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698A -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 Google Patents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698A
KR20160103698A KR1020150026364A KR20150026364A KR20160103698A KR 20160103698 A KR20160103698 A KR 20160103698A KR 1020150026364 A KR1020150026364 A KR 1020150026364A KR 20150026364 A KR20150026364 A KR 20150026364A KR 20160103698 A KR20160103698 A KR 2016010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ata
unit
scor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911B1 (ko
Inventor
송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오즈
Priority to KR102015002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91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받은 음향을 음향데이터로 변환하는 음향변환부, 상기 음향데이터의 입력시간에 따른 음향 종류를 판단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실행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실행명령에 따른 화면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환경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종류를 판단하고, 인식된 음향 데이터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함으로서 입력되는 음향의 다양성에 따른 해당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E-BOOK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BY INPUT SOUND}
본 발명은 전자책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향에 따라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전자책에 관한 것이다.
전자책(e-Book)은 종이에 인쇄된 도서의 내용을 전자화한 정보(이하, 전자문서라 함)를 사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하여 보여주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읽고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즉, 전자책은 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자문서 등을 사용자가 페이지 단위로 읽을 수 있도록 화면에 렌더링(rendering)하는 가상 수단이다. 이러한 전자책은 최근 인터넷 및 이동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 등에 탑재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전자책 데이터를 관련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구독가능하다.
최근, 컴퓨터 및 인터넷의 보급으로 전자문서는 이제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기존의 책, 노트, 회계장부 등 거의 모든 형태의 종이 문서들이 소프트웨어적인 전자문서로 대체되고 있다. 전자문서는 용이하게 복제될 수 있고, 통신망을 통해 지리적, 시간적 제한없이 매우 빠르게 유통될 수 있으며, 완벽하게 보존될 수 있고, 보관을 위해 큰 물리적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기존의 종이 문서들에 비해 비교할 수 없는 장점에 의해 전자문서의 제작 및 보급은 점점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전자책은 사용자가 해당 전자책 데이터 가독시 페이지를 넘기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특정펜과 같은 입력장치 또는 손으로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터치하여 페이지 넘김 명령을 입력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3281호의 '음성 인식을 통한 전자책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제공받아서 처리 가능한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입력부, 음성 단어별로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에 해당하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음성 단어 데이터베이스, 상기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단어를 추출하는 음성 신호 인식 처리부, 전자책 컨텐츠를 설정 단위로 처리하여 제공하는 전자책 제공부 및 상기 추출된 음성 단어를 토대로 상기 음성 단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하는 명령을 찾아서 상기 전자책 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책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음성인식을 통하여 전자책을 제어하고 있는 기술만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책으로 입력되는 음향이 사람의 음성이 아닌 특정 음향(예를 들어 악기소리)인 경우, 연주되는 곡의 악보를 인식하고, 연주자의 추가적인 입력행위 없이 계속적으로 다음 페이지의 악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전자책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3281호(2012.06.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음향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컨텐츠를 표시함에 있어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행위없이 계속적으로 페이지를 넘길 수 있는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은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받은 음향을 음향데이터로 변환하는 음향변환부, 상기 음향데이터의 입력시간에 따른 음향 종류를 판단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실행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실행명령에 따른 화면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입력시간보다 초과하는 경우, 입력된 음향데이터는 악보데이터라고 판단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악보데이터와 비교 후 매칭된 악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연주시간의 경과에 따라 악보 페이지를 넘기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비콘단말로부터 악보ID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연주하려는 악보리스트의 악보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음향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음향데이터를 상기 악보리스트의 악보데이터와 비교하여 매칭된 악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악보페이지를 다음 악보페이지로 넘기기 전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영역에 페이지넘김 알림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환경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종류를 판단하고, 인식된 음향 데이터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함으로서 입력되는 음향의 다양성에 따른 해당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외부환경에서 발생되는 음향이 음악 연주(예를 들어 오케스트라의 연주)에 따른 악기소리일 경우, 입력되는 음향데이터를 분석하여 악보를 인식하고, 자동적으로 다음 페이지의 악보를 연주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연주자는 전자책에 터치 등의 추가적인 입력행위 없이 연주에만 집중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외부환경에서 발생되는 음향이 전자책의 특정기능을 실행하는 사람의 음성 또는 화재 등 비상시 발생하는 경보로 인식되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해당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외부환경 음향에 따른 정보를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연속적으로 악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악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연속적으로 악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책(1000)은 마이크로폰(10)을 통하여 외부환경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입력받아 디지털 형식의 음향데이터로 변환하는 음향변환부(200), 상기 음향변환부(200)에 의하여 변환된 음향데이터와 저장부(300)에 저장된 기준 음향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 실행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100) 및 상기 제어부의 실행명령에 따른 화면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책(1000)은 근거리 통신모듈(블루투스, 지그비 등)로부터 RFID 또는 비콘신호를 입력받거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음성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외부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음성데이터 및 음성인식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다운로드하여 제어부(100)로 제공할 수 있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상의 전자책(1000)은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등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키패드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 스피커 또는 진동소자로 이루어져 소리 및 진동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변환부(200)는 A/D 변환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10)을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음향신호(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음향데이터(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저장부(300)는 전자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음향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음향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 음향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00)는 음향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매칭하기 위한 음향인식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음향데이터는 음성 명령 데이터(301) 및 악보 데이터(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보데이터(302)는 해당 곡의 전체 연주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전자책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0)는 터치 필름, 터피 패드 등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500)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기지국 및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모듈, Wi-Fi 등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모듈, 블루투스, RFID, ZigBee 등을 통하여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500)는 통신부의 근거리 통신모듈인 블루투스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 단말이 발신하는 ID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받은 비콘신호의 ID정보를 통신부의 이동통신모듈을 통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ID에 따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비콘신호의 ID정보에 따른 내용을 검색하여 해당 정보를 통신부(500)의 이동통신모듈을 통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콘 신호ID는 해당 비콘 단말이 음악공연을 위한 공연장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비콘 범위내에 있는 전자책에 오늘 연주할 악보 리스트 정보 요청을 위한 악보ID정보일 수 있으며, 관리서버는 상기 악보ID정보를 수신하고 요청된 악보 리스트에 대한 악보데이터를 전자책에 전송함으로써 전자책은 해당 악보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단말이 위험을 감지하여 경보 ID정보를 전자책에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는 이를 화재 등 재난에 다른 경보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여 외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인식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음향변환부(200)로부터 입력된 음향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하여 음향종류 판단부(110), 음향비교부(120) 및 실행명령 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종류 판단부(110)는 음향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데이터의 입력시간을 기준으로 음성명령데이터 인지 악보 데이터인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음성명령은 보통 수초(5초이내) 시간내에 입력된다. 제어부는 음향데이터의 입력시간이 소정의 시간(5초)내일 경우에는 음성명령데이터로 인지하고 해당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명령데이터만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음성인식명령을 독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자책에 입력되는 음향의 입력시간에 따라 음성명령데이터인지 악보데이터인지를 먼저 판단함으로써 음향데이터간 상호 매칭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음향비교부(120)는 음향변환부(200)로부터 입력된 음향데이터와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음향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입력된 음향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음향비교부(120)는 음향종류 판단부(110)로부터 먼저 입력된 음향데이터가 음성명령데이터 인지 악보 데이터인지 결정된 상태에서 음향인식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결정된 음향데이터의 주파수에 따른 진폭변화의 패턴정보와 기준 음향데이터의 패턴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음향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한편 음향비교부(120)는 입력되는 음향데이터가 경보기준값이상으로 소정의 시간동안(10초 이상) 일정패턴이 반복적으로 계속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경우,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라고 인지할 수 있다.
실행명령생성부(130)는 매칭된 음향데이터의 인식 즉 음성, 악기소리 및 경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 및 출력부(스피커 또는 진동소자)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실행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실행명령생성부(130)는 현재 인식된 음향데이터에 따른 정보를 계속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악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입력되는 음향데이터와 매칭된 악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악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의 실행명령생성부는 매칭된 악보데이터의 연주시간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400)의 현재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악보부분의 종료시간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된 악보데이터의 전체 연주시간이 5분이고,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있는 악보 부분이 30초분량의 연주시간이 소요된다고 계산되면, 실행명령생성부는 30초 후 다음 악보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명령생성부는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있는 악보 종료 시간(상기 예에서 30초)보다 수 초정도 전에 미리 페이지넘김 알림아이콘(401)을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연주자에게 다음 악보페이지로의 이동을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먼저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음향을 입력받아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된 음향데이터를 입력받는다(S31,32). 다음으로 제어부는 입력되는 음향데이터의 입력시간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5초) 이내인 경우(S33), 음성인식으로 판단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명령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명령을 인식하고(S36), 해당 명령에 따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37). 한편 제어부는 입력되는 음향데이터의 입력시간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인 경우(S33), 악기소리로 인식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악보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악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34).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선택된 악보의 전체 연주시간을 기준으로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있는 악보 종료을 계산하고 계산된 악보종료시간전에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영역에 페이지넘김 알림아이콘을 표시하여 연주자에게 다음 악보페이지로 이동함을 알릴 수 있다(S35). 따라서 제어부는 현재 매칭된 악보데이터의 페이지 넘김을 계속적으로 제어하여 연주자가 전자책에 표시된 악보페이지를 넘기기 위하여 터치 또는 새로운 음성명령등에 따른 추가적인 입력행위 없이 해당 연주를 위한 악보를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매칭된 악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계속적으로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도 입력된 음향데이터와 매칭된 악보데이터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연주자가 해당 연주를 정확하게 연주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연주자가 매칭된 악보데이터에 따른 연주를 소정의 마디이상 하지 않는 경우, 틀린 음표에 색깔을 표시한다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다음 악보페이지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는 자신이 연주하고자 하는 악보를 전자책에 미리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해당 악보의 다음 페이지로 넘기기 위한 추가적인 입력행위를 할 필요가 없고, 틀린 부분에 대하여 곧바로 인지할 수 있음으로 악기 연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입력되는 음성데이터가 경보기준값이상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반복적인 패턴으로 지속되는 경우, 이를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라고 인지하여 디스플레이부 및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책은 통신부와 음향인식을 통하여 연주자가 해당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외부환경에 따른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해당 공연장에 설치된 비콘단말로부터 악보ID정보를 수신하여 연주하려는 악보리스트에 다른 악보데이터를 미리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연주가 시작되어 음향변환부로 악기소리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다운로드받은 음악리스트와 관련된 악보데이터만을 검색하여 매칭된 악보데이터를 독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매칭된 악보데이터의 전체 연주시간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있는 악보종료시간을 계산하여 계속적으로 다음 악보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서 연주자는 본원 발명의 전자책을 이용하여 악기 연주시 악보를 편리하게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마이크로폰 100:제어부
110:음향종류판단부 120:음향비교부
130:실행명령생성부 200:음향변환부
300:저장부 301:음성명령 데이터
302:악보 데이터 400:디스플레이부
401:페이지넘김 알림아이콘 500:통신부
1000:전자책

Claims (3)

  1.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받은 음향을 음향데이터로 변환하는 음향변환부,
    상기 음향데이터의 입력시간에 따른 음향 종류를 판단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실행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실행명령에 따른 화면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입력시간보다 초과하는 경우, 입력된 음향데이터는 악보데이터라고 판단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악보데이터와 비교 후 매칭된 악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연주시간의 경과에 따라 악보 페이지를 넘기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3. 제 2 항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비콘단말로부터 악보ID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연주하려는 악보리스트의 악보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음향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음향데이터를 상기 악보리스트의 악보데이터와 비교하여 매칭된 악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악보페이지를 다음 악보페이지로 넘기기 전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영역에 페이지넘김 알림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KR1020150026364A 2015-02-25 2015-02-25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KR101675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64A KR101675911B1 (ko) 2015-02-25 2015-02-25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364A KR101675911B1 (ko) 2015-02-25 2015-02-25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698A true KR20160103698A (ko) 2016-09-02
KR101675911B1 KR101675911B1 (ko) 2016-11-14

Family

ID=5694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364A KR101675911B1 (ko) 2015-02-25 2015-02-25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7765A (zh) * 2016-09-08 2018-03-16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页面交互的方法和装置
CN109712218A (zh) * 2018-12-17 2019-05-03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书笔记处理方法、手写阅读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742A (ko) * 2001-05-21 2002-11-29 어뮤즈텍(주) 악보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22210A (ko) * 2005-05-25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교습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음악교습 방법
KR20080075298A (ko) * 2007-02-12 2008-08-18 (주)티원시스템즈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KR20120063281A (ko) 2010-12-07 2012-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인식을 통한 전자책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742A (ko) * 2001-05-21 2002-11-29 어뮤즈텍(주) 악보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22210A (ko) * 2005-05-25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교습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음악교습 방법
KR20080075298A (ko) * 2007-02-12 2008-08-18 (주)티원시스템즈 전자 악보 제공 시스템
KR20120063281A (ko) 2010-12-07 2012-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인식을 통한 전자책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7765A (zh) * 2016-09-08 2018-03-16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页面交互的方法和装置
CN109712218A (zh) * 2018-12-17 2019-05-03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书笔记处理方法、手写阅读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911B1 (ko) 201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3314B1 (ko) 전자 장치 및 단축 명령어의 바로가기 생성 방법
US10121465B1 (en) Providing content on multiple devices
US9613623B2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device comprising repeated output of an audible signal and a visual display and vibration for user notification
CN107111492B (zh) 跨诸设备缩放数字个人助理代理
JP6440513B2 (ja) 音声認識機能を用いた情報提供方法および機器の制御方法
KR101554221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EP2973543B1 (en) Providing content on multiple devices
KR102070196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210047B2 (en) Accessory device operation with user mobile device over network connection
KR20200037192A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22839A (ko)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센서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0958A (ko) 입력 신호 종류 별 사용자 기능 활성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11524501B (zh) 语音播放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70019521A1 (en) Notifications with custom user interface
KR20120023339A (ko) 터치신호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100056052A1 (en) Electronic device and searching method thereof
KR20190122457A (ko)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99380A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675911B1 (ko)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KR20110076283A (ko) 사용자 입력 패턴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59932A (ko) 사운드 출력 방법 및 장치
WO2014103544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EP3018847B1 (en) Apparatus for labeling inputs of an audio mixing console system
JP2019056913A (ja) 音声認識機能を用いた情報提供方法および機器の制御方法
CN105373585B (zh) 歌曲收藏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