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431A -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431A
KR20080078431A KR1020070018564A KR20070018564A KR20080078431A KR 20080078431 A KR20080078431 A KR 20080078431A KR 1020070018564 A KR1020070018564 A KR 1020070018564A KR 20070018564 A KR20070018564 A KR 20070018564A KR 20080078431 A KR20080078431 A KR 20080078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messenger
content
information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821B1 (ko
Inventor
이재하
심준형
조은경
김춘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821B1/ko
Priority to PCT/KR2008/001032 priority patent/WO2008103002A1/en
Publication of KR2008007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신저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에서 키워드를 판별하여 관련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검색 상황을 키워드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 경우 이를 해당 키워드에 대해 최적화된 결과 컨텐츠를 메신저에 내장된 브라우저창을 통해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메신저 시스템을 사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그에 따른 고품질 결과를 메신저 시스템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메세지 교환 기능과 특정 정보에 대한 고품질 검색 기능을 메세지 교환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SYSTEM AND METHOD FOR KEYWORD SEARCHING IN MESSENG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도 1은 검색 기능을 구비한 일반적인 메신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검색 기능을 메세지창에 포함시킨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일반적인 검색 기능을 가진 메신저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창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방식을 보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화창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영화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템플릿의 예시도.
도 12는 도 11의 템플릿을 이용한 컨텐츠의 예시도.
도 13은 영화 키워드에 대한 다른 컨텐츠의 예시도.
도 14는 컨텐츠 공유에 따른 대화창의 동작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5는 영화 키워드에 대한 부가적인 예매 컨텐츠를 보인 예시도.
도 16은 영화 키워드에 대한 부가적인 예매 완료 컨텐츠를 보인 예시도.
도 17은 지역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템플릿의 예시도.
도 18은 도 17의 템플릿을 이용한 컨텐츠의 예시도.
도 19 및 20은 지역 키워드에 대한 다른 컨텐츠 템플릿들의 예시도.
도 21은 키워드 노출 목록을 추가한 대화창 인터페이스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통신망 110: 메신저 클라이언트1
120: 메신저 클라이언트2 131: 메세지큐 서버
132: 인스턴트 메세지 서버 133: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서버
134: 웹서버 140: 중앙서버
141: 키워드 DB 142: 컨텐츠 DB
150: 대화창 151: 메세지 표시 영역
152: 메세지 입력 영역 160: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
161: 컨텐츠 표시 영역 162: 공유 버튼
210: 메신저 서비스 서버 220: 메신저부
230: 웹서버 310: 영화 DB
320: 검색DB 330: 지도DB
340: 지역DB 400: 메신저
410: 메세지 처리부 420: 키워드 관리부
430: 내장 브라우저 관리부 500: 웹서버
510: 컨텐츠 요청 수신부 520: 키워드 판단부
530: 검색부 540: 검색 DB
550: 전용 컨텐츠 DB 560: 키워드 정보 DB
570: 컨텐츠 정보 생성부 580: 응답 송신부
본 발명은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신저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에서 키워드를 판별하여 관련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검색 기능을 가진 다양한 포털 서비스(블로그, 카페, 검색, 메일 등)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누구나 생성하여 등록한 후 해당 컨텐츠(일명, 사용자 생성 컨텐츠, 이하 UCC라 칭함)를 공유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상기 다양한 포털 서비스에서는 이러한 컨텐츠에 관련된 서비스 외에 보다 많은 사용자의 관심을 얻기 위해서 인스턴트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기본으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환경의 발전에 따라 상기 메신저 서비스는 유무선 전화와 함께 주요한 통신 수단의 하나가 되고 있으며, 음성, 화상, 데이터 등을 문자와 함께 무료로 상호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자층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자는 대부분 검색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사업자이기 때문에, 해당 메신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하, 간단히 메신저라 칭함)에 검색 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메신저 서비스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측 메신저 프로그램의 예를 보인 것으로, 좌측이 실제 상대방화 대화하기 위한 대화창(10)이며, 우측은 상대방 정보 및 접속 상태를 보이는 접속 목록창(20)이다. 여기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상기 접속 목록창을 호출하여 나타나는 접속자 목록 영역(21)에서 원하는 상태를 선택하여 상기 대화창(10)을 생성한 후 실제 대화 시에는 상기 접속 목록창(20)의 실행을 종료하여 화면 영역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대화창(10)은 크게 주고 받은 메세지가 표시되는 메세지 표시 영역(11)과 사용자가 전송할 메세지를 입력하는 메세지 입력 영역(12)으로 구분되며, 부가적으로 사진이나 각종 메뉴 및 아이콘과 같은 대화창(10)을 꾸미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하지만, 해당 대화창(10)은 메세지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주된 기능이기 때문에 검색 기능은 실질적으로 클라이언트측 메신저 서비스를 관리하는 상기 접속 목록창(20)의 검색 영역(22)에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들은 상기 대화창(10)을 이용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대화 중에 나타나는 특정한 검색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기 접속 목록창(20)을 재실행 한 후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인터넷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직접 검색 사이트에 접속하여 검색을 실시하게 된다.
도 2는 도 1과 같은 불편함을 덜기 위해서 대화창(30)에 검색 영역(33)을 더 부가하여 구성한 경우를 보인 것으로, 이러한 경우라 할지라도 메세지 표시 영역(31)과 메시지 입력 영역(32)과는 무관하게 검색어를 상기 검색 영역(33)에 입력해야 하고, 이를 통해 제공되는 결과 역시 인터넷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자동 호출하여 별도의 창으로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검색 결과를 상기 대화창(30)을 포함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별도 제공하는 결과창에 나타내도록 하거나, 상기 검색 영역(33) 대신 상기 메세지 입력 영역(32)을 검색어 입력 영역으로 사용하여 별도의 검색 버튼을 통해 검색 결과를 얻도록 하는 등의 기능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각종 검색 방식들은 단순히 메신저의 대화창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검색 기능을 부가한 정도에 지나지 않고, 검색 방식 역시 기존의 검색 툴바를 이용하거나 직접 검색 사이트에 접속하여 검색을 실시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사용자가 대화 중에 관심이 있는 내용을 발견한 경우 해당 내용을 직접 입력하여 검색을 실시한다는 검색 과정이나 절차 및 그 결과는 대화창 옆에 기존의 웹 브라우저를 작게 띄워두고 검색어를 입력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는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 것이다.
도 3은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시스템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큐 서버(61),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62)와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서버(63) 및 이들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65)를 포 함하는 메신저 시스템과, 복수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들(41, 42) 및 검색 서버(112),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41, 42)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대상으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등을 의미한다.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41, 42)은 인스턴트 메세지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검색 쿼리를 요청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41, 42)은 상기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서버(63)를 이용하여 로그인 및 인증 절차를 거치며, 상기 메세지 큐 서버(61)를 통해 송수신하는 메세지를 일시 저장한 후 금지어를 필터링하거나 메세지 전달 대상을 확인하여 메세지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메세지는 상기 중앙 서버(65)에 제공되며, 상기 중앙 서버(65)는 일반 메세지인 경우 해당 메세지를 상기 인스턴트 메세지 서버(62)를 통해 대상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검색 서버(50)는 상기 메세지 서비스 시스템과는 별도로 동작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41, 42)로부터 제공되는 검색 쿼리를 수신하여 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41, 42)에게 제공한다.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41, 42)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에 제공되거나,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41, 42)에 구성된 메신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별도의 웹브라우징 기능이 포함된 경우 해당 기능에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검색 결과의 제공은 표시 영역이나 환경에 맞추어 검색 결과를 일괄적으로 관리해주는 기능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41, 4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검색 쿼리는 사용자가 임의적인 내용을 수동으로 질의하는 것이므로 그 내용을 예측하기 어려워, 그에 대한 결과는 일반적인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검출한 결과를 화면 크기에 맞추어 제공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메신저 서비스와 검색 서비스를 단일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기는 하지만 이는 단순히 결합 관계가 미약한 두가지 기능의 결합에 불과하였다.
즉,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발생되는 검색 상황을 능동적으로 관리하고, 해당 검색 상황에 최적화된 결과를 능동적이면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복수 서비스들 간의 결합 관계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이 상이한 서비스의 결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검색 상황을 키워드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 경우 이를 해당 키워드에 대해 최적화된 결과 컨텐츠를 메신저에 내장된 브라우저창을 통해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메신저 시스템을 사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그에 따른 고품질 결과를 메신저 시스템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 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메신저 서비스 사용자들이 메세지를 주고 받을 경우 해당 키워드를 자동 검출하여 검색 가능함을 알려주고, 사용자가 별도로 검색어를 수동 입력하지 않고 대화 중에 표시된 키워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해당 키워드에 최적화된 검색결과 컨텐츠를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연동되는 부속창에 표시하도록 하여 대화 중에 등장하는 특정 주제에 대한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키워드에 관련되어 기 설정된 고품질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그 결과를 대화 상태와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화 중인 주제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인하고, 대화 상태와 그 정보를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키워드 선택시 해당 키워드에 관련되어 기 정의된 내용을 해당 키워드의 종류에 적합하게 구성된 템플릿에 맞추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키워드 별로 특화된 고품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키워드 및 관련 컨텐츠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 관리하여 해당 정보 중 일부를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일회적으로 제공하고, 일부 키워드 정보는 실시간 제공하도록 하여 키워드 자동 검출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하면서도 키워드 관리 및 실시간 입력 메세지에 대한 키워드 검출이 가능하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키워드를 계층적으로 관리하고 종류별로 분류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응되는 결과 컨텐츠의 구성을 해당 키워드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상태로 제공하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키워드를 특정 사업자로부터 얻은 광고에 연동시켜 검색 요청 시 상기 사업자가 제공하는 대응 검색 결과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하면서도 메신저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키워드에 대응되는 결과 제공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는 포털 사업자의 다른 서비스를 위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추가 활용하여 결과 컨텐츠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다른 서비스와의 연계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참여를 높이도록 한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키워드를 제공하고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메세지를 중계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 웹서버와;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를 통해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메세지 를 교환하며, 상기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특정함과 아울러 상기 키워드 선택시 상기 웹서버에 컨텐츠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메세지 입력을 위한 대화창에 종속적인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내장 브라우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접속시 상기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온라인 상태에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를 통해 추가 적인 키워드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된 키워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메세지를 검사하여 키워드에 일치하는 문자열이 있는 경우 해당 문자열에 색상 변경, 두께 변경, 기울어짐 변경, 테두리 효과, 밑줄 추가, 박스 추가를 포함하는 문자열 효과를 제공하여 해당 문자열이 키워드임을 나타내며, 해당 문자열에 포인터가 접근하여 해당 문자열을 선택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서버는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편집하고 해당 정보를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서버는 키워드의 종류에 적합한 템플릿을 구비하며, 상기 키워드의 종류를 구분하여 적합한 템플릿을 근거로 구성된 컨텐츠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서버는 키워드에 관련된 대응 컨텐츠 및 해당 대응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링크 종류를 구분하여 해당 링크에 대한 컨텐츠가 요구될 경우 해당 링크 종류에 따라 마련된 템플릿을 근거로 후속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들과, 이들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며 이들의 접속 및 메세지 교환을 관리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웹 서버로 이루어진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주고받는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키워드 선택시 대응되는 연동 컨텐츠 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제공하고 결과 컨텐츠를 상기 웹서버에서 수신하여 내장 브라우저 수단을 통해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결과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대화 상대와 공유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상기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키워드 연동 컨텐츠 정보에 따라 해당 키워드가 속한 종류별로 마련된 포멧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얻어지는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들과, 이들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며 이들의 접속 및 메세지 교환을 관리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웹 서버로 이루어진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메시지 교환시 이를 중계하면서 기 저장된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환되는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파악하고 해당 메세지와 해당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에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로부터 중계되는 메세지 및 키워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메세지 내에 포함된 키워드를 특정하고, 해당 키워드 선택시 상기 키워드 관련 정보를 근거로 상기 웹서버에 상기 키워드 관련 컨텐츠를 요청하며 그 결과를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내장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표시하며, 선택적으로 해당 컨텐츠를 상기 대화상대와 공유하 도록 하는 정보를 송출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서버는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키워드 관련 컨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키워드가 속한 종류별로 마련된 포멧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얻어지는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구동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서버를 중계로 대화상대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메세지 교환이 이루어지는 메세지 교환 단계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기 저장된 키워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환 메세지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특정하는 키워드 표시 단계와; 상기 특정된 키워드 선택시 관련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컨텐츠를 웹서버에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단계와; 상기 컨텐츠 요청 정보를 수신한 웹서버가 상기 관련 키워드 정보를 근거로 해당 키워드 및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표시 환경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단계와;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해당 컨텐츠를 내장된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대화창에 연결되는 일부 영역을 생성하여 해당 영역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 표시 단계에서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자체 정보, 일부 코드 정보,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관련 키워드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주소 정보나 쿼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대화중인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동일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하는 공유 컨텐츠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상기 대화상대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자체 정보, 일부 코드 정보,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관련 키워드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주소 정보나 쿼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여는 경우, 내장된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대화창에 연결되는 일부 영역을 생성하여 해당 영역에 표시하는 공유 컨텐츠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세지 교환 단계 이전에,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한편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가 상기 키워드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키워드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메신저 서비스 서버를 중계로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메세지 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기 저장된 키워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환 메세지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된 키워드 선택시 관련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컨텐츠를 웹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인터페이스인 대화창의 일부에 연장 영역을 생성하여 해당 영역에 상기 수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구분 정보를 대화상태의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동일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메신저를 이용한 메시지 교환시 해당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특정하고 이를 선택한 경우 해당 키워드에 최적화된 결과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 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세지 큐 서버(131), 인스턴트 메세지 서버(132),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서버(133) 및 중앙서버(140)로 이루어지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측과, 통신망(100)을 매개로 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측을 통해 상호 메세지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복수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이 요청하는 검색의 결과를 소정 결과 컨텐츠로 제공하는 웹서버(134)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통합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신저 서비스 서버측을 구성하는 각 구성 서버들 역시 통합이나 분리 구성되어 다른 종류의 서버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필요한 정보 데이터베이스들을 구비하거나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와 연동 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보면, 상기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서버(133)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의 접속 및 인증을 관리하고, 상기 메시지큐 서버(131)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 간의 메세지 교환 내용을 임시 저장하고 해당 메세지에 대한 필터링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중앙 서버(140)는 전송된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32)로 전송한다.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132)는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간의 인스턴트 메세징 세션을 관리하며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에 교환되는 메시지 패킷을 중개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서버(133)와 인스턴스 메세지 서버(132)는 특정 키워드 및 해당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관련 정보들을 구비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41)와 연동하여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에 키워드 및 관련 정보들을 제공한다.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41)는 상기 중앙 서버(140)를 통하거나 혹은 직접 상기 웹서버(134)와 연동되어 상기 웹서버(134)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웹서버(134)는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41)에 키워드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의 요청에 따라 적절한 결과 컨 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결과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2)에 존재하거나 혹은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의 포멧정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2)는 상기 웹서버(134)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기본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은 상기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서버(133)와 인스턴트 메세지 서버(132)를 통해 제공 받은 키워드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한 후 해당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환되는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특정(예를 들어, 밑줄)하며, 사용자가 상기 특정된 키워드를 선택할 경우 해당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웹서버(134)에 제공한다.
상기 웹서버(134)는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이 제공하는 키워드 관련 컨텐츠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2)에서 검색한 후 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는 상기 키워드에 최적화된 구성의 컨텐츠로서 해당 컨텐츠는 상기 키워드에 대해 전용으로 생성된 고정된 정보들로 이루어지거나 해당 키워드에 적합한 특정한 포멧(특정 템플릿 구성)에 맞추어 다양한 검색 데이터 베이스들로부터 얻은 정보들로 구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웹서버(134)는 상기 키워드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연동 컨텐츠 정보(즉, 컨텐츠에 대한 구분자 정보)로서 해당 컨텐츠의 주소(URL)나 쿼리 정보등을 생성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141)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키워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종류에 대한 키워드들(예를 들어 영화정보, 지역 정보 등)을 정의할 수 있고, 상업적인 용도로 특정 사업자들에게 입찰 방식으로 키워드 및 컨텐츠를 획득할 수도 있다. 혹은, 해당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탈 사업자가 운영하는 다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서 얻어지는 상위 검색어를 키워드로 지정할 수 있고,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교환하는 메세지를 분석하여 자주 쓰이는 상위 문자열이나 단어 등을 추출한 후 이를 키워드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에서 키워드 검출을 실시하지 않고, 메세지가 교환되는 메세지 큐 서버(131), 중앙서버(140), 인스턴트 메세지 서버(132)에서 키워드 검출을 실시한 후 메세지 부분의 키워드 정보를 함께 메신저 클라이언트들(110, 120)에 제공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하는 각 서버들의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대화창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대화창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세지 교환 인터페이스로 간주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 표시 영역(151)과 메세지 입력 영역(152)을 포함하는 대화창(150)에서, 상기 메세지 표시 영역(151)에 나타나는 메세지에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특정한다. 즉, 도시된 구성에서는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설치시, 접속시, 혹은 접속 중에 키워드 및 관련 정 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메세지 교환에 따라 상기 메세지 표시 영역(151)에 모든 대화상대의 메세지를 표시할 경우, 상기 메세지와 상기 키워드를 비교하여 소정의 키워드에 일치하는 메세지의 일정 문자열을 검출하면 해당 문자열에 색상 변경, 두께 변경, 기울어짐 변경, 테두리 효과, 밑줄 추가, 박스 추가를 포함하는 문자열 효과를 제공하여 해당 문자열이 키워드임을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는 키워드인 "영화"에 대응되는 문자열에 밑줄(153)을 추가하여 해당 문자열이 키워드임을 알린다.
만일, 특정 대화창(150)에서 소정 문자열을 대응되는 이모티콘으로 지정한 경우, 해당 이모티콘(메세지 교환에서는 문자 정보로 처리됨)이 키워드에 대응할 경우 설정에 따라 밑줄을 제공하거나 혹은 밑줄 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상기 특정된 문자열 혹은 이모티콘은 해당 내용이 키워드이며 관련된 정보가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포인터를 해당 부분에 접근시켜 선택(클릭이나 더블 클릭)하면 해당 키워드에 대응되는 관련 정보(해당 키워드와 해당 키워드에 대응되어 지정된 연동 컨텐츠 정보 등)가 웹서버로 제공되고, 상기 웹서는 대응되는 결과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웹서버로부터 결과 컨텐츠를 수신할 경우, 상기 대화창(150)에서 연장되는 새로운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160)이 생성되며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표시 영역(161)에 표시한다.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160)의 동작을 위해서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웹 브라우저(예를 들어,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의 기능을 모듈화한 API를 이용하여 내장 브라우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일반적인 웹 브라 우저의 기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160)에는 공유를 위한 공유버튼(162)이 구비되며, 상기 버튼을 누를 경우 현재 컨텐츠 표시 영역(161)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대화상대측 메신저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해당 메신저 클라이언트에서도 동일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유를 위해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구분자 정보인 주소(URL) 정보나 쿼리 정보일 수도 있고, 상기 컨텐츠를 이루는 실제 코드 정보 전체나 일부일 수 있으며, 특정 영상이나 이미지 등과 같은 일부 정보를 선택한 후 공유를 시도할 경우 해당 데이터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혹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현재 제공되는 정보 중 일부만을 선별 선택하여 해당 선택 정보에 대한 주소 정보나 데이터 정보 혹은 코드 정보가 전달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160)은 컨텐츠를 표시해야 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생성되고, 컨텐츠 표시가 종료될 경우(종료 버튼을 누르거나 메뉴를 조작하여 해당 기능을 종료할 경우)에는 제거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제공을 위해서 애니메이션(예를 들어, 슬라이딩, 줌, 투명도 조절 등) 기능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화창(150)의 위치나 설정된 크기를 감안하여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160)이 생성될 경우 상기 대화창(150)이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창(150)의 위치가 화면 영역의 일측에 근접한 경우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160)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대화창(150)을 필요한 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대화창(150)의 크기가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 역(160)의 최소 크기보다 작다면 상기 대화창(150)의 크기를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160)의 최소 크기에 맞추어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실질적인 목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개념적 구성 및 이를 이용하여 키워드 검색을 실시하는 방식 및 키워드 정보를 관리하는 방식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을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를 구비한 메신저 서비스 서버(210)와,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메신저부(220)와, 실질적인 키워드와 대응 컨텐츠를 관리하는 웹서버(230)의 구성으로 구분하였다.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210)는 메신저부(220)의 접속을 관리하고 메세지 교환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된 키워드 및 관련 정보를 상기 메신저부(2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210)의 외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신저부(220)는 컨텐츠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내장 브라우저부(221)와 전통적인 메시지 처리 수단과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키워드를 근거로 교환되는 메세지에 표함된 키워드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키워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내장 브라우저부(221)를 통해 컨텐츠 요청을 실시하도록 한 메세지 및 키워드 처리부(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웹서버(230)는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에 제공할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동 데이터를 편집하는 키워드 편집부(232)와,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나 해당 컨텐츠에 대한 구성 정보등을 구비하는 전용 컨텐츠(231)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용 컨텐츠를 구성하고, 다양한 출처로부터 키워드를 획득하는 수단 등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용하여 키워드 검색을 실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알아보면, 우선 상기 메신저부(220)가 동작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210)에 접속을 시도한다. 이 경우 인증과정을 통해 상기 메신저부(220)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210)에 접속하며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로부터 저장된 키워드 및 관련 정보들을 수신한다. 상기 키워드 정보는 일회성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이렇게 접속시 일정량의 키워드 관련 정보들이 일괄 제공되도록 하여 키워드 정보 교환을 위해서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통신 부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며, 실제 메세지에서 키워드를 검출하는 과정은 메신저부(220)가 자체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통신망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부하를 줄이고, 키워드 검출의 실시간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회성 키워드 정보의 전달만으로는 실시간적으로 변화되는 다양한 관련 키워드들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부가적으로 약간씩 변화되는 키워드 및 관련된 컨텐츠 연동 데이터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210) 혹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가 실시간적으로 상기 메신저부(220)에 제공한다. 상기 키워드 관련정보는 상기 메신저부(220)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로컬 영역에 저장될 수 있으나, 접속시 변경된 키워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라면 상기 키워드 관련 정보는 상기 메신저부(220)가 동작하는 경우에만 유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되는 키워드 및 해당 키워드에 따른 컨텐츠 연동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230)의 키워드 편집부(232)에 의해 관리되며, 상기 웹서버(230)의 키워드 편집부(232)는 외부 타 서비스로부터 키워드를 획득하거나,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키워드를 획득하고 해당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를 생성한 후 그 구분 정보를 포함하는 키워드 및 관련 정보를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에 제공한다. 필요시 상기 키워드 편집부(232)는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에 제거될 키워드 및 관련 정보에 대한 제거 지시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211)는 상기와 같은 키워드 변경이 발생할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메신저부(22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상기 키워드에 대한 전용 컨텐츠는 소정의 포멧에 따라 특정 키워드에 관련되어 전용으로 작성된 컨텐츠이거나 상기 소정의 포멧에 따라 특정한 정보들을 획득하여 이들로 구성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는 특정 키워드에 관련된 고정된 정보를 수작업으로 구성한 컨텐츠이거나 해당 키워드의 종류를 구분하여 해당 종류에 적합한 템플릿 정보와 해당 템플릿의 각 영역에 대한 복수의 출처 및 편집 정보들로 컨텐츠를 구성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의 경우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 하는 측면에 있어서, 고정된 정보 혹은 다양한 연동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 정보의 조합이 가능하며,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하는 측면에 있어서 각종 템플릿을 활용한다.
즉, 키워드의 종류를 구분하여 적합한 템플릿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특정 키워드의 종류에 따른 최적 템플릿에 대한 구성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정 키워드에 대한 관련 컨텐츠는 상기 템플릿 구성을 따라 구성되도록 한다.
만일, 상기와 같은 키워드의 종류 구별만으로는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어렵다면, 상기 키워드를 종류와 계층으로 구분하여 특정 종류와 계층에 대응되는 키워드에 대한 결과 컨텐츠 제공을 위한 템플릿이 각각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키워드를 종류별로 구분한 경우의 예로, 여기서는 영화에 관련된 키워드를 구분할 경우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비교 키워드는 대표 키워드에 대응되는 유사 키워드들로서, 사용자의 메세지 입력에 따른 사소한 오류나 입력 방식(예를 들어, 영문을 한글로 기재하거나, 영문을 한글로 표현할 경우 발생되는 다양성)을 모두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연결 페이지는 해당 키워드에 연동되는 컨텐츠 정보로서, 도시된 경우는 URL을 제공하는 경우이다.
Figure 112007016142476-PAT00001
이때, 상기 키워드는 단순히 종류별로 구분된 것이지만 각 키워드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여 계층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화"에 관련된 키워드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최상위 계층의 키워드는 "영화"가 되고, 그보다 하위 계층의 키워드는 "영화관, 극장, 상영관" 등이 될 수 있으며, 그 보다 더 하위 계층의 키워드는 "CGV, 메가박스, 프리머스"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계층적 키워드 관리 방식은 키워드들의 구분 종류가 다양할 경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영화"와 "지역정보"는 상이한 종류의 정보이며 그에 따라 템플릿의 구성도 변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 종류별 하위 계층의 키워드에 대해서도 종류 및 계층별로 상이한 템플릿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링크 정보들에 따른 후속 컨텐츠 요청시, 해당 컨텐츠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링크 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링크인지, 혹은 특정한 전용 서비스(예를 들어, 영화 관련 컨텐츠인 경우 해당 컨텐츠에 링크된 예매/예약을 위한 서비스)를 위한 링크인지 구분하여 그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템플릿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인터페이스의 동작에 대한 개념적인 전개도로서, 여기서는 키워드로 영화에 관련된 키워드와 대응 컨텐츠를 구성하고, 지역 정보에 관련된 키워드와 대응 컨텐츠를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메신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대화창을 실행시켜 대화를 실시할 경우, 키보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할 메세지를 입력하게 된다(S301). 이때, 전송하는 메세지에 영화나 지역정보에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세지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를 통해 대화중인 사용자들의 메신저 대화창에 공통적으로 표시되며, 이때 각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키워드 관련 정보들을 근거로 키워드가 자동 검출되어 해당 키워드 부분이 특정되며 선택시 컨텐츠 획득이 가능한 일종의 링크 상태가 된다(S302).
상기 키워드로 특정된 문자열을 사용자가 포인터를 이용하거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된 내장 브라우저가 활성화되어 상기 선택된 키워드 및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는 연동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웹서버로 전송한다(S303).
만일, 상기 선택된 키워드가 "영화" 관련 키워드일 경우 웹서버는 상기 키워드의 종류를 고려(혹은 계층도 고려)하여 영화 템플릿에 맞추어 관련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들(영화 데이터베이스(310), 검색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대화창에 연장되어 생성되는 컨텐츠 표시 영역에 적합한 구성을 가지는 키워드 관련 컨텐츠를 구성한 후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화창을 연장하는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을 생성한 후 해당 영역의 컨텐츠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한다(S311).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에는 선택된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들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종류는 단순한 정보, 링크된 단순 정보, 영화에 대한 예고편의 제공을 위한 링크, 그리고 예매/예약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링크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서버는 상기 종류가 다른 링크들에 대해 각각 최적의 화면 구성 포멧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 링크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에서 단순한 정보나 링크된 단순 정보를 선택할 경우 상기 웹서버는 해당 링크를 구분하여 링크보기에 적합한 템플릿에 해당 링크 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한다(S321).
만일,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에서 영화에 대한 예고편의 제공을 위한 링크를 선택할 경우 상기 웹서버는 해당 예고편 제공을 위해 최적화된 템플릿에 상기 컨텐츠 표시 영역의 크기를 고려한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S322).
만일,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에서 영화를 예매/예약하기 위한 링크를 선택할 경우 상기 웹서버는 해당 예매/예약 서비스를 해당 컨텐츠 표시 영역에 최적화된 상태로 제공하기 위한 전용 서비스 사이트나 웹페이지를 제공한다(S323).
물론, 상기 전개 과정은 키워드 검색에 의해 제공되는 초기 컨텐츠가 상위 계층의 컨텐츠일 경우이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하위 계층의 키워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단계들(S321, S322, S323)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가 직접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단계들(S321, S322, S323)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다른 정보를 위한 링크가 존재할 경우 상기 그 종류에 따라 상기 단계들 중 하나의 템플릿을 이용하여 후속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단계별로 제공되는 컨텐츠들은 해당 컨텐츠에 대한 구분자(주소나 쿼리 정보 등)나,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소스, 데이터등을 직접 대화중인 상대방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동일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 만을 선택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정보만을 전송하여 원하는 정보만을 공유할 수도 있다. 혹은 직접 표시되지 않는 특정한 정보(예를 들어 영화 예매 결과, 상기 영화 예매에 따른 약속시간 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종류의 키워드에 대한 브라우징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종류의 키워드에 관련된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영화 예매를 위한 컨텐츠 제공 과정(S323)에서 영화를 예매한 극장에 관련된 위치 정보나 주변 지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선택할 경우 상이한 키워드 종류인 지역정보에 관련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지역 정보 관련 정보로 이루어진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S331).
상기 과정들은 사용자가 선택한 키워드의 종류가 "영화"에 관련된 키워드일 경우의 과정을 보인 것이고,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키워드의 종류가 "지역정보"에 관련된 키워드일 경우, 웹서버는 상기 키워드의 종류를 고려(혹은 계층도 고려)하여 지역 템플릿에 맞추어 관련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들(지도 데이터베이스(330), 지역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대화창에 연장되어 생성되는 컨텐츠 표시 영역에 적합한 키워드 관련 컨텐츠를 구성한 후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화창을 연장하는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을 생성한 후 해당 영역의 컨텐츠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표시한다(S341).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에는 선택된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들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종류는 앞서 "영화"관련 키워드를 살펴보면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순한 정보, 링크된 단순 정보,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쿠폰 발행이나 예약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링크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종류가 다른 링크들에 대해 각각 최적의 화면 구성 포멧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 링크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링크 중에서 단순한 정보, 링크된 정보,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혹은 쿠폰 발행이나 예약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각각의 템플릿 구성에 따라 대응되는 정보들을 취합하여 적합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S351), 이 경우에도 상이한 키워드 종류에 관련된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도 있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역 템플릿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S341)에서 해당 지역에 위치한 극장을 선택하는 경우 상이한 키워드 종류인 영화에 관련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영화관련 정보로 이루어진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S352).
도시된 구성에서, 상기 웹서버가 관리하는 컨텐츠는 다양한 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들을 취합하여 키워드의 종류나 계층에 따라 구분된 템플릿에 맞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워드의 설정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템플릿의 종류와 해당 템플릿의 각 영역들에 대응되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연결하여 구성한 정보는 웹서버와 연동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기 설정된 키워드 종류 분석 방식을 이용하여 키워드가 설정될 경우 자동적으로 해당 키워드의 종류를 분석하여 대응 템플릿을 선정하고, 각 템플릿의 영역을 구성할 외부 데이터베이스(혹은 내부 데이터베이스)의 연동 컨텐츠 정보가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상기 연동 컨텐츠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고, 완전히 수동 작업으로 전체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각각 특정한 웹페이지로 구성하여 웹서버에 저장하고 해당 주소 정보를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연동 컨텐츠 정보로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구성의 규칙을 마련하여 해당 키워드 관련 컨텐츠를 이루는 정보들로 지정할 수 있는 쿼리 정보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연동 컨텐츠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웹서버에서 키워드만으로 적절한 대응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면,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나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키워드 관련 정보는 단순한 키워드 정보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하지만, 웹서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키워드 연동 컨텐츠 정보 역시 함께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키워드(예를 들어, 검색어 상위 키워드 추출 등으로 얻어진 키워드)를 허용할 경우 상기 자동적인 방식으로 연동 컨텐츠를 구성하고, 특정한 목적을 가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예를 들어, 영화, 지역정보 제공을 위해 선정한 키워드)를 허용할 경우 일부 혹은 전부를 수동으로 설정한 연동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업적 목적을 가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예를 들어, 입찰에 의해 선정되는 키워드)를 허용할 경우 해당 입찰자의 요구에 따라 수동으로 설정한 연동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키워드 검색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메신저(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성과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의 더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400)는 기능적으로 구분할 경우 로그인, 메세지 송수신, 키워드 표시 및 선택을 관리하는 메세지 처리부(410)와, 수신되는 키워드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변경되는 키워드를 관리하고 키워드와 상기 송수신되는 메세지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는 키워드 관리부(420)와, 상기 메세지 처리부에서 검출된 키워드 선택에 따라 상기 키워드 관리부에서 상기 선택된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그 결과로 수신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컨텐츠의 공유와 그 여부를 처리하는 내장 브라우저 관리부(43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메세지 관리부(410)는 로그인에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는 로그인 관리부(411)와, 메세지 입출력 및 표시를 담당하는 메세지 송수신 관리부(412)와, 상기 메세지 송수신 관리부(412)에 의해 대화창의 메세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특정하고 해당 키워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키워드 표시 및 선택 감지부(413)와, 사용자의 메신저 사용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대화 상대에게 알리는 상태 정보 관리부(4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워드 관리부(420)는 설치시, 접속시 혹은 접속 중에 수신하는 키워드 및 관련 정보(키워드에 대한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연동 정보 등)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421)와, 재접속이나 접속 중에 수신되는 키워드 변경 정보(키워드 삭제나 추가)에 따라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421)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키워드 변경부(422)와,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421)의 내용을 근거로 상기 메세지 처리부(410)의 메세지 송수신 관리부(412)가 표시하는 메세지 내용에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된 경우 이를 상기 키워드 표시 및 선택 감지부(413)에 제공하는 키워드 매칭부(423)를 포함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개별 메신저 클라이언트에서 입력되는 메세지를 파악하여 자주 사용되는 문자열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메신저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여 새로운 키워드 선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키워드 추출부(424)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장 브라우저 관리부(430)는 상기 키워드 표시 및 선택 감지부(413)를 통해 키워드 선택이 감지된 경우 동작하여 웹서버에 관련 키워드 및 해당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연동 정보를 전송하는 키워드 관련 컨텐츠 요청부(431)와, 대화창의 일부 영역이 연장되는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을 생성 및 제거하며 상기 웹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에 컨텐츠를 표시하고 후속 브라우징을 지원하는 브라우저 표시부(432)와,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공유를 관리하여 상기 컨텐츠의 구분자 정보를 획득하거나 해당 컨텐츠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한 소스나 데이터 정보를 공유를 위해 추출하는 컨텐츠 편집부(433)와, 상기 컨텐츠 편집부(433)가 제공하는 정보를 대화상대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도록 메시지 송수신 관리부(412)에 제공하는 공유정보 전송부(4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9는 웹서버(500)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상기 각 구성들은 분리 구성되거나 상기 구성에 포함되지 않은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웹서버(500)는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컨텐츠의 종류를 키워드를 근거로 구분하여 대응되는 컨텐츠를 소정의 포멧에 맞추어 구성한 후 그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웹서버(500)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컨텐츠 요청 수신부(510)와, 상기 컨텐츠 요청 수신부(510)가 제공하는 키워드 정보를 키워드 및 키워드에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분류 저장된 키워드 정보 데이터베이스(560)의 내용을 근거로 판단하여 키워드의 종류를 구분하거나, 해당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구성 내용을 파악하는 키워드 판단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키워드 판단부(520)는 수신된 컨텐츠의 구분자 정보와 설정된 컨텐츠의 구성 방식에 따라서 단순히 요청된 컨텐츠의 주소에 따른 컨텐츠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일 수고 있고, 쿼리를 해석하여 템플릿 종류와 그에 따른 컨텐츠 구성을 파악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도시된 검색부(530)는 상기 키워드 판단부(520)가 제공하는 컨텐츠 구성 방식에 맞추어 적절한 템플릿과 검색 데이터베이스(540)나 외부 관련 검색 데이터베이스(545)로부터 얻은 정보들을 조합하여 대응 컨텐츠를 구성하거나, 상기 키워드 판단부(520)가 제공하는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전용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50)에서 대응 저장된 컨텐츠 구성 정보를 얻어 기 설정된 고정 컨텐츠를 획득하거나 기 설정된 템플릿 정보와 관련 데이터베이스 연동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들을 취합하여 적절한 컨텐츠를 조합한다.
상기 검색 데이터베이스(540)와 외부에 존재하는 관련 검색 데이터베이스(545)는 상기 키워드 검색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나, 다른 검색 서비스(예를 들어, 영화 검색 서비스, 지도 검색 서비스, 지역 정보 검색 서비스, 사용자 생성 컨텐츠(UCC)의 생성 및 검색 서비스, 블로그 서비스, 지식 검색 서비스, 뉴스 검색 서비스, 이미지 검색 서비스 등)에서 활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연동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사업자의 경우 복수의 검색 서비스나 컨텐츠 생성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동일 사업자의 다양한 서비스를 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워드 판단부(520)가 제공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가 단순 주소 정보이며 상기 검색부(530)가 전용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지 않고 얻어진 전용 컨텐츠를 응답 송신부(580)에 제공하여 해당 컨텐츠를 메신저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으나 컨텐츠를 구성하기 위해 템플릿 정보에 맞추어 각종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취합한 정보들을 구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각 정보를 컨텐츠 정보 생성부(570)에 제공하여 해당 컨텐츠 정보 생성부(570)가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표시 환경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구성하여 상기 응답 송신부(580)를 통해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상기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키워드 송수신부(591)는 다양한 출처로부터 키워드 및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키워드 정보 데이터베이스(560)를 갱신하며, 상기 출처의 예로는 외부 검색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실시간 검색어 상위 키워드이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관리자 선정 키워드(상업적 목적이나 특정 서비스 목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키워드와 함께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얻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 판단부(520)를 통해 해당 키워드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류와 계층을 구분하고 해당 구분된 종류와 계층에 따라 마련된 템플릿을 근거로 대응 컨텐츠(혹은 컨텐츠 생성 규칙)를 생성하여 이를 전용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50)에 제공하며 그 구분자 정보를 상기 키워드에 연동시켜 상기 키워드 정보 데이터베이스(56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주기 혹은 비주기적으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50)의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 서버의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여 키워드 및 관련 정보를 갱신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워드를 설정하는 방식, 키워드를 메신저의 대화 메세지에서 자동 검출하는 방식, 키워드를 갱신하는 방식, 키워드에 관련된 컨텐츠를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에 최적화시켜 구성하는 방식, 키워드에 맞추어 컨텐츠의 템플릿을 변화시켜 키워드 종류에 최적화된 고품질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 컨텐츠의 링크를 통한 후속 컨텐츠의 처리 방식 및 새로운 서비스(예매, 쿠폰, 예약 등)의 연동 방식 등에 관한 기본적인 기술 내용을 설명하였다.
이제, 상기 설명한 기술적 내용을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에 관해서 실제 적용 예시도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도록 한다. 여기서는 키워드 종류를 "영화"와 "지역 정보"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다양한 실시간 키워드나 복합적인 키워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업적인 키워드(예를 들어, "이사", "청바지" 등의 키워드와 해당 서비스나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정보 컨텐츠의 연동)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소정의 사용자가 대화창을 통해 대화 상대와 메세지를 교환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특별한 주제(예를 들어, "영화")에 관해 메세지를 주고 받을 경우 해당 메세지에 키워드가 포함된다면 해당 키워드가 밑줄 등으로 특정되어 관련 컨텐츠가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해당 사용자가 상기 키워드를 확인한 후 해당 키워드를 선택하면,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컨텐츠 요청 정보가 웹서버에 제공되며, 상기 웹서버는 상기 키워드 관련 컨텐츠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를 검색 혹은 검색 및 대응 템플릿에 맞추어 구성한 후 결과 컨텐츠를 상기 대화창에 제공한다.
도 11은 상기 요청된 영화 키워드에 대한 템플릿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화창의 일부 영역에 연결되어 생성되는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의 제한된 크기에 최적화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컨텐츠에 대한 템플릿 구성을 보면, 영화에 대한 대표 이미지, 기본 정보, 후속 정보를 위한 링크 정보, 영화에 대한 스틸컷 이미지 정보가 제공되며, 그와 동시에 동일 사업자가 운영하는 다른 서비스에서 검출한 유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키워드들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그리고 해당 영화에 대한 최근 뉴스나 실제 관람자 입장에서 해당 영화에 대한 리뷰나 평가를 제공하는 관련 UCC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익적 측면을 고려한 비지니스 공간도 포함하고 있으며 영화에 대한 순위 정보등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정보들 모두가 제한된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 내의 컨텐츠 표시 영역에 일괄 표시된다.
도 12는 상기 도 11의 템플릿에 맞추어 실제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의 예를 보인 것으로, 해당 영화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심층적인 정보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템플릿은 동일 종류와 레벨의 키워드에 대해 유사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일감을 가지고 검색을 실시하여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정보는 "같이보기"라는 공유 기능을 이용하여 대화 상대에게 제공할 수 있어 대화창을 유지하면서도 현재 대화의 주제에 일치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과 같이 특정한 영화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상기 도 12에 제공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선택하면 영화에 대한 예고편을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역시 공유 기능을 이용하여 대화 상대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부가적으로 상기 동영상 재생에 관련된 조작 정보등이 공유를 요청한 측을 마스터로 하여 동기화 될 수 있어 동일한 내용을 동시에 시청하면서 대화창을 이용하여 메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혹은 공유의 요청과 무관하게 동영상 재생에 관련된 조작이 있는 경우 해당 조작 정보가 대화를 실시하는 상대편에 제공되어 임의의 사용자가 조작하는 재생 상태가 공유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4는 컨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같이보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화 상대에게 제공되는 공유 요청 인터페이스의 예를 보인 것으로, 무조건적으로 공유를 요청함과 동시에 해당 컨텐츠가 공유될 수도 있으나, 대화 상태의 상황에 따라 상기 대화 상대가 승인하는 경우에만 컨텐츠가 공유될 수 있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공유 정보의 내용과 승인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도 12 내지14의 예에서 영화와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를 링크를 통해 수행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메신저의 대화창으로 대화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영화에 관련된 컨텐츠를 확인하고, 해당 컨텐츠를 통해 해당 영화에 대한 예매까지 일괄적으로 해당 대화창에 부속하여 기능하는 컨텐츠 브라우저만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한 예매 관련 시스템이나 서비스는 상기 키워드 검색 기능을 구비한 메신저를 위해 (적어도 인터페이스 부분이)독립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영화에 관련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예매에 관련된 링크를 선택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영화에 대한 예매가 가능한 컨텐츠가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를 조작하는 것으로 원하는 영화, 극장, 시간을 선택하여 해당 영화를 예매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6과 같이 상기 예매에 대한 결과가 상기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에 맞추어 제공된다. 해당 정보는 "같이 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대화 상대와 공유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유 외에도 도시된 정보가 아닌 내용이 공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에 대한 기능을 통해 예약에 대한 문자 정보가 메세지 형태로 대화 상대에게 제공되거나 휴대 단말기에 문자 메세지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약속잡기" 기능을 통해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정보가 별도 구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단순한 컨텐츠 공유 기능을 벗어나 관련 정보들을 별도 구성하여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중요한 정보를 별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시된 예매 결과 확인 내용의 하단부에 해당 극장의 위치 정보에 대한 안내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영화에 관련된 컨텐츠를 처리하고 있음에도 실질적인 관련성에 따라 지역정보로 분류될 수 있는 연동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7내지 도 20은 지역정보에 관련된 키워드에 대한 예시적 컨텐츠 구성을 보인 것으로, 지도에 관련된 정보와 지역 정보는 물론이고 지도의 일부 지점을 선택함에 따른 부가 정보 제공이나 해당 지역에 대한 UCC 정보의 활용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쿠폰이나 예약등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대화창을 이용한 메세지 교환 중에 실시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지역정보 관련 키워드에 대한 기본적인 템플릿을 보인 것이고, 도 18은 해당 템플릿을 적용한 실제 컨텐츠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와 UCC 정보를 일정 영역에 표시하고, 해당 지역에 대한 맛집 정보나 지역 영화 혹은 공연 정보와 같은 부가적인 지역 정보도 제공하며, 해당 지역에 대한 쿠폰 및 스폰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도와 UCC 정보를 통해 특정한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특정 지점(spot)에 대한 정보도 지도를 인터페이스로 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부가적인 정보를 얻기 용이한 인터페이스로, 제한된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에서도 효과적으로 필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메신저를 사용하는 연령층이 키보드 조작이 익숙한 10~30대이므로 이들의 대화에 주된 주제로 등장하는 지역 정보와 만남을 위한 음식점 정보, 여가를 위한 공연 및 영화정보, 특정한 위치를 설정한 경우 관련된 쿠폰 정보까지 상기 부가적인 컨텐츠 브라우징 영역에서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대화를 진행하는 대화창에 대한 조작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확인 정보를 쉽게 공유하여 대화 진행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메신저만을 이용하더라도 별도의 추가적인 노력이나 불편한 조작 없이 대화의 결론을 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9 및 도 20은 다른 형태의 템플릿을 보인 것으로, 도 19에 도시한 템플릿은 기본적인 지도 정보를 일부 영역에 지속적으로 표시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한된 크기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부가적인 지역 정보를 복수 탭으로 분류하여 각 탭을 선택할 경우 나머지 영역에 관련 정보가 제공되도록 구성한 경우이다. 이러한 탭을 이용한 템플릿 구성을 통해서 보다 많은 정보를 전체 화면 전환 없이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해당 컨텐츠를 공유할 때 상기 탭에 대한 지정 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어 대화 상대와 동일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공유를 신청한 사용자(혹은 대화상대)의 탭 지정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대화 상대에게 제공하여 항상 동일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0은 지도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템플릿을 보인 것으로, 지도정보를 제공하면서 특정한 지점(spot)에 대한 정보들도 함께 제공하도록 하여 해당 지도상의 특정 지점을 선택할 경우 관련 정보가 상기 지역 상세정보 노출 영역에 제공되도록 구성한 예이다.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경우 컨텐츠의 구분자 정보나 소스/데이터 정보만을 공유하면 해당 선택 지점에 대한 상세 정보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지정이나 선택에 의해서 상기 지도상의 지점에 대한 선택 정보가 대화상대측에 전달되어 임의의 사용자가 지정하는 지점 선택이 상호 공유되어 실제 표시되는 컨텐츠가 동기화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1은 키워드에 대한 노출 목록을 별도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추가한 대화창(600)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 입력 영역(602)을 통한 입력 메세지 및 수신되는 메세지가 메세지 표시 영역(601)에 표시될 때 해당 메세지에 키워드에 대응되는 문자열이 있는 경우 해당 문자열을 특정(도시된 예에서는 밑줄)(603)하게 되는데, 이때 대응되는 키워드가 있는 경우 상기 대화창(600) 내부에 별도의 키워드 노출 영역(610)을 생성하여 해당 영역에 순차적으로 메세지 교환 중 나타나는 키워드(611)를 나열하도록 한다. 상기 키워드 노출 영역(610)에 나열되는 키워드(611) 역시 선택이 가능하며, 선택시 상기 메세지 표시 영역(601)의 키워드(603)를 선택한 것과 동일하게 웹서버에 관련 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키워드의 나열은 시간적인 순서대로 키워드가 나타날 경우 이를 중복하여 나열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가 상단에 노출되도록 하여 마치 검색 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처럼 자주 쓰이는 키워드가 항상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자주 쓰이는 키워드 옆에 등장 횟수를 추가하거나 해당 키워드의 색상을 변경하는 등의 효과를 줄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가 어떤 것인지 알 수 있고, 대화가 길어질 경우 원하는 지난 키워드를 찾기 위해서 메세지 표시 영역(601)의 내용을 스크롤 하면서 검색하는 대신 상기 키워드 노출 영역(610)의 키워드만을 스크롤 하면서 원하는 키워드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키워드의 지속적인 노출로 인해 사용자가 키워드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검색 상황을 키워드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그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는 경우 이를 해당 키워드에 대해 최적화된 결과 컨텐츠를 메신저에 내장된 브라우저창을 통해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와 연동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메신저 시스템을 사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그에 따른 고품질 결과를 메신저 시스템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메세지 교환 기능과 특정 정보에 대한 고품질 검색 기능을 메세지 교환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은 메신저 서비스 사용자들이 메세지를 주고 받을 경우 해당 키워드를 자동 검출하여 검색 가능함을 알려주고, 사용자가 별도로 검색어를 수동 입력하지 않고 대화 중에 표시된 키워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해당 키워드에 최적화된 검색결과 컨텐츠를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연동되는 부속창에 표시함으로써 대화 중에 등장하는 특정 주제에 대한 추가 정보를 별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조작 없이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은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메세지를 주고 받을 경우 해당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자동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해당 키워드에 관련되어 기 설정된 고품질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그 결과를 대화 상태와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화 중인 주제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인하고, 대화 상태와 그 정보를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은 키워드 선택시 해당 키워드의 종류에 적합하게 구성된 템플릿에 맞추어진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여 키워드 별로 특화된 고품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은 키워드 및 관련 컨텐츠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 관리하여 해당 정보 중 일부를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일회적으로 제공하고, 일부 키워드 정보는 실시간 제공하도록 하여 키워드 자동 검출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하면서도 키워드 관리 및 실시간 입력 메세지에 대한 키워드 검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은 키워드를 특정 사업자로부터 얻은 광고에 연동시켜 검색 요청 시 상기 사업자가 제공하는 대응 검색 결과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하면서도 메신저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은 키워드에 대응되는 결과 제공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는 포털 사업자의 다른 서비스를 위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추가로 활용하여 결과 컨텐츠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다른 서비스와의 연계성을 높이고 상기 메신저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포털 사업자의 다른 서비스에도 참여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9)

  1.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고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메세지를 중계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 웹서버와;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를 통해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메세지를 교환하며, 상기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특정함과 아울러 상기 키워드 선택시 상기 웹서버에 컨텐츠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메세지 입력을 위한 대화창에 종속적인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내장 브라우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창에 종속적인 영역은 상기 대화창의 일부에서 연장되는 영역으로,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창에 종속적인 영역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경우에만 나타나고 상기 컨텐츠 표시를 중단할 경우 슬라이딩 되면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메세지에 포함된 문자열이 대응되는 이모티콘으로 변경된 경우에도 해당 이모티콘을 키워드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접속시 상기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온라인 상태에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를 통해 추가적인 키워드를 실시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된 키워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메세지를 검사하여 키워드에 일치하는 문자열이 있는 경우 해당 문자 열에 색상 변경, 두께 변경, 기울어짐 변경, 테두리 효과, 밑줄 추가, 박스 추가를 포함하는 문자열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해당 문자열이 키워드임을 나타내며, 해당 문자열에 포인터가 접근하여 해당 문자열을 선택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키워드 선택시 상기 수신된 키워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 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정보는 주소정보 또는 쿼리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웹서버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할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대화상대측으로 전송하여 동일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상대측으로 전송하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전체 컨텐츠를 이루는 코드 혹은 데이터 정보,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주소 정보 혹은 쿼리 정보,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일부 영역에 대한 코드 혹은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한가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편집하고 해당 정보를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소정의 포멧에 따라 특정 키워드에 관련되어 전용으로 작성된 컨텐츠와 상기 소정의 포멧에 따라 특정한 정보들을 획득하여 이들로 구성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키워드의 종류에 적합한 템플릿을 구비하며, 상기 키워드의 종류를 구분하여 적합한 템플릿을 근거로 구성된 컨텐츠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실시간 키워드 변경 사항을 획득하여 해당 변경 내용을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는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변경된 키워드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외부 검색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검색어 상위 키워드를 획득하거나, 혹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특정 키 워드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키워드 변경 사항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특정 키워드는 광고주로부터 수주받은 상업용 키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획득한 실시간 검색어 상위 키워드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류를 구분하며, 해당 구분된 종류에 따라 마련된 템플릿을 근거로 대응 컨텐츠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키워드에 관련된 대응 컨텐츠 및 해당 대응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링크 종류를 구분하여 해당 링크에 대한 컨텐츠가 요구될 경우 해당 링크 종류에 따라 마련된 템플릿을 근거로 후속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대응 컨텐츠에 포함된 링크 종류의 종류는 정보 제공 링크,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링크는 예매/예약을 위한 컨텐츠를 요구하는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예매/예약을 위한 컨텐츠를 표시하고, 해당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여 예매/예약한 결과 정보를 대화 상대와 공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4. 복수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들과, 이들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며 이들의 접속 및 메세지 교환을 관리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웹 서버로 이루어진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에 있 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주고받는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키워드 선택시 대응되는 연동 컨텐츠 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제공하고 결과 컨텐츠를 상기 웹서버에서 수신하여 내장 브라우저 수단을 통해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결과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대화 상대와 공유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상기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키워드 연동 컨텐츠 정보에 따라 해당 키워드가 속한 종류별로 마련된 포멧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얻어지는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웹서버에서 수신한 결과 컨텐츠를 대화창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영역을 생성한 후 해당 영역에 표시하고, 해당 표시가 종료되면 해당 영역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로그인, 메세지 송수신, 키워드 표시 및 선택을 관리하는 메세지 처리부와;
    수신되는 키워드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변경되는 키워드를 관리하고 키워드와 상기 송수신되는 메세지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는 키워드 관리부와;
    상기 메세지 처리부에서 검출된 키워드 선택에 따라 상기 키워드 관리부에서 상기 선택된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그 결과로 수신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컨텐츠의 공유와 그 여부를 처리하는 내장 브라우저 관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컨텐츠의 종류를 키워드를 근거로 구분하여 대응되는 컨텐츠를 소정의 포멧에 맞추어 구성한 후 그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8. 복수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들과, 이들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며 이들의 접속 및 메세지 교환을 관리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요청을 처리하는 웹 서버로 이루어진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에 있 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메시지 교환시 이를 중계하면서 기 저장된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환되는 메세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파악하고 해당 메세지와 해당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에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서버와;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로부터 중계되는 메세지 및 키워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메세지 내에 포함된 키워드를 특정하고, 해당 키워드 선택시 상기 키워드 관련 정보를 근거로 상기 웹서버에 상기 키워드 관련 컨텐츠를 요청하며 그 결과를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내장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표시하며, 선택적으로 해당 컨텐츠를 상기 대화상대와 공유하도록 하는 정보를 송출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키워드 관련 컨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키워드가 속한 종류별로 마련된 포멧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얻어지는 키워드 및 연동 컨텐츠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30.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구동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서버를 중계로 대화상대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메세지 교환이 이루어지는 메세지 교환 단계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기 저장된 키워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환 메세지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특정하는 키워드 표시 단계와;
    상기 특정된 키워드 선택시 관련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컨텐츠를 웹서버에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단계와;
    상기 컨텐츠 요청 정보를 수신한 웹서버가 상기 관련 키워드 정보를 근거로 해당 키워드 및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표시 환경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단계와;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해당 컨텐츠를 내장된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대화창에 연결되는 일부 영역을 생성하여 해당 영역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표시 단계에서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자체 정보, 일부 코드 정보,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관련 키워드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주소 정보나 쿼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대화중인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동일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하는 공유 컨텐츠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32. 제 30항에 있어서,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상기 대화상대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자체 정보, 일부 코드 정보,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관련 키워드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주소 정보나 쿼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여는 경우, 내장된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대화창에 연결되는 일부 영역을 생성하여 해당 영역에 표시하는 공유 컨텐츠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교환 단계 이전에,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한편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가 상기 키워드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키워드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가 주기 혹은 비주기 적으로 키워드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실시간 키워드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3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가 실시간 키워드 정보 변경 사항을 획득하여 해당 변경 내용을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변경된 키워드 정보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변경 키워드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외부 검색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검색어 상위 키워드를 획득하거나, 혹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특정 키워드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 및 대응 컨텐츠 정보를 키워드 변경 사항으로 파악하는 키워드 추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특정 키워드는 광고주로부터 수주받은 상업용 키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가 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획득한 실시간 검색어 상위 키워드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류를 구분하며, 해당 구분된 종류에 따라 마련된 템플릿을 근거로 대응 컨텐츠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39. 제 36항에 있어서, 키워드 추가 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특정 키워드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류를 구분하며, 해당 구분된 종류에 따라 마련된 템플릿을 근거로 미리 준비된 대응 컨텐츠를 획득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0.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표시 단계는 상기 교환 메세지에 포함되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문자열 부분에 색상 변경, 두께 변경, 기울어짐 변경, 테두리 효과, 밑줄 추가, 박스 추가를 포함하는 문자열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해당 문자열이 키워드임을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표시 단계는 상기 메세지에 포함된 문자열이 대응되는 이모티콘으로 변경된 경우에도 해당 이모티콘을 키워드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키워드에 관련된 대응 컨텐츠 및 해당 대응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링크 종류를 구분하여 해당 링크에 대한 컨텐츠가 요구될 경우 해당 링크 종류에 따라 마련된 템플릿을 근거로 후속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대응 컨텐츠에 포함된 링크 종류의 종류는 정보 제공 링크,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링크는 예매/예약을 위한 컨텐츠를 요구하는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예매/예약을 위한 컨텐츠를 표 시하고, 해당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여 예매/예약한 결과 정보를 대화 상대와 공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6.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교환 단계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교환되는 메세지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파악하여 상위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를 새로운 키워드로서 상기 웹서버에 전달하는 키워드 정보 추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7.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표시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경우에만 대화창에 연결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컨텐츠 표시를 종료할 경우 해당 영역을 제거하되, 상기 영역을 나타내거나 사라지는 과정에 애니메이션 기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8. 메신저 서비스 서버를 중계로 메신저 클라이언트들 간 메세지 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기 저장된 키워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환 메세지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된 키워드 선택시 관련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컨텐츠를 웹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의 인터페이스인 대화창의 일부에 연장 영역을 생성하여 해당 영역에 상기 수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구분 정보를 대화상태의 메신저 클라이언트에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동일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49. 제 30항 내지 제 48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70018564A 2007-02-23 2007-02-23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322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64A KR101322821B1 (ko) 2007-02-23 2007-02-23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CT/KR2008/001032 WO2008103002A1 (en) 2007-02-23 2008-02-21 System and method for keyword searching in messeng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64A KR101322821B1 (ko) 2007-02-23 2007-02-23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431A true KR20080078431A (ko) 2008-08-27
KR101322821B1 KR101322821B1 (ko) 2013-10-25

Family

ID=3971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564A KR101322821B1 (ko) 2007-02-23 2007-02-23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2821B1 (ko)
WO (1) WO2008103002A1 (ko)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0395A1 (en) * 2011-12-12 2013-06-20 Textbeat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and/or encoding a text message or instant message sent by a wireless device and transmitting audio and/or video content to the recipient of the text message or instant message based on key words in the text message
KR101314025B1 (ko) * 2013-04-24 2013-10-01 박지선 키워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42395A (ko) * 2012-06-19 2013-12-30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40018549A (ko) 2012-08-02 2014-02-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의 첨부파일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20140031595A (ko) * 2012-09-05 201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4142432A1 (ko) * 2013-03-15 2014-09-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WO2014163283A1 (ko) * 2013-04-02 2014-10-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40132630A (ko) 2013-05-08 2014-11-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KR101510515B1 (ko) * 2013-04-09 2015-04-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메신저 대화에 기초한 추천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511038B1 (ko) * 2010-10-11 2015-04-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참석자 간 채팅기능을 제공하는 모임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8096A (ko) * 2014-03-17 2015-09-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2015170799A1 (ko) * 2014-05-08 2015-11-12 주식회사 와이티앤씨글로벌 메시지 제공 방법 및 메시지 제공 장치
KR20160055443A (ko)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피닉스게임즈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방법
US9424334B2 (en) 2011-12-12 2016-08-23 Tcb Encore, Llc Keyword based identity of multi-media content for message
WO2017111287A1 (ko) * 2015-12-24 2017-06-29 오드컨셉 주식회사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117628A1 (ko) * 2016-12-20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를 분류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80079030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카카오 인터랙션을 이용한 메신저 검색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KR20180079167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카카오 인터랙션을 이용한 메신저 검색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WO2018199391A1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US10212108B2 (en) 2015-10-07 2019-02-19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xpanding function of message in communication session
KR20190042002A (ko) * 2016-08-24 2019-04-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US10313279B2 (en) 2011-12-12 2019-06-04 Rcs Ip, Llc Live video-chat function within text messaging environment
KR2019006390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카카오 예매 정보 및 티켓의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114051A (ko) * 2012-07-20 2019-10-08 비비오, 인크. 대화형 상호작용 시스템에서 서치 입력에서의 사용자 의도를 추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0445333B2 (en) 2016-04-14 2019-10-15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keyword search using messaging service
KR20200041248A (ko) * 2019-08-19 2020-04-21 박지연 Sns를 이용한 예약 및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6005A (ko) * 2020-04-23 2020-05-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052256A (ko) 2020-04-29 2020-05-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10999233B2 (en) 2008-12-23 2021-05-04 Rcs Ip, Llc Scalable message fidelity
KR102367998B1 (ko) * 2020-08-27 2022-02-24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문자 메시지 및 딥링크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12057B1 (ko) * 2021-06-07 2022-06-23 쿠팡 주식회사 스토어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934780B2 (en) 2018-08-14 2024-03-19 Snap Inc. Content sugges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4906A1 (en) * 2008-11-14 2010-05-2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N102651731B (zh) * 2011-02-24 2016-06-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及其装置
US9465833B2 (en) 2012-07-31 2016-10-11 Veveo, Inc. Disambiguating user intent in conversational interaction system for large corpus information retrieval
CN103856544B (zh) * 2012-12-06 2018-04-20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微博消息的发送方法、显示方法及系统、显示终端、服务器
CN103037091B (zh) * 2012-12-14 2015-12-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短消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5468580A (zh) 2014-09-28 2016-04-0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关注点信息提供服务的方法和装置
KR101607919B1 (ko) * 2014-10-16 2016-04-01 네이버 주식회사 메신저에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검색 결과를 정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20160164815A1 (en) * 2014-12-08 2016-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852136B2 (en) 2014-12-23 2017-12-2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a negation statement applies to a current or past query
CN104506930B (zh) * 2014-12-30 2018-05-0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音视频数据的下载方法及电视终端
US9854049B2 (en) 2015-01-30 2017-12-2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solving ambiguous terms in social chatter based on a user profile
KR20160139771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정보 제공 방법
US11310176B2 (en) * 2018-04-13 2022-04-19 Snap Inc. Content sugges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058A (ko) * 2003-07-11 2005-01-17 임정빈 메신저 로봇을 이용한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10883B1 (ko) * 2004-01-29 2006-08-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및 제공 방법과 그시스템
KR20050096422A (ko) * 2004-03-30 2005-10-06 (주)퓨쳐인포넷 인스턴트 메신저와 웹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09147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 에어크로스 무선 인터넷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125219A (ko) * 2005-06-02 2006-1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KR20060119836A (ko) * 2006-10-10 2006-11-24 엔에이치엔(주) 메신저를 이용한 검색 결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9233B2 (en) 2008-12-23 2021-05-04 Rcs Ip, Llc Scalable message fidelity
KR101511038B1 (ko) * 2010-10-11 2015-04-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참석자 간 채팅기능을 제공하는 모임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313279B2 (en) 2011-12-12 2019-06-04 Rcs Ip, Llc Live video-chat function within text messaging environment
US9424334B2 (en) 2011-12-12 2016-08-23 Tcb Encore, Llc Keyword based identity of multi-media content for message
WO2013090395A1 (en) * 2011-12-12 2013-06-20 Textbeat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and/or encoding a text message or instant message sent by a wireless device and transmitting audio and/or video content to the recipient of the text message or instant message based on key words in the text message
KR20130142395A (ko) * 2012-06-19 2013-12-30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90114051A (ko) * 2012-07-20 2019-10-08 비비오, 인크. 대화형 상호작용 시스템에서 서치 입력에서의 사용자 의도를 추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40018549A (ko) 2012-08-02 2014-02-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의 첨부파일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20140031595A (ko) * 2012-09-05 201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095592B2 (en) 2012-09-05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708209B2 (en) 2012-09-05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4142432A1 (ko) * 2013-03-15 2014-09-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WO2014163283A1 (ko) * 2013-04-02 2014-10-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10515B1 (ko) * 2013-04-09 2015-04-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메신저 대화에 기초한 추천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314025B1 (ko) * 2013-04-24 2013-10-01 박지선 키워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32630A (ko) 2013-05-08 2014-11-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KR20150108096A (ko) * 2014-03-17 2015-09-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2015170799A1 (ko) * 2014-05-08 2015-11-12 주식회사 와이티앤씨글로벌 메시지 제공 방법 및 메시지 제공 장치
KR20160055443A (ko)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피닉스게임즈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방법
US10212108B2 (en) 2015-10-07 2019-02-19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xpanding function of message in communication session
WO2017111287A1 (ko) * 2015-12-24 2017-06-29 오드컨셉 주식회사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445333B2 (en) 2016-04-14 2019-10-15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keyword search using messaging service
US11200247B2 (en) 2016-04-14 2021-12-14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keyword search using messaging service
US11803564B2 (en) 2016-04-14 2023-10-31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keyword search using messaging service
KR20190042002A (ko) * 2016-08-24 2019-04-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WO2018117628A1 (ko) * 2016-12-20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를 분류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176207B2 (en) 2016-12-20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lassifying content
KR20180079167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카카오 인터랙션을 이용한 메신저 검색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KR20180079030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카카오 인터랙션을 이용한 메신저 검색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US10931808B2 (en) 2017-04-24 2021-02-2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WO2018199391A1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KR2019006390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카카오 예매 정보 및 티켓의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19006B2 (en) 2017-11-30 2021-05-25 Kakao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booking information and ticket
US11934780B2 (en) 2018-08-14 2024-03-19 Snap Inc. Content suggestion system
KR20200041248A (ko) * 2019-08-19 2020-04-21 박지연 Sns를 이용한 예약 및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6005A (ko) * 2020-04-23 2020-05-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052256A (ko) 2020-04-29 2020-05-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2367998B1 (ko) * 2020-08-27 2022-02-24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문자 메시지 및 딥링크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12057B1 (ko) * 2021-06-07 2022-06-23 쿠팡 주식회사 스토어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260218A1 (ko) * 2021-06-07 2022-12-15 쿠팡 주식회사 스토어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821B1 (ko) 2013-10-25
WO2008103002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821B1 (ko)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10547571B2 (en)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essage service linked to search service and message server and user terminal to perform the method
US103267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information in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US8949278B2 (en) Contact information management
KR101840420B1 (ko) 챗봇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929483B (zh) 终端和资源分享方法
US8914736B2 (en) On-page manipulation and real-time replacement of content
KR102340228B1 (ko) 검색 서비스와 연결된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및 사용자 단말
US20080126983A1 (en) Content-based ordering of a list of selectable entries for an auto-complete box
US20150281138A1 (en) Keyword based automatic reply generation in a messaging application
WO2010109581A1 (ja) コンテンツ推奨方法、推奨情報作成方法、コンテンツ推奨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推奨サーバ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KR102504075B1 (ko) 사용자 디바이스 이벤트의 매칭 및 속성
US8732653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source modification in a virtual community
KR20150100760A (ko)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상호작용들 어그리게이팅
CN109190101A (zh) 阅读笔记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17138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oring instant messaging messages
KR20130026558A (ko) 외곽 공간을 이용한 댓글 통합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707969B1 (ko) 속성이 부여된 주제별 분류 객체들간의 일치도 제공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080033918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pplemental data communication and utilization
KR101537555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상의 메시지 바로 검색 지원 방법
JP6637174B2 (ja) スマート端末を用いる数字列基盤のリアルタイム情報流通システム及び情報流通方法
WO2007142430A1 (en) Keyword related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2828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search terms in connection with registered user of on-line searching service
KR100400862B1 (ko) 시변 정보와 함께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시스템및방법
KR102188871B1 (ko)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