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006A -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006A
KR20080090006A KR1020070032925A KR20070032925A KR20080090006A KR 20080090006 A KR20080090006 A KR 20080090006A KR 1020070032925 A KR1020070032925 A KR 1020070032925A KR 20070032925 A KR20070032925 A KR 20070032925A KR 20080090006 A KR20080090006 A KR 2008009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switch
current
voltage
circuit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018B1 (ko
Inventor
정병창
정용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0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03D9/25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측 컨버터의 과전압 인가시 보호회로로서 계통분리가 불요한 크로우 바 회로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풍력발전기의 회전자에 컨버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정류 회로 부; 상기 정류 회로 부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풍력발전기와 접속되는 전력계통상 계통 전압의 과전압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회전자 측의 과전압 발생시 도통되어 상기 회전자 전류를 자신을 통해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컨버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전류 치가 될 때 도통하여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 전환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는 전류 전환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풍력발전기, 이중여자 유도기, 컨버터, 반도체 스위치, 크로우 바 회로, 전류 전환회로, 공진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A CROW BAR CIRCUIT FOR A WIND POWER GENERAT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풍력발전기 이중여자 유도기의 회전자에 연결되는 크로우 바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 블록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이중여자 유도기의 회전자에 연결되는 크로우 바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 블록 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회로 블록 중 전류 전환회로 블록의 상세 회로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 블록 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 전류 전환회로 블록 중 커패시터의 충전 동작을 신호 파형으로 보여주는 신호 파형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상세 전류 전환회로 블록 중 커패시터 충전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면으로서 제 3 반도체 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제 4 반도체 스위치는 오프 상태일 때의 커패시터 충전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상세 전류 전환회로 블록 중 커패시터 충전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면으로서 제 3 반도체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고 제 4 반도체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의 커패시터 충전회로의 동작을 보 여주는 부분 회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신호 파형 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로서, 전력 계통의 계통 전압이 정상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로서, 전력 계통의 계통 전압이 과전압이 발생한 상태에서 이를 검출하여 제 1 반도체 스위치를 도통시킨 상태에서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로서, 제 1 반도체 스위치가 도통된 도 9의 상태에서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값에 도달하여 제 2 반도체 스위치를 추가 도통시킨 상태에서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로서, 제 2 반도체 스위치의 도통으로 인해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가 영(zero)가 됨에 따라 제 1 반도체 스위치가 턴 오프(TURN-OFF)되고 제 2 반도체 스위치를 통해서만 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로서, L-C 공진회로의 공진에 의해 제 2 반도체 스위치도 턴 오프되어 짧은 시간동안 환류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는 환류 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이 고,
도 13은 도 12의 상태도 지나고 계통 전압이 정상으로 회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정류 회로 부 2: 전류 전환회로
THY1: 제 1 반도체 스위치 C1: 커패시터(CAPACITOR)
D1: 환류 다이오드 LTHY: 리액터 코일(Reactor Coil)
R1: 전류 제한 저항 TD1: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
TD2: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 TR1: 변압기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권선형 유도기를 발전기로 이용하는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발전 시스템(Doubly Fed Induction-type Generation System)에 있어서 전력계통에서 발생한 사고 전압으로부터 발전기의 회전자 측 컨버터를 보호하기 위한 크로우 바(Crow Bar)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발전기는 발전기로 권선형 유도기를 사용한다. 상기 유도기의 고정자는 전력계통(전력 선로)에 접속하고 회전자는 전력변환 장치에 접속하여 발전기를 제어한다. 전력계통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발전기와 전력변환 장치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도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그러나 계통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의해서 계통 전압이 급변할 때 발전기의 자화 에너지도 급변하기 때문에 발전기의 고정자에는 순간적으로 정격 전류이상의 과전류가 흐른다. 고정자에 흐르는 과전류는 권선형 유도기의 변압기적 특성에 의해서 회전자에 정격 전압 이상의 과전압을 유도하고, 따라서 회전자 측 전력변환장치인 컨버터(CONVERTER)를 소손시키기도 한다.
전력계통에 발생한 사고에 의해서 회전자 측에 과전압이 인가되어서 상기 회전자 측 컨버터가 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회로가 크로우 바 회로이다.
이러한 크로우 바 회로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 구성과 동작을 첨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풍력발전기 이중여자 유도기의 회전자(미 도시)에 연결되는 크로우 바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로서, 도 1에 있어서 부호 91 내지 부호 96의 6개의 다이오드는 상기 컨버터(CONVERTER, 미 도시)에 병렬로 접속되는 3상 정류 회로 부이고, 상기 3상 정류 회로 부의 교류 입력단은 풍력발전기의 회전자에 접속된다. 상기 3상 정류 회로 부의 출력단에는 전류 평활을 위한 코일(97)을 통해 직렬로 반도체 스위치 예컨대 다이리스터(Thyristor)(98)가 접속되어 크로우 바 회로를 구성한다.
도 1에 따른 종래기술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계통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상기 회전자에 정격 이상의 과전압이 인가되면 이를 검출한 미 도시의 전력 제어 장치(Power Control Unit, 약하여 PCU로도 불림)가 게이트 제어신호(일명 트리거 신호)를 발출하여, 이러한 전력 제어 장치로부터의 게이트 제어신호에 의해 도 1에 있어서 다이리스터(98)가 턴 온(turn on)된다. 그러면, 도통된 다이리스터에 의해서 회전자 전류(ICR)는 모두 다이리스터(98)을 통해 흐르게 되어 회전자 측 컨버터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다이리스터가 스스로 턴 오프 되지 않기 때문에 전력계통에서 사고가 제거되어서 크로우 바 회로가 불필요한 상태가 되어도 크로우 바 회로 즉 다이리스터는 계속 턴 온 되어 회전자 전류를 자신을 통해 흐르게하는 동작을 지속한다.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중지시키려면 발전기를 전력계통에서 분리함으로써 발전기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도록 해야한다. 그러한 크로우 바 회로가 동작할 때마다 발전기를 전력계통에서 분리할 경우 발전을 못하는 에너지 손실뿐 아니라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력계통의 전력 품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발전기를 전력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이 소정시간 내에 크로우 바 회로를 턴 오프 시킬 수 있어서 신뢰성 있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턴 오프 장치를 구비하는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발전기의 회전자에 접속되는 컨버터(converter)를 보호하기 위한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crow bar circuit)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회전자에 상기 컨버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정류 회로 부;
상기 정류 회로 부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풍력발전기와 접속되는 전력계통상 계통 전압의 과전압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회전자 측의 과전압 발생시 도통되어 상기 회전자 전류를 자신을 통해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컨버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전류 치가 될 때 도통하여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 전환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는 전류 전환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써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회전자에 접속되는 컨버터(converter)를 보호하기 위한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crow bar circuit)(이하 크로우 바 회로로 약함) 구성을 회로도로서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크로우 바 회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는 상기 풍력발전기의 회전자에 상기 컨버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정류 회로 부(1); 정류 회로 부(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풍력발전기와 접속되는 전력계통상 계통 전압의 과전압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회전자 측의 과전압 발생시 도통되어 상기 회전자 전류를 자신을 통해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컨버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 및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에 병렬로 접속되어,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전류 치가 될 때 도통하여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에 흐르는 전류를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 전환함으로써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를 턴 오프 시키는 전류 전환회로(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류 회로 부(1)는 3상의 교류 입력을 정류하여 직류 출력을 제공하는 잘 알려진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는 실시 예상 사이리스터(Thyristor)로 선택될 수 있으며, 대체 소자로서 예컨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들 수 있다.
한편, 도 2의 전류 전환회로(2)의 상세 회로 구성의 실시 예를 도 3을 참조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회로 블록 중 전류 전환회로 블록의 상세 회로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 블록 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전류 전환회로(2)는,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전류 치가 될 때 도통되는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 및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를 턴 오프 시키기 위해서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에 접속되고, 인덕터 코일(LTHY)과 커패시터(C1)를 갖는 공진회로를 포함한다.
전류 전환회로(2)는, 커패시터(C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를 추가하여 포함한다.
상기 충전회로는, 교류 원으로부터의 교류전압을 강압하여 제공하는 변압기(TR1); 변압기(TR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변압기(TR1)의 출력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또는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와 커패시터(C1) 사이에 접속되어,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교류 전원의 교류 전압 최대치와 같아질 때까지 도통하여 커패시터(C1)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제어용 반도체 스위치{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의 제 3 반도체 스위치 또는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제 4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의 제 3 반도체 스위치 또는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제 4 반도체 스위치는 실시 예상 사이리스터(Thyristor)로 선택될 수 있으며, 대체 소자로서 예컨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 다양한 반도체 스위치의 선택이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회로는, 교류 원으로부터의 교류전압을 강압하여 제공하는 변압기(TR1); 변압기(TR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변압기(TR1)의 출력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다이오드{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내의 다이오드} ;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커패시터(C1) 사이에 접속되어,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교류 전원의 교류 전압과 같아질 때까지 도통하여 커패시터(C1)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제어용 제 3 반도체 스위치{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의 제 3 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 1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어, 변압기(TR1)의 출력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다이오드{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다이오드};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와 커패시터(C1) 사이에 접속되어,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교류 전원의 교류 전압과 같아질 때까지 도통하여 커패시터(C1)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제어용 제 4 반도체 스위치{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제 4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류 원은 상용 교류 원 또는 풍력 발전기의 교류 출력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충전 제어용 반도체 스위치 즉,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의 제 3 반도체 스위치 또는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제 4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전환회로는,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에 병렬로 접속되어,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의 턴 오프 시 도통하여 환류 전류의 통전 경로를 제공하는 환류 다이오드(D1)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도 3으로 나타난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신호 파형으로 보여주는 파형도인 도 7과 동작 상태별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간 t1 이전에는 크로우 바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 중 통전부분 즉 굵은 실선으로 표시할 부분이 없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동작을 극명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 중 커패시터 충전회로 부분을 생략한 요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시간 t1 이전부터 커패시터(C1)는 충전전압(Vc1)이 충전된 상태이다.
시간 t1에서 전력계통상 단락과 같은 사고가 발생했다고 가정하면, 전력계통상의 과전류에 의해서 회전자 측에 과전압이 유도되고 따라서 이러한 과전압을 검출한 미 도시의 전력 제어 장치(Power Control Unit, 약하여 PCU로도 불림)가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의 게이트에 제 1 게이트 제어신호(일명 트리거 신호){STHY1, 도 7의 파형 (f) 참조}를 발출하여, 이러한 전력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 1 게이트 제어신호(STHY1)에 의해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가 턴 온(turn on)된다.
따라서 도 7의 파형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회로 부(1)에 전류(IBD)가 흐르고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를 통해 전류(ITHY1)가 흐르며, 이때 전류(IBD)와 전류(ITHY1)는 풍력 발전기의 회전자 측에 접속된 컨버터(미 도시)에 흐를 전류, 다시 말해 회전자 전류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를 통해 흐르게 된 과전류이다. 따라서, 풍력 발전기의 회전자 측에 접속된 컨버터(미 도시)가 과전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 중 통전하는 부분은 도 9의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과 같고 이러한 통전 부분을 통해 전류(ITHY1)가 흐른다.
한편, 시간 t2에서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를 통해 전류(ITHY1)가 미리 설정(결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미 도시의 변류기(Current Transformer)와 같은 전류 검출 수단을 통해 이를 검출한 상기 전력 제어 장치가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의 게이트에 제 2 게이트 제어신호(일명 트리거 신호){STHY2, 도 7의 파형(g) 참조}를 발출하여, 이러한 전력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 2 게이트 제어신호(STHY2)에 의해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가 턴 온(turn on)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결정)된 전류(ITHY1)의 값은 풍력발전기의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로서 과전류가 아닌 정상전류로 볼 수 있는 수준의 값으로서, 풍력발전기 제어시스템의 제조처 또는 사용자가 프로그램 로더(program loader)와 같은 입력수단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상기 전력 제어 유닛에 내장된 메모리(memory)에 저장해 놓는 값이다.
따라서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및 컨버터를 보호하기 위해서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가 턴 온되는 시간 t1로부터 전력계통에서 사고전류가 제거되고 정상전류로 회복된 시점인 시간 t2가 될 때까지 도 7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 전류는 모두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를 통해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전력계통에서 사고가 제거된 시점인 시간 t2에서 회전자 전류는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가 턴 온됨에 따라서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와 전류 전환회로(2)로 분류되어 흐른다. 시간 t2에서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가 턴 온됨에 따라서 도 7의 (e) 파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충전 전압(VC1)은 방전되어 감소되기 시작한다. 이때, 도 7의 파형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1)는 전류 전환회로(2)로의 분류 전류 즉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2)로 인해 감소하고,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과 L-C 공진 회로(LTHY와 C1)의 공진에 의해서 도 7의 파형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2)는 증가한다. 이 때 정류 회로 부(1)를 통해 흐르는 전류(IBD)는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1)와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2)의 합이므로, 도 7의 (a)의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된다. 또한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전류 흐름은 도 10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다.
시간 t3에서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1)가 0(zero)이 되면,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는 턴 오프(turn off)된다.
이때 즉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1)가 0(zero)이 되는 시간 t3로부터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모두 방전되는 시점인 시간 t4의 동안,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2)는 L-C 공진 회로(LTHY와 C1)의 공진에 따라서 첨두치까지 증가했다가 감소하며, 이때 정류 회로 부(1)를 통해 흐르는 전류(IBD)는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2)만으로 이루어지므로 도 7의 파형(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된다. 또한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전류 흐름은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2)만으로 이루어지므로 도 11에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다.
한편, 도 7의 파형 (a)와 파형 (b)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전류 전환회로(2)가 없다고 가정할 때 즉 종래기술과 같은 크로우 바 회로에 있어서 정류 회로 부(1)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가상 파형 및 턴 오프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스위치(THY1)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1)의 가상 파형이다.
한편, L-C 공진 회로(LTHY와 C1)의 공진에 의해서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모두 방전되는 시점인 시간 t4에서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를 통해 흐르는 전류(ITHY2)가 0(zero)으로 되므로, 제 2 반도체 스위치(THY2)는 이 시점에서 턴 오프되고, 짧은 시간 즉 t4에서 t5까지의 동안 리액터 코일(reactor coil)(LTHY)에 흐르는 전류(ID1)는 환류 다이오드(D1)를 통해 환류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르고 그 파형은 도 7의 (d) 파형과 같다.
시간 t5 이후 전류 전환회로(2)로 흐르는 전류가 "0"(zero)이 되면서 전류 전환회로(2)도 턴 오프되어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는 풍력 발전기의 회전자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이후 상기 풍력 발전기의 전력 제어 유닛이 동작하여 풍력 발전기, 다시 말해 권선형 유도 발전기를 정상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의 전류 전환회로(2)내의 커패시터(C1)의 충전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회로 블록 중 전류 전환회로 블록의 상세 회로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 블록 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 전류 전환회로 블록 중 커패시터의 충전 동작을 신호 파형으로 보여주는 신호 파형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상세 전류 전환회로 블록 중 커패시 터 충전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면으로서 제 3 반도체 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제 4 반도체 스위치는 오프 상태일 때의 커패시터 충전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우 바 회로의 상세 전류 전환회로 블록 중 커패시터 충전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면으로서 제 3 반도체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고 제 4 반도체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의 커패시터 충전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부분 회로 도면이다.
도 3의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의 전압수준을 예컨대 전위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또는 분압 회로 등의 전압 검출 수단을 통해 검출한 상기 미 도시의 전력 제어 유닛이 감시하고 있는다.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이 미리 설정(결정)된 허용가능한 하한 전압 치보다 작을 때 즉 시간 t1에서, 상기 전력 제어 유닛은 도 4의 파형(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제 3 반도체 스위치의 게이트에 제 3 게이트 제어 신호(STD1)을 발출하여 제 3 반도체 스위치를 턴 온 시킨다.
이때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의 제 4 반도체 스위치는 오프 상태이고, 변압기(TR1)의 2차 출력 측 코일에 유도된 교류전압(VAC)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다이오드에 의해 직류로 정류되고, 정류된 직류전류가 흐르는 전류의 회로는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다이오드로부터 변압기(TR1)의 2차 출력 측 코일,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제 3 반도체와 전류 제한 저항(R1)을 경유하여 커패시터(C1)으로 흐르는 충전 폐 회로가 구성된 다. 상기 직류전류는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같으므로 IR1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그 파형은 도 4의 파형(d)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시 말해서, 시간 t1에서 t1'까지의 동안,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제 3 반도체 스위치가 제 3 게이트 제어 신호(STD1)에 의해 턴 온되고 도 4의 파형(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류전압(VAC)이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다이오드 또는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전압(VAC1)과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이 같게 되는 시점 즉 시간 t1'에서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제 3 반도체 스위치가 턴 오프될 까지,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흐르는 전류(IR1)가 도 4의 파형 (d) 와 같이 발생한다.
변압기(TR1)의 2차 출력 측 코일에 유도된 교류전압(VAC)이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다이오드 또는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전압(VAC1)은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과 비교가 편리하도록 도 4의 파형 (e)에서 점선으로 같이 표시하였다.
한편, 시간 t1'에서 t2까지의 동안,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제 3 반도체 스위치가 턴 오프되고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제 4 반도체 스위치도 오프 상태이므로, 충전 전류인 상기 전류(IR1)이 없고 따라서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도 도 4 파형 (e)의 해당 시간구간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화가 없 다.
한편, 4의 파형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제어 유닛이 시간 t2에서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 내 제 4 반도체 스위치의 게이트에 제 4 게이트 제어 신호(STD2)을 발출하여 제 4 반도체 스위치를 턴 온 시키면, 시간 t2에서 t2'까지의 동안, 즉 제 4 반도체 스위치의 턴 온 시점부터 도 4의 파형(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된 전압(VAC1)과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이 다시 같게 되는 시점 즉 시간 t2'에서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 내 제 4 반도체 스위치가 턴 오프될 까지,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흐르는 전류(IR1)가 도 4의 파형 (d) 와 같이 발생한다. 이때의 충전 회로 상의 전류 흐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내의 다이오드로부터 변압기(TR1)의 2차 출력 측 코일,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 내 제 4 반도체와 전류 제한 저항(R1)을 경유하여 커패시터(C1)으로 흐르는 충전 폐 회로가 구성되어, 커패시터(C1)에는 도 4 (e)의 구간 t2-t2'파형과 같이 직류전압이 충전된다.
한편, 시간 t2'에서 t3까지의 동안,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 내 제 4 반도체 스위치가 턴 오프되고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내의 제 3 반도체 스위치도 오프 상태이므로, 충전 전류인 상기 전류(IR1)이 없고 따라서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도 도 4 파형 (e)의 해당 시간구간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화가 없다.
한편, 4의 파형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제어 유닛이 시간 t3에서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제 3 반도체 스위치의 게이트에 제 3 게이트 제어 신호(STD1)을 발출하여 제 3 반도체 스위치를 턴 온 시키면, 시간 t3에서 t3'까지의 동안, 즉 제 3 반도체 스위치의 턴 온 시점부터 도 4의 파형(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된 전압(VAC1)과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이 다시 같게 되는 시점 즉 시간 t3'에서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제 3 반도체 스위치가 턴 오프될 까지,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흐르는 전류(IR1)가 도 4의 파형 (d) 와 같이 발생한다. 이때의 충전 회로 상의 전류 흐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다이오드로부터 변압기(TR1)의 2차 출력 측 코일,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제 3 반도체 스위치와 전류 제한 저항(R1)을 경유하여 커패시터(C1)로 흐르는 충전 폐 회로가 구성되어, 커패시터(C1)에는 도 4 (e)의 구간 t3-t3'파형과 같이 직류전압이 충전된다.
한편, 시간 t3'에서 t4까지의 동안,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 내 제 3 반도체 스위치가 턴 오프되고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내의 제 4 반도체 스위치도 오프 상태이므로, 충전 전류인 상기 전류(IR1)가 없고 따라서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도 도 4 파형 (e)의 해당 시간구간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화가 없다.
한편, 4의 파형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제어 유닛이 시간 t4에서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 내 제 4 반도체 스위치의 게이트에 제 4 게이트 제어 신호(STD2)을 발출하여 제 4 반도체 스위치를 턴 온 시키면, 시간 t4에서 t4'까지의 동안, 즉 제 4 반도체 스위치의 턴 온 시점부터 도 4의 파형(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된 전압(VAC1)과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이 같게 되는 시점 즉 정류된 전압(VAC1)의 최대 값과 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VC1)이 같게 되는 시점인 시간 t4'에서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 내 제 4 반도체 스위치가 턴 오프될 까지,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흐르는 전류(IR1)가 도 4의 파형 (d) 와 같이 발생한다. 이때의 충전 회로 상의 전류 흐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 3 반도체 스위치 부(TD1)내의 다이오드로부터 변압기(TR1)의 2차 출력 측 코일, 제 4 반도체 스위치 부(TD2) 내 제 4 반도체 스위치와 전류 제한 저항(R1)을 경유하여 커패시터(C1)로 흐르는 충전 폐 회로가 구성되어, 커패시터(C1)에는 도 4 (e)의 구간 t4-t4'파형과 같이 직류전압이 충전된다.
시간 t4'에서 커패시터(C1)의 충전이 완료되므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VC1)을 감시하는 상기 전력 제어 유닛은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VC1)이 만 충전 상태로 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3 또는 제 4 게이트 제어 신호(STD1 또는 STD2)의 발출을 중지하고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 충전 회로는 제 3 반도체 스위치 및 제 4 반도체 스위치가 모두 오프된 상태로 동작을 중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풍력 발전기를 전력계통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제 1 반도체 스위치를 턴 오프할 수 있고 크로우 바 회로를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전력계통에 있어서 편리하고, 발전기를 전력계통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공급의 중단이 없어 풍력발전기를 신뢰할 수 있는 발전 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풍력발전기의 회전자에 접속되는 컨버터(converter)를 보호하기 위한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crow bar circuit)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회전자에 상기 컨버터와 병렬로 접속되는 정류 회로 부;
    상기 정류 회로 부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풍력발전기와 접속되는 전력계통상 계통 전압의 과전압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회전자 측의 과전압 발생시 도통되어 상기 회전자 전류를 자신을 통해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컨버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전류 치가 될 때 도통하여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 전환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는 전류 전환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전환회로는,
    상기 제 1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전류 치가 될 때 도통되는 제 2 반도체 스위치; 및
    상기 제 2 반도체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2 반도체 스위치에 접속되고, 리액터 코일과 커패시터를 갖는 공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전환회로는,
    상기 커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를 추가하여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는,
    교류 원으로부터의 교류전압을 강압하여 제공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변압기의 출력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와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이 교류 전원의 교류 전압 최대치와 같아질 때까지 도통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제어용 반도체 스위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충전 제어용 반도체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저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는,
    교류 원으로부터의 교류전압을 강압하여 제공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변압기의 출력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다이오드;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이 교류 전원의 교류 전압과 같아질 때까지 도통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제어용 제 3 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 1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변압기의 출력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다이오드;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와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이 교류 전원의 교류 전압과 같아질 때까지 도통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제어용 제 4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전환회로는,
    제 2 반도체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어, 제 2 반도체 스위치의 턴 오프 시 도통하여 환류 전류의 통전 경로를 제공하는 환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KR1020070032925A 2007-04-03 2007-04-03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KR10090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925A KR100905018B1 (ko) 2007-04-03 2007-04-03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925A KR100905018B1 (ko) 2007-04-03 2007-04-03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006A true KR20080090006A (ko) 2008-10-08
KR100905018B1 KR100905018B1 (ko) 2009-06-30

Family

ID=4015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925A KR100905018B1 (ko) 2007-04-03 2007-04-03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74177A (zh) * 2023-12-05 2024-03-08 兰州理工大学 一种考虑谐振的阻容撬棒参数确定及匹配控制方法
CN117674177B (zh) * 2023-12-05 2024-06-04 兰州理工大学 一种考虑谐振的阻容撬棒参数确定及匹配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85B1 (ko) * 2011-01-03 2012-05-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크로우바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553B2 (ja) * 1985-11-13 1995-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タ−ビン発電装置
JP2695959B2 (ja) * 1990-03-05 1998-01-14 東京電力株式会社 巻線形誘導機の制御装置
JP2001103795A (ja) 1999-10-01 2001-04-13 Meidensha Corp 同期発電機の静止形励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74177A (zh) * 2023-12-05 2024-03-08 兰州理工大学 一种考虑谐振的阻容撬棒参数确定及匹配控制方法
CN117674177B (zh) * 2023-12-05 2024-06-04 兰州理工大学 一种考虑谐振的阻容撬棒参数确定及匹配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018B1 (ko) 200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0647B2 (en) Fault current limiter
US8520345B2 (en) Protection circuit applied to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employing double-fed induction generator
CN103038992B (zh) 带保护功能的开关电源电路
JP5210424B2 (ja) 保護機能付き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738247B2 (en) DC-DC converter
JP4931754B2 (ja) 漏電遮断器
TW546909B (en) Fault detecting circuit for brake switching element of frequency transformer and frequency transformer
US69612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wer to circuit breakers
JP2015170427A (ja) 漏電遮断器
JP2008295254A (ja) 避雷器
KR100905018B1 (ko) 풍력발전기용 크로우 바 회로
US6577485B2 (en) Ultra-wide input range power supply for circuit protection devices
JP5166730B2 (ja) 三相漏電遮断器
CN111049410A (zh) 电能装换装置的控制方法和电能转换系统
JP2005019133A (ja) ヒューズ溶断検出装置
KR101498981B1 (ko) 버스 바 연결 자계 변환 전원 공급 장치
US11581799B2 (en) Ripple detector for monitoring a supply to galvanically isolated gate driver
US20230275514A1 (en) Energy supply device with safety-related shut-down facility and method of switching off the device
JP4172634B2 (ja) 3相3線式欠相保護付き回路遮断器
JPH08237944A (ja) スイッチングモード電源装置
US8854774B1 (en) Nanut fault current limiter circuits
JP7110893B2 (ja) スイッチの駆動装置
JP200111993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保護回路
JP6365724B1 (ja) 直流遮断装置
JP2004241288A (ja) X線高電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