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871B1 -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871B1
KR102188871B1 KR1020190125090A KR20190125090A KR102188871B1 KR 102188871 B1 KR102188871 B1 KR 102188871B1 KR 1020190125090 A KR1020190125090 A KR 1020190125090A KR 20190125090 A KR20190125090 A KR 20190125090A KR 102188871 B1 KR102188871 B1 KR 10218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mark
page
sharing
bookmark page
so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민
Original Assignee
박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민 filed Critical 박동민
Priority to KR102019012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2Bookmar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등록 요청 수신부,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없는 경우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하는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공유 설정에 따라 상기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를 제공하는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 및 상기 공유의 과정에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유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지어 저장하는 공유 객체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SOCIAL BOOKMARK SHAR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북마크 공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심있는 페이지의 북마크를 손쉽게 관리하면서 북마크를 매개로 사용자들의 관심사항과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북마크(bookmark) 기능이란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즐겨 찾는 웹사이트를 등록하여 쉽게 그 웹사이트에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웹 브라우저 상의 기능이다. 북마크 기능에 의해 사용자들은 웹사이트의 주소를 따로 기억할 필요도 없고, 클릭과 같은 단순한 조작에 의하여 즐겨 찾는 웹사이트의 주소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북마크는 하드웨어 장치 별로 존재할 수 있고, 각각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라 하여도, 사용하는 운영체제 또는 웹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호환되지 않고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하드웨어 장치, 운영체제 및 웹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른 북마크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66356(2014.11.21)호는 홈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사용자와 북마크를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북마크(bookmark) 를 댁내에 다른 IPTV(Internet Protocl TV) 단말기뿐만 아니라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른 홈 내의 사용자 IPTV 단말기와도 공유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2268(2010.02.05)호는 멀티미디어 북마크를 이용한 광고, 공유, 전송 및 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북마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북마크 위치에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중에 재생 중인 화면과 연관성이 있는 광고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66356(2014.11.21)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42268(2010.02.0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심있는 페이지의 북마크를 손쉽게 관리하면서 북마크를 매개로 사용자들의 관심사항과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북마크 페이지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메모나 하이라이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 과정에서 공유 객체들의 집중도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의 관심 영역을 검출하여 최우선 노출시킬 수 있는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등록 요청 수신부,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없는 경우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하는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공유 설정에 따라 상기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를 제공하는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 및 상기 공유의 과정에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유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지어 저장하는 공유 객체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 요청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특정 웹페이지로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상기 북마크 등록 요청에 관한 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등록 인터페이스는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카테고리와 인기도에 따라 형상 및 색상이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본문 내용의 변경을 검출하는 제1 단계, 상기 변경이 검출된 경우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연관시켜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동일 URL에 관하여 생성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북마크 페이지 히스토리에 추가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는 상기 공유 설정으로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를 복수의 페이지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페이지 영역 별로 설정된 공유 가부에 따라, 공유 가능한 페이지 영역을 추출하여 일시적 공유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북마크 페이지를 대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는 상기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 과정에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되어 저장된 공유 객체들의 집중도를 기초로 상기 북마크 페이지의 관심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상기 관심 영역을 최우선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공유 객체 관리부는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의 지정이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서 수신된 메모 또는 하이라이트를 상기 공유 객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유 객체 관리부는 특정 북마크 페이지에 대해 가장 최근의 접근 시점 이후 새롭게 생성된 공유 객체의 개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특정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갱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없는 경우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공유 설정에 따라 상기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의 과정에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유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은 북마크 페이지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메모나 하이라이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은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 과정에서 공유 객체들의 집중도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의 관심 영역을 검출하여 최우선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북마크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북마크 공유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북마크 공유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북마크 공유 장치에서 수행되는 소셜 북마크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북마크 공유 장치에서 수행되는 북마크 페이지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사용자가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북마크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셜 북마크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북마크 공유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과 공유를 요청하고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북마크 공유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북마크 공유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북마크 등록을 처리하고 북마크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북마크 등록 및 공유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북마크 등록 및 공유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 각각과 연관된 북마크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북마크와 연관되어 저장된 사용자 입력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북마크 공유 장치(130)가 북마크를 매개로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북마크 공유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북마크 공유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북마크 공유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북마크 공유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북마크 공유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북마크 공유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등록 요청 수신부(310),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 공유 객체 관리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다양한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고,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재방문 의사가 있는 경우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등록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북마크 등록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필요에 따라 북마크 저장 위치, 해시 태그 등의 추가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등록 요청 수신부(310)는 추가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추가 정보는 해당 북마크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특정 웹페이지로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북마크 등록 요청에 관한 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등록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 요청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인터페이스는 웹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되는 아이콘에 해당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을 클릭 또는 터치 함으로써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웹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웹페이지 접근을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특정 웹페이지로의 접근이 감지되면 북마크 등록 요청을 위한 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등록 요청 수신부(310)는 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과정에서 등록 인터페이스의 유형, 크기 및 색상 등을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될 위치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요청 수신부(310)는 웹페이지의 카테고리에 따라 등록 인터페이스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웹페이지의 인기도에 따라 등록 인터페이스의 색상을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록 인터페이스를 보고 해당 웹페이지와 연관된 정보를 간접적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없는 경우 특정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북마크 등록 요청과 연관된 웹페이지의 URL을 기초로 해당 웹페이지를 오프라인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특정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선별을 통해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제목, 본문, 원 출처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페이지 템플릿(template)을 사용하여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다양한 형태로 미리 제작된 페이지 템플릿에 오프라인 저장된 정보를 결합하여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웹페이지들을 기 설정된 플랫폼 규격에 맞춰 재가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본문 내용의 변경을 검출하는 제1 단계, 변경이 검출된 경우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2 단계,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연관시켜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동일 URL에 관하여 생성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북마크 페이지 히스토리에 추가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본문 내용의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URL을 페이지 식별을 위한 구분자로 사용하여 동일한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페이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북마크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존 북마크 페이지의 본문 내용과의 비교를 통해 내용 변경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내용 변경이 검출된 경우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페이지의 내용 변경이 발생한 경우 최신 정보로의 갱신을 위하여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특정 웹페이지의 URL과 연관된 북마크 페이지로서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연결함으로써 북마크 공유 장치(130)가 사용자들에게 변경된 내용이 반영된 북마크 페이지를 공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동일 URL에 관하여 생성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북마크 페이지 히스토리에 추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북마크 페이지 히스토리는 동일 URL에 관하여 생성된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북마크 페이지 히스토리는 가장 최근부터 과거까지 생성된 북마크 페이지들을 순서대로 연결시켜 저장한 자료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는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가 생성된 경우 기존의 북마크 페이지를 삭제하는 대신 북마크 페이지 히스토리에 추가하여 과거에 생성된 북마크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특정 URL에 관하여 가장 최신의 북마크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과거의 북마크 페이지에 대한 공유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공유 설정에 따라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를 제공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는 북마크 등록을 요청한 사용자에 의해 공개 여부가 함께 설정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유 설정에 따라 공유가 가능한 북마크 페이지인지를 결정하고 공유 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공유 설정으로서 북마크 페이지를 복수의 페이지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페이지 영역 별로 설정된 공유 가부에 따라, 공유 가능한 페이지 영역을 추출하여 일시적 공유 페이지를 생성하고 북마크 페이지를 대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북마크 페이지 전체에 대해 공유 가부를 설정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북마크 페이지를 복수개의 페이지 영역들로 분할한 후 각 페이지 영역 별로 공유 가부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공유 페이지로서 공유 가능한 페이지 영역들을 추출하여 일시적 공유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시적 공유 페이지는 북마크 페이지를 대신하여 공유를 위해 일회적으로 생성된 페이지에 해당할 수 있고, 특정 사용자에게 공유된 후에는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에 의해 삭제될 수 있다. 한편,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고, 공유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북마크 페이지를 복수의 페이지 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페이지 영역 별로 공유 가부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등록된 복수의 북마크 페이지들을 카테고리 별로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되어 오프라인 저장된 복수의 북마크 페이지들을 생성시기, 인기순위 및 장르 등의 카테고리에 따라 정렬할 수 있고, 정렬 순서에 따라 리스트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인기순, 최신순, 장르별 카테고리에 따라 정렬된 북마크 페이지들을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 과정에서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되어 저장된 공유 객체들의 집중도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의 관심 영역을 검출하고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관심 영역을 최우선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집중도는 특정 페이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공유 객체들의 개수로서 정의될 수 있다. 즉,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북마크 페이지를 복수개의 페이지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고, 해당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되어 저장된 공유 객체들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페이지 영역별 공유 객체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페이지 영역별 공유 객체의 개수, 즉 공유 객체의 집중도가 가장 높은 페이지 영역을 해당 북마크 페이지의 관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는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관심 영역을 최우선 노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웹페이지에 접근한 사용자는 해당 페이지 내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영역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공유 객체 관리부(370)는 공유의 과정에서 북마크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유 객체를 생성하고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영역은 북마크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북마크 페이지에서 특정 단어를 드래그(drag)하거나 또는 더블 클릭(또는 터치)하는 경우 드래그 영역 또는 해당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영역이 컨텐츠 영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컨텐츠 영역을 지정할 수 있고, 해당 컨텐츠 영역과 연관된 정보를 사용자 입력으로서 입력할 수 있다. 공유 객체 관리부(370)는 사용자 입력을 해당 컨텐츠 영역과 연관시킬 수 있고, 북마크 페이지와 함께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공유 객체 관리부(370)를 통해 북마크 페이지에 대해 사용자들이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고 북마크 페이지와 함께 공유함으로써 북마크 페이지에 접근하는 사용자들 간의 정보 교환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유 객체 관리부(370)는 북마크 페이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의 지정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으로서 수신된 메모 또는 하이라이트를 공유 객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의 유형을 선택하고 관련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고, 공유 객체는 컨텐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북마크 페이지와 연관되어 생성되고 저장되는 다양한 객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객체는 메모, 하이라이트, 아이콘,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유 객체 관리부(370)는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선택한 경우 해당 단어를 포함하는 영역을 컨텐츠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고, 컨텐츠 영역 인근에 메모 또는 하이라이트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모를 선택한 경우 공유 객체 관리부(370)는 메모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하이라이트를 선택한 경우 공유 객체 관리부(370)는 컨텐츠 영역을 사전에 설정된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공유 객체 관리부(37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모 또는 하이라이트를 공유 객체로 생성하여 북마크 페이지 및 컨텐츠 영역에 각각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유 객체 관리부(370)는 특정 북마크 페이지에 대해 가장 최근의 접근 시점 이후 새롭게 생성된 공유 객체의 개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게 특정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갱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객체 관리부(370)는 북마크 페이지와 연관되어 생성되는 공유 객체의 개수를 집계할 수 있고, 해당 북마크 페이지를 등록한 사용자의 가장 최근 접근 시점 이후 누적된 개수가 10, 20, 30개를 초과할 때마다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북마크 공유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등록 요청 수신부(310),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 및 공유 객체 관리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북마크 공유 장치에서 수행되는 소셜 북마크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등록 요청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10).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를 통해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없는 경우 특정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350)를 통해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공유 설정에 따라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50).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공유 객체 관리부(370)를 통해 공유의 과정에서 북마크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유 객체를 생성하고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단계 S470).
도 5는 도 1의 북마크 공유 장치에서 수행되는 북마크 페이지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림 (a)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특정 웹페이지에 접근한 화면에 해당하고, 그림 (b)는 사용자의 북마크 등록 요청에 따라 생성된 북마크 페이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에서,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등록 요청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 요청 수신부(310)는 북마크 등록 요청을 위한 등록 인터페이스(510)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등록 인터페이스(5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도 5에서, 등록 인터페이스(510)는 아이콘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페이지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를 저장하기 위하여 등록 인터페이스(510)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330)를 통해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림 (b)에서, 북마크 페이지는 해당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목(531), 원 출처(533) 및 본문 내용(5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오프라인 저장을 위하여 소정의 플랫폼 규격에 맞춰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사용자가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북마크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북마크 고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특정 텍스트에 메모를 기록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를 기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북마크 페이지에 포함된 특정 영역을 드래그(drag)하거나 특정 단어를 선택할 수 있고,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사용자의 동작을 기초로 컨텐츠 영역(610)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영역(610)은 드래그 영역 또는 선택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컨텐츠 영역(610)이 지정된 경우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생성하여 컨텐츠 영역(610)의 인근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통해 자신이 기록하고자 하는 메뉴(예를 들어, 하이라이트 또는 메모)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림 (a)는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통해 메모를 선택하는 도면에 해당하고, 그림 (b)는 메모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며, 그림 (c)는 입력된 메모가 컨텐츠 영역(610)에 연관되어 표시되는 도면에 해당한다.
도 7에서, 사용자는 북마크 페이지에서 컨텐츠 영역(610)을 지정할 수 있고,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컨텐츠 영역(610)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630)에서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림 (a)에서, 사용자가 메모를 선택한 경우 그림 (b)와 같이 메모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모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메모에 관한 공유 객체를 생성하여 컨텐츠 영역(610) 및 북마크 페이지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그림 (c)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컨텐츠 영역(610)의 인근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림 (a)는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통해 하이라이트를 선택하는 도면에 해당하고, 그림 (b)는 컨텐츠 영역(610)이 하이라이팅(highlighting)되어 표시되는 도면에 해당한다.
도 8에서, 사용자는 북마크 페이지에서 컨텐츠 영역(610)을 지정할 수 있고,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컨텐츠 영역(610)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630)에서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림 (a)에서, 사용자가 하이라이트를 선택한 경우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하이라이트에 관한 공유 객체를 생성하여 컨텐츠 영역(610) 및 북마크 페이지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그림 (b)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컨텐츠 영역(610)을 주변 영역과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팅 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폴더 기반 북마크 저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카테고리별 저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북마크 등록 및 공유 과정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북마크 등록 시 한글 기반의 해시태그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등록된 북마크에 대해 해시태그 기반의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북마크 공유 장치(130)는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기록과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콘텐츠에 관한 유용성을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소셜 북마크 공유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북마크 공유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510: 등록 인터페이스 531: 제목
533: 원 출처 535: 본문 내용
610: 컨텐츠 영역 630: 입력 인터페이스

Claims (8)

  1.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등록 요청 수신부;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없는 경우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하는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공유 설정에 따라 상기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를 제공하는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 및
    상기 공유의 과정에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유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지어 저장하는 공유 객체 관리부를 포함하는 소셜(social) 북마크 공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특정 웹페이지로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상기 북마크 등록 요청에 관한 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등록 인터페이스는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카테고리와 인기도에 따라 형상 및 색상이 변경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social) 북마크 공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본문 내용의 변경을 검출하는 제1 단계;
    상기 변경이 검출된 경우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연관시켜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새로운 북마크 페이지를 동일 URL에 관하여 생성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북마크 페이지 히스토리에 추가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social) 북마크 공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는
    상기 공유 설정으로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를 복수의 페이지 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페이지 영역 별로 설정된 공유 가부에 따라, 공유 가능한 페이지 영역을 추출하여 일시적 공유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북마크 페이지를 대신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social) 북마크 공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 공유부는
    상기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 과정에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되어 저장된 공유 객체들의 집중도를 기초로 상기 북마크 페이지의 관심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상기 관심 영역을 최우선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social) 북마크 공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객체 관리부는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의 지정이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서 수신된 메모 또는 하이라이트를 상기 공유 객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social) 북마크 공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객체 관리부는
    특정 북마크 페이지에 대해 가장 최근의 접근 시점 이후 새롭게 생성된 공유 객체의 개수가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특정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갱신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social) 북마크 공유 장치.
  8. 소셜(social) 북마크 공유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북마크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에 대응하는 북마크 페이지가 없는 경우 상기 특정 웹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북마크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관한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공유 설정에 따라 상기 북마크 페이지의 공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의 과정에서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유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북마크 페이지에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social) 북마크 공유 방법.
KR1020190125090A 2019-10-10 2019-10-10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218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90A KR102188871B1 (ko) 2019-10-10 2019-10-10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90A KR102188871B1 (ko) 2019-10-10 2019-10-10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871B1 true KR102188871B1 (ko) 2020-12-09

Family

ID=7378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090A KR102188871B1 (ko) 2019-10-10 2019-10-10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935A1 (ko) * 2021-09-16 2023-03-23 송정우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360A (en) * 1997-11-21 2000-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b browser support for dynamic update of bookmarks
KR100942268B1 (ko) 2007-08-06 2010-02-16 브이마크 코리아(유) 멀티미디어 북마크를 이용한 광고, 공유, 전송 및 검색방법
KR101466356B1 (ko) 2008-08-12 2014-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사용자와 북마크를 공유하는 장치및 방법
KR20150137498A (ko) * 2014-05-29 2015-12-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북마크 설정 및 적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360A (en) * 1997-11-21 2000-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b browser support for dynamic update of bookmarks
KR100942268B1 (ko) 2007-08-06 2010-02-16 브이마크 코리아(유) 멀티미디어 북마크를 이용한 광고, 공유, 전송 및 검색방법
KR101466356B1 (ko) 2008-08-12 2014-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사용자와 북마크를 공유하는 장치및 방법
KR20150137498A (ko) * 2014-05-29 2015-12-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북마크 설정 및 적용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935A1 (ko) * 2021-09-16 2023-03-23 송정우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552B2 (en) Inserting content into an application from an online synchronized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0547571B2 (en)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essage service linked to search service and message server and user terminal to perform the method
US103871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commended set of items
US20160162591A1 (en) Web Content Tagging and Filtering
KR102340228B1 (ko) 검색 서비스와 연결된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및 사용자 단말
US104527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commended set of items for a user
WO2016081532A1 (en) Relevant file identification using automated queries to disparate data storage locations
US20170083180A1 (en) Automatic Deep View Card Stacking
US20070244919A1 (en) Resource association
US20160042080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Searching and Sharing User Accessed Content
JP6162134B2 (ja) ソーシャルページのトリガー
KR102188871B1 (ko) 소셜 북마크 공유 장치 및 방법
US9781232B2 (en) Server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1611423B (zh) 将结构化数据用于在线调查
JP6637174B2 (ja) スマート端末を用いる数字列基盤のリアルタイム情報流通システム及び情報流通方法
US20160179821A1 (en) Searching Inside Items
KR101647596B1 (ko)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EP3147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commended set of items
JPWO201418500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225502A1 (en) Accessing web services and presenting web content according to user specifications
US201701776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web content
US201803678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viewing of contents
WO2023035893A1 (zh) 一种搜索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EP31478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commended set of items for a user
JP2011022724A (ja) ウェブサイト情報提供装置およびウェブサイト情報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