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277A - 커버레이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커버레이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277A
KR20080096277A KR1020070041534A KR20070041534A KR20080096277A KR 20080096277 A KR20080096277 A KR 20080096277A KR 1020070041534 A KR1020070041534 A KR 1020070041534A KR 20070041534 A KR20070041534 A KR 20070041534A KR 20080096277 A KR20080096277 A KR 20080096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ink
coverlay
ink
substrate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진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1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6277A/ko
Publication of KR2008009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6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n organic polymeric bonding layer, e.g.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3Inkjet printing, e.g. for printing insulating material or res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커버레이 형성방법이 개시된다. 회로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일면에 커버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커버레이에 상응하도록 기판의 일면에 보호잉크를 토출하는 단계; 보호잉크가 기판의 일면에 안착되는 시점에 상응하여, 보호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형성방법은, 커버레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에 보호잉크를 잉크젯으로 도포하고 이와 거의 동시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높은 해상도와 향상된 수율을 제공할 수 있다.
잉크젯, 커버레이, 자외선

Description

커버레이 형성방법{Cover-lay forming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버레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레이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레이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4는 압전방식의 잉크젯 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기판 120: 회로패턴
130: 잉크젯 헤드 140: 자외선 모듈
150: 커버레이
본 발명은 커버레이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고분자수지 위에 구리동박을 결합시킨 동박적층판(CCL)에 포 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여 제조한다. 형성된 회로의 보호를 위하여는 감광성 수지인 솔더레지스트(solder resist)를 이용하여 회로표면에 박막을 형성한 후 노광 및 현상을 거쳐 통상 회로에서 보이는 녹색을 띠는 보호층을 형성한다.
최근 유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사용되는 연성(flexible)회로기판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연성회로기판은 통상의 리지드(rigid) 기판에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대신에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의 고내열성을 지니면서도 유연성이 좋은 고분자 소재를 동박과 결합시킨 연성동박적층판(FCCL)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연성동박적층판 역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며, 형성된 회로패턴은 커버레이(cover lay)라 불리는 보호층에 의하여 보호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커버레이는 연성동박적층판에 사용되는 수지와 동일한 폴리이미드(polyimide)에 접착제를 결합시킨 구조로서 연성회로기판에 열 압착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연성회로기판은 그 특성상 유연성이 필요한 제품에 사용되며, 형상에 있어서도 곡선 및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는 경우가 많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커버레이는 제품 형상을 만든 후 연성회로기판에 가접(假接)된 후 열을 이용하여 적층(lamination)됨으로써 기판에 부착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효율이 떨어지며 정확도와 수율 또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버레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리이미드 필름(1), 접착층(2), 회로패턴(4)이 형성된 기판(3), 부품실장을 위한 패드(5), 개방된 단자부(6)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커버레이는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 필름(1)과 접착층(2)으로 구성되어 있다. 폴리이미드는 12.5미크론에서 25미크론 사이의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접착층(2)은 통상 에폭시 등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열경화성 재료가 많이 사용된다. 접착층의 두께는 형성된 회로의 에칭된 부분을 충진할 수 있어야 하며 회로의 두께에 따라 변한다.
커버레이에서 회로의 연결이나 부품의 실장을 위한 부분(5)은 커버레이로 덮이지 않도록 노출하여야 하며 이러한 부분은 커버레이에서 펀치 등을 이용하여 오픈 시켜 재단한다. (Cover lay window punching)
커버레이의 펀칭된 윈도우를 연성회로기판과 정렬시켜 가장자리를 가접하고 열압착(hot press)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데. 커버레이의 정렬과 가접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장시간이 소요되며 제품 불량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고분자 잉크를 잉크젯으로 도포하여 연성회로기판의 커버레이를 형성함으로써, 정밀도와 수율이 향상된 커버레이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로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일면에 커버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커버레이에 상응하도록 기판의 일면에 보호잉크를 토출하는 단계; 보호잉크가 기판의 일면에 안착되는 시점에 상응하여, 보호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형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호잉크는 감광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보호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보호잉크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잉크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잉크를 토출하기 전에, 보호잉크를 여과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토출되는 보호잉크의 온도는 섭씨 85도 내지 섭씨 95도일 수 있다.
한편, 커버레이가 소정의 두께를 확보하도록, 보호잉크를 토출하는 단계와, 보호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버레이 형성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레이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레이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10), 회로패턴(120), 잉크젯 헤드(130), 보호잉크(138), 자외선 모듈(140), 자외선(142), 커버레이(150)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잉크젯 헤드(130)를 이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커버레이에 상응하도록 기판의 일면에 보호잉크(138)를 토출한다(S20). 잉크젯 헤드(130)를 이용하여 보호잉크(138)를 토출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공정의 신뢰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잉크젯 헤드(130)를 이용하여 보호잉크(138)를 토출하기 전에, 잉크젯 헤드의 노즐을 막을 수 있는 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여과 과정(S10)을 거칠 수도 있다.
본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압전방식의 잉크젯 헤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압전방식의 잉크젯 헤드(1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저버(131), 리스트릭터(132), 챔버(133), 노즐(134), 진동판(135), 압전소자(136), 전원(137)이 도시되어 있다.
리저버(131)는 보호잉크를 수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리스트릭터(132)를 통하여 챔버(133)에 보호잉크를 제공할 수 있다.
리스트릭터(132)는 리저버(131)와 추후 설명할 챔버(133)를 서로 연통하게 하여 리저버(131)로부터 챔버(133)에 보호잉크를 공급하는 유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릭터(132)는 리저버(131)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압전소자(136)에 의해 진동판(135)이 진동하는 경우 리저버(131)로부터 챔버(133)로 공급되는 보호잉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챔버(133)는 리스트릭터(132)와 연결되어 리저버(131)와 연통된다. 또한, 리스트릭터(132)와 연결된 측 외의 타 측면을 통하여 노즐(134)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리저버(131)로부터 보호잉크를 공급받고, 이를 다시 노즐(134)에 공급함으로써 인쇄작업을 가능케 할 수 있다.
한편, 챔버(133)는 일면이 진동판(135)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챔버(133)의 위치에 상응하는 진동판(135)의 상면에는 압전소자(136)가 결합될 수 있다.
압전소자(136)는 챔버(133)의 위치에 상응하는 진동판(135)의 상면에 결합되어, 전원(137)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수단이다. 압전소자(136)는 압전소자(136)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여 진동판(135)을 통해 챔버(133)에 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노즐(134)은 챔버(133)와 연결되어 챔버(133)로부터 보호잉크를 공급받아 보호잉크를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압전소자(136)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진동판(135)을 통하여 챔버(133)에 전달되면, 챔버(133)에는 압력이 가해지고, 이 압력에 의해 노즐(134)이 보호잉크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압전방식의 잉크젯 헤드(130)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 으며, 이 뿐만 아니라,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잉크젯 헤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호잉크(138)는 회로패턴(120)이 형성된 기판(110)에 도포되고 경화됨으로써, 커버레이(150)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폴리이미드(polyimide),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도, 잉크젯 헤드를 통하여 토출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면 다양하게 그 성분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잉크의 일 예로 폴리이미드를 제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폴리이미드는 메인 체인(Main chain)에 이미드기가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폴리이미드는 기계적인 특성으로서, 높은 압축강도, 내충격강도, 인장강도를 나타내며, 전기적 특성으로서, 저 유전율, 고 전기저항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또한, 내열성과 내열산화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저 열팽창성을 나타낸다.
한편, 보호잉크(138)는 상술한 폴리이미드와 같은 고분자를 용매에 분산시킨 형태나, 고분자 단량체가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 또는, 고분자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하여 단량체나 고분자를 분산시킨 형태의 보호잉크(138)는 점도가 낮아 잉크젯을 이용하여 도포 하기에 용이하며, 도포 후 열에 의해 용매의 증발 및 중합이 일어나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고분자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형태의 보호잉크는 10 미크론 이상이며 접착력 및 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잉크(138)가 잉크젯 헤드를 통하여 토출되기에 적절한 점도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보호잉크(138)가 섭씨 90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상의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보호잉크(138)가 섭씨 85도 내지 섭씨 95도 내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점도가 높아 잉크젯 헤드(130)를 이용하여 토출하기에 적절치 않을 수 있으며, 상술한 범위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낮아 원하는 해상도의 커버레이(150)를 형성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호잉크(138)의 표면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접촉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판(110)의 표면에, 적절한 표면 세정 과정 또는 표면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표면 세정 방법은 유기 용매나 알칼리 세정액에 의한 오염 물질의 세척, 크롬산, 황산, 염산 등의 산성 물질을 이용한 에칭, 연마나 쇼트블라스트(shot blast)와 같은 물리적 방법, 전기화학적 방식에 의한 산화피막 처리(anodizing), 이온 또는 플라즈마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기타 일반적인 오염 물질 제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기판(110)과 보호잉크(138)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잉크젯 헤드(130)를 통한 분사 공정 전에 기판(110)의 표면에 부착향상제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미리 처리된 기판(110)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여과된 보호잉크(138)를 도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호잉크(138)를 도포함과 아울러, 보호잉크(138)가 기판(110)의 일면에 안착되는 시점에 상응하여 보호잉크를 경화시킨다(S30).
보호잉크(138)가 토출되어 기판에 안착된 후 시간이 지날수록, 보호잉크(138)는 서서히 퍼지게 된다. 보호잉크(138)가 퍼질수록, 보호잉크(138)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버레이(150)의 해상도는 떨어지게 되므로, 고해상도의 커버레이(150)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보호잉크(138)가 퍼지는 현상을 조절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잉크(138)가 기판의 일면에 안착되는 시점에 상응하여 보호잉크(138)를 경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보호잉크(138)가 감광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잉크(138)가 기판에 안착되는 시점에 상응하여 보호잉크(138)에 자외선(142)을 조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보호잉크(138)가 기판에 안착됨과 거의 동시에 자외선(142)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외선(142)을 조사하는 자외선 모듈(140)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 모듈(140)은 잉크젯 헤드(130)와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잉크젯 헤드(130)와 분리되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기판(110)에 안착된 보호잉크(138)가 퍼지는 현상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높은 해상도를 갖는 커버레이(15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로패턴(120) 등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레이(150)는 소정의 두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보호잉크(138)를 토출하고 경화시킨 후, 소정의 두께가 확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0), 소정의 두께를 확보하 지 못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보호잉크(138)를 토출하는 공정과 경화시키는 공정을 반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레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에 보호잉크를 잉크젯으로 도포하고 이와 거의 동시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높은 해상도와 향상된 수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회로패턴이 형성된 기판의 일면에 커버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레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보호잉크를 토출하는 단계;
    상기 보호잉크가 상기 기판의 일면에 안착되는 시점에 상응하여, 상기 보호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잉크는 감광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호잉크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잉크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형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잉크를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버레이 형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토출되는 상기 보호잉크의 온도는 섭씨 85도 내지 섭씨 9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형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가 소정의 두께를 확보하도록,
    상기 보호잉크를 토출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형성방법.
KR1020070041534A 2007-04-27 2007-04-27 커버레이 형성방법 KR20080096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34A KR20080096277A (ko) 2007-04-27 2007-04-27 커버레이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34A KR20080096277A (ko) 2007-04-27 2007-04-27 커버레이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77A true KR20080096277A (ko) 2008-10-30

Family

ID=4015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34A KR20080096277A (ko) 2007-04-27 2007-04-27 커버레이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62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312B1 (ko)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 형성방법
US787787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KR100643934B1 (ko)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 형성방법
CN101065843B (zh) 制造电子模块的方法
US20120008287A1 (e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63223A (ko) 리지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 및 리지드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제조방법
JP2005183880A (ja) 多層配線板用基材、両面配線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80041572A (ko) 전자 기판의 제조 방법
EP2138021B1 (en) Electrical connection of components
US20130192885A1 (en) Method of forming solder resist layer and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solder resist layer
KR100862008B1 (ko)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9990072084A (ko) 인쇄 회로 기판 제조용 솔더 마스크
US9549465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477884B2 (en) Cover film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080096277A (ko) 커버레이 형성방법
KR20050101946A (ko) 감광성 폴리이미드에 의해 성형된 커버레이를 구비한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JP4626225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銅張り積層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070023319A (ko) 음각의 금형판을 이용한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
KR100872565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JP5498328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100674293B1 (ko) 전자부품이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20120046495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4773B1 (ko) 인쇄회로기판의 솔더 레지스트층 형성 방법
KR102436612B1 (ko) 다층인쇄회로기판의 최외층 형성 방법
KR20090122762A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29

Effective date: 2009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