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405A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405A
KR20080096405A KR1020080037652A KR20080037652A KR20080096405A KR 20080096405 A KR20080096405 A KR 20080096405A KR 1020080037652 A KR1020080037652 A KR 1020080037652A KR 20080037652 A KR20080037652 A KR 20080037652A KR 20080096405 A KR20080096405 A KR 20080096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ntenna
power
circulator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962B1 (ko
Inventor
아츠시 후쿠다
히로시 오카자키
쇼이치 나라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9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전력 증폭부의 출력 송신 신호를 서큘레이터를 통하여 안테나로 송출하고, 안테나로부터의 반사 고주파 신호를 서큘레이터를 통하여 꺼내고 정류부에서 정류하여 직류 전력을 얻어, 그 직류 전력을 전원부로부터의 급전의 보조로서 무선 통신 장치 내의 전력 증폭부 및/또는 다른 기능 구성부에 공급한다.
안테나, 송신 신호, 고주파 전력 증폭부, 정류부, 서큘레이터, 전원부, 무선 통신 장치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SUPPLYING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에서의 반사 고주파 신호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무선 통신 장치의 송신부에서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효율적으로 안테나로부터 출력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전력 증폭기와 안테나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도록 설계한다. 그러나, 안테나의 임피던스는 사용자의 자세나 사용 환경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안테나에서의 반사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의 대책으로서, 고주파 전력 증폭기와 안테나의 사이에 제어 가능한 조정 회로를 설치하여 반사파를 작게 하는 방법(특허 문헌 1), 송신 전력의 일부에서 반사파를 캔슬하는 방법(특허 문헌 2), 반사파를 이용하여 반사파를 캔슬하는 방법(특허 문헌 3) 등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29505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2-15113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 9-116459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방법에서는 전력 증폭기의 출력측에 조정 회로를 부가하기 때문에 송신 신호에 대하여 손실을 주게 되어 원하는 전력으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전력 증폭이 가능한 전력 증폭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효율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다. 특허 문헌 2의 방법에서는 송신 전력의 일부를 반사파의 캔슬에 사용하여 버리기 때문에 그 만큼 효율이 악화된다. 특허 문헌 3의 방법에서는 반사파의 일부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이 필요해지게 되어 휴대형 무선 통신 장치 전체의 전력 효율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최적의 상태에서 동작시킬 수 있으면서 전원 이용 효율이 높은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부와,
고주파 신호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제1 단자가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제2 단자가 상기 안테나측에 접속되고, 제3 단자가 상기 정류부측에 접속되고, 제1 단자로부터의 입력은 제2 단자에 출력하고, 제2 단자로부터의 입력은 제3 단자에 출력하는 서큘레이터와,
적어도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에 급전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 및/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내의 다른 구성부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실제의 서큘레이터에 있어서는 다른 단자에의 누설 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을 서큘레이터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에 동일 위상이 되도록 맞추거나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조정하는 이상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캐리어의 대역이 복수 개 있는 경우에는 대역마다 신호원, 증폭부, 서큘레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안테나가 복수 개 있는 경우에는 안테나마다 신호원, 증폭부, 서큘레이터, 정류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어레이 안테나와 같이 동일 대역의 안테나 소자가 복수 개 있는 경우에는, 안테나 소자마다 신호원, 증폭부, 서큘레이터, 서큘레이터의 제3 단자에 접속된 이상기를 구비시키고, 각 이상기를 각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이 동일 위상이 되도록 맞추거나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조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록 안테나에서 반사파가 발생하여도 반사한 송신 신호(반사파)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파를 열 등으로 변환하여 소비해 버리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전원 이용 효율이 높은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기에 의해 위상을 맞추어 복수의 신호를 합성하면 전원 이용 효율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부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에 제1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부분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였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안테나(110), 안테나(110)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부(이하 단순히 증폭부라고도 함)(120), 고주파 신호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부(130), 서큘레이터(140),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원 장치(150) 및 전원부(160)를 갖는다.
신호원 장치(150)는 예컨대 입력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소정의 주파수대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증폭부(120)는 신호원 장치(150)로부터 제공된 고주파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서큘레이터(140)에 제공한다. 서큘레이터(140)는 제1 단자(P1)가 증폭부(120)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제2 단자(P2)가 안테나(110) 측에 접속되고, 제3 단자(P3)가 정류부(130) 측에 접속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서큘레이터는 제1 단자에 입력된 신호를 제2 단자에 전송하고, 제2 단자에 입력된 신호를 제3 단자에 전송한다. 따라서, 서큘레이터(140)는 제1 단자(P1)로부터의 고주파 입력 신호를 제2 단자(P2)에 출력하고, 제2 단자(P2)로부터의 고주파 입력 신호를 제3 단자(P3)에 출력한다.
증폭부(120)의 출력이 서큘레이터(140)를 통하여 안테나(110)로부터 반사된 반사파 및/또는 안테나(110)에 의한 외래 수신파(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110)에 의한 수신파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것은 행하지 않음)는 제3 단자(P3)로부터 출력되어 정류부(130)에 제공된다. 정류부(130)는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전류를 출력한다. 정류부(130)의 출력은 전원부(160)의 출력에 접속되고, 또한 증폭부(120)의 전원 단자(120S)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부(160)는 도시하지않지만, 예컨대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어느 경우에도 이하 단순히 전지라고 함)와 그 전원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증폭부(120)가 비동작시이어도 외래 고주파 신호가 안테나(110)에서 수신되면 정류부(130)에 의해 얻 어지는 직류 전류로 전원부(160)의 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증폭부(120)가 임의의 동작 기간에서 일정한 전력을 소비한다고 가정하면, 정류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만큼 전원부(160)로부터의 공급 전력은 적어서 되므로 전원부(160)의 전지의 소모를 늦출 수 있다. 증폭부(120)의 전력 소비가 적은 기간에 정류부(130)로부터의 전력에 여유가 있으면 전원부(160)의 2차 전지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증폭부(120)에 대한 급전의 예로 설명하였으나, 무선 통신 장치(100)는 그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은 수신 장치나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들에 대한 급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와 도 3은 정류부(130)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의 정류부(130)는, 다이오드(131), 저항(132), 콘덴서(133), 코일(134), 콘덴서(135)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132), 콘덴서(133), 코일(134)은 평활 회로를 형성하며, 다이오드(131)는 정류부(130)의 입력 단자와 평활 회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135)는 평활 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직류 신호에 의해 충전된다. 평활 회로는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고임피던스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정류부(130)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주파 신호가 다이오드(131)에 입력되면, 정류와 평활화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도 2A의 구성에 있어서 도 2B와 같이 다이오드(131)를 평활 회로와 병렬로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다이오드의 특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다이오드에는 전류의 용량이 있는데, 그 용량에 비해 입력신호 전류가 너무 작으면 전력 변환 효율이 나빠진다(순방향에서도 전류를 흘리기가 어려워진다). 반대로 그 용량에 비해 입력이 너무 크면 일그러짐이 생기고, 그 일그러짐이 증폭부(120)로 되돌아가 그것이 안테나로부터 재방사되거나 전력 변환 효율이 나빠지거나 다이오드의 파괴가 발생하거나 한다. 따라서, 도 3A 및 3B에 도시한 정류부(130')의 예에서는 스위치(136)와, 다이오드(137)와, 전력 검출기(138)와, 비교기(139)가 추가되어 있다. 다이오드(137)는 스위치(136)를 통하여 다이오드(131)와 병렬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력 검출기(138)는 증폭부(120)의 입력 신호 전력을 검출하여 비교기(139)에 제공한다. 비교기(139)는 검출 전력을 미리 정한 문턱값과 비교하고,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의 판정 결과를 온/오프 제어 신호로서 스위치(136)에 제공한다.
예컨대 다이오드(137)로는 다이오드(131)에 비해 전류 용량이 작은 것을 사용한다. 증폭부(120)의 입력 신호 파워가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위치(136)를 ON으로 한다. 또한 증폭부(120)의 입력 신호 파워가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스위치(136)를 OFF로 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136)를 제어하면, 정류부(130')에의 입력 파워가 작은 경우에는 다이오드(137)에 전류가 흐르므로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류부(130')에의 입력이 큰 경우에는 일그러짐을 발생시키기 쉬운 소용량의 다이오드(137)를 분리해내므로 일그러짐의 발생이나 다이오드(137)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A 또는 3B의 정류부(130')를 이용하면 보다 효 율적으로 고주파 신호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도 3A, 3B의 정류부(130')에서는 다이오드의 종류를 2종류로 하였으나, 3종류 이상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정류부(130)에의 입력의 크기에 따라 다이오드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증폭부(120)의 입력 신호의 파워를 모니터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3A, 3B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증폭부(120)의 출력 파워를 모니터할 수도 있고, 또는 정류부(130, 130')의 입력 단자에 제공되는 고주파 신호의 파워를 모니터할 수도 있다(도시 생략).
도 4는 무선 통신 장치(100)의 처리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 신호는 신호원 장치(150)에서 생성되고, 증폭부(120)에서 증폭되며, 서큘레이터(140)를 통과하여 안테나(110)로부터 송출된다(S100). 안테나(110)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는 서큘레이터(140)의 제2 단자(P2)에서 제3 단자(P3)로 보내지며, 정류부(130)에서 정류되어 증폭부(120) 등의 구성부에 급전된다(S130). 도 2의 정류부(130)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러한 처리 흐름이 된다. 도 3의 정류부(130')를 사용한 경우에는, 또한 정류부(130)가 증폭부(120)의 출력이 소정의 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136). 단계 S136이 Yes인 경우에는 스위치(136)를 OFF로 하고 대전류 용량의 다이오드(131)를 사용한다(S1361). 단계 S136이 No인 경우에는 스위치(136)를 ON으로 하고 소전류 용량의 다이오드(137)를 사용한다(S136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100)에 따르면, 주위 환경의 변화에 의해 안테나에서 송신 신호의 반사파가 발생하여도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반사파)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재이용한다. 따라서, 전원 이용 효율이 높은 무선 통 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전술한 설명에서는 고주파 신호 송신을 위한 증폭부(120)에의 급전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정류부(130)의 출력 전류를 이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급전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구성 요소 이외에 일반적으로 수신 장치 및 표시 장치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무선 장치로서 최근의 다기능 휴대 전화기는 통화 기능, 전자 우편 기능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게임 기능, IC 카드 기능(신용 카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처리 데이터를 유지하는 메모리,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등의 IC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 구성부로서의 IC에는 소비 전력이 매우 작은 것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변형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 소비가 적은 기능 구성부(170)에 대한 급전으로서 정류부(130)로부터의 급전만으로 조달하는 경우의 예를 개시하였다. 이 변형 실시예에서는 증폭부(120)에 대해서는 전원부(160)에서만 급전하고 있다. 따라서 전원부(160)의 전지의 잔량이 규정값보다 작아져서 송신 불능 상태(통신 기능 불능 상태)로 되어도 외래 수신 신호가 있으면 정류부(130)의 축전기로서의 콘덴서(135)(도 2 참조)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특정한 기능, 예컨대 IC 카드 기능, 메모리의 데이터 유지 기능 등을 유지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6에 제2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였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이상기(250)를 서큘레이터(140)와 안테나(110) 사이에 구비하는 점이 무선 통신 장치(100)와 다르다. 서큘레이터(140)는 제1 단자(P1)에 입력된 신호를 제2 단자(P2)에 출력한다. 그러나, 약간이기는 하지만 제1 단자(P1)에 입력된 신호가 제3 단자(P3)로도 누설된다. 이상기(250)는 안테나(110)로부터의 반사파의 위상을 제3 단자(P3)에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동일 위상으로 맞추거나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반사파와 누설된 송신 신호를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전원 이용 효율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변형예]
도 7에 하나의 안테나를 복수의 대역의 캐리어에서 공용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였다. 무선 통신 장치(300)는 대역마다 증폭부(120-n)(도 7의 예에서는 n은 1 또는 2), 서큘레이터(140-n), 신호원 장치(150-n)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안테나(110)는 스위치(360)에 의해 서큘레이터(140-1, 140-2) 중 어느 하나에 선택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안테나를 복수의 대역의 캐리어에서 공용하는 경우도 전원 이용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캐리어의 대역을 2개로 하였으나,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개념으로 증폭부(120-n), 서큘레이터(140-n), 신호원 장치(150-n)를 증가시키면 된다(n이 3 이상이 된다). 도 7의 구성에서는 스위치(360)와 연동하는 스위치(370)가 더 설치되며, 스위치(360)에서 선택한 대역에 대응하는 증폭부(120-n)에 대하여 전력을 급전함으로써 다른 사용되지 않는 증폭부에서의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300)는, 도 7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기(250)를 서큘레이터(140-n)와 스위치(360) 사이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사파의 위상과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을 맞추기 위한 이상기(250)의 조정은 캐리어마다 행해져야 한다. 각 이상기(250-n)는 각 안테나(110)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을 각 서큘레이터(140-n)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동일 위상으로 맞추거나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상기도 구비하면 전원 이용 효율을 더 높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상기(250-n) 대신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변 이상기(251)를 안테나(110)와 스위치(360)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이, 스위치(360)에 의해 선택된 대역에 대응하는 서큘레이터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않도록 조정해도 된다.
[제3 실시예]
도 8에 예컨대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대에서 동시에 통신 가능해진 무선 통신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도시하였다. 무선 통신 장치(400)는, 신호원 장치(150-n)(n은 1 또는 2)마다 무선 통신 장치(100)(도 1)의 안테나(110-n), 증폭부(120-n), 서큘레이터(140-n), 정류부(130-n)의 조합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정류부(130-n)로부터의 출력은 전력 합성부(380)에 의해 합성되어 합성 전력이 각 증폭부(120-n)에의 급전의 보조로서 사용된다. 무선 통신 장치(400)는 이러한 구성이므로, 무선 통신 장치(100)와 동일하게 전원 이용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안테나의 수를 2개로 하였으나,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개념으로 안테나(110-n), 증폭부(120-n), 서큘레이터(140-n), 정류부(130), 신호원 장치(150)의 조합을 증가시키면 된다(n이 3이상이 됨).
또한 도 8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기(250-n)를 서큘레이터(140-n)와 안테나(110-n) 사이에 구비할 수도 있다. 각 이상기(250-n)는 각 안테나(110)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을 각 서큘레이터(140-n)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동일 위상으로 맞추거나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상기(250-n)도 구비하면 전원 이용 효율을 더 높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9에 동일한 대역용의 안테나가 복수 개 있는 경우의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였다. 도 9의 신호원 장치(150-n)(n은 1 또는 2)의 캐리어의 대역은 동일하다고 하자. 무선 통신 장치(500)는 안테나(110-n), 서큘레이터(140-n), 증폭부(120-n), 신호원 장치(150-n), 이상기(330-n)의 조합을 복수 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력 합성부(380)와 정류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와 크게 다른 점은, 이상기(330-n)가 서큘레이터(140-n)의 제3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각 이상기(330)의 출력 고주파 신호는 전력 합성부(380)에서 전력 합성되어 정류부(130)에 제공된다. 각 이상기(330-n)는 안테나(110-n)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반사파)의 위상을 전력 합성부(380)에의 입력 신호 강도를 서로 강화하도록 맞추거나 적어도 역위상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정류 부에의 입력 신호 강도를 서로 약화시키지 않도록 맞춘다. 정류부(130)는 전력 합성부(380)에서 합성된 고주파 신호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증폭부(120-n)에 대한 급전의 보조로서 사용된다.
무선 통신 장치(500)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안테나로부터의 반사파의 위상을 서로 강화시키도록 맞추므로, 효율적으로 반사파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이용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안테나의 수를 2개로 하였으나,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개념으로 안테나(110-n), 증폭부(120-n), 서큘레이터(140-n), 신호원 장치(150-n), 이상기(330-n)의 조합을 증가시키면 된다(n이 3이상이 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기(250-n)를 서큘레이터(140-n)와 안테나(110-n) 사이에 구비할 수도 있다. 각 이상기(250-n)는 각 안테나(110-n)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을 각 서큘레이터(140-n)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동일 위상으로 맞추거나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상기(250-n)도 구비하면 전원 이용 효율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도 6 내지 9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5의 변형 실시예에서 개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정류부(130) 혹은 도 8의 경우에는 전력 합성부(380)의 출력을 무선 통신 장치의 증폭부(120-n) 이외의 원하는 기능 구성부(170)에 급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가변 이상기를 이용하면, 예를 들어, 안테나에서의 반사 신호의 위상이 변화 된 때에도 대응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정류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정류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2종류의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류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2종류의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류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무선 통신 장치의 처리 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안테나로부터의 고주파 전력을 원하는 기능 구성부의 급전에 이용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의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3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4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2)

  1.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부와,
    고주파 신호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제1 단자가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제2 단자가 상기 안테나측에 접속되고, 제3 단자가 상기 정류부측에 접속되고, 제1 단자로부터의 입력은 제2 단자에 출력하고, 제2 단자로부터의 입력은 제3 단자에 출력하는 서큘레이터와,
    적어도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에 급전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 및/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내의 다른 구성부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서큘레이터 사이에 이상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상기는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 및 상기 서큘레이 터의 세트가 송신 신호의 캐리어의 서로 다른 대역마다 복수 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세트의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2 단자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에 전달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공급 전력 및/또는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제1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세트와 동일한 세트의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에 선택 공급하는 제2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와 각 세트의 상기 서큘레이터 사이에 각각 이상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상기는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을 대응하는 서큘레이터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제1 스위치의 사이에 이상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상기는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이, 대응하는 서큘레이터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상기 신호원,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 상기 서큘레이터, 상기 정류부의 세트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세트의 상 기 정류부로부터의 출력 전력을 합성하여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 및/또는 상기 기능 구성부에 급전하는 전력 합성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세트의 상기 안테나와 상기 서큘레이터 사이에 이상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상기는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상기 이상기마다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상기 신호원,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 상기 서큘레이터의 세트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세트의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3 단자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이상기와, 상기 복수의 이상기로부터의 출력을 전력 합성하고, 상기 정류기에 주어지는 전력 합성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세트의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의 캐리어의 대역은 동일하고,
    각각의 세트의 상기 이상기는 각각의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이 적어도 서로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각 세트의 상기 안테나와 상기 서큘레이터 사이에 제2 이상기가 설치되어 있고, 각 세트의 상기 제2 이상기는 상기 안테나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의 위상을 상기 서큘레이터의 제1 단자에서 제3 단자로 누설된 송신 신호의 위상과 적어도 역위상이 되지 않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서로 다른 전류 용량의 2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가지며, 미리 다이오드마다의 출력 레벨의 범위를 정해 두고,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의 입력 전력 또는 출력 전력에 대응하는 전력이 미리 정해진 범위에 해당하는 다이오드를 선택하여 상기 정류부의 정류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송신 신호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부와,
    고주파 신호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제1 단자가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제2 단자가 상기 안테나측에 접속되고, 제3 단자가 상기 정류부측에 접속되고, 제1 단자로부터의 입력은 제2 단자에 출력하고, 제2 단자로부터의 입력은 제3 단자에 출력하는 서큘레이터와,
    적어도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에 급전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 및/또는 다른 구성부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으로서,
    상기 고주파 전력 증폭부로부터 상기 서큘레이터를 통해서 상기 안테나로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신 단계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반사된 고주파 신호를 상기 서큘레이터를 통해서 상기 정류부로 보내는 단계와,
    상기 반사된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정류부에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다른 전류 용량의 2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정류부가 상기 증폭부의 입력 또는 출력의 전력에 따라 상기 정류부내의 동작시켜야 할 다이오드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
KR1020080037652A 2007-04-27 2008-04-23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 KR100986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18049A JP4808182B2 (ja) 2007-04-27 2007-04-27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給電方法
JPJP-P-2007-00118049 2007-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405A true KR20080096405A (ko) 2008-10-30
KR100986962B1 KR100986962B1 (ko) 2010-10-11

Family

ID=3959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652A KR100986962B1 (ko) 2007-04-27 2008-04-23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73407B2 (ko)
EP (1) EP1986335B1 (ko)
JP (1) JP4808182B2 (ko)
KR (1) KR100986962B1 (ko)
CN (1) CN1012958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167A (ko) * 2011-09-12 2019-02-27 소니 주식회사 송전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6798B2 (ja) * 2007-05-25 2012-12-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給電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らの方法
CN102668325B (zh) * 2009-10-29 2014-12-17 日本电业工作株式会社 电力再生装置及电力再生方法、蓄电系统及蓄电方法、以及高频波装置
KR101702914B1 (ko) * 2009-12-29 201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 전력 전송의 반사파 에너지 관리 장치
JP5492019B2 (ja) * 2010-08-24 2014-05-1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反射波処理方法
KR101373769B1 (ko) * 2011-02-15 2014-03-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효율 가변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JP5382058B2 (ja) * 2011-04-27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周波増幅装置
WO2013129010A1 (ja) * 2012-02-29 2013-09-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送信回路
CN103966223A (zh) * 2013-01-30 2014-08-06 纳康科技有限公司 去甲氯胺酮蛋白结合化合物
KR102076525B1 (ko) * 2013-07-16 2020-0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위상변환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송신 시스템
WO2015119250A1 (ja) * 2014-02-10 2015-08-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アンテナシステム、マイクロ波電力利用システム及び電力利用方法
JP6162648B2 (ja) * 2014-06-11 2017-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起動方法
JP6241788B2 (ja) * 2014-06-18 2017-12-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送信装置
JP6124355B2 (ja) * 2014-06-27 2017-05-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システム
JP5797313B1 (ja) * 2014-08-25 2015-10-21 株式会社京三製作所 回生サーキュレータ、高周波電源装置、及び高周波電力の回生方法
WO2018068871A1 (en) * 2016-10-14 2018-04-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amplifier
FR3064141B1 (fr) * 2017-03-14 2019-03-22 Thales Dispositif de modulation d'un signal hyperfrequence, transpondeur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et balise repondeuse equipee d'un tel transpondeu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669A (en) 1975-08-29 1976-11-16 Gte Automatic Electric Laboratories Incorporated Radio frequency protection circuit
JPH02151130A (ja) 1988-12-02 1990-06-11 Antenna Giken Kk アンテナ共用器
DE9113444U1 (ko) * 1991-10-29 1992-01-09 Siemens Ag, 8000 Muenchen, De
US5574967A (en) 1994-01-11 1996-11-12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Waste energy control and management in power amplifiers
JPH09116459A (ja) 1995-08-17 1997-05-02 Fujitsu Ltd 送受信間干渉除去装置
KR19980065967A (ko) * 1997-01-17 1998-10-15 김광호 시스템 성능 개선을 위한 다중채널 시분할교신방식의 신호 송수신 장치
JPH10303830A (ja) * 1997-04-23 1998-11-13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の内部折り返し試験回路
US5907264A (en) 1998-02-25 1999-05-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ower recycling for modulating array transmitters
JP2000295055A (ja) 1999-04-01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機および受信機
US6298223B1 (en) * 1999-05-04 2001-10-02 Motorola, Inc. Detector circuit and method of detecting antenna mismatch
US6643522B1 (en) * 2000-03-27 2003-11-0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simultaneous dual mode operations for radios in the shared spectrum
US6882128B1 (en) 2000-09-27 2005-04-19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reclamation and reuse
JP2003037509A (ja) * 2001-07-25 2003-02-07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JP4141797B2 (ja) 2002-10-31 2008-08-27 株式会社東芝 低反射型リミタ並びに低反射型リミタを用いた送受信モジュールおよびアクティブフェーズドアレーアンテナ
US7092684B2 (en) * 2003-03-31 2006-08-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ing signals in a transmitter
US7145509B2 (en) 2004-02-17 2006-12-05 Kyocera Corporation Array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5287017A (ja) * 2004-03-05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回路、通信機器、オーディオ機器、映像機器、及び送信方法
US7126440B2 (en) * 2004-07-26 2006-10-24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Modular frequency division filter
JP4554450B2 (ja) * 2005-06-29 2010-09-2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限界送信出力取得方法
US7787839B2 (en) * 2006-12-06 2010-08-31 Broadcom Corporation RFIC with dynamically controlled power ampl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167A (ko) * 2011-09-12 2019-02-27 소니 주식회사 송전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6335A3 (en) 2009-05-13
CN101295887A (zh) 2008-10-29
EP1986335A2 (en) 2008-10-29
US8073407B2 (en) 2011-12-06
EP1986335B1 (en) 2011-07-06
CN101295887B (zh) 2011-06-01
JP4808182B2 (ja) 2011-11-02
US20080268796A1 (en) 2008-10-30
KR100986962B1 (ko) 2010-10-11
JP2008278097A (ja)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962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급전 방법
US10680556B2 (en)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US7368985B2 (en)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transmitter
US7151436B2 (en) Receiving/backscattering arrangement and method with two modulation modes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as well as modulation arrangement therefor
JP4628142B2 (ja) ポーラ変調送信装置、無線通信機及び電源電圧制御方法
JP2004364237A (ja) 時分割方式電力増幅モジュール
JP2009536505A (ja) 送信機出力電力を最適化するマルチバンドの無線通信
US1099228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112452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power
US8718304B2 (en) Hearing instrument configu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bursts and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such
US8532595B1 (en) Optimized power amplifi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topology
US20180241440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s device
KR101761076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휴대 기기
EP2956893B1 (en) Amplifier circuit, antenna modul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120001517A (ko) 반사파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
KR101231797B1 (ko) Linc rf 송신기 기반의 고효율 전력 전송·통신 장치 및 그 방법
EP2883309B1 (en) Amplifier circuit, antenna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6421546B1 (en) Signal transmission circuit of a wireless telephone handset
JP2001308739A (ja) 無線機
KR101072075B1 (ko) Rf 통신장치 및 그 전원 제어방법
JP2017050656A (ja) アンテナおよび通信機器
JPH07250020A (ja) 送信出力制御装置
KR20030073386A (ko) 고주파 전력 증폭기
JP2010074662A (ja) キャンセル信号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