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182A -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광역학치료제 - Google Patents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광역학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182A
KR20080095182A KR1020080036214A KR20080036214A KR20080095182A KR 20080095182 A KR20080095182 A KR 20080095182A KR 1020080036214 A KR1020080036214 A KR 1020080036214A KR 20080036214 A KR20080036214 A KR 20080036214A KR 20080095182 A KR20080095182 A KR 2008009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photosensitizer
chitosan
complex
biocompati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269B1 (ko
Inventor
권익찬
최귀원
김광명
윤인찬
김종호
박경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08/00228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30181A1/en
Priority to EP08741523.8A priority patent/EP2150278B1/en
Priority to US12/595,103 priority patent/US8614285B2/en
Publication of KR2008009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61K41/0071PDT with porphyrins having exactly 20 ring atoms, i.e. based on the non-expanded tetrapyrrolic ring system, e.g. bacteriochlorin, chlorin-e6, or phthalocyan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라디컬 생성이 가능한 광역학 치료용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는 나노입자로 제조되어 암 조직에 대한 선택성 및 축적성이 탁월하며 또한 상기 복합체의 광감작제는 특정 레이저 파장에 의해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라디컬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체는 암조직에 대한 선택성 및 축적성이 탁월하므로 기존의 저분자 광감작제의 광독성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낮은 부작용과 높은 치료 효과를 갖는 광역학 치료용 광감작제로서 아주 유용하다.
광역학 치료, 고분자 유도체, 광감작제

Description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광역학 치료제{NOVEL PHOTOSENSITIZER BASED ON PHOLYMER DERIVATIVES-PHOTOSENSITIZER CONJUGATES FOR PHOTODYNAMIC THERAPY}
본 발명은 광역학 치료를 위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각제 복합체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는 기존의 광감각제를 암 표적성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로 화학적으로 개질하여, 암 조직에 대한 선택도 및 축적률이 더욱 증가되고 광독성의 부작용이 현저히 감소된 것이다.
광역학 치료 (photodynamic therapy)는 최근 촉망받는 암 치료 방법 중의 하나로서, 빛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물질인 광감작제 (photosensitizer)를 체내에 투여하면, 외부에서 빛을 조사하였을 경우에 체내의 풍부한 산소와 외부 빛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단일항산소 (singlet oxygen) 또는 자유 라디칼 (free radical)이 생성되고, 이런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 라디칼이 각종 병변 부위나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파괴하는 원리를 이용한 치료법이다.
광역학 치료는 정상 세포를 보존하면서 암 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대부분 전신 마취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고, 간단한 국소 마 치만으로 수술할 수 있는 등 시술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지는 광역학 치료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캐나다, 독일, 일본 등에서 임상시술이 승인된 이래 미국의 FDA가 1996년 1월에 식도암 치료 허가, 1997년 9월에는 초기 폐암치료에 대해 승인을 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중인 광역학 치료는 빛의 투과 제한으로 부피가 큰 종양에는 사용되고 있지 못하며 특히, 광감작제의 인체 내 대사가 느려 광독성의 부작용이 발견되고 있고, 종양 내의 광감작제의 농도가 낮아 효율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치료 이외의 긴 시간 동안 체내에 누적되어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종양 선택성을 높여 부작용을 줄이고 레이저에 의한 효율적인 치료를 위한 새로운 광감작제의 개발의 요구되어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 조직에 대한 선택성 및 축적률이 높으면서도 기존 광감작제가 갖고 있는 광독성의 부작용이 현저히 감소된 새로운 광감작제를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 조직에 대한 선택도 및 축적률이 현저히 증대되고 광독성의 부작용이 감소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라디컬 생성이 가능한, 광역학 치료를 위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라디컬 생성이 가능한 광역학 치료용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는 덱스트란 (dextran), 키토산 (chitosan), 글라이콜 키토산 (glycol chitosan), 폴리-L-라이신 (poly-L-lysine) 또는 폴리아스파르트산 (poly-aspartic acid)이다. 또한, 합성 고분자로서, 폴리(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poly(N-2-(hydroxypropyl)methacrylamide), 폴리(디비닐 에테르-코-말레익 어하이드라이드) (poly(divinyl ehter-co-maleic anhydride)), 폴리(스틸렌-코-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또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poly(ethylene glycol))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감작제로는 포피린류(phophyrins), 클로린류(chlorins), 박테리오클 로린류(bacteriochlorins) 또는 포피센류(porphycenes)가 사용될 수 있며, 특히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아민(amine), 이소치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등의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토포피린 9 (protoporphyrin IX), 보네린 (bonellin), 벤조포피린 (benzoporphyrin) 또는 모노아스파틸클로린 (mono-aspartyl chlorin e6)이다.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는 수계에서 100 내지 300nm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이용한 광역학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는 암 조직에 대한 선택성 및 축적성이 탁월하며, 특정 레이저 파장에 의해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라디컬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저분자 광감작제의 광독성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낮은 부작용과 높은 치료 효과를 갖는 광역학 치료용 광감작제로서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라디컬 생성이 가능한 광역학 치료용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체는 광감작제를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로 화학적으로 개질한 것으로서, 친수성인 고분자 유도체와 소수성인 광감작제의 균형을 통해 수계에서 안정하게 나노크기의 자기조립체(self-assembly) 또는 자기집합체(self-aggregate)를 형성하게 된다. 나노 크기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는 암 조직에 대한 선택성 및 축적률이 높은 것으로서, 암 조직 주변의 느슨한 신생혈관의 높은 투과성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EPR(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효과에 의해서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이 된다. 또한, 특정 파장의 레이저에 의해 상기 광감각제는 체내의 산소와 반응하여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라디컬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의 고분자는 생체 내에서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해야 하며, 생체 내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혈액 내에서의 생체 분포도가 높아서 암 조직에 축적되는 특성이 필요하다.
상기 고분자 유도체는 생체 내에서 생체적합성을 갖는 모든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생체 내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혈액 내에서의 생체 분포도가 높아 암 조직에 축적되는 특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유도체의 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암 조직 축적 효율이 높으며 항암제의 약물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는 덱스트란 (dextran), 키토산 (chitosan), 글라이콜 키토산 (glycol chitosan), 폴리-L-라이신 (poly-L-lysine) 또는 폴리아스파르트산 (poly-aspartic acid)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합성 고분자로서는 폴 리(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poly(N-2-(hydroxypropyl)methacrylamide), 폴리(디비닐 에테르-코-말레익 어하이드라이드) (poly(divinyl ehter-co-maleic anhydride)), 폴리(스틸렌-코-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또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poly(ethylene glycol))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분자 중에서도 고분자 사슬 내에 양전자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글라이콜 키토산은 나노입자의 제조시에 암 조직 축적 효율이 매우 높으며, 글라이콜 키토산의 아민기는 상기 광감작제의 화학적 개질이 용이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감작제로는 포피린류(phophyrins), 클로린류(chlorins), 박테리오클로린류(bacteriochlorins) 또는 포피센류(porphycenes)가 사용가능하며, 특히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아민(amine), 이소치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등의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는 수계에서 안정하게 나노입자로 형성되고, 고분자 나노입자의 특성에 따라서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이 잘 되므로 기존 저분자 광감작제의 문제점이었던 광감작제의 체내 독성을 최소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특정 레이저 파장에 의해 단일항상소 또는 자유라디컬을 생성하여 암조직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광역학 치료의 효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의 예로서, 키토산 고분자인 친수성 글라이콜 키토산에 소수성의 광감작제를 도입하여 양친성 키토산 유도체를 제조 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27822687-PAT00001
상기식에서 A와 B는 글라이콜 키토산 고분자의 반복구조인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과 N-글루코사민(N-glucosamine) 유도체로서 이루어지며, C는 광감작제로서, 글라이콜 키토산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유도체이다. a와 b는 글라이콜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라서 수 100에서 수 10,000의 값을 가지며, c는 광감작제로 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20-100의 값을 가진다.
상기의 고분자-광감작제 복합체는 자기조립형 자기응집된 형태의 나노입자로 제조되며 그 크기는 50 내지 800 nm의 크기를 갖는다. 제조된 고분자 나노입자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암 조직 내 축적효율이 우수하며, 광감작제의 특정 레이저 파장에 의해 단일항산소 및 자유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광감작제에 따라 그 레이저 파장은 달라지며, 하기 표 1은 다양한 광감작제의 활성화 파장을 제공한다.
[표 1]
다양한 광감작제의 활성화 파장
광감각제 활성화 파장
HPD porfimer sodium 630 nm
BPD-MA 689 nm
m-THPC 652 nm
5-ALA 635 nm
5-ALA-methylesther 635 nm
5-ALA benzylesther 635 nm
5-ALA hexylesther 345-400 nm
SnET2 664 nm
Protoporphyrin IX 635 nm
HPPH 665 nm
Lutetium Texaphyrin 732 nm
Phthalocyanine-4 670 nm
Taporfin sodium 664 nm
상기 C의 광감작제는 포피린류(phophyrins), 클로린류(chlorins), 박테리오클로린류(bacteriochlorins) 또는 포피센류(porphycenes)이며, 특히 프로토포피린 9 (protoporphyrin IX), 보네린 (bonellin), 벤조포피린 (benzoporphyrin) 또는 모노아스파틸클로린 (mono-aspartyl chlorin e6) (하기 화학식 2)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모두 화학적 개질이 가능한 것이다.
Figure 112008027822687-PAT00002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나노입자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 합체를 이용할 경우, 나노입자의 특성상 암 조직에 대한 선택도 및 축적률이 현저히 탁월하게 되어 광감작제의 체내 광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높은 선택도 및 축적률로 암조직에 축적된 복합체에 특정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할 경우 체내 산소와 반응하여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라디컬을 생성하여 암조직의 세포사멸을 유도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복합체를 이용하여 치료할 경우 광감작제의 부작용은 줄이면서도 광역학 치료효과는 증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예시로써,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키토산- PpIX 복합체의 제조
100 mg의 글라이콜 키토산을 60 ml의 물에 녹이고 20 ml의 메탄올을 첨가하였다. 그 후, 50 ml의 메탄올에 화학식 1로 기재되는 프로토포피린(protoporphyrin) IX (PpIX) 50 mg을 녹여 글리콜 키토산 용액에 천천히 적하하였고, PpIX의 1.5 mole에 해당되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EDC)와 N-하이드로숙시니미드(N-hydrosuccinimide; NHS)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액을 2일간 투석하여 미반응 PpIX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PpIX-키토산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반응은 하기 반응식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Figure 112008027822687-PAT00003
실험예 1. 키토산- PpIX 복합체의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PpIX 복합체 1 mg를 1 ml의 DMSO에 용해를 한 후, 40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PpIX가 키토산에 결합된 양을 측정하였다. 이때, 결합된 PpIX의 양은 PpIX의 검정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결합된 광감작제 PpIX는 키토산과의 무게비율로 약 16%가 결합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PpIX 복합체를 1 ml의 PBS 용액에 분산시켜, 80 W에서 1분 동안 소니케이션(sonication) 한 후, 0.45㎛ 필터로 여과하여 동적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DLS)과 전자투과현미경(TEM)으로 입자의 크기 및 모양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토산-PpIX 복합체의 입자크기는 100 내지 300nm의 직경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것의 TEM 영상으로 약 200-300 nm의 평균입자를 갖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키토산- PpIX 복합체의 단일항산소 생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키토산-PpIX 복합체를 광역학 치료용 광감작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레이저 조사에 따른 키토산-PpIX 복합체 나노입자의 단일항산소 생성능을 저분자량의 PpIX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1 mg 의 키토산-PpIX 복합체를 10ml 의 0.1M SDS/D2O 용매에 녹이고, 최종농도를 5μg/ml 농도로 희석한 후, UV-vis 스펙트로미터(spectrometer)를 이용하여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단일항 산소를 검출할 수 있는 안트라센-9,10-디프로피온산(anthracene-9,10-dipropionic acid)를 D2O에 녹여 5.5 M의 농도로 만들었다. 키토산-PpIX의 용액에 안트라센-9,10-디프로피온산(anthracene-9,10-dipropionic acid)이 녹아있는 용액 20μl를 첨가하고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pIX가 단일항산소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633nm 파장의 헬륨-네온 레이저를 사용하여, 2분 간격으로 레이저를 조사한 후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되는 단일항 산소의 양은 감소하는 흡광도의 값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토산-PpIX 복합체 나노입자는 저분자인 PpIX와 거의 동일한 단일항산소를 생성할 수 있음을 확 인하였다.
실험예 3. 키토산- PpIX 복합체의 세포 독성 평가
광역학 치료용 광감작제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PpIX 복합체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다. 세포 독성 실험은 배양된 세포(흑생종, B16F10, 1×104)를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하루동안 배양한 후, PpIX, 키토산, 키토산-PpIX의 농도를 달리하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12시간 후에 배양액으로 세척한 후, MTT용액을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SO를 넣어 용해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토산-PpIX 복합체의 농도가 1μg/ml 이하에서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키토산- PpIX 복합체의 레이저 조사에 의한 세포 독성 평가
본 발명의 키토산-PpIX 복합체를 PpIX 농도 기준 5μg/ml를 배양된 세포 (흑생종, B16F10, 2×105)에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 내에 흡수시키고 그 후 633nm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다. 레이저 총 조사시간을 2분, 6분, 12분 달리하여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6은 레이저 조사 시간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나 타낸 그래프로, 레이저 조사시간이 증가할수록 세포의 생존률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레이저를 12분 조사하였을 때 세포의 95% 정도가 죽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키토산- PpIX 복합체의 레이저 조사에 의한 암세포의 세포사멸 확인
본 발명의 키토산-PpIX 복합체를 PpIX 농도 기준 5μg/ml를 배양된 세포 (흑생종, B16F10, 2×105)에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 내에 흡수시키고 그 후 633nm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관찰하였다. 레이저 12분 조사한 후, 암세포를 12시간 배양한 후 암세포를 TUNEL 방법을 통하여 암세포 사멸을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7은 레이저 조사 후 암세포를 12시간 배양한 후 TUNEL 염색법을 통하여 세포사멸을 관찰한 결과,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경우는 암세포가 그대로 살아 있으나,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는 암 세포 사멸이 일어나 거의 대부분의 암 세포가 죽어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키토산- PpIX 복합체의 암 조직에의 표적성 평가
본 발명의 키토산-PpIX 복합체를 PpIX 농도 기준 30 mg/kg의 양을 약 6-7 mm 크기의 SCC7 고형암을 갖는 마우스의 꼬리에 정맥주사를 한 후, 시간에 따라 eXplore Optix를 이용하여 암 조직에 축적되는 정도를 형광의 세기로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 같은 고형암 마우스 모델에 PpIX를 30 mg/kg의 양으로 투여한 후 같은 시간에 암 조직에서의 형광을 비교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8에서 키토산-PpIX를 투여한 경우 시간에 따라 암 조직에서 형광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암 조직에 축적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pIX와 비교하였을 때, 현저하게 높은 양이 암 조직에 전달이 되는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키토산-PpIX 복합체는 기존의 광감작제보다 광역동치료 효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키토산- PpIX 복합체의 광역동치료 효능 평가
본 발명의 키토산-PpIX 복합체를 PpIX 농도 기준 30 mg/kg의 양을 약 6-7 mm 크기의 SCC7 고형암을 갖는 마우스의 꼬리에 정맥주사를 한 후, 24시간 뒤에, 633nm의 레이저를 암 조직에 12분 동안 조사를 한 후 암 조직에서 암세포의 괴사 및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정도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 PpIX 30 mg/kg를 꼬리 정맥주사를 한 후, 24시간 뒤에 레이저를 12분 조사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9는 키토산-PpIX를 투여한 마우스 꼬리에 레이저를 조사하였을 때, 암 조직에서 암세포의 괴사 및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반면 PpIX를 투여한 그룹은 암 세포의 괴사 및 세포사멸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토산-PpIX 복합체 나노입자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축적되어 레이저 조사에 의해 단일항산소를 생성하여 암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함을 확인함으로써, 우수한 광감작제로서 광역학 치료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새로운 광역학 치료용 본 발명의 키토산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의 화학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광산란장치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PpIX 복합체의 나노입자의 크기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도 2의 나노입자의 전자투과현미경 (TEM)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PpIX 복합체의 레이저 조사에 따른 단일항산소 생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PpIX 복합체의 흑색종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PpIX 복합체를 세포에 흡수시키고, 레이저 조사 시간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PpIX 복합체를 세포에 흡수시키고, 레이저 조사한 다음, 암세포를 12시간 배양한 후 TUNEL 염색법을 통하여 세포사멸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PpIX를 투여한 경우 시간에 따라 암 조직에서 형광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9는 키토산-PpIX를 투여한 마우스 꼬리에 레이저를 조사하였을 때, 암 조직에서 암세포의 괴사 및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4)

  1. 광역학 치료용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는 덱스트란 (dextran), 키토산 (chitosan), 글라이콜 키토산 (glycol chitosan), 폴리-L-라이신 (poly-L-lysine) 또는 폴리아스파르트산 (poly-aspartic acid); 또는
    합성 고분자인 폴리(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poly(N-2-(hydroxypropyl)methacrylamide), 폴리(디비닐 에테르-코-말레익 어하이드라이드) (poly(divinyl ehter-co-maleic anhydride)), 폴리(스틸렌-코-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또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poly(ethylene glycol))이고,
    상기 광감작제는 포피린류(phophyrins), 클로린류(chlorins), 박테리오클로린류(bacteriochlorins) 또는 포피센류(porphycenes)이고,
    상기 광역학 치료용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는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단일항산소 또는 자유라디컬 생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치료용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피린류, 클로린류, 박테리오클로린류 또는 포피센류 는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아민(amine), 또는 이소치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관능기를 갖는 것인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아민(amine), 또는 이소치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관능기를 갖는 것은 프로토포피린 9 (protoporphyrin IX), 보네린 (bonellin), 벤조포피린 (benzoporphyrin) 또는 모노아스파틸클로린 (mono-aspartyl chlorin e6)인 것인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수계에서 100 내지 300nm의 크기를 갖는 것인 생체 적합성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
KR1020080036214A 2007-04-23 2008-04-18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광역학치료제 KR10103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2283 WO2008130181A1 (en) 2007-04-23 2008-04-23 Novel photosensitizer based on polymer derivatives-photosensitizer conjugates for photodynamic therapy
EP08741523.8A EP2150278B1 (en) 2007-04-23 2008-04-23 Novel photosensitizer based on polymer derivatives-photosensitizer conjugates for photodynamic therapy
US12/595,103 US8614285B2 (en) 2007-04-23 2008-04-23 Photosensitizer based on polymer derivatives-photosensitizer conjugates for photodynamic thera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9522 2007-04-23
KR1020070039522 2007-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82A true KR20080095182A (ko) 2008-10-28
KR101035269B1 KR101035269B1 (ko) 2011-05-26

Family

ID=4015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214A KR101035269B1 (ko) 2007-04-23 2008-04-18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광역학치료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14285B2 (ko)
EP (1) EP2150278B1 (ko)
KR (1) KR101035269B1 (ko)
WO (1) WO2008130181A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914A (ko) * 2010-04-14 2011-10-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전달을 위한 pH-민감성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0150B1 (ko) * 2010-10-29 2013-04-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치료를 위한 고분자-광응답제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6059B1 (ko) * 2011-06-02 2013-07-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중원자 분산제를 함유한 광역학 치료용 수계 분산 나노 광감작제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용도
KR101502579B1 (ko) * 2012-10-31 2015-03-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수성 치환기를 갖는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US9222884B2 (en) 2012-09-05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drogen peroxide sensitive metal nano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hydrogen peroxid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WO2016036011A1 (ko) * 2014-09-02 2016-03-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감응성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를 이용한 스페로이드 형성용 배양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스페로이드 형성 방법
KR20160053083A (ko) * 2014-10-30 2016-05-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코어로 하는 수용성 포르피린집합체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3082A (ko) * 2014-10-30 2016-05-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활성을 가지는 수용성 클로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1637A (ko) 2015-09-11 2017-03-2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또는 지질, α-리포익산 및 광감작제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체
WO2017061673A1 (ko) * 2015-10-06 2017-04-13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라닌을 이용한 광열치료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90133475A (ko) * 2018-05-23 2019-12-0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감각제가 접합된 고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제, 바이러스 감염 또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KR102104943B1 (ko) * 2018-11-20 2020-04-2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당류 기반 광역학 치료용 고분자 접합체 및 이의 용도
KR20200053136A (ko) 2018-11-08 2020-05-18 국립암센터 후코이단 기반의 쎄라그노시스 조성물
KR20200064971A (ko) 2020-05-29 2020-06-08 국립암센터 후코이단 기반의 쎄라그노시스 조성물
KR102182630B1 (ko) 2019-12-19 2020-11-24 김진왕 친환경 스마트 광감작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줄기세포 치료제
CN113384709A (zh) * 2021-06-28 2021-09-14 西南大学 一种葡聚糖-原卟啉前药纳米胶束的制备和应用
KR20230163664A (ko) * 2022-05-24 2023-12-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테트라키스(4-카복시페닐)포피린 그라프트 키토산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7908A1 (en) * 2007-12-14 2009-06-25 University Of Lausanne Colloidal particle comprising multivalent cyclic anions
KR101118586B1 (ko) * 2009-04-15 2012-02-2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캡슐을 포함하는 광역학 치료용 조성물
CN104888217B (zh) * 2009-06-12 2018-10-16 鹿特丹伊拉斯谟大学医疗中心 用于癌症光动力学治疗的靶向纳米光药物
WO2010143942A1 (en) * 2009-06-12 2010-12-16 Erasmus University Medical Center Rotterdam Targeted nano-photomedicines for photodynamic therapy of cancer
KR101188979B1 (ko) 2010-03-08 2012-10-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광감작제의 결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40105A2 (en) * 2010-09-21 2012-03-29 Kansas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Renilla/gaussia transfected cells as a light source for in-situ photodynamic therapy of cancer
WO2012141801A1 (en) * 2011-02-24 2012-10-18 Purdue Research Foundation Nanomedicines for early nerve repair
GB201208548D0 (en) * 2012-05-15 2012-06-27 Pci Biotech As Compound and method
ES2469240B1 (es) 2012-11-14 2015-04-20 Universidad Autonoma De Madrid Uso de un agente fotosensible capaz de producir especies reactivas de oxígeno en la preparación de un medicamento útil para la terapia fotodinámica de una enfermedad relacionada con células madre, uso "in vitro" y composición farmacéutica.
CA2922320C (en) 2013-08-28 2022-11-22 Pci Biotech As Enhanced photochemical internalisation using a tlr ligand
KR101630251B1 (ko) * 2014-10-15 2016-06-17 대화제약 주식회사 가용화된 광감작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6159661A1 (ko) * 2015-03-31 2016-10-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감각제를 함유하는 세포,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668561B1 (ko) 2015-07-13 2016-10-2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녹색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 및 로즈 벵갈을 이용한 암 질환의 광역학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역학 치료방법
EP3210626A1 (en) 2016-02-26 2017-08-30 biolitec Unternehmensbeteiligungs II AG Conjugates of porphyrinoid photosensitizers and glycerol-based polymers for photodynamic therapy
KR101911725B1 (ko) 2017-01-16 2018-12-28 주식회사 코어파마 적색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 및 틴 에틸 에티오푸르푸린을 이용한 광역학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역학 치료방법
WO2019003155A1 (en) * 2017-06-27 2019-01-03 Vision Global Holdings Limited COMPOSITIONS FOR PHOTODYNAMIC THERAPY AND FLUORESCENCE DIAGNOSIS OF CANCERS AND OTHER DISEASES
CN108892743A (zh) * 2018-05-28 2018-11-27 南京工业大学 用于光动力抗菌的纳米光敏剂,其制备方法及应用
EP3626268A1 (en) 2018-09-24 2020-03-25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Polymer-particle light-cleavable carrier systems for photodynamic therapy
CN112587676B (zh) * 2020-11-26 2022-02-2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多功能阳离子柔性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440612B (zh) * 2021-06-21 2022-10-14 东北师范大学 一种光动力增强型聚合物纳米凝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6041712B (zh) * 2022-11-02 2024-05-03 四川大学 原卟啉修饰纤维素接枝聚乳酸及其肿瘤靶向立构复合载药纳米胶束和它们的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423A (en) * 1990-03-22 1991-10-01 Quadra Logic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for photodynamic therapy
US6107326A (en) * 1999-04-12 2000-08-22 Cytopharm, Inc. Porphycenes for treatment of microbial populations
EP1253150B1 (en) * 2000-01-26 2005-03-30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Polymeric micellar structure
KR20060092254A (ko) 2003-09-23 2006-08-22 라이트 사이언시즈 코포레이션 표적화된 pdt 제제의 선택성을 증진시키는 표적 결합에의해 활성화된 일중항 산소 감광제
US20090209508A1 (en) * 2005-05-16 2009-08-20 Universite De Geneve Compounds for Photochemotherapy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914A (ko) * 2010-04-14 2011-10-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전달을 위한 pH-민감성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0150B1 (ko) * 2010-10-29 2013-04-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치료를 위한 고분자-광응답제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6059B1 (ko) * 2011-06-02 2013-07-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중원자 분산제를 함유한 광역학 치료용 수계 분산 나노 광감작제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용도
US9222884B2 (en) 2012-09-05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drogen peroxide sensitive metal nano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hydrogen peroxid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502579B1 (ko) * 2012-10-31 2015-03-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수성 치환기를 갖는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US10329527B2 (en) 2014-09-02 2019-06-25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ta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Spheroid forming culture container using temperature-sensitive glycol chitosan derivative, and spheroid forming method using same
WO2016036011A1 (ko) * 2014-09-02 2016-03-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감응성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를 이용한 스페로이드 형성용 배양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스페로이드 형성 방법
KR20160053083A (ko) * 2014-10-30 2016-05-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코어로 하는 수용성 포르피린집합체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3082A (ko) * 2014-10-30 2016-05-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활성을 가지는 수용성 클로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1637A (ko) 2015-09-11 2017-03-2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또는 지질, α-리포익산 및 광감작제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체
WO2017061673A1 (ko) * 2015-10-06 2017-04-13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라닌을 이용한 광열치료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90133475A (ko) * 2018-05-23 2019-12-0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감각제가 접합된 고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제, 바이러스 감염 또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KR20200053136A (ko) 2018-11-08 2020-05-18 국립암센터 후코이단 기반의 쎄라그노시스 조성물
KR102104943B1 (ko) * 2018-11-20 2020-04-2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당류 기반 광역학 치료용 고분자 접합체 및 이의 용도
KR102182630B1 (ko) 2019-12-19 2020-11-24 김진왕 친환경 스마트 광감작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줄기세포 치료제
KR20200064971A (ko) 2020-05-29 2020-06-08 국립암센터 후코이단 기반의 쎄라그노시스 조성물
CN113384709A (zh) * 2021-06-28 2021-09-14 西南大学 一种葡聚糖-原卟啉前药纳米胶束的制备和应用
CN113384709B (zh) * 2021-06-28 2022-03-11 西南大学 一种葡聚糖-原卟啉前药纳米胶束的制备和应用
KR20230163664A (ko) * 2022-05-24 2023-12-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테트라키스(4-카복시페닐)포피린 그라프트 키토산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269B1 (ko) 2011-05-26
EP2150278A4 (en) 2014-08-27
EP2150278B1 (en) 2019-06-12
EP2150278A1 (en) 2010-02-10
WO2008130181A1 (en) 2008-10-30
US8614285B2 (en) 2013-12-24
US20100222538A1 (en)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269B1 (ko)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광역학치료제
US11235000B2 (en) Calcium peroxides nanoparticles as adjuvant therapy
Chatterjee et al. Nanoparticles in photodynamic therapy: an emerging paradigm
Lee et al. Tumor-homing photosensitizer-conjugated glycol chitosan nanoparticles for synchronous photodynamic imaging and therapy based on cellular on/off system
Wei et al. Combined photodynamic and photothermal therapy using cross-linked polyphosphazene nanospheres decorated with gold nanoparticles
US20040068207A1 (en) Active oxygen generator containing photosensitizer for ultrasonic therapy
Itoo et al. Nanotherapeutic intervention in photodynamic therapy for cancer
Pantiushenko et al. Development of bacteriochlorophyll a-based near-infrared photosensitizers conjugated to gold nanoparticles for photodynamic therapy of cancer
KR101419254B1 (ko) 효소 반응성 그라핀 옥사이드/생체 고분자-광감각제 나노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영상 진단 또는 광역학/광열 치료용 조성물
KR20140027096A (ko)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결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8979B1 (ko)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광감작제의 결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Guo et al. Near-infrared photodynamic and photothermal co-therapy based on organic small molecular dyes
Battogtokh et al. Glycol chitosan-coated near-infrared photosensitizer-encapsulated gold nanocages for glioblastoma phototherapy
CN111249461A (zh) 藻蓝蛋白-二氢卟酚e6共价纳米颗粒的制备及其应用
Haimov-Talmoud et al. Magnetic targeting of mTHPC to improve the selectivity and efficiency of photodynamic therapy
Zhang et al. A multi-functional nanoplatform for tumor synergistic phototherapy
Hou et al. Facile synthesis and in vivo bioimaging applications of porphyrin derivative-encapsulated polymer nanoparticles
KR101928161B1 (ko) 금 나노클러스터 함유 양친성 고분자 나노조립체 기반 광열 및 광역학 치료용 약물 전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115763B (zh) 一种近红外光激活的多功能脂质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Gooneh-Farahani et al. A critical comparison study on the pH-sensitive nanocomposites based on graphene-grafted chitosan for cancer theragnosis
Wang et al. Progress of porphyrin-based nanoassemblies for cancer theranostics
Li et al. Polyelectrolyte nanocomplex formation of heparin-photosensitizer conjugate with polymeric scavenger for photodynamic therapy
Gupta et al. Effect of complexing with silica nanoparticles on the phototoxicty of some photosensitisers
Marko et al. Multifunctional Agents for Cancer-Imaging and Photodynamic Therapy: Impact of Polyacrylamide-Based Nanoplatforms
US20210236840A1 (en) Combined sonodynamic and photodynamic therapy to treat deep seated cancer and other hyperpoliferative disease and ultrasound and light triggered release of near infrared photosensitizers and chemotherapy agents from polyacrlamide based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