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759A -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759A
KR20080088759A KR1020070031461A KR20070031461A KR20080088759A KR 20080088759 A KR20080088759 A KR 20080088759A KR 1020070031461 A KR1020070031461 A KR 1020070031461A KR 20070031461 A KR20070031461 A KR 20070031461A KR 20080088759 A KR20080088759 A KR 20080088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eamed
drying
steam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식
Original Assignee
주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식 filed Critical 주원식
Priority to KR102007003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8759A/ko
Publication of KR2008008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산 쌀가루에 증숙된 안남미와 카스테라가루를 배합하여 증숙함으로써, 동양적인 떡의 맛과 서양적인 카스테라의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으며, 떡 내에서 혼합수액에 코팅된 안남미가 씹힘으로써 사용되는 혼합수액에 따라 다양한 향과 안남미의 질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으며,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된 떡의 상부에 육류 또는 어패류를 올려놓는 초밥의 대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쌀알갱이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알갱이떡은 쌀을 물에 세척하는 제 1 세척단계와, 상기 제 1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쌀을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불림단계와, 상기 제 1 불림단계에서 물에 불려진 쌀을 탈수하는 제 1 탈수단계와, 상기 제 1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쌀을 증숙하는 제 1 증숙단계와, 상기 제 1 증숙단계에서 증숙된 증숙쌀을 물에 세척하는 제 2 세척단계와, 상기 제 2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증숙쌀을 탈수하는 제 2 탈수단계와, 상기 제 2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1 건조단계와, 상기 제 1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증숙쌀을 혼합수액에 침지하여 코팅하는 제 1 코팅단계와, 상기 제 1 코팅단계에서 코팅진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2 건조단계와, 상기 제 2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증숙쌀에 혼합수액을 분무코팅하는 제 2 코팅단계와, 상기 제 2 코팅단계에서 분무코팅 된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3 건조단계와, 상기 제 3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증숙쌀과, 국내산 쌀가루 및 카스테라가루를 배합하여 배합물을 형성하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된 배합물을 성형틀 내 에 충전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틀 내에 충전된 배합물을 증숙하는 제 2 증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떡, 쌀알갱이, 안남미, 쌀가루, 카스테라가루

Description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RICE CAKE CONTAINS GRAINS OF R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본 발명은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내산 쌀가루에 증숙된 안남미와 카스테라가루를 배합하여 증숙함으로써, 동양적인 떡의 맛과 서양적인 카스테라의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으며, 떡 내에서 혼합수액에 코팅된 안남미가 씹힘으로써 사용되는 혼합수액에 따라 다양한 향과 안남미의 질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으며,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된 떡의 상부에 육류 또는 어패류를 올려놓는 초밥의 대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쌀알갱이떡에 관한 것이다.
떡이란 쌀(멥쌀과 찹쌀)을 주로 하고, 그 밖의 곡류로 만든 가공식품을 통칭하는 것으로써, 한국에서 떡은 관혼상제의 의식 때에는 물론, 철에 따른 명절, 출 산에 따르는 아기의 백일이나 돌, 또는 생일 ·회갑, 그 밖의 잔치에는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떡의 유래는 낙랑유적으로 추측해 볼 때, 한민족이 떡을 먹기 시작한 것은 원시농경이며 이 당시는 피, 기장, 보리, 밀과 같은 곡식을 이용하여 찐 떡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유래를 갖는 떡은 최근 떡집이나 할인마트 또는 빵 전문점을 통하여서도 접하여 볼 수 있을 정도로 대중적인 음식이 되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먹거리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떡은 정해진 종류의 떡 이외에 다양한 향이나 질감을 느낄 수 있는 떡이 부족하여, 쉽사리 질리게 되어 밥의 대용으로서 취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주로 찹쌀과 맵쌀이 주성분으로 사용됨에 따라 찰진 질감으로 인해 외국인이 먹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국내산 쌀가루에 증숙된 안남미와 카스테라가루를 배합하여 증숙함으로써, 동양적인 떡의 맛과 서양적인 카스테라의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쌀알갱이 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떡 내에서 혼합수액에 코팅된 안남미가 씹힘으로써 사용되는 혼합수액에 따라 다양한 향과 안남미의 질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쌀 알갱이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된 떡의 상부에 육류 또는 어패류를 올려놓는 초밥의 대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쌀알갱이 떡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쌀알갱이떡은 쌀을 물에 세척하는 제 1 세척단계와, 상기 제 1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쌀을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불림단계와, 상기 불림단계에서 물에 불려진 쌀을 탈수하는 제 1 탈수단계와, 상기 제 1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쌀을 증숙하는 제 1 증숙단계와, 상기 제 1 증숙단계에서 증숙된 증숙쌀을 물에 세척하는 제 2 세척단계와, 상기 제 2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증숙쌀을 탈수하는 제 2 탈수단계와, 상기 제 2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1 건조단계와, 상기 제 1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증숙쌀을 혼합수액에 침지하여 코팅하는 제 1 코팅단계와, 상기 제 1 코팅단계에서 코팅진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2 건조단계와, 상기 제 2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증숙쌀에 혼합수액을 분무코팅하는 제 2 코팅단계와, 상기 제 2 코팅단계에서 분무코팅 된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3 건조단계와, 상기 제 3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증숙쌀과, 국내산 쌀가루 및 카스테라가루를 배합하여 배합물을 형성하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된 배합물을 성형틀 내에 충전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틀 내에 충전된 배합물을 증숙하는 제 2 증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증숙단계에서 증숙되는 쌀은 안남미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코팅단계 및 제 2 코팅단계에서 사용되는 혼합수액은 물에 과일, 차, 향신료 및 조미료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배합단계에서 배합되는 증숙쌀, 국내산 쌀가루 및 카스테라가루의 배합비율은 증숙쌀이 5중량% 내지 15중량%, 쌀가루가 30중량% 내지 50중량%, 카스테라가루가 40중량% 내지 60중량% 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떡볶이떡 또는 가래떡의 제조시에는 상기 성형단계 후 상기 제 2 증숙단계의 순서가 상기 제 2 증숙단계 후 상기 성형단계의 순서로 변경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갱이떡의 제조방법은 쌀을 물에 세척하는 제 1 세척단계(S101)와, 상기 제 1 세척단계(S101)에서 세척된 쌀을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불림단계(S103)와, 상기 불림단계(S103)에서 물에 불려진 쌀을 탈수하는 제 1 탈수단계(S105)와, 상기 제 1 탈수단계(S105)에서 탈수된 쌀을 증숙하는 제 1 증숙단계(S107)와, 상기 제 1 증숙단계(S107)에서 증숙된 증숙쌀을 물에 세척하는 제 2 세척단계(S109)와, 상기 제 2 세척단계(S109)에서 세척된 증숙쌀을 탈수하는 제 2 탈수단계(S111)와, 상기 제 2 탈수단계(S111)에서 탈수된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1 건조단계(S113)와, 상기 제 1 건조단계(S113)에서 건조된 증숙쌀을 혼합수액에 침지하여 코팅하는 제 1 코팅단계(S115)와, 상기 제 1 코팅단계(S115)에서 코팅진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2 건조단계(S117)와, 상기 제 2 건조단계(S117)에서 건조된 증숙쌀에 혼합수액을 분무코팅하는 제 2 코팅단계(S119)와, 상기 제 2 코팅단계(S119)에서 분무코팅 된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3 건조단계(S121)와, 상기 제 3 건조단계(S121)에서 건조된 증숙쌀과, 국내산 쌀가루 및 카스테라가루를 배합하여 배합물을 형성하는 배합단계(S123)와, 상기 배합단계(S123)에서 배합된 배합물을 성형틀 내에 충전하는 성형단계(S125)와, 상기 성형단계(S125)에서 성형틀 내에 충전된 배합물을 증숙하는 제 2 증숙단계(S1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세척단계(S101)는 쌀을 물에 세척하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쌀의 표면에 형성되는 오염물질이나 쌀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쌀은 통상적으로 인도차이나 반도의 안남 지방에서 생산하는 쌀인 안남미(安南米)인 것으로 한다.
이는, 추후에 설명될 배합단계(S123)에서 배합되는 국내산 쌀가루의 찰기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제 1 세척단계(S101)에서 세척된 쌀은 불림단계(S103)에서 물에 침지되어 불려지는데, 쌀이 물에 침지되어 불려짐으로써 수분이 적당하게 흡수되어 조직이 느슨해져 추후 증숙 시에 쉽게 쌀이 익혀지게 된다.
전술한 불림단계(S103)에서 물에 불려진 쌀은 제 1 탈수단계(S105)에서 어느정도 물기가 제거된다.
전술한 제 1 탈수단계(S105)에서 어느정도 물기가 제거된 쌀은 제 1 증숙단계(S107)에서 증숙되는데, 증숙 방법 및 온도는 통상적으로 밥을 하는 방법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1 증숙단계(S107)에서 증숙된 증숙쌀은 제 2 세척단계(S109)에서 물에 세척된 다음, 다시 제 2 탈수단계(S111)에서 어느정도 물기가 제거된다.
전술한 제 2 세척단계(S109)에서 물에 세척되고 제 2 탈수단계(S111)에서 물기가 제거된 증숙쌀은 제 1 건조단계(S113)에서 남아있는 물기가 제거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건조방법은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 다양한 건조 방법중 어느 한 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건조단계(S113)에서 물기가 제거된 증숙쌀은 제 1 코팅단계(S115)에서 혼합수액에 침지시켜 코팅하는데, 침지하는 과정에서 증숙쌀 내에 혼합수액이 흡수됨으로써 증숙쌀은 혼합수액의 맛과 향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혼합수액은 물에 과일, 차, 향신료 및 조미료 중 어느 한 가 지 이상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과일에는 오렌지, 딸기, 멜론, 바나나, 파인에플, 배, 수박, 체리, 포도, 키위, 복숭아, 사과, 귤이 포함되고, 차에는 커피, 코코아, 녹차, 홍차, 민트차, 홍삼차, 보리차, 레몬차, 유자차, 인삼차가 포함되며, 향신료 및 조미료에는 간장, 된장, 고추장, 핫소스, 고추냉이, 김치, 마늘, 생강, 후추, 케첩, 카레, 참기름, 스테이크소스, 칠리소스, 고춧가루, 설탕, 꿀, 소금, 다시다, 미원, 춘장이 포함되되,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과일, 차, 향신료 및 조미료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 1 코팅단계(S115)에서 침지되어 코팅된 증숙쌀은 제 2 건조단계(S117)에서 건조되는데, 이 제 2 건조단계(S117)는 전술한 제 1 건조단계(S113)와 마찬가지로 사용되는 건조방법은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 다양한 건조 방법 중 어느 한 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 2 건조단계(S117)에서 건조된 증숙쌀은 제 2 코팅단계(S119)에서 혼합수액을 분무코팅하는데, 이 과정을 통해 건조된 증숙쌀의 외표면은 혼합수액에 의해서 한번 더 코팅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혼합수액은 전술한 제 1 코팅단계(S115)에서 사용되는 혼합수액과 같은것으로 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2 코팅단계(S119)에서 코팅된 증숙쌀은 제 3 건조단계(S121)를 통해 건조되는데, 이 제 3 건조단계(S121)는 전술한 제 1 건조단계(S113) 및 제 2 건조단계(S117)와 마찬가지로 사용되는 건조방법은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 다양한 건조 방법 중 어느 한 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 3 건조단계(S121)에서 건조된 증숙쌀은 배합단계(S123)에서 국내산 쌀가루 및 카스테라가루와 함께 배합되는데, 이 국내산 쌀가루는 국내산 멥쌀가루이거나 국내산 찹쌀가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증숙쌀, 국내산 쌀가루 및 카스테라가루의 배합비율은 증숙쌀이 5중량% 내지 15중량%, 쌀가루가 30중량% 내지 50중량%, 카스테라가루가 40중량% 내지 60중량% 인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배합단계(S123)에서 배합된 배합물은 성형단계(S125)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성형틀 내에 충전한다.
그런 다음, 제 2 증숙단계(S127)를 통해 성형틀 내에 충전되는 배합물을 증숙하는데. 이때 증숙하는 방법 및 온도는 통상적으로 떡을 증숙하는 방법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떡볶이떡 또는 가래떡의 제조시에는 성형단계(S125) 후 제 2 증숙단계(S127)의 순서가, 제 2 증숙단계(S127) 후 성형단계(S125)의 순서로 변경실시되는데, 즉 성형틀 내에 충전한 후 증숙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증숙단계(S127)에서 증숙한 후 성형단계(S125)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떡볶이떡 또는 가래떡을 뽑아내게 된다.
또한, 제 2 증숙단계(S127)를 거쳐 제조된 쌀알갱이떡은 그 상부에 육류 또는 어패류를 올려놓아 초밥의 대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세척단계(S101)에서 쌀을 물에 세척하고, 불림단계(S103)에서 제 1 세척단계(S101)에서 세척된 쌀을 물에 침지하여 불려주는데, 여기서 쌀은 안남미(安南米)인 것으로 한다.
그런 다음, 제 1 탈수단계(S105)에서 물에 불려진 쌀을 탈수하여 어느정도 물기를 제거한 다음 제 1 증숙단계(S107)에서 쌀을 증숙한다.
그런 다음, 제 2 세척단계(S109)에서 증숙된 증숙쌀을 물에 세척한 후, 제 2 탈수단계(S111)에서 세척된 증숙쌀을 탈수하여 어느정도 물기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제 1 건조단계(S113)에서 탈수된 증숙쌀을 자연건조 방식으로 건조한 후 제 1 코팅단계(S115)에서 증숙쌀을 혼합수액에 침지하여 코팅하는데, 이 혼합수액은 물에 오렌지 건조분말이 혼합된 것으로 한다.
그런 다음, 제 2 건조단계(S117)에서 코팅진 증숙쌀을 건조한 후, 제 2 코팅단계(S119)에서 건조된 증숙쌀에 혼합수액을 분무코팅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혼합수액은 전술한 제 1 코팅단계(S115)와 동일한 물에 오렌지 건조분말이 혼합된 것으로 한다.
그런 다음, 제 3 건조단계(S121)에서 분무코팅 된 증숙쌀을 건조한 후, 배합단계(S123)에서 건조된 증숙쌀과, 국내산 쌀가루 및 카스테라가루를 배합하여 배합물을 형성하는데, 배합비율은 증숙쌀 : 국내산 쌀가루 : 카스테라가루 = 11중량% : 40중량% : 49중량% 인 것으로 한다.
그런 다음, 성형단계(S125)에서 배합된 배합물을 성형틀 내에 충전한 후 제 2 증숙단계(S127)에서 최종적으로 성형틀 내에 충전된 배합물을 증숙하여 쌀알갱이떡을 제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갱이 떡의 제조방법은 국내산 쌀가루에 증숙된 안남미와 카스테라가루를 배합하여 증숙함으로써, 동양적인 떡의 맛과 서양적인 카스테라의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떡 내에서 혼합수액에 코팅된 안남미가 씹힘으로써 사용되는 혼합수액에 따라 다양한 향과 안남미의 질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된 떡의 상부에 육류 또는 어패류를 올려놓는 초밥의 대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쌀을 물에 세척하는 제 1 세척단계;
    상기 제 1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쌀을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불림단계;
    상기 제 1 불림단계에서 물에 불려진 쌀을 탈수하는 제 1 탈수단계;
    상기 제 1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쌀을 증숙하는 제 1 증숙단계;
    상기 제 1 증숙단계에서 증숙된 증숙쌀을 물에 세척하는 제 2 세척단계;
    상기 제 2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증숙쌀을 탈수하는 제 2 탈수단계;
    상기 제 2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1 건조단계;
    상기 제 1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증숙쌀을 혼합수액에 침지하여 코팅하는 제 1 코팅단계;
    상기 제 1 코팅단계에서 코팅진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2 건조단계;
    상기 제 2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증숙쌀에 혼합수액을 분무코팅하는 제 2 코팅단계;
    상기 제 2 코팅단계에서 분무코팅 된 증숙쌀을 건조하는 제 3 건조단계;
    상기 제 3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증숙쌀과, 국내산 쌀가루 및 카스테라가루를 배합하여 배합물을 형성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된 배합물을 성형틀 내에 충전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틀 내에 충전된 배합물을 증숙하는 제 2 증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갱이떡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숙단계에서 증숙되는 쌀은 안남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갱이떡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팅단계 및 제 2 코팅단계에서 사용되는 혼합수액은 물에 과일, 차, 향신료 및 조미료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갱이떡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되는 증숙쌀, 국내산 쌀가루 및 카스테라가루의 배합비율은 증숙쌀이 5중량% 내지 15중량%, 쌀가루가 30중량% 내지 50중량%, 카스테라가루가 40중량% 내지 6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갱이떡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떡볶이떡 또는 가래떡의 제조시에는 상기 성형단계 후 상기 제 2 증숙단계의 순서가 상기 제 2 증숙단계 후 상기 성형단계의 순서로 변경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갱이떡의 제조방법.
KR1020070031461A 2007-03-30 2007-03-30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 KR20080088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461A KR20080088759A (ko) 2007-03-30 2007-03-30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461A KR20080088759A (ko) 2007-03-30 2007-03-30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759A true KR20080088759A (ko) 2008-10-06

Family

ID=4015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461A KR20080088759A (ko) 2007-03-30 2007-03-30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87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969B1 (ko) 흑마늘을 이용한 조미김 제조 방법
KR101506939B1 (ko) 콩단백을 주원료로 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368917B1 (ko) 곡물을 이용한 씨리얼 제조방법
KR20060081925A (ko) 즉석용 퓨전컵불도장 누룽지탕의 제조방법
KR20170136710A (ko)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2130919B1 (ko) 기능성 연잎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06938B1 (ko) 건과일을 이용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959870B1 (ko) 분알된 명란을 합착한 고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JP5781784B2 (ja) 魚肉の調味食品とその製造方法
KR101163562B1 (ko)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CN101675775A (zh) 香芋脆片及其生产方法
CN101675776A (zh) 地瓜薄片及其生产工艺
KR100621551B1 (ko) 도토리떡볶이 제조방법
KR102107200B1 (ko) 복원용 밥의 저온 제조방법
KR20080088759A (ko) 쌀알갱이떡의 제조방법
KR101880265B1 (ko) 더덕 장아찌를 이용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KR20060099562A (ko) 버섯 포
KR102642116B1 (ko) 달고기까스 제조방법
KR101382782B1 (ko) 스낵형 건조 김치의 제조방법 및 안주용 건조 김치
KR20150112323A (ko) 올벼 쌀 씨리얼 과자 제조방법
CN103549548A (zh) 一种糟制银杏风味食品的生产方法
CN102948829A (zh) 一种即食调味干扇贝柱的加工方法
KR102642119B1 (ko) 달고기까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달고기까스
KR101025838B1 (ko) 떡라면용 건조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308224B1 (ko)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