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840A - 차량용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840A
KR20080092840A KR1020080024214A KR20080024214A KR20080092840A KR 20080092840 A KR20080092840 A KR 20080092840A KR 1020080024214 A KR1020080024214 A KR 1020080024214A KR 20080024214 A KR20080024214 A KR 20080024214A KR 20080092840 A KR20080092840 A KR 20080092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bypass passage
vehic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987B1 (ko
Inventor
강복선
김용상
이용흥
박윤철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US12/080,122 priority Critical patent/US8235649B2/en
Priority to DE602008003605T priority patent/DE602008003605D1/de
Priority to EP08290331A priority patent/EP1980432B1/en
Priority to CN2008100924413A priority patent/CN101284490B/zh
Publication of KR2008009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2003/065Details for holding filter elements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롤케이스의 하부 흡입구로 내,외기를 보내기위해 상기 스크롤케이스와 외측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통로에 가이드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여 흡입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외측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하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된 인테이크 덕트 적용시 에어필터의 하부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풍장치, 스크롤케이스, 외측케이스, 가이드벽, 바이패스통로

Description

차량용 송풍장치{Blow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롤케이스의 하부 흡입구로 내,외기를 보내기위해 상기 스크롤케이스와 외측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통로에 가이드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여 흡입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외측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하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된 인테이크 덕트 적용시 에어필터의 하부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1)는 차량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입구(43)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43)와 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44)가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 스(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23)는 목적에 따라 플렛(flat)형, 공기의 압력을 적게 받는 돔(Dome)형, 원통형, 반구형 등 여러가지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단방향 흡입형 송풍팬이 적용된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공조케이스(40)에 연결되는 토출구(35)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스크롤 케이스(30)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30)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외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내,외기유입구(21)(22)가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23)가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2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와 스크롤 케이스(30) 간의 공기의 흡입통로를 제공하는 흡입구(37)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31)과; 상기 송풍팬(31)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31)과 연결되는 모터(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의 도면부호 38은 인테이크 덕트(20)로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필터(38)를 나타내며, 이 에어필터(38)는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23)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 및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31)은 단방향 흡입형 구조로써, 그 회전에 따라 축방향의 한 쪽 즉, 상기 흡입구(37)쪽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송풍팬(31)은, 상기 모터(39)의 축에 연결되는 허브 플레 이트(32)와, 상기 허브 플레이트(3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33)와,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3)들의 상단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링(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허브 플레이트(32)는, 통상적으로 블레이드(33)들이 이루는 공간의 내부(즉, 상부)쪽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모터(39)의 일부가 상기 공간의 내부에 삽입된 채 허브 플레이트(3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9)의 구동에 의하여 송풍팬(31)을 회전시키면,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23)의 개도조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내기유입구(21) 또는 외기유입구(22)를 통하여,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흡입구(37)를 통해 송풍팬(31)의 축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허브 플레이트(32)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유동하여 송풍팬(31)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이 공기는 스크롤 케이스(30)의 측벽을 따라 유동하면서 풍압 및 풍량이 점증된 채 토출구(35)를 통해 공조케이스(40) 내부로 송풍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단방향 흡입형 송풍팬(31)이 적용된 송풍장치(10)에 있어서는, 송풍팬(3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허브 플레이트(31)의 경사면을 따라 토출되기 때문에, 상/하의 공기유동분포가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케이스(30)의 스크롤부(30a)와 토출구(35)가 만나는 부분(즉, 컷 오프(Cut-Off) 영역(36))에서의 공기유동구조를 살펴보면, 송풍팬(31)에서 반경방향으로 토출되어 토출구(35) 쪽으로 곧바로 유동하는 공기와, 송풍팬(31)에서 반경방향으로 토출되어 스크롤부(30a)의 측벽을 따라 토출구(35)쪽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컷 오프 영역(36)에서 충돌하여 서로 혼합되면서 난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공기유동분포가 고르지 못하고 난류가 발생하면, 풍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방향 흡입형 송풍팬(31)이 적용된 송풍장치(10)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풍량을 증대시키고, 소음을 저감하며, 또한 2층류 공기유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기를 양방향으로 흡입하여 토출시킬 수 있는 양방향 흡입형 송풍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양방향 흡입형 송풍장치의 일 예로써,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5-1001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송풍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면에 상,하부 흡입구(37a, 37b)가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30)와; 허브 플레이트(32)의 상,하부에 다수개의 블레이드(33a, 33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체화되어 상기 스크롤 케이스(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양방향 흡입형 송풍팬(31)과; 상기 스크롤 케이스(30)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롤 케이스(30)와의 사이에 상기 하부 흡입구(37b)쪽으로 공기를 보낼수 있도록 바이패스통로(51)를 형성하는 외측케이스(50)와; 상기 외측케이스(50)의 상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측에는 외기유입구(22) 및 다수의 내기유입구(2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21, 22)를 개폐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23)가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흡입구(37a, 37b)쪽으로 공기를 보내는 인테이크 덕트(20)와; 상기 양방향 흡입형 송풍팬(31)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부 흡입구(37b)를 통하여 상기 허브 플레이트(32)에 연결되는 모터(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외측케이스(50)의 하부에도 다수의 내기유입구(21) 및 이 내기유입구(21)를 개폐하는 도어(23a)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송풍장치에 따르면, 외기유입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모든 내기유입구(21)가 닫히고, 외기유입구(22)만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하부 흡입구(37a, 37b)쪽으로 외기가 분배되어 흡입된다. 또한, 내기유입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외기유입구(22)는 닫히고, 모든 내기유입구(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하부 흡입구(37a, 37b)쪽으로 내기가 분배되어 흡입된다. 또한, 내,외기 유입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외기유입구(22)가 일부 개방되고, 내기유입구(21)들중 일부의 내기유입구(21)가 선택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 흡입구(37a)쪽으로는 내,외기가 혼합되어 흡입되고, 하부 흡입구(37b)쪽으로는 내기가 흡입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송풍장치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의 내,외기유입구(21, 22)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통로(51)를 통해 상기 하부 흡입구(37b)쪽으로 흡입되는데, 이때 상기 바이패스통로(51)를 통해 하부 흡입구(37b)쪽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이 불균일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통로(51)에 의해 상기 외측케이스(50)가 상기 스크롤 케이스(30)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됨으로써 상기 외측케이스(50)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상기 외측케이스(50)와 인테이크 덕트(20)의 사이에 에어필터(38)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의 하단면에 상기 에어필터(38)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지지구조(도2의 38a)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필터 하부 지지구조(38a)는 좌,우로 파팅(Parting)되는 금형에서 사출성형되는 인테이크 덕트(20)에는 성형이 가능하지만 상,하로 파팅되는 금형에서 사출성형되는 인테이크 덕트에는 금형의 특성상 성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좌,우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되는 인테이크 덕트(20)가 파팅라인(Parting Line) 부분에서 실링면이 불균일하여 리크 및 소음이 발생할 소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에어필터 하부 지지구조(38a)의 성형이 가능한 좌,우 파팅 금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상,하 파팅 금형에서 인테이크 덕트를 사출성형할 경우에는 상기 에어필터 하부 지지구조(38a)를 성형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에어필터(38)의 하부가 처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롤케이스의 하부 흡입구로 내,외기를 보내기위해 상기 스크롤케이스와 외측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통로에 가이드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여 흡입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외측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하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된 인테이크 덕트 적용시 에어필터의 하부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측면에 상,하부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송풍팬과, 상기 스크롤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롤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하부 흡입구쪽으로 공기를 보낼수 있도록 바이패스통로를 형성하는 외측케이스와, 상기 외측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부측에는 내부에 설치된 내,외기 전환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내,외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상기 상,하부 흡입구로 보내는 인테이크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상에는 바이패스통로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 구획하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와 외측케이스를 연결하는 가이드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크롤케이스와 외측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통로에 가이드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여 흡입 소음이 저감되고 상기 외측케이스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벽에 필터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상,하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된 인테이크 덕트 적용시 에어필터의 하부를 지지하여 에어필터의 처짐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에서 인테이크 덕트를 생략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에서 가이드벽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100)는 스크롤 케이스(120)와, 양방향 흡입형 송풍팬(150)과, 외측케이스(130)와, 인테이크 덕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는 상기 양방향 흡입형 송풍팬(15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써, 상,하측면에 상,하부 흡입구(121a)(121b)가 관통 형성되고, 일측에는 공조케이스(40)에 연결되는 토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상기 양방향 흡입형 송풍팬(15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양방향 흡입형 송풍팬(150)은 모터(155)의 모터축(155a)과 연결/결합되는 허브 플레이트(151)의 상,하부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블레이드(152a)(15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블레이드(152a)(152b)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양방향 흡입형 송풍팬(150)은 상기 허브 플레이트(151)를 기준으로 그 상,하부 축방향에 있는 공기를 동시에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송풍팬(150)의 회전시, 상기 상,하부 흡입구(121a)(121b)를 통해 동시에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케이스(13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외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와의 사이에 상기 하부 흡입구(121b)쪽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바이패스 통로(131)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둘레 및 하측면과 상기 외측케이스(130)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상기 바이패스 통로(131)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케이스(130)의 하부에는 모터(155)가 설치되는데, 상기 모터(155)의 모터축(155a)이 상기 송풍팬(150)의 허브 플레이트(151)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15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는 상기 외측케이스(130)의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부측에는 내기유입구(111)와 외기유입구(112)가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111)(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11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5)는 돔형구조로써,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15a)과, 상기 회전축(115a)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외기유입구(111)(112)를 개폐하는 곡면 플레이트(115c)와, 상기 곡면 플레이트(115c)의 양단을 상기 회전축(115a)에 연결하는 측면판(115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돔형 내,외기 전환도어(115)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맞닿는 회전방향 양측 테두리부에 실링면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5)는 돔형 뿐만 아니라, 플렛형, 원통형, 반구형 등 다양한 형태의 도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케이스(130)와 인테이크 덕트(110)의 사이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111)(1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에어필터(16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송풍장치(100)는, 내기유입모드시,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5)가 내기유입구(111)를 개방하고 외기유입구(112)는 밀폐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150)의 작동으로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내기 중 일부는 상기 상부 흡입구(121a)를 통해 스크롤 케이스(120)의 내부로 흡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바이패스 통로(131)와 하부 흡입구(121b)를 통해 스크롤 케이스(120)의 내부 로 흡입된 후,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다.
또한, 외기유입모드시에는, 반대로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5)가 내기유입구(111)를 밀폐하고 외기유입구(112)는 개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150)의 작동으로 상기 외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외기 중 일부는 상기 상부 흡입구(121a)를 통해 스크롤 케이스(120)의 내부로 흡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바이패스 통로(131)와 하부 흡입구(121b)를 통해 스크롤 케이스(120)의 내부로 흡입된 후,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다.
상기한 송풍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상에는 바이패스통로(131)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 구획하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와 외측케이스(130)를 연결하는 가이드벽(14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벽(140)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벽(140)은 상기 송풍팬(150)에 구비된 블레이드(152a,152b)의 곡률 방향으로 연장선(L)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곡면으로 형성된 블레이드(152a,152b)와 동일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상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벽(140)은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분할된 각 영역간에는 공기유동이 차단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벽(140)은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상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바이패스통로(131)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 구획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통로(131)를 유동하는 공기가 편중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벽(140)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각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이 일정(균일)하게 되어 공기의 유동이 균일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분할된 각 영역을 통과하는 풍량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분할된 각 영역 중 공기유속이 빠른 곳은 공기유속이 느린 곳 보다 상대적으로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벽(14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공기유속이 빠른 곳은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의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하고 공기유속이 느린 곳은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의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분할된 각 영역을 통과하는 풍량을 거의 동일(균일)하게 유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외기유입구(111)(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31)를 통해 상기 하부 흡입구(121b)로 유동할 때, 상기 블레이드(152a,152b)와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벽(140)이 상기 바이패스통로(13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유도 및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이 균일하게 되어 흡입소음이 저감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벽(140)은 상기 바이패스통로(131)로 인해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케이스(130)를 지지하는 역할도 함께 하게 됨으로써, 상기 외측케이스(130)의 변형도 방지하고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도 9는 상기한 가이드벽(14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9의 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벽(140)을 곡면으로 형성한 것이고, b는 상기 가이드벽(140)을 평면으로 형성한 것이며, c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공기유동방향을 따라 형상을 상이하게 형성한 것이다.
물론, 도 9는 상기 가이드벽(140)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더욱 다양한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한편, 도 9의 c와 같이, 상기 가이드벽(140)이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공기유동방향을 따라 비틀어진 형태로 상,하부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면, 상기 바이패스통로(31)의 분할된 각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벽(140)의 상측면에는 상기 외측케이스(13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사이에 수납되는 에어필터(160)의 하부를 지지하여 에어필터(16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터지지부(141)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경우, 좌,우로 파팅(Parting)되는 금형 또는 상,하로 파팅되는 금형에서 사출성형 되는데, 이때 좌,우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되는 인테이크 덕트의 경우 금형의 파팅라인 부분에서 실링면이 불균일함으로 인해 돔형 내,외기 전환도어(115)의 작동시 리크 및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하로 파팅되는 금형에서 사출성형되는 인테이크 덕트(110)의 경우, 좌,우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되는 인테이크 덕트의 단점인 실링성 문제는 해결할 수 있는 반면, 상,하로 파팅되는 금형의 특성상 상기 에어필터(16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하단면에 성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좌,우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되는 인테이크 덕트의 경우 상기 에어 필터(16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인테이크 덕트의 하단면에 수평으로 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하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되는 인테이크 덕트(110)의 특성상 성형이 불가능한 에어필터 하부 지지구조 역할을 상기 가이드벽(140)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된 필터지지부(141)가 하도록 함으로써, 실링성 향상을 위해 상,하 파팅 금형에서 사출성형된 인테이크 덕트(110)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필터지지부(141)가 에어필터(160)의 하부를 지지하여 에어필터(16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의 C-C선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상측면에 상기 에어필터(160)의 하부를 추가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 필터지지부(145)를 돌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필터지지부(141)가 상기 에어필터(160)의 하부 가장자리쪽을 지지하고, 상기 보조 필터지지부(145)는 상기 에어필터(160)의 하부 중앙쪽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에어필터(16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모터(155)를 구동하고, 내,외기 전환도어(115)의 작동에 의해 공기흡입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양방향 흡입형 송풍팬(150)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내기유입구(111) 또는 외기유입구(112)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가 인 테이크 덕트(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상부 흡입구(121a)를 통해 상부 블레이드(152a)의 내부로 유동하고, 흡입된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1) 및 하부 흡입구(121b)를 통해 하부 블레이드(152b)의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유동과정에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31)를 통해 상기 하부 흡입구(121b)로 유동할 때,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벽(140)에 의해 유도 및 가이드 되면서 공기의 유동이 균일하게 되어 소음이 저감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단방향 흡입형 송풍팬이 적용된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스크롤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양방향 흡입형 송풍팬이 적용된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에서 인테이크 덕트를 생략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도 5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5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에서 가이드벽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송풍장치 110: 인테이크 덕트
111: 내기유입구 112: 외기유입구
115: 내,외기 전환도어 120: 스크롤 케이스
121a: 상부 흡입구 121b: 하부 흡입구
122: 토출구 130: 외측 케이스
131: 바이패스 통로 140: 가이드벽
141: 필터지지부 145: 보조 필터지지부
150: 송풍팬
151: 허브플레이트 152a,152b: 블레이드
155: 모터 160: 에어필터

Claims (11)

  1. 상,하측면에 상,하부 흡입구(121a)(121b)가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구(122)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120)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다수개의 블레이드(152a)(152b)가 형성된 송풍팬(150)과,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와의 사이에 상기 하부 흡입구(121b)쪽으로 공기를 보낼수 있도록 바이패스통로(131)를 형성하는 외측케이스(130)와, 상기 외측케이스(130)의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부측에는 내부에 설치된 내,외기 전환도어(115)에 의해 개폐되는 내,외기 유입구(111)(112)가 형성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상기 상,하부 흡입구(121a)(121b)로 보내는 인테이크 덕트(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상에는 바이패스통로(131)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 구획하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와 외측케이스(130)를 연결하는 가이드벽(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140)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140)은 상기 송풍팬(150)의 블레이드(152a)(152b)의 곡률 방향으로 연장선(L)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140)은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140)은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공기유동방향을 따라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분할된 각 영역간에는 공기유동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분할된 각 영역을 통과하는 풍량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통로(131)의 분할된 각 영역 중 공기유속이 빠른 곳은 공기유속이 느린 곳 보다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벽(140)의 상측면에는 상기 외측케이스(130)와 인테이크 덕트(110)의 사이에 수납되는 에어필터(16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지지부(14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는 상,하로 파팅되는 금형으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상측면에는 상기 에어필터(16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 필터지지부(14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5)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15a)과, 상기 회전축(115a)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곡면 플레이트(115c)와, 상기 곡면 플레이트(115c)의 양단을 상기 회전축(115a)에 연결하는 측면판(115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 와 맞닿는 회전방향 양측 테두리부에 실링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KR1020080024214A 2007-04-12 2008-03-17 차량용 송풍장치 KR101461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80,122 US8235649B2 (en) 2007-04-12 2008-04-01 Blower for vehicles
DE602008003605T DE602008003605D1 (de) 2007-04-12 2008-04-04 Gebläse für Fahrzeuge
EP08290331A EP1980432B1 (en) 2007-04-12 2008-04-04 Blower for vehicles
CN2008100924413A CN101284490B (zh) 2007-04-12 2008-04-11 车用鼓风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6142 2007-04-12
KR1020070036142 2007-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840A true KR20080092840A (ko) 2008-10-16
KR101461987B1 KR101461987B1 (ko) 2014-11-18

Family

ID=4005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214A KR101461987B1 (ko) 2007-04-12 2008-03-17 차량용 송풍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61987B1 (ko)
CN (1) CN101284490B (ko)
DE (1) DE602008003605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8879A (zh) * 2011-07-01 2013-01-02 威斯通全球技术公司 鼓风机吸气装置
KR101510125B1 (ko) * 2012-06-04 2015-04-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7815B2 (ja) 2015-12-08 2020-05-2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US20180170146A1 (en) * 2016-12-16 2018-06-21 Air International (Us) Inc. Hvac system
US10663210B1 (en) 2019-06-26 2020-05-26 Lineage Logistics, LLC Blast cell cooling with guided airflow
US11940198B2 (en) 2021-12-01 2024-03-26 Lineage Logistics, LLC Automated blast cell loading and unloading
CN115333285B (zh) * 2022-10-13 2022-12-30 四川富生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散热的车用鼓风机电机端盖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913A (ja) * 1998-02-20 1999-08-31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インテークユニット
KR200359920Y1 (ko) * 2004-06-09 2004-08-21 한라공조주식회사 송풍유니트
JP2006175930A (ja) * 2004-12-21 2006-07-06 Denso Corp 空調装置
KR101165951B1 (ko) * 2005-06-17 2012-07-1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8879A (zh) * 2011-07-01 2013-01-02 威斯通全球技术公司 鼓风机吸气装置
KR101510125B1 (ko) * 2012-06-04 2015-04-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84490A (zh) 2008-10-15
CN101284490B (zh) 2010-06-23
KR101461987B1 (ko) 2014-11-18
DE602008003605D1 (de)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0432B1 (en) Blower for vehicles
US6821088B2 (en) Centrifugal blower having noise-reduction structure
KR101461987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0457942B1 (ko) 차량공조장치
KR1012225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6786816B2 (en) Inside/outside air switching device for vehicular air conditioning unit
JP6727860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WO2018180980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101150935B1 (ko) 차량용 송풍장치
US7473078B2 (en) Centrifugal blower
JP7061842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8356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102365016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20190118730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14847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378527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에어 인테이크 덕트
KR20060118727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695646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180047148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086771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20060132447A (ko)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
WO2019155915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20140111387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160065231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