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905A - 인장시험기 - Google Patents

인장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905A
KR20080088905A KR1020070031782A KR20070031782A KR20080088905A KR 20080088905 A KR20080088905 A KR 20080088905A KR 1020070031782 A KR1020070031782 A KR 1020070031782A KR 20070031782 A KR20070031782 A KR 20070031782A KR 20080088905 A KR20080088905 A KR 2008008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ngth
adjustment
screw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949B1 (ko
Inventor
최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949B1/ko
Publication of KR2008008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을 시험할 수 있는 인장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기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대(30)와;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고, 시험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60)가 구비되는 고정스탠드(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0)에는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경사조절돌기(22)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대(30)에는 상기 경사조절돌기(22)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수개의 경사조절홀이(34)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30)는 상기 지지대(2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기에 의하면, 고정대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커넥터의 터미널유지력을 손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커넥터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 터미널유지력의 계산과정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인장시험기, 지그, 커넥터, 케이블, 터미널

Description

인장시험기{A tensile tes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인장시험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a 내지 도6c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터미널유지력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지지대 22: 경사조절돌기
24: 회전축홀 30: 고정대
32: 회전축 34: 경사조절홀
36: 가이드홈 38: 고정스탠드
40: 수직프레임 42: 높이조절돌기
44: 가이드부 50: 연결구
52: 길이조절삽입부 54: 길이조절돌기
56: 높이조절기둥 58: 높이조절홀
60: 고정구 62: 지그
64: 고정부 66: 길이조절부
68: 길이조절홀 138: 고정스탠드
150: 연결구 152: 길이조절삽입부
153a: 지지기둥 155: 나사홀
156: 높이조절기둥 158: 높이조절홀
160: 고정구 162: 지그
164: 고정부 166: 길이조절부
168: 스크류삽입홀 170: 길이조절스크류
172: 스크류 174: 고정판
176: 연결봉 178: 손잡이
180: 스크류고정부 182: 나사삽입홀
C: 커넥터 W: 케이블
J: 인장지그
본 발명은 인장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각도에서 커 넥터의 터미널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시험할 수 있는 인장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나 기기의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 등 기계장치의 내부에는 각종 케이블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는 터미널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터미널은 상대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연결되거나, 기타 회로기판 등에 실장되어 접속기구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기계장치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사용되는 분야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터미널유지력을 갖추어야 한다.
커넥터의 터미널유지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인장시험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인장시험은 공업용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알기 위한 기본적인 시험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대한 물질의 저항성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재료강도에 관한 기본적인 설계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며, 이를 통해 공업용 재료의 변형 과정과 응력의 변화를 조사하며, 재료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인 특성과 탄성한계, 비례한계, 탄성계수의 물리적 특성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인장시험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블(W)과 커넥터(C)를 고정하는 홀더(1)(2)가 설치되며, 일측 홀더(1)는 고정부재(3)에 고정되고, 타측 홀더(2)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가동부재(4)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된다. 상기 홀더(1)(2)는 양측으로 분할되어 일측에 설치된 조절레버(5)(6)에 의해 간격조절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장시험을 위해 케이블(W)의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3)에 설치된 일측 홀더(1)와 상기 가동부재(4)에 설치된 타측 홀더(2)를 상기 조절레버(5)(6)로 간격을 넓히고, 그 사이에 케이블(W)과 커넥터(C)를 각각 위치시킨 다음, 다시 상기 조절레버(5)(6)를 이용하여 각 홀더(1)(2)의 간격을 좁혀 그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W)과 커넥터(C)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W)과 커넥터(C)가 고정되면 상기 가동부재(4)를 이동시켜 터미널유지력시험을 실시한다.
터미널유지력시험이 실행되면 상기 케이블(W)을 통해서 터미널에 인장력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 커넥터(C)의 터미널유지력 이상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C)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가해진 인장력을 바탕으로 커넥터(C)가 가진 터미널유지력을 알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에 연결된 케이블(W)은 커넥터(C)에 수직한 방향뿐만 아니라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하여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커넥터(C)에서 케이블(W)의 연결방향이 30도, 60도, 90도 등 일정각도 경사진 경우에 터미널유지력에 대한 시험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인장시험기에서, 커넥터(C)와 연결된 케이블(W)의 경사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가동부재(4)를 이동하여 커넥터(C)와 케이블(W)의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야 하는데, 상기 가동부재(4)의 정확한 이동거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동부재(4)의 정확한 이동거리를 확보하여 일정 각도에 대한 인장력이 측정되더라도, 인장시험기에 측정된 인장력에 경사각도 형성에 따른 별도의 계산과정이 부가되어, 터미널유지력 측정에 대해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시험기에서 가동부재의 이동 없이 커넥터와 케이블이 다양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터미널유지력을 손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커넥터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커넥터와 케이블이 형성하는 경사각도에 따른 별도의 계산과정의 추가 없이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고, 시험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가 구비되는 고정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스탠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고정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에는 상기 회전축홀에 대응되어 회전축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에는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경사조절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대에는 상기 경사조절돌기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수개의 경사조절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대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대의 상면에는 가이드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탠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높이조절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높이조절돌기에 대응되어 높이조절홀이 상기 연결구의 삽입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높이 조절홀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기둥과 상기 높이조절기둥의 상단에 구비되고 홈이 형성되는 길이조절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구가 상기 연결구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에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조절홀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는 횡단면이 'T'자 형상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삽입홈에 대응되어 삽입가능하도록 'T'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상면에는 가이드홈이 요입되게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구와; 상기 연결구를 관통하여 고정구의 돌출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스크류와;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조절스크류를 상기 연결구에 고정하는 스크류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는 높이조절기둥과 상기 높이조절기둥의 상단에 구비되고 홈이 형성되는 길이조절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는 횡단면이 'T'자 형상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삽입홈에 대응되어 삽입가능하도록 'T'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의 상단에는 나사선이 둘러선 스크류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스크류는 상기 스크류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구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나사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나사부의 일단에는 상기 길이조절스크류가 연결구에 고정되도록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고정부는 상기 나사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ㄷ'자로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기에 의하면, 고정대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커넥터의 터미널유지력을 손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커넥터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 터미널유지력의 계산과정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대(20)가 판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0)는 2개가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대(3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는 경사조절돌기(2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경사조절돌기(22)는 상기 고정대(30)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20)에서 상기 경사조절돌기(22)의 하부에는 회전축홀(24)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홀(24)은 고정대(30)가 회전할 때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지지대(20)에는 고정대(3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3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길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대(30)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터 미널유지력 측정을 위한 커넥터(C)와 케이블(W)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대(30)의 측면에는 회전축(32)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32)은 상기 고정대(30)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홀(24)에 삽입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32)이 상기 고정대(30)에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홀(24)은 상기 회전축(32)에 대응되어, 상기 고정대(30)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2)의 상부에는 상기 경사조절돌기(22)에 대응되게 경사조절홀(34)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경사조절홀(34)은 상기 고정대(30)가 상기 지지대(20)에 대하여 소정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2)은 상기 경사조절돌기(22)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조절홀(34)은 바람직하게는 15도 또는 3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대(30)의 상면에는 가이드홈(36)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6)은 상기 고정대(3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6)은 바람직하게는 'ㅗ'자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스탠드(38)의 운동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고정대(30)에는 상기 가이드홈(36)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30)의 선단과 후단으로 이동가능한 고정스탠드(38)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고정스탠드(38)는 두 개가 구비되어, 커넥터(C)를 양쪽에서 지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스탠드(38)는 상기 가이드홈(36)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30) 상에 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40)과, 상기 수직프레임(4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구(50)와, 상기 연결구(50)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40)은 대략 사각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길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직프레임(40)의 내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높이조절기둥(56)이 삽입되도록 비어있다. 상기 수직프레임(40)은 상기 가이드홈(36)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30)의 선단과 후단 사이를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40)은 상기 고정대(30)에 구비된 다른 수직프레임(40)과 시험 객체인 커넥터(C)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고정한다.
상기 수직프레임(40)의 내측면에는 높이조절돌기(4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돌기(42)는 상기 수직프레임(40)의 내측벽 내부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재로 지지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높이조절홀(56)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수직프레임(40)의 하단에는 가이드부(44)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44)는 상기 가이드홈(36)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프레임(40)을 상기 고정대(30)의 선단과 후단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수직프레임(40)의 내부에는 연결구(50)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구(50)에는 대략 육면체형상을 한 길이조절삽입부(52)가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52)의 내부에는 횡단면이 'T'자 형상인 삽입홈(53)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52)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홈(53)을 향하여 길이조절돌기(5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돌기(42)는 상기 길이조절삽입부(52) 의 내측면 내부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재로 지지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길이조절홀(68)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52)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4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높이조절기둥(56)이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기둥(56)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구(50)가 상기 수직프레임(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홀(58)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홀(58)은 상기 높이조절기둥(56)의 삽입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홀(58)에는 상기 높이조절돌기(42)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구(50)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높이조절돌기(42)와 상기 높이조절홀(58)은 다수개 구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52)에는 고정구(60)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구(60)의 일측에는 대략 육면체형상을 하고 길게 연장된 지그(62)가 구비된다. 상기 지그(62)의 일단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고정부(6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64)는 커넥터(C)를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64)가 구비된 지그(62)의 반대측에는 고정구(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길이조절부(66)가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부(66)는 상기 삽입홈(53)에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T'자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길이조절부(66)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길이조절홀(68)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홀(68)은 상기 길이조절부(66)의 삽입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 비된다. 상기 길이조절홀(68)에는 상기 길이조절돌기(54)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구(60)를 상기 연결구(5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6c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터미널유지력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인 작업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커넥터(C)를 상기 연결구(50)와 상기 고정구(60)의 지그(62)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길이조절홀(68)에는 상기 길이조절돌기(54)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구(60)를 고정시킨다.
상기 길이조절홀(68)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요입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C)의 크기에 따라, 상기 커넥터(C)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고정구(60)의 연장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구(60)에 구비된 상기 지그(62)가 커넥터(C)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C)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W)은 상기 커넥터(C)에 인장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별도로 설치된 인장지그(J)에 연결된다.
커넥터(C)의 인장시험을 위해 적당한 높이가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구(50)에 구비된 상기 높이조절기둥(56)을 상하로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를 찾는다. 상기 높이조절기둥(56)에 형성된 높이조절홀(58)에는 상기 수직프레임(40)에 형성된 상기 높이조절돌기(42)가 삽입됨으로써 커넥터(C)의 높이가 고정된다.
최종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커넥터(C)와 케이블(W)의 각도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대(30)를 회전시킨다. 상기 고정대(30)는 상기 고정대(30)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회전축(32)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32)의 주변에 요입되어 형성된 상기 경사조절홀(34)에는 상기 고정대(3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한 후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조절돌기(2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상기 고정대(30)가 소정 각도 기울어지면, 상기 고정대(30)에 설치된 상기 고정구(60)가 소정 각도로 경사도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커넥터(C)와 이에 연결된 케이블(W)도 소정 각도를 형성한 채, 상기 케이블(W)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인장지그(J)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케이블(W)이 팽팽해지고, 인장력이 상기 커넥터(C)의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전달된다. 상기 인장지그(J)의 계속적인 이동으로 인해 인장력은 증가하게 되고, 인장력이 터미널유지력의 한계치 이상으로 작용하면, 상기 커넥터(C)와 터미널은 분리된다.
상기 커넥터(C)와 상기 터미널이 분리되면, 인장시험기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분리되는 순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길이조절을 위한 연결구(150)와 고정구(160)의 구조가 상이한 것으로 고정스탠드(138)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140)의 내부에는 연결구(150)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구(150)에는 대략 육면체형상을 한 길이조절삽입부(152)가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의 내부에는 횡단면이 'T'자 형상인 삽입홈(153)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의 상단은 소정간격으로 어긋나 높이를 달리하는 단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의 끝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두개의 지지기둥(153a)이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의 상단이 어긋나 단이 형성된 공간과 상기 지지기둥(153a) 사이에는 고정홈(15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54)에는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의 아래방향으로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홀(155)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4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높이조절기둥(156)이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기둥(156)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구(150)가 상기 수직프레임(1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홀(158)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홀(158)은 상기 높이조절기둥(156)의 삽입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홀(158)에는 상기 높이조절돌기(142)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구(150)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에는 고정구(160)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구(160)의 일측에는 대략 육면체형상을 하고 길게 연장된 지그(162)가 구비된다. 상기 지그(162)의 일단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고정부(16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64)는 커넥터(C)를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64)가 구비된 지그(162)의 반대측에는 상기 고정구(1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길이조절부(166)가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부(166)는 상기 삽입홈(153)에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T'자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길이조절부(166)의 상단에는 나사산과 나사골이 둘러선 스크류삽입홀(168)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166)에는 길이조절스크류(170)가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길이조절스크류(170)에는 상기 스크류삽입홀(168)에 대응되도록 나사부(172)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72)의 둘레에는 나사산과 나사골이 연속되게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72)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홈(154)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스크류(170)를 고정하는 고정판(174)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174)은 상기 나사부(172)가 회전할 때, 상기 고정홈(154)에 구비되어 상기 길이조절스크류(17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판(174)은 상기 나사부(172)와 함께 회전하기 위해서 원판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부(172)가 연결된 상기 고정판(174)의 반대면에는 연결봉(176)을 통하여 손잡이(17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봉(176)은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지지기둥(153a) 사이를 관통한다.
상기 고정홈(154)에는 상기 고정판(174)이 흔들리지 않도록 스크류고정부(180)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고정부(180)는 대략 'ㄷ'자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판(17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고정부(180)의 양측단에는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삽입홀(18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삽입홀(182)에는 나사가 삽입되어 상기 길이조절삽입부(152)와 상기 스크류고정부(180)를 고정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장시험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C)를 상기 연결구(150)와 상기 고정구(160)의 지그(162)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길이조절스크류(170)의 손잡이(178)를 회전시킨다. 상기 길이조절스크류(170)는 상기 고정판(174)이 상기 지지기둥(153a)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삽입홀(168)에 상기 나사부(172)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178)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구(160)의 길이조절부(166)가 상기 연결구(150)의 길이조절삽입부(152)의 내외부로 이동한다.
상기 고정구(1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구(160)에 구비된 지그(162)가 커넥터(C)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C)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W)은 상기 커넥터(C)에 인장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별도로 설치된 인장지그(J)에 연결된다.
커넥터(C)의 인장시험을 위해 적당한 높이가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연결구(150)에 구비된 높이조절기둥(156)을 상하로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를 찾는다.상기 높이조절기둥(156)에 돌출된 높이조절홀(158)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40)에 형 성된 높이조절돌기(142)가 삽입됨으로써 커넥터(C)의 높이가 고정된다.
최종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커넥터(C)와 케이블(W)의 각도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대(30)를 회전시킨다. 상기 고정대(30)는 측면에 구비된 상기 회전축(32)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32)의 주변에 돌출되어 있는 상기 경사조절홀(34)에는 상기 고정대(3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한 후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조절돌기(2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상기 고정대(30)가 소정 각도 기울어지면, 상기 고정대(30)에 설치된 상기 고정구(160)가 상기 각도만큼 경사도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커넥터(C)와 이에 연결된 케이블(W)도 상기 각도를 형성한 채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장지그(J)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케이블(W)이 팽팽해지고, 인장력이 커넥터(C)의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전달된다. 인장지그(J)의 계속적인 이동으로 인해 인장력은 증가하게 되고, 상기 커넥터(C)와 이에 연결된 터미널의 터미널유지력이 한계치 이상으로 인장되면, 상기 커넥터(C)와 상기 터미널은 분리된다.
상기 커넥터(C)와 상기 터미널이 분리되면, 인장시험기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분리되는 순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가동부재의 이동 없이 고정대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터와 케이블이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커넥터의 터미널유지력을 손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와 케이블이 형성하는 경사각도에 따른 별도의 계산과정의 추가 없이, 커넥터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 터미널유지력의 계산과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고, 시험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가 구비되는 고정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탠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고정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에는 상기 회전축홀에 대응되어 회전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경사조절돌기가 구 비되며, 상기 고정대에는 상기 경사조절돌기의 회전반경을 따라 다수개의 경사조절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대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상면에는 가이드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탠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높이조절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높이조절돌기에 대응되어 높이조절홀이 상기 연결구의 삽입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높이 조절홀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기둥과 상기 높이조절기둥의 상단에 구비되고 홈이 형성되는 길이조절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 는 인장시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구가 상기 연결구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에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조절홀이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는 횡단면이 'T'자 형상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삽입홈에 대응되어 삽입가능하도록 'T'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탠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구와; 상기 연결구를 관통하여 고정구의 돌출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스크류와,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조절스크류를 상기 연결구에 고정하는 스크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높이조절기둥과 상기 높이조절기둥의 상단에 구비되고 홈이 형성되는 길이조절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는 횡단면이 'T'자 형상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삽입홈에 대응되어 삽입가능하도록 'T'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의 상단에는 나사선이 둘러선 스크류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스크류는 상기 스크류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구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나사부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일단에는 상기 길이조절스크류가 연결구에 고정되도록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길이조절삽입부에 형성된 고정 홈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고정부는 상기 나사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ㄷ'자로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기.
KR1020070031782A 2007-03-30 2007-03-30 인장시험기 KR100868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782A KR100868949B1 (ko) 2007-03-30 2007-03-30 인장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782A KR100868949B1 (ko) 2007-03-30 2007-03-30 인장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905A true KR20080088905A (ko) 2008-10-06
KR100868949B1 KR100868949B1 (ko) 2008-11-17

Family

ID=4015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782A KR100868949B1 (ko) 2007-03-30 2007-03-30 인장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9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0211A (zh) * 2018-08-06 2018-12-18 江苏科技大学 一种多功能组合拉伸夹具及其使用方法
CN117147280A (zh) * 2023-10-30 2023-12-01 东方蓝天钛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飞行器金属支架拉弯扭偏测试的装卡装置
CN117367970A (zh) * 2023-12-05 2024-01-09 山东黄金矿业科技有限公司充填工程实验室分公司 矿山充填体抗拉强度测试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59Y1 (ko) 2009-09-28 2012-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휨변형 시험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876B1 (ko) * 1996-11-23 1999-10-15 유기범 시료의 인장시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직인장시험기
JPH11230893A (ja) * 1998-02-17 1999-08-27 Daiwa House Ind Co Ltd 引張り機及び引張り用傾斜保持治具
KR200174956Y1 (ko) 1999-10-21 2000-03-15 이동기 부식실험 설비의 인장하중 부과장치
JP4439682B2 (ja) 2000-05-15 2010-03-24 Jsr株式会社 被覆ファイバの力学特性試験方法および引張試験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0211A (zh) * 2018-08-06 2018-12-18 江苏科技大学 一种多功能组合拉伸夹具及其使用方法
CN109030211B (zh) * 2018-08-06 2023-12-05 江苏科技大学 一种多功能组合拉伸夹具及其使用方法
CN117147280A (zh) * 2023-10-30 2023-12-01 东方蓝天钛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飞行器金属支架拉弯扭偏测试的装卡装置
CN117147280B (zh) * 2023-10-30 2024-01-09 东方蓝天钛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飞行器金属支架拉弯扭偏测试的装卡装置
CN117367970A (zh) * 2023-12-05 2024-01-09 山东黄金矿业科技有限公司充填工程实验室分公司 矿山充填体抗拉强度测试装置
CN117367970B (zh) * 2023-12-05 2024-03-08 山东黄金矿业科技有限公司充填工程实验室分公司 矿山充填体抗拉强度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949B1 (ko) 2008-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3889B (zh) 检查治具以及基板检查装置
KR20080088905A (ko) 인장시험기
US9395269B2 (en) Device for holding voice coil motor during tests and test fixture for testing voice coil motor
CN104111014B (zh) 尺寸测量装置
JP4909803B2 (ja) プローブ組立体及び検査装置
CN201569384U (zh) 一种千分表检查仪的辅助夹具
CN108931432A (zh) 电池焊接拉力测试设备
US6397667B1 (en) Surface property measuring device
CN210719962U (zh) 线路板焊点弯曲应力实验装置
KR20050095539A (ko) 프로브장치
US7688094B2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KR101010534B1 (ko) 비주얼검사용 머니퓰레이터부 및 프로브블록부를 구비한 프로브 유닛
CN212458221U (zh) 一种线路板弯曲度检测装置
KR20220106496A (ko) 검사 프로브 위치 고정 지그 및 그를 포함하는 위치 이동 장치
KR20160013350A (ko) 시험편의 직립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장시험기
KR20080017108A (ko) 위치 가변적 온도 측정 장치
JP5287139B2 (ja) ねじ有効径測定用保持治具
CN201707423U (zh) 一种手动芯片测试机
JP2008185570A (ja) プローブユニット及び検査装置
KR20210050619A (ko) 전동기 밸런싱 측정장치
KR20090060790A (ko) 인장시험기
KR101093134B1 (ko) 미세피치 전송선로의 신호 전달특성 측정장치
CN220807043U (zh) 一种小件样品多联检测装置
JP6576176B2 (ja) プローブユニットおよび基板検査装置
CN217332565U (zh) 一种超细超长测试针的装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