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630A -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Google Patents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630A
KR20140132630A KR1020130052106A KR20130052106A KR20140132630A KR 20140132630 A KR20140132630 A KR 20140132630A KR 1020130052106 A KR1020130052106 A KR 1020130052106A KR 20130052106 A KR20130052106 A KR 20130052106A KR 20140132630 A KR20140132630 A KR 2014013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window
program
inpu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412B1 (ko
Inventor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41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미리 설치된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을 함께 실행시켜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고, 검색 아이콘 입력에 따라 메시지 입력 영역에 입력된 문자로 검색 수행 후 검색 결과를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에서 검색이 필요할 시, 검색을 위한 별도의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검색을 쉽게 언제든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Method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on chatting based on messaging service,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메시징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대화창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고, 검색 결과를 대화 내용과 함께 볼 수 있도록 대화창에 표시함으로써 대화 중 편리하게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 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한 후 다수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문자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대화를 하면서 대화 내용에 따라 검색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현재 대화 중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에 설치된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검색하거나, 인터넷에 연결하여 모바일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여 검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검색하는 경우에는 현재 대화중인 대화창과 별도의 메인화면으로 들어가서 검색창을 띄우고 대화창과는 별도의 창에서 검색해야 하므로, 검색결과와 대화내용을 함께 볼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소정 메시징 프로그램에서는 검색 메뉴를 지원하여 이를 통해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메시징 프로그램은 검색 메뉴를 지원하기는 하나, 이미지 검색만 지원하고, 검색 화면이 별도의 창으로 표시되며, 이미지 검색을 위해서는 여러 번의 입력 과정을 거쳐야만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등, 검색이 상당히 불편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8-0078431호, 2008년 8월 27일 공개 (명칭: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이에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을 하고자 할 때 별도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으로 이동하지 않고, 현재 대화가 표시된 대화창에서 바로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대화창에 표시된 검색 결과에 대한 추가 검색 결과를 보거나 상세 검색을 할 수 있는 상세 검색창과 대화창 사이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메시지 표시 영역과 메시지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대화창을 표시함과 동시에, 미리 설치된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을 함께 실행시켜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고, 상기 검색 아이콘 입력에 따라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에 입력된 문자로 검색 수행 후 검색 결과를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 아이콘은,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문자를 입력하는 영역 내에 표시되거나, 문자를 입력하는 영역 외부에 다른 기능 아이콘들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영역의 색을 메시지 표시 영역의 배경화면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검색 결과를 표시할 시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결과를 표시하고, 검색 결과와 함께 추가보기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추가보기 항목 선택에 따라 상기 대화창의 일부에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여 검색된 나머지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상세 검색창을 통한 상세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상세 검색창을 화면에 표시할 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기 대화창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상세 검색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대화창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상세 검색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기 상세 검색창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대화창을 표시하여 화면이 상기 대화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검색 결과를 공유하고자 하는 기능 선택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현재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대화중인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메시지 표시 영역과 메시지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대화창을 표시할 시 미리 설치된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을 함께 실행시켜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색 아이콘 입력에 따라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에 입력된 문자로 검색 수행 후 검색 결과를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검색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처음으로 실행되면 상기 검색 아이콘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아이콘 삽입을 승인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은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에 소정 문자 입력없이 상기 검색 아이콘이 입력되면 상기 대화창의 일부에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에서 상기 검색 결과를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결과와 추가보기 항목을 함께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보기 항목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상기 대화창의 일부에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여 검색된 나머지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기 대화창을 이동시키면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은 상기 상세 검색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대화창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상세 검색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기 상세 검색창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대화창을 표시하여 화면을 상기 대화창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화 중에서 검색이 필요할 시, 검색을 위한 별도의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현재 대화중인 대화창에서 바로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검색을 쉽게 언제든지 할 수 있도록 하고, 대화창과 검색 결과창 간의 이동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메신저 프로그램에 검색 기능을 삽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화 중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각각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동영상, 사진, 오디오 등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은,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은 인스턴트 메시지의 작성,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인스턴트 메시지의 송수신,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표시, 동영상, 사진, 오디오 등의 컨텐츠 전송 기능 중에서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러한 메신저 프로그램은, 스탠드 얼론 동작을 통해서 피어 투 피어 방식 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다른 단말과 통신하여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서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서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메신저 프로그램은 서비스 장치 혹은 단말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예를 들어, 앱스토어)를 통해서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단말 내 메신저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이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단말의 주요 구성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물리적으로는 서로 통합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제어부(100),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는 발명에서 기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00)는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의 제어부(10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응용 프로그램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입력부(120)를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요구가 있으면,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동시에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을 함께 실행시켜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검색 아이콘은 대화 중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영역 내에 표시되거나, 기능 아이콘들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면, 검색 아이콘(406)은 돋보기 형태의 아이콘으로 도시할 수 있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를 입력하는 영역(404) 내에 삽입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아이콘들(412, 414)과 같이 입력하는 영역(404)의 외부에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검색 아이콘의 형태와 삽입 위치는 본 발명에서 기재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다. 제어부(100)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메시지 표시 영역(400)과 메시지 입력 영역(410)을 포함하는 대화창을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00)는 입력부(120)를 통해 검색 아이콘(406) 입력이 있으면, 메시지 입력 영역에 입력된 문자를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검색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으나, 회사 정책에 따른 검색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이후, 제어부(100)는 검색된 검색 결과를 메시지 표시 영역(400)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4와 같이, 검색 결과는 402와 같이 메시지 표시 영역(400) 내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검색 결과는 입력된 문자를 기반으로 소정 검색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된 결과로, 키워드 광고를 반영하고, 빅 데이터로 가공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검색 결과를 표시부(130)를 통해서만 표시하고, 메시지 입력 영역(410)에 입력된 문자 및 검색 결과를 상대 단말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검색 결과는 자신의 단말 화면에만 보이고, 대화중인 상대 단말 화면에는 보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영역의 색을 메시지 표시 영역(400)의 배경화면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는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만 표시되고, 검색 결과와 함께 추가보기 항목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단말의 화면은 검색 결과를 모두 표시하기에는 한정적이므로, 도 4의 402와 같이 4개의 검색 결과와 "상세 검색"과 같이 추가로 검색 결과를 볼 수 있는 추가 항목을 표시하여 나머지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입력부(120)를 통해 추가보기 항목 선택이 있으면, 대화창의 일부에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여 검색된 나머지 결과를 표시하고, 상세 검색창을 통한 상세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는 도 5의 (a)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즉, 검색 결과 마지막 한 줄은 추가보기 항목으로 표시되고, 이것을 선택하면 대화창이 왼쪽으로 움직이고, 상세 검색창이 오른쪽에 표시된다. 이때, 왼쪽 면에 일부는 대화창이 표시된다. 또한, 상세 검색항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밀면 다시 대화창으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은 대화창은 메시징 프로그램이 종료할 때까지 유지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상세 검색창을 화면에 표시할 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대화창을 이동시키면서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상세 검색창은 추가보기 항목 선택에 따라서도 표시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단말의 화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대화창을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세 검색창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세 검색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대화창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화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상세 검색창을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대화창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화면이 대화창으로 전화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화면은 도 5의 (b)와 같이 표시될 것이다. 이와 같이 대화창에 표시된 검색 결과는 대화창이 닫힐 때까지 유지될 것이다.
즉, 제어부(100)는 상세 검색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대화창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세 검색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세 검색창을 이동시키면서 대화창을 표시하여 화면이 대화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도 4의 (a)에서 402와 같이 표시된 검색 결과 중 상세한 내용을 보기 위해 소정 항목을 선택이 있으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여 선택한 항목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상세 검색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와 같이 대화 중 검색 아이콘 입력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기능 선택이 있으면, 검색 결과를 통신부(110)를 통해 대화중인 다른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0)는 검색 결과를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한 후, 추가보기 항목 선택 시 검색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세 검색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검색 프로그램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추가 검색 프로그램 중 하나의 검색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00)는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00)는 입력부(120)를 통해 추가보기 항목 선택이 있으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추가 검색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세 검색창에 추가 검색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그 프로그램을 통해 상세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추가 검색 프로그램이란, 문자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예를 들어, 추천 프로그램으로는 검색어가 "을지로 입구역 맛집"일 경우 맛집 정보 제공 관련 프로그램이 될 수 있고, "강남역 교통"일 경우 교통 관련 프로그램이 될 수 있고, "강남 스타일"일 경우에는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될 수 있고, "노트북 구매"일 경우에는 쇼핑 관련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110)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미도시.) 또는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며,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부(120)는 메시징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시징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은, 메신저 대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 대화 중 검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시징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은, 클릭과 같은 마우스 입력, 키 입력, 플릭, 스와이프, 플릭, 싱글 터치, 멀티 터치와 같은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130)는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30)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메시지 표시 영역과 메시지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대화창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서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대화 중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2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120)와 함께 터치 패널(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장부(140)는 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40)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 된 메신저 프로그램(142)과 본 발명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시 메신저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대화 중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144)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신저 프로그램은 제어부(100)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 구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142),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144), 기타 다른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말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메신저 프로그램에 검색 기능을 삽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00)는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검색 아이콘 삽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한다.(S200 ~ S202) 즉, 사용자가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소정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화면에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팝업 승인여부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검색 아이콘 삽입 여부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메신저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될 시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검색 아이콘 삽입 여부 승인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고, 메신저 프로그램을 매번 실행시킬 시마다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아이콘을 삽입을 승인하는 입력이 있으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대화창의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아이콘을 표시한다.(S206 ~ S208) 이때, 검색 아이콘의 표시 위치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에서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과의 연동을 통해 검색 기능이 메신저 프로그램에 삽입된 경우 대화 중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대화창을 표시한다.(S300) 이때, 대화창의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검색 아이콘이 표시될 것이다.
제어부(100)는 검색 아이콘이 입력되면, 메시지 입력 영역에 소정 문자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한다.(S302 ~ S304)
만약, 메시지 입력 영역에 소정 문자가 입력되었으면, 입력된 문자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한다.(S306 ~ S308) 이때, 검색 결과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만 표시되고, 검색 결과와 함께 추가보기 항목을 표시한다.
상기 추가보기 항목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대화창의 일부에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여 검색된 나머지 결과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세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S312 ~ S314)
한편, S304의 검사 결과 메시지 입력 영역에 소정 문자 입력없이 검색 아이콘이 입력되면, S312 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00)는 대화창의 일부에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세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S312 ~ S314)
상기의 S312 단계에서 표시되는 상세 검색창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대화창을 이동시키면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부(100)는 상세 검색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대화창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화면이 대화창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즉, 상세 검색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세 검색창을 이동시키면서 대화창을 표시하여 화면을 대화창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100)는 메신저 프로그램 종료를 위한 요구가 있으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S302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검색 결과를 메시지 표시 영역에 표시한 후, 추가보기 항목 선택 시 기 설정된 검색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추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프로그램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될 수 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도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추가 검색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추가 검색 프로그램은 추가보기 항목 선택에 따라 실행되어 상세 검색창에 추가 검색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상세 검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전에 사용자에 의해 추가보기 항목 선택 추천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6a 내지 도 6c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a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드라마에 대한 대화를 하는 중 "청애 소00 검색하기 위해서 대화 내용을 입력하는 영역에 "청애소00 원피스"를 입력하고, 옆에 검색 아이콘을 누르게 되면 검색이 수행된다. 그리고, 검색 결과는 대화창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어 대화 내용과 함께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검색 결과를 확인한 사용자가 원피스에 대한 정보가 확인되어 상대방에게 정보를 알리고자 하는 경우 검색 결과를 보면서 대화 내용을 입력하는 영역에 "브랜드 A사 꺼래"라고 입력하여 상대방에게 정보를 바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 중 상세한 내용을 보기 위해 사용자가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도 6b과 같이 대화창이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상세 검색창이 표시되고, 상세 검색창에 선택한 항목에 대한 상세 내용이 표시된다.
또한, 도 6a의 검색 결과에서 "상세 검색"이라고 표시된 추가 항목 즉, 검색된 결과 중 표시되지 않은 검색 결과를 더 보기 위한 항목이 선택되면, 도 6b와 같이 상세 검색창이 화면에 표시되면서, 이때는 도 6b의 상세 검색창에 표시된 내용이 아니라 대화창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검색 결과들이 표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에서 검색이 필요할 시, 검색을 위한 별도의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현재 대화중인 대화창에서 바로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검색을 쉽게 언제든지 할 수 있도록 하고, 대화창과 검색 결과창 간의 이동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모바일 검색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
100: 제어부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42: 메신저 프로그램
144: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

Claims (17)

  1.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시지 표시 영역과 메시지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대화창을 출력하면서, 미리 설치된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을 함께 실행시켜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고, 상기 검색 아이콘의 선택 시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에 입력된 문자에 대한 검색 수행 후 검색 결과를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아이콘은,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의 문자를 입력하는 영역 내에 표시되거나, 문자를 입력하는 영역 외부에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 아이콘들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영역의 색을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의 배경화면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할 시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검색 결과와 함께 추가보기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보기 항목 선택에 따라 상기 대화창의 일부에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여 검색된 나머지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상세 검색창을 통한 상세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 5항에 있어서,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또는 동작 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보기 항목 선택이 있으면, 기 설정된 추가 검색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상세 검색창에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상세 검색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검색 프로그램은,
    문자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보기 항목 선택에 따라 상기 추가 검색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세 검색 기능을 제공할 지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검색창을 화면에 표시할 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기 대화창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검색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대화창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상세 검색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기 상세 검색창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대화창을 표시하여 화면이 상기 대화창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검색 결과를 공유하고자 하는 기능 선택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현재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대화중인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메시지 표시 영역과 메시지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대화창을 표시할 때, 미리 설치된 서비스 검색 프로그램을 함께 실행시켜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색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에 입력된 문자와 관련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검색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처음으로 실행되면 상기 검색 아이콘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아이콘 삽입을 승인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검색 아이콘을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입력 영역에 소정 문자 입력없이 상기 검색 아이콘이 입력되면 상기 대화창의 일부에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 중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결과와 추가보기 항목을 함께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보기 항목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상기 대화창의 일부에 나머지 검색 결과가 출력된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기 대화창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상세 검색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검색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대화창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상세 검색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 또는 우측으로 상기 상세 검색창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대화창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52106A 2013-05-08 2013-05-08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2108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06A KR102108412B1 (ko) 2013-05-08 2013-05-08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06A KR102108412B1 (ko) 2013-05-08 2013-05-08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452A Division KR102252393B1 (ko) 2020-04-29 2020-04-29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630A true KR20140132630A (ko) 2014-11-18
KR102108412B1 KR102108412B1 (ko) 2020-05-28

Family

ID=5245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106A KR102108412B1 (ko) 2013-05-08 2013-05-08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4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4303A1 (en) * 2014-12-08 2016-06-16 Quixey, Inc. Accessing messaging applications in search
WO2016129767A1 (ko) * 2015-02-13 2016-08-18 주식회사 팔락성 온라인 사이트 링크방법
CN108038165A (zh) * 2017-12-06 2018-05-15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搜索方法、搜索装置、终端设备和服务器设备
CN109213779A (zh) * 2017-07-03 2019-01-15 株式会社麦赛博思 用户终端和搜索服务器及操作方法、传输方法和传输装置
US10547571B2 (en) 2015-05-06 2020-01-28 Kakao Corp.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essage service linked to search service and message server and user terminal to perform the method
KR20210121417A (ko) * 2020-03-30 2021-10-08 나채식 Sns 메신저에서의 정보 검색 및 문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750A (ko) * 2004-12-28 2006-07-03 엔에이치엔(주) 메신저를 이용한 검색 결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8431A (ko) 2007-02-23 2008-08-27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110087970A1 (en) * 2009-10-14 2011-04-14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KR20120082154A (ko) * 2011-01-13 2012-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03007A (ko) * 2010-08-18 2013-01-08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인스턴트 메신저 및 인스턴트 메신저에 의해 간편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750A (ko) * 2004-12-28 2006-07-03 엔에이치엔(주) 메신저를 이용한 검색 결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8431A (ko) 2007-02-23 2008-08-27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110087970A1 (en) * 2009-10-14 2011-04-14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KR20130003007A (ko) * 2010-08-18 2013-01-08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인스턴트 메신저 및 인스턴트 메신저에 의해 간편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KR20120082154A (ko) * 2011-01-13 2012-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4303A1 (en) * 2014-12-08 2016-06-16 Quixey, Inc. Accessing messaging applications in search
US10296513B2 (en) 2014-12-08 201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cessing messaging applications in search
WO2016129767A1 (ko) * 2015-02-13 2016-08-18 주식회사 팔락성 온라인 사이트 링크방법
US10547571B2 (en) 2015-05-06 2020-01-28 Kakao Corp.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essage service linked to search service and message server and user terminal to perform the method
CN109213779A (zh) * 2017-07-03 2019-01-15 株式会社麦赛博思 用户终端和搜索服务器及操作方法、传输方法和传输装置
CN109213779B (zh) * 2017-07-03 2021-08-31 株式会社麦赛博思 用户终端和搜索服务器及操作方法、传输方法和传输装置
CN108038165A (zh) * 2017-12-06 2018-05-15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搜索方法、搜索装置、终端设备和服务器设备
KR20210121417A (ko) * 2020-03-30 2021-10-08 나채식 Sns 메신저에서의 정보 검색 및 문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412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1127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7269440B2 (ja) オンラインドキュメント表示方法、装置、電子機器および記憶媒体
CN109032606B (zh) 原生应用程序的编译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102108412B1 (ko)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2039553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입력 문자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30394223A1 (en) Page jump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US10798153B2 (en) Terminal apparatus and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00174662A1 (en) Method for displaying multi-task management interface,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20143555A1 (zh) 用于展现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40171801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40134501A1 (en) Prompt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document sharing, device, and medium
CN113050844B (zh) 数据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TWI684104B (zh) 反饋的響應方法及裝置
KR20150106481A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1243679B2 (en) Remote data input framework
EP3416070A1 (en) P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4060943A1 (zh) 评论信息的发布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252393B1 (ko)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230276079A1 (en) Live streaming room page jump method and apparatus, live streaming room page retur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0083407B (zh) 小程序中步骤条的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12072B1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추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0045895B (zh) 信息处理方法、系统、介质和计算设备
CN112114735B (zh) 用于管理任务的方法和装置
WO2020143556A1 (zh) 用于展示页面的方法和装置
CN112083840A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