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596A -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596A
KR20080091596A KR1020070034626A KR20070034626A KR20080091596A KR 20080091596 A KR20080091596 A KR 20080091596A KR 1020070034626 A KR1020070034626 A KR 1020070034626A KR 20070034626 A KR20070034626 A KR 20070034626A KR 20080091596 A KR20080091596 A KR 20080091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lp
delivery
func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527B1 (ko
Inventor
문지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527B1/ko
Priority to US11/866,425 priority patent/US20080246889A1/en
Priority to EP08100249A priority patent/EP1981011A3/en
Priority to CN200810002030.0A priority patent/CN101287081B/zh
Publication of KR20080091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조작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버튼 조작 상태에 따라 제공할 도움말을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도움말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통해 사용자 조작부에 도움말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 또는 버튼에 의해 동작하는 모든 기기에서 기존의 디스플레이에서만 제공받던 도움말을 버튼 주위에 발광하는 LED나 촉각 전달 장치를 장착하거나 사용자 조작부에 청각적 메시지 전달 장치를 마련하여 효과적이고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help}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움말 제공 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제공 장치 및 사용자 입력 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제공 장치 및 사용자 입력 장치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별 전달 방식 결정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와 컨트롤러가 분리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와 컨트롤러가 합체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움말을 전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사용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움말 제공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움말 기능은 사용자(110)가 조작부(120)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의해 시스템 내 메뉴 정보(On Screen Display, 130)의 지정된 부분에 도달하게 되고, 사용자(110)가 특정 부분에 대한 도움말을 요청했을 때 그 부분에 대한 도움말 정보(140)가 존재하는 경우 디플레이부(150)를 통해 사용자(110)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 따르면 도움말의 기능이 단순히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적 전달에 머물러 있으며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도움말 요청이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기기의 기능을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도움말과 리모트 컨트롤러가 연동되는 기술이 검토되고는 있으나, 그 전달방법이 모호하거나 실효성이 떨어지는 조악한 상태에 불과하여 구체적인 적용 모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리모콘 또는 버튼에 의해 동작하는 기기에서 사용자에게 도움말을 효율적으로 전달 가능한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되었을 때 각 상황에 맞는 다양한 방식의 피드백을 병행하거나 개별적인 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도움말을 제 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장치 조작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 상태에 따라 제공할 도움말을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도움말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통해 사용자 조작부에 상기 도움말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공할 도움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 오류를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기능을 예측하여 하나 이상의 예측된 기능을 포함한 기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선택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공할 도움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움말 제공 방법은, 상기 장치의 각 기능에 대해 다양한 전달 방식 집합을 사용했을 때의 사용자의 대응 경과 시간 및 성공률에 따른 가중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움말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움말과 관계되는 기능에 대해 가중치가 가장 높은 전달 방식 집합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대응 경과 시간 및 성공률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각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다양한 전달 방식 집 합에 대한 가중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전달 방식의 집합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한 시각 전달 방식, 촉각 전달 방식 및 청각 전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시각 전달 방식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마련된 버튼 표시를 위한 발광체 및 경로 표시를 위한 발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촉각 전달 방식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마련된 진동 소자를 동작시켜 상기 도움말에 해당하는 버튼을 진동시키거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청각 전달방식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조작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 상태에 따라 제공할 도움말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도움말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도움말 결정부와, 사용자 조작부 내의 도움말 전달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통해 상기 도움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도움말 전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장치 조작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사용 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장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일부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각 전달부, 촉각 전달부 및 청각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움말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제공 장치(230) 및 사용자 입력 장치(220)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인 도움말 제공 장치(230)는 제품 내 메뉴 정보(OSD, 232)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31)와, 사용자(200)의 버튼 조작 상태에 따라 제공할 도움말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행동 패턴 DB(234)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도움말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도움말 결정부(233)와, 사용자 조작부인 입력 장치(220) 내의 도움말 전달부(222)가 상기에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통해서 도움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도움말 전달 제어부(235)를 포함한다.
사용자(200)는 입력 장치(220)를 통해 도움말 제공 장치(230)를 조작하며, 도움말 결정부(233)는 사용자(200)가 조작을 통해 소정의 도움말을 요청하거나 사용자(200)의 조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다가 도움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공할 도움말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움말 결정부(233)는 사용자(200)가 OSD(232) 내에서 불필요한 조작을 반복하는 경우 사용자(200)의 버튼 조작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200)가 실행하려는 기능을 예측하여 하나 이상의 예 측된 기능을 포함한 기능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31)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200)가 디스플레이된 기능 리스트에서 소정의 기능을 선택하면, 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로 결정한다.
또한, 도움말 결정부(233)는 장치(230)의 각 기능에 대해 다양한 전달 방식 집합을 사용했을 때의 사용자의 대응 경과 시간 및 성공률에 따른 가중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저장한 행동 패턴 데이터베이스(234)를 참조하여, 제공하려는 도움말과 관계되는 기능에 대해 가중치가 가장 높은 전달 방식 집합을 전달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전달 방식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각 전달 방식에 대한 가중치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컨트롤러인 사용자 입력 장치(220)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을 해석하여 도움말 제공 장치(230)로 전달하는 조작부 본체(221)와, 다양한 방식의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도움말 전달부(2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움말 제공 장치(230)는 사용자 입력 장치(220)와 물리적으로 합체된 구조일 수도 있고 분리된 구조일 수도 있다. 도움말은 사용자 입력 장치(22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이렇게 전달되는 정보에 추가적으로 또는 중복적으로 도움말 정보가 디스플레이부(23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움말 전달부(222)는 도움말 전달 제어부(235)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전달 방식에 의해 소정의 도움말을 사용자(200)에게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제공 장치(330) 및 사용자 입 력 장치(320)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움말 제공 장치(330)는 OSD(332) 및 도움말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31), 사용자 행동 패턴 데이터베이스(335)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도움말과 도움말을 전달할 방식을 결정하는 도움말 결정부(333), 도움말 결정부(333)에 의해 결정된 도움말과 전달 방식에 따라 입력 장치(320)가 도움말을 사용자(300)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도움말 전달 제어부(334)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장치(320)는 사용자(300)의 조작을 도움말 제공 장치(330)로 전달하여 OSD(332)의 탐색, 도움말 요청 신호(341)의 전달, 사용자 오류의 감지, 사용자 행동 패턴의 데이터베이스(335)에의 저장이 가능토록 하는 조작부 본체(321)와, 도움말 전달 제어부(334)의 제어하에, 시각적인 방식으로 도움말을 출력하는 시각 전달부(323), 촉각적인 방식으로 도움말을 출력하는 촉각 전달부(324) 및 청각적인 방식으로 도움말을 출력하는 촉각 전달부(3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움말 전달부(322)를 포함한다.
사용자(300)는 리모콘이나 버튼 등 사용자 입력 장치(320)를 조작함으로써 호스트 장치인 도움말 제공 장치(330)를 조작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실행 방법 즉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 조작 방법을 몰라 도움말을 요청하는 경우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는 사용자가 원하는 도움말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사용자가 OSD 내에서 버튼 조작 오류를 범하는 경우, 사용자 오류 감지부(342)가 사용자 조작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오류를 감지하고,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는 사용자 오류를 분석하여 일련의 도움말 정보를 도출한다. 또 한,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는 사용자 행동 패턴 데이터베이스(335)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도움말 형태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정된 방식에 따라 도움말을 디스플레이부(331)로 출력할 것인지 사용자 조작부 또는 사용자 입력 장치(3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것인지, 두 방법 모두를 통해 도움말을 제공할 것인지 여부와, 입력 장치(320)를 통해 전달하는 경우 시각 전달부(323), 촉각 전달부(324) 및 청각 전달부(325) 중 어느 구성요소를 통해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움말 정보 전송부(345)는 상기 결정에 따라 도움말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1) 및/또는 도움말 전달 제어부(334)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한다. 도움말 전달 제어부(334)는 시각 전달 방식, 촉각 전달 방식 및 청각 전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도움말을 입력 장치(3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입력 장치(320) 내 도움말 전달부(322)의 시각 전달부(323)는 복수의 버튼 중 사용자가 조작해야 할 일부 버튼을 나머지 버튼과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 자체나 주위에 단수 또는 복수의 색상과 형태를 지닌 발광체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버튼들 간의 경로 표시 등을 위해 버튼들 사이의 여백 공간에 선, 면, 도형, 레이블 및/또는 그에 상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하기 위한 발광체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튼 간의 여백을 이용하여 일련의 버튼들을 잇고 순서대로 따라가게 할 수 있는 특정 기능 학습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발광체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촉각 전달부(324)는 각 조작 버튼을 인지할 수 있거나 어떤 버튼을 눌러야 하는지 구별할 수 있도록 진동, 재질의 변화, 온도의 변화 등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 소자 등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촉각 전달 방식을 사용하면 직접 버튼을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촉각만으로 어떤 버튼을 눌러야 할지 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청각 전달부(325)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음향ㆍ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로, 스피터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각적 피드백 제공에 의해 사용자가 지금 누른 버튼에 대한 유효 여부를 바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움말 전달부(322)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와 디스플레이부(331)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는 서로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31)를 통해 시각적으로 사용 방법을 설명함과 동시에 시각 전달부(323)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해야 할 버튼들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전달 방식, 촉각 전달 방식 및 청각 전달 방식에 해당하는 여러 전달 방식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한 전달 방식 집합에 의해 도움말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많은 버튼 중에 사용자가 지금 눌러야 하는 버튼에 시각적인 표시가 되고 그 버튼을 찾아갈 수록 점점 세지는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움말 결정부(333)는 먼저 사용자의 버튼 조작 상태에 따 라 제공할 도움말을 결정한다(401). 사용자가 도움말이 필요한 순간을 사용자 오류 감지부(342)에서 감지하거나 사용자가 도움말을 요청하는 신호(341)를 보내면, 시스템(330)의 설계 정보와 사용자의 평소 행동 패턴이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에 전달된다.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에서는 현재 사용자가 제품을 조작하는 중에 처한 상황과 사용자의 평소 제품을 사용하는 패턴 정보에 따라 현재의 사용자 상태를 파악 또는 추정하고, 현재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 또는 자주 사용하는 정보로의 지름길, 혹은 자주 틀리는 부분에 대한 대안 등에 대한 정보를 내부의 연산에 의해 도출한다.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에서 도출된 도움말 정보는 도움말 정보 전송부(345)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31) 또는/및 도움말 전달 제어부(334)로 전송된다. 어디로 전송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 사용자의 숙련도, 사용자의 행동 패턴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평소 행동 패턴을 참조한 결과 제품의 사용에 미숙한 사용자인 경우는 디스플레이부(331)와 도움말 전달 제어부(334) 모두에 도움말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31) 뿐만 아니라 입력 장치(320)의 시각ㆍ촉각ㆍ청각 전달부(323 내지 325) 중 적어도 일부에 도움말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1)는 전달된 도움말을 OSD 상에서 출력한다.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는 입력 장치(320)의 어떤 기능을 통해 도움말을 제공할지 전달 방식을 결정한다(402).
도움말 전달 제어부(334)를 통해 도움말 정보 및 전달 방식을 전달받은 도움말 전달부(322)는 해당 방식에 따라 도움말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403). 도 움말 정보는 현재의 조작 상태와 OSD 내의 현재 상태에 따라 그에 맞는 정보로 실시간 업데이트된다. 요청한 도움말을 끝내는 신호가 들어오면 다시 원래의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별 전달 방식 결정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행동 패턴 데이터베이스(335)에 저장된 사용자 행동 패턴 정보(510)가 각 기능(540)에 대한 도움말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 행동 패턴 정보(510)는 사용자의 제품 이용 패턴을 축적한 것으로, 주로 축적되는 정보는 초기에 디폴트로 주어진 도움말 및 제품 내 메뉴 구조 조작시 사용자가 대응하는 경과 시간과 성공률, 그에 따른 가중치 정보이다. 각 기능에 대한 전달 방식의 결정 및 변경을 위해 가중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축적된 정보에 의해 각각의 전달 방식 및 전달 방식 집합에 대해 가중치가 계산되어 부여되며 필요시 변경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설정한 전달 방식에 대해서는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즉,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다.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는 축적된 데이터베이스(335)를 이용하여 각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비교적 틀리지 않고 빠르게 대응하는 전달 방식으로 도움말 전달 방식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이때 교체할 도움말 전달 방식을 선정하는 방법으로는, 이전 전달 방식이 사용자와 맞지 않아 더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경우, 현재 사용자가 이전 전달 방식보다 더 나은 방식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사용자의 숙련도가 변함에 따라 다른 전달 방식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새로운 전달 방식으 로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 또는 사용자 조작부(500)는 시각 전달부(501), 촉각 전달부(502) 및 청각 전달부(503)를 구비하고 있으며, 시각 전달부(501)는 전달 방식의 원형으로 LED(521) 및 Light(522) 등을 포함하고, 촉각 전달부(502)는 전달 방식의 원형으로 진동(523), 재질(524) 및 온도(525) 등을 포함하고, 청각 전달부(503)는 전달 방식의 원형으로 음향(526) 및 음성(527) 등을 포함한다. 각 전달 방식 원형(520)에 대해서 사용자의 기호 및 행동 패턴에 각 원형이 얼마나 부합하는지 계산하여 가중치가 축적된다.
이들 전달 방식 원형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된 전달 방식 집합들(530)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전달 방식 집합인 피드백 방법 1(531)은 LED(521)과 진동(523)을 통해 도움말을 전달하는 방법이고, 두번째 전달 방식 집합인 피드백 방법 2(532)는 LED(521)와 Light(522)를 통해 도움말을 전달하는 방법이다. 각 기능(540)에 대한 각 전달 방식 집합(530)에 대해서 가중치가 설정되고 관리되는데, 이는 각 전달 방식 원형(520)에 대한 가중치와 사용자의 기호 및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
전달 방식 집합들(530) 중 특정 기능에 대해 가장 가중치가 높은 피드백 항목이 해당 기능의 도움말 전달 방식 집합으로 지정된다. 예를 들어, 기능 1(541)에 대해서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은 피드백 방법 1(531)이며, 사용자가 기능 1(541)에 대한 도움말을 요청하거나 기능 1(541)에 대한 도움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LED(521)와 진동(523)을 병행하여 기능 1(541)의 조작 방법을 입 력 장치(500)를 통해 알려준다.
각 전달 방식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시나리오의 예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메뉴 구조를 사용하면서 연속적으로 누르는 버튼들 간의 입력 시간 간격이 짧은 경우, 이 사용자는 대응 경과 시간이 짧고 성공률이 높은 숙달된 사용자일 확률이 높으므로 연속적인 도움말 전달이 용이한 촉각 전달 방식이 유용하므로 촉각 전달 방식에 대한 가중치를 높인다. 반면, 사용자가 메뉴 구조를 사용하는데 연속적으로 누르는 버튼들 간의 입력 시간 간격이 긴 경우, 이 사용자는 대응 경과 시간이 길고 성공률이 낮은 초보 사용자일 확률이 높으므로 오랫동안 신체를 자극하는 촉각 전달 방식이나 단시간의 도움말 전달이 용이한 청각 전달 방식보다 많은 자극 없이 또박또박 알 수 있는 시각 전달 방식이 유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미 동작한 버튼을 반복적으로 누르는 경우, 이 사용자는 자신이 누른 버튼이 잘 입력되었는지 피드백을 받기를 원하는 사용자일 수 있으므로 청각 전달 방식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특정 기능에서 청각 전달 방식에 의한 도움말을 제공받는데 조작 실수가 잦은 경우, 이 사용자는 현재의 피드백이 유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다른 전달 방식을 제안할 수 있다. 이때 청각적 피드백이 확실치 않은 것이 문제라면 더욱 정확하게 도움말을 전달할 수 있는 시각 전달 방식을 추가로 제공한다.
사용자가 어떤 전달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아 굳이 설정 기능을 사용하여 전달 방식을 변경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전달 방식에 최고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사용자의 숙련도가 바뀐 경우, 예를 들어 이 사용자는 기존에 제공하지 않던 고급 피드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새로운 전달 방식을 제안할 수 있다. 새로운 전달 방식으로, 불필요하게 많은 방식으로 도움말을 제공했던 것을 줄이거나, 반대로 피드백의 정도를 더 높여 더 많은 수의 전달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등의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도움말을 전달받는 빈도가 높아 배터리의 소모가 심하거나, 여러 전달 방식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절전 기능을 요청하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절전 기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배터리 소모가 적은 전달 방식으로 변경하거나 가중치가 낮은 전달 방식을 제외한다. 예를 들어 온도의 변화나 진동을 이용하는 경우 배터리 소모가 많으므로 시각 전달 방식으로 변경한다. 전술한 전달 방식 결정에 대한 법칙은 제품의 특성이나 메뉴 기능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와 컨트롤러가 분리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호스트인 도움말 제공 장치(610)와 컨트롤러인 사용자 입력 장치(640)가 별도로 구성된다. 호스트에는 OSD 정보와 도움말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의 각 버튼(641) 주위에는 진동 소자(642) 및 버튼 표시를 위한 LED 발광체(643)가 구비되고, 각 버튼(641) 사이의 여백에는 경로 표시 LED 발광체(644)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음성 및 음향 등의 소리 전달용 스피커(654)가 장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와 컨트롤러가 합체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호스트와 컨트롤러 즉 도움말 제공 장치와 입력 장치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740)로 구성되며, 사용자 조작부의 각 버튼(741) 주위에는 진동 소자(742)와 버튼 표시 LED 발광체(743)가, 각 버튼(741) 사이의 여백에는 경로 표시 LED 발광체(744)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움말을 전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사용자가 "자동 채널 설정" 기능을 찾기 위해 메뉴를 검색하는데 어디 있는지 몰라 메뉴 구조를 탐색하고 있는 상황이며, 호스트(610)와 컨트롤러(64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OSD 메뉴(611)를 호출하였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뉴 트리 중 어느 한 부분(612)에서 반복적인 탐색을 하고 있으므로, 평소에 사용자가 자주 헤매는 부분임을 감지한 사용자 오류 감지부(342)는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로 신호를 보내고, 도움말 정보 분석 처리부(343)는 현재의 메뉴 위치와 사용자의 평소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기능을 예측하여 하나 이상의 예측된 기능을 포함한 기능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예측된 기능 리스트(613)가 화면상에 출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선택한 기능인 자동 채널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로 결정된다.
도 8d는 종래 기술에 따라 단순히 OSD 상에서 주의사항 문구(614)를 출력해 도움말을 제공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도 8e 내지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도움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움말의 전달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이나 행동 패턴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도움말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그 전달 방식 집합을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e를 참조하면, 화면상에 제공하는 문구(614)와 함께 해당 버튼들(641)에 시각적인 그림으로 표시하고 각 버튼 사이의 여백에 조작 경로(644)를 표시하는 동시에, 버튼들간의 방향성에 따라 진동을 움직이면서 촉각적으로 전달하고, 사용자가 버튼 조작을 잘하고 있는지 여부를 스피커(645)를 통해 음성으로 가이드하고 있다. 도 8f를 참조하면, 자동 채널을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자동 채널 설정을 위한 핫 키(642)를 발광하여 표시하고 해당 버튼의 온도를 변화시켜 사용자의 버튼 사용을 유도하고 있다. 핫 키(642)를 쉽게 찾기 위한 방법으로, 처음에는 리모컨의 발광을 보고 찾을 것이나, 촉각 정보의 수신을 설정해주면 버튼의 온도 변화로도 원하는 버튼을 찾을 수 있다. 도 8g를 참조하면, 자동 채널 설정 기능을 돕기 위해, 바로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버튼(643)을 동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버튼(643)을 진동시키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 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리모콘 또는 버튼에 의해 동작하는 모든 기기에서 기존의 디스플레이에서만 제공받던 도움말을 버튼 주위에 발광하는 LED나 촉각 전달 장치를 장착하거나 사용자 조작부에 청각적 메시지 전달 장치를 마련하여 효과적이고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쓰여질 버튼에 대해 시각적 표시를 구체화하거나 촉각 및 청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도움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장치 조작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 상태에 따라 제공할 도움말을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도움말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통해 사용자 조작부에 상기 도움말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할 도움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 오류를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기능을 예측하여 하나 이상의 예측된 기능을 포함한 기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선택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공할 도움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각 기능에 대해 다양한 전달 방식 집합을 사용했을 때의 사용자의 대응 경과 시간 및 성공률에 따른 가중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움말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움말과 관계되는 기능에 대해 가중치가 가장 높은 전달 방식 집합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대응 경과 시간 및 성공률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각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다양한 전달 방식 집합에 대한 가중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전달 방식의 집합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한 시각 전달 방식, 촉각 전달 방식 및 청각 전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전달 방식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마련된 버튼 표시를 위한 발광체 및 경로 표시를 위한 발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전달 방식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마련된 진동 소자를 동작시켜 상기 도움말에 해당하는 버튼을 진동시키거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전달방식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방법.
  10. 조작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 상태에 따라 제공할 도움말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도움말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도 움말 결정부와,
    사용자 조작부 내의 도움말 전달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을 통해 상기 도움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도움말 전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말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 오류를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기능을 예측하여 하나 이상의 예측된 기능을 포함한 기능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선택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공할 도움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각 기능에 대해 다양한 전달 방식 집합을 사용했을 때의 사용자의 대응 경과 시간 및 성공률에 따른 가중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저장한 행동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움말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도움말과 관계되는 기능에 대해 가중치가 가장 높은 전달 방식 집합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다양한 전달 방식 집합에 대한 가중치는, 상기 사용자의 대응 경과 시간 및 성공률의 변화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다양한 전달 방식 집합에 대한 가중치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전달 방식의 집합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달 방식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를 통한 시각 전달 방식, 촉각 전달 방식 및 청각 전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말 제공 장치.
  16. 장치 조작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장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일부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각 전달부, 촉각 전달부 및 청각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움말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일부를 나머지 버튼과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발광체 및 상기 일부 버튼 간의 경로 표시를 위한 발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일부를 진동시키거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기 위한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전달부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유도하거나 상기 버튼 조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2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움말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70034626A 2007-04-09 2007-04-09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8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626A KR101384527B1 (ko) 2007-04-09 2007-04-09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866,425 US20080246889A1 (en) 2007-04-09 2007-10-0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lp
EP08100249A EP1981011A3 (en) 2007-04-09 2008-01-0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lp
CN200810002030.0A CN101287081B (zh) 2007-04-09 2008-01-09 用于提供帮助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626A KR101384527B1 (ko) 2007-04-09 2007-04-09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596A true KR20080091596A (ko) 2008-10-14
KR101384527B1 KR101384527B1 (ko) 2014-04-11

Family

ID=3964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626A KR101384527B1 (ko) 2007-04-09 2007-04-09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46889A1 (ko)
EP (1) EP1981011A3 (ko)
KR (1) KR101384527B1 (ko)
CN (1) CN101287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5837B2 (ja) * 2008-12-24 2013-06-1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171076B2 (en) * 2009-05-18 2015-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lp information for links in a mashup page
EP2519003B1 (en) * 2009-12-25 2017-05-10 Panasonic Corporation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and program information voice output method in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US20140157161A1 (en) * 2012-11-30 2014-06-05 Lenovo (Singapore) Pte. Ltd. Variable opacity on-screen keyboard
CN110291779B (zh) 2017-02-14 2022-07-08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影装置及其控制方法和非易失性的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99816B (en) * 1998-11-30 2002-08-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
JP2000231429A (ja) * 1999-02-09 2000-08-22 Fuji Xerox Co Ltd ヘルプ情報提供装置
US6507306B1 (en) * 1999-10-18 2003-01-14 Contec Corporation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US6795011B1 (en) * 2000-10-31 2004-09-21 Agere Systems Inc. Remote control help feature
KR100359835B1 (ko) * 2000-12-20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osd 메뉴 항목의 도움말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US6694308B2 (en) * 2001-07-23 2004-0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user adaptive software interface
US7865829B1 (en) * 2003-12-31 2011-01-04 Intuit Inc. Providing software application help based on heuristics
US7173604B2 (en) * 2004-03-23 2007-02-06 Fujitsu Limited Gesture identification of controlled devices
US7346846B2 (en) * 2004-05-28 2008-03-18 Microsoft Corporation Strategies for providing just-in-time user assistance
US8341522B2 (en) * 2004-10-27 2012-12-2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nhanced contextual user assistance
US7427941B2 (en) * 2005-07-01 2008-09-23 Microsoft Corporation State-sensitive navigation aid
US20070283389A1 (en) * 2006-06-01 2007-12-0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helping operate a media-playing set
US20080050711A1 (en) * 2006-08-08 2008-02-28 Doswell Jayfus T Modulating Computer System Useful for Enhancing Learning
US20080226696A1 (en) * 2007-03-15 2008-09-18 Ben Treadwell Methods of improving learning abilities of aged companion anim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87081B (zh) 2013-03-13
EP1981011A3 (en) 2012-11-07
EP1981011A2 (en) 2008-10-15
KR101384527B1 (ko) 2014-04-11
CN101287081A (zh) 2008-10-15
US20080246889A1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527B1 (ko)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798012B (zh) 提供语音识别服务的便携式装置和方法
WO201618580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38762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a user and/or external apparatus by stationary state detection
US9886838B2 (en) Touchless management system
US20190291005A1 (en) Gaming device with independent gesture-sensitive areas
JPWO2005006806A1 (ja)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用通信システム
CN103279223A (zh) 一种反馈触控消息的方法、设备及系统
CN110060680B (zh) 电子设备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366820A (zh) 使用用户界面模板来控制远程设备
JP2006236176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180095552A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display screen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screen
US11977693B2 (en) Position indicator and input system
WO2017044915A1 (en) Touchless compliance system
WO2006018962A1 (ja) 状況通信装置、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状況通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及び状況通信プログラム
KR102340234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153483A1 (en) Ambidextrous operated mouse
JP5611021B2 (ja) 電子ペ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サーバ装置
EP2894550A1 (en) Media controller
KR102251372B1 (ko) 터치 입력을 이용한 청력도 입력 장치
JP2014049997A (ja) 機器連携プログラム、機器連携システム、機器連携方法、及び携帯端末
CN110162447B (zh) 学生平板的状态指示方法、装置、学生平板及存储介质
US11251662B2 (en) Charging board with adjustable charging position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CN106339268B (zh) 应用程序控制方法和智能终端
JP2016001282A (ja) カラオケシステム、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