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298A -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298A
KR20080075298A KR1020070014261A KR20070014261A KR20080075298A KR 20080075298 A KR20080075298 A KR 20080075298A KR 1020070014261 A KR1020070014261 A KR 1020070014261A KR 20070014261 A KR20070014261 A KR 20070014261A KR 20080075298 A KR20080075298 A KR 2008007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usic
unit
score
displa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호
Original Assignee
(주)티원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원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티원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7001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5298A/ko
Priority to PCT/KR2008/000814 priority patent/WO2008100054A2/en
Publication of KR2008007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악보를 저장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와, 외부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 또는 명령을 표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하기 영상 분배부의 제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악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출하는 사용자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표출될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 분배부를 포함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주 또는 합창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각 연주자 혹은 합창단원에게 효율적으로 악보 및/또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악보, 악보 디스플레이, 영상 분배

Description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Musical Score}
도 1 은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 는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낸 일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 은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 는 메인 서버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5 는 메인 서버의 제어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6 은 자동악보 기능에 따라, 악보가 표출되는 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7 은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 메인 서버
30 : 영상 분배부 40 : 사용자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주자 혹은 합창단원에게 디지털 악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케스트라나 합창단 혹은 교회나 성당의 찬양단은 악보를 보기 위해 보면대를 사용하거나 악보를 직접 손으로 들고 연주하거나 노래를 한다. 또한, 보면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접 손으로 악보를 넘기거나, 발로 페달을 밟음으로써 기계적으로 악보를 넘기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손에 의해 악보를 넘기거나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악보를 넘기는 방식을 사용하다 보니, 지휘자나 연주자 혹은 합창단원이 악보를 넘기느라 연주에 최대한 몰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찬양단원이나 합창단원들이 종이나 파일 형태로 된 악보를 들고 합창을 하거나, 악기 연주시에 보조자가 옆에서 악보를 넘겨주게 되는 경우에는 불편할 뿐 아니라, 청중들에게 보이는 외관도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악보 및 연주 또는 합창에 필요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각 연주자 혹은 합창 단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악보를 저장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와, 외부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 또는 명령을 표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하기 영상 분배부의 제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악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출하는 사용자 디스 플레이부 및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표출될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 분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악보를 저장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와, 외부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 또는 명령을 표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하기 영상 분배부의 제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악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출하는 2 이상의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그룹과, 상기 메인 서버로 부터 승인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 그룹 중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그룹을 제어하는 그룹 서버 및 상기 그룹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그룹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표출될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 분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와, 메인 서버(20)와, 영상 분배부(30),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이루어진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정보 및 각종 명령이 입력된다. 한편, 메인 서버(20)에는 악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영상 분배부(30)는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개별적으로 혹은 그룹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는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를 나타낸 일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2)과,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2)은 메인 서버(20)에 구비된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메인 서버(2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나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03)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 디스플레이부(104)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LCD 모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03)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이나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2)은 메인 서버(20)에 구비된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나 명령을 표출한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03)은 키보드나 마우스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지휘자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03)의 키보드를 통해 특정 정보와 명령을 입력하면, 메인 서버(20)에 구비된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정보 및 명령이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2)에 표출된다.
도 3 은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2)은 화면을 좌우로 분할하여 종이로 만든 악보를 보는 것과 같이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면을 다중 분할하여 여러 개의 악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한 곡에 대한 악보의 여러 페이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모니터 해상도는 SXGA 급의 1280 ppi * 1024 ppi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2)은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손이나 지휘봉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한 영역에 터치스크린용 키보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창(1021)을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가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보나 명령을 입력하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용 키보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창을 터치함으로써, 터치스크린에 키보드가 표출되고, 터치스크린에 표출된 키보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 는 메인 서버(20)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메인 서버(20)는 제어부(201)와, 메모리부(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서버(20)의 제어부(201)는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와, 영상 분배부(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디지털로 저장된 전자악보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2)에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영상 분배부(30)를 제어하여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를 이루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별적으로 혹은 그룹에 따른 악보를 표출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 기능은 상기 메인 서버(20)의 제어부(201)에 펌웨어(firmware) 형태로 구비되거나, 제어 기능 소프트웨어가 메인 서버(20)의 메모리부(202)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메인 서버(20)이 실행시키는 형태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서버(20)의 메모리부(202)에는 연주 및/또는 합창에 필요한 악보 및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본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이 교회의 성가대를 위해 설치되는 경우, 찬송가 전곡의 악보와, 복음성가 전곡의 악보 및 복음 성가 연습을 할 때 성가 대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전문 합창단이 찬송가 전곡을 합창한 것을 들어볼 수 있는 찬송가 전곡 합창곡 데이터와, 전문가들이 합창한 노래를 들은 후 직접 불러보고자 할 때 필요한 찬송가 전곡의 반주만 수록되어 있는 찬송가 전곡 반주와, 복음 성가 전곡 반주 데이터 등은 메인 서버(20)의 메모리부(202)에 저장된다.
또한, 새로운 곡이나 음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려는 경우, USB 등을 통하여 외부 저장 장치와 접속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메인서버(20)의 제어부(201)가 상기 USB 등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곡이나 음성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02)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방법은 상기 USB 뿐 아니라, 랜이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랜이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된 다.
도 5 는 메인 서버(20)의 제어부(201)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메인 서버(20)의 제어부(201)는 로그인 제어부(2011)와, 연습 제어부(2012)와, 연주 제어부(2013)와, 관리 제어부(2014)를 포함한다.
로그인 제어부(2011)는 전자 악보 시스템의 접근 권한을 체크하여 해당 권한이 인증된 사용자에게 접근을 승인하는 기능을 한다. 연습 제어부(2012)는 권한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에 대하여 연습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연주 제어부(2013)는 실제 연주에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주를 하는 경우, 연주 목록을 제공한다. 한편, 관리 제어부(2014)는 악보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로그인 제어부(2011)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로그인 제어부(2011)는 사용자의 권한 인증에 있어서, 사용자 개인 및 사용자의 레벨을 고려하여 권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높은 레벨의 사용자는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고, 그 다음 높은 레벨의 사용자는 시스템의 제한된 기능 및/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레벨의 사용자는 보다 더 제한된 기능 및/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휘자와 연주자(혹은 단원)를 다르게 인증할 수 있다. 즉, 지휘자에 대해서는 시스템의 모든 기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지휘자와 연주자(혹은 단원)에 대해서는 제한된 범위의 접근만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같은 레벨의 사용자라 할지라도 할당된 영역의 기능 및/또는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레벨의 권한을 가진 지휘자라 할지라도, 해당 지휘자에 속해 있는 정보 및/또는 기능에만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시스템이 하나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여러 개의 그룹일 수 있으므로, 데이터 입력시에 각 그룹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같이 입력되면, 식별 정보를 기초로 같은 레벨의 권한을 가진 지휘자라도 자신의 그룹에 해당하는 데이터에만 접근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권한 인증시에 수직적으로는 권한의 레벨에 따라 접근 범위를 제한할 수 있고, 수평적으로는 각 그룹에 상응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게 되므로,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수의 레벨 혹은 다수의 그룹이 독립적으로 본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연습 제어부(2012)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습 제어부는 자동악보 기능, 수동 악보 기능, 메모 기능, 녹음 기능, 사용자 디스플레이 개별 제어 기능 및 악보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먼저, 자동악보 기능은 악보 한 페이지를 연주 혹은 노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출된 악보의 페이지를 변경시켜 주는 기능이다. 즉, 연습 제어부에서는 악보에 명시되어 있는 메트로놈의 수치와 그에 해당하는 음표 및 마디 수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페이지의 연주 혹은 노래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시간에 따라 해당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겨주게 된다. 본 기능은 사용자로부터 자동 악보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 한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은 자동악보 기능에 따라, 악보가 표출되는 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6 은 화면을 2개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2 개로 분할된 화면에서 먼저 1 페이지가 좌측에 위치하고 2 페이지가 우측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2 페이지의 연주가 끝난 후에도 2 페이지는 그대로 우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미 연주가 끝난 좌측 1 페이지가 3 페이지로 변경된다. 또한, 2 페이지 연주를 마치고 3 페이지 연주를 시작하면, 우측 2 페이지 위치에 4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페이지를 변경하게 되면, 연주자 혹은 지휘자는 현재 연주하고 있는 악보의 페이지의 연주를 다 끝낼 때까지 시선을 움직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연주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자동악보 기능은 페이지 당 악보의 정보를 시간으로 계산하고 해당 페이지의 계산된 시간값에 따른 시간이 경과했을 때 해당 페이지의 악보를 교체해 주는 방식을 취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페이지 악보의 시간값은 해당 악보의 마디 수, 표준음표가 분당 실행되는 횟수를 수치로 나타낸 메트로놈 수치, 그리고 박자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연습 제어부(2012)에서, 악보의 시간값은 하기의 수학식 1 및 표 1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07012654481-PAT00001
Figure 112007012654481-PAT00002
수학식 1에서, x=마디수, v=메트로놈 수치의 기준음표값, y=메트로놈 수치값, z=박자수, t=박자의 기준음표값을 나타내며, v 및 t의 기준음표값은 표 1을 기준으로 한다.(즉, t/v값은 기준음표값의 비를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어, 특정 페이지의 악보가 10마디로 구성되고, 메트로놈 수치는
Figure 112007012654481-PAT00003
(즉, v=1.5, y=84)이며, 박자는 6/8박자(즉, z=6, t=0.5)인 경우, 8분음표가 한마디에 6개 들어가고 총마디수가 10마디이므로 8분음표가 60개 진행된다. 이를 기초로 수학식 1에 의해 해당 페이지의 악보시간(연주시간)을 계산하면 약 14.2857초가 된다.
상기 자동 악보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동일한 악보를 연주하는 경우에도 지휘자의 성향에 따라 연주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스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해당 악보의 기준 메트로놈 수치를 조정함으로써 악보시간(연주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준 메트로놈 수치의 배수(1.2배, 1.3배 또는 0.9배, 0.8배 등)를 입력함으로써 연습 제어부(2012)는 입력된 메트로놈 수치에 따라 악보시간을 계산하여 악보를 자동으로 넘겨주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준 시간(기준 메트로놈 수치)의 배수를 숫자로 입력하게 하거나, 연속적인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된 기준시간의 변화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수동악보 기능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악보의 페이지가 넘어가도록 하는 기능이다. 사용자가 수동악보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메인서버의 제어부는 자동악보기능을 정지하고 수동악보 입력신호에 따라 악보의 페이지를 앞 또는 뒤로 넘기게 된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연습시에 특정 페이지를 반복적으로 연습할 때 유용한 기능이다.
한편, 메모 기능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악보에 메모 내용을 기입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2)은 터치스크린 기능뿐 아니라 문자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예를 들어, 지휘자)는 디스플레이 된 악보 일부에 메모를 하고 저장하면, 상기 메모는 메모리부(202)에 저장된 악보 데이터와 일체화되어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 상기 악보를 표출시킴으로써, 미리 메모해 둔 내용까지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만을 삭제하거나 메모를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 내용은 문자 인식 기능을 사용하는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기능은 사용자(예를 들어, 지휘자)가 입력한 메모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입력한 메모에 대해 문자로 인식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하여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로 전송한다.
또한, 녹음 기능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를 메인 서버(10)의 메모리부(202)에 저장하는 기능이다.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외부 음향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연주자 혹은 가창자(歌唱者)가 자신이 연주 혹은 노래한 소리를 듣고 연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디스플레이 개별 제어 기능은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를 이루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사항을 그룹별 혹은 개인별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다. 즉, 지휘자가 특정한 파트 혹은 개인에 대해 전달할 내용이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디스플레이 모듈(102)에 내용을 기재하고, 디스플레이 창에서 전달할 그룹 혹은 개인을 지정하면, 메인서버(20)의 제어부(201)는 지정된 그룹 혹은 개인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지휘자가 기재한 메시지가 표출되도록 제어신호를 영상 분배부(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 분배부(30)는 지정된 그룹 혹은 개인의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에 지휘자가 기재한 메시지가 표출되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지휘자가 소프라노 파트 중 특정 마디에 관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는 경우,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의 디스플레이 모듈(102)에 표시된 악보에 메시지를 기입하고 소프라노 파트를 지정하면, 악보위에 표시된 메시지가 소프라노 파트의 합창단원들의 디스플레이부 장치에 표출된다.
한편, 모든 합창단원들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 지휘자는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04) 혹은 터치스크린의 문자인식 기능, 또는 터치스크린용 키보드 모드를 이용하여 모든 단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에 악보가 표출되지 않고 지휘자의 메시지만이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악보 검색 기능은 메인 서버(20)의 메모리부(202)에 디지털로 저장된 악보들을 검색하는 기능이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키보드 혹은 마우스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디스플레이 모듈(2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키보드 모드에서 검색 창을 활성화 시키고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악보가 표출되도록 한다. 상기 검색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서, 곡의 제목의 전부 또는 일부, 곡의 형식, 박자, 길이 등 다양한 조건에 따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연주 제어부(2013)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주 제어부(2013)는 실제 연주를 하는 경우, 연주에 필요한 목록을 제공한다. 즉, 실제 연주는 몇 개의 곡을 순서대로 연주하게 되므로, 하나의 곡이 끝나고 다음 곡을 검색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미리 연주할 곡들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저장하고, 순서를 부여하여 순서에 따라 악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주 제어부(2013)는 다수의 곡의 악보가 저장된 메인 서버(20)의 메모리부(202)로부터 리스트에 지정된 곡의 순서에 따라 악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시스템을 교회에서 사용하는 경우, 악보 뿐 아니라 성경이나 교독문 광고사항 같은 내용을 표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성경읽기, 찬송가 연주, 교독문, 찬송가 연주 등으로 예배가 진행되는 경우, 악보 뿐 아니라 성경 내용, 교독문 등이 리스트에 정해진 순서대로 사용자용 인터페이스부(10)의 디스플레이 모듈(102) 및/또는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2014)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리 제어부(2014)는 악보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악보 관리 기능은 종이 악보를 디지털 악보로 변환하여 관리하는 기능이다. 즉, 종이 악보가 스캐닝을 거쳐 디지털 이미지 정보로 변환되고, 디지털 이미지 정보가 입력되면, 관리 제어부(2014)는 이미지 정보를 악보 정보로 변환한다.
즉, 디지털 이미지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입력되거나, 랜이나 무선 통신을 통해 입력되면, 메인 서버(20)의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 정보가 디지털 악보 정보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영상 분배부(30)는 대원용 모니터의 수량에 따라서 2~32 포트용 분배기를 사용,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부 혹은 일부는 전동장치에 의해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장치는 서로 연결이 되어 있어서, 한 사람이 전동 장치를 구동시키면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뿐 아니라, 빔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시스템이 교회의 성가대용으로 설치되는 경우, 참석한 성도들이나 피아노 등을 반주하는 반주자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서버(20)이외에도 각 그룹별로 독립적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그룹 서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 은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와, 메인 서버(20)와, 그룹 인터페이스부(50)와, 그룹 서버(60)와, 영상 분배부(30),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이루어진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 에 기재된 실시예는 도 1 에 기재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사용자 디스플레이부(4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몇개의 그룹으로 그룹화했을 때, 각 그룹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그룹 인터페이스부(50)와 그룹 서버(6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체 합창 중에 소프라노 파트의 단원들이 반복적으로 실수를 하는 경우, 지휘자는 파트장에게 소프라노 파트에 대해서만 반복 연습을 할 것을 지시하게 된다. 이 때, 지휘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이용하여 소프라노 그룹에 속하는 그룹 서버에 지휘 권한을 위임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메인 서버(20)의 제어부(201)는 그룹 서버에 할당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그룹 서버(60)에 승인 신호를 입력한다.
승인 신호가 그룹 서버(60)에 입력되면, 승인에 관한 사항이 그룹 인터페이스부(50)에 표출되고, 이후로는 그룹 서버(60)에 할당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그룹 서버(60)의 제어를 받는다. 이때, 나머지 그룹들은 메인 서버(10)의 제어에 따라 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연주 또는 합창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각 연주자 혹은 합창단원에게 효율적으로 악보 및/또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이 악보를 넘길 필요 없이 연주 혹은 노래에 집중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악보를 저장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
    외부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 또는 명령을 표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하기 영상 분배부의 제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악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출하는 사용자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표출될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 분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디지털 악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자 악보 시스템의 접근 권한을 체크하여 해당 권한이 인증된 사용자에게 접근을 승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그인 제어부;
    권한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에 대하여 연습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연습 제어부;
    실제 연주에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주를 하는 경우, 연주 목록을 제공하는 연주 제어부; 및
    악보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관리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제어부는, 접근 권한의 레벨 및 접근하는 그룹에 따라 접근 권한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 제어부는, 악보 한 페이지를 연주 혹은 노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출된 악보의 페이지를 변경시켜 주는 자동 악보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 제어부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악보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수학식]
    Figure 112007012654481-PAT00004
    (상기 수학식에서, x=마디수, v=메트로놈 수치의 기준음표값, y=메트로놈 수치값, z=박자수, t=박자의 기준음표값을 나타내며, t/v값은 기준음표값의 비로 계산됨.)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악보 페이지 변경 명령이 전달되었을 때, 악보의 페이지를 변경시켜 주는 수동 악보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의 페이지를 변경시키는 방법은, 분할된 화면에서 악보를 표출하는 경우, 현재 페이지의 악보의 연주가 끝날 때까지 현재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현재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와 다른 위치에 다음 페이지의 악보를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 제어부는, 현재 표출된 악보에 메모를 하는 경우, 메모와 악보 정 보가 함께 저장 및 표출되거나, 메모와 악보가 분리되어 저장 및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메모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 제어부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입력한 메모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인식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1. 제 3 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녹음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부를 이루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사항을 그룹별 혹은 개인별로 제어하는 사용자 디스플레이 개별 제어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의 메모리부에 디지털로 저장된 악보들을 검색하는 악보 검색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스크린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을 구비한 LCD 모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특정 부위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기능에 의해 키보드 입력 방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보드 모드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는 키보드, 마우스, USB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배부는,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그룹화 하여, 그룹마다 특정 악보와 명령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디스플레이부를 이루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전동 장치에 의해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부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그룹화 된 경우, 각 그룹에 대한 제어 및 악보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그룹 서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21.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악보를 저장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
    외부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메인 서버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정보 또는 명령을 표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하기 영상 분배부의 제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악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출하는 2 이상의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그룹;
    상기 메인 서버로 부터 승인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 그룹 중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그룹을 제어하는 그룹 서버; 및
    상기 그룹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그룹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표출될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 분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KR1020070014261A 2007-02-12 2007-02-12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KR20080075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61A KR20080075298A (ko) 2007-02-12 2007-02-12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PCT/KR2008/000814 WO2008100054A2 (en) 2007-02-12 2008-02-12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musical sc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61A KR20080075298A (ko) 2007-02-12 2007-02-12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298A true KR20080075298A (ko) 2008-08-18

Family

ID=3969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261A KR20080075298A (ko) 2007-02-12 2007-02-12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75298A (ko)
WO (1) WO200810005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698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와이오즈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KR20190091990A (ko) * 2018-01-30 2019-08-07 유영재 반주기와 연결되는 악보영상출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보영상출력방법
KR20210028948A (ko) * 2019-09-05 2021-03-15 이계연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5766B2 (en) 2010-02-25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Electronic display of sheet music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7856B2 (en) * 1996-07-10 2007-11-20 Sitrick David H System and methodology for coordinating musical communication and display
US7098392B2 (en) * 1996-07-10 2006-08-29 Sitrick David H Electronic image visualiz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ologies
JP2004020807A (ja) * 2002-06-14 2004-01-22 T Tone:Kk 電子楽譜の配信システムおよび電子楽譜の表示方法
WO2005062289A1 (ja) * 2003-12-18 2005-07-07 Kashioka, Seiji 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楽譜の表示方法
DE202004000995U1 (de) * 2004-01-22 2004-06-09 Owzar, Seifollah, Dipl.-Ing. Digitales Notenbu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698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와이오즈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KR20190091990A (ko) * 2018-01-30 2019-08-07 유영재 반주기와 연결되는 악보영상출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보영상출력방법
KR20210028948A (ko) * 2019-09-05 2021-03-15 이계연 전자악보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0054A2 (en) 2008-08-21
WO2008100054A3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9298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music score display to meet user&#39;s musical skill
US7098392B2 (en) Electronic image visualiz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ologies
US7332669B2 (en) Acoustic piano with MIDI sensor and selective muting of groups of keys
US62011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tablature notation in digital music scores
US20080065983A1 (en) System and methodology of data communications
KR20080075298A (ko)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US200201575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KR100894866B1 (ko)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피아노 교습과 음파장을 이용한 평가시스템
WO2006011342A1 (ja) 楽音生成装置および楽音生成システム
JP6153255B2 (ja) 歌唱パート決定システム
JP6228473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JP2013024935A (ja) カラオケ装置
JP4565616B2 (ja) グループ対抗歌唱力ランキング機能を有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0155592A (ja) カラオケ装置
JP5537246B2 (ja) 歌唱位置表示システム
JP2005345555A (ja) 採点情報表示機能を有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Dalgarno Creating an expressive performance without being able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JP2015069053A (ja) ストレッチチューニングを考慮して歌唱採点を行うカラオケ装置
JP6144592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Moss George F. Bristow's Praise to God: An Analysis and Historical Commentary
JP5551983B2 (ja) カラオケ演奏制御システム
KR101292415B1 (ko) 기타 교습 시스템
De Koker Collaborative pianists in South Africa: comparative & practice-based perspectives with reference to musical theatre
KR101333163B1 (ko) 재생속도조절이 가능한 음악파일 재생장치 및 방법
Manzo The effects of polyphonic interactive music systems on determining harmonic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