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613A - 낮은 풀림력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낮은 풀림력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613A
KR20080079613A KR1020080017204A KR20080017204A KR20080079613A KR 20080079613 A KR20080079613 A KR 20080079613A KR 1020080017204 A KR1020080017204 A KR 1020080017204A KR 20080017204 A KR20080017204 A KR 20080017204A KR 20080079613 A KR20080079613 A KR 2008007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rotective film
self
adhesion promo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 베렌스
니콜라이 뵘
Original Assignee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8007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using means for protecting parts of a surface not to be coated, e.g. using stencils, resi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protecting painted surfaces, e.g. of 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3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C09J2453/006Presence of block copolym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3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including a prim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쪽 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두개 이상의 하기 층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으로 이루어진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층은 접착제와 접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를 10% 내지 95% (w/w)의 양으로 포함하는 비지향된 필름을 포함하며, 제 2 층은 접착제에 이격되게 접하며 75% (w/w)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w/w) 이상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낮은 풀림력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SURFACE PROTECTION FILM WITH LOW UNWIND FORCE}
본 발명은 유리, 세라믹, 스테인레스 스틸, 폴리카르보네이트 유리 또는 아크릴 유리와 같은 표면, 더욱 구체적으로 페인팅된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높은 접착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롤 형태의 낮은 풀림력을 갖는 풍화-안정성의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더욱 구체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의 새로운 마감처리를 보호하고, 조립, 운반 및 저장 동안 오염 및 손상으로부터 새롭게 페인팅된 운송수단 부품을 보호하기에 적합하다.
EP 0 592 913 A1호에는 33%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을 갖는 EVAc 코폴리머로 구성된 자동차의 운반을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과 함께, 부가적인 접착제 층의 도포는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부류의 필름은 단순한 구조를 갖지만, 사용시에 뚜렷한 단점을 나타낸다. 높은 결정체 분율로 인해, 결합 강도는 매우 낮으며; 이러한 결함은 도포하는 동안 열에 의해 제거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필름은 박리 라이너(예를 들어, 실리콘 페이퍼)와 함께 제공되지 않는 한, 저장시에 블로킹 현상을 초래한다. 이는 EP 0 768 356 A1에서 교시하 고 있는 바이다.
기술된 필름은 심각한 페인트 변형을 나타내어, 사용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후자의 현상에 대한 이유는 33% (w/w) 비닐 아세테이트를 지닌, 실시예에서 기술된 EVAc가 밀봉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이는 통상적으로 밀봉 도포를 위해 사용된다). 40% (w/w)의 비닐 아세테이트부터, 결정체 분율은 이러한 결함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작다.
DE 195 32 220 A1에 기술된 EVAc 접착제를 지닌 접착제 시트는 기술된 제품에 대한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다. 일-성분 PU 시스템을 제외하고, 이는 보호되는 마감재 상에서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 후 제거하는 동안, 이러한 접착제 시트는 높은 결합 강도를 갖으며, 이에 따라 찢어짐 없이는 제거될 수 없다. 당업자가 박리 증가(peel increase)라 칭하는 접착제 어셈블리를 저장시에 이러한 결합 강도의 증가는 페인트와 접착제의 상호작용, 더욱 구체적으로 극성의 힘에 의해 야기된다. 다른 한편으로, 극성 공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는 요망되는 높은 초기 접착성을 초래한다.
EP 1 190 008 A1호에는 응력 하에서 결합할 때(휘어진 표면에 접착제 시트를 도포할 때) 탈착되지 않는 충분히 높은 초기 결합 강도를 갖으며 연장된 저장 후에(풍화하에서 1년 내에) 다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접착제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동시에 이는 수축되지 않으며 보호 필름은 찢어짐과 오염없이 탈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는 저장하는 동안 박리 라이너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여러 달 동안 저장하는 것과 관련하여 높은 결합 강도를 갖는 EVM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높은 풀림력이 발생할 수 있다.
동시에, EP 1 190 008 A1호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에 후면 물질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의 사용이 마찬가지로 부족한 온도 안정성으로 인해 불가능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및 고무 접착제에 대한 폴리에틸렌 박리 필름의 사용은 GB 676,559 A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박리 시트의 사용은 광범위하게 도포되는 필름에 대해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EVM 접착제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및 고무 접착제와는 상이한 결합 강도와 관련한 성질 및 저장시 결합 강도의 변화를 갖는다.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를 위한 박리 필름으로서 0.90 g/㎤ 이하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의 사용은 EP 0 742 814 A1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부류의 박리 필름은 EVM 접착제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롤 형태로 지연된 저장 후에(2년 이내에) 용이하게 풀릴 수 있고, 도포시에 응력 하의 결합(휘어진 표면에 접착제 시트의 도포)에 대해 탈착이 발생하지 않는 충분히 높은 초기 점착성을 갖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 이는 수축되지 않아야 하며 보호 필름이 찢김없이 탈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는 저장하는 동안 박리 라이너를 필요로 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에 기술된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은 보호 필름의 유리한 개발,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한쪽 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후면으로 이루어진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후면은 적어도 두개의 하기 층을 갖으며, 제 1 층은 접착제에 접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를 10% 내지 95% (w/w)의 양을 포함하는 비지향된 필름을 포함하며, 제 2 층은 접착제와 이격하여 접하며, 75% (w/w)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w/w) 이상의 저밀도 폴리에틸렌(PE-LD)을 함유하는 필름을 포함한다.
접착제에 접하는 층인 제 1 층은 EP 1 190 008 A1호로부터 공지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PE-LD)은 0.915 g/㎤ 내지 0.935 g/㎤, 바람직하게는 0.915 g/㎤ 내지 0.930 g/㎤의 밀도, 및/또는 102℃ 내지 120℃의 용융점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2 층은 1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더욱이, PE-LD는 분지된 것이다. 접착제에 이격하여 접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제 2 층은 바람직하게는 후면의 외부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부층은 접착 증진제 또는 접착제가 제공되지 않는 후면의 측면을 형성한다.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또는 내충격성 폴리프로필렌이라 칭함)는 문헌[Encycl. Polym. Sci. Technol. 13, 479 ff (1988), 및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A21, 529 ff (1992)]에 기술되어 있다. 상표명의 예로는 프로파텐(Propathene) GSF 113 (ICI), 411 GA 05 (Amoco), PMA 6100 (Montell), 스타밀란(Stamylan) P (DSM), BD 801 F (Borealis), 다플렌(Daplen) FFC 1012 (PC), 노볼렌(Novolen) 2309 L이 있다. 이러한 부류의 블록 공중합체는 이의 용융지수(=MFI=MFR) 및 이의 공단량체 함량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용융지수는 필름의 강도 및 용융물의 유동성에 대해 다른 영향을 미친다. 제 1 필름의 생산을 위하여, 0.8 내지 15 g/10분의 용융지수(230℃ 및 2.16 kg에서 ISO 1133 (A/4))가, 한편으로 인성 및 인장강도에 대한 요구사항 및 다른 한편으로 가공 성질(공압출된 필름의 경우에서 생산 속도 및 두께의 균일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유리하다. 바람직한 범위는 4 내지 10 g/10분이다. 후면 및 접착제가 공압출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용융지수 및 필름 제형 중 다른 열가소성 성분들의 선택이 중요하다.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서 공단량체의 양은 이들로부터 생산된 보호 필름의 연화성, 인장충격강도 및 열안정성을 결정한다. 제 1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공단량체로서 3% 내지 15% (w/w)의 에틸렌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DIN 53448에 대한 인장충격강도는 유리하게는 세로(기계) 방향 및 가로(교차) 방향 모두에서 1000 mJ/㎟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성질(기계적, 열적 또는 기타 성질, 예를 들어 광택, 접착제의 접착성, 압출 성질 등)을 미세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추가 성분들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예를 들어 HDPE, LDPE, MDPE, LLDPE, VLLDPE),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극성 공단량체의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두개 이상의 폴리프로필렌의 조합물, 더욱 구체적으로 연화성이 상이하고 용융지수가 상이한 폴리프로필렌들의 조합물, 예를 들어 PP 동종중합체와의 연성 블록 공중합체 또는 경성 블록 공중합체 타입이 특히 유리한데, 이는 인성, 열안정성 및 흐름 특성이 블록 공중합체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요구사항을 개질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충분한 열안정성을 위하여, 제 1 층의 프로필렌 분율은 65% (w/w)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후면의 다층 구조의 경우에서, 다시 말해서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에 및/또는 제 1 층과 접착제 사이에 추가 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 1 층은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층이며, 이에 따라 가장 높은 폴리프로필렌 분율을 포함하여야 한다(그리고, 일반적으로 또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후면에 또는 기술된 층들의 성분으로서 추가 층이 부가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후면과 접착제 간의 접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접착 증진제 층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층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로 및/또는 제 1 층 및/또는 접착제의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접착 증진제는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및 극성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의 예로는 이오노머(ionomer),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말레산 무수물-개질된 폴리올레핀이 있다.
후면에 풍화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 안정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 상에서 사용시에 이들의 기능은 접착제 표면 보호 테이프를 다시 제거할 때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후면의 물러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2-층 또는 다층 후면의 경우에, 보호는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층과 관련된다.
이러한 부류의 광안정화제는 문헌[Gaechter and Mueller, Taschenbuch der Kunststoff-Additive, Munich 1979; Kirk-Othmer (3rd) 23, 615-627; Encycl. Polym. Sci. Technol. 14, 125-148; 및 Ullmann (4th) 8, 21; 15, 529, 676]에 기술되어 있다. HALS 광안정화제,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CAS No. 65447-77-0),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케이트(CAS No. 52829-07-9) 또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CAS No. 70624-18-9)를 지닌 디메틸 숙시네이트 중합체는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을 위해 적절하다. 광안정화 제의 양은 필름에 대해 0.15% 이상, 바람직하게는 0.30% (w/w)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290 내지 360 nm 범위에서의 보호 필름의 UV 투과능력은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이다.
필름용 항산화제(예를 들어 Irganox 1010 또는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피트)의 사용이 바람직하지만,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추가로 적절한 UV 흡수제, 광안정화제 및 에이징(aging) 억제제는 EP 0 763 584 A1에 기술되어 있다.
후면 필름의 광안정성의 개선은 더욱 구체적으로 후면의 제 1 층에서 보호 필름에 다른 첨가를 통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UV 흡수제(예를 들어, Tinuvin P, Ciba)에 의해, 또는 주로 반사 안료(예를 들어 이산화티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 첨가제,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광안정화제, 에이징 억제제 또는 가공 보조제의 배치를 개별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서 함께 사전제형화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20 내지 80 ㎛의 후면 두께(적절한 경우 접착 증진제 층을 포함)가 바람직하다.
후면의 연성은 보호 필름을 도포하는 동안 변형성에 관하여 일부 영향을 미친다; 10% 신장시의 힘은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25 N/15 mm, 바람직하게는 16 N/15 m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DIN 53455-7-5에 따른 인장시험). 이는 또한 후면의 모든 필름이 바람직하게는 비지향되어야 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지향(또는 신축 또는 드로잉(drawing)으로 칭함)은 10% 신장시의 힘을 크게 증가시켜서 적합성을 더 이상 보장하지 않는다(비교를 위하여, 통상적인 값은 단일축 지향된 PP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 100 N/15 mm이며, 이축 지향된 동종중합체에 대해 180 N/15 mm이다).
더욱이, 지향과 관련하여 가로 방향의 강도 또는 제 3 차원(필름 표면에 대해 수직)의 강도는 크기 감소되어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이 제거될 때 제 3 차원에서 찢어짐 또는 박리(또는 스플릿팅(splitting)으로 칭함)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는 구체저으로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 접착제, 예를 들어 바람직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접착제와 함께 적용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3%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의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축은 120℃에서 가압된-공기 오븐에서 측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샘플은 짙게 탈크처리된 페이퍼보드 상에 10분 동안 위치시킨다.
접착제로서,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EPDM 또는 EPM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EVM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디엔의 수소첨가된 블록 공중합체(예를 들어, SBR, cSBR, BAN, NBR, SBS, SIS 또는 IR의 수소첨가에 의한 것; 이러한 공중합체들은 예를 들어 SEPS 및 SEBS로서 공지됨), 또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ACM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이 에이징 및 풍화에 대해 안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불포화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천연 고무, SIS, SBS, SBR 또는 NBR은 보다 덜 적합하다. 필름용으로 기술된 광안정화제는 또한 접착제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는 특히 100 kLy(Kilolangleys, kcal/㎠에 해당) 초과의 UV에 노출되는 경우에 접착제의 에이징 안정성을 향상시키지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접착제의 경우에 6개월 이내의 외부 풍화를 수반하는 도포에 대해 필수적이다. 폴리이소부틸렌 동종중합체 접착제 또는 부틸 고무 접착제의 경우에, 이러한 부류의 첨가는 접착제 잔부가 매우 심각한 UV 노출을 피하는 경우 필수적이다.
접착제를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열안정성(예를 들어 변덕스러운 기후 조건하에서)을 증가시킨다. 합성 고무 윈도우 밀봉물과 같이 거칠하거나 비극성인 물질 상에서의 박리 증가는 결론적으로 감소된다. 특히 가교는 또한 전단강도를 향상시킨다. 이는 보호 필름 도포와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데, 이는 도포 중에 보호 필름의 수축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가교를 위하여, 통상적인 가교제가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더욱 구체적으로 UV선 및 전자빔으로 조사 가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UV선의 경우에, 접착제는 접착제 측면으로부터 조사된다. 조사 선량은 광개시제를 사용하거나, 알릴 알코올,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과 같은 가교 증진제를 접착제에 첨가하므로써 감소될 수 있다.
에틸렌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더욱 구체적으로 40% (w/w) 이상의 VAc 분율을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특히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임계적 경우(접착제-배제 페인트 또는 심하게 굽은 결합 영역)에서도 높은 결합 강도를 보증하고, 접착제에 광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높은 풍화안정성을 지닌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 (w/w)의 VAc 분율이 제공된다. 제 1 층으로서 비지향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접착제로서 에틸렌-비닐 아세테 이트 공중합체의 조합은 또한 하나의 물질이 거의 수축되지 않고 다른 하나의 물질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축에 대해 매우 높은 내성(전단 강도)을 나타낸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 전단 강도는 매우 양호하여 대개 가교를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성질들, 더욱 구체적으로 특정 페인트 상의 결합 거동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체-접착제 조성물(접착제)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점착제(수지), 가소제, 충진제, 안료, UV 흡수제, 광안정화제, 에이징 억제제, 가교제 또는 가교 증진제와 배합될 수 있다.
점착제의 예로는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어 불포화 C5 또는 C7 단량체로부터 형성됨), 테르펜 페놀성 수지, α- 또는 β-피넨과 같은 원료 물질로부터 제조된 테르펜 수지, 방향족 수지 예를 들어 코우마론-인덴 수지 또는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의 수지, 예를 들어 로신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불균형의 다이머화되거나 에스테르화된 수지가 있으며,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펜타에리트리톨 및 문헌[Ullmann's Encyc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ume 12, page 525-555, (4th ed), Weinheim]에 기술된 다른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올레핀성 이중 결합 없이 에이징에 대해 안정한 수지, 예를 들어 수소첨가된 수지가 적합하다.
적절한 충진제 및 안료의 예로는 카본 블랙,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탄산아연, 산화아연, 실리케이트 또는 실리카가 있다.
접착제용 적절한 UV 흡수제, 광안정화제 및 에이징 억제제는 필름의 안정화 를 위해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적절한 가소제의 예로는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미네랄 오일,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또는 아디프산의 디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액체 고무(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 또는 폴리이소프렌 고무), 부텐 및/또는 이소부텐의 액체 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 폴리비닐 에테르, 점착제 수지용 원료 물질을 기초로 한 액체 수지 및 가소제 수지, 울 왁스 및 기타 왁스, 또는 액체 실리콘이 있다.
가교제의 예로는 페놀성 수지 또는 할로겐화된 페놀성 수지, 멜라민 수지 및 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포함한다. 적절한 가교 증진제로는 예를 들어 말레이미드, 알릴 에스테르, 예를 들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및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다작용성 에스테르가 있다.
특정 페인트 시스템과 관련하여, 페인트로부터의 페인트 성분들(예를 들어, 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테르, 실리콘 또는 다른 가소제)의 접착제로의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접착제에 페인트의 성분들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류의 페인트 성분들은 EP 0 763 584 A1 및 US 5,612,135 A1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물리적 재활용 및 열에너지 회수를 위해 접착제, 더욱 구체적으로 전체 보호 필름이 할로겐-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생산될 수 있으며, 모든 층들(후면, 접착 증진제, 접착제)은 동시에 공압출된다. 이는 기술적 관점으로부터 최고의 해법을 나타낸다.
후면 단독은 마찬가지로 제 1 층 및 제 2 층, 및 존재하는 경우 추가 층들을 공압출시키므로써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부류의 필름은 블로잉 라인(blowing line) 또는, 바람직하게는 캐스팅 라인(T-다이 기술) 상에서 제작될 수 있으며, 필름은 드로잉 롤 또는 드로잉 틀로 드로잉(지향화)에 의해 단일축 또는 이축으로 지향되지 않는다. 이러한 부류의 필름이 블로잉될 때, 지향은 출발 속도, 블로우-업 비율(blow-up ratio) 및 온도 프로파일을 통해 최소화될 것이다.
공압출은 또한 후면을 제조하는 동안 접착-증진층을 도포하는 적절한 수단이다. 접착 증진제는 후면과 함께 공압출하거나, 후면 및 접착제와 함께 공압출하거나, 후면 상에 코팅하므로써 도포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접착 증진제는 후면을 압출하는 동안 동시에 도포되어, 얻어진 공압출된 필름이 단지 접착제와 함께 코팅되도록 한다.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공압출에 의해 접착제, 접착 증진제 및 제 1 층/필름(블록 공중합체를 포함)을 생산하기 위한 최근의 모든 시도는 실질적으로 실패하였는데, 이는 1 m 초과의 폭에서 균일한 층두께 분포를 달성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공압출에 의한 일반적인 부류의 보호 필름의 생산을 위해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예의 재현은 라인의 폭이 1 m를 초과하는 경우 도포-친화성 층 두께 분포를 달성하기에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특히 접착제를 강력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즉 단지 약한 접착성을 가지지 않게 하기 위해 원료 물질을 사용할 때, 이러한 부류의 부분 결정성 공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층을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40% (w/w) 이상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지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 트 공중합체가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블록 공중합체와 공압출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놀라운 것이다. 층두께 분포는 매우 양호하여 1000 m의 구동 길이 및 1.5 m의 폭을 지니면서 균일하게 감긴 롤이 형성되고 폭을 가로지르는 강철에 대한 결합 강도(AFERA 4001)가 ±20%의 내구력 범위 내로 존재한다.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층들의 원료 물질의 용융지수 및 용융 흐름의 온도는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하기와 같다:
필름(프라이머와 같은 서브층 포함)의 용융지수는 230℃ 및 2.16 kg에서 0.3 내지 10 g/10분 이며, 접착제에 대해 190℃ 및 2.16 kg에서 0.5 내지 10 g/10 분이다. 사용되는 PE-LD의 밀도는 0.915 내지 0.930 g/㎤이다. 접착제 용융물의 온도는 필름 보다 낮다(용융 흐름이 일치하는 점에서 측정됨).
본 발명의 대상의 장점은 특히 자동차와 같은 페인팅된 운송수단에 도포하기에 적절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맥에서 새롭게 결합된 상태에서도 0.7 N/cm 이상의 결합 강도는, 필름이 응력의 결과로서(특히 불균등한 결합의 경우에서) 도포 후에 결합 모서리에서 탈착되지 않을 수 있거나 자동차의 운송 또는 운전 중에 후류의 결과로서 전체적으로 탈착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요망된다(AFERA 방법 4001, DIN EN 1939에 해당). 페인트에 대한 결합 강도가 특정 페인트 제형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보호 필름의 결합 강도는 강철에 대한 결합 강도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특징될 수 있다(AFERA). 새로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의 강도는 가능한한 0.2 내지 3.8 N/cm,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7 N/cm이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특히 자동차의 새로운 마감재의 어셈블리 보호 또는 운송 보호를 위해 또는 기계가공 및 운송시에 새로이 페인팅된 강철 판넬을 위한 보호로서 적절하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페인팅된 표면을 오븐으로 통과시키고 30분 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 페인트가 아직 완전하게 경화되지 않아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단점을 지니지 않는다. 보호 필름은 또한 낮은 결합 강도를 갖는 광범위한 자체-접착제 커버 필름의 다른 부류를 부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모서리-고정 테이프로서 사용될 때 현저한 성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추가 특징은 자동차의 본넷, 루프 및 덮개에 비해 큰 폭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이의 변형능력으로 인해 평면 또는 심지어 온화한 곡선 모양의 영역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염으로부터 큰 위험을 갖는 가로 영역이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심지어 좁은 영역, 예를 들어 창문 아래 문 또는 범퍼의 돌출부가 용이하게 커버될 수 있다. 운송 수단에서 세로 영역의 보호는 구체적으로 이의 어셈블리 동안 적절하다. 효과적인 연장능력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보호 폴리에틸렌 필름의 수축의 결함은 뚜렷하지 않다.
보호 필름은 태양광, 습기, 열 및 냉기에 내성이며, 적어도 1년 동안 풍화 안정성을 갖는다. 특히 안료,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및 광안정화제의 첨가는 보호 필름의 UV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매우 높은 태양광 수준, 예를 들어 플로리다에서의 높은 태양광 수준에서도, 보호 필름은 끊어지거나 탈착되지 않는다. 보호 필름 의 매우 낮은 UV 투과능력은 태양광 노출에 의해 손상되는 접착제를 보호한다.
더욱이, 왁스로의 보존과 비교하여 보호 필름의 강도는 새 낙하물과 같은 오염 및 최소의 기계적 사건에 의해 운송 수단에 대한 전체적인 손상에 대해 결점없이 보호한다. 필수적인 접착 강도에도 불구하고, 보호 필름은 사용 후에 잔류물 없이 그리고 후면 필름의 찢어짐 없이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보호 필름을 재생시키거나 이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데, 더욱 구체적으로 이는 할로겐-부재이기 때문이다.
제 1 층에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므로써, 보호 필름은 제거될 때, 심지어 접착제가 양호한 접착성을 가질 때에도 찢어지지 않는다.
UV 풍화 후에 표면 보호 테이프의 시험 과정에서, 표준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표준 폴리에틸렌(HDPE) 또는 이들의 1:1 배합물로부터 이루어진 후면 필름의 경우에 부서짐이 매우 빠르게 발생되었으며; LDPE 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5% 에틸렌을 지님)의 경우에, 이러한 상태는 더욱 바람직하게 되는 반면 최고의 결과는 3% 내지 15%(w/w) 에틸렌을 함유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서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제 1 층용으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사용의 장점은 풍화 후 제거하는 경우에 특히 뛰어났으며, 이는 실제적인 용도와 매우 관련이 있다. 제 1 층으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접착제로 강력한 접착성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합과 관련하여, 모순없이 인상적인 방식으로 보호 필름은 높은 접착성 및 양호한 재탈착능력의 중요한 성질을 달성할 수 있다.
추가 장점으로 가열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수축에 대한 내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접착제의 어떠한 매끄운 자국도 보호필름으로 커버된 표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지 않는 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해 보호 필름을 오븐에 통과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적합성(연장능력)이 자동차 적용에 대해 특히 유리하지만, 이들의 주요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보호 필름은 충분한 열 안정성이 부족하다.
표면 보호 테이프의 필름의 주요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사용은 적합성(연화성/변형성 참조)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통상적이다. 부가적으로, 이의 인성은 폴리프로필렌(동종중합체) 보다 양호하며, 이는 양호한 열 내성을 가지만 덜 부서지기 쉽다. 이는 자동차를 커버하기 위한 보호 필름에 적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류의 보호 필름은 열 안정성이 단지 중간정도인 단점을 갖는다.
제 1 필름에서 주요 성분으로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사용은 한편으로 적당한 연화성과 다른 한편으로 열 안정성 간의 충돌을 특이하게 해소한다. 이는 열 안정성과 함께 높은 인성에 대한 모순된 요구사항에 적용된다.
강력하게 접착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접착제는 박리 제제가 실질적인 필름 성분으로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 보호 필름 롤을 저장한 후에 비교적 어렵게 풀리게 된다. 풀림의 어려움은 필름을 사용하는 일부 작업자에게 무리한 노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롤을 풀기 위하여 작업자에 의해(또는 그리퍼 장치에 의해) 움켜잡힌 이러한 점에서 보호 필름의 비가역적 변형을 초래한다.
당업자가 예측하지 못하면서 놀랍게도, 제 2의 PE-LD 외부층을 지니고 강철에 대한 제 1 층 상에서의 0.2 내지 3.8 N/cm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접착제의 결합 강도를 지닌 보호 필름은 구체적으로 40%(w/w) 이상의 비닐 아세테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요망되는 성질의 조합을 나타낸다:
- 저장 전, 및 특히 저장 후 모두에서 낮은 풀림력
- 제 1 층에 순수한 PE-LD층의 효과적인 고정
수많은 다른 폴리에틸렌(예를 들어, PE-HD, PE-MD, PE-LLD) 및 폴리프로필렌과는 달리, PE-LD의 층에 대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접착제의 결합 강도는 매우 낮으며, 또한 저장시에 이를 유지한다(도 1에서 비교). 이러한 경우에, 존재하는 PE-LD의 외부층과 함께, 수많은 접착제 테이프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는 박리 니스(release varnish)로의 추가 코팅은 불필요하다. 당업자가 인식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사이의 부적합성에도 불구하고,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지닌 층에 PE-LD의 고정은 도포를 위해 충분히 높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EVAc 자체-접착제 조성물은 한편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통상적인 다양한 페인트에 대한 양호한 접착 강도를 지니고, 수분 또는 습도 조건의 효과 하에서도 이러한 성질을 유지하여, 보호 필름이 바람 노출하에서 또는 굽은 표면의 결합에 의해 야기되는 인장 하에서도 운송수단으로부터 탈착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이러한 자체-접착제 조성물은 도포하고 수분 내에 충분한 결합 강도를 지니며, 이에 따라 단지 30분 후에, 예를 들어 보호 필름은 심각한 후류 하중(160 km/h 이하)에 노출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또한 연장된 사용 후에 찢 어짐 없이 제거될 수 있다.
2 K[2-성분] PU 페인트로부터의 EVAc 자체-접착제 조성물을 지닌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박리력(결합 강도)은 대개 초기 상태(fresh state)에서 0.7을 초과하고 변하는 기후 상태(AFERA 방법 4001과 유사한 상태)하에서 저장한 후에 4 N/cm 미만이다. 보호 필름을 예를 들어 55℃에서 3000 시간 동안 Xenotest 1200를 사용하여 UV 광에 노출시켜도, 보호 필름의 성질에 어떠한 결함을 초래하지 않는다. 필름이 부서지지 않으며, 제거시에 조성물이 잔류하지 않는다.
시험 방법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23±1℃ 및 50±5% 상대 습도의 시험 조건 하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
DIN EN ISO 527-3/2/300에 따라, 15 mm 폭 및 150 cm 길이, 클램핑-인(clapmed-in) 길이 100 mm의 시험 스트립 상에서 300 mm/분의 시험 속도로 보호 필름의 인장/확장(tension/extension) 행동을 측정하였다.
20 mm 폭의 시험 스트립을 이용하여 AFERA 4001을 기초로 한 방법으로 180°의 박리각에서 순간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AFERA 표준에 따른 PVC 플라그를 시험 기판으로서 사용하고, 시험 하에서 접착 테이프의 스트립을 이러한 플라그에 도포하였다. 제 2 스트립을 제 1 스트립의 뒷부분에 도포하고, 제 1 스트립의 뒷면에 대한 이의 결합 강도를 AFERA 4001에 따라 시험하였다.
각각 20 mm의 폭을 갖는 두개의 시험 스트립의 결합물에서 박리력을 측정하 였다. 결합물의 접착제의 개방 측면을 마찬가지로 20 mm의 폭 및 30 ㎛의 두께를 갖는 PVC 스트립으로 라이닝하였다. 측정하기 전에, 샘플을 2 N/㎠의 결합물 상의 중력 하중 하에서 40℃에서 7일 동안 저장하였다. 저장 후에, 시험 스트립을 220 mm의 길이로 절단하고, 시험 조건하에서 2 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측정을 위하여, 결합물의 상부 시험 스트립을 AFERA 4001에서 사용된 부류의 신장 시험 기계의 윗턱으로 클램핑하였다. 하부 시험 스트립 및 PVC 스트립을 아랫턱으로 클램핑하였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턱들의 간격은 50 mm이었다. 300 mm/분의 턱들이 분리되는 속도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 100 mm의 거리에 대해 측정된 결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요망되는 힘에 대한 평균값은 박리력에 해당한다.
DIN 53370에 따라 평면인(곡선이 아님) 범위를 갖는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직조된 필름의 경우에서, 고려되는 두께는 엠보싱 전의 두께이다. 이는 또한 이후에 밀도를 이용하여 기준 중량(DIN 53352에 따라 측정됨)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엠보싱의 깊이는 엠보싱을 지닌 두께와 이를 지니지 않은 두께 간에 상이하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실시예
비교 실시예 1
1450 mm의 폭으로 평판 필름 압출(flat film extrusion)시켜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는 50 ㎛ 두께의 제 1 층 및 제 1 층의 자유 측면 상의 10 ㎛ 두께의 접 착 증진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층은 하기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91.3%(w/w)의 노볼렌(Novolen) 2309L 블록 공중합체(BASF, 230℃ 및 2.16 kg에서 6 g/10분의 용융지수, 약 6.5%(w/w)의 에틸렌 함량),
8.4%(w/w)의 이산화티탄, 및
0.3%(w/w)의 HALS 안정화제 티누빈 770.
접착 증진제 층은 50%(w/w)의 노볼렌 2309L 및 50%(w/w)의 EVAc 공중합체, 에스코렌 울트라(Escorene Ultra) UL 00728 (Exxon)로 이루어져 있다. 압출하기 전에, 원료 물질들을 콘크리트 혼합기를 사용하여 사전혼합하였다.
제조된 접착제는 툴루엔 중 하기 베이스 물질의 10% 세기 용액이다.
- 65%(w/w)의, 사전처리없이 100℃에서 28의 무니(Mooney) 점도 ML (1+4) (DIN 53523)를 갖는 70%(w/w) 비닐 아세테이트 및 30%(w/w) 에틸렌의 공중합체
- 30%(w/w)의, 사전처리없이 100℃에서 18의 무니 점도 ML (1+4) (DIN 53523)를 갖는 45%(w/w) 비닐 아세테이트 및 55%(w/w) 에틸렌의 공중합체
- 4.8%(w/w)의 로신의 수소첨가된 글리세롤 에스테르
- 0.2%(w/w)의 이르가녹스 1010(항산화제).
접착제 용액을 코팅바를 이용하여 필름에 도포하고, 터널에서 8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보호 필름에 테두리를 두르고, 길이 200 m 및 폭 1400 mm의 롤에 감았다. 접착제의 도포는 12 ㎛이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자체-접착제 필름은 주름없이 용이하게 풀려지며,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완벽하게 도포될 수 있다.
비교 실시예 2
1450 mm의 폭으로 평판 필름 압출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50 ㎛ 두께의 제 1 층, 10 ㎛ 두께의 외부층, 및 제 1 층의 자유 측면 상의 10 ㎛ 두께의 접착 증진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층의 조성은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외부 층은 100%(w/w)의 루폴렌(Lupolen) 3721C (Basell, PE-MD, d=0.937 g/㎤)으로 이루어졌다.
접착 증진제 층 및 접착제는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접착제 용액을 코팅바를 이용하여 필름에 도포하고, 터널에서 8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보호 필름에 테두리를 두르고, 길이 200 m 및 폭 1400 mm의 롤에 감았다. 접착제의 도포는 12 ㎛이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자체-접착제 필름은 주름없이 용이하게 풀려지며,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완벽하게 도포될 수 있다.
비교 실시예 3
1450 mm의 폭으로 평판 필름 압출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50 ㎛ 두께의 제 1 층, 10 ㎛ 두께의 외부층, 및 제 1 층의 자유 측면 상의 10 ㎛ 두께의 접착 증진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층의 조성은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외부 층은 100%(w/w)의 폴리에틸렌 LL 1030XV (ExxonMobil Chemical, PE- LLD, d=0.918 g/㎤)으로 이루어졌다.
접착 증진제 층 및 접착제는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접착제 용액을 코팅바를 이용하여 필름에 도포하고, 터널에서 8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보호 필름에 테두리를 두르고, 길이 200 m 및 폭 1400 mm의 롤에 감았다. 접착제의 도포는 20 ㎛이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자체-접착제 필름은 주름없이 용이하게 풀려지며,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완벽하게 도포될 수 있다.
비교 실시예 4
1450 mm의 폭으로 평판 필름 압출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50 ㎛ 두께의 제 1 층, 10 ㎛ 두께의 제 2 층(외부층), 및 제 1 층의 자유 측면 상에 10 ㎛ 두께의 접착 증진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층의 조성은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외부 층은 PE-LD 및 PP 공중합체(70%(w/w) ExxonMobil Chemical LD252, 밀도=0.923 g/㎤, 30%(w/w) Daplen FFC 2012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졌다.
접착 증진제 층 및 접착제는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접착제 용액을 코팅바를 이용하여 필름에 도포하고, 터널에서 8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보호 필름에 테두리를 두르고, 길이 200 m 및 폭 1400 mm의 롤에 감았다. 접착제의 도포는 12 ㎛이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자체-접착제 필름은 주름없이 용이하게 풀려지며,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완벽하게 도포될 수 있다.
실시예 1
1450 mm의 폭으로 평판 필름 압출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50 ㎛ 두께의 제 1 층, 10 ㎛ 두께의 외부층, 및 제 1 층의 자유 측면 상의 10 ㎛ 두께의 접착 증진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층의 조성은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외부 층은 100%(w/w)의 폴리에틸렌 LD252(ExxonMobil Chemical, PE-LD, d=0.923g/㎤)로 이루어졌다.
접착 증진제 층 및 접착제는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접착제 용액을 코팅바를 이용하여 필름에 도포하고, 터널에서 8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보호 필름에 테두리를 두르고, 길이 200 m 및 폭 1400 mm의 롤에 감았다. 접착제의 도포는 12 ㎛이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자체-접착제 필름은 주름없이 용이하게 풀려지며,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완벽하게 도포될 수 있다.
실시예 2
접착제를 포함하여, 4개의 층을 공압출시켜 보호 필름을 생산하였다.
원료 물질:
- 50 ㎛의 제 1 층:
60%(w/w)의 다플렌(Daplen) FFC 2012 블록 공중합체(PCD, 230℃ 및 2.16 kg에서 5 g/10분의 용융지수, 약 12%(w/w)의 에틸렌 함량),
25%(w/w)의 다플렌 KF 201 동종중합체(PCD, 230℃ 및 2.16 kg에서 8 g/10분 의 용융지수),
6.3%(w/w)의 루폴렌(Lupolen) 1840H(LDPE, Elenac GmbH, 190℃ 및 2.16 kg에서 1.5 g/10분의 용융지수, 밀도 0.919 g/㎤)
8.4%(w/w) 이산화티탄 및
0.3%(w/w) 티누빈 770.
- 10 ㎛의 제 2 층:
100%의 폴리에틸렌 LD165BW1(ExxonMobil Chemical PE-LD, d=0.922 g/㎤).
- 10 ㎛의 접착 증진제 층:
비교 실시예 1과 같음
- 12 ㎛의 접착제 층:
190℃ 및 2.16 kg에서 3 g/10분의 용융지수를 갖는, 59.5%(w/w) 비닐 아세테이트 및 39.5%(w/w) 에틸렌의 공중합체. 압출하기 전에, 분말화제로서 약 1%(w/w)의 실리카를 첨가하면서 접착제 원료 물질을 대략 5 mm 크기의 과립 입자로 가공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된 보호 필름의 롤은 폭 1.5 m 및 길이 1000 m이며, 우수한 구부러짐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롤은 주름 없이 용이하게 풀려질 수 있고,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때 완벽하게 도포될 수 있다. 사용한 후에, 자체-접착제를 야외 풍화 조건하에서 결합 후 1년 동안 결함없이 다시 박리할 수 있다.
실시예 3
1450 mm의 폭으로 평판 필름 압출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50 ㎛ 두께의 제 1 층, 10 ㎛ 두께의 외부층, 및 제 1 층의 자유 측면 상의 10 ㎛ 두께의 접착 증진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층의 조성은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외부 층은 PE-LD 및 PP 공중합체(85%(w/w) ExxonMobil Chemical LD252, 밀도=0.923 g/㎤, 15%(w/w) Daplen FFC 2012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졌다.
접착 증진제 층 및 접착제는 비교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접착제 용액을 코팅바를 이용하여 필름에 도포하고, 터널에서 8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켰다. 얻어진 보호 필름에 테두리를 두르고, 길이 200 m 및 폭 1400 mm의 롤에 감았다. 접착제의 도포는 12 ㎛이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자체-접착제 필름은 주름없이 용이하게 풀려지며,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완벽하게 도포될 수 있다.
성질의 비교
순간 결합 강도[N/cm] 박리력[N/cm]
비교 실시예 1 0.22 0.55
비교 실시예 2 0.11 0.33
비교 실시예 3 0.17 0.60
비교 실시예 4 측정되지 않음 0.54
실시예 1 0.06 0.18
실시예 2 0.13 0.12
실시예 3 측정되지 않음 0.33
실시예 1 및 2로부터의 결합 강도와 비교 실시예들의 결합 강도의 비교는, PE-LD 외부층을 지닌 필름 상에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접착제의 결합 강도가 특히 박리력의 경우에서 다른 외부층 보다 매우 낮음을 명확하게 나타낸다. 실시예들의 순간 결합 강도가 비교 실시예와 종종 동일한 정도를 갖지만, 어떠한 경우 에서도 상승된 온도에서 연장된 저장 후의 박리력이 PE-LD의 외부층이 사용될 때 비교 실시예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지 않았다. 순간 결합 강도와 박리력 간의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접착제 어셈블리가 저장될 때 상이한 기판 상에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접착제의 결합 강도에 대한 변화에 있다. 저장 과정에서 대개 결합 강도가 증가하지만, 이는 PE-LD 상에서의 결합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적은 범위로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기판은 구체적으로 심지어 저장 후에 낮은 풀림력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하다. 실시예 3 및 비교 실시예 4로부터 PP 공중합체와 PE-LD의 블랜드가 85%의 PE-LD 분율에 대해 낮은 박리력을 제공하지만, 70%의 PE-LD 분율은 더 이상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상이한 중합체 상에서의 EVAc 접착제의 박리력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7)

  1. 한쪽 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면으로 이루어진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으로서, 후면이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를 10% 내지 95%(w/w)의 양으로 포함하는 비지향된 필름을 포함하며, 접착제와 접하는 제 1 층, 및 75% (w/w)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w/w) 이상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접착제로부터 이격되어 접하는 제 2 층의 두 층 이상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15 g/㎤ 내지 0.935 g/㎤, 바람직하게는 0.915 g/㎤ 내지 0.930 g/㎤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 층의 두께가 1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용융지수가 230℃ 및 2.16 kg에서 0.8 내지 15 g/10 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3% 내지 15% (w/w)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층에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이 65% (w/w)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층과 접착제 사이에 접착 증진제가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 증진제가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및 극성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의 층이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접착제의 층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40% (w/w)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 (w/w)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철에 대한 결합 강도가 0.2 내지 3.8 N/cm,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7 N/cm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 착제 보호 필름.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의 두께가 20 내지 80 ㎛이며, 바람직하게는 접착 증진제 층을 포함하여 20 내지 8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층이 하나 이상의 광안정화제를 0.15% (w/w) 이상의 양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 층이 접착제 쪽으로 향하는 층과 외부층인 두개 이상의 층을 공압출시켜 제조되며, 외부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 층이 접착 증진제 층과 함께 공압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
  15. 후면의 층, 요망되는 경우 접착 증진제 층 및 접착제를 동시에 공압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6. 후면의 층, 및 요망되는 경우 접착 증진제 층을 동시에 공압출시키고, 이후에 접착제를 접착 증진제 층에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체-접착제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17. 운송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의 부품의 페인팅된 표면 상에서의, 또는 자동차의 새로운 마감처리 중 조립 보호 또는 운송 보호를 위한, 또는 기계 가공 및 운송 중 새로운 페인팅된 강철 판넬에 대한 보호제로서의, 제 1항 내지 제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호 필름의 용도로서, 보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운송 수단의 조립 전에 도포되는 용도.
KR1020080017204A 2007-02-27 2008-02-26 낮은 풀림력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KR20080079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9753 2007-02-27
DE102007009753.2 2007-02-27
DE102007022727.4 2007-05-11
DE102007022727A DE102007022727A1 (de) 2007-02-27 2007-05-11 Oberflächenschutzfolie mit niedriger Abrollkra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613A true KR20080079613A (ko) 2008-09-01

Family

ID=3964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204A KR20080079613A (ko) 2007-02-27 2008-02-26 낮은 풀림력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02663A1 (ko)
EP (1) EP1964902A1 (ko)
JP (1) JP2008208374A (ko)
KR (1) KR20080079613A (ko)
CN (1) CN101255320A (ko)
DE (1) DE102007022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8557B2 (ja) * 2008-12-12 2014-01-15 日東電工株式会社 塗膜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6725B2 (ja) * 2009-11-27 2014-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塗膜保護シート
JP5748952B2 (ja) * 2009-11-27 2015-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塗膜保護シート
WO2011101298A1 (en) * 2010-02-17 2011-08-25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Transfer coating for temporary protection
CN102337087B (zh) * 2010-07-20 2013-11-06 麦建进 保护膜
JP5883582B2 (ja) * 2011-06-17 2016-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883583B2 (ja) * 2011-06-17 2016-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04140768A (zh) * 2013-05-10 2014-11-12 鸿威光电股份有限公司 保护膜
CN103740288A (zh) * 2013-12-04 2014-04-23 上海晶华粘胶制品发展有限公司 泡沫胶带及其生产工艺
EP3337773A1 (en) 2015-08-18 2018-06-27 General Electric Company Dense environmental barrier coating compositions
DE102015217312A1 (de) 2015-09-10 2017-03-16 Tesa Se Klebeband, das insbesondere in einem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faserverstärkter Kunststoffbauteile eingesetzt werden kann
DE102015217310A1 (de) 2015-09-10 2017-03-16 Tesa Se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faserverstärkter Kunststoffbauteile
CN109868080B (zh) * 2018-12-21 2021-10-22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高粘保护膜及其制备方法
CN109796897A (zh) * 2019-02-23 2019-05-24 常州市顺龙宏源包装有限公司 一种pe保护膜
CN114213767B (zh) * 2021-12-09 2023-12-15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76559A (en) 1949-02-17 1952-07-30 Johnson & Johnson Great Brita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dhesive tapes
DE4234712A1 (de) 1992-10-15 1994-04-21 Basf Ag Verwendung eines Copolymerisats aus alpha-Olefinen und ungesättigten, unpolaren Comonomeren als haftende Oberflächenschutzfolie
US6228449B1 (en) 1994-01-31 2001-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eet material
JP2886446B2 (ja) 1994-03-03 1999-04-26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塗膜保護用シート
WO1995033012A1 (fr) 1994-05-30 1995-12-0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Revetement protecteur de peintures
DE19532220A1 (de) 1995-09-01 1997-03-06 Beiersdorf Ag Selbstklebende Schutzfolie
DE19537754A1 (de) 1995-10-10 1997-04-17 Wolff Walsrode Ag Mindestens einschichtige Schmelzklebefolie mit release- und trennmittelfreier Wickelbarkeit aus polaren Copolymeren sowie niedermolekularen Harzen
DE19923780A1 (de) * 1999-05-22 2000-11-23 Beiersdorf Ag Unverstreckte Oberflächenschutzfolie aus Polypropylenblockcopolymer
US6872447B1 (en) * 1999-07-14 2005-03-29 Nichiban Company Limited Surface-prote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22727A1 (de) 2008-08-28
EP1964902A1 (de) 2008-09-03
JP2008208374A (ja) 2008-09-11
US20080202663A1 (en) 2008-08-28
CN101255320A (zh)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9613A (ko) 낮은 풀림력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US6803101B1 (en) Unoriented surface-protection film of polypropylene block copolymers
US7578901B2 (en) Self-adhesive protective film with olefin rubber adhesive
US6319353B1 (en) Self- adhesive protective film
US20050042444A1 (en) Self-adhesive protective sheet for temporary protection of vehicle finishes
US6811869B2 (en) Self-adhesive sheet for protecting vehicle finishes
US6274235B1 (en) Surface-prote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surface-prote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05501164A (ja) 水素化ブロックコポリマーをベースとする接着剤による塗装表面用の表面保護フィルム
US20040241372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painted surfaces with an adhesive based o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s
US20040253464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painted surfaces with an adhesive based o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s
KR20100068212A (ko) 도막 보호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6517937B2 (en) Self-adhesive protective film especially for painted vehicles or vehicle parts
JPH10176148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3342977B2 (ja) 塗膜保護用シート
JP2011013500A (ja)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フィルム
JP2008111097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2146309A (ja) 自動車塗膜保護用粘着フィルム
JPH08143838A (ja) 塗膜保護用シート
TWI542658B (zh) 感壓型黏著膜或片,表面保護膜或片,及使用於保護物品表面之方法
JP4514253B2 (ja) マーキングフィルム
WO2013121853A1 (ja) 表面保護シート
JP2023096747A (ja) 粘着テープ
JP2001348548A (ja) 表面保護粘着シート及びそのためのゴム系粘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