광램프(120)와, 이 형광램프(120) 주위를 감싸고 있는 광분산수단(200)과,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일측 공간부에 안정기(130)와 전기배선(140)을 삽입하며, 삽입된 안정기(130)나 전기배선(140)등의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를 고정,지지 하기 위한 고정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분산수단(200)은 상기 형광램프(120)와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측면을 분리, 밀폐시켜 공간을 분할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갓(220)과,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양측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는 두개의 반사갓(220) 사이 소정의 폭을 가진 판을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되게 삽입되는 루버(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선덕트(400)는 배선덕트 본체(100) 상면부에 전기배선(140)을 삽입하고, 이 전기배선(140)을 고정,지지하기 위해서 전기배선(140) 하부면에 고정판(150)을 볼트(190)로 조여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판(150)에 통공을 뚫어 고정판(150) 하부에 램프홀더(110)를 설치하고, 고정된 램프홀더(110)에 형광램프(120)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형광램프(120)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광분산수단(200)을 결합하고,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의 하부 끝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형성된 내측돌기(180)와, 배선덕트 본체(100) 외부면 하부 끝단부에 내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형성된 외측돌기(170)로 구성되며,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개방된 하부를 폐쇄할 수 있는 커버 역할의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은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과 하부가 폐쇄되어 있는 구조로써, 배선덕트 본체(10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의 개방되어 있는 상부 양측면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1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10)는 구부러진 곡선형태의 갈고리 형상으로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의 내측돌기(18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어 삽입,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와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외부 하단면과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 사이의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과 배선덕트 본체(100)의 결합력을 견고히 하기 위해 원형결합봉을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원형결합봉은 강철, 합금 또는 합성수지재 등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판과 같은 부재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만들어 신축성을 가지도록 만든 부재이며, 상기와 같이 원통형이 아니라도 수용공간의 사이즈에 맞추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배선덕트 본체(100)와 배선덕트 본체(100)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는 덮개수단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오프너나 분리공구를 배선덕트 본체(100)와 덮개수단이 결합된 위치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지레대 원리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이 종래 사용되던 방식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분리공구 없이도 배선덕트 본체(100) 양측면에 힘을 가해 누르면 상기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의 양측면 외부면과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 인하여 배선덕트 본체(100)의 외측돌기(170)와 내측돌기(180)는 내측방향으로, 배선덕트 본체하측판(300)의 걸림돌기(310)는 외측방향으로 교차하며, 분리공구없이 배선덕트 본체(100)와 배선덕트 본체하측판(300)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의 외부 하단면와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배선덕트 본체(100) 외부면 상부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물분자가 형성되는 경우에 물분자가 배선덕트 본체(100) 외부면을 따라 내려오다 상기 수용공간의 구조 때문에 물분자가 배선덕트(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기능도 하고 있다.
상기 광분산수단(200)은 형광램프(120)와 램프홀더(110)를 모두 커버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형광램프(120)와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측면을 분리, 밀폐시켜 공간을 분할, 구획할 수 있는 반사갓(220)과, 배선덕트 본체(100) 양측면의 소정의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는 두개의 반사갓(220)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가진 판을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되게 삽입되는 루버(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사갓(220)은 배선덕트 본체(100) 양측면에 소정거리를 두고 각각 대칭을 이루면서 비스듬한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부에 위치한 형광램프(120)에서부터 배선덕트 본체(100) 하단면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반사갓(220)은 하부 끝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배선덕트 본체(100) 양측면에 각각 맞닿도록 반사갓돌기(230)를 구성하며, 이는 반사갓(220)을 배선덕트 본체(100) 외부면 하부 끝단부에 형성된 외측돌기(170)에 끼워 배선덕트 본체(100)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반사갓(220)의 반사갓돌기(230)가 배선덕트 본체(100)에 끼워지면, 반사갓돌기(230)와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하부 끝단부에 형성된 내측돌기(180)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 있는 원형결합봉을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반사갓(220)이 배선덕트 본체(100)에서 흔들리지 않는 결합력을 갖게 한다.
또한, 원형결합봉 대신에 상기 반사갓(220)의 양측면 외부면에 탄성편을 형성시켜 탄성편의 탄성력으로 복원되는 힘에 의해 반사갓(220)의 탄성편이 배선덕트 본체(100)를 압박하여 반사갓(220)과 배선덕트 본체(100)가 체결되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갓(22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실시예는 상기 형광램프(12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하며 시단은 형광램프(120)와 수평을 이루면서 형성되다가 끝단부가 형광램프(120)의 중간부 부터 곡선을 이루면서 컵을 뒤집어 놓은 모양처럼 구성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4 실시예에서 반사갓(220)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면서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면과, 이 돌출된 면이 배선덕트 본체(100) 상면부에 접촉하며, 형광램프(120)와 램프홀더(110)가 상기 돌출된 면의 하부에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갓(220)은 조도를 상승시키며 자외선을 약화시켜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데, 최근에는 반사갓(220) 표면을 유리거울처럼 특수처리해서 형광램프(120)의 효율를 배가시키는 고조도반사갓이 많이 쓰이고 있다.
상기 반사갓(220)의 반사갓돌기(230)와 배선덕트 본체(100)의 외측돌기(170) 상면 사이에 필요시 투명아크릴 또는 디퓨져를 삽입하여 광원을 부드럽게 확산시키고 입체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도 있다.
상기 루버(210)는 상기 반사갓(220)과 반사갓(220) 사이의 폭에 따라 사이즈가 구성되며, 상기 반사갓(220) 사이의 루버(210)가 결합되는 위치에 루버(210)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반사갓(220)의 양측면을 절단하여 홈을 형성하고, 홈이 형성된 위치에 루버(210)의 양단부를 삽입한 뒤, 외부로 튀어나온 루버(210)의 끝단부를 수직, 절곡시켜 반사갓(220)과 루버(210)를 결합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루버(210)의 형태는 램프홀더(110)와 램프홀더(110)에 결합된 형광램프(120)가 반사갓(220) 사이에 결합된 루버(210)와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상,하에 형성되는 제1실시예로써, 루버(210)의 상,하부면이 일직선에 가까운 곡선형태로 반사갓(220)사이에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램프홀더(110)의 하부의 타원형태의 면이 루버(210)에 접촉하지 않게 루버(210)의 상부면을 반원형상으로 요입시켜 구성되며, 이외에도 루버(21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루버(210)는 형광램프(120)의 자외선을 차단시켜주고, 빛의 손실을 가져오지 않게 하며 연직면 조도를 상승시키며, 보호각 이내의 범위에서는 형광램프(120)가 루버(210)속으로 들어가 보이지 않으므로 광원노출로 인한 불쾌감이 없으며, 난반사 되는 빛을 되살려 주므로 빛반사가 없어 시력을 보호해준다.
또한, 상기 루버(210)는 직접조명용기구로써 몸체가 광원을 차단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고 휘도는 줄이면서 아래로 빛을 확산 반사시키고, 빛을 완전히 포위하지 않으므로 빛의 효율이 크고 간접조명 효과까지 낼 수 있다.
상기 배선덕트(400)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판(150)은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홀더(110),안정기(130)등의 설비를 고정,지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동시에 전기배선(140)의 덮개 기능도 할 수 있다.
본 발명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전기배선(140)을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상면부와 볼트(190)로 결합된 고정판(150)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했지만, 배선덕트 본체(100) 양측면과 반사갓(220)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도 전기배선(140)을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배선덕트 본체(100) 일측에 형광램프(120)와 램프홀더(110)를, 타측에는 안정기(130)를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소형이며 경량화된 전자식 안정기(130)를 사용하면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수용공간 어디에도 안정기(130)를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도면은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에 전기배선(140)과 전선커넥터(160a)을 고정,지지하는 커넥터고정판(160)을 구성하여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며 움직이는 전기배선(140)과 전선커넥터(160a)를 고정,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배선덕트(400) 상호간의 전기배선(140)을 연결시에는 별도의 점퍼형 커넥터(미도시)를 사용하여 이용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5실시예로써,지지결합보조판이 상부과 하부에 결합 고정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에 쓰이는 C형강 또는 빔(Beam)등의 천정구조물(550)과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 또는 광분산수단(200)에 결합하여 고정, 지지시키는 지지결합보조판(500)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결합보조판(500)은 폐쇄된 양측면과, 이 양측면을 연결시켜 밀폐시켜 형성된 일면과, 상기 양측면 개방된 단부에 각각 수직 절곡되어 소정 폭을 가진 돌출부(510)가 형성되고, 돌출부(510)를 제외한 일면과 양단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결합보조판(500)은 탄성력을 갖고 있는 재질로써, 천정구조물(550)과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 또는 광분산수단(200)에 밀착하여 배선덕트 본체(100)의 걸림턱(530)에 끼워져서 결합,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조명용 등기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배선덕트(400)를 설치현장에 가지고 가서, 설치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구조물 하부면에 배선덕트(400) 상부면을 접촉시킨다.
상기 천정구조물 위에서부터 배선덕트 본체(100)의 슬라이딩홈(520)까지 상기 지지결합보조판(500)을 양쪽으로 벌려서 지지결합보조판(500)의 형성된 돌출부(510)를 배선덕트 본체(100)의 슬라이딩홈(520)에 삽입시켜 천정구조물(550)과 배선덕트 본체(100)를 결합, 고정한다.
상기 지지결합보조판(500)은 배선덕트(400) 하부면을 감싸거나 광분산수단(200)을 고정,지지 해주기 위해서 배선덕트(400) 하부에서부터 배선덕트 본체(100)의 형성된 슬라이딩홈(520)에 결합, 고정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 구조의 제6실시예에서 지지결합보조판을 볼트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결합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와 달리 지지결합보조판(600)은 폐쇄된 양측면과, 이 양측면을 연결시켜 밀폐시켜 형성된 일면과, 반대편 타측은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결합보조판(600)의 통공이 형성된 양측면 외부에서 볼트(190)를 통공에 삽입하고, 내부에는 너트(540)를 볼트(190)에 결합한다.
상기 지지결합보조판(600)을 배선덕트 본체(100)의 슬라이딩홈(520)에 원하는 위치까지 상부와 하부에서 삽입하고, 볼트(190)를 조이면 지지결합보조판(600)이 천정구조물(550)과 배선덕트 본체하측판(300) 또는 광분산수단(200)을 고정지지 하게 된다.
도 15과 도 16은 배선덕트 본체의 슬라이딩홈에 너트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90)를 조일때 너트(540)가 회전하는 반경보다 배선덕트 본체의 슬라이딩홈(520)의 폭이 작기 때문에 너트(540)가 공회전하지 않고 작용,반작용의 힘을 받아 나사돌기를 따라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양측면의 외부면과 저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3개의 제품인식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홈들은 출원인이 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할 경우 자사 제품임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자사 제품을 인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구조적인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선덕트 본체(100) 상부면에 전기배선(140)을 매입하고, 매입된 전기배선(140)을 볼트(190)로 고정판(150)을 결합하여 전기배선(140)을 고정,지지시킨다.
상기 볼트(190)에 의해 고정된 고정판(150)에 통공을 관통하여 램프홀더(110)를 설치하고, 고정된 램프홀더(110)에 형광램프(120)를 끼워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된 램프홀더(110)와 램프홀더(110)에 결합된 형광램프(120)를 감싸는 형태로 커버할 수 있는 길이방향의 두 개의 반사갓(220)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가진 판을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된 루버(210)를 삽입하여 반사갓(220)과 결합시킨다.
상기 반사갓(220)의 루버(210)가 결합되는 위치에 루버(210)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반사갓(220) 양측면을 절단하여 홈을 형성하고 홈이 형성된 위치에 루버(210)의 양단부를 삽입한 뒤, 반사갓(220) 외부로 튀어 나온 루버(210)의 끝단부를 반사갓(220)의 외부면에 맞닿도록 수직, 절곡시켜 반사갓(220)과 루버(210)를 결합시킨다.
상기 반사갓(220)의 루버(210)가 결합된 광분산수단(200)을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외부면 하부 끝단부에 형성된 외측돌기(170) 상면으로 반사갓(220)의 반사갓돌기(23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어 삽입한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 일측 공간에 고정판(150)을 볼트(190)로 고정시키고, 이 고정판(150)에 안정기(130)를 볼트(190)로 결합시킨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전기배선(140)의 양단부에는 전선커넥터(160a)가 형성되는데, 상기 전선커넥터(160a)를 커넥터고정판(160)을 이용하여 고정,지지시킨다.
상기 배선덕트 본체(100)의 형광램프(120)와 광분산수단(200)이 설치된 일측을 제외한 하부가 개방된 타측을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의 걸림돌기(310)를 배선덕트 본체(100)의 내측돌기(18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여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300)를 배선덕트 본체(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어 배선덕트 본체(100)의 하부 개방된 일측을 밀폐시키면,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조명용 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는 배선덕트 내부에 전기배선,안정기,조명용등기구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공장에서 일괄적으로 제작, 조립함으로써, 설치현장에서는 행거로드 작업만 완료하면 바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소작업시에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인력, 비용,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선덕트 본체와 배선덕트 본체하측판의 결합구조 때문에 별도의 분리공구없이 배선덕트 본체와 배선덕트 본체하측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선덕트 내부의 반사갓사이의 루버가 설치된 형광램프를 구성함으로써, 광 원의 효율적으로 이용을 도모하고, 고급화된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일정한 단위길이를 가지며, 하부와 양단면은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은 폐쇄된 배선덕트 본체와,
    상기 배선덕트 본체에 억지끼움 또는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되어 배선덕트의 개방된 하부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는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과,
    상기 배선덕트 본체의 내부 공간부 일측에 구비된 형광램프를 결합할 수 있는 램프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에 결합되는 형광램프 주위를 감싸는 형태의 광분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덕트 본체는 하부와 양단부가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배선덕트 본체 내부면 하부 끝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형성된 내측돌기와, 배선덕트 본체 외부면 하부 끝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외측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은 상부와 양단부가 개방되고, 하부와 양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 양측면 상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배선덕트 본체의 내측돌기와 외측돌기의 사이에 삽입되어 배선덕트 본체와 배선덕트 본체 하측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산수단은 형광램프의 주위를 감싸며, 상기 형광램프와 배선덕트 본체 내부측면 사이를 분리, 밀폐시켜 공간을 구획,분할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갓과, 내부 양측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는 두개의 반사갓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가진 판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된 루버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은 상기 배선덕트 본체 양측면에 소정거리를 두고 각각 대칭을 이루며, 상부에 위치한 형광램프에서부터 배선덕트 본체 하단면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부 끝단부가 배선덕트 본체 내부 양측면에 맞닿도록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덕트 본체의 양측면 외측돌기 상면 사이에 투명아크릴 또는 디퓨져를 더 포함하여 난반사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구조물과 상기 배선덕트 본체하측판 또는 광분산수단에 결합하여 고정지지 하기위한 지지결합보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정판을 더 구비하여 상기 램프홀더를 상기 고정판을 매개로 배선덕트 본체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판과 배선덕트 본체로 둘러싸이는 덧공간을 통신선로 및 전기배선 통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등기구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KR1020040058430A 2004-07-26 2004-07-26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KR10065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430A KR100653331B1 (ko) 2004-07-26 2004-07-26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430A KR100653331B1 (ko) 2004-07-26 2004-07-26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748A KR20060009748A (ko) 2006-02-01
KR100653331B1 true KR100653331B1 (ko) 2006-12-06

Family

ID=3712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430A KR100653331B1 (ko) 2004-07-26 2004-07-26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36B1 (ko) * 2008-07-11 2010-09-2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커버 결합 구조 및 보조 결합 장치
KR101178608B1 (ko) 2012-04-09 2012-08-31 (주)신한전광 루버패널을 통해 확산판이 일체로 결합되며 광효율을 증가시킨 등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405A (ko) * 2004-05-20 2005-11-25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등기구 내장형 배선덕트와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405A (ko) * 2004-05-20 2005-11-25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등기구 내장형 배선덕트와 이의 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11140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36B1 (ko) * 2008-07-11 2010-09-2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커버 결합 구조 및 보조 결합 장치
KR101178608B1 (ko) 2012-04-09 2012-08-31 (주)신한전광 루버패널을 통해 확산판이 일체로 결합되며 광효율을 증가시킨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748A (ko)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704A (en) Direct/indirect recessed wall sconce
US8371726B2 (en) Recessed luminaire with a reflector
US7896529B2 (en) Surface-mounted lighting system
US6079851A (en) Fluorescent lighting fixture having two separate end supports, separate integral ballast subassembly and lamps sockets, and hood positionable above end supports for mounting in or below opening in suspended ceiling
US5562343A (en) Multifunctional recessed lighting fixture
CA2548675C (en) Unitized fixture frame and junction box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8042977B1 (en) Troffer luminaire
US6561670B1 (en) Semi-recessed downlight wall wash canopy luminaire
CA2570789A1 (en) Lighting fixture with smooth adjustable beam width
US20090175040A1 (en) Surface-mounted lighting system
US20090002978A1 (en) Linear lighting system having a spinal structure and an optical system separately installable thereon
US8556451B1 (en) Linear lighting fixture
US7845821B2 (en) Flourescent lighting fixture module for indirect lighting of interior spaces, and method
JP2007250231A (ja) 照明器具
KR100653331B1 (ko)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JP2007035292A (ja) 照明器具
KR100474492B1 (ko)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
KR20090104954A (ko) 고조도 조명기구용 반사판구조 및 그를 가지는 고조도조명기구
KR200285877Y1 (ko) 매립등
KR100641816B1 (ko) 반사갓을 구비한 배선덕트
KR20230011136A (ko) 조명 등기구
KR200269877Y1 (ko) 헹거식슬림형광등기구
CN111486384B (zh) 一种嵌入式模栅led教室灯及使用方法
KR200389277Y1 (ko) 직관형광등기구들의 등간 연결구
KR200389172Y1 (ko) 피엘램프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