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687A -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 Google Patents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687A
KR20080081687A KR1020070022061A KR20070022061A KR20080081687A KR 20080081687 A KR20080081687 A KR 20080081687A KR 1020070022061 A KR1020070022061 A KR 1020070022061A KR 20070022061 A KR20070022061 A KR 20070022061A KR 20080081687 A KR20080081687 A KR 2008008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roller
railway car
cover
mo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최진
이진서
황진택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1687A/ko
Publication of KR2008008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B65D2585/88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언더 프레임 등에 설치되어 배터리 등의 각종 부품이나 기기를 수용하는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양측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양측에서 박스 내에 수용된 부품이나 기기의 교환 또는 탈/부착을 용이하도록 한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개/폐를 위한 커버를 양측 단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이동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철도차량, 기기 박스, 커버, 슬라이드

Description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The both sides open/close the railway car machinery and tools box which has a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의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를 언더 프레임에 장착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박스 210 : 커버
211 : 잠금장치 212 : 손잡이
213 : 고무 패드 220 : 제 1 롤러
230 : 제 2 롤러 240 : 레일
250 : 제 1 받침대 251 : 슬라이딩 가이드
260 : 제 2 받침대 261 : 슬라이딩 가이드
270 : 브라켓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언더 프레임 등에 설치되어 배터리 등의 각종 부품이나 기기를 수용하는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양측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양측에서 박스 내에 수용된 부품이나 기기의 교환 또는 탈/부착을 용이하도록 한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이나 기기들을 수용하는 박스들은 정비 및 접근의 용이함을 이유로 차량의 한쪽 측면으로 배치된 후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기 박스(100)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언더 프레임(300)의 저면 한쪽 측면으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기기 박스(100)는, 그 한쪽 부분으로 힌지(130)에 의해 개/폐 되는 커버(110)가 형성되고, 그 상부 측으로는 철도차량의 언더 프레임(300)과 연결을 위한 브라켓(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10)는 차량의 한쪽 측면으로만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이 플랫폼(140)에 정차 중이거나 차량 측면에 방해물이 있어 기기 박스(100)를 가릴 경우에는 기기 박스(100)로 접근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커 버(110)를 개/폐할 수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기기 박스(100) 내부에 장착된 각종 기기 또는 부품(150)의 교환이나 탈/부착을 해야 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약간의 공간이 있다고 하더라도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양 측면에서 차량용 기기 박스로 용이하게 접근 및 커버를 개/폐하여 박스 내에 적재 또는 장착된 기기나 부품의 교환이나 탈/부착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는, 개/폐를 위한 커버를 양측 단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이동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수단은 바퀴 또는 레일로 이루어지거나, 바퀴와 레일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동수단은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박스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거나, 바닥면과 측면에 혼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내측 가장자리로는 박스 내에 수용되는 각종 기기의 보호 및 제 1, 2 받침대의 이동방지를 위해 고무 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의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를 언더 프레임에 장착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200)는, 차량의 양측에서 접근성 및 작업성을 향상하기 위해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양측 단으로 개/폐를 위한 커버(21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210)의 내측으로는 박스(200) 내에 수용되는 각종 기기의 보호 및 소음 방지를 위한 고무 패드(2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210)에는 차량의 운행시 박스(200) 내에 수용되는 기기나 부품의 무게에 의해 커버(210)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을 위한 잠금장치(211)와, 상기 커버(210)의 개/폐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잠금장치(211)는 안전하고, 개/폐 동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며, 견 고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상기 박스(200)의 내부 바닥으로는 이동수단인 제 1 롤러(220)가 체결구에 의해 고정 형성되고, 내부 측면으로는 개략 ㄷ자 형으로 이루어진 이동수단인 레일(2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롤러(220)의 상부로는 그 밑바닥에 상기 제 1 롤러(220)와 결합하는 슬라이딩 가이드(251)를 형성하고, 내측 바닥 상면으로는 이동수단인 제2 롤러(230)가 형성된 개략 C형상의 제 1 받침대(25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240)은 상기 제 1 받침대(250)의 슬라이딩 이동시 측면을 수용 지지하여 확실하고 견고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 받침대(250)의 내측 상부로는 그 밑바닥에 상기 제 2 롤러(230)와 결합하는 슬라이딩 가이드(261)와 양단부에 손잡이(262)를 형성한 평판 형상의 제 2 받침대(26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박스(200)의 내부에 개략 C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1단에 위치하는 제 1 받침대(250) 및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2단에 위치하는 제 2 받침대(260)는 각종 기기 또는 부품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수단을 제 1, 2 롤러(220),(230)와 레일(240)을 혼합 형성한 것을 일 실시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이동수단은 롤러와 레일의 혼합 구성뿐만 아니라, 롤러로만 형성하거나, 레일로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받침대(250) 및 제 2 받침대(260)는, 차량의 좌/우측에서 박스(200) 밖으로 꺼내기 위해 어느 일 측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양쪽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10)의 내측으로 형성된 고무 패드(213)는, 차량이 운행 중일 때, 상기 박스(200) 내에 수용 형성된 상기 제 1 받침대(250) 및 제 2 받침대(260)를 견고하게 밀착지지 하여, 흔들림이나 이동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받침대(250) 및 제 2 받침대(260)는 상기 박스(200) 내에서 흔들림 또는 이동이 방지되어 이로 인한 소음과 박스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철도차량이 플랫폼에 정차 중이거나 차량의 일 측으로 방해물이 위치하여 기기 박스(200)를 가리고 있을 경우에도 반대편으로 접근하여 기기 박스(200)의 커버(210)를 열고, 내부에 수용된 기기 또는 부품을 교환하거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에 의하면, 차량의 일 측으로 방해물이 위치하거나, 작업공간이 종래에 비해 협소하더라도 반대편으로 접근하여 용이하게 박스 내부에 수용된 기기 또는 부품의 교환 및 탈/부착 작업을 할 수 있어, 접근성 및 작업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각종 기기를 수용하는 박스로서,
    개/폐를 위한 커버를 양측 단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이동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바퀴 또는 레일로 이루어지거나, 바퀴와 레일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박스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거나, 바닥면과 측면에 혼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 가장자리로는 박스 내에 수용되는 각종 기기의 보호를 위해 고무 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KR1020070022061A 2007-03-06 2007-03-06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KR20080081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061A KR20080081687A (ko) 2007-03-06 2007-03-06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061A KR20080081687A (ko) 2007-03-06 2007-03-06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687A true KR20080081687A (ko) 2008-09-10

Family

ID=4002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061A KR20080081687A (ko) 2007-03-06 2007-03-06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16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95B1 (ko) * 2009-12-31 2012-04-2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배터리 보관장치
EP4353562A1 (de) * 2022-10-13 2024-04-17 Siemens Mobility GmbH Eisenbahnschienenfahrzeug mit einem aufnahmerau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95B1 (ko) * 2009-12-31 2012-04-2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배터리 보관장치
EP4353562A1 (de) * 2022-10-13 2024-04-17 Siemens Mobility GmbH Eisenbahnschienenfahrzeug mit einem aufnahmera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283B1 (en) Movable cargo tray apparatus
US8931819B2 (en) Open bed vehicle cover and storage system
US20090184487A1 (en) Boarding and/or access aid for passenger vehicles
US20170129504A1 (en) Gondola car clean-out door
JP2010247619A (ja) 車両の扉
JP2011213226A (ja) 軌条車両
KR20080081687A (ko) 양측 개/폐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기기 박스
CN206288006U (zh) 抽屉式设备箱及磁悬浮车辆
JPH11287067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US10710612B2 (en) Gondola car clean-out door
JP4759027B2 (ja) 覆蓋、及び、覆蓋の設置構造
JP2006137238A (ja) 機関車
RU129469U1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подвагонный ящик
KR20120127786A (ko) Psd 조립체 모듈용 보강프레임
JP4216695B2 (ja) 鉄道車両用床下カバー装置
JP2013052715A (ja) 鉄道車両
CN212172277U (zh) 一种低温设备搬运推车
JP7146467B2 (ja) ホームステップ装置
JP6660087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
CN208515592U (zh) 轨道运输小车
JP4120944B2 (ja) 搬送用台車
JP2006142894A (ja) レール運搬等多目的車輌の脱線復旧装置
US20120205380A1 (en) Rail vehicle having a detachably attached housing lid
CN211943285U (zh) 一种带有双开门结构的动车司机室
CN201007171Y (zh) 应急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