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312A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312A
KR20080096312A KR1020070041619A KR20070041619A KR20080096312A KR 20080096312 A KR20080096312 A KR 20080096312A KR 1020070041619 A KR1020070041619 A KR 1020070041619A KR 20070041619 A KR20070041619 A KR 20070041619A KR 20080096312 A KR20080096312 A KR 20080096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ape
frame
compon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835B1 (ko
Inventor
최형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835B1/ko
Priority to US12/080,730 priority patent/US8006373B2/en
Priority to CN2008100960053A priority patent/CN101296610B/zh
Publication of KR2008009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1Means to align and advance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74Means to disassemble electrical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65Film or tape cartri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는, 테이프가 이송되는 프레임과, 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일단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테이프를 안내하도록 가이드부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가이드부가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1 링크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은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2 링크와, 일단은 제1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Tape feeder for chip mounter}
도 1은 테이퍼 피더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부품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개방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결합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개방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가 결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각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가 작동 중에 있는 상태에서의 각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각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 테이프 171: 제1 링크
81: 탑 커버 테이프 172: 가이드부
82: 수납 테이프 173: 개구부
100: 테이프 피더 174: 절개부
110: 프레임 175: 제2 링크
111: 픽업 스테이션 175a: 스토퍼
121: 부품릴 지지부 176: 스프링
122: 부품릴 178a: 지지부
125: 이송 가이드 178: 중간 링크
130: 스프로킷 180: 동력원
135, 136: 회수 가이드 191: 제1 힌지핀
140: 커버 회수수단 192: 제2 힌지핀
141, 142: 회수 기어들 193: 제3 힌지핀
150: 수납수단 194: 제4 힌지핀
160: 배출 가이드 500: 장착헤드
170: 가이드 셔터 500: 헤드 어셈블리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안정적 작동되는 가이드 셔터를 구비하며, 부품릴의 교체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기는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실장하는 장비로서, 부품 공급기로부터 집적 회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과 같은 각종 전자 부품을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실장 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기는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장치와,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노즐들을 구비하여 부품 공급장치로부터 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하는 헤드 어셈블리와, 헤드 어셈블리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품 이송장치 등을 구비한다.
부품 실장기에 장착되는 부품 공급장치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품릴을 이용하는 테이프 피더(tape feeder)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테이퍼 피더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부품릴의 사시도이다.
부품릴에는 대략 2000개 내지 5000개 정도의 전자 부품들이 수납된다. 부품릴에 감기어 있는 테이프(2)에는 수납공간(2a)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수납공간(2a)에 반도체 칩과 같은 전자 부품(5)이 수납되고, 그 상부는 탑 커버 테이프(2b)에 의해 밀봉된다. 테이프(2)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이송공(2c)이 형성된다.
부품 실장기에는 복수 개의 테이프 피더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병렬적으로 배치된다. 테이프 피더는 상술한 테이프(2)를 부품 실장기로 이송한다. 즉 테이프 피더는 부품릴에서 테이프를 풀어냄과 동시에,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을 덮고 있던 탑 커버 테이프를 벗겨내는 작용을 수행한다. 헤드 어셈블리의 흡착 노즐은 탑 커버 테이프가 벗겨진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을 흡착함으로써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픽업하고, 이를 인쇄 회로 기판의 소정 위치로 이송시킨다.
도 2는 종래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의 테이프 피더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제2006-0102885호에 의해 개시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테이프 피더는 부품릴(10)이 장착된 프레임(11)을 구비한다. 부품릴(10)에 권취된 테이프는 스프로킷(13)에 의해 일정한 피치로 이송되고, 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탑 커버 테이프는 회수장치(14)에 의해 회수된다.
부품릴(10)에 수납되었던 전자 부품이 모두 공급되면, 테이프 피더에 장착된 부품릴(10)이 교체되어야 한다. 작업자가 부품릴을 교체할 때에는 새로운 부품릴을 프레임(11)에 장착한 후에, 테이프 피더의 전방에 장착된 록커(15)를 해제하고 테이프 가이드(16)를 들어 올려 새로이 교체된 부품릴(10)의 테이프와, 탑 커버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의 소정 부분들에 연결한다. 부품릴(10)의 장착과 테이프 및 탑 커버 테이프의 연결이 완료되면, 테이프 가이드(16)를 내리고 록커(15)를 잠금 위치로 전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테이프 피더에 의하면, 작업자가 록커(15)를 해제하고 테이프 가이드(16)를 들어 올려기 위해서 양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테이프 가이드(16)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한 손으로는 부품릴(10)의 테이프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테이프 가이드(16)를 붙잡아야 하였는데, 이로 인해 부품릴(10)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는 부품릴(10)의 교체 작업을 실시한 후에 록커(15)와 테이프 가이드(16)의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여야 하는데, 때로는 작업자가 록커(15)와 테이프 가이드(16)가 제대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테이프 피더를 부품 실장기에 장착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부품릴(10)에서 테이프와 탑 커버 테이프가 풀리며 이송되는 동안 탑 커버 테이프의 장력의 작용으로 인해 테이프 가이드(16)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부품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가이드(16)와 록커(15)의 결합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테이프 가이드(16)가 상측을 향해 들어 올려질 수 있으므로, 전자 부품을 픽업하기 위해 헤드 어셈블리(20)가 이동하는 중에 노즐과 테이프 가이드(16)의 충돌이 발생하는 위험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한 조작에 의해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릴의 교체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이 공급되는 동안 테이프 가이드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테이프 피더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3 링크 구조를 채택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되며, 개방 위치 및 결합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가이드 셔터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는, 테이프가 이송되는 프레임과, 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일단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테이프를 안내하도록 가이드부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가이드부가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1 링크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은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2 링크와, 일단은 제1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링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링크에 연결되는 중간링크의 타단에는 제2 링크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링크에는 제1 링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링크의 타단은 스프링에 의해 프레임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부에는 테이프의 일부를 외부를 향해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부에는 테이프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던 탑 커버 테이프가 테이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탑 커버 테이프를 안내하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는, 부품이 내측에 수용되며 부품이 수용된 일면에는 탑 커버 테이프가 부착된 테이프가 감긴 부품릴이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품릴에서 풀리는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스프로켓과, 스프로켓에 의해 이송되는 테이프를 프레임에 밀착시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탑 커버 테이프가 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안내하는 절개부가 가이드부에 형성되며 테이프에서 탑 커버 테이프가 분리된 위치의 부품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가이드부에 형성되어 일단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은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2 링크와, 제1 링크의 타단과 제2 링크의 타단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연결하는 중간링크를 포함하고, 제1 링크는 가이드부가 테이프를 프레임에 밀착시키는 결합 위치와 가이드부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한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개방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100)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전방에 장착되는 가이드 셔터(170)를 포함한다. 가이드 셔터(170)는 부품릴(122)에서 풀리는 테이프(80)가 이송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테이프(80)로부터 탑 커버 테이프(81)가 분리되도록 안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임(110)은 테이프 피더(100)를 이루는 여러 가지 구성 부품들을 지지한다. 프레임(110)의 후방에는 부품릴(122)이 장착되는 부품릴 지지부(121)가 형성된다.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스프로킷(1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부품릴(122)에 권취된 테이프(80)를 일정한 피치로 이송한다. 또한 프레임(110)에는 테이프(80)에서 분리되는 탑 커버 테이프(81)를 회수하는 커버 회수수단(140)이 설치된다. 또한 회수된 탑 커버 테이프(81)를 수용하는 수납수단(150)이 커버 회수수단(140)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스프로킷(130) 및 커버 회수수단(140)은 하나의 동력원(180)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동력원(180)에 의해 발생된 동력은 각각의 동력전달부재(미도시)를 통해 스프로킷(130) 및 커버 회수수단(1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는 링크 기구나 웜 기어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력원(180)으로는 예를 들어, 서보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부품릴 지지부(121)에는 부품릴(122)이 장착된다. 부품릴(122)에는 다수의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테이프(80)가 롤 형태로 감기어 있다. 테이프(80)는 전자 부품이 수용되는 수납 테이프(82)와, 전자 부품이 수용된 수납 테이프(82)의 일면에 부착되는 탑 커버 테이프(81)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결합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개방 위치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프레임(110)의 전방에 장착되는 가이드 셔터(170)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171) 및 제2 링크(175)와, 제1 링크(171)와 제2 링크(175)를 연결하는 중간 링크(178)를 포함하는, 3 개의 링크(3 bar linkage) 구조이다.
제1 링크(171)의 일단은 제1 힌지핀(191)에 의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링크(171)에는 테이프(80)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72)가 일체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72)는 테이프(8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스프로킷(130)이 장착되는 프레임(110)의 픽업 스테이션(111)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테이프(80)는 스프로킷(130)에 맞물려 픽업 스테이션(111)을 따라 이송된다. 가이드부(172)가 픽업 스테이션(111)에 결합되면 가이드부(172)가 테이프(80)를 픽업 스테이션(111)에 대해 밀착시켜 테이프(80)가 원활히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 링크(175)는 중간 부분이 제2 힌지핀(192)에 의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링크(175)의 일단은 프레임(1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제2 링크(175)는 제2 힌지핀(192)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링크(175)의 일단은 스프링(176)에 의해 프레임(110)에 연결됨으로써 제2 링크(175)가 프레임(1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제2 링크(175)가 프레임(11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성은 이와 같은 스프링(176)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가스나 오일과 같은 유체를 사용하는 유체 실린더 등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중간 링크(178)의 일단은 제3 힌지핀(193)에 의해 제1 링크(17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4 힌지핀(194)에 의해 제2 링크(175)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중간 링크(178)는 제1 링크(171)와 제2 링크(175)를 연결하여 제2 링크(175)와 함께 상호 작용함으로써, 제1 링크(171)가 도 5에 도시된 결합 위치나 도 6에 도시된 개방 위치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놓이도록 제1 링크(17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링크(171)는 제1 힌지핀(191)을 중심으로 도 5의 결합 위치와 도 6의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운동을 한다. 제1 링크(171)가 도 5의 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링크(171)의 가이드부(172)가 테이프(80)를 프레임(110)의 픽업 스테이션(111)에 밀착시켜, 테이프(80)가 원활히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부품릴(122)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의 공급이 모두 완료되어 새로운 부품릴로 교체할 때에는, 작업자가 가이드 셔터(170)를 작동시켜 제1 링크(171)를 도 6의 개방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링크(171)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작업자는 새로운 부품릴의 테이프(80)를 픽업 스테이션(111)에 삽입하고, 탑 커버 테이프(81)의 일부를 분리하여 가이드부(172)의 절개부(174)로 통과시켜 회수 가이드(135, 136) 및 회수 기어들(141, 142)로 연결시킬 수 있다.
테이프(80)는 프레임(110)의 전방에 설치된 스프로킷(130)에 의해 헤드 어셈블리(500)가 접근할 수 있는 픽업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스프로킷(130)은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가 테이프(80)에 형성된 이송공에 결합되어 회전되므로, 테이프(80)가 소정의 피치로 이송될 수 있다. 스프로킷(130)의 작용에 의해, 부품릴(122)에서 풀리는 테이프(80)는 이송 가이드(125)에 의해 안내되며 가이드 셔터(170)가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110)의 전방 상측의 픽업 위치로 이송된다.
테이프(80)의 상면에 부착된 탑 커버 테이프(81)는 테이프(80)가 픽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테이프(80)로부터 분리되므로 수납 테이프(82)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 부품이 헤드 어셈블리(500)에 의해 순차적으로 픽업될 수 있다. 탑 커버 테이프(81)가 분리된 테이프(80)는 가이드부(172)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73)를 통해 상측을 향해 노출되는 상태에 놓이므로, 헤드 어셈블리(500)가 개구부(173)를 통해 노출된 테이프(80)의 전자 부품을 픽업할 수 있다.
테이프(80)로부터 분리된 탑 커버 테이프(81)는 가이드 셔터(170)의 절개부(174)를 통과하면서 이송방향이 전환된 후, 회수 가이드(135, 136)의 안내를 받아 커버 회수수단(140)으로 이송된다.
커버 회수수단(140)은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회수 기어들(141, 142)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된 탑 커버 테이프(81)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회수 기어들(141, 14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수납수단(150)에 수집된다. 수납수단(150)의 내부에는 탑 커버 테이프(81)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전자 부품이 픽업된 후 수납 테이프(82)는 배출 가이드(160)의 안내를 받아 테이프 피더(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수납수단(150)은 배출 가이드(16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수납 테이프(82)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부품릴(122) 등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곧 바로 하방으로 이송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가 결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각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가 작동 중에 있는 상태에서의 각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각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는 가이드 셔터의 가이드부와 같은 부분의 도시는 생략되었으며, 링크들의 작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가이드 셔터를 힌지핀들(191, 192, 193, 194)을 연결하는 직선들만을 사용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7은 가이드 셔터의 제1 링크(171)가 결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링크(171)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링크(171)의 가이드부(172)가 프레임(110) 상에서 이송되는 테이프(8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셔터는 제1 링크(171)가 도 7과 같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즉 테이프 피더는 이 상태에서 테이프(80)를 이송시킴과 동시에 탑 커버 테이프(81)를 분리하여 전자 부품을 노출시킴으로써 전자 부품의 픽업이 이루 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링크(171)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링크(175)의 타단이 스프링(176)에 의해 프레임(1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스프링(176)의 인장력은 제2 링크(175)를 통해 중간 링크(178)와 제1 링크(171)에 작용하므로, 제1 링크(171)가 프레임(110)에 결합된 결합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176)의 작용으로 인해 가이드 셔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저절로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테이프 피더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부품릴의 테이프가 모두 사용되어 부품릴이 교체되어야 할 때에는, 작업자가 가이드 셔터를 작동시켜 도 7의 상태로부터 도 8의 상태를 거쳐 도 9의 상태로 가이드 셔터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제1 링크(171)를 들어 올리면, 제1 링크(171)는 제1 힌지핀(191)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링크(171)와 중간 링크(178)를 연결하는 제3 힌지핀(193)의 위치는 제1 힌지핀(19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반경에 제한된다. 제2 링크(175)는 스프링(176)에 의해 프레임(11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제2 힌지핀(192)을 중심으로 한 제2 링크(175)의 회전 운동도 제한된다. 그리고 제2 링크(175)와 중간 링크(178)를 연결하는 제4 힌지핀(194)의 위치는 제2 힌지핀(19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반경에 제한된다.
이와 같은 제1 링크(171), 제2 링크(175) 및 중간 링크(178)의 상호 연결 관계에 의해, 제1 링크(171)가 작업자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 각 링크들의 위치가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변동된다. 도 8의 상태에서는 제2 링크(175)가 도 7에서의 상태보다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므로, 제2 링크(175)의 일단은 스프링(176)으로부터 더욱 강한 인장력의 작용을 받는다. 이와 같이 도 8의 위치는 임계적인 위치에 해당하므로 가이드 셔터는 도 8의 상태로 유지될 수 없고, 작업자가 제1 링크를 이동시키는 방향을 따라 가이드 셔터가 도 9의 위치로 이동한다.
가이드 셔터가 도 8의 임계적인 위치를 지나 도 9의 상태로 이동되면, 제2 링크(175)는 스프링(176)의 작용으로 인해 제2 힌지핀(19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그러나 제2 링크(175)의 스토퍼(175a)가 중간 링크(178)의 지지부(178a)에 접촉함으로써 제2 링크(175)와 중간 링크(178)는 제4 힌지핀(194)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스프링(176)은 제2 링크(175)의 일단을 프레임(110)의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제2 링크(175)와 중간 링크(178)는 서로에 대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으므로, 가이드 셔터의 각 링크들은 도 9의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링크(171)는 도 9의 개방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링크(171)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작업자가 가이드 셔터를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릴을 교체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부품릴을 교체하는 작업이 완료되어 가이드 셔터의 제1 링크(171)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은, 작업자가 제1 링크(171)의 가이드부(172)를 프레임(110)을 향하여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 9의 개방 위치에 놓여 있는 제1 링크(171)를 작업자가 가압하면, 지지부(178a)와 스토퍼(175a)의 결합이 해 제되며, 제1 링크(171)가 제1 힌지핀(19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링크(171)와 연결된 중간 링크(178)의 작용으로 인해 제2 링크(175)도 스프링(176)의 인장력에 대항하며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도 8에 도시된 임계적인 위치로 이동한다.
도 8의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 링크(171)를 계속 가압하면, 제1 링크(171)는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함과 아울러 제2 링크(175)도 방향을 바꾸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링크(171)가 도 7에 도시된 결합 위치로 이동한다.
종래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서 부품릴을 교체하기 위해 작업자가 테이프 가이드를 개방할 때에는, 작업자가 록커를 조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테이프 가이드를 들어 올려야 하는 복합적인 조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부품릴을 교체하는 작업에서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테이프 가이드가 개방 위치로 고정되지 않음으로 인해 부품릴의 교체 작업이 더욱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서는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되는 3 링크 구조의 가이드 셔터가 채택되므로, 작업자가 한손만을 이용하여 가이드 셔터를 개방 위치 또는 결합 위치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76)과 지지부(178a)와 스토퍼(175a)의 작용으로 인해 가이드 셔터가 개방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부품릴의 교체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에 대하여 제2 링크(175)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가이드 셔터가 결합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는,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3 링크 구조의 가이드 셔터를 구비하므로 간편한 조작에 의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구비되는 가이드 셔터는 작업자가 한손만을 이용하여 개방 위치 또는 결합 위치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프링과 지지부와 스토퍼의 작용으로 인해 가이드 셔터가 개방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부품릴의 교체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가 프레임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작용으로 인해 가이드 셔터가 결합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부품이 공급되는 동안 테이프 가이드가 안정적으로 작동되어 테이프 피더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테이프가 이송되는 프레임;
    상기 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테이프를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1 링크;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2 링크; 및
    일단은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링크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에 연결되는 상기 중간링크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링크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에는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지지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테이프의 일부를 외부를 향해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테이프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던 탑 커버 테이프가 상기 테이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탑 커버 테이프를 안내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6. 부품이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부품이 수용된 일면에는 탑 커버 테이프가 부착된 테이프가 감긴 부품릴이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부품릴에서 풀리는 상기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테이프를 상기 프레임에 밀착시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탑 커버 테이프가 상기 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안내하는 절개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에서 상기 탑 커버 테이프가 분리된 위치의 상기 부품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연결하는 중간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테이프를 상기 프레임에 밀착시키는 결합 위치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에 연결되는 상기 중간링크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링크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에는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20070041619A 2007-04-27 2007-04-27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14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619A KR101143835B1 (ko) 2007-04-27 2007-04-27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US12/080,730 US8006373B2 (en) 2007-04-27 2008-04-04 Tape feeder for chip mounter
CN2008100960053A CN101296610B (zh) 2007-04-27 2008-04-25 用于芯片安装机的带供给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619A KR101143835B1 (ko) 2007-04-27 2007-04-27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312A true KR20080096312A (ko) 2008-10-30
KR101143835B1 KR101143835B1 (ko) 2012-07-12

Family

ID=3988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619A KR101143835B1 (ko) 2007-04-27 2007-04-27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06373B2 (ko)
KR (1) KR101143835B1 (ko)
CN (1) CN1012966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9689A (zh) * 2021-10-21 2021-12-3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阻容电子元器件出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22469B1 (pl) * 2012-08-14 2016-07-29 Włodarczyk Władysław Igloo Kasetowy podajnik taśmowy do pozycjonowania elementów elektronicznych SMD
CN103560092B (zh) * 2013-11-21 2016-01-20 吴笑 一种由滑块驱动的带有限位凸出的芯片安装装置
EP3334265B1 (en) * 2015-08-05 2022-05-25 FUJI Corporation Tape feeder
CN107872949A (zh) * 2017-12-21 2018-04-03 九江嘉远科技有限公司 微型元件喂料器
JP2019117822A (ja) * 2017-12-26 2019-07-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ール保持装置およびリール押え部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8346A (en) * 1939-04-20 1940-04-23 Coleman Lamp & Stove Co Oven door and hinge structure therefor
JP4014296B2 (ja) * 1998-06-24 2007-11-28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テーピング電気部品送り装置および電気部品供給方法
KR100350154B1 (ko) 1999-11-25 2002-08-27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이프 피더의 클램핑 장치
US6652706B1 (en) 2000-12-01 2003-11-25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Tape feeder with improved cover tape disposition path and drive
KR20060102885A (ko) 2005-03-25 2006-09-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테이프 피이더
KR101170754B1 (ko) * 2005-10-07 2012-08-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테이프 피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피더 및 부품실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9689A (zh) * 2021-10-21 2021-12-3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阻容电子元器件出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06373B2 (en) 2011-08-30
KR101143835B1 (ko) 2012-07-12
CN101296610B (zh) 2012-04-25
US20080263856A1 (en) 2008-10-30
CN101296610A (zh)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835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5213117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1075678B1 (ko) 전자 부품 장착 방법
JP2008091672A (ja) 部品供給装置、並びに表面実装機
US10426069B2 (en) Feeder
KR20140031009A (ko)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방법
KR20140041432A (ko) 테이프 피더 및 부품 실장 장치
US7584877B2 (en) Tape feeder
JP2022168137A (ja) 部品実装装置
JP4530865B2 (ja) 部品供給装置
JP4527131B2 (ja) 実装機
KR100819132B1 (ko) 트레이 공급장치
KR101180914B1 (ko) 테이프 가이드 조립체 및 그 테이프 가이드 조립체를구비하는 테이프 피더
JP4938607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におけるサプレッサの開放状態の判定方法
JP5021368B2 (ja) 部品供給装置
KR101091891B1 (ko)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KR20090114611A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4783689B2 (ja) 部品実装装置
JP4105514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4016941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20130108907A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028667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7029678B2 (ja) 部品供給装置
KR101333520B1 (ko) 테이프 가이드 분리형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
KR100627058B1 (ko) 테이프 피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