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073A - 장시간 동안의 체중 유지 - Google Patents

장시간 동안의 체중 유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073A
KR20080078073A KR1020087017725A KR20087017725A KR20080078073A KR 20080078073 A KR20080078073 A KR 20080078073A KR 1020087017725 A KR1020087017725 A KR 1020087017725A KR 20087017725 A KR20087017725 A KR 20087017725A KR 20080078073 A KR20080078073 A KR 20080078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esters
emulsifier
weight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 스테이즌스
피터 주렌돈크
벤즈트 헤르스로프
안니카 비버그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7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1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 A23D7/011Compositions other than spread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 유지 분야, 더욱 특별하게 사람의 체중을 장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중 감량 후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의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열대사 촉진 효과를 얻기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의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휴식기 에너지 소모와 같은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기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의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시간 동안의 체중 유지{LONG TERM WEIGHT MAINTENANCE}
본 발명은 체중 유지 분야, 더욱 특별하게 사람의 체중을 장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비만 발생율의 증가가 선진국에서 의료학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비만은 관상동맥 심질환, 고혈압, 비인슐린 의존성 진성 당뇨병, 폐기능 장애, 퇴행성 관절염 및 특정 유형의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주요 요인이다. 에너지 섭취와 에너지 소모 사이의 평형이 양(positive)의 에너지 값(balace)으로 이동할 때 비만이 일어난다.
비만은 약한 증상(20 내지 30% 과체중), 중간 증상(30 내지 60% 과체중) 또는 심한 증상(60% 초과의 과체중)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비만은 다수의 건강적 위험 요소와 동반되고 있다. 이것은 심장 및 폐기능 둘다를 손상시킬 수 있고 내분비 작용을 교란시키고, 감정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고혈압, 손상된 글루코스 내성 및 비인슐린 의존성 진성 당뇨병 및 과콜레스테롤혈증은 정상 체중의 개인에서보다 과체중의 개인에서 더욱 흔한 증상이다. 그러므로, 비만은 예를들면 고혈압, 뇌졸증, 2형 당뇨병, 일부 유형의 암, 담낭 질환 및 허열성 심질환을 갖는 개인의 이환율 및 사망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중간 및 심한 경우의 비만은 사망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장 및 직장 암은 비만의 남성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이고, 비만의 여성은 종종 자궁내막암 또는 담낭암으로 고통받고 있다. 또한, 과체중의 증가가 대부분 결과적으로 심리적 및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의 치료는, 체중 감량이 사망율 및 이환율에 대한 위험성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심지어 적절한 체중 감량으로서도 유익한 건강 효과를 초래한다. 체중 감량은 에너지 섭취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거나, 지방 산화를 촉진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문헌[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 The evidence report. NIH. Obes. Res. 1998; 6 (suppl): 51S-209S] 참조).
체중을 감량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첫번째 방법은 에너지 섭취(즉, 음식물 섭취)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식이 요법을 통해서만 가능한데, 이는 음식물의 흡수 불량은 약물 또는 수술을 통해서는 안정하게 달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식이 요법은 체중 감소식뿐만 아니라 체중 유지식으로 구성되어야만 한다. 만족할만한 체중 감량 후, 환자에게 영양을 주고 허용될 수 있는 음식물의 공급시 체중이 안정하게 유지될 때까지 에너지 공급이 천천히 증가되어야 한다. 장기간의 다이어트의 중요성은, 단지 10 내지 20%의 환자에게서만 달성된 체중 감소 가 유지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알 수 있다.
두번째로,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음의 에너지 값에 기여하도록 신체적인 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유의적인 체중 감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일 수 시간의 신체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신체적인 활동이 다른 종류의 치료에 매우 중요한 보충적인 방법이라고 할지라도 신체적인 활동 단독은 비만 치료의 작은 역할을 담당할 뿐이다. 또한, 신체적인 활동은 에너지 제한을 포함하는 식이 요법에 뒤따르는 에너지 소비의 감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약물은 단독으로 또는 식이 요법 및/또는 증가된 신체 활동과 조합되어 비만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비만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주로 식욕 감퇴 약물 및/또는 열대사 촉진 약물이다. 식욕 감퇴 약물은 에너지 섭취를 감소시킴으로써 주로 그 효과를 발휘한다. 음식물 섭취의 감소는 식욕 조절에 관련되는 뇌 전달 시스템에 대한 약물 작용의 결과이다. 이러한 약물의 작용은 다양한 자리에서의 시상하부를 통해 조절된다고 추측된다. 상기 작용은 아드레날린성, 도파민성 또는 세로토닌성 경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발휘될 수 있다. 어느 시스템이 관여하든지 간에, 최종적인 결과는 포만 중추의 자극 및 궁극적으로는 부진한 식욕을 초래하는 섭취 중추의 작용의 동시적인 감소이다. 공지된 식욕 감퇴제의 보기로서 예컨대 엡헤드린, 페닐프로판올아민, 암페타민 및 펜플루라민을 들 수 있다.
비만 치료에서의 열대사 촉진 약물은 현재 일반적으로 유력한 치료 가치를 갖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최근 수년 동안 신규 열대사 촉진 화합물의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주로 비만이 유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는 잘 알려진 내용과 관련된다. 가능한 비만 발달에 책임이 있는 유전적 장애는 비만을 가진 사람의 열대사적 장애(즉, 대사 시스템에서의 장애)와 관련된다(문헌[Dulloo, A. and D.S. Miller (1989) Nutrition 5: 7-9] 참조). 비록 열대사적 장애의 속성이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교감부신계의 장애적 반응성을 지적하는 주목할만한 증거가 있다(문헌[Astrup, A. V. (1989) Nutrition 5 : 703] 참조). 문헌[Dulloo & Miller (1989) Nutrition 5: 7-9]에서는 비만을 가진 사람의 열대사적 장애가 신경전달제의 비감응성 보다는 노르에피네피린의 감소된 방출과 관련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감신경계의 작용을 모방하고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약물은 비만 치료에서 상당한 치료적 효능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열대사적"은 특히 생리학적 과정에 의한 열 생성을 의미한다. 열대사 촉진 약물은 본원에서 사람 또는 동물의 몸에서의 생리학적 열 생성 및/또는 지방 산화를 유도할 수 있는 약물이다.
다수의 성공적인 체중 감소 방법이 이용가능한 반면, 장기간 동안 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문제로 남아있다. 엘프항(Elfhag) 및 로스너(Rossner)(문헌[Obesity Reviews (2005) 6, 67-85])는 체중 감량 후 성공적인 체중 유지와 관련된 다수의 요인을 조사하여 체중을 감량시키려는 내적 동기, 사회적 지원, 삶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보다 나은 대처 방안 및 능력, 삶에서의 자기실천적, 자율적, 추정적인 책임감 및 전체 심리학적 강도 및 안정성이, 환자가 계획적인 체중 감량 후 그의 체중을 유지하는데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결론지었다. 환자는 그들의 유의한 개인적 해법 및 내부 능력을 찾을 것을 권장받고 있다.
바라는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이유는, 종종 사람에 있어서 기본 대사율(BMR)이 체중 감소 동안 저하한다는 사실 때문이며, 이것은 아마도 제지방 질량(fat free mass), 체지방 질량(fat mass) 및 더욱 낮은 교감 신경계 활성의 손실 때문이다. 이러한 효과는 비만 환자에게서 특히 중요할 수 있다. 기본 대사율의 메타 분석(meta analysis)에서는, 전에 비만이 있던 환자가 비만이 없던 환자에서 보다 BMR이 유의하게 3 내지 5% 낮으며 낮은 BMR을 가질 위험성이 5배 더 높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문헌[Astrup et al., (1999) Am. J. Clin. Nutr. 55:14-21] 참조).
약물학적 연구에서 상기 문제를 다루었으며, 최근에 시뷰트라민(Sibutramine) 약물이 식욕 감퇴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계획적인 체중 감량 후 에너지 소모를 성공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더욱 높은 시뷰트라민의 투여량에서, 급성 열대사 촉진 효과가 정상 체중의 남성 피실험자에게서 관측(문헌[Hansen et al. (1998) Am. J. Clin. Nutr. 68: 1180-1186] 참조)된 반면, 시뷰트라민의 더욱 낮은 만성적 투여량에서는 에너지 소모가 상승되지 않았지만, 감소하는 에너지 섭취 및 체중 감량과 함께 관측되는 에너지 소모에서의 정상적인 감소를 탈억제하는 효과를 갖지 않았다(문헌[Hansen et al., (1999) Int. J. Obes. 23: 1016-1024] 참조).
시뷰트라민은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이며, 내셔날 인스티튜트 오브 클리니컬 엑셀런스(National Institute of Clinical Excellence; NICE)에 의해 30kg/㎡이 넘는 BMI를 갖는 환자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을 갖고 27kg/㎡이 넘는 BMI를 갖는 환자에서 비만 치료를 위해 추천되고 있다(문헌[NICE. (2001) Guidance of the use of Sibutramin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n Adults. Technology Appraisal Guidance - No 31. National Institute for Clinical Excellence, London] 참조).
최근의 유럽 연구(문헌[James et al., (2000) Lancet, 356: 2119 - 2125])에서는, 시뷰트라민을 6개월간 투여한 후, 5%의 체중 감소를 달성한 환자에게 무작위적으로 시뷰트라민을 계속 투여하거나 또는 위약을 투여하였다. 18개월 후, 시뷰트라민을 복용한 환자의 69%가 대조군의 42%에 비해 적절한 5%의 체중 감소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시뷰트라민은 혈압 및 박동수의 증가(교감신경 흥분제로서 작용)를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고혈압 환자에게는 적절하지 않다. 정상 혈압을 갖는 환자에서는, 시뷰트라민으로의 치료로 적어도 제한된 기간 동안에는 중간정도의 체중 감량을 달성할 수 있다. 시뷰트라민은 또한 변비, 입 마름, 상승된 혈압, 두통, 증가된 심장 박동수, 및 불면을 포함하는 여러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http://www.meridia.net/index.cfm?act=consumer_safety).
체중 감량 후 체중을 유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다수의 약물이 제시되고 있다. 5-HT 분비의 자극 및 5-HT 재흡수 억제를 통해 작용하는 펜플루라민(fenfluramine) 및 덱스펜플루라민(dexfenfluramine) 약물은 이것의 용도 및 심장판막 이상과 관련된 부작용이 발견된 후 사용되지 않고 있다(문헌[Connolly et al., (1997)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7: 581-588] 참조).
올리스태트(Orlistat)는 위장관 리파제에 결합하여 위에서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지방 흡수를 억제한다. 식사와 함께 또는 식사 1시간 후 올리스태트를 복용한 환자는 섭취된 식이 지방의 약 1/3이 변으로 분비됨으로써 칼로리 섭취가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환자들은 기름진 음식의 섭취 후, 헛배부름 및 유쾌하지 않는 변을 초래할 수 있다. 어떤 연구에서는, 올리스태트가 또한 1년 동안 위약 5%의 체중 감량에 비해 9%의 약한 체중 감량을 달성할 수 있고, 두번째 년도의 사용에서는 체중의 재증가가 천천히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문헌[Yanovski & Yanovski (2002),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6: 591-602] 참조). 그러나, 올리스태트는 단지 2년동안만 사용이 허가되며, 두번째 년도에서는 덜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체중 감량 후 체중의 유지를 돕기 위해 사람의 몸에서 에너지 소모를 증진시키는 열대사 활성 조성물의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상술된 부작용을 갖지 않는 약물학적 활성 조성물이 유익할 것이다.
발명의 개요
놀랍게도,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 바람직하게는 식품용 유화제의 혼합물이 체중 감소 후 체중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조성물은 체중 감량 후 휴식기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고, 제지방 질량의 감소에 기여하고, 제지방 질량을 증가시키는 것 같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휴식기 에너지 소모와 같은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기 위한 약물학적 활성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휴식기 에너지 소모와 같은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기 위한 약물학적 활성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혼합물은 물론 부가적으로 착색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열대사 촉진 효과를 얻기 위한 약물학적 활성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의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용도는 특히 체중 감량 기간 후 체중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체중 감량 후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약물학적 활성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의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용어 "체중 유지" 또는 "체중 감량 유지"는 적어도 18주의 기간 동안, 치료 개입 또는 본인의 노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대략적인 중량 감량 결과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 특히, 용어 "체중 감량"은 초기 또는 기본(baseline) 체중의 2% 이상(예를들면, 3, 4, 5, 7, 10 또는 심지어 15%)의 체중 감량을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체중 감량은 체중 감량(체중 감량%로서)의 기간이 종결되는 18주후 중량의 재증가가 30, 25, 20 또는 심지어 15% 이하와 같이 35%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다르게는, 체중 감량은 또한 2 이상의 체질량 지수(BMI) 점수로서 표시될 수 있는 반면, 감소된 BMI 백분율로서의 BMI의 재증가는 체중 감량의 기간이 종결되는 18주후 35% 미만, 예컨대 30, 25, 20 또는 심지어 15% 이하 일때 체중이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혼합물은 유리하게는 수중유(oil-in-water) 유화액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수중유 유화액"은 액체 오일 분산액뿐만 아니라 현탁액인 고체 지방 분산액을 의미한다.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의 함량(중량%)은 본원에 지시된 바와 같이 해당 용도,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의 성질 및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을 5, 10, 15, 20, 30, 40 또는 심지어 60중량% 이상 내지 최대 분산(즉, 여전히 물이 있을 때 상이 계속됨)까지 함유할 수 있다.
문구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가짐"은, 주변 온도와 체온 사이의 전체 구간에서 고체 지방 함량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체 지방 함량"의 의미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www.minispec.com/applications/solid_fat_content.html]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자면, 상기 용어는 체온에서 적어도 잔류성 및 검출성 고체 지방 함량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잔류성 및 검출성 고체 지방 함량은 0.1% 초과, 예컨대 0.5%, 1%, 2%, 3%, 5%, 10% 이상일 수 있다. 고체 지방 함량은 ISO 8292 또는 IUPAC 2.150 방법을 사용하는 벤치탑(Benchtop) NMR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주어진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이 주변 온도 내지 체온의 범위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지의 여부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용융 곡선을 제공한다.
주변 온도는,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온도인 대략적인 실내 온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온도는 약 20℃, 예컨대 18, 19, 20, 21 또는 22℃이다.
체온은 표본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본원에서, 상기 용어는 치료될 개인의 체온을 지시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온도는 약 37℃, 예컨대 36, 36.5, 37, 37.5, 38, 38.5 또는 39℃이다.
본 발명은 특히 과체중 또는 비만이 있는 개인에서의 체중 감량을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실질적인 목적에 있어서, 체중이 "바람직한 체중"을 초과한다면 과체중이 존재하며, 반면 체중이 "바람직한 체중"을 20% 이상 초과한다면 비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다. 사람의 바람직한 체중은 메트로폴리탄 하이트 앤 웨이트 표(Metropolitan Height and Weight Table)에 따라 중간 체격을 갖는 사람의 범위에서 중간값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는 3개의 지방산으로 에스터화된 글라이세롤인 트라이아실글라이세롤을 의미한다.
상기 혼합물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또는 수중유 유화액은 주변 온도 내지 체온 온도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임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물질일 수 있다.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은 IUPAC 방법 번호 2.150(7차 출판)에 기술된 NMR 시리즈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고체 지방 함량의 백분율에 의해 정의된다.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야자유, 코코넛 버터 또는 기타와 같은 제과용 지방이다. 적합한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의 추가적인 예는 일리프(illipe) 버터, 시어(shea) 버터, 코쿰(kokum) 버터, 살(sal) 버터 또는 유사한 고체 지방 함량 또는 융점 범위를 갖는 기타 천연 오일 또는 이것들의 분류액이다. 상기 오일의 다른 예는 수소화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대두유, 평지씨유, 면실유, 및 해바라기유 또는 이것들의 분류액이다.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은 합성 또는 반합성일 수 있다.
용어 "제과용 지방"은 제과 용도용의 특정 지방을 지칭하는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코코아 버터가 이러한 군 중 가장 잘 알려진 대표적인 것이며, 제과용 지방은 또한 코코아 대체물(alternative), 또는 코코아 버터 등가물로서 종종 지칭되며, 때로는 또한 코코아 버터 대용물(replacer) 또는 코코어 버터 치환물(substitute)로서 지칭된다.
용어 "합성 또는 반합성"은 전적으로 천연은 아니고/아니거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수득된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특히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이 야자유 분류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야자유의 분류액은 각각 주로 글라이세롤의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스테아르산 에스터의 조합물에 기초한, 적합한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의 특정 혼합물로 분류될 수 있는 시판용 야자유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지방산은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스테아르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한 조성물은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스테아르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특히 양호한 결과는 20 내지 80%(예, 30 내지 70%)의 지방산이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80 내지 20%(예, 70 내지 30%)의 지방산이 올레산 및 리놀레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때 달성되었다. 이러한 양은 필수적으로 100%까지 첨가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즉, 이것들은 라우르산과 같은 부가적인 지방산의 존재를 필수적으로 배제시키는 것은 아니다.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은 90중량% 이상, 예컨대 95중량% 초과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야자유 분류액 중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의 함량은 99중량% 이상일 수 있다. 순도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통상의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약물학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본 유화액에 사용된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은 순수하고 원하지 않는 오염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 유화제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식품용 유화제가 바람직하다. 식품용 유화제는 식품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 유화제이며, 일반적으로 친수성 및 친지성 부분으로 구성되는 에스터이다. 일반적으로, 친지성 부분은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 또는 이러한 지방산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친수성 부분은 일반적으로 하이드록실, 카복실 또는 옥시에틸렌 기를 포함한다.
식품 등급의 유화제 부류의 예는 레시틴, 모노- 및 다이글라이세라이드,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에스터, 락틸화 에스터, 폴리글라이세롤 에스터, 소르비탄 에스터, 에톡실화 에스터, 석신일화 에스터, 과일산 에스터, 아세틸화 모노- 및 다이글라이세라이드, 인산화 모노- 및 다이글라이세라이드 및 슈크로스 에스터이다.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의 유화액은 또한 오일이 적합한 음식물 또는 식품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 음식물 또는 식품의 본래의 유화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유화제는 20중량% 초과(바람직하게는 40중량% 초과)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을 유화시킬 수 있으며, 유화액이 혼입될 수 있는 식품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전히 액체인 유화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유화제는 예를들면 난황, 우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및 평지씨유로부터 제조된 레시틴이며, 이것은 주로 포스파티딜콜린 및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과 같은 인지질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본 문맥에서 레시틴은 출발 물질의 탈검화시 수득되며, 식품용 유화제로서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기 인지질의 조질 혼합물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유화제는 갈락토리피드계 유화제이다. 갈락토리피드는 잘 알려진 식물 세포 막의 구성분인 글라이코리피드의 군에 속한다. 이러한 것의 가장 중요한 유형은 다이아실글라이세롤에 글라이코사이드적으로 결합된 1 내지 4개의 설탕을 함유한다. 두 개의 가장 풍부한 유형은 각각 1개 및 2개의 갈락토스 단위를 함유하며, 이러한 것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명칭 및 약어는 모노- 및 다이갈락토실다이글라이세라이드(MGDG 및 DGDG)로서, 때때로 갈락토리피드로서 지칭된다. 갈락토리피드, 주로 DGDG 및 DGDG-풍부 물질을 연구하여 이것은 식품, 화장품, 및 약학 제품과 같은 산업적 용도에서 관심을 갖는 표면 활성 물질인 것으로확인되었다. 갈락토리피드 유화제는 국제 특허 공개 제 95/20943 호 및 국제 특허 공개 제 97/11141 호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갈락토리피드 유화제의 원료는 곡초 및 곡류, 특히 귀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본 발명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이 야자핵유(palm kernel oil) 또는 코코넛유와 조합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양호한 결과는 분류된 귀리유가 갈락토리피드계 유화제로서 사용될 때 수득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갈락토리피드계 유화제가 분류된 귀리유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수중유 유화액은 유화제 단독 또는 조-계면활성제와 같은 다른 양쪽성 화합물과 조합되어 사용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수중유 유화액은 또한 조성물의 다른 양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첨가제, 예컨대 향미제, 감미제, 착색제, 점증제, 보존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중유 유화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면, 물 중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의 30중량% 유화액은 액체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에 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연속 상은 순수한 물, 또는 등장제, 감미제, 향미제, 및 보존제와 같은 물-가용성 첨가제를 함유한 수성 용액일 수 있다. 이어서, 필요에 따라, 수성 상의 pH는 조절된다.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미리 가열시킨 후, 오일 상을 고전단 혼합 하에 수성 상에 첨가할 수 있다. 이어서, 예비 유화액이 고압 균질화에 처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체중 감량 후 열대사 촉진 효과 및/또는 체중 유지 효과를 얻기 위해 장내 투여 또는 경구 투여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식품의 형태로 투여된다.
그러므로,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과 유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고체 또는 반고체 식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이어서 이것은 위장관의 유체액에 노출 시 수중유 유화액으로 자연적으로 유화된다. 상기 혼합물은 또한 산화방지제 및 향미제와 같은 오일-가용성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혼합물은 또한 액체 또는 반액체 식품 및 음료수에 첨가될 수 있는 즉제 유화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유화액 중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의 혼합물이 80 내지 99중량%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및 1 내지 20중량%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화제의 유화 성능은 유화제의 성질 또는 특성에 좌우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된 분류된 귀리유가 5 내지 60중량%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의 수중유 유화액을 제조하기 위해 총 조성물의 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추가의 정제없이 유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국제 특허 공개 제 95/20943 호의 갈락토리피드 유화제는 5 내지 80중량%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의 수중유 유화제를 제조하기 위해 총 조성물의 0.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혼합물은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마가린, 스프레드, 샐러드 오일 및 드레싱, 가공된 육류 제품, 제과품, 필링(fillings), 소스, 스프, 과일 음료수, 디저트, 유아 식품과 같은 유제품의 배합물뿐만 아니라 영양 및 약학적 보충물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오일성 혼합물은 초코렛류, 기타 캔디류, 베이킹된 제품 및 다른 임의 적절한 식품과 같은 고체 또는 반고체 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의 수중유 유화액을 포함하는 유제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요구르트와 같은 바람직한 유제품은 야자유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분류액 및 분류된 귀리유의 유화액 4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체중 유지의 바람직한 효과를 얻기 위해, 40중량%의 유화액은 서빙(serving) 당 또는 한끼의 식사 당 1 내지 200㎖, 다르게는 5 내지 100㎖ 또는 10 내지 30㎖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오일 혼합물인 오일 성분 단독은 비례적으로 더욱 작은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식기 에너지 소모와 같은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기 위한 약물학적 활성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의 수중유 유화액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특히 계획적인 체중 감량 기간 후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조성물은 수중유 유화액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이외의 치료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치료학적 활성 성분은 바이타민, 무기질 및 에티컬(ethical) 약물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시험에서, 상이한 지질 및 유화제가 혼합물 및 유화액으로 배합되어 체중 감량 후 체중 유지의 효과에 대하여 시험된다. 지방 또는 오일로서 아코프리트(Akofrite)(칼샴스 에이비(Karlshamns AB; 스웨덴 칼샴 소재)로부터의 야자유 상표명)의 분류에 의해 수득된 분류된 야자유(CPL-Palm oil, 엘티피 리피드 테크놀로지 프로바이더 에이비(LTP Lipid Technologies Provider AB; 스웨덴 칼샴 소재))를 사용하였다.
유화제로서는 국제 특허 공개 제 97/11141 호에 따라 귀리로부터 제조된 약 20%의 DGDG를 포함하는 분류된 귀리유(스코티아 리피드테크닉(Scotia LipidTeknik; 스웨덴 스톡홀롬 소재)); 및 국제 특허 공개 제 95/20943 호에 따라 귀리로부터 제조된 약 60%의 DGDG를 포함하는 칼락토리피드(CPL-Galactolipids, 스코티아 리피드테크닉(스웨덴 스톡홀롬 소재))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분류된 야자유는 알칼리 메탄올분해 반응 후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지방산 조성물, 즉 40 내지 45중량%의 팔미트산, 38 내지 42중량%의 올레산, 8 내지 10중량%의 리놀레산, 및 4 내지 5중량%의 스테아르산, 및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아라키드산 및 팔미톨레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나머지의 양의 지방산을 가질 수 있다.
분류된 야자유는 99.8 내지 100중량%의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TG) 함량을 가지며, 20 및 35℃에서의 고체 지방 함량(N 및 N35)은 각각 31 및 6이다.
체중 감량 기간 후 개인의 식품 보충물로서 상술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받은 개인들(시험군의 개인들)의 휴식기 에너지 소모는 어떠한 조성물을 받지 않은 개인들(대조군의 개인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관측되었다. 또한, 시험군의 개인들의 제지방 질량은 상당히 높은 반면, 체지방 질량은 더욱 낮았다(표 5 및 도 6 및 7 참조).
이론에 얽매이기를 바라지 않지만, 올리브라(Olibra)의 관측된 효과는 "회장 브레이크(ileal brake)" 기전, 즉 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영양분의 존재에 의해 유도된 상부 위장관 기능의 억제 결과일 수 있다(Spiller et al, 1984). "회장 브레이크"는 원위 내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포만 호르몬의 방출과 관련되는 것 같다(Aponte et al, 1985; Jin et al, 1993). 이것은 또한 현재 에너지 소모의 조절에서 작용하는 것 같다.
도 1은 연구 설계(study design)의 계통도이다.
도 2는 연구에서 2개의 집단의 체중의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삼각형은 올리브라 군의 체중이며, 사각형은 대조(위약) 군의 체중이다.
도 3은 시험에서 26주후, 즉 다이어트에 의해 유발된 체중 감량 기간 18 주 후의 체중 재증가의 백분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2개의 집단에서 REE의 비교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2개의 집단에서의 공복감 점수(hunger score)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올리브라 군에서 REE를 FFM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대조군에서 REE를 FFM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 올리브라 유화액
분류된 야자유를 갖는 40중량%의 유화액 제제(배치 크기: 300g)
성분 중량%
58.0
분류된 야자유 40.0
분류된 귀리유 2.0
야자유를 50℃에서 용융시키고, 분류된 귀리유와 혼합시켰다. 오일 상 및 물을 65 내지 70℃로 미리가열시킨 후, 오일 상을 고전단 혼합 하에 15,000rpm에서 4분 동안 물에 첨가하였다. 예비유화액을 2개의 분액으로 나누는데, 이때 하나의 분액은 400바에서 균질화되었으며, 다른 분액은 800바에서 균질화되었고, 둘 다는 60℃에서 6사이클 동안 실시되었다(라니 균질기(Rannie homogenizer), Model Mini-Lab 8.30 H; APV 라니, 덴마크 소재).
2개의 분액 제제는 유사한 크림형 점조도를 갖는 유화액을 형성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Z 평균)는 두 경우에 있어서 약 480nm이었다(Zetasizer 4, 맬버른 인스투르먼츠(Malvern Instruments), 영국 소재).
상술된 유화액(본원에서 이후 "올리브라"라고 지칭되며, 엘티피 리피드 테크 놀로지스 프로바이더 에이비(스웨덴 칼샴 소재)에 의해 시판됨)은 제품의 제조에서 하나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때까지 2 내지 8℃에서 보관될 수 있다. 올리브라 유화액은 요구르트 제품의 제조에서 하나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기타 수중유 제제
유화액 A
성분 중량%
58.0
분류된 야자유 40.0
갈락토리피드 2.0
야자유를 50℃에서 용융시키고, 갈락토리피드와 혼합시켰다. 오일 상 및 물을 65 내지 70℃로 미리가열시킨 후, 오일 상을 고전단 혼합 하에 15,000rpm에서 4분 동안 물에 첨가하였다. 예비유화액을 800바의 60℃에서 6 사이클 동안 균질화시켰다(라니 균질기, Model Mini-Lab 8.30 H; APV 라니, 덴마크 소재). 이로 인해 크림형 점조도를 갖는 유화액이 제조되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Z 평균)는 290nm이었다(Zetasizer 4, 맬버른 인스투르먼츠, 영국 소재). 높은 갈락토리피드 함량(5% 초과)에서는 점성의 페이스트가 형성되었다.
유화액 B
성분 중량%
50.5
분류된 야자유 47.0
분류된 귀리유 2.5
야자유를 50℃에서 용융시키고, 분류된 귀리유와 혼합시켰다. 오일 상 및 물을 65 내지 70℃로 미리가열시킨 후, 오일 상을 고전단 혼합 하에 15,000rpm에서 2분 동안 물에 첨가하였다. 예비유화액을 600바의 60℃에서 6 사이클 동안 균질화 시켰다(라니 균질기, Model Mini-Lab 8.30 H; APV 라니, 덴마크 소재). 이로 인해 크림형 점조도를 갖는 유화액이 제조되었다. 평균 입자 크기(Z 평균)는 400nm이었다(Zetasizer 4, 맬버른 인스투르먼츠, 영국 소재).
실시예 3. 식품 조성물
아이스크림
성분: 2개의 계란, 125㎖의 설탕, 250㎖의 우유, 5g의 오렌지-코코아 향, 및 200㎖의 올리브라
계란, 설탕 및 우유를 혼합하고 크림의 점성이 나타날 때까지 휘저으면서 천천히 가열하였다. 상기 크림을 약 5g의 오렌지-코코아 향(모르메제리어(NorrMejerier; 스웨덴 루레아 소재))과 혼합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200㎖의 올리브라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이스크림 기계에 부은 후, 약 30분 동안 가동시켰다.
당근 케익
성분: 4개의 계란, 250㎖의 분류된 야자유 및 분류된 귀리유, 600㎖의 갈은 당근, 200㎖의 갈색 설탕, 150㎖의 설탕, 1 작은술의 베이킹 소다, 1 작은술의 염, 3 작은술의 계피 및 450㎖의 밀가루
계란 및 분류된 야자유 및 분류된 귀리유(40:2 중량비)의 혼합물을 갈은 당근에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전기 혼합기에 의해 휘저었다. 모든 마른 성분들을 혼합하고, 당근 혼합물 중에서 부드럽게 교반시켰다. 오일을 바른 큰 제빵용 주석판에 반죽을 붓고 175℃의 오븐에서 60분 동안 구웠다.
실시예 4. 체중 감량 기간 후 체중 유지에 대한 연구
연구 설계
무작위의 위약-대조된 이중 맹검의 평행 설계가 사용되었다.
설계안은 도 1에 계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연구의 처음 8주 동안, 96명의 피실험자(연령, 체질량 지수(BMI), 체중 및 음식 제한 별로 계층화됨)를 무작위적으로 48명씩 2개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사용된 모디패스트(Modifast)(2.1MJ/d)의 6주간의 처방에 의해 체중 감량이 달성되었으며, 이어서 18주의 체중 재증가 기간이 시작되었으며, 이때 피실험자들은 그들의 평소의 식사 패턴을 다시 시작하였으며, 매일 대조 또는 올리브라 요구르트를 먹었다. 하나의 집단에서는 위약 요구르트(5g의 유지방을 갖는 250g의 요구르트)을 섭취하였으며, 다른 집단에서는 올리브라 요구르트(5g의 올리브라 유화액으로 제공된, 3g의 유지방 및 2g의 식물성 지방을 갖는 250g의 요구르트)를 섭취하였다. 피실험자들은 아침(아침식사 시간)에 125g씩 2번 그리고 오후(약 16.00시)에 125g씩 2번 섭취할 것을 지시받았다.
1주(체중 감량 전), 7주(체중 감량 후) 및 25주(체중 재증가/유지 후)에서의 시험일 동안, 동일한 요구르트를 사용하지만, 125g씩 2번만 아침에 제공되었다.
다양한 시험일에서 측정한 측정치를 하기 단락에서 기술한다.
올리브라 요구르트의 제조
모든 용기를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지방 함량이 2.2%이고, 12℃로 유지된 약 4000ℓ의 우유를 지방 함량이 42%인 약 150ℓ의 올리브라와 혼합시켰다. 혼합 물을 천천히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 및 다른 성분(설탕, 유청 가루, 전분, 탈지 분유, 및 젤라틴)을 첨가하여 요구르트 중의 최종 지방 함량이 2.05%(가공에 있어서, 후에 첨가되는 과일 제제가 또한 포함됨)가 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6.6 내지 6.8 pH에서 50℃로 가열시키고, 이어서 두 단계의 고압 균질기(190바/70바)를 사용하여 균질화시켰다. 균질화된 유화액을 5분 동안 약 90℃에서 저온살균(pasteurisation)시킨 후, 120℃에서 가열 살균시켰다. 약 43℃로 냉각시킨 후, 결과의 유화액을 약 8시간 동안 3.95 내지 4.20 pH의 발효 탱크에서 배양시켰다. 이어서, 발효된 생성물을 냉각시키고 탱크에 저장하였다. 필요한 양의 과일 제제를 첨가하고, 약 78℃로 상기 요구르트를 다시 가열시켰다. 최종적으로, 요구르트를 냉각시키고, Al 밀봉이 있는 200g의 플라스틱 컵에 충진시킨 후 사용 시까지 냉장고에 두었다.
피실험자
지역 신문을 통해 모집된 피실험자들은 과체중을 가진 96명의 여성으로서, 연령은 18세 내지 55세이며, BMI는 25 내지 30kg/㎡이었다. 이들의 건강은 양호하였으며, 비흡연자이며, 혈압은 정상이며, 약은 복용하지 않으며, 기껏해야 중간 정도로 알콜을 마신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 예를들면 대사 차이 때문에 단지 여성만을 포함시켰다. 더욱이, 올리브라의 효과는 남성에서보다는 여성에서 더욱 우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Burns et al, 2000).
체중을 선별하는 동안, 키, 허리-엉덩이 둘레 및 혈압을 측정하였다. 건강, 약의 사용, 흡연 행동, 알콜 섭취량 및 신체 활동에 대한 앙케이트가 완성되었다.
측정
앙케이트(1, 7, 25주에서)
측정(공복 상태에서)을 위해 하기 앙케이트가 실시되었다:
- 식이 행동(3개 인자의 식이 앙케이트, Stunkard & Messick, 1985)
- 공복감 및 포만(시각적 아날로그식 스케일)
- 기분(긴장 이완, 우울감, 즐거움, 성냄, 두려움, 슬픔과 같은 모든 유형의 긍정적인 및 부정적인 기분 강도를 나타냄; Kovacs et al, 2003)
- 내성(치료에서 가능한 부작용)
혈액 파라미터(1, 7, 25주에서)
공복 상태에서 하기 혈액 파라미터가 측정되었다:
지질 분해 척도로서 트라이아실글라이세롤(TG), 유리 지방산(FFA) 및 글라이세롤(Gly), 및 지방 산화의 척도로서 β-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BHB). 모두 46㎖의 혈액을 1, 7 및 25주에서 채혈하였다(포만 관련 호르몬, TG, FFA, Gly 및 BHB 측정을 위해).
인체 측정(2, 8, 26주에서)
체중, 허리-엉덩이 둘레 및 체성분을 공복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중수소(2H2O) 희석 기법을 사용하여 체성분을 측정하였다. 중수소 동위원소의 희석은 신체의 총 물의 양(total body water; TBW)을 위한 측정치이다. 저녁에, 기초 뇨 샘플을 수집한 후 피실험자에게 중수소가 풍부한 물(2H2O)을 섭취시켰다. 중수소 용액의 섭취 후, 어떠한 추가적인 유체액 또는 식품 섭취가 허용되지 않았다. 다음날 아침, 두번째 뇨 샘플(두번째 방뇨)을 수집하였다. 뇨 샘플 중의 중수소 농도는 동위원소 비 질량 스펙트럼(마이크로매스 옵티마(Micromass Optima), 영국 맨체스터 소재)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BW는 측정된 중수소 희석 스페이스(space)를 1.04로 나누어서 보정하여 2H 라벨을 신체 중의 비수성 수소로 교환시킴으로서 구해졌다. 제지방 질량(FFM)은 TBW를 수화 지수(hydrating factor) 0.73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되었다. 체중으로부터 FFM을 차감함으로써 체지방 질량(FM)이 구해졌다. 체중의 백분율로서 표시되는 FM은 체내 지방의 백분율이 된다(Schoeller et al, 1980; van Marken Lichtenbelt et al, 1994; Westerterp et al, 1995).
휴식기 에너지 소모( REE )(2, 8, 26주에서)
하기 에너지 소모 및 기질 산화 변수가 측정되었다: 30분 간의 기본 대사율, 지방 및 탄수화물 산화. 측정하기 전 3일 동안 피실험자들은 표준화된 에너지 균형식(100%의 예정된 에너지 소모; CHO/단백질/지방의 53/12/35 En %)을 섭취하였다. 모든 음식물이 피실험자에게 공급되었다. 시험 당일 아침에, 피실험자들은 공복 상태로 실험실에 도착할 것을 요구받았다. 기본 대사율과 기질 산화는, 피실험자들이 30분 동안 반듯하게 누워 있는 공기가 순환하는 열린 환기 후드 시스템에서 측정하였다(Adriaens et al, 2003). 상자성 산소 분석기(옴니컬(omnical) 유형 1155B, 영국 크라우보로흐 서섹스) 및 적외선 이산화 탄소 분석기(옴니컬 유형 1520/1507)에 의해 가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REE는 바이르(Weir) 식(Weir et al, 1949)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호흡율(RQ)은 생성된 CO2/소비된 O2로서 계산되었다.
포만, 포만 호르몬(1, 7 및 25주에서)
피실험자들은 공복 상태로 실험실에 8.00시에 도착하였다. 정맥 카테터가 삽입되었다. 기본 혈액 샘플(t=0분)의 채혈 후, 피실험자들은 올리브라 또는 위약 요구르트를 섭취하였다. 90분 및 180분에 혈액 샘플링이 반복되었다. 마지막 혈액 샘플을 채혈한 후 카테터를 제거하였다. 그렐린(Ghr), 글루카곤형 펩타이드-1(GLP-1) 및 콜레사이스토키닌(CCK)을 공복 상태 및 90분 및 180분 후에 측정하여 단기간의 포만 효과를 측정하였다.
공복감 및 포만을 시각적 아날로그식 스케일(VAS)에 의해 시간당으로 기록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피실험자들의 상태가 확고하고 재현가능한 방식으로 주관적인 척도로 나타나기 때문이다(Raben et al, 1995).
피실험자들은 아침 동안에 커피, 차 또는 물을 마시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것들은 먹을 수 없었다.
뇨에서의 N 샘플링(26주에서)
26주에 음식물 중의 단백질 함량을 계산하기 위해 뇨를 24시간 동안 수취하여 N-함량을 측정하였다. 24시간 동안의 뇨는 첫날의 두번째 방뇨로부터 두번째 날의 첫번째 방뇨가 일어날 때까지 수취한 것이다. 샘플을 10㎖의 H2SO4가 있는 용 기에 모아서 증발로 인한 질소의 손실을 방지하였다. 부피 및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후자에 대해서는 질소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단백질 섭취량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24시간의 질소 산출량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단백질 섭취량(g/d) = (24시간 동안에서의 뇨 중 N 산출량(g/d) + 20%) x 6.25
뇨의 N 산출량은 N 섭취량의 일정 분율(80%)이다(Bingham et al, 1985).
결과
A. 피실험자의 기본 특성치
표 1은, 피실험자가 이들의 관련 기본 특성치(선별값)에 따라 등급별도 잘 분류되었음을 보여 준다. 처음 8주 동안에 3명의 탈락자가 있었다. 값들은 평균 ± 표준 편차이다.
Figure 112008051933250-PCT00001
B. 피실험자의 기본 특성치 및 체중 감량 6주후의 특성치
피실험자의 기본 특성치 및 체중 감량 6주후의 특성치가 표 2(인체 측정, 식이 행동, 기분, 혈장 지질) 및 표 3(포만 관련 호르몬)에 기재되어 있다. 시간 경과에 따른 효과가 어떠한 집단에서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따라서 등급화된 집단이 여전히 완전하게 일치하였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올리브라 또는 위약을 사용하기 전에 체중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다(p<0.05). 감소된 체중에 더하여, BMI(kg/㎡), 허리(cm), 엉덩이(cm), FFM(kg 및 %), FM(kg 및 %) 및 RQ가 또한 감소하였다(p<0.05). TFEQ(3개 인자의 식이 앙케이트)에서의 F1 및 F2, F3 점수는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 및 감소하였다(p<0.05). FFA(μmol/ℓ)는 6주간의 체중 감량 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BHB(μmol/ℓ) 및 TG(μmol/ℓ)의 공복 상태에서의 혈액 값은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 및 감소하였다(p<0.05).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체중 감량 기간 후 CCK 값(t0 및 t180)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더욱이, 그렐린이 체중 감량 후 t180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Figure 112008051933250-PCT00002
Figure 112008051933250-PCT00003
Figure 112008051933250-PCT00004
Figure 112008051933250-PCT00005
C. 체중 유지 기간
모디패스트 VLCD에 대한 이론적인 체중 감량은 6주간에 걸쳐 11kg 정도 일 수 있다. 실험적으로, 전형적인 체중 감량은 1주일당 약 1kg이다. 이러한 차이는, 부분적으로는 비순응성 때문이고, 부분적으로는 엄격한 VLCD의 준수가 너무 어려워서 지원자에게 매일 저칼로리의 과일 및 야채를 섭취하는 것을 허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중 유지/재증가 기간 동안 올리브라 또는 위약 요구르트의 섭취에 대한 결과의 분석을 위해 모디패스트 VLCD 체중 감량 기간 동안 6kg 초과를 감량한 피실험자만 포함되었다. 50명의 피실험자의 아그룹은 여전히 기본 특성치와 일치하였다(표 4, 1/2 및 7/8주); 즉 올리브라 및 위약 군은 각각 7.76 ± 1.5kg 및 7.65 ± 1.4kg을 감량하였다.
C.1 18주 동안의 체중 유지
도 2 및 3 및 표 4(25/26주)는 체중(BW) 감량 후 18주 동안 체중(BW)의 변화를 보여 준다. 올리브라 군(▲)에서는 BW(kg)의 유의한 증가가 없었던 반면, 위약 군(■)에서는 BW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여 주었다(p<0.001)(도 2). 단측의 비쌍 t-시험(one-tailed, unpaired t-test)은 두 집단 사이에 체중 재증가(kg 및%)의 유의적 차이를 보여 주었다(p<0.03). 체중 감량%로서의 재증가는 위약 요구르트(40%)에 비하여 올리브라(15%)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도 3).
C.2 인체측정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치의 변화(표 4)
BMI(kg/㎡) 및 허리 둘레(cm)는 올리브라 군에서는 증가하지 않았지만, 위약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허리 둘레(cm)에 있어서, 기간 경과에 따른 치료 효과가 체중 유지 동안 나타났다(p<0.05). 제지방 질량(FFM; kg)은 체중 유지 기간 동안 양 집단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위약군에 비교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치료 효과(26주와 2주의 비교)가 FFM(%) 및 FM에서 나타났다(p<0.05). 체중 유지 기간 동안 유리 지방산(FFA; μmol/ℓ) 및 β-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BHB; μmol/ℓ)의 공복시의 값은 양 집단에서 감소하였고,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TG; μmol/ℓ)의 공복시의 값은 양 집단에서 증가하였다(p<0.05).
Figure 112008051933250-PCT00006
Figure 112008051933250-PCT00007
Figure 112008051933250-PCT00008
C.3 휴식기 에너지 소모의 변화
양 집단에서 2주 및 26주에서 휴식기 에너지 소모(REE; mJ/d) 및 FFM (kg) 사이에는 유의적인 선형 관계가 있었다. REE의 변화가 시간 경과에 따라 FFM의 함수(REE가 FFM에 대하여 회귀함)로서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각 집단에서 측정하기 위해, 26주의 FFM(kg)을 2주의 경사 방정식에 기입하였다. 올리브라 군에서 26주에서 측정된 REE는 26주에서 예측되는 REE보다는 유의하게 크지만(p<0.05), 위약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을 ANOVA 반복 측정이 보여 준다(도 4). 양 집단 사이의 26주에서의 예측된 REE와 측정된 REE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면 시간 경과에 따른 치료 효과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하기 표 5는 FFM 데이터와 함께 2주 및 26주에서 양 집단의 휴식기 에너지 소모의 측정치를 보여 준다. 도 6 및 7은 REE를 FFM에 대해 플롯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양 집단에서 REE과 FFM 사이에 선형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올리브라 군에서는 2주에 비해 26주에서 더욱 높은 REE를 갖는 사람이 22명중 14명(64%)이라는 것을 표 5로부터 알 수 있다. 대조군에서는 단지 26명중 12명(46%) 만이 2주에 비해 26주에서 더 높은 REE를 가졌다.
Figure 112008051933250-PCT00009
Figure 112008051933250-PCT00010
C.4 기본 및 체중 유지 전과 후에서의 공복감 평가
기본 및 체중 유지 전과 후에서의 공복감 평가는 아침 및 오후에 대하여 별도로 도 5 및 표 6에 제시하였다. 식 "아침 식사 후의 공복감 = 공복감(10h-9h) + 공복감(13h-10h)"을 사용하여 올리브라 군에서 요구르트 섭취 4시간 후 공복감이 더 적었다는 점에서 25주에서의 올리브라 군과 위약 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C.5 체중 유지 기간의 종결 시에서의 포만 관련 호르몬
표 7은 체중 감량 전 및 후와 체중 유지 후에서의 포만 관련 호르몬 GLP-1, CCK, 및 그렐린의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요구르트 섭취 180분 후 GLP-1 값은 올리브라 군에서 1주에 비하여 25주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시간 경과에 따른 치료 효과, p<0.05). 다른 어떠한 유의적인 변화는 두 집단 사이에 찾아볼 수 없었다.
기본 및 체중 유지 전과 후에서의 공복감 점수
(10h-9h)+(13h-10h) 17h-14h
올리브라 위약 올리브라 위약
n=22 n=28 n=22 n=28
1주 29.4 ± 24.9 34.5 ± 33.2 45.7 ± 19.7 40.9 ± 23.5
7주 26.1 ± 24.5 30.3 ± 22.3 27.2 ± 25.2 30.8 ± 21.8
25주 29.4 ± 21.8 45.6 ± 30.3* 48.8 ± 26.4 52.3 ± 22.0
값은 평균 ± 표준 편차이다 9h(요구르트 섭취 전의 공복감 점수), 10h(요구르트 섭취 1시간 후의 공복감 점수), 13h(점심 식사 전의 공복감 점수), 14h(점심 식사 1시간 후의 공복감 점수), 17h(점심 식사 4시간 후의 공복감 점수) * p<0.05, AUC 공복감 (10h-9h) + (13h-10h)(올리브라와 위약의 비교), 요인 ANOVA
Figure 112008051933250-PCT00011
Figure 112008051933250-PCT00012
C.6 체중 유지 기간의 종결시 단백질 소모
표 8에서는, 양 집단이 평균적으로 동일한 단백질 섭취(즉, 올리브라 사용자는 1일당 74.6 ± 28.0g 섭취, 위약 사용자는 1일당 81.8 ± 31.0g 섭취)하였으며, 이러한 섭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 준다. 따라서, 체중 유지 동안의 요구르트 섭취 결과는 상기 기간 동안 단백질 소모와 무관하였다.
체중 유지 기간의 종결 시의 요구르트 섭취 군에서의 단백질 섭취
올리브라 위약
n=22 n=28
En % P 12.8 ± 4.2 14.2 ± 5.0
gP/24h 74.6 ± 28.0 81.8 ± 31.0
값은 평균 ± 표준 편차이다. En % P(26주에서의 단백질 에너지 백분율); gP/24h(26주에서의 24시간 당 단백질의 g, 뇨 질소로부터 유도)
C.7 체중 또는 체성분에 대한 칼슘의 가능한 효과
칼슘 섭취와 체성분 또는 체중 사이의 역관계가 많은 집단에서 관측되어 왔다. 칼슘 섭취가 체중 및 체성분에 어떠한 부가적인 이로운 효과를 주지 않는 1일당 약 800mg의 칼슘 임계치가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어 왔다(예, Zemel et al, 2003; Boon et al, 2005). 네덜란드에서, 칼슘 섭취 수준은 이미 다소 높으며(약 800 내지 1600mg/일); 1일 칼슘 섭취량의 약 70%는 유제품으로부터 비롯된다(Hulshof et al, 2003). 요구르트로부터의 1일 칼슘 섭취량은 약 650mg이다. 그러므로, 연구 기간 동안 칼슘의 1일 섭취는 1일당 800mg을 훨씬 초과하며, 체중 또는 체성분에 대한 칼슘의 효과는 있는 것 같지 않다고 추정된다.
C.8 임상 연구
12.5g의 올리브라(42%)를 조절된 환경 조건 하에서 스크루 캡이 있는 15㎖의 유리병에 넣었다. 병을 연구 기간 동안 냉장고에서 보관하였으며 사용하기 1 내지 2시간 전에 실온에 두었다. 식사 대용 초코렛 분말 또는 포리스트 베리(forest berries)가 든 백을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플라스틱 용기에서 200㎖의 물과 혼합한 후, 올리브라를 뉴트리레트(Nutrilett) 배합물을 지닌 용기 중에 붓고 5초 동안 흔들었다.
체중 감량을 위해 BMI가 26kg/㎡를 초과하는 16명의 과체중 여성들에게 6주동안 모든 식사를 VLCD 식으로 대체시켰다. VLCD 식은 총 에너지 양이 2.3kJ/일인 뉴트리레트 인텐시브(Nutrilett Intensive) 5개의 백으로 구성되었다. 체중 감량 기간 후, 피실험자들은 그들의 일상적인 식사 패턴으로 회복되었으며, 점심 식사는 뉴트리레트 인텐시브의 하나의 백으로 대체시키고, 12.5g의 올리브라를 식사 대용 음료에 첨가하였다. 피실험자에게 8주 동안 계속하여 점심 식사를 시험품으로 대체케 하였으며, 음식물의 유형 또는 양과 같은 그 날의 나머지 식사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한을 두지 않았다.
피실험자의 수 기본 체중(kg) 6주후의 체중(kg) 14주후의 체중(kg)
16 79.2 ±5.8 71.9 ± 4.5 70.9 ± 4.5
값은 평균 ± 표준 편차이다
D. 결론
올리브라 대 유지방 위약의 장기간의 효과의 분석을 위해 체중 감량 기간 동안 6kg 이상을 감량한 50명의 피실험자를 포함시켰다.
18주 동안의 현장 연구로부터 하기와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1. 올리브라 군에서의 체중 재증가는 유의하지 않는 반면, 위약 군에서는 유의하였다; 즉 체중 감량 %로서 체중 재증가가 위약 요구르트(40%)에 비하여 올리브라(15%)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표 4 및 도 2 및 3 참조).
2. 26주에서 올리브라 요구르트의 경우에서는 2주(체중 감량 전)에 비하여 체지방 질량(FM; kg 및 %)이 감소하였으며, 제지방 질량(FFM; %)은 증가하였다(표 4).
3. 26주에서 FFM의 함수로서 측정된 휴식기 에너지 소모(REE; mJ/d)가 올리브라 섭취에 대해서는 26주에서 예견된 REE 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 위약 섭취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도 4).
4. 올리브라 요구르트를 아침에 섭취한 후 4시간 동안의 공복감 점수가 체중 재증가 기간의 종결 시에서 증가하였지만, 기본 또는 체중 감량 후에 실험실에서의 시험일 동안 요구르트 섭취 군들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공복 상태 또는 요구르트 섭취 90분 또는 180분 후, 포만 관련 호르몬에서 유의적인 변화는 관측되지 않았다.
6. 칼슘 또는 단백질 섭취가 두 개의 상이한 요구르트 섭취 군들에서 구한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았다.
위약에 비하여 올리브라 요구르트 섭취 시의 더욱 양호한 체중 유지는 FFM의 함수로서의 REE의 비교적 높은 값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비교적 더 큰 FFM의 증가 및 FM의 감소 때문일 수 있다.
E. 참고문헌
Adriaens MPE, Schoffelen PFM, Westerterp KR. Intra-individual variation of basal metabolic rate and the influence of daily habitual physical activity before testing. Br J Nutr 2003, 90, 419-423.
Aponte GW, Fink AS1 Meyer JH, Tatemoto K, Taylor IL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ease of peptide YY with fatty acids of different chain length. Am J Physiol 1985, 249, G745-750.
Bingham AS, Cummings JH. Urine nitrogen as an independent validatory measure of dietary intake: a study of nitrogen balance in individuals consuming their normal diet. Am J Clin Nutr 1985, 42, 1276-1289.
Boon N, Koppes LLJ, Saris WHM, Van Mechelen W. The relation between calcium intake and body composition in a Dutch population. The Amsterdam growth and health longitudinal study. Am J Epidemiol 2005, 162, 27-32.
Burns AA, Livingstone MBE, Welch RW, Dunne A, Robson PJ, Lindmark L, Reid CA, Mulllaney U, Rowland IR. Short term effects of yogurt containing a novel fat emulsion on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in non-obese subjects, lnt J Obes 2000, 24, 1419-1425.
Burns AA, Livingstone MBE, Welch RW, Dunne A, Reid CA, Rowland IR. The effects of yogurt containing a novel fat emulsion on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in non-overweight,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lnt J Obes 2001, 25, 1487-1496.
Burns AA, Livingstone MBE, Welch RW, Dunne A, Rowland IR. Dose- response effects of a novel fat emulsion(Olibra™) on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up to 36h post-consumption. Eur J Clin Nutr 2002, 56, 368-377.
Hulshof KF, Brussaard JH, Kruizinga AG, Telman J, Lowik MR. Socio- economic status, dietary intake and 10y trends: the Dutch National Food Consumption Survey. Eur J Clin Nutr 2003, 57, 128-137.
Jin H, Gai L, Lee K, Chang TM, Li P, Wagner D, Chey WY. A physiological role of peptide YY on exocrine pancreatic secretion in rats. Gastroenterology 1993, 105, 208-215.
Kovacs EM, Lejeune MP, Westerterp-Plantenga MS. The effects of enterostatin intake on food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Br J Nutr 2003, 90, 207-214.
Lejeune MP, Kovacs EM, Westerterp-Plantenga MS. Additional protein intake limits weight regain after weight loss in humans. Br J Nutr 2005, 93, 281-289.
Pasman WJ, Westerterp-Plantenga MS, Waris WHM. The effectiveness of long-term supplementation of carbohydrate, chromium, fibre and caffeine on weight maintenance, lnt J Obes 1997, 21, 1143-1151.
Raben A, Hoist JJ, Christensen NJ, Astrup A. Determinants of postprandial appetite sensations: macronutrient intake and glucose metabolism, lnt J Obes 1995, 20, 161-169.
Schoeller DA, van Santen E, Peterson DW, Dietz W, Jaspan J, Klein PD. Total body water measurement in humans with 18O and 2H labeled water. Am J Clin Nutr 1980, 33, 2686-2693.
Spiller RC, Trotman IF, Higgens BE, Ghatel MA, Grimble GK, Lee YC, Bloom SR, Misiewics JJ, Silk DBA. The ileal brake-inhibition of jejunal motility after ileal fat perfusion in man. Gut 1984, 25, 365-374.
Van Marken Lichtenbelt WD, Westerterp K, Wouter L. Deuterium dilution as a method for determining total body water: effect of test protocol and sampling time. Br J Nutr 1994, 72, 491-497.
Weir JBDV. New methods for calculating metabolic rate with special references to protein metabolism. J Physiol 1949, 109, 1-9.
Westerterp KR, Wouters L, van Marken Lichtenbelt WD. The maastricht protocol for the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and energy expenditure with labeled water. Obes Res 1995, 3(suppl 1), 49-57.
Westerterp-Plantenga MS. The significance of protein i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regulation. Current opinion in Clinical Nutrition and Metabolic Care, 2003, 6, 635-639.
Westerterp-Plantenga MS, Lejeune MP, Nijs I, Van Ooijen M, Kovacs EM. High protein intake sustains weight maintenance after weight loss in human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4, 28, 57-64.
Zemel MB. Mechanisms of dairy modulation of adiposity. J Nutr 2003, 133, 252S-256S.

Claims (18)

  1. 휴식기 에너지 소모와 같은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기 위한 약물학적 활성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의 혼합물의 용도.
  2. 체중 감량 후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약물학적 활성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주변 온도 내지 체온에서 고체 지방 함량을 갖는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 및 유화제의 혼합물의 용도.
  3. 제 1 항에 있어서,
    체중 감량 후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는 용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 오일이 제과용 지방인 용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과용 지방이 야자유, 코코넛 버터, 일리프(illipe) 버터, 시어(shea) 버터, 코쿰(kokum) 버터, 살(sal) 버터, 수소화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대두유, 평지씨유, 면실유, 및 해바라기유 또는 이것들의 분류액 또는 유사한 고체 지방 함 량 또는 용점 범위를 갖는 다른 천연 오일 또는 이것의 분류액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가 분류된 야자유로부터 수득되는 용도.
  7. 제 6 항에 있어서,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가 글라이세롤의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스테아르산 에스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라이글라이세라이드가 합성 또는 반합성인 용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가 식품용 유화제인 용도.
  10. 제 9 항에 있어서,
    식품용 유화제가 친수성 및 친지성 부분으로 구성되는 에스터를 포함하는 용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친지성 부분이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 또는 이들 지방산의 조합물로 구성되는 용도.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친수성 부분이 하이드록실, 카복실 또는 옥시에틸렌 기를 포함하는 용도.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용 유화제가 레시틴, 모노- 및 다이글라이세라이드,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에스터, 락틸화 에스터, 폴리글라이세롤 에스터, 소르비탄 에스터, 에톡실화 에스터, 석신일화 에스터, 과일산 에스터, 아세틸화 모노- 및 다이글라이세라이드, 인산화 모노- 및 다이글라이세라이드 및 슈크로스 에스터인 용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식품용 유화제가 난황, 우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및 평지씨유로부터 제조된 레시틴을 포함하는 용도.
  15.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갈락토리피드를 포함하는 용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갈락토리피드인 용도.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갈락토리피드가 다이아실글라이세롤에 글라이코사이드적으로 결합된 1 내지 4개의 설탕을 함유하는 용도.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갈락토리피드가 모노 또는 다이갈락토실다이글라이세라이드인 용도.
KR1020087017725A 2005-12-24 2006-12-19 장시간 동안의 체중 유지 KR20080078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2919-4 2005-12-24
SE0502919 2005-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073A true KR20080078073A (ko) 2008-08-26

Family

ID=3821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725A KR20080078073A (ko) 2005-12-24 2006-12-19 장시간 동안의 체중 유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329759B2 (ko)
EP (1) EP1981490B1 (ko)
JP (1) JP5707026B2 (ko)
KR (1) KR20080078073A (ko)
CN (2) CN102846589A (ko)
AU (1) AU2006330112A1 (ko)
BR (1) BRPI0620616A2 (ko)
CA (1) CA2633608A1 (ko)
EA (1) EA200801595A1 (ko)
IL (1) IL192329A0 (ko)
WO (1) WO2007075142A1 (ko)
ZA (1) ZA2008054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0475A (zh) 2007-05-08 2010-06-09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体重维持和机体组成
WO2009131436A1 (en) * 2008-04-25 2009-10-29 Campina Nederland Holding B.V. Drinking yoghurt
WO2009144268A1 (en) * 2008-05-30 2009-12-03 Dsm Ip Assets B.V. Composition for increasing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
ES2662710T3 (es) 2010-05-24 2018-04-09 Swedish Oat Fiber Ab Dispersión acuosa que comprende galactolípidos y método de producción de la misma
DE102011008016A1 (de) * 2011-01-06 2012-07-12 Johannes F. Coy Schokoladenmasse
SI2809176T1 (en) * 2012-01-31 2018-07-31 Benemilk Ltd Animal feedingstuffs and the procedure for its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1715A1 (en) * 1984-09-13 1986-03-27 Center For Nutritional Research Charitable Trust Triglyceride preparations for the prevention of catabolism
SE9702630D0 (sv) * 1997-07-07 1997-07-07 Scotia Lipidteknik Ab Satiety product
WO2001091587A2 (en) * 2000-06-02 2001-12-06 Forbes Medi-Tech Inc. Oil compositions comprising short, medium and long chain triglycerides and use thereof in reducing weight gain
JP2002125620A (ja) 2000-10-26 2002-05-08 Atsuyoshi Murakami 健康食品
US7008648B2 (en) * 2001-11-16 2006-03-07 Novartis Nutrition Ag Plant derived or derivable material with appetite suppressing activity
SE0203886D0 (sv) * 2002-12-27 2002-12-27 Ltp Lipid Technologies Provide Glycerolesterprodukt och dess användning
CN1809288A (zh) * 2003-06-04 2006-07-26 雀巢技术公司 体重管理饮料
US20050032908A1 (en) * 2003-08-04 2005-02-10 Beckman Kristen M. Methods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EP1659880B1 (en) * 2003-09-05 2012-08-15 Hill's Pet Nutrition, Inc. Composition for animal consumption
US20070082025A1 (en) * 2005-10-07 2007-04-12 Catani Steven J Methods for achieving and maintaining weight 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805478B (en) 2009-04-29
EA200801595A1 (ru) 2008-10-30
CA2633608A1 (en) 2007-07-05
EP1981490A4 (en) 2013-01-09
JP5707026B2 (ja) 2015-04-22
AU2006330112A1 (en) 2007-07-05
AU2006330112A8 (en) 2009-01-15
IL192329A0 (en) 2008-12-29
EP1981490A1 (en) 2008-10-22
US8329759B2 (en) 2012-12-11
WO2007075142A1 (en) 2007-07-05
EP1981490B1 (en) 2021-09-15
US20090209663A1 (en) 2009-08-20
BRPI0620616A2 (pt) 2011-11-16
CN101346139A (zh) 2009-01-14
JP2009521432A (ja) 2009-06-04
CN102846589A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0880C2 (ru) Источник жиров раститель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US6517883B1 (en) Satiety product
KR102030851B1 (ko) 지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것의 사용 방법
UA63901C2 (en) Composition used in food additives or for lowering the lipid level in blood serum (variants)
JP2012522737A (ja) 満腹誘発組成物
US8329759B2 (en) Long term weight maintenance
US20090099261A1 (en) Omega-3 mixtures
ES2296711T3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y alimenticias que contienen alcoholes de madera o esteroles de madera utiles para rebajar el colesterol del suero.
US20060287384A1 (en) Lipoic acid concentrate
US20100261790A1 (en) Body-weight maintenance and body composition
WO2002094039A1 (en) Food or beverage for ameliorating poor protein/energy nutrition
JPWO2007132714A1 (ja) 骨密度増加剤
US20200068939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to increase and sustain blood ketone levels
TW201717774A (zh) 包含印加果蛋白質以及其他植物蛋白質之組合物
MXPA00000349A (en) Satiety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