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539A - 도어 코어 모듈, 도어 시스템 및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코어 모듈, 도어 시스템 및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539A
KR20080098539A KR1020087023119A KR20087023119A KR20080098539A KR 20080098539 A KR20080098539 A KR 20080098539A KR 1020087023119 A KR1020087023119 A KR 1020087023119A KR 20087023119 A KR20087023119 A KR 20087023119A KR 20080098539 A KR20080098539 A KR 20080098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re module
door system
window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셉 구스타프 마리에 프렌드리그
제프리 발렌타지
Original Assignee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0545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985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6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belt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9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diag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60J5/0447Beams formed of several elements arrang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도어 코어 모듈(400) 및 도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어 코어 모듈(400)은 제 1 및 제 2 측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 1 측(310)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450), 및 상기 본체의 제 2 측(320)에 배치되는 글래스 런 채널(350)을 구비한다. 상기 글래스 런 채널(350)은 개방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본체 상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이 배치된다. 도어 시스템은 외부 패널(300)과 코어 모듈(400)을 구비한다. 도어 시스템은 코어 모듈(400)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트림 패널(700)을 추가로 구비한다.
Figure P1020087023119
본체, 보강 부재, 글래스 런 채널, 시일, 삽입체, 커버 플레이트

Description

통합 벨트라인 보강체를 갖는 코어 모듈을 구비한 도어 조립체{DOOR ASSEMBLY WITH CORE MODULE HAVING INTEGRATED BELT LIN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 구체적으로 차와 트럭과 같은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는 프레임이나 셸에 조립되는 여러가지의 개별 피스를 포함한다. 자동차 도어는 차량 및 옵션 패키지에 따라 50개 내지 100개 이상의 개별 부품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은 다양한 하드웨어와 전기 부품 및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하드웨어 부품은 핸들, 거울, 창 조절장치, 창 트랙, 창, 도어 로크, 및 충격 볼스터(bol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전기 부품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 스피커, 창 모터, 및 외부 거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밀봉 부품은 글래스 런 채널(glasss run channel), 벨트라인 시일, 하부 새시 시일, 플러그, 그로멧(grommet), 및 본체 대 도어 시일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품은 통상 다른 판매자나 공급업체에 의해 공급되며, 그 일부는 업계에서 1단계(Tier 1), 2단계, 3단계 공급업체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주문자 상표부착 제조업자(OEM)는, 통상 냉간 압연 스틸로 각각 스탬핑되어 함께 용접되고, 도어 셸을 제공하도록 페인팅되는 도어 프레임 및 외부 스킨을 생산한다. 프레임과 스킨은 도어 셸을 형성하도록 하나의 블랭크로부터 스탬핑될 수 있다. 1단계, 2단계, 3단계 공급업체로부터의 수많은 개별 부품들은 통상 OEM 조립 라인에서 OEM 도어 셸 상에 조립된다.
도어 셸에 부품을 부착하는 과정은 집약적이고, 적시 적소에 적절한 부품이 존재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고가의 물류 요건 및/또는 시스템을 요한다. 조립 과정은 또한 다량의 고비용의 플로어 공간을 요구할 수 있다. 각각의 부품은 몇 가지를 말하자면 클립, 나사, 이음쇠, 접착제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다른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도어 셸에 부착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도어의 전체 조립 과정을 완료하려면 20 내지 45개의 다른 조립 단계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도어(100)의 개략적인 도시를 나타낸다. 통상, 도어(100)는 내부 트림(trim) 패널(110), 내부 패널(120), 침입 빔(intrusion beam)(130), 보강 섹션(140), 및 외부 패널(150)을 구비한다. 통상, 내부 패널(120), 침입 빔(130), 보강 섹션(140), 및 외부 패널(150)은 각각 OEM에서 스틸로 형성되고, 스탬핑되며, 함께 용접되고, 페인팅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수많은 하드웨어, 전기 및 밀봉 부품들(간명함을 위해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은 통상 OEM에서 스틸 내부 패널(120)에 조립된다. 마찬가지로, 라이트, 스위치, 팔걸이, 맵 포켓, 핸들 등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패널(110)에 대한 다양한 부품들(간명함을 위해 도시하지 않음)은 1단계 공급업체에서 조립되고, OEM으로 출하된다. OEM은 조립된 트림 패널(110)을 조립 된 내부 패널(120)에 부착하고, 최종 전기 및 하드웨어 커넥션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도어 제작 공정은 집약적이고 시간 소모적이다. 조립 공정은 또한 모든 부품들이 입수가능하고 정확한 방식 및 순서로 조립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고도의 물류 기획을 요한다. 다른 부수적인 관련 비용에는, 다양한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플로어 공간에 추가적으로, 주문, 보관, 관리, 운송, 기능 테스트, 품질 관리가 포함된다. 이들 모든 요소는 결국 최종 제품을 비싸게 만든다.
비용 절감 및 부품 통합 아이디어에 의하면 도 2에 도시하듯이 하드웨어 및 전기 부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조립되어 있는 예비조립된 장착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었다. 도 2는 예비조립된 장착 패널(210)을 갖는 종래의 도어(200)를 개략 도시하고 있다. 내부 도어 핸들(215), 핸들 링크 케이블(220), 창 모터(225), 창 조절장치(230), 스피커(235), 창 가이드 레일(240), 드럼 풀리(245), 케이블(250), 및 도어 로크 유닛(260)을 포함하는 수많은 부품들이 장착 패널(210)에 조립된다.
하드웨어 및 전기 부품의 전부 또는 일부가 1단계 공급업체와 같은 외부 공급업체에서 장착 패널(210)에 설치될 수 있다. 장착 패널(210)은 통상 스탬핑된 스틸, 열성형된 유리 매트 강화 열가소성플라스틱(GMT) 또는 사출성형된 롱 글래스 파이버 강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 적용가능한 부품들이 외부 공급업체에서 장착 패널(210)에 조립된 후, 조립된 장착 패널(210)은 도어 패널 서브-조립체 또는 외부 패널(270)에 설치되기 위해 OEM으로 운송된다. 이후 외부 패널(270)에 내부 트림 패널(280)이 부착된다. 미국 특허 제6,857,688호; 제6,640,500호; 제 6,546,674호; 제6,449,907호; 제5,820,191호; 제5,355,629호; 제5,040,335호; 제4,882,842호; 제4,648,208호; 및 WO 01/25055 Al에는 다른 부분 통합 아이디어가 개시되어 있다.
예비조립된 장착 패널의 몇 가지 예는 생산성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부품 개수와 도어의 조립 소요 시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OEM에 대한 비용 이득은 주로 단계별 공급업체에 의해 흡수되는 물류 비용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개별 부품들을 덜 구비하는 도어 조립체가 필요하다. 또한 조립을 요하는 개별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는 도어 조립체가 필요하다.
도어 코어 모듈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도어 코어 모듈은 제 1 및 제 2 측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 1 측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 2 측에 배치되는 글래스 런 채널(glass run channel)을 구비한다. 상기 글래스 런 채널은 개방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본체 상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이 배치된다.
도어 시스템도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도어 시스템은 외부 패널과 코어 모듈을 구비한다. 코어 모듈은 제 1 및 제 2 측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 1 측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 2 측에 배치되는 글래스 런 채널을 구비한다. 상기 글래스 런 채널은 개방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이 배치된다. 상기 도어 시스템은 코어 모듈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트림 패널을 더 구비한다.
추가로, 도어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패널, 적어도 하나의 코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림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모듈의 내부 측에 보강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코어 모듈의 외부 측에 글래스 런 채널이 배치되고, 상기 외부 패널에 글래스 런 채널이 배치된다. 추가로, 상기 코어 모듈에 창 유리가 배치되며, 코어 모듈은 외부 패널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트림 패널이 부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종래 도어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예비조립된 장착 패널을 갖는 종래 도어의 개략도,
도 3은 통합형 도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도어 구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기재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글래스 런 채널의 개략도,
도 6은 기재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코어 모듈의 개략도,
도 7은 기재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보강 부재의 개략도,
도 8a는 커버 플레이트가 부착된 도 7에 도시된 보강 부재의 개략 평면도,
도 8b는 그 위의 커버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클립을 갖는 예시적인 보강 부재의 단면도,
도 8c는 프로파일(profiled) 에지 또는 돌기가 형성된 예시적인 보강 부재의 단면도,
도 9a는 하나 이상의 강화 구조물이 배치된 예시적인 보강 부재의 개략도,
도 9b 및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강화 구조물의 다양한 설계 패턴의 도시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삽입체가 내장된 보강 부재의 예시적인 평면도,
도 11a는 기재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를 결합 유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클립을 갖는 예시적인 보강 부재의 부분 단면도,
도 11b는 기재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보강 부재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클립을 갖는 예시적인 커버 플레이트의 개략도,
도 12는 기재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창 리프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창 트랙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15는 기재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창 리프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모터 하우징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창 트랙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18은 기재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트림 패널의 개략 평면도,
도 19a 내지 도 19e는 기재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순서의 간단한 개략도,
도 20은 조립용 슬라이딩 기구를 갖는 예시적인 로크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개략 측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의 개략 측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의 A-A 선상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23은 조립용 슬라이딩 기구를 갖는 예시적인 로크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측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의 개략 측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의 A-A 선상에서의 부분 단면도,
이제 상세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청구범위의 각각은 개별 발명을 한정하며, 이는 침해 목적으로, 청구범위에서 특정되는 다양한 요소나 제한사항의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내용에 따라서, "발명"에 대한 모든 이하의 참조문헌은 일부 경우에 특정 실시예만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발명"에 대한 참조문헌은 청구범위 전체가 아닌 하나 이상의 청구항에 기재된 요지를 참 조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이제 특정 실시예, 변형예 및 예를 포함하는 발명의 각각을 보다 상세히 후술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가 이 정보가 이용가능한 정보 및 기술과 조합될 때 그 발명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함되는 이들 실시예, 변형예 또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어 구조물, 코어 모듈 및 트림 패널을 갖는 도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코어 모듈은,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기재된 도어와 같은 종래의 도어 구조물에서 통상 발견되는 보강 섹션을 포함한다. 도어 구조물에서 종래의 보강 섹션의 부재는, 도어 시스템의 창 유리 및 창 리프트 시스템에 대한 쉬운 접근을 허용한다.
코어 모듈의 보강 섹션은 도어 시스템에 강도를 더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보강 부재는 막대나 플레이트와 같이 그 길이가 그 폭 및 두께보다 길며, 도어의 벨트라인 근처에 배치된다. 보강 부재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코어 모듈에 조립될 수 있거나, 또는 보강 부재가 코어 모듈과 함께 삽입-성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와 코어 모듈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여러 재료의 동일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와 코어 모듈은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여러 재료의 상이한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 보강 부재는 코어 모듈과 함께 2 부품 공정("2K 공정")으로 사출 성형된다. 보강 부재와 코어 모듈에 적합한 재료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논의한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그 제 1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어 구조물에 배치되고 그 제 2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어 모듈에 배치되는 밀봉 시스템을 갖는 도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밀봉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립(lip), 벌브 또는 기타 밀봉 요소와 조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U"자형 및 "L"자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프로파일(즉,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밀봉 시스템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와이어 보강재를 포함하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시일 시스템은 "U"자형 및 "L"자형 단면의 조합을 갖는다. 특히, 도어 구조물 상의 시일 시스템의 제 1 부분은 "U"자형 및 "L"자형 단면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시일 시스템이 "L"자형 단면을 갖는 경우, 코어 모듈 상의 인접한 부분(즉, "제 2 부분")은, 도어 구조물에 코어 모듈이 부착될 때 시일 시스템의 두 부분이 글래스를 양측에서 둘러싸도록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도어"라는 용어는 일체의 도어를 망라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도어"라는 용어는 개인용, 여가용 또는 상업용이거나 간에 차량, 트럭, SUV, 기차, 보트, 비행기 등을 포함하는 일체의 탈것을 위한 힌지형, 슬라이딩 방식, 리프팅 방식 또는 임의의 다른 대안적인 개폐 운동을 하는 하나 이상의 승객 도어, 리프트 게이트, 뒷문 및 해치백을 지칭할 수 있다.
보강 섹션 및 시일 시스템의 배치는 도어 시스템의 용이한 설치 및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보강 섹션 및 시일 시스템의 배치는 창과 창 리프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도어의 여러 부품에 대해 용이한 접근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치는 또한 도어의 작동 부품들, 특히 창 리프트 시스템이, 차량에 대한 도어의 최종 설치 이전에 기능적으로 테스트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물류 문제가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제공된 도어 시스템은 완성된 도어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조립 단계 및 개별 구성요소(즉, 부품)의 수를 감소시킨다. 보강 섹션의 단독 통합은 부품 조립을 더 쉽게 만들며, 도어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다양한 조립된 구성요소 및 부품들의 기능 테스트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도어 시스템은 다양한 부품을 통합하기 위해 다중-재료 사출 성형 기술을 이용한다. 다중-재료 사출 성형 기술은 둘 이상의 재료를 단일의 또는 다중 공동(cavity) 몰드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2 부품 또는 재료 공정은 통상 "2K"로 공지되어 있으며, 3 재료 공정은 통상 "3K"로 공지되어 있다. Engel Corp.로부터 입수가능한 Engel Victory Combi 머신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다중-재료 사출 성형 기계가 사용될 수 있다. 통합을 향상 및/또는 촉진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인-몰드(in-mold) 처리 기술도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인-몰드 처리 기술에는 다중 공동 툴, 삽입 성형, 가동 코어 섹션, 및 가스/물 어시스트가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로보틱 압출은 단독으로 또는 이들 처리 기술중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로보틱 압출은 밀봉 부재를 사출 몰드에 적용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도어 시스템은 도어 구조물(300), 글래스 런 채널(350), 코어 모듈(400), 보강 부재(450), 래치 조립체(475), 및 트림 패널(700)을 포함한다. 글래스 런 채널(350)은 도어 구조물(300) 상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부재(450)와 래치 조립체(475)는 코어 모듈(400)에 조립되거나 합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듯이, 코어 모듈(400)은 그것에 부착되거나 아니면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부품, 전기적 부품 및 밀봉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어떤 순서가 사용될 수 있지만, 코어 모듈(400)은 도어 구조물(300)에 부착되고, 이후 트림 패널(700)이 코어 모듈(400)이나 도어 구조물(300)에 부착되어 도어 시스템을 완성한다.
도 4는 예시적인 도어 구조물(300)의 일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어 구조물(300)은 코어 모듈(400)을 향하고 있고 궁극적으로 차량의 승객칸을 향하는 제 1 측 또는 내부 측(310)을 갖는다. 도어 구조물(300)의 내부 측(310)은 오목한 공동(315)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공동(315)은 조립시에 코어 모듈(400)의 적어도 일부가 도어 구조물(300)의 오목한 공동(315)에 끼워지도록 코어 모듈(400)의 치수와 유사하도록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코어 모듈(400)은 함께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부착될 수 있는 주변 시일(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이 시일은 도어 구조물(300)과 코어 모듈(400) 사이에 습식/건식 배리어를 생성하고, 요동없는 조립 형성을 보조하며, 노이즈 전달의 감소를 보조하고, 열팽창의 보상을 보조한다. 도어 구조물(300)은 또한 사이드 미러와 외부 도어 핸들(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부착될 수 있는 제 2 측 또는 외부 측(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내부(interior)"라는 용어는 차량의 내부 또는 승객칸을 향하는 배향 또는 방향을 지칭하며, "외부(exterior)"라는 용어는 차량의 내부 또는 승객칸으로부터 외면하는 배향 또는 방향을 지칭한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어 구조물(300)은 벨트라인(353)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는 보강 구조물 또는 부재를 갖지 않는다. 보강 구조물 또는 부재의 비존재는 조립이나 보수를 요하는 창 유리 및 기타 부품에 대해 보다 양호한 접근을 허용한다. 특히, 벨트라인(353)에서의 이러한 방해물의 비존재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듯이 창 유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만든다. 보강 구조물 또는 부재의 비존재는 또한 도어 조립체의 총 중량을 감소시키며, 이는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가스 연비를 증가시킨다.
도어 구조물(300)은 하나 이상의 개별 패널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구조물(300)은 상호 부착되는 외부 스킨(320) 및 내부 지지체(330)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 스킨(320) 및 내부 지지체(330)의 각각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강화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외부 스킨(320) 및 내부 지지체(330)의 각각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사출 성형, 주조, 압출, 몰딩되거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외부 스킨(320) 및 내부 지지체(330)의 각각은 OEM의 사양을 충족하기 위해 알루미늄 또는 냉간 압연된 스틸로 스탬핑되고, 조립되며, 페인팅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외부 스킨(320) 및 내부 지지체(330)의 각각은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스틸[즉, "재단된 블랭크(tailored blank)"]로 제조되고, 함께 용접되며, 스탬핑되고 페인팅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구조물(300)은 단일 부품이거나 단일 패널일 수 있다.
여전히 도 4를 참조하면, 도어 구조물(300)은 그 상부에 창 유리(도시되지 않음)용 개구(340)를 갖는다. 개구(340) 내에, 도어 구조물(300)은 조립시에 창 유리와 맞물림 결합되기 위한 시일 또는 글래스 런 채널(350)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글래스 런 채널(350)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 구조물(300)의 공동(315) 안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하듯이, 글래스 런 채널(350)의 제 1 부분(350A)은 도어 구조물(300)의 벨트라인(353) 아래에서 도어 구조물(300)에 부착되며, 그 제 2 부분(350B)은 도어 구조물(300)의 하단부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글래스 런 채널(350)의 제 1 및 제 2 부분(350A, 350B) 중 적어도 하나는 창 유리가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창 유리와 접촉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글래스 런 채널(350)의 제 1 및 제 2 부분(350A, 350B)은 둘다 창 유리가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창 유리와 접촉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글래스 런 채널(350)은 끼워지거나, 용접되거나 아니면 함께 부착되거나 서로에 대해 고정된 배향으로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개별 섹션 또는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글래스 런 채널(350)은 단일 부재로 만들어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글래스 런 채널(350)은 창 유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단면(즉, 프로파일)을 갖는다. 예시적인 프로파일에는 "U"자형, "L"자형, 및 그 조합이 포함된다. 글래스 런 채널(350)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나중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도어 구조물(300) 안에 배치된 예시적인 글래스 런 채널(350)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예시적인 글래스 런 채널(350)의 다양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글래스 런 채널(350)은 도어 구조물(300)의 개구(340) 안에 배치되는 상측 부분(351), 및 공동(315) 안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하측 부분(352)을 갖는다. 상측 부분(351)은 벨트라인(353) 위에 배치되고, 하측 부분(352)은 벨트라인(353) 아래에 배치된다. 글래스 런 채널(350)의 상측 부분(351)은 창 유리(도시되지 않음)의 외측 에지를 둘러쌀 수 있는 "U"자형 프로파일(354)(도 5b에 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 런 채널(350)의 하측 부분(352)은 도 5b에 도시하듯이, "U"자형 프로파일(354), "L"자형 프로파일(355),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하측 부분(352A)의 A 기둥 측은 프로파일(355)과 같은 "L"자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측 부분(352B)의 B 기둥 측은 프로파일(354)과 같은 "U"자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L"자형 프로파일(355)은 창 유리의 외측(즉, 외부) 주변과 접촉한다. 나중에 더 자세히 설명하듯이, 코어 모듈(400)은 두 개의 프로파일이 조립시에 창 유리를 안내하도록 창 유리의 내측(즉, 내부) 주변과 접촉하도록 상보적인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A 기둥 근처에서의 글래스 런 채널(350)의 "L"자형 프로파일(355)은 글래스가 "U"자형 프로파일(354)처럼 부분 폐쇄된 채널 안에서 조작될 필요가 없기 때문 에 창 유리의 조립과 제거를 훨씬 쉽게 만든다. B 기둥쪽에서의 글래스 런 채널(350)의 하측 부분(352B)도 "L"자형 프로파일(355)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구성이 창 유리의 설치와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창 유리의 설치와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전부는 하측 부분(352A, 352B)의 한쪽 또는 다른쪽(즉, A 기둥 측 또는 B 기둥 측)이 개방(즉, "L"자형)되는 것이다. 개방형 프로파일은 특수 공구 없이도 거의 조작하지 않고서 창 유리의 삽입을 허용한다. 일단 삽입되면, 창 유리는 글래스 런 채널(350)의 상부 섹션(351)의 "U"자형 프로파일(354)로 상승되거나 리프트될 수 있다.
코어 모듈(400)을 더 상세히 고려하면, 도 6은 코어 모듈(400)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전술했듯이, 코어 모듈(400)은 하나 이상 하드웨어 부품, 전기 부품, 및 밀봉 부재(즉 "시일")를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코어 모듈(400)은 보강 섹션(450)을 포함한다. 보강 섹션(450)은 조립시에 코어 모듈(400)과 전체 도어 시스템에 강도 및 강성을 추가한다. 전술했듯이, 종래의 도어는 도어 프레임에 부착되는 보강 바를 갖는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어 모듈(400)과 보강 섹션(450)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및/또는 도어 조립체, 특히 창 리프트 시스템의 설치 및 기능 테스트를 촉진하기 위해 코어 모듈(400)에 조립될 수 있다. 보강 섹션(450)은 도 6에서 코어 모듈(400)의 내부 측에 도시되어 있으나, 코어 모듈(400)의 내부 측("제 1 측")에 배치되거나 코어 모듈(400)의 외부 측("제 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코어 모듈(400)에 조립되는 예시적인 부품들로는, 창 조절장치, 모터, 트랙, 충격 볼스터, 와이어 하네스, 스피커 박스 또는 리셉터클, 스피커, 창 모터, 외부 거울 모터, 벨트라인 시일, 플러그, 그로멧, 및 코어 대 프레임 시일이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도시의 간단함과 용이함을 위해서, 코어 모듈(400)은 도 6에서, 하나 이상의 볼스터 또는 충돌 패드(410), 스피커 박스(425), 창 트랙(440), 모터 지지체(445), 창 유리(460), 벨트라인 시일(465), 및 글래스 런 채널(47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코어 모듈(400)은 자동차 도어의 통상적인 임의의 다른 부품을 구비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코어 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420), 도어 콘트롤 유닛(430), 도어 로크(435), 및 케이블 로크(447)를 구비할 수 있다. 코어 모듈(400)은 또한 가열 또는 냉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기 유통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 부품은 코어 모듈(400)에 사출 성형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볼스터(410), 스피커 박스(425), 창 트랙(440), 모터 지지체(445), 보강 섹션(450), 벨트라인 시일(465), 글래스 런 채널(470), 및 공기 유통 채널(도시되지 않음)은 논의된 다중-재료 또는 다중-샷(multi-shot) 사출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코어 모듈(4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들이 고비용의 조립을 요하는 개별 부품이 아니고 코어 모듈(400)의 일체 부분이므로, 조립 시간이 크게 감소된다.
하나 이상의 글래스 런 채널(470)을 더 상세히 고려하면, 글래스 런 채널(470)은 다중-재료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코어 모듈(400)의 제 2 측에 2K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 이상의 글래스 런 채널(470)이 코어 모듈(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재료는 창 유리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솜털처리(folcking)되거나 슬립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제 2 재료의 표면 마찰은 유리가 이를 따라서 허용가능한 힘으로 활주할 수 있기에 충분히 낮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글래스 런 채널(470)은 코어 모듈(400)에 부착되거나 아니면 조립되는 별도 부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글래스 런 채널(470)은 코어 모듈(400)의 외부 측에 형성되며, 따라서 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된다. 글래스 런 채널(470)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립, 벌브, 또는 기타 밀봉 요소와 조합하여 "U"자형, "L"자형 또는 그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전술했듯이, 글래스 런 채널(47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듯이, 도어 구조물(300) 상의 글래스 런 채널(350)의 하측 부분(350A)의 "L"자형 프로파일과 매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립 또는 형상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코어 모듈(400)이 도어 구조물(300)에 부착될 때, 글래스 런 채널(350, 470)의 맞물림 프로파일은 창 유리(460)가 진행하기 위한 성형 가이드를 제공한다.
도 6을 여전히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충돌 패드 또는 사이드 볼스터(410)는 발포 블록과 같은 발포 부재일 수 있다. 사이드 볼스터(410)는 또한 중공 구조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볼스터(410)는 강성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된다. 볼스터(410)는 코어 모듈(400)과 동일한 재료로 사출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다중 사출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코어 모듈(400)에 이중 샷 성형될 수 있다.
도 6을 여전히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창 트랙(440)은 글래스 런 채널(470) 을 갖는 코어 모듈(400)의 제 2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했듯이, 하나 이상의 창 트랙(440)은 코어 모듈(400)과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창 트랙(440)은 코어 모듈(400)에 사출 성형된다. 그 창 트랙(440)이 창 유리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되는 몰드에는 슬립 코팅(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다. 이는 2K 또는 다중-재료 사출 기술 또는 로보틱 압출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트랙(440)이 성형되기 전에 슬립 코팅이 공구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얇은 폴리머 필름에 대한 코팅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솜털 코팅을 갖는 얇은 폴리머 필름이 공구에 삽입되어 오버몰딩될 수 있다. 슬립 코팅은 창 트랙(440)과 창 유리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립 코팅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기타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시일의 제조 원료인 원재료의 마찰 계수가 충분히 낮으면, 시일에 저마찰면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코어 모듈(400)에 대한 글래스 런 채널(470)의 통합 및 벨트라인 보강 통합은 창 유리(460)를 포함하는 창 리프트 시스템의 완전한 사전-설치를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창 기구 및 제어는 코어 모듈(400)의 조립업체 중 1단계 공급업체에서 테스트될 수 있으며, 그로인해 OEM 조립의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강 부재(450)를 보다 상세히 고려하면, 도 7 내지 도 11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보강 부재(45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강 부재(450)는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스탬핑될 수 있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와 같은 하나 이상의 비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450)는 개별 부품으로 제조되며, 코어 모듈(400)에 조립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450)는 코어 모듈(400)과 함께 삽입-성형된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450)는 알루미늄, 스틸 또는 기타 적합한 금속이나 합금으로부터 스탬핑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공구에 삽입되고 코어 모듈(400) 재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몰딩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보강 부재(450)의 개략도이다. 보강 부재(450)는 코어 모듈(400)(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조립되기 위한 상부 플랜지(451) 및 하부 플랜지(4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플랜지(451, 452)는 클립, 나사, 볼트, 리벳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체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450)는 도 7에 도시하듯이, 플랜지(451, 452) 사이에 배치되는 오목한 섹션(453)을 구비할 수 있다. 오목한 섹션(453)은 일정하거나 가변적인 임의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깊이는 강성(즉, 변형에 대한 저항) 제공을 보조한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450)는 도 8a에 도시하듯이 추가적인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그 위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45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a는 커버 플레이트(455)가 부착된 보강 부재(450)의 개략 평면도이다. 커버 플레이트(455)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451, 452)에서 보강 부재(45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플레이트(455)는 예를 들어, 나사, 볼트, 리벳, 클립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계적 체결 구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강 부재(450)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455)는 또한 보강 부재(450)에 스폿 용접될 수 있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455)는 도 8b에 도시하듯이 하나 이상의 클립(456)을 사용하여 보강 부재(45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b는 커버 플레이트(455)를 그 위에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클립(456)을 갖는 보강 부재(450)의 개략 단면도이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클립(456)은 조립 중에 쉽게 부착될 수도 있지만, 보강 부재(45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사출 성형된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455)는 보강 부재(450) 상으로 활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플레이트(455)는 도 8c에 도시하듯이, 보강 부재(450)의 맞물림 프로파일 에지를 가로질러 활주하도록 구성된 프로파일 에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c는 보강 부재(450)와, 그에 대해 결합하여 활주하도록 구성된 프로파일 에지를 갖는 커버 플레이트(455)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다. 보강 부재(450)의 프로파일 돌기(457)는, 커버 플레이트(455)가 그것에 대해 활주할 수 있는 레일이나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커버 플레이트(455)의 프로파일 에지(455A)와 결합한다. 커버 플레이트(455)의 프로파일 돌기(455A)와 보강 부재(450)의 프로파일 돌기(457) 사이의 간극은, 커버 플레이트(455)가 적소로 미끄러져 들어가 차후 사용 중의 진동이나 요동없이 적소에서 유지되기에 딱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보강 부 재(450)는 도 9a에 도시하듯이 오목한 섹션(453)에 배치되는 삽입체 또는 강화 구조물(458)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a는 하나 이상의 삽입체(458)를 갖는 예시적인 보강 부재(450)의 개략도이다. 바람직하게, 삽입체(458)는 보강 부재(450)의 오목한 섹션(453) 안에 플라스틱 구조물을 오버몰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핑거 또는 리브(458A)를 구비한다. 삽입체(458)는 변형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킨다. 삽입체(458)는 상당히 높은 에너지 흡수 및 좌굴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체(458)를 오버몰딩한 후, 커버 플레이트(455)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전술했듯이 추가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삽입체(458)의 리브(458A)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하듯이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458A)는 도 9a에 도시하듯이 체크판을 닮도록 장방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리브(458A)는 도 9b에 도시하듯이 다이아몬드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리브(458A)는 도 9c에 도시하듯이 벌집 또는 다각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패턴으로는 튜브형 또는 원형이 포함된다. 소정의 패턴은 용도와 설계 요건에 필요한 강성 및 강도에 종속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삽입체(458)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보강 부재(450)의 오목한 섹션(453) 내에 배치되거나 아니면 이 오목한 섹션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의 각각은 삽입체(458)를 보유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을 갖는 보강 부재(45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450)는 도 10a에 도시하듯이 삽입체(458)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정위(location) 또는 고정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세스 또는 오목부(depression)(450A)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체(458)는 보강 부재(450)의 오목부(450A) 안에 끼워져 코어 모듈(400)의 본체와 접촉하기 위한 맞물림 돌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체(458)는 조립 중에 적소에 유지될 수 있다. 선택적 커버 플레이트(455)가 사용되면, 삽입체(458)는 커버 플레이트(455)가 적소에 고정될 때까지 오목부(450A)와 더불어 적소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도 10b에 도시하듯이, 보강 부재(450)의 오목한 섹션(453)에 하나 이상의 개구(450B)가 형성될 수 있다. 오버몰딩 사출 공정 중에 개구(450B)는 삽입체(458)의 재료가 보강 부재(450)를 통해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삽입체(458)의 재료는 보강 부재(450) 내에 머물러 적소에 고정된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450)는 도 10c에 도시하듯이, 삽입체(458)의 돌출 특징부(458B)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슬릿 또는 개구(450C)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체(458)의 돌출 특징부(458B)는 단지 하나 이상의 리브(458A)의 연장부일 수 있다. 보강 부재(450)의 하나 이상의 슬릿(450C)은 바이어스(bias)되거나, 아니면 삽입체(458)를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마찰 끼움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삽입체(458)는 보강 섹션(450) 상의 장소에 보유되어, 사용될 준비가 될 수 있다. 대 안적으로, 삽입체(458)는 커버 플레이트(455)의 접착제가 충분한 강도에 도달할 만한 시간 동안 보강 섹션(450) 상의 장소에 보유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 중에 삽입체(458)를 적소에 보유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455)에 의존한다. 또한, 기술한 실시예는 커버 플레이트(455)가 보강 부재(450)나 코어 모듈(400)에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을 시간 동안 삽입체(458)를 보강 섹션(450) 상의 장소에 보유될 수 있게 한다. 적절한 기계적 체결구의 몇 가지 예를 들면, 클립 나사, 히트 스테이크(heat stake), 리벳, 블라인드 리벳, 및 볼트가 포함된다. 또한 스폿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 플레이트(455)와 보강 부재(450)는 상호 클립된다. 예를 들어, 도 11a는 커버 플레이트(455)를 적소에 결합 및 보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클립(456)이 배치되어 있는 보강 부재(45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클립(456)은 단순히 커버 플레이트(455)의 뒷면과 접촉하여 커버 플레이트(455)를 보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커버 플레이트(455)를 적소에 보유하기 위해 접착제 층(459)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456)은 접착제(즉, 아교) 층(459)이 건조될 때까지 커버 플레이트(455)를 보유하기에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접착제 층(459)은 요동 및 진동으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도 11b는 하나 이상의 클립(456A)이 형성되어 있는 예시적인 커버 플레이트(455)의 개략도이다. 하나 이상의 클립(456A)은 커버 플레이트(455) 상에 사출 성형되거나 아니면 그것에 부착될 수 있다. 클립(456A)은 보강 부재(450)에 형성 된 개구(456B) 안으로 삽입되어 미끄러져 들어감으로써, 커버 플레이트(455)를 보강 부재(450)에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1b에 도시하듯이, 보강 부재(450)의 하부 플랜지(452)에는 둘 이상의 개구(456B)가 형성되고, 상부 플랜지(451)에는 둘 이상의 개구(456B)가 형성된다. 도어 구조물에 트림 패널을 부착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크리스마스 트리"형 체결구의 사용을 포함하는, 커버 플레이트(455)를 보강 부재(450)에 체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쉽게 고안될 수 있다. 이들 체결구는 또한 고도의 부품 통합을 제공하고 조립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455)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는 통합된 코어 모듈(4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창 리프트 시스템(500)을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창 리프트 시스템(500)은 모터 하우징 또는 리셉터클(507), 크로스 아암 리프터(520), 조절장치(530), 및 창 트랙(545, 550)을 구비한다. 크로스 아암 리프터(520)는 기어 또는 치형(toothed) 부재(522), 제 1 연장 부재(524), 및 제 2 연장 부재(526)를 구비한다. 모터 하우징 또는 리셉터클(507)은 코어 모듈(400)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하듯이 코어 모듈(400)의 내부 또는 외부 측에서 코어 모듈(400)에는 리프트 모터(505)가 부착될 수 있다. 모터(505)는 하우징(507)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모터(505)는 스냅 연결, 리벳, 접착제, 나사를 사용하여 또는 부품 연결을 위한 임의의 기타 체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통합 형성된 모터 하우징(507)에 쉽게 장착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모터(505)는 피봇 지점(51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치형 부재(522)를 구동한다. 치형 부재(522)는 제 1 연장 부재(524)에 부착되거나 그와 일체를 이룬다. 제 1 연장 부재(524)는 조절장치(530)에 부착되는 제 1 단부(524A)를 갖는다. 조절장치(530)는 창 유리(535)의 바닥에 부착된다. 조절장치(530)의 적어도 일부는 통합 형성된 트랙(550) 안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트랙(550)은 전술했듯이 모노 재료 성형, 2K 몰딩, 인-몰드 라벨링, 및 삽입 성형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서 코어 모듈(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조절장치(530)와 창 트랙(550)은 각각, 도 14에 도시하듯이 결합 시에 조절장치(530)가 트랙(550)의 프로파일(552)을 따라서 안내되는 맞물림 프로파일(532, 55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장 부재(524)는 피봇 지점(515)에서 제 2 연장 부재(526)에 피봇 연결된다. 제 2 연장 부재(526)의 제 1 단부(526A)는 트랙(545)과 연통한다. 제 2 연장 부재(526)의 제 2 단부(526B)는 조절장치(530)에 부착된다. 트랙(545)은 사출 성형을 통해서 코어 모듈(4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트랙(545)은 코어 모듈(400)에 부착되거나 코어 내에 삽입 성형되는 레일형 부재와 같은 별도 부품일 수 있다. 모터(505)가 치형 부재(522)를 구동함에 따라, 연장 부재(524, 526)는 피봇 지점(515)을 거쳐서 함께 작동하여 조절장치(530) 및 창 유리(535)를 승강시킨다. 창 유리(535)는 조절 장치(530)와 글래스 런 채널에 의해 지지된다.
도 15, 도 16 및 도 17은 창 리프트 시스템(6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창 리프트 시스템(600)을 갖는 코어 모듈(400)의 단순 개략도이다. 창 리 프트 시스템(600)은 그 각각이 트랙 부재(615A, 615B) 상에 구성되는 둘 이상의 조절장치(610A, 610B)를 구비한다. 창 리프트 시스템(600)은 또한 코어 모듈(400) 상에 사출 성형되는 통합형 모터 하우징 또는 리셉터클(620)을 구비한다. 도 16에 도시하듯이 코어의 내부 또는 외부 측에서 코어 모듈(400)에는 모터(605)가 부착될 수 있다. 모터(605)는 하우징(620) 상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605)는 클립 스냅 연결, 리벳, 나사, 접착제를 사용하여 또는 임의의 기타 체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통합 형성된 모터 하우징(507)에 쉽게 장착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창(625)은 하나 이상의 체결구 및/또는 접착제형 재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절장치(610A, 610B)에 고정된다. 조절장치(610A, 610B)와 창 트랙(615A, 615B)은 각각, 도 17에 도시하듯이 결합 시에 조절장치가 그 각 트랙의 프로파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맞물림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창 리프트 시스템(600)은 하나 이상의 보우덴(Bowden) 케이블(640 및 645 두 개가 도시되어 있음)을 추가로 구비한다. 케이블(640, 645)은 조절장치(610A, 610B)에 연결된다. 모터(620)가 케이블(640, 645)을 번갈아 견인할 때, 조절장치(610A, 610B)는 창(625)을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시킨다. 창(625)은 트랙(615A, 615B)과 연통하는 조절장치(610A, 610B)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트랙은 코어 모듈(4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삽입 성형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트림 패널(700)을 보다 상세히 검토하면, 도 18은 예시적인 트림 패널(700)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다. 트림 패널(700)은 하나 이상의 전기적, 기계적 및 밀 봉 부품들이 부착되거나 통합 성형되거나, 삽입 성형되기 위한 하우징 또는 기판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부품들로는 에어백, 환기구(air vent), 스위치; 도어 핸들; 도어 로크; 팔걸이; 맵 포켓; 스피커 커버 또는 그릴; 스피커; 벨트라인 시일; 플러그; 그로멧; 및 코어 대 프레임 시일이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창 유리 콘트롤, 창 로크, 외부 거울 위치결정 콘트롤, 도어 로크, 시트 위치결정 콘트롤, 및 스테레오 콘트롤을 위해 예시적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하듯이, 트림 패널(700)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커버(710), 팔걸이(720), 도어 thswkqdl(730), 창 스위치(740), 도어 로크 스위치(750), 사이드 미러 콘트롤(760), 맵 포켓(770) 및 내부 라이트(78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림 패널(700)은 폴리프로필렌이나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팔걸이(720), 스피커 커버(710), 및 맵 포켓(770)은 다중-재료 또는 다중-샷 사출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트림 패널(700)에 사출 성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어 구조물(300), 코어 모듈(400), 및 트림 패널(700)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시일, 플러그, 및/또는 그로멧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시일, 플러그, 및 그로멧은 기판 또는 본체[즉, 도어 구조물(300), 코어 모듈(400) 또는 트림 패널(700)]에 사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 시일, 플러그, 및 그로멧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2 또는 3샷 사출 성형 또는 로보틱 압출 기술을 사용하여 도어 구조물(300), 코어 모듈(400), 및/또는 트림 패널(700)에 직접 몰딩된다. 통합된 시일, 플러그 및 그로멧은 침수, 요동 및 진동 을 방지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보조한다. 이러한 부품들은 또한 부분의 음향적 성능을 증가시키는(즉, 사운드 절연 및 도어의 "폐쇄음"을 제공하는) 한편,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하면서 부분 공차 및 팽창의 차이를 보상한다.
재료
도어 구조물(300), 글래스 런 채널(350, 470), 코어 모듈(400), 보강 부재(450), 래치 조립체(475), 및 트림 패널(700)을 포함하는 전술한 부품들은, 예를 들어 강성 및 강도와 같은 필수 특성을 갖는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에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 호모폴리머, 에틸렌 코폴리머, 및 하기 폴리머 수지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 나일론 6(N6), 나일론 66(N66), 나일론 46(N46), 나일론 11(N11), 나일론 12(N12), 나일론 610(N610), 나일론 612(N612), 나일론 6/66 코폴리머(N6/66), 나일론 6/66/610(N6/66/610), 나일론 MXD6(MXD6), 나일론 6T(N6T), 나일론 6/6T 코폴리머, 나일론 66/PP 코폴리머, 나일론 66/PPS 코폴리머와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
b)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PEI), PET/PEI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PBN), 액정 폴리에스테르, 폴리옥살킬렌 디이미드 디액시드/폴리부티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 및 기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c)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AS),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과 같은 폴리니트릴 수지;
d)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와 같은 셀룰로스 수지;
f)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 폴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PCTFE),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코폴리머(ETFE)와 같은 불소 수지;
g) 방향족 폴리이미드와 같은 폴리이미드 수지;
h) 폴리설폰;
i) 폴리아세탈;
j) 폴리악톤;
k) 폴리페닐렌 산화물 및 폴리페닐렌 황화물;
l) 스티렌-말레이 무수물;
m) 방향족 폴리케톤;
n) 폴리카보네이트(PC);
o) 에틸렌-프로필렌 러버(EPR),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모노머 러버(EPDM),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C), 폴리이소부틸렌(PIB), 부틸 러버, 네오프렌 러버, 할로부틸 러버 등과 같은 엘라스토머; 및
p) 상기 a) 내지 o)중 임의의 것과 전부의 혼합물.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재료는 추가 강도를 위해 하나 이상의 충진재(fi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는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일 실시예에서 0.001 wt% 내지 50 wt%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0.01 wt% 내지 25 wt%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0.2 wt% 내지 10 wt%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충진재로는 이산화 티타늄, 탄화규소, 실리카[및 실리카의 다른 산화물(침전되거나 혹은 그렇지 않거나)], 산화안티몬, 탄산납, 아연백, 리도폰, 지르콘, 강옥, 첨정석, 인회석, 바리테스(Barytes) 분말, 황산바륨, 마그네사이트, 카본 블랙, 돌로마이트, 탄산칼슘, 샌드, 유리 비드, 미네랄 덩어리, 활석, 및 Mg, Ca, 또는 Zn 이온과 Al, Cr, 또는 Fe 및 수화되거나 그렇지 않은 CO3 및/또는 HPO4의 히드로탈시트 화합물; 석영 분말, 염화수소 마그네슘 탄산염, 숏 글래스 파이버, 롱 글래스 파이버, 글래스 파이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파이버, 규회석, 운모, 카본 파이버, 나노클레이, 나노복합물, 마그네슘 수산화물 설페이트 트리히드레이트, 클레이, 알루미나, 및 기타 금속 산화물과 탄산염, 금속 수산화물, 크롬, 포스포러스 및 브롬화 화염 지연제, 안티모니 삼산화물, 실리콘, 및 그 임의의 조합물 및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시적인 충진재로는 하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파이버, 폴리아미드 파이버, 파라-아라미드 파이버(예를 들면, Kevlar 또는 Twaron), 메타-아라미드 파이버(예를 들면, Nomex), 폴리에틸렌 파이버(예를 들 면, Dyneema), 및 그 조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료는 또한 폴리머와 하나 이상의 유기-클레이의 혼합물인 나노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유기-클레이는 암모늄, 제 1 알킬암모늄, 제 2 알킬암모늄, 제 3 알킬암모늄, 제 4 알킬암모늄, 지방족, 방향족 또는 아릴지방족 아민, 포스핀 또는 황화물의 포스포늄 유도체 또는 지방족, 방향족 또는 아릴지방족 아민, 포스핀 또는 황화물의 설포늄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유기-클레이는 몬트모릴로나이트, 나트륨 몬트모릴로나이트, 칼슘 몬트모릴로나이트, 마그네슘 몬트모릴로나이트,논트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 볼콘스코이트,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소코나이트, 마가다이트, 켄야이트, 소보카이트, 스빈도르다이트, 스티븐사이트, 버미큘라이트, 할로이사이트, 산화알루미늄, 히드로탈사이트, 일라이트, 렉토라이트, 타로소바이트, 레디카이트 및/또는 플로린 운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존재 시에, 유기-클레이는 나노복합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나노복합체 중에 0.1 내지 50 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 기능은 페놀, 케톤, 힌더드 아민, 치환된 페놀, 치환된 케톤, 치환된 힌더드 아민, 및 그 조합체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나노복합체는 나노복합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나노복합체 중에 통상 1 내지 70wt%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릭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도어 시스템(300)의 영역, 섹션 또는 부품에 대해서는, 강화 폴리프로필렌(PP)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가벼우면서 도 양호한 밸런스의 강성, 충격 강도를 제공하고 낮은 선형 열팽창 계수(CLTE)를 갖는 PET 파이버 또는 임의의 기타 재료로 강화된 PP이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폴리머는 향상된 충격 저항을 제공하도록 충격 개질될 수 있다. 충격 개질제는 플라스토머, 에틸렌 프로필렌 러버(EPR),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러버(EPDM)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제한적이지만 말레인산 폴리프로필렌, 말레인산 폴리에틸렌, 및 기타 말레인산 중합체, 히드록실레이티드 폴리프로필렌 및 기타 히드록실레이티드 폴리머, 그 유도체, 및 그 임의의 조합과 같은 상용화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재료는 플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플라스토머 혼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플라스토머(plastomer)"라는 용어는 ASTM D-4703 방법 B 또는 ASTM D-1505에 따라 0.85g/㎤ 내지 0.915g/㎤의 밀도를 갖고 190℃, 2.1kg에서 ASTM D-1238에 따라 0.10 dg/min 내지 30 dg/min 사이의 용융 지수(MI)를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또는 코폴리머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플라스토머는 ASTM D-1238에 의해 측정될 때, 일 실시예에서 0.10 dg/min 내지 20 dg/min, 다른 실시예에서 0.2 dg/min 내지 10 dg/min, 또 다른 실시예에서 0.3 dg/min 내지 8 dg/min의 용융 지수(MI)를 갖는다. 바람직한 플라스토머는 일 실시예에서 10,000 내지 800,000, 다른 실시예에서는 20,000 내지 70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플라스토머의 분자량 분포(Mw/Mn)는 일 실시예에서 1.5 내지 5의 범위에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2.0 내지 4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한 플라스토머의 1% 할선 굴곡 탄성율(ASTM D-790)은 일 실시예에서 10 MPa 내지 150 MPa의 범위에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20 MPa 내지 100 MPa의 범위에 있다. 추가로, 바람직한 플라스토머는 일 실시예에서 30℃ 내지 80℃(제 1 용융 피크) 및 50℃ 내지 125℃(제 2 용융 피크)의 융점(Tm)을 가지며, 다른 실시예에서 40℃ 내지 70℃(제 1 용융 피크) 및 50℃ 내지 100℃(제 2 용융 피크)의 융점(Tm)을 갖는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플라스토머는 에틸렌 유도 유닛과, C3 내지 C10 α-올레핀 유도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코폴리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코폴리머는 0.915g/㎤ 미만의 밀도를 갖는다. 플라스토머에 존재하는 코모노머(C3 내지 C10 α-올레핀 유도 유닛)의 양은 일 실시예에서 2wt% 내지 35wt%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5wt% 내지 30wt%이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15wt% 내지 25wt%이고, 또다른 실시예에서 20wt% 내지 30wt%이다.
상기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플라스토머는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과 같은 고 α-올레핀 유도 유닛과 에틸렌 유도 유닛의 하나 이상의 메탈로센 촉매화 코폴리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토머는 0.860g/㎤ 내지 0.900g/㎤ 사이의 밀도를 산출하기 위해 이들 코모노머 유닛 중 하나 이상을 충분히 포함한다.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플라스토머의 예로는 이하의 것들이 포함된다: 플라스토머의 18wt% 내지 22wt%로 구성되고 0.895g/㎤의 밀도와 3.5dg/min의 MI를 갖는 1-헥산 유도 유닛과, 에틸렌 및 1-헥산의 코폴리머인 EXACT 4150(ExxonMobil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 및 플라 스토머의 26wt% 내지 30wt%로 구성되고 0.882g/㎤의 밀도와 1.0dg/min의 MI를 갖는 1-옥텐 유도 유닛과, 에틸렌 및 1-옥텐의 코폴리머인 EXACT 8201(ExxonMobil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
본 명세서에서 성형 재료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혼합물은 통상, 약 15wt%, 20wt% 또는 25wt% 내지 약 80wt%, 90wt% 또는 100wt%의 폴리머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약 0wt%, 5wt% 또는 10wt% 내지 약 35wt%, 40wt% 또는 50wt%의 충진재와, 선택적으로 약 0wt%, 5wt% 또는 10wt% 내지 약 35wt%, 40wt% 또는 50wt%의 플라스토머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혼합체는 기재된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약 15wt%, 20wt% 또는 25wt% 내지 약 80wt%, 90wt% 또는 100wt%의 양으로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혼합체는 적어도 약 1wt%, 5wt%, 10wt%, 15wt% 또는 20wt%의 플라스토머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혼합체는 적어도 약 1wt%, 5wt%, 10wt%, 15wt% 또는 20wt%의 충진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명세서에 사용하기 위한 혼합체는 적어도 6,500 MPa, 적어도 7,500 MPa, 또는 적어도 9,000 MPa의 인장 강도를 가질 것이다. 추가로, 바람직한 혼합체는 1,750 MPa 이상, 예를 들면 1,800 MPa 이상 또는 약 2,000 MPa 이상의 굴곡 탄성율을 가질 것이다.
전술한 재료 및 폴리머에 추가적으로, 밀봉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는 영역이나 부품에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가황물(TPV),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열가소성 올레핀(TPO), 폴리우레탄(PU), 또는 EPR이나 EPDM과 같은 엘라스토머가 사용 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치밀한(비발포) 상태 또는 발포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탁월한 밀봉 성능과 사출 성형 능력을 제공하는 고유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TPV가 선택된다. 이들 재료의 다른 양태는 구조적 및 밀봉 재료의 상용화 또는 상호간의 접착 능력이 될 것이다. 구조적 및/또는 밀봉 시스템의 재료는 관능화될 수 있거나, 또는 양호한 접착성을 제공하기 위해 재료에 추가되는 이차 첨가물 또는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조립 순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시스템은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도어 시스템은 이하의 순서로 조립될 수 있다. 먼저, 코어 모듈(400)을 제조하기 위해 부품들을 사출 몰드 내에 삽입한다. 코어 모듈(400)과 삽입된 부품들은 제 1 재료로 사출 성형된다. 코어 모듈(400) 상에 가요성 부품(시일, 플러그, 그로멧, 또는 피부의 소프트 터치부)을 생성하기 위해 TPV와 같은 제 2 재료가 사출 성형된다. 추가적인 구조적 강도를 위해 필요할 경우 중공형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가스나 물도 사용될 수 있다. 싱크 마크(sink mark)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포 구조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증가된 강성을 위해 발포 구조물을 생성하기 위해 발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통합된 부품이 그 위에 형성되어 있는 코어 모듈(400)이 공구로부터 방출된다. 이후 아직 코어 모듈에 통합되지 않은 부분들이 조립된다. 창 유리(535)가 코어 모듈(400)에 조립되고 적절히 조절된다. 코어 모듈(400)은 이제 조립 라인으로 보내질 준비 상태로 된다.
조립 라인에서, 코어 모듈(400)은 도어 구조물(300)에 부착되고, 트림 패 널(700)은 도어 조립체 및 코어와 도어 구조물 사이의 모든 연결부(기계적, 전기적 또는 기타)에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트림 패널(700)이 코어 모듈(400)에 부착될 수 있고, 코어 모듈은 다시 도어 구조물(300)에 부착된다. 도어 조립체는 이후 차량에 조립될 준비 상태로 된다.
도 19a 내지 도 19e는 도어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하나의 특정 순서를 간단하게 개략 도시한다. 도 19a를 참조하면, 코어 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창 트랙(440)(두 개가 도시됨), 글래스 런 채널(470), 로크 시스템(800), 및 창 유리(535)를 구비한다. 창 유리(535)는 하나 이상의 창 트랙(440) 및 글래스 런 채널(470)과 접촉하거나 연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조립된 코어 모듈(400)은 도 19b에 도시하듯이 도어 구조물(300) 내에, 바람직하게는 기울어져서 삽입된다. 로크 기구(800)는 창 유리(535)가 도어 구조물(300)의 글래스 런 채널의 하측 부분(352B)의 U자형 프로파일과 접촉할 때까지 도어 구조물(300) 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으면 임의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연결부가 만들어질 수 있다. 창 유리(535)의 제 1 에지가 글래스 런 채널의 U자형 프로파일(352B)과 여전히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코어 모듈(400)은 도 19c 및 도 19d에 도시하듯이 창 유리의 제 2 에지가 글래스 런 채널의 L자형 프로파일(352A)과 접촉할 때까지 도어 구조물(300)을 향해서 회전될 수 있다.
코어 모듈(400)이 폐쇄되고 도어 구조물(300)에 부착된 후, 코어 모듈(400)을 도어 구조물(300)에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나사, 볼트, 리벳, 클립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트림 패널(700)은 이후 코어 모듈(400) 근처에 배치되고, 도 19e에 도시하듯이 하나 이상의 나사, 볼트, 리벳, 클립 또는 기타 체결 부재(850)를 사용하여 적소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0, 도 21 및 도 22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딩 로크 조립체(900)를 사용하는 도어 조립의 일 실시예의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슬라이딩 로크 조립체(900)는 코어 모듈(400)을 운송하여 도어 구조물(300)에 장착하는 동안 로크를 제 1 ("후퇴") 위치에 있게 할 수 있다. 이후, 로크 조립체(900)는 제 2 ("조립된") 위치로 작동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도 20은 예비조립된 위치 또는 후퇴 위치에 있는 슬라이딩 로크 조립체(900)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21은 조립된 위치에 있는 슬라이딩 로크 조립체(900)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A-A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로크 기구(800)는, 도어 구조물(300)에 대한 코어 모듈(400)의 조립 중에 로크 기구(8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기구(920)(즉, 슬레드 또는 슬라이더)에 연결되거나 아니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기구(920)가 두 개의 수평 평면 내에서 측방으로, 예를 들면 X축 및 Y축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고 추정하더라도, 슬라이딩 기구(920)는 단일 평면 내에서 측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로크 기구(800)의 적어도 일부는 임의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부착, 용접, 나사결합, 볼트연결, 리벳연결, 클리핑되거나 달리 부착됨으로써 슬라이딩 기구(920)에 부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기구(920)는 또한 필요할 경우 로크 기구(800)의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하듯이, 코어 모듈(400)은 그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거 나 일체로 형성되는 레일 또는 트랙 시스템(930)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기구(920)는 또한 코어 모듈(400)의 트랙 시스템(930)의 프로파일과 결합하기 위한 맞물림 프로파일을 갖는 트랙 또는 레일 시스템(93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로크 기구(800)는 코어 모듈(400)이 도어 구조물(300)에 부착된 후 제 1 위치 또는 "후퇴 위치"로부터 제 2 위치 또는 "조립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로크 기구(800)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크 기구(800)가 도어 구조물(300)과 접촉하게 될 장소인 구멍을 통해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다. 공구는 로크 기구(8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로크 기구(800)가 도어 구조물(300)에 장착될 수 있는 제 2 위치 또는 조립된 위치로 로크 기구(800)를 조작(즉, 견인)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23, 도 24, 및 도 25는 슬라이딩 로크 조립체(1000)를 사용하는 도어 조립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3은 제 1 위치 또는 예비조립된 위치에 있는 슬라이딩 로크 조립체(1000)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4는 조립된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있는 슬라이딩 로크 조립체(1000)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A-A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슬라이딩 로크 조립체(1000)는 로크 기구(800)를 조작하기 위한 핸들 또는 레버(1020)와 연통하는 슬라이딩 기구(1010)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기구(1010)와 핸들(1020)은 코어 모듈(400)의 일부 안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핸들(1020)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듯이 코어 모듈(400)의 상면에 형성된 리세 스(1022) 내에 형성된다. 핸들(1020)은 도 25에 단면 도시하듯이, 슬라이딩 기구(1010)와 단일체로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기구(1010)는 도 25에 도시하듯이 로크 기구(80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 또는 앵커(1010A)(세 개가 도시됨)를 사용하여 로크 기구(800)에 연결된다.
로크 조립체(1000)의 조작은, 슬라이딩 기구(1010) 및 로크 기구(800)를 조작하기 위해 핸들(1020)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하다. 물론, 슬라이딩 기구(1010)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공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했듯이, 기재된 통합 정도는 완성된 도어의 비용 및 조립 복잡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비용이 상당히 감소되는 바, 이는 전체 비용뿐 아니라 조립 오류 정도를 감소시킨다. 최종 조립 이전에 대다수의 기능이 테스트될 수 있기 때문에(즉, 사전 테스트) 최종 조립 이후의 기능 테스트 비용도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또한, 도어 조립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은 낮은 전체 중량, 보다 나은 부품 통합, 개선된 노이즈 차단, 우수한 설계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즉, 사출 성형 공구에서 교체가능한 삽입체를 사용함으로써) 저렴한 설계 변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기재된 다중-재료 사출 성형 기술은 또한 여러 재료의 독특한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리벳, 나사, 접착제, 클립, 스냅 등과 같은 다중 부품에 필요한 이차 부착 기술의 개수가 일부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거되지는 않지만 현저히 감소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이하의 것에 관한 것이다:
1. 도어 코어 모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측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 1 측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 2 측에 배치되고, 개방형 프로파일을 갖는 글래스 런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에 하나 이상의 부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상기 본체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하나 이상의 시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일은 상기 본체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를 포함하며, 각각의 플랜지는 본체의 제 1 측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플랜지, 제 2 플랜지 및 이들 플랜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삽입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는 하나 이상의 강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보강 부재와의 사이에 중공의 공동을 형성하도록 그 위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창 조절장치, 창 트랙, 창 유리, 창 스위치, 도어 로크, 도어 핸들, 도어 로크 스위치, 팔걸이, 맵 포켓, 충격 볼스터, 와이어 하네스, 스피커, 창 모터, 외부 거울 모터, 플러그, 그로멧,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0.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일은 글래스 런 채널 시일, 벨트라인 시일, 하부 새시 시일, 코어 대 프레임 시일,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1.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본체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창 조절장치, 창 트랙, 충격 볼스터, 에어 채널, 창 모터 하우징, 맵 포켓, 스피커 박스, 플러그, 그로멧,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니트릴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셀룰로스 수지, 불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설폰, 폴리아세탈, 폴리악톤, 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페닐렌 황화물, 스티렌-말레이 무수물, 방향족 폴리케톤,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PEI), PET/PEI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PBN), 액정 폴리에스테르, 폴리옥살킬렌 디이미드 디액시드/폴리부티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AS),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부타 디엔-스티렌(ABS), 그 유도체, 및 그 혼합물 또는 혼합체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9.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패널,
코어 모듈, 및
상기 코어 모듈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트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모듈은,
제 1 및 제 2 측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 1 측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 2 측에 배치되고, 개방형 프로파일을 갖는 글래스 런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에 하나 이상의 부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상기 본체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하나 이상의 시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일은 상기 본체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3. 제 19 항, 제 20 항,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를 포함하며, 각각의 플랜지는 본체의 제 1 측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4. 제 19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플랜지, 제 2 플랜지 및 이들 플랜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삽입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는 하나 이상의 강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보강 부재와의 사이에 중공의 공동을 형성하도록 그 위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7. 제 19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창 조절장치, 창 트랙, 창 유리, 창 스위치, 도어 로크, 도어 핸들, 도어 로크 스위치, 팔걸이, 맵 포켓, 충격 볼스터, 와이어 하네스, 스피커, 창 모터, 외부 거울 모터, 플러그, 그로멧,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8. 제 22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일은 글래스 런 채널 시일, 벨트라인 시일, 하부 새시 시일, 코어 대 프레임 시일,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9. 제 22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본체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창 조절장치, 창 트랙, 충격 볼스터, 에어 채널, 창 모터 하우징, 맵 포켓, 스피커 박스, 플러그, 그로멧,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1. 제 19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2. 제 1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3. 제 1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4. 제 19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5. 제 19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니트릴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셀룰로스 수지, 불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설폰, 폴리아세탈, 폴리악톤, 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페닐렌 황화물, 스티렌-말레이 무수물, 방향족 폴리케톤,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6. 제 19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PEI), PET/PEI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 트(PAR),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PBN), 액정 폴리에스테르, 폴리옥살킬렌 디이미드 디액시드/폴리부티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AS),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 유도체, 및 그 혼합물 또는 혼합체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7. 제 19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 상에는 글래스 런 채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글래스 런 채널은 적어도 일부가 폐쇄형 프로파일을 갖고 적어도 일부가 개방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은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은 L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은 외부 패널의 벨트라인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도어 시스템.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과 상기 코어 모듈 상의 글래스 런 채널은 상호 결합될 때 폐쇄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을 갖는 적어도 일부는 외부 패널 주위의 창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4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런 채널은 그 제 1 부분이 U자형 프로파일을 갖고 그 제 2 부분이 L자형 프로파일을 갖는 단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44. 도어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패널, 적어도 하나의 코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림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코어 모듈의 내부 측에 보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코어 모듈의 외부 측에 글래스 런 채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패널에 글래스 런 채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코어 모듈에 창 유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패널에 코어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및
이후 트림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에 코어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는, 창 유리의 제 1 에지를 외부 패널 상의 글래스 런 채널의 적어도 제 1 부분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모듈을 창 유리의 제 1 에지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창 유리의 제 2 에지를 외부 패널 상의 글래스 런 채널의 적어도 제 2 부분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8. 제 44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모듈을 외부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9. 제 44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크 기구를 후퇴한 제 1 위치로부터 조립된 제 2 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립된 제 2 위치는 외부 패널과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코어 모듈 상에 배치된 슬라이딩 기구와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당업자는 전술한 도어 시스템이 완성 시스템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그 개별 부품들이 필요할 경우 둘 이상의 부품의 통합을 보조하기 위한 개별적인 미니-시스템 또는 모듈형 유닛으로서 각각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특정 실시예 및 특징부는 수치적 상한 세트와 하한 세트를 사용하여 기술되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하한에서 상한까지의 범위가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 하한, 상한 및 범위는 하기의 하나 이상의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다. 모든 수치는 표시된 값의 "약" 또는 "대략"적인 값이며, 당업자에 의해 예상될 실험 오차 및 편차를 고려하는 것이다.
다양한 용어들을 위에서 한정하였다.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위에서 한정되지 않은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개된 공보 또는 공고된 특허에서 반영되 는 그 용어에 당업자가 제공하는 최광의의 한정이 부여되어야 한다. 추가로, 본원에서 인용되는 모든 특허, 테스트 과정, 및 우선권을 포함한 기타 문서들은 그 기재 내용이 본원과 모순되지 않는 정도로 전체가 원용되는 바, 그러한 원용이 허용되는 모든 권한에 대해 그러하다.
이상의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지만, 그 기본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타 및 추가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결정된다.

Claims (50)

  1. 도어 코어 모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측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 1 측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 2 측에 배치되고, 개방형 프로파일을 갖는 글래스 런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에 하나 이상의 부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상기 본체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하나 이상의 시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일은 상기 본체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를 포함하며, 각각의 플랜지는 본체의 제 1 측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플랜지, 제 2 플랜지 및 이들 플랜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삽입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는 하나 이상의 강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보강 부재와의 사이에 중공의 공동을 형성하도록 그 위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창 조절장치, 창 트랙, 창 유리, 창 스위치, 도어 로크, 도어 핸들, 도어 로크 스위치, 팔걸이, 맵 포켓, 충격 볼스터, 와이어 하네스, 스피커, 창 모터, 외부 거울 모터, 플러그, 그로멧,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0.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일은 글래스 런 채널 시일, 벨트라인 시일, 하부 새시 시일, 코어 대 프레임 시일,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1.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본체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창 조절장치, 창 트랙, 충격 볼스터, 에어 채널, 창 모터 하우징, 맵 포켓, 스피커 박스, 플러그, 그로멧,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니트릴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셀룰로스 수지, 불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설폰, 폴리아세탈, 폴리악톤, 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페닐렌 황화물, 스티렌-말레이 무수물, 방향족 폴리케톤,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PEI), PET/PEI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PBN), 액정 폴리에스테르, 폴리옥살킬렌 디이미드 디액시드/폴리부티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AS),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 유도체, 및 그 혼합물 또는 혼합체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코어 모듈.
  19.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패널,
    코어 모듈, 및
    상기 코어 모듈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트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모듈은,
    제 1 및 제 2 측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 1 측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 2 측에 배치되고, 개방형 프로파일을 갖는 글래스 런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에 하나 이상의 부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상기 본체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하나 이상의 시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일은 상기 본체 상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3. 제 19 항, 제 20 항, 제 21 항 또는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를 포함하며, 각각의 플랜지는 본체의 제 1 측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4. 제 19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플랜지, 제 2 플랜지 및 이들 플랜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삽입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는 하나 이상의 강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보강 부재와의 사이에 중공의 공동을 형성하도록 그 위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7. 제 19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창 조절장치, 창 트랙, 창 유리, 창 스위치, 도어 로크, 도어 핸들, 도어 로크 스위치, 팔걸이, 맵 포켓, 충격 볼스터, 와이어 하네스, 스피커, 창 모터, 외부 거울 모터, 플러그, 그로멧,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8. 제 22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일은 글래스 런 채널 시일, 벨트라인 시일, 하부 새시 시일, 코어 대 프레임 시일,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29. 제 22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본체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창 조절장치, 창 트랙, 충격 볼스터, 에어 채널, 창 모터 하우징, 맵 포켓, 스피커 박스, 플러그, 그로멧,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1. 제 19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2. 제 1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3. 제 1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4. 제 19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5. 제 19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니트릴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셀룰로스 수지, 불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설폰, 폴리아세탈, 폴리악톤, 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페닐렌 황화물, 스티렌-말레이 무수물, 방향족 폴리케톤,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6. 제 19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PEI), PET/PEI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PBN), 액정 폴리에스테르, 폴리옥살킬렌 디이미드 디액시드/폴리부티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AS),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 메타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부타 디엔-스티렌(ABS), 그 유도체, 및 그 혼합물 또는 혼합체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엔지니어링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7. 제 19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 상에는 글래스 런 채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글래스 런 채널은 적어도 일부가 폐쇄형 프로파일을 갖고 적어도 일부가 개방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은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은 L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은 외부 패널의 벨트라인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도어 시스템.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과 상기 코어 모듈 상의 글래스 런 채널은 상호 결합될 때 폐쇄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을 갖는 적어도 일부는 외부 패널 주위의 창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4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런 채널은 그 제 1 부분이 U자형 프로파일을 갖고 그 제 2 부분이 L자형 프로파일을 갖는 단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44. 도어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패널, 적어도 하나의 코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림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코어 모듈의 내부 측에 보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코어 모듈의 외부 측에 글래스 런 채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패널에 글래스 런 채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코어 모듈에 창 유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패널에 코어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및
    이후 트림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에 코어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는, 창 유리의 제 1 에지를 외부 패널 상의 글래스 런 채널의 적어도 제 1 부분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모듈을 창 유리의 제 1 에지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창 유리의 제 2 에지를 외부 패널 상의 글래스 런 채널의 적어도 제 2 부분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8. 제 44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모듈을 외부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49. 제 44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크 기구를 후퇴한 제 1 위치로부터 조립된 제 2 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립된 제 2 위치는 외부 패널과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코어 모듈 상에 배치된 슬라이딩 기구와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KR1020087023119A 2006-03-23 2007-02-08 도어 코어 모듈, 도어 시스템 및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KR20080098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504306P 2006-03-23 2006-03-23
US60/785,043 2006-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539A true KR20080098539A (ko) 2008-11-10

Family

ID=3705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119A KR20080098539A (ko) 2006-03-23 2007-02-08 도어 코어 모듈, 도어 시스템 및 도어 시스템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998970B1 (ko)
JP (1) JP2009531229A (ko)
KR (1) KR20080098539A (ko)
CN (1) CN101405158A (ko)
AT (1) ATE455666T1 (ko)
CA (1) CA2646018A1 (ko)
DE (1) DE602007004456D1 (ko)
WO (1) WO20071117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539B1 (ko) * 2015-06-10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모듈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1508A2 (de) * 2009-07-16 2011-01-31 Schwanden Kunststoff Gehäusewand für die Befestigung eines Gerätes an einer Maschine.
DE102009049631A1 (de) * 2009-10-15 2011-04-21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Verkleidung eines Fahrzeugteils
EP2377703A1 (de) * 2010-04-15 2011-10-19 LANXESS Deutschland GmbH Türstrukturmodul
DE202010007547U1 (de) * 2010-05-31 2011-10-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ahrzeugtür mit einem Multifunktionsträger
JP5825463B2 (ja) * 2010-12-03 2015-12-02 広島化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5875807B2 (ja) * 2011-09-16 2016-03-02 広島化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US9010839B2 (en) * 2012-10-24 2015-04-2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Vehicle side d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974878B2 (ja) * 2012-12-12 2016-08-23 東洋紡株式会社 水アシスト射出成形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015054660A (ja) * 2013-09-13 2015-03-23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ドア構造
CN110077205B (zh) * 2013-10-07 2022-08-12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车辆部件及其制造方法和包括其的车辆
JP2015139878A (ja) * 2014-01-27 2015-08-03 豊田合成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アシスト成形品
JP6379541B2 (ja) * 2014-03-14 2018-08-29 スズキ株式会社 サッシュドア構造
CN104553693A (zh) * 2015-01-04 2015-04-29 陈焕祥 一种汽车用车门装置
US9945162B2 (en) * 2016-08-16 2018-04-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assembly and a vehicle
FR3055255B1 (fr) * 2016-08-26 2019-08-0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Ouvrant d’un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dispositif leve-vitre perfectionne
CN106335446A (zh) * 2016-08-31 2017-01-18 芜湖恒信汽车内饰制造有限公司 汽车前门装饰板组件
JP6531742B2 (ja) * 2016-09-13 2019-06-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JP6788788B2 (ja) * 2016-10-11 2020-11-25 スズキ株式会社 ドアサッシュ構造
WO2018106989A1 (en) * 2016-12-09 2018-06-14 Magna Exteriors Inc. Method of making a hybrid beam and hybrid beam
CN106904128A (zh) * 2017-03-22 2017-06-30 山东国金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地图袋与扬声器罩一体装置
CN106938631A (zh) * 2017-03-22 2017-07-11 山东国金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纯电动乘用车内部器件集成注塑
KR101826905B1 (ko) * 2017-05-29 2018-02-07 주식회사 휴먼컴퍼지트 차량도어용 이너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BR112019023787A2 (pt) * 2017-06-02 2020-06-02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Placa de guarnição para porta de veículo e guarnição de porta
FR3067275B1 (fr) 2017-06-07 2022-08-12 Timothee Boitouzet Procede de delignification partielle par voie supercritique ou subcritique et de remplissage d'un materiau ligno-cellulosique
FR3086196B1 (fr) * 2018-09-20 2022-12-16 Sas Woodoo Piece en materiau ligno-cellulos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piece
DE102019200977A1 (de) * 2019-01-25 2020-07-3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baugruppe mit einem einen Brüstungsbereich versteifendem Organoblech-Türmodulträg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7640A1 (de) 1982-03-12 1983-11-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Fahrzeugtuere
US4796946A (en) * 1987-09-04 1989-01-10 Inland Steel Company Automotive vehicle door and bar reinforcement
US4882842A (en) 1987-09-15 1989-11-28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ethod of simplifying on-line assembly of vehicular door components
US4945682A (en) * 1989-12-04 1990-08-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stic motor vehicle door
US5040335A (en) 1991-03-18 1991-08-20 Davidson Textron Inc. Inner panel assembly with integral energy absorber
US5355629A (en) 1991-12-28 1994-10-18 Nissan Motor Company, Ltd. Door structure for vehicle
FR2743029B1 (fr) * 1996-01-03 1998-03-20 Billard Catherine Joint d'etancheite pour vehicules automobiles avec un fond en forme de grand omega
FR2743028B1 (fr) * 1996-01-03 1998-03-20 Billard Catherine Element d'etancheite destine notamment a etre monte autour des ouvertures de portes de vehicules automobiles
US5904002A (en) 1996-05-31 1999-05-18 Lear Corporation Motor vehicle door module
US5820191A (en) 1996-07-03 1998-10-13 Freightliner Corporation Inner-door panel for a vehicle
WO1998043841A1 (en) * 1997-04-01 1998-10-08 Asahi Glass Company Ltd. Vehicle do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DE19727010B4 (de) * 1997-06-25 2006-03-09 Wagon Automotive Gmbh Fensterrahmenmodul zur Herstellung von Kraftfahrzeugtüren
US6640500B1 (en) 1997-12-22 2003-11-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ar door in which a window lift forms the structural frame for the trim panel
WO2001025055A1 (en) 1999-10-01 2001-04-12 Lear Corporation Sandwich structural door inner panel
FR2804199B1 (fr) * 2000-01-25 2002-09-06 Btr Sealing Systems France Profiles rigides en matiere thermoplastique, pour la realisation de cadres de portes de vehicules automobiles,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JP3882448B2 (ja) 2000-02-29 2007-02-1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用ドアの組立方法
DE10031850A1 (de) * 2000-07-04 2002-01-17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Kraftfahrzeugtür
DE10196877B3 (de) 2001-10-31 2005-11-24 Lear Corp., Southfield Tür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Fahrzeugtü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539B1 (ko) * 2015-06-10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모듈 구조
US9593520B2 (en) 2015-06-10 2017-03-14 Hyundai Motor Company Sliding door module structur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5158A (zh) 2009-04-08
EP1998970A1 (en) 2008-12-10
WO2007111782A1 (en) 2007-10-04
EP1998970B1 (en) 2010-01-20
DE602007004456D1 (de) 2010-03-11
CA2646018A1 (en) 2007-10-04
JP2009531229A (ja) 2009-09-03
ATE455666T1 (de) 201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8970B1 (en) Door assembly with core module having integrated belt line reinforcement
US20070267889A1 (en) Door assembly with core module having integrated belt line reinforcement
US20070220811A1 (en) Door assembly with integrated window sealing system
KR20080098540A (ko) 도어 시스템
US20070222257A1 (en) Core module for door assembly having integrated reinforcements
US20090056230A1 (en) Door Module With Integrated cable bundle
US20080098655A1 (en) Integrated bracket for mounting pulley
US20070222249A1 (en) Interior trim panel with integrated living hinged components
US20070222256A1 (en) Hybrid door core and trim module with integrated components
CN110077205B (zh) 用于车辆的车辆部件及其制造方法和包括其的车辆
US20070220812A1 (en) Door core module
US7131685B2 (en) Automotive door trim panel having an integrated seal
EP2701965B1 (en) Door assembly with carrier with intrusion member
US11124051B2 (en) Hybrid door module
CN111520023B (zh) 用于车窗的轻质升降器板组件
US20070125003A1 (en) Motor vehicle door
JP4887991B2 (ja) 車両の樹脂ルーフ構造
US7234765B1 (en) Vehicle door sill
WO2007111787A1 (en) Door core module
US10406893B2 (en) Inner support panel for mounting a hardware module of a vehicle door assembly
WO2007111785A1 (en) Core module for door assembly having integrated reinforcements
WO2007111788A1 (en) Hybrid door core and trim module with integrated components
WO2007111784A1 (en) Interior trim panel with integrated living hinged components
JP3888339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JP4214242B2 (ja) 小型自動車のパワースライド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