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219A - 믹서기용 배출구조 - Google Patents

믹서기용 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219A
KR20080090219A KR1020070033476A KR20070033476A KR20080090219A KR 20080090219 A KR20080090219 A KR 20080090219A KR 1020070033476 A KR1020070033476 A KR 1020070033476A KR 20070033476 A KR20070033476 A KR 20070033476A KR 20080090219 A KR20080090219 A KR 2008009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le
opening
hand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1918B1 (ko
Inventor
정형교
Original Assignee
(주)현대가전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가전업 filed Critical (주)현대가전업
Priority to KR1020070033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9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수단이 본체에 내설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과일, 야채 등을 분쇄하기 위한 용기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제1배출공이 형성되어 기울어지게 결합돌기가 용기 일측에 형성되고, 내용물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의 일측에 기울어지게 배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용기와 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믹서기의 용기 일측에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출부가 결합되므로 과일, 야채 등을 분쇄한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의 각도를 40°에서 70° 중 어느 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과일, 야채 등 이외에도 다른 건과류, 건어물, 말린 야채 등을 분쇄하여도 배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배출관, 배출부, 일체형 믹서기, 개폐부재, 핸들,

Description

믹서기용 배출구조{The discharge Structure for Mix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믹서기용 배출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출부의 저부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를 확대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믹서기용 배출구조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2: 본체
110: 돌출부 111: 제1배출공
112: 단턱 113: 공간부
114: 누수방지링 200: 배출부
220: 배출관 221: 제2배출공
222: 고정돌기 222a: 고정홈
223: 돌출부 223b: 통공
224: 받침돌기 225: 가이드공
230: 개폐부재 231: 개폐공
232: 설치홈 233: 오링
234: 너트 235: 볼트공
236: 너트 237: 끼움홈
238: 단속돌기 240: 노즐너트
241: 구멍 250: 핸들
251: 핸들몸체 251a: 안착홈
251b: 걸림홀 252: 끼움돌기
253: 지지돌기 253a: 고정공
254: 볼트 255: 손잡이
260: 마개 261: 걸림돌기
262: 걸림턱
본 발명은 구동수단이 본체에 내설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과일, 야채 등을 분쇄하기 위한 용기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수단에 의해 분쇄되는 과일, 야채 등을 배출이 용이하도록 용기의 일측에 기울어지게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결합돌기에는 배출부가 설치되어 분쇄시에는 배출부를 폐쇄하며, 분쇄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배출구를 열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믹서기용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소형 전동기에 의한 가정용 믹서와 공업용 믹서가 있다.
가정용 믹서는 내용물을 넣는 용기와 구동수단이 설치된 본체로 구성되고, 구동수단은 특히 기동력이 크게 설계되어 있다.
용기는 경질(硬質) 내열유리로 되어 있으며, 용기 바닥에는 커터가 설치되고, 커터는 스테인리스강 날이 4∼6장 정도로 형성되며, 커터의 아랫부분은 구동수단의 모터축과 맞물리게 되어 있다.
구동수단은 매분 l만∼l만 6000회 전후의 고속으로 회전하며, 용기 내면에 있는 돌기(突起)에 의해 효과적으로 교반 및 분쇄된다.
과일이나 채소의 주스를 만드는 외에 무즙, 당근즙 등과 같이 야채를 분쇄하여 즙을 만들고, 밀가루와 물 및 소금을 섞어 반죽을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고 있다. 또, 커터를 떼어내고 주스의 제조나 고기절단용 커터 등을 갈아끼워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믹서기는 용기와 본체가 붙어 있는 것과, 용기와 본체가 분리되는 것 두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용기와 본체가 분리되는 믹서기는 내용물을 분쇄한 후에 본체에서 용기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내용물을 따르면 된다.
그러나 용기와 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믹서기의 경우에는 과일, 야채 등을 분쇄한 후에 내용물을 따르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다시 언급하면, 용기와 본체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을 따르기 위해서는 용기와 본체를 함께 드는 것은 물론이며, 내용물까지 함께 들으므로 무게가 상당히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어린아이, 노약자, 여성 등과 같이 힘이 부족한 사람들이 쉽게 일체로 이루어진 믹서기를 들지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이 들어있는 일체형 믹서기의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내용물을 따르기란 매우 어렵고, 그 무게에 의해 내용물이 제대로 따라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와 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믹서기의 용기 일측에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게 배출부를 형성하고, 용기에서 과일, 야채 등을 분쇄시킨 내용물이 배출부를 통해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믹서기용 배출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관 각도를 40°에서 70°도 중 어느 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믹서기용 배출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핸들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믹서기용 배출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구동수단이 설치된 본체가 구성되고, 내측에 과일, 야채 등을 분쇄하는 분쇄날이 설치된 용기가 본체에 일체로 설치된 일체형 믹서기에 있어서, 제1배출공이 형성되어 기울어지게 결합돌기가 용기 일측에 형성되고, 내용물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에 기울어지게 배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부는 상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제1배출공이 형성되어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배출관과; 배출관의 통공에 결합되는 개폐부재와; 배출관의 상부에 나사 결합하는 노즐너트와; 개폐부재 상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관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제2배출공이 형성되고, 상단부 외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돌출부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결합돌기와 결합 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돌기가 제2배출공의 일측에 형성되며, 통공이 형성된 저부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고, 받침돌기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재는 스틱형태의 볼타입으로 형성되어 배출관의 제2배출공과 동일한 크기의 개폐공이 형성되고, 개폐공에 인접되게 상하방향으로 설치홈이 형성되어 오링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핸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볼트공이 형성된 결합홈이 구성되고, 핸들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에 인접되게 끼움홈이 형성되며, 저부에는 배출관에 결합되어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즐너트는 개폐부재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배출관의 돌출부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주연에 나사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핸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은 상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홀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된 핸들몸체가 구성되고, 개폐부재의 결합홈에 결합 될 수 있도록 안착홈과 연결되게 고정공이 구성된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핸들몸체의 하방향으로 개폐부재의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핸들몸체의 일측에 손잡이가 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부(200)는 40°에서 70°중 어느 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결합돌기(1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믹서기용 배출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믹서기용 배출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출부의 저부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를 확대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믹서기용 배출구조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일, 야채 등을 분쇄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된 본체(2)와, 과일, 야채 등이 분쇄되는 분쇄날(미도시)이 설치된 용기(1)가 본체(2)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분쇄날에 의해 분쇄된 과일즙, 야채즙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출공(111)이 형성된 결합돌기(110)가 용기(1)의 외주연 일측 하방향에 형성되고, 결합돌기(110)의 외주연에는 나선이 형서된 단턱(112)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돌기(110)의 측면에는 공간부(113)가 형성되고, 공간부(113)에는 누수방지링(114)이 설치된다.
용기(1)의 내용물 배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110)에 배출부(200)가 설치되고, 배출부(200)는 용기의 일측에 40°에서 70°중 어느 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배출부(200)는 용기(1)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10)에 결합 될 수 있도록 배출관(220)이 구성된다.
배출관(220)은 결합돌기(110)에 형성된 제1배출공(11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결합돌기(11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22)가 형성되며, 고정돌기(222)에는 고정홈(2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110)의 제1배출공(111)을 통해 고정홈(222a)과 연결된 제2배출공(221)으로 과일즙, 야채즙 등이 배출되도록 연설된다.
또한, 배출관(220) 상부에는 돌출부(223)가 형성되고, 돌출부(223)의 외주연에는 나선(223a)이 형성된다.
돌출부(223)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통공(223b)이 형성되고, 통공(223b)은 제2배출공(221)과 연결되며, 통공(223b)의 저부에는 받침돌기(224)가 형성되고, 받침돌기(224)에는 가이드공(225)이 형성되며, 받침돌기에 형성된 가이 드공(225)과 통공(223b)은 연결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믹서기를 사용하고 난 후에 세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과일즙, 야채즙 등의 배출을 단속하는 개폐부재(230)가 배출관(220)의 통공(223b)에 설치되고, 개폐부재(230)는 스틱형태의 볼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부보다 하부가 점점 좁은 상광하협으로 형성된다.
개폐부재(230)에는 배출관(220)의 제2배출공(221)과 동일한 크기의 개폐공(231)이 형성되고, 개폐공(231)의 상방향과 하방향에 인접되게 설치홈(232)이 형성되며, 설치홈(232)에는 오링(233)이 각각 설치된다.
오링(233)은 배출관(220)과 개폐부재(230) 사이에서 과일즙, 야채즙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개폐부재(230)의 상부 중앙에는 결합홈(234)이 형성되고, 결합홈(234)에는 너트(236)가 설치된다. 결합홈(234)의 바닥에서 연장되게 나선이 형성된 볼트공(235)이 형성되고, 결합홈(234)의 외측 방향에는 끼움홈(237)이 형성된다.
또한, 배출관(220)의 받침돌기(224)에 형성된 가이드공(225)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개폐부재(230)의 저부에는 단속돌기(238)가 형성된다.
배출관(220)의 돌출부(223)에 형성된 나선(223a)에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의해 개폐부재(2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너트(240)가 설치되고, 노즐너트(24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구멍(241)이 형성된다.
개폐부재(230)를 회전시켜 개폐공(231)을 통해 과일즙, 야채즙 등이 배출되 도록 개폐부재(230) 상부에 핸들(250)이 구성된다.
핸들(250)은 과일즙, 야채즙 등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230)와 결합되는 핸들몸체(251)가 구성된다.
핸들몸체(251)의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걸림홀(251b)이 구성된 안착홈(251a)이 형성되며, 개폐부재(230)의 끼움홈(237)에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홈(251a)의 저부에 연장되게 끼움돌기(252)가 형성되고, 안착홈(251a)의 저부에 연설되도록 고정공(253a)이 형성된 지지돌기(253)가 형성되며, 지지돌기(253)에는 고정공(253a)이 형성되어 볼트(254)가 결합되고, 볼트(254)는 지지돌기(253)의 고정공(253a)을 통해 개폐부재(230)에 형성된 볼트공(235)에 결합된다.
그리고 핸들몸체(25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55)가 형성된다.
핸들몸체(251)의 안착홈(251a)에는 마개(260)가 설치되고, 마개(260)에는 등간격으로 걸림돌기(261)가 형성되며, 걸림돌기(261)의 일측단에는 안착홈(251a)에 형성된 걸림홀(251b)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기 내측에 설치된 분쇄날에 의해 과일 또는 야채 등이 분쇄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용기(1) 내측에 과일, 야채를 소정 크기로 넣은 상태에서 본체(2)에 설치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분쇄날을 회전시킨다.
분쇄날에 의해 분쇄된 과일, 야채 등의 즙(이하, 내용물이라 칭함)이 본체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배출공(111)으로 모여진다.
분쇄시 배출부(200)를 오픈하지 않은 상태, 즉, 배출관(220)의 통공(223b)에 설치된 개폐부재(230)가 제2배출공(221)을 막고 있는 상태이므로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용기(1) 내측에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손잡이(255)를 잡고 회전시킨다.
손잡이(255)를 회전시키면, 핸들(250)의 핸들몸체(251) 저부에 볼트(254)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개폐부재(230)가 배출관(220) 통공(223b)에서 회전된다.
통공(223b)에서 회전되는 개폐부재(230)는 핸들이 90°정도 회전하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데, 이는 개폐부재(230)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단속돌기(238)가 받침돌기(224)의 가이드공(225) 내에서만 이동되므로 개폐부재(230)에 의해 회전이 단속된다.
다시 언급하면, 가이드공(225)에 위치된 단속돌기(238)는 핸들(250)의 회전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225)의 일측에 위치하였다가 가이드공(225)의 다른 위치로 이동되고, 이때 받침돌기(224)의 일측에 걸려지게 되므로 핸들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개폐부재(230)를 회전시키면 개폐공(231)과 제2배출공(221)이 서로 통하게 되고, 이때 용기(1) 내측에 담아져 있는 내용물이 제1배출공(11)을 따라 배출된다.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해 본체(2)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조작하여 커터가 회전, 멈춤을 반복되도록 하여 용기(1)에서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배출관(200)이 용기 일측에 40°에서 70° 중 어느 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배출관(200)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배출관(200)과 개폐부재(23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는 개폐부재(230)의 설치홈(232)에 설치된 오링(233)에 의해 누출이 방지된다.
또한, 결합돌기(110)와 배출관(200)의 사이에서도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 또한, 결합돌기(110)의 공간부(113)에 형성된 누수방지링(114)에 의해 누출이 방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잡이(255)를 잡고 돌리 때, 핸들(250)과 같이 회전하는 개폐부재(2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노즐너트(240)를 돌출부(223)에서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노즐너트(223)는 배출관(220)의 하방향 쪽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부재(230) 상부를 누르게 된다. 이때 개폐부재(230)는 노즐너트(240)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회전 속도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핸들(250)의 속도를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급하게 핸들(250)을 회전시키는 것이 방지되므로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본체(2)와 용기(1)가 일체로 붙은 믹서기 전체를 들고 내용을 따를 필요가 없으므로 믹서기를 한층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믹서기용 배출구조는 본체(2)와 용기(1)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믹서기에만 한정하여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2)에서 용기(1)가 분리되는 분리형 믹서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분리형 믹서기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믹서기용 배출구조 또한 일체형에 설치되는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일체형 믹서기에 설치된 구성을 분리형 믹서기에 형성하는 것은 단순 설계 변경에 의해 당업자라면 누구나가 쉽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카테고리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와 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믹서기의 용기 일측에 소정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게 배출부를 형성하고, 용기에서 과일, 야채 등을 분쇄시킨 내용물이 배출부를 통해 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관 각도를 40°에서 70°도 중 어느 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과일, 야채 등의 내용 외에도 다른 건과류, 건어물, 말린 야채 등의 배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을 조절하여 용기에서 분쇄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관에 결합된 개폐부재의 단속돌기에 의해 핸들의 회전시 개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측에 구동수단이 설치된 본체가 구성되고, 내측에 과일, 야채 등을 분쇄하는 분쇄날이 설치된 용기가 본체에 일체로 설치된 일체형 믹서기에 있어서,
    제1배출공(111)이 형성되어 기울어지게 결합돌기(110)가 용기(1) 일측에 형성되고,
    내용물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110)의 일측에 기울어지게 배출부(2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배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부(200)는 상부에 통공(223b)이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제1배출공(223b)이 형성되어 결합돌기(110)에 결합되는 배출관(220)과;
    배출관(220)의 통공(223b)에 결합되는 개폐부재(230)와;
    배출관(220)의 상부에 나사 결합하는 노즐너트(240)와;
    개폐부재(230) 상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핸들(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배출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배출관(22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제2배출공(221)이 형성되고, 상단부 외주연에는 나선(223a)이 형성된 돌출부(223)가 형성되며, 돌출부(223)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통공(223b)이 형성되고, 결합돌기(11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제2배출공(221)이 형성된 일측에 고정홈(222a)이 구성된 고정돌기(222)가 형성되며, 통공(223b)이 형성된 저부에는 받침돌기(224)가 형성되고, 받침돌기(224)에는 가이드공(2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배출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개폐부재(230)는 배출관(220)의 제2배출공(221)과 동일한 크기의 개폐공(231)이 형성되고, 개폐공(231)에 인접되게 상하방향으로 설치홈(232)이 형성되어 오링(233)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핸들(2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볼트공(235)이 형성된 결합홈(234)이 구성되고, 핸들(250)이 결합되도록 결합홈(234)에 인접되게 끼움홈(237)이 형성되며, 저부에는 배출관(220)에 결합되어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돌기(2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배출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노즐너트(240)는 개폐부재(230)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배출관(22)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주연에 나사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핸들(2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멍(2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배출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핸들(250)은 상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홀(251b)을 갖는 안착홈(251a)이 형성된 핸들몸체(251)가 구성되고, 개폐부재(230)에 결합 될 수 있도록 안착홈(251a)의 바닥 중앙에는 고정공(253a)이 연설되게 지지돌기(253)가 형성되며, 개폐부재(230)에 결합되게 핸들몸체(251) 하방향으로 끼움돌기(252)가 형성되고, 핸들몸체(251)의 일측에 손잡이(255)가 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배출구조.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배출부(200)는 40°에서 70°중 어느 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결합돌기(1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배출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개폐부재(230)는 스틱형태의 볼 타입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좁게 형성되어 배출관(220)의 통공(223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배출구조.
KR1020070033476A 2007-04-04 2007-04-04 믹서기용 배출구조 KR10087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476A KR100871918B1 (ko) 2007-04-04 2007-04-04 믹서기용 배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476A KR100871918B1 (ko) 2007-04-04 2007-04-04 믹서기용 배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219A true KR20080090219A (ko) 2008-10-08
KR100871918B1 KR100871918B1 (ko) 2008-12-05

Family

ID=4015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476A KR100871918B1 (ko) 2007-04-04 2007-04-04 믹서기용 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9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0562A (zh) * 2010-02-16 2011-10-12 大成阿特隆株式会社 粉碎食物时能维持适当的投入和排出量而提高粉碎效率的搅拌机
CN102334927A (zh) * 2011-04-28 2012-02-01 周林斌 一种多功能加热搅拌机
KR200460853Y1 (ko) * 2010-07-26 2012-06-11 (주)현대가전업 믹서기의 배출 장치
KR101593615B1 (ko) * 2014-12-17 2016-02-12 김화식 푸드 균질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999U (ja) * 2003-07-02 2004-03-18 根盈企業有限公司 調理器の改良構造
KR200356635Y1 (ko) 2004-04-30 2004-07-19 이하용 개폐수단이 구비된 녹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0562A (zh) * 2010-02-16 2011-10-12 大成阿特隆株式会社 粉碎食物时能维持适当的投入和排出量而提高粉碎效率的搅拌机
KR200460853Y1 (ko) * 2010-07-26 2012-06-11 (주)현대가전업 믹서기의 배출 장치
CN102334927A (zh) * 2011-04-28 2012-02-01 周林斌 一种多功能加热搅拌机
KR101593615B1 (ko) * 2014-12-17 2016-02-12 김화식 푸드 균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918B1 (ko) 200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5977A1 (en) Universal food processor
KR10197183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US4744522A (en) Food processor with juice extractor
CN108366701B (zh) 螺旋切割配件
GB2586554A (en) Food processor
KR100871918B1 (ko) 믹서기용 배출구조
JP2008245786A (ja) 電動式食材おろし器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32954A (ko) 탄산가스 탱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80090220A (ko) 전기 믹서기의 볼타입 배출장치
CN108135403A (zh) 用于制备食物配料的装置
WO2005011934A3 (en) Drink bottle with integrated mixing blades
CN115813238A (zh) 用于食品加工机的接头和食品加工附接件
US20180049592A1 (en) Kitchen Appliance for Processing Foodstuff
KR101675340B1 (ko) 교체 가능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믹서기
KR101786492B1 (ko) 세척이 용이한 믹서기
US2858861A (en) Fruit reamer and strainer
US3335772A (en) Comminuting attachment for hand mixer
KR200346869Y1 (ko)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JP2011250831A (ja) フードプロセッサ
CN212263458U (zh) 一种倒置式安全手拉切菜器
JP2014239966A (ja) フードプロセッサ
CN203914468U (zh) 蒜泥机
CN220001569U (zh) 一种手摇式食材打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