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083A -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083A
KR20080085083A KR1020087019268A KR20087019268A KR20080085083A KR 20080085083 A KR20080085083 A KR 20080085083A KR 1020087019268 A KR1020087019268 A KR 1020087019268A KR 20087019268 A KR20087019268 A KR 20087019268A KR 20080085083 A KR20080085083 A KR 20080085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quiry
destination
information
exchan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018B1 (ko
Inventor
아키미치 타나베
나오마사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8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5Inter-network session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 H04W36/00226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wherein the core network technologies comprise IP multimedia system [IMS], e.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할 때에, 착신 처리가 루프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의 수신부(201)가 GMSC(101)로부터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플래그 판단부(202)가,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회신부(205)는 할당부(204)에 의해 할당된 CCCF/NeDS(105)의 루팅 넘버 RN을 GMSC(101)에 회신하고,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VMSC 문의부(203)는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재권 교환기인 VMSC(107)로부터 취득하고, 회신부(205)가 취득한 재권 정보를 GMSC(101)에 대하여 회신한다.
Figure P1020087019268
수신부, 착신처, 플래그 파단부, 회신부, GMSC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공중 이동통신망을 사용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전화는 통상의 공중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기능에 덧붙여, 무선 LAN 통신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휴대전화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무선 LAN에 접속하여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휴대전화를 보유하는 사용자는 통상의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이동하면, 기지국의 통신범위 밖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무선 LAN을 사용한 통화를 하는 것, 소위 이 통신 방식간에서의 핸드 오버를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는 여기에서, 이 이 통신 방식간에서의 핸드 오버를 하기 위한 CCCF/NeDS(Call Continuity Control Function/Network Domain Selection)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 3GPP "3GPPTR 23.806 V7.0.0(2005-1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Voice Call Continuity between CS and IMS Study(Release7)", p40,6.3.4 Origination, [online], 2005년 12월 25일, 2006년 1월 6일 검색, 인터넷<URL : http : //www.3gpp.org/ftp/Specs/archive/23_series/23.806/>
발명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여기에서,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의 처리에 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그 통신 시스템 전체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이동기(100)로부터 착신 신호가 발신되면, GMSC(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 : 관문 교환기)를 몇개인가 경유하고, 최후의 GMSC에서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하여 착신처의 문의가 이루어진다(S11). HSS에서는 VMSC에 대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취득하는 것이 통상 행하여지고 있지만, 핸드 오버를 고려한 구조인 CCCF/NeDS에 한번 도메인을 결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HSS에서는 CCCF/NeDS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Routing Number)이 할당되고, 이 임시 루팅 넘버 RN이 회신된다(S12). GMSC에서는 이 임시 루팅 넘버 RN을 사용하여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인 CCCF/NeDS(Call Continuity Control Function/Network Domain Selection)에 대한 착신 신호가 출력된다(S13).
MGCF에서는 무선 LAN에 대한 호출 제어 서버인 S-CSCF(Serving-Call State Control Function)를 경유하여, CCCF/NeDS에 대하여 착신 신호가 출력된다(S14). CCCF/NeDS에서는 통신 방식을 바꾸기 위한 도메인의 결정이 행하여지고, 그 도메인에 대한 착신을 하기 위한 착신 신호가 출력된다(S15). 여기에서는 CS(Circuit Switch) 도메인(공중 이동통신망 등)에 접속하는 것이 결정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S-CSCF 및 MGCF를 경유하여 착신 신호(착신처의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함)가 GMSC에 출력된다(S16, S17).
여기에서, GMSC에서는 통신단말로부터의 착신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MGCF로부터의 착신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GMSC에서는 다시 HSS에 대하여 착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처를 문의하게 된다. HSS에서도 마찬가지로, 통신단말로부터의 착신 신호에 기초한 착신처의 문의인지, CCCF/NeDS로부터 회신된 착신 신호에 기초한 착신처의 문의인지, 판단할 수 없다. 이 때문에, HSS는 다시 CCCF/NeDS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을 할당하는 처리를 하고, 그대로 GMSC에 회신하게 된다. 따라서, 다시 상술한 처리를 함으로써,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신 방식을 결정할 때에, 착신 처리가 루프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래그 판단 수단과, 상기 플래그 판단 수단에 의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재권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대하여 회신하는 회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처에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결정 처리를 하는 동시에, 상기 결정 처리가 종료하였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를 착신 신호에 부가하는 부가 수단과, 상기 부가 수단에 의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착신 신호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는 회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은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처에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결정 처리를 하는 동시에, 상기 결정 처리가 종료하였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를 착신 신호에 부가하는 부가 스텝과, 상기 부가 스텝에 의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착신 신호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는 회신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래그 판단 스텝과, 상기 플래그 판단 스텝에 의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재권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대하여 회신하는 회신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를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재권 정보를 관문 교환기에 대하여 회신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처에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결정 처리를 하는 동시에, 상기 결정 처리가 종료하였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를 착신 신호에 부가하여,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착신 신호를 관문 교환기에 회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문 교환기에 있어서는 착신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한 문의를 반복함으로써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기억 수단에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를 기억시키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는 회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은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기억 수단에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를 기억시키는 기억 스텝과,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는 회신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발신원 정보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기억 수단에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를 기억시키고, 발신원 정보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발신원 정보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재권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관문 교환기에 회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문 교환기에 있어서는 착신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한 문의를 반복함으로써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문의원 판단 수단과, 상기 문의원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고,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는 회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동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하여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에 관한 문의 신호를 송신하는 문의 수단과, 상기 문의 수단에 의해 송신된 문의 신호의 응답으로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액세스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통신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은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문의원 판단 스텝과, 상기 문의원 판단 스텝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고,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는 회신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있어서,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동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하여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에 관한 문의 신호를 송신하는 문의 스텝과, 상기 문의 스텝에 의해 송신된 문의 신호의 응답으로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액세스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통신 처리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고,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동시에,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하여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에 관한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문의 신호의 응답으로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액세스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처리를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문 교환기에 있어서는 착신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한 문의를 반복함으로써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관문 교환기가 착신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한 문의를 반복함으로써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HSS(102)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HSS(102)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4는 HSS(102)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CCCF/NeDS(105)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은 HSS(102A)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HSS(102A)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0은 HSS(102B)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HSS(102B)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CCCF/NeDS(105B)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CCCF/NeDS(105B)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 전체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기
101 : GMSC
102, 102A, 102B : HSS
103 : MGCF
104 : S-CSCF
105, 105A, 105B : CCCF/NeDS
106 : MGW
107 : VMSC
108 : 기지국
109 : 이동기
본 발명은 1실시형태를 위해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기술을 고려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GMSC(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 : 관문 교환기), HSS(102; Home Subscriber Sever : 가입자 정보관리 서버), MGCF(103;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S-CSCF(104; Serving-Call State Control Function : 호출 제어 서버), CCCF/NeDS(105; Call Continuity Control Function/Network Domain Selection), MGW(106; Media Gateway), VMSC(107; Visitor Mobile-services Switching Center : 재권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 중, HSS(102), MGCF(103), S-CSCF(104), CCCF/NeDS(105), MGW(106)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GMSC(101)는 관문 교환기로, 네트워크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교환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기(100)와의 사이에 복수의 GMSC(101)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GMSC(101)는 이동기(100) 또는 MGCF(103)로부터의 착신 신호를 받으면, HSS(102)에 대하여 착신처의 문의 처리를 하기 위해서, 착신처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 문의 신호를 HSS(102)에 송신한다. 또, MGCF(103)로부터의 착신 신호를 받은 경우, 그 문의 신호 중에는 CCCF/NeDS(105)에 있어서 CS 도메인(공중 이동통신망 등)에 통신 방식이 결정된 것을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
GMSC(101)는 HSS(102)로부터 문의 신호의 응답으로서 액세스처를 나타내는 루팅 넘버를 수신하면, 수신한 루팅 넘버로 나타내진 액세스처에 대하여 액세스 처리를 한다. 예를 들면, GMSC(101)는 HSS(102)로부터 액세스처로서 CCCF/NeDS(105)를 나타내는 루팅 넘버 RN을 수신한 경우, MGCF(103) 및 S-CSCF(104)를 통해서 CCCF/NeDS(105)에 대하여 접속하도록 통신 제어를 한다. 또한, GMSC(101)는 HSS(102)로부터 액세스처로서 착신처의 이동기를 나타내는 루팅 넘버 N4SRN을 수신한 경우, MGCF(103) 및 MGW(106)을 경유하여 VMSC(107)에 통신 접속한다. 그리고, GMSC(101)는 VMSC(107) 및 기지국(108)을 경유하여 착신처인 이동기(109)에 통신 접속한다.
HSS(102)는 3G 네트워크에 있어서 인증 기능 및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서 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HSS(102)는 GMS(101)로부터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그 문의 신호에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HSS(102)는 문의 신호에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VMSC(107)로부터 이동기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루팅 넘버 MSRN을 취득하고, 취득한 루팅 넘버 MSRN을 GMSC(101)에 회신한다. 또, HSS(102)는 문의 신호에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CCCF/NeDS(105)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을 GMSC(101)에 회신한다.
MGCF(103)는 CS와 IMS의 사이의 제어신호의 변환을 하여, MGW(106)를 제어하는 서버이다. 또, GMSC(101)로부터의 착신 신호를 CCCF/NeDS(105)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통신 제어를 하는 서버이다. MGCF(103)는 GMS(101)로부터 송신된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루팅 넘버에 따라서, CCCF/NeDS(105)에 접속한다.
S-CSCF(104)는 IMS 용의 호출 제어 서버이고, IP 전화에서의 SIP 서버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다. S-CSCF(104)는 CCCF/NeDS(105)에 있어서 무선 LAN에 통신 접속하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 이 결정에 따라서, 무선 LAN에 대하여 통신 접속하도록 호출 제어를 한다.
CCCF/NeDS(105)는 VCC(Voice Call Continuity)로 이용되는 IMS의 ㅇ애플리케이션 서버이고, 소위 핸드 오버시에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서버이다. 이 CCCF/NeDS(105)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CS 도메인(공중 이동통신망 등)에 의한 통신을 할지, 무선 LAN을 경유한 통신을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CCF/NeDS(105)는 사용자가 지정한 요금 이상으로 과금되지 않도록 무선 LAN과 공 중 이동통신망 대신에, 또는 CCCF/NeDS(105)에서의 오퍼레이터 폴리시에 따라서, 무선 LAN과 공중 이동통신망을 바꾸어도 좋다. 또한, 착신처에 있는 이동기의 통신 상태(전파의 강약 등)에 따라서, 더욱 통신 상태가 양호한 통신 방식으로 바꾸도록 하여도 좋다. 또, 착신처의 이동기가 통신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통신하지 않은 통신 방식으로 통신 접속하도록 바꾸어도 좋다.
MGW(106)는 사용자 데이터의 IP 변환을 하는 서버이다.
VMSC(107)는 재권 교환기이고, 이동기(109)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VMSC(107)의 하위에는 기지국(108; 도면에서는 하나만을 도시하고 있음)이 복수 접속되어 있고, 이들 기지국(108)을 통해서 이동기(109)와 통신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체의 동작에 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파선은 처리 스텝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GMS(101) 사이를 경유하여 GMSC(101)에 있어서 착신 신호가 수신된다(S101). GMSC(101)에서는 착신 신호를 받으면, 이 착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착신처의 전화번호, 발신원의 전화번호 등을 사용하여 HSS(102)에 대하여 착신처의 문의의 요구를 하기 위해서, 문의 신호가 HSS(102)에 송신된다(S102). HSS(102)에서는 문의 신호 중에 식별 플래그의 유무를 판단하고,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CCCF/NeDS(105)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이 GMSC(101)에 송신된다(S103).
GMSC(101)에서는 임시 루팅 넘버 RN을 포함한 착신 신호가 MGCF(103) 및 S-CSCF(104)를 경유하여, CCCF/NeDS(105)에 송신된다(S104, S105, S106). CCCF/NeDS(105)에서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착신처의 통신 방식이 결정된 다. 여기에서는 CS 도메인으로 착신시키는 것이 결정된다. 그리고, 착신 신호에는 CS 도메인으로 착신시키는 것 및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S-CSCF(104)에 회신된다(S107).
본 실시형태에서는 CS 도메인으로 착신시키는 것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S-CSCF(104)에서는 착신 신호는 MGCF(103)를 경유하여, GMSC(101)에서 수신된다(S108, S109). GMSC(101)에서는 통상의 착신 처리(이동기로부터의 착신 처리)와 같은 처리를 하게 되고, HSS(102)에 대하여 착신처의 문의 신호가 송신된다(S110). 여기에서는 식별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는 착신 신호를 사용한 문의 신호가 송신되게 되고, HSS(102)에 있어서, 식별 플래그의 유무가 판단된다. 그리고, 식별 플래그가 있는 경우에는 HSS(102)에 있어서 VMSC(107)로부터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이 취득되어, GMSC(101)에 회신된다(S111).
GMSC(101)에서는 루팅 넘버 MSRN에 따라서, VMSC(107)에 통신 접속 처리가 행하여진다(S112).
이어서, 이와 같이 처리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HSS(102) 및 CCCF/NeDS(105)의 구성 및 그 동작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HSS(102)의 기능 블록도이다. HSS(102)는 문의 수신부(201), 프래그 판단부(202; 플래그 판단 수단), VMSC 문의부(203), 할당부(204) 및 회신부(205; 회신 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요소에 관해서 설명한다.
문의 수신부(201)는 GMSC(101)로부터의 문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플래그 판단부(202)는 GMSC(101)로부터 수신한 문의 신호에,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플래그 판단부(202)는 식별 플래그의 유무에 따라서, 식별 프래그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VMSC 문의부(203)에 착신처의 이동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식별 플래그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CCCF/NeDS(105)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을 할당하도록 할당부(204)에 지시를 출력한다.
VMSC 문의부(203)는 프래그 판단부(202)의 지시에 따라서, VMSC(107)로부터 착신처의 이동기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루팅 넘버 MSRN을 취득한다.
할당부(204)는 플래그 판단부(2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CCCF/NeDS(105)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을 할당하고, 할당한 루팅 넘버 RN을 회신부(205)에 출력한다.
회신부(205)는 문의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회신하는 부분이고, VMSC 문의부(203)로 취득한 루팅 넘버 MSRN 또는 임시 루팅 넘버 RN을 GMSC(101)에 회신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HSS(102)는 도 3에 도시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도 3은 HSS(102)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SS(102)는 CPU(1), RAM(2), ROM(3), 네트워크 제어부(4), 하드디스크(5; HD)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고, ROM(3) 또는 하드디스크(5)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가 동작함으로써, CPU(1)는 상술한 기능 블록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HSS(102)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HSS(102)의 동작을 도 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문의 수신부(201)에 있어서,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가 GMSC로부터 수신된다(S201). 여기에서 HSS(102)에 있어서, VCC 서비스의 온·오프가, 서비스 판단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판단된다(S202). 이 VCC 서비스 설정은 미리 HSS(102)에서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 정보이고, 핸드 오버 처리를 할지의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이다. VCC 서비스가 온인 경우에는 문의 신호 중에 식별 플래그가 있는지의 여부가, 플래그 판단부(202)에 있어서, 판단된다(S203). 여기에서, 식별 플래그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VMSC 문의부(203)에 있어서, VMSC(107)에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의 문의가 행하여지고, 그리고 루팅 넘버 MSRN이 취득된다(S204). 그리고, 회신부(205)에 있어서, 취득된 루팅 넘버 MSRN이 GMSC(101)에 회신된다(S205).
또한, S203에 있어서, 식별 플래그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CCCF/NeDS(105)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이 할당부(204)에 있어서 할당되고, 회신부(205)에 있어서 GMSC(101)에서 회신된다(S206).
또한, S202에 있어서, VCC 서비스가 오프이면, 서비스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에는 식별 플래그의 유무를 판단하지 않고, VMSC(105)에 대하여 루팅 넘버 MSRN의 문의가 행하여지고, 루팅 넘버 MSRN이 취득되고(S207), 취득된 루팅 넘버 MSRN이 GMSC(101)에 회신된다(S208).
이와 같이 식별 플래그를 사용하여, CCCF/NeDS의 임시 루팅 넘버 RN을 회신할지, VMSC(105)로부터 취득한 루팅 넘버 MSRN을 회신할지를 바꿈으로써, GMSC(101)에 있어서 문의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착신처의 통신 방식의 결정 처리가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를 착신 신호에 부가하는 CCCF/NeDS(105)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CCCF/NeDS(105)의 기능 블록도이다. CCCF/NeDS(105)는 착신 수신부(211), 통신 방식 결정부(212), 플래그 부가부(213;부가 수단), 및 회신부(214;회신 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CCCF/NeDS(105)는 CPU, RAM, ROM, 네트워크 제어부, 하드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고, ROM 또는 하드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가 동작함으로써, CPU는 이하의 기능 블록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착신 수신부(211)는 GMSC(101)로부터 송신된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착신 수신부(211)는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방식 결정부(212)에 대하여 통신 방식을 결정하도록 지시를 출력한다.
통신 방식 결정부(2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착신처의 이동기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요금체계에 따라서 미리 설정한 금액 이상 과금되지 않도록 공중 이동통신망인지 무선 LAN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방식 결정부(212)에 있어서 통신 방식을 결정하면, 플래그 부가부에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도록 지시를 출력한다.
플래그 부가부(213)는 통신 방식 결정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착신처의 통신 방식의 결정 처리가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를 착신 신호에 부가하는 부분이다.
회신부(214)는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착신 신호를 GMSC(101)를 향하여 회신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CCCF/NeDS(105)가 구성됨으로써, GMSC(101)로부터 송신된 착신 신호에, 식별 플래그를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HSS(102)에 있어서,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착신 신호에 기초한 착신처의 문의가 행하여진 경우, 이 식별 플래그의 유무를 판단하여, 각각 식별 플래그의 유무에 따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인 HSS(102)에 있어서는 문의 수신부(201)가 관문 교환기인 GMSC(101)로부터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플래그 판단부(202)가,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회신부(205)는 할당부(204)에 의해 할당된 CCCF/NeDS(105)의 액세스처를 나타내는 루팅 넘버 RN을 GMSC(101)에 회신하고,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VMSC 문의부(203)는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재권 교환기인 VMSC(107)로부터 취득하고, 회신부(205)가 취득한 재권 정보를 GMSC(101)에 대하여 회신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인 CCCF/NeDS(105)는 GMSC(101)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처에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결정 처리를 하는 동시에, 상기 결정 처리가 종료하였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를 착신 신호에 부가하여,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착신 신호를 GMSC(101)에 회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GMSC(101)에 있어서는 착신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HSS(102)에 대한 문의를 반복함으로써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GMSC(101), HSS(102A), MGCF(103), S-CSCF(104), CCCF/NeDS(105A), MGW(106), VMSC(10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동작을 하는 것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HSS(102A)는 3G 네트워크에 있어서 인증 기능 및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고, 제 1 실시형태에서의 HSS(102)와의 차이는 GMSC(101)로부터의 착신처의 문의의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문의 신호가 1번째에 수신된 문의 신호인지, 2번째에 수신된 문의 신호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예를 들면,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관리 테이블을 갖고 있는 점이다.
HSS(102A)는 GMSC(101)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문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가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HSS(102A)는 관리 테이블에 발신원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2번째의 문의 신호라고 판단하여, VMSC(107)로부터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취득한다. HSS(102A)는 발신원 정보가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1번째의 문의 신호라고 판단하여, CCCF/NeDS(105)의 임시 루팅 넘버 RN을 할당하여, GMSC(101)에 회신한다.
CCCF/NeDS(105A)는 착신 신호에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지 않고, 착신처의 이 동기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그 취지를 S-CSCF(104)에 회신한다.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은 식별 플래그를 부가하지 않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그 동작을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파선은 처리 스텝을 도시하고 있다. GMSC(101)에 있어서 착신 처리가 행하여지고, GMSC(101)에서 착신 처리가 행하여지면(S301), HSS(102A)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가 송신된다(S302). HSS(102A)에서는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1번째의 문의 신호인지, 2번째의 문의 신호인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는 1번째의 문의 신호라고 판단되어, CCCF/NeDS(105)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이 GMSC(101)에 회신된다(S302).
그리고, GMSC(101)에서는 착신 신호가, MGCF(103) 및 S-CSCF(104)를 경유하여 CCCF/NeDS(105)에 송신된다(S304, S305, S306). CCCF/NeDS(105A)에서는 착신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착신처의 이동기의 통신 방식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S 도메인(공중 이동통신망 등)을 사용한 통신 방식이 결정되고, 그 취지가 부가된 착신 신호가 S-CSCF(104)에 회신된다(S307). 그 후, 착신 신호는 MGCF(103)를 경유하여 GMSC(101)에 회신된다(S308, S309).
GMSC(101)에서는 CCCF/NeDS(105A)로부터 회신된 착신 신호는 통상과 같은 착신으로서 취급되고, HSS(102A)에 대하여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가 송신된다(S310). HSS(102A)에서는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는 것으로, 송신된 문의 신호가 2번째라고 판단되어, VMSC(107)에 대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이 취득된다(S311). 그리고, 취득된 루팅 넘버 MSRN은 GMSC(101)에 회신되 고(S312), 취득된 루팅 넘버 MSRN을 사용하여 VMSC(107)에 대한 통신 접속 처리가 행하여진다(S313).
이와 같이, HSS(102A)에서, 관리 테이블을 구비하고, 착신처의 문의 신호가 1번째의 수신인지, 2번째의 수신인지가 판단되고, 1번째인 경우는 CCCF/NeDS(105)를 나타내는 루팅 넘버 RN을 할당하고, 2번째인 경우는 VMSC(107)로부터 취득한 루팅 넘버 MSRN을 할당함으로써, GMSC(101)에서의 착신처의 문의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의 HSS(102A)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HSS(102A)의 기능 블록도이다. HSS(102A)는 문의 수신부(301), 테이블 판단부(302; 판단 수단), 관리 테이블(303; 기억 수단), VMSC 문의부(304), 할당부(305), 및 회신부(306; 회신 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문의 수신부(301)는 GMSC(101)로부터의 문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테이블 판단부(302)는 동일 발신원로부터의 문의 신호가 1번째에 수신된 신호인지, 2번째에 수신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부분이고, 관리 테이블(303)에 기억되어 있는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에 기초하여, 문의 신호가 1번째에 수신된 신호인지, 2번째에 수신된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테이블 판단부(302)는 문의 신호가 1번째에 수신된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할당부(305)가 CCCF/NeDS(105A)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을 할당하도록, 할당부(305)에 지시를 출력하는 동시에, 관리 테이블(303)에 발신원 정보를 등록한다. 테이블 판단 부(302)는 문의 신호가 2번째에 수신된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VMSC 문의부(304)가 VMSC(107)로부터 착신처의 이동기의 위치 정보인 루팅 넘버 MSRN을 취득하도록, VMSC 문의부(304)에 지시를 출력하는 동시에, 관리 테이블(303)에 등록된 상술한 루팅 넘버 MSRN의 취득 처리에 대응하는 1의 발신원 정보를 삭제한다.
VMSC 문의부(304)는 테이블 판단부(30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VMSC(107)에 착신처의 이동기의 위치 정보인 루팅 넘버 MSRN을 문의하고, 취득하는 부분이다.
할당부(305)는 테이블 판단부(30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CCCF/NeDS(105A)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을 취득한다.
회신부(306)는 VMSC 문의부(304)에서 취득된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 또는 할당부(305)에서 취득된 CCCF/NeDS를 나타내는 임시 루팅 넘버 RN을 GMSC(101)에 회신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HSS(102A)는 CPU, RAM, ROM, 네트워크 제어부, 하드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고, ROM 또는 하드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가 동작함으로써, CPU가 상술한 기능 블록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SS(102A)는 도 3에 도시하는 하드 블록도와 동등한 구성이 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HSS(102A)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HSS(102A)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문의 수신부(301)에 있어서, GMSC(101)로부터 문의 신호가 수신된 다(S401). 그리고, HSS(102A)에서, VCC 서비스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가 판단되고(S402), 온 상태인 경우에는 테이블 판단부(302)에 있어서 관리 테이블(303)에 발신자의 등록의 유무가 판단된다(S403). 여기에서, 테이블 판단부(302)에 의해, 관리 테이블(303)이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2번째의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되어, VMSC 문의부(304)에 의해 VMSC(107)에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이 취득된다(S404). 취득된 루팅 넘버 MSRN은 회신부(306)에 의해 회답으로서 GMSC(101)에 회신된다(S405). 또,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이 취득됨에 따라, 관리 테이블(303)로부터, 대응하는 발신원 정보는 삭제된다.
또, S403에 있어서, 관리 테이블(303)에 발신자를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테이블 판단부(302)에 의해 판단된 경우, 테이블 판단부(302)에 의해 문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를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예를 들면 발신자의 전화번호)는 추출되고, 관리 테이블(303)에 등록된다(S406). 또,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발신원을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템포러리의 식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할당부(305)에 의해 취득된 CCCF/NeDS(105A)의 루팅 넘버 RN을 회답으로서, 회신부(306)에 의해 회신된다(S407).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HSS(102A)에서는 GMSC(101)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가 관리 테이블(303)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테이블 판단부(302)가 판단한다. 또, 테이블 판단부(302)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관리 테이블(303)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관리 테이블(303)에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를 기억시키고, 발신원 정보가 관리 테이블(303)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CCCF/NeDS(105)의 루팅 넘버 RN을 GMSC(101)에 회신부(306)가 회신한다. 또한, 테이블 판단부(302)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관리 테이블(303)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VMSC(107)로부터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GMSC(101)에 회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GMSC(101)에 있어서는 착신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HSS(102A)에 대한 문의를 반복함으로써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제 3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통신 시스템은 GMS(101), HSS(102B), MGCF(103), S-CSCF(104), CCCF/NeDS(105B), MGW(106), VMSC(107), 및 기지국(10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CCCF/NeDS(105B)가 HSS(102B)에 대하여, 착신처의 문의를 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과 상위하고 있다. 이하, 그 구성 및 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등한 장치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HSS(102B)는 GMSC(101)로부터의 문의 신호 또는 CCCF/NeDS(105B)로부터의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그 문의원을 판별하여, 문의원에 따른 처리를 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HSS(102B)는 CCCF/NeDS(105B)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VMSC(107)로부터 착신처의 이동기의 위치 정보인 루팅 넘버 MSRN을 문의하여 취득 한다. 또한, HSS(102B)는 GMSC(101)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VCC 서비스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서비스 온 상태이면, VMSC(107)로부터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취득한다. 또한, 서비스 오프 상태이면, CCCF/NeDS(105B)의 루팅 넘버 RN을 취득한다.
CCCF/NeDS(105B)는 S-CSCF(104)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기준에 기초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과금되는 금액이 미리 정해진 금액 이하가 되는 통신 방식이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CCF/NeDS(105B)는 CS 도메인(공중 이동통신망 등)에 의한 통신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HSS(102B)에 대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문의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CCCF/NeDS(105B)는 취득한 루팅 넘버 MSRN을 MGCF(103)에 송신하여, 공중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통신을 접속시킨다. 또한, 무선 LAN을 사용한 통신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S-CSCF(104)에 대하여 호출 제어를 지시하여, S-CSCF(104)를 경유한 통신 접속을 하게 한다.
이하, 제 3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서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파선은 처리 스텝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GMSC(101)에 있어서 이동기(100)로부터 착신 신호를 받는다(S501). GMSC(101)에서는 이 착신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HSS(102B)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가 송신된다(S502). HSS(102B)에서는 이동기에 대한 착신인 것이 인식되고, CCCF/NeDS(104)를 나타내는 루팅 넘버 RN이 취득되어, 회답으로서 회신된다(S503).
GMSC(101)에서는 착신 처리로서 착신 신호가, MGCF(103), S-CSCF(104)를 경 유하여, CCCF/NeDS(105B)에 송신된다(S504, S505, S506). CCCF/NeDS(105B)에서는 착신처의 이동기의 통신 방식이 결정되고, 여기에서는 CS 도메인(공중 이동통신망 등)을 사용한 통신 방식이 결정된다. 결정된 후, CCCF/NeDS(105B)에서, HSS(102B)에 대하여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가 송신된다(S507).
HSS(102B)에서는 수신한 문의 신호의 발신원이 판단된다. 여기에서는 CCCF/NeDS(105B)로부터의 문의인 것이 판단되어, VMSC(107)에 대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의 문의가 행하여지고, HSS(102B)에서 루팅 넘버 MSRN이 취득된다(S508). 그리고, HSS(102B)로부터 CCCF/NeDS(105B)에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이 회신되고(S509), S-CSCF(104)를 경유하여 MGCF(103)에 송신된다(S510, S511). MGCF(104)에서는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사용하여, MGW(106)를 경유하여 VMSC(107)에 통신 접속된다(S512).
이와 같이, CCCF/NeDS(105B)가 착신처의 이동기의 통신 방식을 결정한 후에 HSS(102B)에 대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문의하고, HSS(102B)에서는 이 문의에 따라서 루팅 넘버 MSRN을 취득하여 회답함으로써, GMSC(101)에서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의 문의 처리에 의한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HSS(102B)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HSS(102B)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 HSS(102B)는 문의 수신부(501), 문의원 판단부(502; 문의원 판단 수단), VMSC 문의부(503), 할당부(504), 및 회신부(505; 회신 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하, 각 구성요소에 관해서 설명한다.
문의 수신부(501)는 GMSC(101) 또는 CCCF/NeDS(105B)에서의 문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문의원 판단부(502)는 문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원 정보에 기초하여, GMSC(101)로부터의 문의인지, CCCF/NeDS(107)로부터의 문의인지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문의원 판단부(502)는 판단한 발신원에 따라서, CCCF/NeDS(105B)로부터 문의가 있는 경우에는 VMSC 문의부(503)에 지시를 출력하고, GMSC(101)로부터 문의가 있는 경우에는 할당부(504)에 지시를 출력한다.
VMSC 문의부(503)는 문의원 판단부(502)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VMSC(107)에 대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문의하여 취득하는 부분이다. VMSC 문의부(503)는 취득한 루팅 넘버 MSRN을 회신부(505)에 출력한다.
할당부(504)는 문의원 판단부(502)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CCCF/NeDS(105B)의 루팅 넘버 RN을 할당하여 취득하는 부분이다. 할당부(504)는 취득한 루팅 넘버 RN을 회신부(505)에 출력한다.
회신부(505)는 VMSC 문의부(503) 또는 할당부(504)로부터 출력된 루팅 넘버 MSRN 또는 루팅 넘버 RN을, 발신원(CCCF/NeDS; 105B) 또는 GMSC(101)에 회신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HSS(102B)는 CPU, RAM, ROM, 네트워크 제어부, 하드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고, ROM 또는 하드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가 동작함으로써, CPU가 상술한 기능 블록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능을 실 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SS(102B)는 도 3에 도시하는 하드 블록도와 동등한 구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HSS(102B)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HSS(102B)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문의 수신부(501)에 의해,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가 수신된다(S601). 이 문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의원(발신원) 정보에 기초하여, GMSC(101)로부터의 문의인지, CCCF/NeDS(105B)로부터의 문의인지가, 문의원 판단부(502)에 의해 판단된다(S602). S602에 있어서, 문의원 판단부(502)에 의해 GMSC(101)로부터의 문의라고 판단된 경우, 서비스 판단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VCC 서비스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가 판단된다(S603). 여기에서, VCC 서비스가 온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CCCF/NeDS(105B)를 나타내는 루팅 넘버 RN이 할당되어 회답으로서 회신된다(S604).
또한, S603에 있어서, VCC 서비스가 오프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VMSC(107)에 대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의 문의가 VMSC 문의부(503)에 의해 행하여져 취득되고(S605), 회신부(505)에 의해 루팅 넘버 MSRN이 회답으로서 회신된다(S606).
S602에 있어서, 문의원 판단부(502)에 의해, 문의원이 CCCF/NeDS(105B)라고 판단된 경우, VMSC(107)에 대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의 문의가 VMSC 문의부(503)에 의해 행하여져 취득되고(S607), 회신부(505)에 의해 루팅 넘버 MSRN이 회답으로서 회신된다(S608).
이어서, CCCF/NeDS(105B)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CCCF/NeDS(105B)의 기능 블록도이다. CCCF/NeDS(105B)는 착신 수신부(601), 통신 방식 결정부(602), MSRN 문의부(603; 문의 수단), WLAN 접속 처리부(604), 및 회신부(605; 통신 처리 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CCCF/NeDS(105B)는 CPU, RAM, ROM, 네트워크 제어부, 하드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고, ROM 또는 하드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가 동작함으로써, CPU는 이하의 기능 블록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착신 수신부(601)는 GMSC(101)로부터의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통신 방식 결정부(602)는 착신 수신부(601)에 의해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처의 이동기에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이 결정은 상술한 대로, 요금체계 등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정할 수 있다.
MSRN 문의부(603)는 통신 방식 결정부(602)에 있어서 공중 이동통신망을 사용한 통신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HSS(102B)에 대하여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문의하여 취득하는 부분이다. MSRN 문의부(603)는 취득한 루팅 넘버 MSRN을 회신부(605)에 출력한다.
WLAN 접속 처리부(604)는 통신 방식 결정부(602)에 있어서 무선 LAN를 사용한 통신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S-CSCF(104)를 사용한 통신 접속을 하는 부분이다.
회신부(605)는 착신처의 루팅 넘버 MSRN을 MGCF(103)에 회신하는 부분이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CCCF/NeDS(105B)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CCCF/NeDS(105B)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착신 수신부(601)에서, 착신 신호가 수신된다(S701). 그리고,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착신처의 이동기의 통신 방식이 선택된다(S702). 여기에서, 통신 방식 결정부(602)에 의해, CS 도메인(공중 이동통신망)을 사용한 통신 방식이 결정된 경우, MSRN 문의부(603)에 의해, HSS(102B)에 대하여,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의 문의가 행하여진다(S704). 문의에 의해서 취득된 루팅 넘버 MSRN은 회신부(605)에 의해 회신되고, 그 후, MGCF(103)에 있어서, VMSC(107)에 대하여 통신 접속이 행하여지고, 이동기(109)에 대하여 통신 접속된다(S704).
또한, S702에 있어서, 통신 방식 결정부(602)에 의해 무선 LAN(IMS+ WLAN)을 사용한 통신 방식에 선택된 경우, 그 취지가 S-CSCF(104)에 지시되어, S-CSCF(104)를 경유하여 무선 LAN을 사용하여 통신 접속이 행하여진다(S705).
이어서, 제 3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HSS(102B)에서, 문의원 판단부(302)는 GMSC(101)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CCCF/NeDS(105)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문의원 판단부(502)에 의해 CCCF/NeDS(105B)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VMSC 문의부(503)가 VMSC(107)로부터 취득한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MSRN을 회신부(505)가 회신하고, GMSC(101)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CCCF/NeDS(105B)의 루팅 넘버 RN을 회신한다. 또한, CCCF/NeDS(105B)는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통신 방식 결정부(602)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동시에, MSRN 문의부(603)는 HSS(102B)에 대하여 착신처에 관한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문의 신호의 응답으로서, 착신처의 이동기의 루팅 넘버 RN을 수신한 경우에는 루팅 넘버 RN을 사용하여 통신 처리를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GMSC(101)에 있어서는 착신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HSS(102B)에 대한 문의를 반복함으로써 처리가 루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래그 판단 수단과,
    상기 플래그 판단 수단에 의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재권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대하여 회신하는 회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처에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결정 처리를 하는 동시에, 상기 결정 처리가 종료하였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를 착신 신호에 부가하는 부가 수단과,
    상기 부가 수단에 의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착신 신호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는 회신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2. 이동기의 재권(在圈)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宛先)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關門)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처에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결정 처리를 하는 동시에, 상기 결정 처리가 종료하였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 플래그를 착신 신호에 부가하는 부가 스텝과,
    상기 부가 스텝에 의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된 착신 신호를 상기 관문 교환기 에 회신하는 회신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래그 판단 스텝과,
    상기 플래그 판단 스텝에 의해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식별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재권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대하여 회신하는 회신 스텝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기억 수단에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를 기억시키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는 회신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4.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 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기억 수단에 착신 신호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를 기억시키는 기억 스텝과,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고,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발신원 정보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관문 교환기에 회신하는 회신 스텝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 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문의원 판단 수단과,
    상기 문의원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고,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는 회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동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하여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에 관한 문의 신호를 송신하는 문의 수단과,
    상기 문의 수단에 의해 송신된 문의 신호의 응답으로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액세스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통신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6. 이동기의 재권 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기에 대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재권 교환기와,
    착신처의 재권 정보를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착신처의 문의를 나타내는 문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처를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의 회신을 받으면, 상기 액세스 정보에 기초한 주소에 착신 신호를 송신하는 관문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문의원 판단 스텝과,
    상기 문의원 판단 스텝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재권 교환기로부터 취득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고, 상기 관문 교환기로부터 문의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액세스 정보를 회신하는 회신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있어서,
    착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착신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동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하여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에 관한 문의 신호를 송신하는 문의 스텝과,
    상기 문의 스텝에 의해 송신된 문의 신호의 응답으로서, 착신처의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액세스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처리를 하는 통신 처리 스텝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KR1020087019268A 2006-01-10 2007-01-09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1013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2788A JP4138808B2 (ja) 2006-01-10 2006-01-10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JP-P-2006-00002788 2006-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083A true KR20080085083A (ko) 2008-09-22
KR101013018B1 KR101013018B1 (ko) 2011-02-14

Family

ID=3825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268A KR101013018B1 (ko) 2006-01-10 2007-01-09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65579B2 (ko)
EP (1) EP1981301B1 (ko)
JP (1) JP4138808B2 (ko)
KR (1) KR101013018B1 (ko)
CN (1) CN101366317B (ko)
BR (1) BRPI0706499A2 (ko)
ES (1) ES2402871T3 (ko)
RU (1) RU2388187C1 (ko)
WO (1) WO2007080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4854C (zh) * 2006-01-10 2009-04-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选择被叫接续网络的方法及网络系统
GB0711592D0 (en) * 2007-06-15 2007-07-25 Ericsson Telefon Ab L M Access domain selec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WO2009113931A1 (en) * 2008-03-14 2009-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access to a local network
JP4946933B2 (ja) * 2008-03-24 2012-06-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セッション継続判断サーバ及びセッション継続方法
JP4463313B2 (ja) 2008-08-06 2010-05-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1697639B (zh) * 2009-09-16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完整旁路被叫智能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964B2 (ja) * 1990-07-25 1996-09-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統合移動体通信の接続制御方式
KR19990053162A (ko) * 1997-12-23 1999-07-15 정선종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자국 호 제어 방법
JPH11331063A (ja) * 1998-05-15 1999-11-30 Toshiba Corp マルチモード移動通信中継装置
US7190687B1 (en) * 2000-01-04 2007-03-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point-to-point protocol (PPP) instances from a packet data services network
ATE452517T1 (de) * 2001-06-18 2010-01-15 Nokia Corp Roaming vom ims-bereich in den cs-bereich
JP3915022B2 (ja) * 2001-12-03 2007-05-1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EP1620773A4 (en) 2003-05-02 2011-11-23 Giritech As EFFICIENT NETWORK SECURITY SYSTEM AND USER-CENTER VALID BY DYNAMIC SWITCHING OF DATAGRAMS AND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STRUCTURE ON DEMAND THROUGH INTELLIGENT AND MOBILE DATA CARRIERS
US7664495B1 (en) * 2005-04-21 2010-02-16 At&T Mobility Ii Llc Voice call redirection for enterprise hosted dual mode service
US7383044B2 (en) * 2005-08-05 2008-06-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database for performing a permission status check on a mobile equipment
JP4654834B2 (ja) * 2005-08-24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交換局サーバ、移動端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ハンドオーバ方法
PL1938639T3 (pl) * 2005-10-21 2011-09-30 Ericsson Telefon Ab L M System i sposób wybierania podsystemu do zakończenia połączen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1301B1 (en) 2013-03-27
US20100159923A1 (en) 2010-06-24
EP1981301A1 (en) 2008-10-15
EP1981301A4 (en) 2011-12-21
JP4138808B2 (ja) 2008-08-27
JP2007184855A (ja) 2007-07-19
CN101366317B (zh) 2012-01-25
RU2388187C1 (ru) 2010-04-27
BRPI0706499A2 (pt) 2011-03-29
US8165579B2 (en) 2012-04-24
KR101013018B1 (ko) 2011-02-14
CN101366317A (zh) 2009-02-11
ES2402871T3 (es) 2013-05-09
RU2008132864A (ru) 2010-02-20
WO2007080844A1 (ja)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6198B (en)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and communication method
JP4252771B2 (ja) 無線端末、無線端末管理装置及び位置登録補助装置
EP2417785B1 (en) Optimizing communication traffic transport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EP1711027A1 (en) A SYSTEM AND A METHOD OF REALIZING SUBSCRIBER&amp;rsquo;S FOREIGN ROAMING SERVICE THROUGH THE ROUTER
KR20060052447A (ko) 이동 통신망과 무선 랜간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와그 시스템
KR101013018B1 (ko)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8699390B2 (en) Call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US9184978B2 (en) Operating and supporting dual mode user equipment
US8340713B2 (en) Method and devices for supporting message services to a dual mode mobile station via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KR100561671B1 (ko) 부가 서비스의 우선순위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및 부가 서비스 우선순위 제어 방법
KR1011555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125647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代理登録装置および代理登録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037596A (ko) 이종망간의 착신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819716B2 (ja) 通話制御サーバ、及び、通話制御方法
KR100717825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
KR10139581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시스템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72261B1 (ko)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착신전환시의 화상 통화 서비스 방법.
JP4505443B2 (ja) 無線lanにおける単位料金区域特定システム
JPH11168773A (ja) 移動電話システム
CN116321103A (zh) 一种通信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31372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시스템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40442A (ko) 발신자가 선택한 착신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70016247A (ko)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