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267A -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267A
KR20080097267A KR1020070042274A KR20070042274A KR20080097267A KR 20080097267 A KR20080097267 A KR 20080097267A KR 1020070042274 A KR1020070042274 A KR 1020070042274A KR 20070042274 A KR20070042274 A KR 20070042274A KR 20080097267 A KR20080097267 A KR 2008009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ature
sprocket
duct
flange
form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2715B1 (ko
Inventor
송영석
Original Assignee
송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석 filed Critical 송영석
Priority to KR102007004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715B1/ko
Publication of KR2008009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6Reinforcing the connection by locally de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률 곡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SEAM)타입 덕트에서 곡관을 제조할 때 수작업으로 제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곡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랜지와 심부가 형성된 덕트의 상하판을 곡률로 성형할 때 수작업에 의한 작업 효율 저하 및 곡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곡관의 상하부판 성형 시 심부가 눌리거나 하지 않도록 한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1)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베이스(1)의 양측면에 직립 설치된 수직 플레이트(2)와, 상기한 수직 플레이트(2)의 사이에 회전 자재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덕트 상하판(51, 52)의 면부분이 지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지지부(3)가 돌출 형성되고 제2심부(56)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제1수납부(4)가 형성된 제1성형 로울러(5)와, 상기한 제1성형 로울러(5)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판(51) 또는 하판(52)이 사이로 통과되면서 제2심부(56)가 가압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2성형 로울러(8)와,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5, 8)를 통과하는 상하판(51, 52)에 소정 곡률을 인가하도록 제1, 2성형 로울러(5, 8)와 이격 설치된 제3성형 로울러(9)와, 상기한 상하판(51, 52)에 형성된 플 랜지(53)를 제1,2 성형 로울러(5, 8)의 사이에 삽입할 때는 제2성형 로울러(8)를 상향시키고 곡률 가공시에는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수단과,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5, 8)가 밀착된 상태에서 이를 연동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덕트,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Description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MANUFACTURING DEVICE OF CURVED TUBE CURVATURE FOR SEAM TYPE DUCT THAT IS FORMING FLANG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의 좌측면도,
도3은 도1의 우측면도,
도4는 도1에서 좌측 승강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5는 도1에서 우측 승강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6은 도2에서 A-A 선 단면도로서 양측 수직 플레이트에 설치된 이동블럭이 체인으로 연결된 상태를 한쪽만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7a는 본 발명에 따른 곡관의 제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7b는 도7a에서 제2로울러와 가이드로울러가 이동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8은 도7b에서 덕트의 곡관 플레이트가 제1, 2로울러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9는 도8에서 B 부분의 확대도,
도10은 일반적인 플랜지가 형성된 심(SEAM)타입 덕트에서 곡관의 결합 상태 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10에서 C-C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2: 수직플레이트
3: 제1지지부 4: 제1수납부
5: 제1성형 로울러 6: 제2수납부
7: 제2지지부 8: 제2성형로울러
9: 제3성형로울러 10: 모터
11: 제1스프로켓 12, 30, 34: 체인
13: 제2스프로켓 14: 제1기어
15: 제2기어 16: 수직이동공
17: 승강블록 18: 실린더
19: 가이드블록 20: 스톱볼트
21: 스토퍼 22: 수평이동공
23: 이동블록 24: 홈
25: 너트 26: 스크류
27: 핸들 28: 고정판
29: 제3스프로켓 31: 제4스프로켓
32: 아이들스프로켓 33: 제5스프로켓
50: 측판 51: 상판
52: 하판 54: 심부
55: 제1심부 56: 제2심부
본 발명은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SEAM)타입 덕트에서 곡관을 제조할 때 수작업으로 제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곡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실내 냉난방 및 공기 순환/정화를 위해 공조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공조기에서 토출된 냉난방 공기를 건물 내부에 공급하도록 덕트(DUCT)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덕트는 일정 길이로 제작된 다수개의 덕트를 서로 연결하면서 직선 및 곡선으로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덕트의 연결 및 연결 부분의 강도 유지를 위해 플랜지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나의 덕트를 구성할 때 각면을 겹쳐 접어서 형성한 심(SEAM) 타입의 덕트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덕트는 하나의 사각 또는 원형 덕트를 직선상으로 형성할 때에는 덕트를 사각 또는 원형으로 접고 연결부분은 심부를 형성하여 결합시킨 후 각각의 덕트를 플랜지에 의해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플랜지가 형성된 심 타입의 덕트를 제작할 때 직선부분은 쉽게 제작이 가능하지만, 곡선 부분인 곡관은 제작이 비교적 어려워서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제작을 하게 된다.
즉,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 타입의 곡관은 미리 양쪽의 측판(50)을 소정 곡률에 따라 재단하여 형성한 후 여기에 상하판(51, 52)을 결합시켜 제작하게 되는 바, 먼저 소정 곡률로 재단된 양측판(50)의 양단에 플랜지(53) 및 심부(54)를 이루는 제1심부(끼워지는 부분)(55)를 형성하게 된다.
측판(50)에 플랜지(53) 및 제1심부(55)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한 측판(50)의 곡률에 맞는 상하판(51, 52)을 결합시켜야 하는 바, 상기한 상하판(51, 52)을 소정 곡률로 형성하는 것은 측판(50)에 맞춰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구부리게 된다.
즉, 상기한 상하판(51, 52)의 양단에는 플랜지(5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양측단에는 상기한 제1심부(55)가 끼워져 물리는 부분인 제2심부(5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덕트를 구부리기 위해 사용되는 3개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장치로는 구부릴 수 없게 됨으로써, 수작업으로 상하판(51, 52)을 구부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에는 플랜지(53)가 형성된 덕트의 상하판(51, 52)을 투입시킬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3개의 로울러 사이에 제2심부(56)가 형성된 상하판(51, 52)을 투입하면 제2심부(56)가 눌려서 조립 시 제1심부(55)를 끼울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랜지와 제2심부가 형성된 덕트의 상하판을 수작업으로 구부리면서 측판과 결합시키게 되면, 2-3명 정도의 작업자가 곡관 결합에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하판을 작업자가 구부리기 때문에 곡관의 형태가 매우 불규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리 소정 곡률로 제작된 측판에 맞춰서 상하판을 구부리면서 제1, 2심부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고 결합 부분의 정확도가 저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덕트의 전체적인 조립성와 품질 및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랜지와 심부가 형성된 덕트의 상하판을 곡률로 성형할 때 수작업에 의한 작업 효율 저하 및 곡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곡관의 상하부판 성형 시 심부가 눌리거나 하지 않도록 한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베이스의 양측면에 직립 설치된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한 수직 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 자재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덕트 상하판의 면부가 지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2심부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제1수납부가 형성된 제1성형 로울러와, 상기한 제1성형 로울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판 또는 하판이 사이로 통과되면서 제2심부가 가압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2성형 로울러와,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를 통과하는 상하판에 소정 곡률을 인가하도록 제1, 2성형 로울러와 이격 설치된 제3성형 로울러와, 상기한 상하판에 형성된 플랜지를 제1,2 성형 로울러의 사이에 삽입할 때는 제2성형 로울러를 상향시키고 곡률 가공시에는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수단과,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가 밀착된 상태에서 이를 연동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와 도1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로서, 베이스(1)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베이스(1)의 양측면에 직립 설치된 수직 플레이트(2)와, 상기한 수직 플레이트(2)의 사이에 회전 자재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덕트 상하판(51, 52)의 면부분이 지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지지부(3)가 돌출 형성되고 제2심부(56)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제1수납부(4)가 형성된 제1성형 로울러(5)와, 상기한 제1성형 로울러(5)와 맞물리면서 상하판(51, 52)을 곡률 성형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제1성형 로울러(5)의 제1수납부(4) 및 제1지지부(3)와 각각 엇갈리도록 제2수납부(6)와 제2지지부(7)가 형성된 제2성형 로울러(8)와,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5, 8)를 통과하는 상하판(51, 52)에 소정 곡률을 인가하도록 제1, 2성형 로울러(5, 8)와 중심축이 상이하게 이격 설치된 제3성형 로울러(9)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5, 8)의 사이로 제2심부(56)가 형성된 상하판(51, 52)이 통과하게 되어도 제2심부(56)는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곡률 성형 가능하게 되는 것인 바, 제1, 2성형 로울러(5, 8)에 형성된 제1, 2수납부(4, 6) 및 지지부(3, 7)를 엇갈려 형성한 것은, 곡관을 형성할 때 상판(51)과 하판(52)의 구부러지는 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한번의 공정으로 상판(51)과 하판(52)의 곡률 성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제1, 2성형 로울러(5, 8)중 하나에만 지지부와 수납부를 형성하게 되면 상판(51) 또는 하판(52)을 각각 한개씩 곡률 성형할 수 밖에 없게 되어 작업 효율이 매우 낮아지고, 상판(51)과 하판(52) 성형에 각각 하나씩의 기계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5, 8)는 구동 수단에 의해 소정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바, 이는 베이스(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모터(10)와, 상기한 모터(10)의 축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11) 및 제1스프로켓(11)과 체인(12)으로 연결되어 회전되고 제1성형 로울러(5)의 단부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13)과, 상기한 제2스프로켓(13)과 인접되도록 설치되어 연동 회전하는 제1기어(14)와, 상기한 제1기어(14)와 치합되는 위치에서 제2성형 로울러(8)에 설치된 제2기어(15)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한 제2성형 로울러(8)는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한 승강 수단은 덕트의 상하판(51, 52))에 형성된 플랜지(53)를 제1,2 성형 로울러(5, 8)의 사이에 삽입할 때는 제2성형 로울러(8)를 상향시키고 곡률 가공시에는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한 승강 수단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수직 플레이트(2)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이동공(16)과, 상기한 수직 이동공(16)에 삽입되어 수직 이동공(16)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 가능함과 아울러 제2성형로울러(8)의 양단이 베어링등으로 지지되어 회전 자재하게 구성된 승강 블록(17)과, 상기한 승강블록(17)의 상단에 실린더로드(R)가 연결되어 있고 수직 플레이트(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18)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한 승강 블록(17)의 하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승강 블록(17)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블록(19)과, 상기한 가이드 블록(19)의 양단에 수직으로 나사 결합되어 높이 조절 가능한 스톱볼트(20)와, 상기한 승강블록(17)의 하강 시 스톱볼트(20)와 접촉되면서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21)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스톱볼트(20)를 회전시켜 조절하면 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승강 블록(15)이 상승했을 때는 제1, 2성형로울러(5, 8)이 이격되면서 덕트의 플랜지(53)를 쉽게 통과시킬 수 있게 되고, 하강 시에는 제1, 2기어(14, 15)와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제3성형 로울러(9)는 덕트의 곡률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 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수직 플레이트(2)에 같이 형성된 수평 이동공(22)과, 상기한 양측의 수평 이동공(22)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 자재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제3성형 로울러(9)의 양단이 베어링등으로 지지되어 회전 자재하는 이동 블록(23)과, 상기한 이동 블록(23)의 일단에 형성된 홈(24)과, 상기한 홈(24)에 내재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너트(25)가 종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수직 플레이트(2)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시 이동 블록(23)과 함께 왕복 운동하는 스크류(26) 및 스크류(26)에 설치된 핸들(27)과, 상기한 너트(25)가 홈(24)에 빠지지 않도록 이동블록(23)에 고정되는 고정판(28)과, 상기한 2개의 스크류(26)에 각각 설치된 제3스프로켓(29) 및 이를 연결하여 연동회전하도록 하는 체인(30)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한 제3성형 로울러(9)가 움직일 때 동력을 전달하도록 동력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성형로울러(5)의 일단에 설치된 제4스프로켓(31)과, 상기한 제4스프로켓(31)에 대응되도록 수직 플레이트(2)에 설치된 아이들 스프로켓(32)과, 상기한 제3성형 로울러(9)의 일단에 설치된 제5스프로켓(33)과, 상기한 제4, 5스프로켓(31, 33)과 아이들 스프로켓(32)을 연결한 체인(34)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한 제5스프로켓(33)이 수평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되었을 때에도 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8)를 작동시켜서 승강 블록(17)을 상향시킴과 아울러 여기에 설치된 제2성형 로울러(8)를 상향시키게 된다.
제2성형 로울러(8)가 상향됨과 아울러 핸들(27)을 회전시켜서 이동블록(23) 및 여기에 설치된 제3성형 로울러(9)를 후진시켜서 도7a와 같은 상태로 각 로울러(5, 8, 9)들을 배치한 후, 플랜지(53)가 형성된 상판(51)과 하판(52)을 제1, 2성형 로울러(5, 8)의 사이로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한 상판(51)과 하판(52)을 같이 제1, 2성형 로울러(5, 8)의 사이로 투입하게 되면, 덕트의 상판(51)과 하판(52)을 동시에 성형하게 됨으로써 동일한 곡률로 일정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판(51)과 하판(52)이 제1, 2성형 로울러(5, 8)의 사이로 투입되면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성형 로울러(8)를 하향시키고 제3성형 로울러(9)를 전진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5, 8)가 서로 밀착되면,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지지부(3, 7)가 서로 맞닿으면서 상판(51)과 하판(52)의 면부분을 가압하고 있게 되고, 제1, 2수납부(4, 6)는 제2심부(56)를 수납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10)를 작동시키게 되면 체인(12) 및 제1, 2스프로켓(11, 13)에 의해 제1기어(14)가 회전하게 되고, 제2성형 로울러(8)에 설치된 제2기어(15)가 제1기어(14)와 치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2성형 로울러(8)가 제1성형 로울러(5)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1성형 로울러(5)의 타단에 설치된 제4스프로켓(31)에 체인(34)으로 제3성형 로울러(9)에 설치된 제5스프로켓(33)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3성형 로울러(9)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2, 3성형 로울러(5, 8, 9)가 동일 속도로 회전하고 상판(51)과 하판(52)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판(51)과 하판(52)이 자동적으로 소정 곡률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5, 8)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판(51)과 하판(52)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는 바, 이는 곡관을 형성할 때 상판(51)과 하판(52)의 구부러지는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이다.
상기한 제1, 2, 3성형 로울러(5, 8, 9)의 회전에 의해 상판(51)과 하판(52) 이 소정 곡률로 성형되면, 제2심부(56)와 플랜지(53)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성형되는 바, 로울러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균일한 곡률로 성형하고 빠른 시간에 작업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상판(51)과 하판(52)이 소정 곡률로 성형 완료되면 이를 미리 성형되어 있는 곡관의 측판(50)에 연결함과 아울러 측판(50)의 제1심부(55)와 상하판(51, 52)의 제2심부(56)를 결합시켜 곡관을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곡관의 곡률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핸들(27)을 회전시켜서 제3성형로울러(9)의 수평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핸들(27)을 회전시키면 체인(30)과 제3스프로켓(29)으로 연결된 2개의 스크류(26)가 같이 회전하면서 왕복 운동하게 되고, 여기에 연결된 이동 블록(23)이 수평이동공(22)에서 왕복 운동함으로써, 제3성형로울러(9)의 위치가 가변되어 덕트의 곡률 변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플랜지가 형성되고 심부로 결합되어 제작되는 덕트의 곡관을 수작업으로 제작하지 않고 성형 로울러에 의해 신속하고 균일한 곡률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덕트의 곡관 제작 효율 향상 및 작업자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베이스의 양측면에 직립 설치된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한 수직 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 자재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덕트 상하판의 면부가 지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2심부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제1수납부가 형성된 제1성형 로울러와, 상기한 제1성형 로울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판 또는 하판이 사이로 통과되면서 제2심부가 가압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2성형 로울러와,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를 통과하는 상하판에 소정 곡률을 인가하도록 제1, 2성형 로울러와 이격 설치된 제3성형 로울러와, 상기한 상하판에 형성된 플랜지를 제1,2 성형 로울러의 사이에 삽입할 때는 제2성형 로울러를 상향시키고 곡률 가공시에는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수단과, 상기한 제1, 2성형 로울러가 밀착된 상태에서 이를 연동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성형 로울러는 제1성형 로울러의 제1수납부 및 제1지지부와 각각 엇갈리도록 제2수납부와 제2지지부가 형성되어 상판과 하판을 동시에 곡률 가공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 수단은 베이스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축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 및 제1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고 제1성형 로울러의 단부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과, 상기한 제2스프로켓과 인접되도록 설치되어 연동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한 제1기어와 치합되는 위치에서 제2성형 로울러에 설치된 제2기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 수단은 상기한 수직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이동공과, 상기한 수직 이동공에 삽입되어 수직 이동공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 가능함과 아울러 제2성형로울러의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 자재하게 구성된 승강 블록과, 상기한 승강블록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 블록의 하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승강 블록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블록과, 상기한 가이드 블록의 양단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시 높이 조절 가능한 스톱볼트와, 상기한 승강블록의 하강 시 스톱볼트와 접촉되면서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3성형 로울러는 덕트의 곡률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수단에 의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 수단은 양측의 수직 플레이트에 같이 형성된 수평 이동공과, 상기한 양측의 수평 이동공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 자재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제3성형 로울러의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 자재하는 이동 블록과, 상기한 이동 블록의 일단에 형성된 홈과, 상기한 홈에 내재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너트가 종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수직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시 이동 블록과 함께 왕복 운동하는 스크류 및 스크류에 설치된 핸들과, 상기한 너트가 홈에서 빠지지 않도록 이동블록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한 2개의 스크류에 각각 설치된 제3스프로켓 및 이를 연결하여 연동 회전하도록 하는 체인과, 상기한 제3성형로울러가 이동할 때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동력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수단은 상기한 제1성형로울러의 일단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과, 상기한 제1스프로켓에 대응되도록 수직 플레이트에 설치된 아이들 스프로켓과, 상기한 제3성형 로울러의 일단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과, 상기한 제1, 2스프로켓과 아이들 스프로켓을 연결한 체인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KR1020070042274A 2007-05-01 2007-05-01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KR100882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274A KR100882715B1 (ko) 2007-05-01 2007-05-01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274A KR100882715B1 (ko) 2007-05-01 2007-05-01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267A true KR20080097267A (ko) 2008-11-05
KR100882715B1 KR100882715B1 (ko) 2009-02-06

Family

ID=4028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274A KR100882715B1 (ko) 2007-05-01 2007-05-01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2033A (zh) * 2019-07-16 2019-09-06 江苏汇能锅炉有限公司 一种热电锅炉受热面管屏成排弯管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6169A (zh) * 2013-07-08 2013-09-11 江苏中海重型机床有限公司 可调节式高效卷板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078B2 (ja) * 1989-05-30 1994-06-15 株式会社ダクト産業 曲管の製造方法
JP2715243B2 (ja) * 1993-09-28 1998-02-18 株式会社ミヤマエ 湾曲ベント管の製造装置
JPH08132154A (ja) * 1994-11-04 1996-05-28 Miyamae:Kk 湾曲ベント管の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2033A (zh) * 2019-07-16 2019-09-06 江苏汇能锅炉有限公司 一种热电锅炉受热面管屏成排弯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715B1 (ko) 200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214B1 (ko) 와이어 인출 및 자동 절단이 가능한 건설용 철근 선조립 구조물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58213B1 (ko) 건설용 철근 선조립 구조물 제조장치 및 방법
CN201619140U (zh) 贴面泡沫保温板v形槽开槽机
KR100791647B1 (ko)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CN103894749A (zh) 一种自动风筒直缝焊机
KR100882715B1 (ko) 플랜지가 형성된 심타입 덕트용 곡관 곡률 제조 장치
CN210754455U (zh) 一种用于钢材的矫直机
CN212096852U (zh) 一种立体脉动式混凝土预制构件柔性生产线
CN110560599B (zh) 一种建筑工程用钢筋定位折弯装置
CN107096851A (zh) 基于对不同直径的钢筋折弯实现方法
CN216181276U (zh) 一种聚苯板线条切割机
KR200430721Y1 (ko) 원형파이프를 이용한 보강파이프 가공장치
CN216730820U (zh) H型钢移动式翻转机构
CN216370371U (zh) 一种钣金箱柜壳体生产制造智能剪板机
JP2715243B2 (ja) 湾曲ベント管の製造装置
KR100570704B1 (ko) 오발덕트 제조장치
CN210349437U (zh) 一种软排线自动裁切机构
KR102062910B1 (ko) 가구 서랍 제조장치
CN211222044U (zh) 一种保温隔声板用校直装置
JP3167389U (ja) 移動切断機
JP6893017B2 (ja) 冶具、及び、その冶具を用いた鉄筋かごの製造方法
KR20120033494A (ko) 슬림사각덕트 제조기
CN217095957U (zh) 建筑装修物料切割装置
CN220679206U (zh) 一种钢材弯折机
KR101160606B1 (ko) 덕트패널용 컷팅 및 본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덕트패널의 컷팅 및 본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