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251B1 - 가용화된 광감작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용화된 광감작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251B1
KR101630251B1 KR1020140138925A KR20140138925A KR101630251B1 KR 101630251 B1 KR101630251 B1 KR 101630251B1 KR 1020140138925 A KR1020140138925 A KR 1020140138925A KR 20140138925 A KR20140138925 A KR 20140138925A KR 101630251 B1 KR101630251 B1 KR 101630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maleimide
peg
composition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217A (ko
Inventor
이인현
이슬애
박영택
조영우
이한구
Original Assignee
대화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화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화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8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2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having four such rings, e.g. porphine derivatives, bilirubin, biliver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10Organic compounds
    • A61K49/1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용화를 기반으로 진단 및 치료용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감작제,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은 친수성을 가져 용해도가 뛰어나며, 빠른 대사속도를 가지면서 정상세포에 대한 비특이적인 축적이 감소되고 특이적으로 암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암의 진단 및 치료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용화된 광감작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solubilized photosensitizer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본 발명은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감작제,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지난 20여 년간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인이 평균수명(81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4%로 남자(77세)는 5명중 2명(37.6%), 여자(84세)는 3명중 1명(33.3%)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국내 암 발생률은 국가 암 등록 통계가 공식적으로 생산된 1999년부터 10년 동안에 꾸준히 남성 매년 1.5%, 여성 매년 5.3% 가량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암의 조기 진단의 중요성도 더욱 증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급속한 서구화의 식습관 도입으로 위장관내의 암의 발생이 증가 되고 있으며 이를 조기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감각제(photosensitizer)는 빛과 산소를 접하면 특정작용을 하는 물질로 의학치료에서는 인체에 투입한 후 레이저 광선을 쏘면 체내 산소와 결합하여 세포파괴물질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광감각제는 주로는 악성 종양이 의심되는 사람에게 암의 진단 및 치료의 목적으로 인체에 투여되는 의약품으로 광선역학요법(Photodynamic therapy, PDT)에 사용 되며, 또한 암 치료에 활용되며 피부질명 또는 관절염 등에 이용되기도 한다. 광감작제는 암을 추적하여 암조직에 고농도로 축적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부위에 특정 파장의 레이저 광선을 쏘이게 되면 강한 형광을 나타내고 암 조직을 선택적으로 괴사시키기도 한다.
광감작제는 헤마토포르피린(hematophorphophyrin)유도체(HpD)를 근간으로 하는 photofrin과 Photogem이 인가되어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HpD류의 광감작제는 주로 종양의 혈관손상을 야기하여 혈형을 정지시킴으로써 간접적인 세포괴사를 일으킨다. 최근에는 이러한 광감작제의 형광물질을 이용한 암의 조기 진단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고가의 진단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한 카메라와 일체형으로 표적물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바이오 표적 물질과 형광물질을 접합한 진단시스템에 관한 많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HpD류를 비롯한 광감작제는 체내에서 배설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서 이것이 완전히 대사될 때까지 장시간 빛을 보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감작제가 구조적인 특성상 소수성을 가지고 있어서 표적물질과의 접합 이후에도 소수성을 유지하여 실제 생체 내 적용 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친수성을 증가시킨 감작제의 경우에는 정상세포에 대한 비특이적인 축적이 감소되고 체내에서 보다 빠르게 배출되어 체내 지속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치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이 종양조직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용량을 높여서 투여 하여야 하며 암세포내 침투가 어려워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암조직에 특이성을 높이면서도 친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형광진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제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0-0020279호
본 발명자들은 친수성 가용화를 기반으로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며, 상세하게는 형광 진단물질이 친수성을 가지도록 하여 빠른 대사속도를 가지면서 특이적으로 암에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암의 진단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더 나아가서는 암 치료도 가능한 신규한 광감작제를 포함한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광감작제를 포함하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감작제,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작제는 테트라피롤(tetrapyrrole) 유도체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진단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추가로 표적 특이적 펩타이드 또는 항체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감작제는 펩타이드 또는 항체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화학적 결합기(-SH, -OH, -COOH, NH2)가 수식된 테트라피롤유도체-고분자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lene glycol, PEG)이다.
상기 펩타이드가 결합되는 감작제는 pheophorbide A-PEG-Maleimide, chlorin e6-PEG-Maleimide 또는 phthalocyanine-PEG-Maleimide 이다.
상기 진단 조성물은 감작제가 1 내지 20 중량부,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가 10 내지 60 중량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29 내지 50 중량부, 유화제가 10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는 모노올레인이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라브라펙 WL 1394이며, 유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80 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며, 1)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2) 상기 교반된 혼합용액에 감작제를 첨가하여 초음파 분쇄기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 단계 1)에서 혼합 온도는 30 내지 40 ℃의 온도가 바람직하며, 단계 2)에서 초음파 분쇄기로 1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은 친수성을 가져 용해도가 뛰어나며, 빠른 대사속도를 가지면서 정상세포에 대한 비특이적인 축적이 감소되고 특이적으로 암에 결합하여 결과적으로 암의 진단 및 치료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로서 (a), (c) 및 (e)는 비교예 1 내지 3의 각 조성물이며; (b), (d) 및 (f)는 실시예 1 내지 3의 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감작제,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광작제로 사용되는 광민감성 물질로는 유리 염기(free base) 또는 금속 착물(metal complex) 형태의 포르피린 기반(porphyrin-based) 화합물과 비포르피린(nonporphyrin)계 화합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상기 광민감성 물질 화합물은 포르피린 유도체들(porphyrin derivatives); 포르피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롤(pyrrole)이 피롤린(pyrroline)으로 환원된 환원 포르피린계(reduced porphyrins); 클로린(chlorin); 박테리오클로린(bacteriochlorin); 또는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나프탈로시아닌 (naphthalocyanine)과 같은 포르피린 유사체들(porphyrin analogues)등이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합성 방법에 의해서 곁가지 구조에 카르복실산 등의 관능기를 도입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물질을 제조 할 수 있다..
비포르피린계 화합물으로는 하이페리신(hypericin), 로다민(rhodamine), 로즈벵갈(rose Bengal), 프소랄렌(psoralen), 페노씨아지늄(phenothiazinium) 계열 염료 또는 메로시아닌(merocyanine)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Molecular Probe 사에서 시판되는 보디피(BODIPY) 계열의 형광 염료들: 예를들어 BODIPY FL; BODIPY TMR STP 에스테르; BODIPY TR-X STP 에스테르; BODIPY  630/650-X STP 에스테르;및 BODIPY 650/665-X STP 에스테르 등을 들수 있으며, Molecular Probes 사에서 시판되는 알렉사(Alexa) 계열의 형광염료들: 예를들어 Alexa Fluor 350 카르복시산; Alexa Fluor 430 카르복시산; Alexa Fluor  488 카르복시산; Alexa Fluor 532 카르복시산; Alexa Fluor 546 카르복시산; Alexa Fluor 555 카르복시산; Alexa Fluor 568 카르복시산; Alexa Fluor 594 카르복시산; Alexa Fluor 633 카르복시산; Alexa Fluor 647 카르복시산; Alexa Fluor 660 카르복시산;및 Alexa Fluor 680 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Amersham-Pharmacia Biotech사에서 시판되는 형광 염료의 예는 Cy3 NHS 에스테르; Cy 5 NHS 에스테르; Cy5.5 NHS 에스테르;및 Cy 7 NHS 에스테르 등 이며, VisEn Medical, Inc, (Woburn, MA)사에서 시판되는 형광 염료의 예는 VivoTag 680 및 VivoTag 75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작제는 바람직하게 테트라피롤(tetrapyrrole) 유도체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포르피린 유도체이다.
감작제는 진단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추가로 표적 특이적 리간드가 결합될 수 있다. 표적특이적 결합 리간드는 표적세포 예를 들어 종양 등에 특이적이며 적극적 표적(active targeting)을 가능하게 하는 리간드로 DNA, RNA, RNAi, 압타머, PNA, 항체, 엽산(folic acid), 펩타이드, 단백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이다.
표적 펩타이드는 질병의 조기 진단이 가능한 표적 특이성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암에 있어서는 αvβ3 integrin binding RGD 펩타이드, gastric cancer endothelium binding CGNSNPKSC 펩타이드,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targeting (VCAM-1) VHSPNKK 펩타이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9 targeting CTTHWGFTLC와 SGKGPRQITAL 펩타이드, urokinase plasminogen activator(uPA) binding SGRSA 펩타이드,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uPAR) homing FSRYLWS 펩타이드가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적 펩타이드는 감작제에 결합되어 감작제의 표적지향성을 높일 수 있으며 펩타이드의 결합을 위하여 다양한 링커로 수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가 결합된 형광물질에 말레이미드(maleimide)로 결합된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형광물질-고분자-말레이미인 형태를 가진다.
고분자는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모든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생체내에서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혈액내에서의 생체 분포도가 높아 충분한 시간 동안 암 조직에 계속적으로 축적될 수 있어야 하며, 그 가능한 예로는 덱스트란(dextran), 키토산(chitosan), 글라이콜 키토산(glycol chitosan), 폴리-L-라이신(poly-L-lysine), 폴리아스파르트산(poly-aspartic acid) 등의 생체 고분자와 폴리(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poly(N-2-(hydroxypropyl)methacrylamide), 폴리(디비닐 에테르-코-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poly(divinyl ehter-comaleic anhydride)), 폴리(스틸렌-코-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등의 합성 고분자를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적특이적 리간드 또는 펩타이드가 결합될 수 있는 감작제로 말레이미드(maleimide)가 수식된 테트라피롤유도체-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의 Pheophorbide A-PEG-Maleimide, 화학식 2의 Chlorin e6-PEG-Maleimide 또는 화학식 3의 Phthalocyanine-PEG-Maleimide 를 감작제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형광이의 세기가 강하고 생체내 구성성분과 간섭이 적어서 생체 영상화에 사용하기에 최적화된 형광 물질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lene glycol, PEG)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분자량은 2,000 내지 6,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9808971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4098089711-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4098089711-pat00003
본 발명의 진단 조성물은 감작제가 1 내지 20 중량부,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가 10 내지 60 중량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29 내지 50 중량부, 유화제가 10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화합물은 페세올, 모노올레인, 모노팔미톨레인, 모노미리스톨레인, 모노일레이딘, 모노루이신 및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름의 트리글리세라이드로부터 반합성된 모노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모노올레인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라브라팩 WL 1394, 캡택스 8000, 트리아세틴, 트리부티린, 트리카프로인, 트리카프릴린, 트리카프린 및 트리올레인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라브라팩 WL 1394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는 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luronic), 솔비탄 에스테르(Span),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Tween) 및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Brij)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이중에서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다.
이렇게 표적 진단 및 치료용 물질이 가용화된 제형은 가용화 되지 않았을 때는 발생할 수 있는 수용액 상에서 침전이 진단물질이 활성화 되어 암 표적 물질에 결합하여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단용 조성물은 암을 진단 및 치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암은 소화기, 비뇨기, 생식기, 호흡기, 순환기, 뇌 및 신경계의 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은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위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진단용 조성물은 경구, 정맥주사, 복강내주사, 근육내주사, 두개내주사, 종양내주사, 상피내주사, 피부관통전달, 식도투여, 복부투여, 동맥주사, 관절내주사의 선택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담체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주사액, 링거 주사액, 덱스트로오스 주사액, 덱스트로오스 및 염화나트륨 주사액, 및 락테이트 함유 링거 주사액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수성 운반체(vehicle); 에틸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수-혼화성 운반체; 및 옥수수 유, 면실 유, 땅콩 유, 참깨 유, 에틸 올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벤질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비-수성 운반체일 수 있다.
이러한 진단용 조성물은 종양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유효량은 케이스 별로 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또는 치료 또는 진단되어야 할 병태의 중증도가 고려될 수 있다. 일예로서, 고분자-광감각제 결합체는 광감각제의 당량 및 환자 체중을 기준으로 0.001 ㎍/㎏ 내지 10 ㎎/㎏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상기 결합체는 광감각제를 기준으로 0.1 ㎎/㎏ 내지 2 ㎎/㎏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형광 물질들과 표적 펩타이드를 화학적으로 접합하여 암진단을 위한 형광 진단 물질을 합성하여 HPLC를 이용하여 펩타이드 형광 접합물질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펩타이드 형광 접합물질의 제조는 제조 예 1, 2 및 3에 기술하였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Chlorin e6 - PEG149 - Maleimide 의 제조 (반응식 1 및 2)
Chlorin e6-PEG149-Maleimide는 중합체 PEG-Ce6 (반응식 1)의 제조를 거친 후 반응식 2와 같이 제조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14098089711-pat00004
반응식 1. 중합체 PEG-Ce6의 제조
상기 반응식 1과 같이 상온에서 NHS(N-Hydroxysuccinimide) 77 mg, DCC(N,N'-Dicyclohexylcarbodiimide) 139 mg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50 ml 용매에 녹인 후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149(SunBio, P2AM-6) 2 g를 Chlorin e6(분자량 596.68) 262 mg과 혼합하여 첨가한 후 24시간동안 반응하여 주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 클로린 접합체( PEG - Ce6 )의 분리ㆍ정제
상기 반응식 1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1대1 당량의 접합산물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하여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를 실시하였다. 먼저,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를 5mg/ml의 농도로 메탄올(methanol)에 녹인 후,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가 포함된 메탄올을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에 주입하고 물과 메탄올의 비율을 5대5의 비율에서 1대9의 비율로 다르게하며 1분 간격으로 수득물을 회수하였다.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를 거친 수득물은 이베퍼레이터(evaporator)를 이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였으며 동결건조를 통해 건조하였다.
[반응식 2]
Figure 112014098089711-pat00005
반응식 2. Chlorin e6-PEG149-Maleimide의 제조
반응식 1 및 정제공정에 의하여 분리된 중합체 PEG-Ce6 200 mg는 상기 반응식 2와 같이 상온에서 NHS(N-Hydroxysuccinimide) 10 mg, DCC(N,N'-Dicyclohexylcarbodiimide) 18 mg를 무수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0 ml 용매에 녹인 후 말레이미드(maleimide)(분자량 217.11) 14 mg를 추가로 혼합하여 24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이 반응물을 여과한 후에 디메틸설폭시드 및 반응에 사용된 촉매를 제거하기 위해 투석막 (Spectra/Por; mol. wt. cutoff size, 3,500)을 이용하여 3일 동안 1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투석한다. 투석 후 최종 반응물을 동결건조를 거쳐 Chlrorin e6-PEG149-Maleimide를 수득하였다.
< 제조예 2> Pheophorbide A( PheoA )- PEG149 - Maleimide 의 제조 (반응식 3 )
Pheophorbide A(PheoA)-PEG149-Maleimide는 중합체 PEG-PheoA 제조를 거친 후 반응식 3과 같이 제조된다.
[반응식 3]
Figure 112014098089711-pat00006
상온에서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NHS(N-Hydroxysuccinimide)) 77 mg, 디사이크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CC(N,N'-Dicyclohexylcarbodiimide)) 139 mg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50 ml 용매에 녹인 후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149(SunBio, P2AM-6) 2 g를 phephorbibe-A(분자량 592.68) 262 mg과 혼합하여 첨가한 후 24시간동안 반응하여 주었다. 반응후 제조된 중합체 PEG-PheoA는 상기 제조예 1의 반응식 2 및 정제공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말레이미드와 반응시켜 Pheophorbide A(PheoA)-PEG149-Maleimide를 수득하였다.
< 제조예 3> Phthalocyanine - PEG149 - Maleimide 의 제조 (반응식 4 )
Phthalocyanine-PEG149-Maleimide는 Phthalocyanine-PEG149 제조를 거친 후 반응식 4와 같이 제조된다.
[반응식 4]
Figure 112014098089711-pat00007

상기 제조예1의 반응식 1에서 Pheophorbide A 대신에 Phthalocyanine(PC)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동일한 반응으로 Phthalocyanine-PEG149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온에서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10 mg, 디사이크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18 mg를 무수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0 ml 용매에 녹인 후 말레이미드(maleimide)(분자량 217.11) 14 mg 를 추가로 혼합하여 24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물을 여과한 후에 디메틸설폭시드 및 반응에 사용된 촉매를 제거하기 위해 투석막 (Spectra/Por; mol. wt. cutoff size, 1,000)을 이용하여 3일 동안 1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투석한다. 투석 후 최종 반응물을 동결건조를 통해Phthalocyanine-PEG149-Maleimide를 수득하였다.
< 실시예 1> Chlorin e6 - PEG149 - Maleimide - peptide 를 포함한 진단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Chlorin e6-PEG149-Maleimide 화합물에 표적특이적 펩타이드인 N terminal-SSSPIQGSWTWENGK(Cys)WTWKGIIRLEQ -C terminal를 접합시켰다. 접합된 펩타이드 결합 화합물은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C18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lumn and Agilent 1100 series HPLC system (Agilent, Santa Clara, CA))
분리된 Chlorin e6-PEG149-Maleimide-펩타이드 36 mg을 모노올레인 1,000mg, 라브라펙 WL 1394 500mg, 폴리소프베이트 80 180mg을 25℃의 온도에서 1분동안 교반시켜 제조된 혼합 용액을 초음파 분쇄기로 2분간 교반한 후 진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Pheophorbide A( PheoA )- PEG149 - Maleimide - peptide 를 포함한 진단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Pheophorbide A(PheoA)-PEG149-Maleimide 화합물에 표적특이적 펩타이드인 N terminal-SSSPIQGSWTWENGK(Cys)WTWKGIIRLEQ -C terminal를 접합시켰다. 접합된 펩타이드 결합 화합물은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C18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lumn and Agilent 1100 series HPLC system (Agilent, Santa Clara, CA))
분리된 Pheophorbide A(PheoA)-PEG149-Maleimide-펩타이드 36 mg을 모노올레인 1,000mg, 라브라펙 WL 1394 500mg, 폴리소프베이트 80 180mg을 25℃의 온도에서 1분동안 교반시켜 제조된 혼합 용액을 초음파 분쇄기로 2분간 교반한 후 진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Phthalocyanine - PEG149 - Maleimide - peptide 를 포함한 진단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Phthalocyanine-PEG149-Maleimide 화합물에 표적특이적 펩타이드인 N terminal-SSSPIQGSWTWENGK(Cys)WTWKGIIRLEQ -C terminal를 접합시켰다. 접합된 펩타이드 결합 화합물은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C18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lumn and Agilent 1100 series HPLC system (Agilent, Santa Clara, CA))
분리된 Phthalocyanine-PEG149-Maleimide-펩타이드 36 mg을 모노올레인 1,000mg, 라브라펙 WL 1394 500mg, 폴리소프베이트 80 180mg을 25℃의 온도에서 1분동안 교반시켜 제조된 혼합 용액을 초음파 분쇄기로 2분간 교반한 후 진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각각의 Chlorin e6-PEG149-Maleimide-peptide, Pheophorbide A(PheoA)-PEG149-Maleimide-peptide 및 Phthalocyanine-PEG149-Maleimide-peptide 각 2mg을 생리식염수 1ml에 첨가한 후 각각 아래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제조된 Chlorin e6-PEG149-Maleimide-peptide 2mg을 생리식염수 1ml에 첨가한 후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실시예 2 에서 제조된 Pheophorbide A(PheoA)-PEG149-Maleimide-peptide 2mg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실시예 3 에서 제조된 Phthalocyanine-PEG149-Maleimide-peptide 2mg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1에서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은 식염수에 용해되지 않은 데 반해 실시예 1 내지 3은 용해화되어 친수성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3(제형)에서 제조된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3(생리식염수)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분광광도계(Agilent 8453 (Agilent, Santa Clara, CA))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고, 실시예(제형) 모두는 비교예(생리식염수)에 비하여 탁월하게 용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투과율(T%,730nm) 생리식염수 제형
Pheophorbide A-PEG-peptide 16.2±0.005 62.7±0.03
Ce6-PEG-peptide 49.3±0.009 62.8±0.02
Phtalocyanine-PEG-peptide 33.8±0.007 65.3±0.01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감작제로서 Pheophorbide A-PEG-Maleimide, Chlorin e6-PEG-Maleimide 또는 Phthalocyanine-PEG-Maleimide,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로서 모노올레인,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로서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로카프레이트(glycerol tricaprylocaprate), 및
    유화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암 진단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감작제 1 내지 20 중량부,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가 10 내지 60 중량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29 내지 50 중량부, 유화제가 10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암은 위암, 식도암, 췌장암, 폐암, 난소암, 대장암, 간암, 두경부암 및 담낭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경구로 투여되어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1)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로서 모노올레인,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로서 글리세롤 트리카프릴로카프레이트(glycerol tricaprylocaprate) 및 유화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2) 상기 교반된 혼합용액에 감작제로서 Pheophorbide A-PEG-Maleimide, Chlorin e6-PEG-Maleimide 또는 Phthalocyanine-PEG-Maleimide를 첨가하여 초음파 분쇄기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진단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혼합 온도는 30 내지 40 ℃의 온도인 것이며, 단계 2)에서 초음파 분쇄기로 1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초음파 분쇄기로 2 내지 5분 동안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40138925A 2014-10-15 2014-10-15 가용화된 광감작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30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925A KR101630251B1 (ko) 2014-10-15 2014-10-15 가용화된 광감작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925A KR101630251B1 (ko) 2014-10-15 2014-10-15 가용화된 광감작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217A KR20160044217A (ko) 2016-04-25
KR101630251B1 true KR101630251B1 (ko) 2016-06-17

Family

ID=5591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925A KR101630251B1 (ko) 2014-10-15 2014-10-15 가용화된 광감작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47A2 (ko) * 2014-09-25 2016-03-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테트라피라지노폴피라진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6478B1 (ko) 2017-08-21 2019-07-04 한국화학연구원 광결정 구조체 및 색변환 습도 센서
KR102045994B1 (ko) 2017-08-21 2019-11-18 한국화학연구원 광결정 구조체 및 무기산 검지 센서
KR102040934B1 (ko) 2018-06-28 2019-11-05 한국화학연구원 색변환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148874B1 (ko) 2018-09-11 2020-08-27 한국화학연구원 신경가스 검출용 센서, 이를 이용한 신경가스의 검출 방법 및 센서의 재활용 방법
KR20220120881A (ko) 2021-02-24 2022-08-31 한국화학연구원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34012A (ko) 2022-03-10 2023-09-20 한국화학연구원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5974A1 (en) 2002-07-04 2006-05-18 Norbert Lange Conjugates of photosensitizers and oligonucleotides for selective photochemiotherapy
KR101035269B1 (ko) 2007-04-23 2011-05-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광역학치료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279A (ko) 2008-08-12 2010-02-22 전영준 병마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5974A1 (en) 2002-07-04 2006-05-18 Norbert Lange Conjugates of photosensitizers and oligonucleotides for selective photochemiotherapy
KR101035269B1 (ko) 2007-04-23 2011-05-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 유도체-광감작제 복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광역학치료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2014, 471(1), 339-34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217A (ko)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51B1 (ko) 가용화된 광감작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U2018283383B2 (en) Conjugates of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JP6585504B2 (ja) ポルフィリン修飾されたテロデンドリマー
Yang et al. Tumor microenvironment (TME)-activatable circular aptamer-PEG as an effective hierarchical-targeting molecular medicine for photodynamic therapy
Perumal et al. Near infra-red polymeric nanoparticle based optical imaging in Cancer diagnosis
US8562944B2 (en) PAA nanoparticles for enhancement of tumor imaging
Oh et al. Electrostatic charge conversion processes in engineered tumor-identifying polypeptides for targeted chemotherapy
CN101687040A (zh) 整合光活性的小分子及其用途
Thapa et al. Folate-PEG conjugates of a far-red light-activatable paclitaxel prodrug to improve selectivity toward folate receptor-positive cancer cells
KR101452819B1 (ko) 환원제 반응형 이황화물 연결자 함유 고분자-광감각제 결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영상 진단 및 광역학 치료용 조성물
Battogtokh et al. Graphene oxide-incorporated pH-responsive folate-albumin-photosensitizer nanocomplex as image-guided dual therapeutics
Battogtokh et al. Active-targeted pH-responsive albumin–photosensitizer conjugate nanoparticles as theranostic agents
US20110104051A1 (en) Chemically Modified Viral Capsids as Targeted Delivery Vectors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Agents
Li et al. Self-assembled NIR-II fluorophores with ultralong blood circulation for cancer imaging and image-guided surgery
CN110856750B (zh) pH敏感缀合物、胶束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791399B1 (ko) 진단 약제를 포함하는 구강 붕해 필름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ang et al. One stone, many birds: Recent advances in functional nanogels for cancer nanotheranostics
Kobzev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theranostic Trastuzumab–SN38 conjugate for Near-IR fluorescence imaging and targeted therapy of HER2+ breast cancer
CN107337685B (zh) 叶酸靶向Pyro光敏的合成和应用
KR101903847B1 (ko) 암 치료용 나노 복합체
Jiang et al. Theranostic Nanoprobes with Aggregation‐Induced NIR‐II Emission: from Molecular Design to Biomedical Application
US8906343B2 (en) PAA nanoplatforms containing fluorophores and targeted moieties covalently linked and photosensitizer post-loaded
Vuilleumier Functionalization of second harmonic generation nanoparticles for theranostic applications
Govindaraju RSC Chemical Biology
CN110960686A (zh) 一种用于肿瘤靶向荧光成像和光动力治疗的酞菁类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