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228A - 폴더식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폴더식 휴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228A
KR20080077228A KR1020087015327A KR20087015327A KR20080077228A KR 20080077228 A KR20080077228 A KR 20080077228A KR 1020087015327 A KR1020087015327 A KR 1020087015327A KR 20087015327 A KR20087015327 A KR 20087015327A KR 20080077228 A KR20080077228 A KR 20080077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liquid crystal
vertical
crystal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095B1 (ko
Inventor
도요히로 아라까네
기미아끼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표면에 액정표시부(표시부)가 배치된 제 1 케이싱(3)과, 표면에 조작부를 갖는 제 2 케이싱(5)과,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을 개폐축(X)을 중심으로 폴더개폐 자유롭게 연결함과 더불어, 개폐축(X)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축(Y)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3)을 표리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6)를 배치한다. 액정표시부를, 제 1 케이싱(3)에 캠기구(10)(지지기구)를 개재하고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한다.
휴대전화기, 코너부, 힌지부, 캠기구, 개폐축, 수직축

Description

폴더식 휴대기기{FOLDABL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폴더식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표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전화기는, 통화기능만이 아닌 전자메일의 송수신 기능, 디지털카메라 기능, 녹음재생기능, TV 수신기능, 스케줄관리 기능 등 다수의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들 복수의 기능 중 소정의 기능을 사용할 경우, 폴더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를 보고 싶어하는 요구가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표시부를 구비한 제 1 케이싱과, 조작부를 구비한 제 2 케이싱을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부에 있어서, 서로 독립하여 회전 운동하는 2개의 회동축을 구비한 휴대전화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2003-239943호 공보)에서는, 조작부를 설치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중합부를, 조작을 하지 않을 때는 조작부를 덮도록 중합 가능하게 연결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회동축부를 중심으로 중합부를 기복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회동축부와 거의 직교하는 자전가동부를 축으로 180도 자전회동 자유롭게 배치하여 중합부를 반전 가능하게 한 전자기기가 개시 되었다. 이 전자기기에서는, 폴더를 접은 컴팩트한 형태로도 중합부를 표리 반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은폐시키거나 반전시켜 노출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2003-309756호 공보)에 의하면, 액정모니터를 구비한 액정모니터부와, 조작버튼을 구비한 조작부를 힌지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고, 힌지부와 액정모니터부 사이에 0도에서 360도 회동 가능하게 회전판을 배치하며, 힌지부의 중심축 상에는 촬영렌즈와 복수 매의 줌 렌즈를 구비한 줌 렌즈 장착 휴대전화기가 개시되었다. 이 줌 렌즈 장착 휴대전화기에서는, 액정모니터부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자화상을 촬영하거나, 액정모니터부를 회전판 상에서 역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타인을 촬영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3(일본 특허공개 2002-118633호 공보)에 의하면, 양 케이싱을 접기 위한 제 1 회전축과, 이 제 1 회전축에 직교하여 배치된 제 2 회전축을 구비한 폴더식 휴대전화기가 개시되었다. 이 폴더식 휴대전화기에서는, 표시부를 180도 반전시켜 접으면 표시부가 노출되어 수신상태에서 개폐동작 없이 표시부를 볼 수 있다. 표시부 하측에는 4방향 키 및 결정키가 배치되므로, 표시부를 표리 반전시켜 접은 컴팩트한 형태로 이들 키를 사용하면서 표시부를 보고 비디오게임 등을 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한편, 휴대전화기의 주된 기능은 여전히 통화기능이며, 또 이 휴대성을 위해 소형화 경량화가 상품성 면에서 중요시된다. 사용의 편리함 면을 중시하여 휴대전화기는 가로 폭을 억제한 종형이다.
상기 휴대전화기의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로 고정되면, 횡형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는 종형 화면에 들어가도록 축소 표시하거나 또는 가로 스크롤 조작에 의해 화상 전체를 보도록 해야 하였다.
또, 종형상태의 액정표시부에 횡형 화상을 90도 회전시켜, 그 화상을 보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액정표시부와 조작부가,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펼쳐진 상태에서 나타나는 폴더식 휴대전화기에서는 조작부도 90도 회전한 상태가 되므로, 정보입력 버튼 등에 나타난 표시도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보게 되며, 또 보통 때와는 다른 정보입력버튼 등의 배치이므로 입력 조작이 매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특허문헌4(일본 특허공개 2001-156893호 공보)의 폴더식 휴대전화기에서는, 휴대전화기 자체는 종형으로 쥔 채인 상태에서, 액정표시부를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제 1 케이싱에 지지시킨다. 이 폴더식 휴대전화기에서는, 액정표시부의 중심부에 액정표시부에 수직으로 지지축을 배치하고, 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액정표시부를 90도 회전시키도록 한다.
특허문헌5(일본 특허공개 2004-64716호 공보)의 폴더식 휴대전화기에서는, 액정표시부를 전화기 본체의 베이스부에 연결 배치하는 지지부에 축을 지지시키고, 표시화면의 방향에 맞추어 표시내용을 변환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6(일본 특허공개 2003-319043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부를 제 1 케이싱에 슬라이딩 가능하며 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갖는 폴더식 휴대전화기가 알려져 있다. 이 폴더식 휴대전화기에서는, 액정표시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액정표시부 중앙부에 배치한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므로, 그만큼 힌지부나 제 1 케이싱 하단에 배치한 팽출부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어 액정표시부를 크게 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가까운 장래 지상디지털 TV방송이 본격적으로 개시되려 한다. 이 지상디지털 TV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TV방송과는 달리, TV로 퀴즈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TV쇼핑이나 은행송금 등을 TV를 통해 이용하거나 하는 이른바 쌍방향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지상디지털 TV방송을 휴대전화기로 시청 가능하게 한 경우, 액정표시부에서 화상을 보면서 조작부에서 키 조작할 필요성이 더욱 높아진다. 통상 TV화상은, 횡형이므로 작은 액정표시부에 의해 가능한 한 크게 TV화상을 보기 위해서는 액정표시부를 횡형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4 및 5의 발명에서는, 휴대전화기의 크기 및 두께를 억제하면서,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폴더개폐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부나, 액정표시부가 배치된 제 1 케이싱의 하단에 배치된 팽출부 등에 접촉하지 않고 액정표시부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액정표시부 하단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한 반경을 따라 둥글리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며, 액정표시부를 크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6의 폴더식 휴대전화기에서는, 슬라이드 이동과 회전이동의 2가지 조작이 필요하며, 한 손으로는 조작할 수 없어 조작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 쪽의 케이싱을 접어 컴팩트한 형태이며, 또 상기 특허문헌4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를 횡형상태로 하여 비디오게임 등의 조작을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3의 발명에서는, 표시부를 표리 반전시켜 접은 컴팩트한 형태로, 4방향키 및 결정키를 사용하면서 횡형상태의 표시부를 보고 비디오게임 등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횡형상태에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쥘 때는, 왼쪽으로 4방향키 및 결정키가 배치되므로, 한 손으로 이들 키를 조작할 수 없어 양손으로 조작해야 한다. 그리고 횡형상태에서는 정보입력버튼을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횡형상태의 표시부를 보면서 사용에 익숙한 종형상태와 동일한 정보입력버튼 등의 배열로 조작부를 용이하게 조작함과 더불어, 작게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를 횡형상태로 하여 비디오게임 등의 조작을 쾌적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에서는, 표면에 표시부가 배치된 제 1 케이싱과, 표면에 조작부를 갖는 제 2 케이싱과,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개폐축을 중심으로 폴더개폐 자유롭게 연결함과 더불어, 이 개폐축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축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을 표리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1 케이싱에 지지기구를 개재하고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화 시나 메일 송수신 시 등 주 기능사용 시에는, 통상 표시부를 종형상태로 하여 사용한다. 한편, 지상디지털TV방송 시청 시나 영문으로 메일을 송수신할 때 등은, 표시부를 횡형상태로 하여 표시부에 횡형화상이 크게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에 익숙한 종형상태와 같은 정보입력버튼 등의 배열상태인 조작부로 키 입력하면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할 때는, 사용자가 제 1 케이싱에 지지된 표시부를 전환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 전환조작 시 표시부는, 지지기구에 의해 안내지지를 받으면서 전환된다. 또한, 제 1 케이싱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표리반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횡형상태의 표시부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표리반전 시킨 상태에서 접음으로써, 컴팩트한 형태로 표시부가 횡형상태가 되어, 표시부로 덮이지 않은 조작부에서 한 손으로 키 입력하면서 횡형상태의 표시부를 보고 비디오게임 등을 행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표시부의 전환조작 시에 이 표시부의 하단측 코너부가 상기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전환을 안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는 지지기구에 의하여, 그 하단측 코너부가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를 받으면서 전환된다. 이로써, 표시부가 힌지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므로, 종래와 같이 표시부 하단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한 반경을 따라 둥글리지 않아도 표시부가 힌지부나 제 1 케이싱의 하단 팽출부 등에 충돌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형상태 및 횡형상태 어느 쪽에서도 제 1 케이싱을 힌지부에 접촉시키는 일없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케이싱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의 좌우방향 중앙부가 각각 제 1 케이싱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즉, 종래와 같이 표시부 중앙부에 이 표시부를 제 1 케이싱에 지지시키는 지지축을 배치한 경우, 표시부가 횡형상태일 때 좌우방향 중앙부를 제 1 케이싱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시키고자 하면, 종형상태에서의 표시부 상단측도 하단측과 마찬가지로 코너부를 둥글린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어 표시부 전체 크기는 작아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지지기구에 의해, 표시부는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할 때의 하단측 코너부가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되므로, 종래와 같이 지지축을 중앙부에 배치할 필요는 없다. 이로써, 종형상태의 표시부 상단측을 낮게 하는 일없이, 종형상태만이 아닌 횡형상태에서도 표시부가 제 1 케이싱에 대하여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표리반전 시켜도 결과적으로 조작부에 대하여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제 4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캠기구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캠기구에 의해 표시부는 확실하게 하단측 코너부가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표시부의 하단측 코너부가 직선형의 궤적을 갖고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의 전환을 안내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표시부는 종형상태에서의 하단부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는 캠기구에 의하여 그 하단측 코너부가 직선형의 궤적을 갖고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되면서 전환되므로, 표시부의 하단부 형상을 직선형으로 형성해도, 표시부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전환 시나 표리반전 시에 표시부가 힌지부 등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제 1 케이싱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며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선형의 좌우방향 가이드 홈과, 제 1 케이싱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상하방향 가이드 홈과, 표시부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1 가이드 핀과, 표시부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 핀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캠기구에 의하여, 표시부의 제 1 가이드핀이 좌우방향 가이드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표시부의 제 2 가이드핀이 상하방향 가이드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캠기구에 의한 이동 규제에 의하여 표시부는, 그 하단측 코너부가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된다.
제 7 발명은 제 1 내지 제 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힌지부 근방에 정보입력버튼이 배치되며, 이 힌지부에서 먼 쪽에 기능버튼이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표리반전 시키지 않는 상태의 표시부를 횡형상태로 하고 표시부에 횡형화상이 크게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에 익숙한 종형상태와 같은 정보입력버튼 및 기능버튼의 배열상태인 조작부에서 키 입력하면서 사용한다. 횡형상태의 표시부가 노출되도록 표리반전 시킨 상태에서 제 1 케이싱을 접어 컴팩트한 형태로 하고, 표시부로 덮이지 않은 기능버튼을 사용하여 비디오게임이나 지상디지털TV방송 시청 등이 이루어진다.
제 8 또는 제 9 발명은 제 1 내지 제 7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비해도 되고 유기EL디스플레이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원가, 화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디스플레이가 선택된다.
제 10 발명은 제 1 내지 제 9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폴더식 휴대기기의 일례로서 휴대전화기를 들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컴팩트하게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를 횡형상태로 하면서 비디오게임을 하거나, 여러 가지 배치 응용으로 휴대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식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힌지부에서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개폐축을 중심으로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을 표리반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표시부를 제 1 케이싱에 지지기구를 개재하고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로써, 횡형상태의 표시부를 보면서 사용에 익숙한 종형상태와 같은 정보입력버튼 등의 배열로 조작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작게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를 횡형상태로 하여 한 손으로도 비디오게임 등의 조작을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표시부를 제 1 케이싱에 지지기구를 개재하고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여, 표시부의 전환조작 시에 이 표시부의 하단측 코너부가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한다. 이로써, 표시부 하단을 크게 둥글릴 필요가 없어 전체 크기를 억제하면서 표시부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또 표시부를 간단히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하거나 표리반전 시켜도 힌지부에 접촉하지 않아, 횡형상태에서도 표시부를 보면서 사용에 익숙한 종형상태와 같은 정보입력버튼 등의 배열로 조작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지지기구에 의해 간섭을 방지하면서 표시부 전환을 실행하여,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에서의 표시부 좌우방향 중앙부를 각각 제 1 케이싱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시킨다. 이로써, 화면을 되도록 크게 하면서도 종형상태만이 아닌 횡형상태에서도 표시부를 전체 좌우방향 중앙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보기에 좋으며 화면이 보기 쉽고 좌우 균형이 좋아 한 손에 쥐기 쉬우며 조작성 좋은 폴더식 휴대전화를 얻을 수 있다.
또, 지지기구를 캠기구로 구성하므로, 하단측 코너부가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표시부를 확실하게 안내하여, 접촉을 방지하면서 표시부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종형상태의 하단부가 직선형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캠기구에 의해 그 하단측 코너부가 직선형의 궤적을 갖고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표시부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전환을 안내 지지한다. 이로써, 화면을 표시부 하단부 근방까지 확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화면이 크고 조작성 좋은 폴더식 휴대전화를 얻을 수 있다.
또, 표시부의 제 1 가이드 핀을 좌우방향 가이드홈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동시에, 표시부의 제 2 가이드 핀을 상하방향 가이드 홈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표시부를 그 하단측 코너부가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접촉을 방지하면서 용이하며 확실하게 표시부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힌지부 근방에 정보입력버튼을 배치하고, 힌지부에서 먼 쪽에 기능버튼을 배치하여, 횡형상태의 표시부가 노출되도록 반전시킨 상태에서 제 1 케이싱을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횡형상태의 표시부를 보면서 표시부로 덮이지 않은 기능버튼을 사용하여 컴팩트한 형태로 쾌적하게 비디오게임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또 표시부로서 액정디스플레이를 배치함으로써, 박형이며 저가의 폴더식 휴대기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시부로서 유기EL디스플레이를 배치함으로써, 저전력이며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어, 시인성, 응답속도, 수명, 소비전력 면에서 우수한 폴더식 휴대기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폴더식 휴대기기를 휴대전화기로 함으로써, 여러 가지 표시부의 배치를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 가능한 상품가치가 높은 휴대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폴더를 접은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폴더를 접은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폴더를 접은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폴더를 펼친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이며, 또 표면 쪽을 향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폴더를 펼친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이며, 또 이면 쪽을 향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폴더를 펼친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이며, 또 표면 쪽을 향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폴더를 펼친 상태에서 표면 쪽을 향한 액정표시부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하는 도중의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폴더를 펼친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횡형상태이며, 또 이면 쪽을 향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폴더를 접은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횡형상태이며, 또 표면 쪽을 향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폴더를 접은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이며, 또 표면 쪽을 향한 폴더식 휴대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형상태의 캠 기구 및 그 주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전환 과정의 캠 기구 및 그 주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횡형상태의 캠 기구 및 그 주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캠 기구를 사선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캠 기구를 사선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1 케이싱 하단측 코너부의 궤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도 16 상당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폴더식 휴대전화기(폴더식 휴대기기)
2 : 액정표시부(표시부) 2b : 하단측 코너부
3 : 제 1 케이싱 4 : 조작부
5 : 제 2 케이싱 6 : 힌지부
10 : 캠 기구 12 : 좌우방향 가이드 홈
13 : 제 1 가이드 핀 14 : 상하방향 가이드 홈
15 : 제 2 가이드 핀 31 : 정보입력버튼
32 : 기능버튼 X : 개폐축
Y : 수직축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폴더식 휴대기기로서의 폴더식 휴대전화기(1)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폴더식 휴대전화기(1)는, 펼쳤을 때 표면이 되는 쪽에 표시부로서의 액정표시부(2)가 배치된 제 1 케이싱(3)과, 마찬가지로 펼쳤을 때 표면이 되는 쪽에 조작부(4)를 갖는 제 2 케이싱(5)을 구비한다. 이들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은, 힌지부(6)에 의해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된다. 이로써, 폴더식 휴대전화기(1)는, 도 1 내지 도 3,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폴더를 접은 상태 또는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폴더를 펼친 상태의 2가지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 2 케이싱(5)의 조작부(4)에는, 힌지부(6) 쪽에 숫자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정보입력버튼(31)과, 힌지부(6)에서 먼 쪽에 폴더식 휴대전화기(1)의 기능을 선택하거나, 비디오게임 시 방향키(십자키) 및 결정키가 되기도 하는 기능버튼(32)이 배치된다. 이 정보입력버튼(31)은, 폴더식 휴대전화기(1) 전체를 종형으로 쥐었을 때 키 입력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또 그 표면에 표시가 부착된다. 이 정보입력버튼(31) 및 기능버튼(32)을 조작함으로써, 폴더식 휴대전화기(1)의 다수 기능이 이용되도록 구성된다. 제 2 케이싱(5)의 상기 조작부(4) 하방에는 회화 용 마이크부(7)가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싱(5)의 힌지부(6) 쪽 좌우 양단에는, 힌지부(6)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팽출부(5a)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팽출부(5a) 내에 개폐축(X)이 배치되며, 개폐축(X)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이 폴더개폐 자유롭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케이싱(3)은, 그 하단부에 상기 한 쌍의 팽출부(5a) 사이에 개재하며 상기 힌지부(6)의 개폐축(X)이 삽입되는 지지부(3a)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3a)에는, 개폐축(X)에 수직인 수직축(Y)이 배치된다. 제 1 케이싱(3)은, 지지부(3a)에 수직축(Y)을 중심으로 표리반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케이싱 본체(3b)를 구비한다. 이들 지지부(3a), 팽출부(5a), 개폐축(X), 및 수직축(Y) 등으로 힌지부(6)가 형성된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으나, 개폐축(X)은 금속부재로 형성되며, 한쪽 팽출부(5a)의 개폐축(X) 내부에 탄성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제 2 케이싱(5)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제 1 케이싱(3)을 유지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다른 쪽 팽출부(5a)의 개폐축(X) 내부에는 전기케이블(21)(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을 삽입하기 위한 케이블 삽입용 관통공(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수직축(Y)도 금속부재로 형성되며, 그 축 부재(9)가 도면상에 표시된다. 이 축 부재(9) 내부에도 케이블 삽입용 관통공(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수직축(Y)에 의하여, 액정표시부(2)를 소정 각도 내로만 표리반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개폐축(X) 및 수직축(Y)의 케이블 삽입용 관통공에 전기케이블(21)이 삽입되어,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이 전기적으로 접 속된다.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부(2)는 종형상태의 하단부가 직선형으로 형성된 사각형의 것이며, 액정표시부(2) 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사각형상의 액정디스플레이(2a)가 배치된다.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일 때의 상단측에 회화용 스피커부(8)가 배치된다. 액정표시부(2)의 이면 쪽(배면 쪽)에는 시간 등이 표시되는 배면액정(11)이 배치되며, 폴더를 접은 상태에서 시간 등이 보이도록 구성된다. 액정표시부(2)의 각 코너부는 하단측 코너부(2b)를 포함하여, 디자인면 또는 안전면의 관점 등에서 둥근 모깎기 처리된다.
본 실시형태의 폴더식 휴대전화기(1)에서, 액정표시부(2)가 표면측을 향한 상태에서는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모두에 있어서, 사용자는 액정표시부(2)의 액정디스플레이(2a)를 보면서 같은 종형상태 배치인 조작부(4)의 정보입력버튼(31) 및 기능버튼(32)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싱(3) 표면 쪽(액정표시부(2) 쪽)의 왼쪽 위에는 캠용 개구(3d)가 개구된다. 이 캠용 개구(3d) 안쪽에는,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로서의 캠 기구(10)가 배치된다. 도 14 및 도 15에 확대시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캠 기구(10)는, 제 1 케이싱(3)에 배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이어지고 또 중간이 볼록형상으로 만곡된 곡선형의 좌우방향 가이드 홈(12)과, 제 1 케이싱(3)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직선형의 상하방향 가이드 홈(14)과, 액정표시부(2)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 는 제 1 가이드 핀(13)과, 액정표시부(2)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 핀(13)을 구비한다.
즉,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12)과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은, 제 1 케이싱에 장착되는 금속제의 가이드플레이트(16)에 형성된다.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은, 중간이 볼록형상으로 만곡된 곡선형 개구로 구성되어 폴더식 휴대전화기(1)를 표면에서 보았을 때 그 중심부가 제 1 케이싱(3)의 좌측에 오프셋 배치된다.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은, 좌우방향 가이드 홈(12) 중간의 볼록형상 최상부 위쪽에 수직으로 형성된 직선형 개구의 주연부로 구성된다. 양 가이드 홈(12, 14)의 액정표시부(2) 반대쪽 면의 개구둘레에는, 그 밖의 부분보다 낮아진 단차부(12a, 14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6)는, 제 1 케이싱(3)의 두께방향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그 관통공(16a)에 비스(도시 생략)를 삽입시켜 체결하는 등으로 제 1 케이싱 본체(3b)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지지축에 상당하는 제 2 가이드 핀(15)은, 폴더식 휴대전화기(1)의 표면에서 보아 제 1 케이싱(3) 왼쪽 위에 위치하도록 오프셋 배치된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부(2)의 배면에는 금속제의 링크부재(18)가 장착된다. 이 링크부재(18)는, 액정표시부(2)의 배면에 체결 또는 위치결정을 위한 관통공(18a)이 형성된 판상의 설치부(18b)와, 이 설치부(18b)로부터 측면에서 보아 L자형으로 연속되는 선단부(18c)를 갖는다. 상기 제 1 가이드 핀(13)은, 링크부재(18)의 일단 쪽, 즉 설치부(18b) 선단에 제 1 케이싱(3) 쪽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이드핀(15)은, 상기 링크부재(18)의 타단 쪽, 즉 선 단부(18c) 단부에 제 1 케이싱(3) 쪽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이들, 가이드 핀(13, 15)은, 선단이 가이드 홈(12, 14)에 삽입될 정도까지 끝이 가늘게 성형되며, 이 상태에서 가이드 홈(12, 14)에 삽입된 후, 선단을 코킹처리 함으로써, 그 선단에 환상부(13a, 15a)가 형성된다. 이 환상부(13a, 15a)가 상기 단차부(12a, 14a) 위를 각각 미끄럼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가이드 핀(13, 15)이 가이드 홈(12, 14)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 액정표시부(2)가 제 1 케이싱(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6) 아래쪽에는, 스프링 고정 핀(19)이 액정표시부(2) 쪽에 수직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이 스프링 고정 핀(19)에는, 탄성부재로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이 고정된다.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의 양 단부(20a, 20b)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20a)이 상기 제 1 가이드 핀(13)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20b)이 스프링 고정 핀(19)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로써,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은 스프링 고정 핀(19)을 중심으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탄성력에 의해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되는 것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또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되는 것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핀(13)이 스프링 고정 핀(19)에 가장 가까워졌을 때(제 2 가이드 핀(15)이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의 상단에 위치했을 때)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은 최대 휨각이 되고, 그로부터 제 1 가이드 핀(13)이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어긋남으로써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되도록 탄성을 주게 구성된다.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12)과 상하방향 가이드 홈(14), 제 1 가이드 핀(13), 제 2 가이드 핀(15), 및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은, 유닛조립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유닛 조립된 캠 기구(10)를 제 1 케이싱(3)에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 캠 기구(10)의 가동부인 가이드 핀(13, 15) 및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은, 상기 제 1 케이싱의 캠용 개구(3d) 내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으나, 상기 전기케이블(21)은 상기 캠용 개구(3d)를 통과한 일단이 액정디스플레이(2a)의 배면 기판에 접속되고, 수직축(Y) 및 수평축(X)을 통과한 타단이 제 2 케이싱(5) 쪽 기판에 접속된다.
-폴더식 휴대전화기의 사용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기(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더식 휴대전화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 또는 대기상태 등일 때는,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이 폐쇄되어 폴더가 접힌 상태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을 펼치면 액정표시부(2)와 조작부(4)가 나타난다. 통상 통화 시나 메일 송수신 시 등에는,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로 하고 조작부(4)에서 키 입력하면서 사용한다.
한편, 지상디지털TV 방송의 시청이나 영문으로 메일을 작성하거나 읽을 때 등 횡형 화상을 보고자 할 때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정표시부(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한다.
이 전환을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액정표시부(2)를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표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단측 코너부(2b)를 도 7에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더식 휴대전화기(1)의 표면 쪽에서 보아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의 하단에 있던 제 2 가이드 핀(15)이 상단으로 이동하고,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의 우단에 있던 제 1 가이드 핀(13)이 중앙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의 최대 휨각을 초과하면, 그 탄성력에 의해 액정표시부(2)가 보조를 받으며 횡형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더식 휴대전화기(1)의 표면 쪽에서 보아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의 상단에 있던 제 2 가이드 핀(15)이 하단으로 이동하고,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의 중앙에 있던 제 1 가이드 핀(13)이 좌단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캠 기구(10)에 의하여, 액정표시부(2)의 제 1 가이드 핀(13)이 좌우방향 가이드 홈(12) 내를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액정표시부(2)의 제 2 가이드 핀(15)이 상하방향 가이드 홈(14) 내를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16에, 하단측 코너부(2b)의 정점(C1)과 제 2 가이드 핀(15)을 잇는 선상의 점(C2)이 캠 기구(10)에 의한 이동규제에 따라 그린 궤적을 나타낸다. 이 때, 하단측 코너부(2b)의 정점(C1)이 힌지부(6) 영역에 침입하는 궤적(L1)이 그려지나, 실제로 하단측 코너부(2b)는 둥근 면깎기 처리되므로, 그 둥근 면깎기 처리된 부분의 전환 시 최하단부는 힌지부(6)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S)을 유지한 직선형의 궤적(L2)을 갖고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2)가 이 궤적(L2) 보다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으므로, 종래와 같이 액정표시부(2) 하단을 그 지지축을 중심으로 한 반경을 따라 둥글리지 않아도, 액정표시부(2)가 힌지부(6)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도 6에 나타낸 횡형상태에서도, 상기 액정표시부(2)의 좌우방향 중앙부는 제 1 케이싱(3)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그리고, 액정디스플레이(2a)에 횡형 화상이 크게 표시되도록 설정하고, 조작부(4)에서 키 입력하면서 TV 퀴즈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TV쇼핑, 은행송금 등을 TV를 통해 이용하거나 한다.
또, 횡형상태에서 종형상태로 돌아올 때는, 상기와 반대로 액정표시부(2) 우측의 상기 하단측 코너부(2b)를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의 탄성력에 저항하도록 표면에서 보아 역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이 최대 휨각을 초과하면, 그 탄성력에 의해 액정표시부(2)가 보조를 받으며 도 4의 종형상태로 돌아온다.
다음으로, 액정표시부(2)를 표리반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3)을 펼친 상태의 액정표시부(2)를 수직축(Y)(축 부재(9))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표리 반전시킨다(도 5에 도시).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3)을 개폐축(X)을 중심으로 접는다.
이 상태에서 통상의 TV 수신기능을 이용하거나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사용하거나 한다.
다른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우선, 도 6의 액정표시부(2)가 표면 쪽이 고, 또 횡형상태인 것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축(Y)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표리 반전시킨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축(X)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3)을 접는다. 그러면, 기능버튼(32)이 노출된 상태에서 횡형상태의 액정디스플레이(2a)를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횡형화상을 보면서 기능버튼(32)을 사용하여, 지상디지털TV 방송의 시청에 있어서 간단한 입력을 하거나 영문으로 메일을 읽거나 할 수 있다. 특히, 횡형화면을 보면서 비디오게임을 할 경우에는, 매우 컴팩트한 형태로 더욱이 한 손으로 기능버튼(32)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사용 후에는, 제 1 케이싱(3)을 펼쳐 도 8의 상태로 하고, 수직축(Y)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3)을 회전시키고 표리 반전시켜 도 6의 상태로 하고,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로 되돌려 도 4의 상태로 한 후,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을 접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대기상태로 한다. 여기서, 도 8의 상태에서 먼저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로 되돌려 도 5의 상태로 한 후, 수직축(Y)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3)을 회전시키고 표리 반전시켜 도 4의 상태로 해도 된다. 어느 경우이건, 캠 기구(10)의 작용에 의하여 액정표시부(2)의 하단측 코너부(2b)가 힌지부(6)를 따라 이동하므로, 액정표시부(2)의 수직축(Y)을 중심으로 회전시켜도 액정표시부(2)가 팽출부(5a)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실시형태의 효과-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힌지부(6)에서 제 1 케이싱(3)과 제 2 케이싱(5)을 개폐축(X)을 중심으로 폴더개폐 자유롭게 연결 하고, 수직축(Y)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3)을 표리반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액정표시부(2)를 제 1 케이싱(3)에 캠 기구(10)를 통하여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로써, 횡형상태의 액정표시부(2) 액정디스플레이(2a)를 보면서 사용에 익숙한 종형상태와 같은 정보입력버튼(31) 등의 배열로 용이하게 조작부(4)를 조작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작게 접은 상태에서 액정표시부(2)를 횡형상태로 하여 비디오게임 등의 조작을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액정표시부(2)를 제 1 케이싱(3)에 캠 기구(10)를 통하여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액정표시부(2)의 전환조작 시에 이 액정표시부(2)의 하단측 코너부(2b)가 힌지부(6)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2)의 하단을 크게 둥글릴 필요가 없어 전체 크기를 억제하면서 액정표시부(2)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또 액정표시부(2)를 간단히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하거나, 표리 반전시켜도 힌지부(6)에 접촉하지 않아, 횡형상태에서도 액정표시부(2)를 보면서 사용에 익숙한 종형상태와 같은 정보입력버튼(31) 등의 배열로 조작부(4)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캠 기구(10)에 의하여 접촉을 방지하면서 액정표시부(2)의 전환조작을 행하여,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의 액정표시부(2) 좌우방향 중앙부를 각각 제 1 케이싱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시킨다. 이로써, 액정화면을 가능한 한 크게 하면서도, 종형상태에서도 횡형상태에서도 액정표시부(2) 전체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외관이 좋으면서 액정화면이 보기 쉽고 좌우 균형이 좋으므로, 한 손으로도 쥐기 편하여 조작성 좋은 폴더식 휴대전화 기(1)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기구를 캠 기구(10)로 구성하므로, 하단측 코너부(2b)가 힌지부(6)를 따라 이동하도록 액정표시부(2)를 확실하게 안내하여, 접촉을 방지하면서 액정표시부(2)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에서의 하단부가 직선형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캠 기구(10)에 의해 그 하단측 코너부(2b)가 직선형의 궤적(L2)을 갖고 힌지부(6)를 따라 이동하도록 액정표시부(2)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의 전환이 안내 지지된다. 이로써, 액정화면을 액정표시부(2) 종형상태의 하단부 근방까지 확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화면이 크고 조작성 좋은 폴더식 휴대전화기(1)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부(2)의 제 1 가이드 핀(13)을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동시에, 액정표시부(2)의 제 2 가이드 핀(15)을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액정표시부를, 그 하단측 코너부(2b)가 힌지부(6)를 따라 이동하도록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접촉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고 또 확실하게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의 힌지부(6) 근방에 정보입력버튼(31)을 배치하고, 힌지부(6)에서 먼 쪽에 기능버튼(32)을 배치하여, 횡형상태의 액정표시부(2)가 노출되도록 반전시킨 상태에서 제 1 케이싱(3)을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횡형상태의 액정표시부(2)를 보면서 액정표시부(2)로 덮이지 않은 기능버튼(32)을 사용하 여 컴팩트한 형태로 쾌적하게 비디오게임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또, 표시부로서 액정디스플레이(2a)를 배치함으로써 박형이며 저가의 폴더식 휴대전화기(1)가 얻어진다.
그리고, 폴더식 휴대기기를 폴더식 휴대전화기로 함으로써, 여러 가지 표시부의 배치를 응용하여 사용 가능한 상품 가치가 높은 폴더식 휴대전화기(1)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캠 기구(10)에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되도록 탄성력을 주는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을 배치하고, 비틀림 코일스프링(20)에 의해 전환조작을 보조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한 손만으로 원터치 조작하여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틀림 코일스프링(20)을 간단하며 쉬이 고장나지 않는, 일단이 제 1 가이드 핀(13)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1 케이싱(3)의 스프링 고정 핀(19)에 고정된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한다. 이로써 저가이며 원활한 캠 기구(10)가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캠 기구(10)를 유닛 조립하여 정밀도 높게 제 1 가이드 핀(13)과 제 2 가이드 핀(15)을 각 가이드 홈(12, 14) 내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캠 기구(10)의 설치가 용이해짐과 더불어, 캠 기구(10)를 금속부재로 구성함으로써 그 움직임이 원활해지며 또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좌우방향 가이드 홈(12) 및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이라도 된다. 즉,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은 직선형이 아닌 만곡된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도 둥근 면깎기 처리된 하단측 코너부(2b)의 최하단부는, 힌지부(6)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S)을 유지한 직선형의 궤적(L2)을 갖고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캠 기구(10)에 의해 액정표시부(2)를, 그 하단측 코너부(2b)가 힌지부(6)를 따른 직선형 궤적(L2)을 갖고 이동하도록 안내 지지되나, 곡선적인 궤적을 갖고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의 형상으로 액정표시부(2)의 하단측 코너부(2b) 궤적(L2)을 조정하면 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3)의 하단부에서 힌지부(6) 사이와의 팽출부에 카메라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지며, 이 경우에도 팽출부에 액정표시부(2)의 하단측 코너부(2b)가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 가이드 홈(12)을 1개만 배치하였으나 2개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의 상방에 더욱 경사가 가파른 중간 볼록형의 제 2 좌우방향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이 제 2 좌우방향 가이드 홈 내에 링크부재(18)에 배치한 제 2의 제 1 가이드 핀을 이동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낸 점(C2)이 그린 궤적상에 제 2 좌우방향 가이드 홈을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액정표시부(2)를 더욱 원활하게 전환조작 가능하며 또 액정표시부(2)를 제 1 케이싱(3)으로부터 떨어지게 하고자 하는 힘에 대해서도 대항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12)과 상하방향 가이드 홈(14), 제 1 가이드 핀(13), 및 제 2 가이드 핀(15)을 유닛 조립하였으나, 유닛 조립하지 않아도 좌우방향 가이드 홈(12)과 상하방향 가이드 홈(14)을 제 1 케이싱(3)의 제 1 케이싱 본체(3b)에 일체로 구성시키고, 제 1 가이드 핀(13)과 제 2 가이드 핀(15)을 액정표시부(2) 배면에 일체로 구성시켜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틀림 코일스프링(20)에 의하여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전환할 때도 탄성을 주도록 배치하였으나,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될 때만을 우선하여 탄성을 주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캠 기구(10)는, 액정표시부(2)를 표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전환시켰으나 역시계방향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부(2)의 종형상태 및 횡형상태에서의 좌우방향 중앙부를 제 1 케이싱(3)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시켰으나 좌우 어느 한쪽으로 오프셋 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기구를 캠 기구(10)로 구성시켰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기구는, 액정표시부(2)의 전환조작 시 액정표시부(2)의 하단측 코너부(2b)가 힌지부(6)를 따라 이동하도록 액정표시부(2)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의 전환을 안내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액정표시부(2)는 액정디스플레이(2a)를 갖는 것으로 했으나, 유기EL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유기EL디스플레이는 저 전력으 로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어, 시인성, 응답속도, 수명, 소비전력 면에서 우수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폴더식 휴대기기를 폴더식 휴대전화기로 하였으나 PHS, PDA, PC, 전자사전, 전자계산기 등의 폴더식 휴대기기라도 된다. 요컨대,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개폐축을 중심으로 폴더개폐 자유롭게 연결함과 더불어, 이 개폐축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축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을 표리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구비한 폴더식 휴대기기이면 된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부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갖는 폴더식 휴대전화기 등의 폴더식 휴대기기에 대하여 유용하다.

Claims (10)

  1. 표면에 표시부가 배치된 제 1 케이싱과,
    표면에 조작부를 갖는 제 2 케이싱과,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개폐축을 중심으로 폴더개폐 자유롭게 연결함과 더불어, 이 개폐축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축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을 표리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1 케이싱에 지지기구를 개재하고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전환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표시부의 전환조작 시에 이 표시부의 하단측 코너부가 상기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전환을 안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의 좌우방향 중앙부가 각각 제 1 케이싱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캠기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표시부의 하단측 코너부가 직선형의 궤적을 갖고 힌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의 전환을 안내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표시부는 종형상태에서의 하단부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제 1 케이싱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며 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선형의 좌우방향 가이드 홈과, 제 1 케이싱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상하방향 가이드 홈과, 표시부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1 가이드 핀과, 표시부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힌지부 근방에 정보입력버튼이 배치되며, 이 힌지부에 서 먼 쪽에 기능버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유기EL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10. 청구항 2 기재의 폴더식 휴대기기는 휴대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기기.
KR1020087015327A 2006-01-13 2006-12-25 폴더식 휴대기기 KR100993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6498A JP4227994B2 (ja) 2006-01-13 2006-01-13 折畳み式携帯機器
JPJP-P-2006-00006498 2006-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228A true KR20080077228A (ko) 2008-08-21
KR100993095B1 KR100993095B1 (ko) 2010-11-08

Family

ID=3825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27A KR100993095B1 (ko) 2006-01-13 2006-12-25 폴더식 휴대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00296B2 (ko)
EP (1) EP1973308B1 (ko)
JP (1) JP4227994B2 (ko)
KR (1) KR100993095B1 (ko)
CN (1) CN101346975B (ko)
HK (1) HK1124708A1 (ko)
WO (1) WO2007080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8287B2 (ja) * 2007-03-22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端末
JP5263154B2 (ja) * 2007-05-30 2013-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8159352B2 (en) 2007-09-11 2012-04-17 Colgate-Palmolive Company Personal care implement having a display
JP5221108B2 (ja) * 2007-11-16 2013-06-26 株式会社山本精密 スライド回転取付ユニット及び携帯電話機
US20090256861A1 (en) * 2007-12-31 2009-10-15 Motorola, In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Orientation of Information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Device
CN102137575B (zh) * 2010-01-26 2013-09-11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式移动装置
JP5244138B2 (ja) * 2010-01-28 2013-07-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CN102783260B (zh) * 2010-03-25 2016-02-17 三菱电机株式会社 安装结构
CN102255986B (zh) * 2010-05-20 2014-04-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JP5645059B2 (ja) * 2010-07-02 2014-12-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2060548A (ja) * 2010-09-13 2012-03-22 Fujitsu Ltd 端末装置及びチルト機構
KR101767212B1 (ko) * 2011-01-18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기기의 경사 각도 전환이 가능한 힌지 조립체
CN102858117A (zh) * 2011-06-30 2013-01-0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机构
JP6799545B2 (ja) * 2016-10-26 2020-12-16 シー アンド ピ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用電子映像拡大装置
US10935181B2 (en) * 2018-05-14 2021-03-02 Compal Electronics, Inc. Stand device
TWI727787B (zh) * 2019-05-23 2021-05-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滑轉機制的電子裝置
CN112198928B (zh) * 2020-09-30 2023-05-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2198927B (zh) * 2020-09-30 2023-02-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2021B2 (ja) * 1994-08-22 2002-09-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
JPH08317027A (ja) * 1995-05-22 1996-11-29 Sony Corp 携帯型無線電話機
JP2000020166A (ja) * 1998-06-30 2000-01-21 Nikko Ind Corp 表示部の回転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1156893A (ja) 1999-11-29 2001-06-08 Nec Saitama Ltd 通信機器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BR0105094A (pt) 2000-03-14 2002-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ssistente pessoal digital/ dispositivo de combinação telefônica
US6486853B2 (en) * 2000-05-18 2002-1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hip antenna, radio communications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me
JP2002118633A (ja) 2000-10-06 2002-04-19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2141984A (ja) * 2000-11-01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無線機器
JP2003239943A (ja) 2002-02-18 2003-08-27 Strawberry Corporation 携帯電話,モバイル等の電子機器並びにヒンジ装置
JP2003309756A (ja) 2002-04-16 2003-10-31 Fuji Photo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付き携帯電話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2004064716A (ja) 2002-06-03 2004-02-26 Toya Kensetsu Kogyo:Kk 携帯用電話機
US20050091431A1 (en) 2003-10-23 2005-04-28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631670B1 (ko) * 2003-12-0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4231804B2 (ja) * 2004-02-27 2009-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
JP4384059B2 (ja) * 2005-01-31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3308A1 (en) 2008-09-24
US20090104942A1 (en) 2009-04-23
CN101346975A (zh) 2009-01-14
US8200296B2 (en) 2012-06-12
CN101346975B (zh) 2012-07-25
HK1124708A1 (en) 2009-07-17
JP4227994B2 (ja) 2009-02-18
EP1973308A4 (en) 2009-12-16
JP2007189541A (ja) 2007-07-26
KR100993095B1 (ko) 2010-11-08
WO2007080775A1 (ja) 2007-07-19
EP1973308B1 (en)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095B1 (ko) 폴더식 휴대기기
KR10070965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EP197623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63008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898606B1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KR100630024B1 (ko) 회전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US7448872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splay unit cradled on a slant
KR100993065B1 (ko) 폴더식 휴대단말
EP172032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KR100893976B1 (ko) 폴더식 휴대통신기기
US810801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ual sliding flip hinge assembly
JP4783847B2 (ja) 携帯端末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US20030155216A1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 terminal
JP4228029B2 (ja) 折畳み式携帯機器
KR100883452B1 (ko) 멀티 모드 구조
KR100883451B1 (ko) 멀티 모드 구조
WO2007129470A1 (ja) 携帯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